KR20170115394A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394A
KR20170115394A KR1020160043029A KR20160043029A KR20170115394A KR 20170115394 A KR20170115394 A KR 20170115394A KR 1020160043029 A KR1020160043029 A KR 1020160043029A KR 20160043029 A KR20160043029 A KR 20160043029A KR 20170115394 A KR20170115394 A KR 20170115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creen display
connecting member
cover
transmitt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채원
Original Assignee
방채원
주식회사 유비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채원, 주식회사 유비스타 filed Critical 방채원
Priority to KR1020160043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394A/ko
Publication of KR20170115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및 투광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대향하는 측면(10b)과 측면(10b)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10)와, 상기 투광커버(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0b)에 구비되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외부에서 연결부재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깔끔하게 투광커버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및 투광커버 어셈블리{A FASTENING DEVICE FOR TRANSPARENT COVER OF DISPALY APPARATUS AND A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를 쉽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외부에서 연결부재가 보이지 않도록 하여 외관상 깔끔하게 투광커버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및 투광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charge Panel)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 구현이 용이하며, 고화질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형화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대형 화면을 생산하는데 많은 제조비용과 화면표시부[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의 크기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여러 대의 화면표시부를 사용하는 멀티스크린 방식을 사용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11에는 일반적인 다중의 화면표시부(20)를 이용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화면표시부(20)를 행과 열을 갖도록 배치하여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를 구성하고, 각 화면표시부(11)의 사이의 경계에는 섀시 등과 같은 외장 구성품인 베젤(Bezel)(21)이 구비된다.
이러한 베젤(21)에 의해서 영상이 표시될 때 테두리 줄간격이 생김으로써 영상정보를 전달하는데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상기와 같은 베젤 영역에서 화면이 단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기술이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서 특허등록된 대한민국 제10-1426726호(등록일: 2014.07.30.)에 의한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특허 제10-1426726호에 의한 기술은 베젤 사이에 투광커버를 구비되도록 하여서 기하광학적 착시 현상에 의해서 베젤이 완벽하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었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1426726호에 의한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어떻게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 부착하는지가 기술적 과제로 남아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426726호(공고일: 2014년08월05일)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4205호(공개일: 2001년10월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및 투광커버 어셈블리의 목적은,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의 측면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투광커버의 대향하는 측면에 동시에 체결(부착)되는 방식에 의해서 투광커버 연결부재를 통한 투광커버를 연결 고정함으로써, 투광커버 연결부재가 투광커버의 측면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 인서트되어서 투광커버를 연결 고정할 수 있게 되도록 하고 그리하여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견고하고 안전하게 투광커버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이 장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및 투광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투광커버의 대향하는 측면과 측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는, 일측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의 측면에 체결되고, 타측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광커버의 측면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 형상이고, 적어도 두 개의 측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의 측면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광커버의 측면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가,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과 다른 하나의 측면은 접착수단에 의해서 투광커버의 측면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접착수단이 양면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에는 투광커버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체결홀은 투광커버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체결홀(112)에 연통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과 다른 하나의 측면 이외에 또 다른 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또 다른 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가, 일 측면과 타 측면과 저면이 형성되어 있는 삼각기둥 형상이고, 길이방향을 따라서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어셈블리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와, 상기 투광커버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및 투광커버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의 측면과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투광커버의 대향하는 측면에 동시에 체결(부착)되는 방식에 의해서 투광커버 연결부재를 통한 투광커버를 연결 고정함으로써, 투광커버 연결부재가 투광커버의 측면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 인서트되어서 투광커버를 연결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견고하고 안전하게 투광커버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이 장치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가 부착된 투광커버가 설치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 구성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가 부착된 투광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와 체결되는 상대물인 체결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가 부착된 투광커버 어셈블리를 체결부재에 장착하는 동작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변형된 예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의 변형 예이다.
도 11은 일반적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의 정면 구성 개념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및 투광커버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대향하는 측면(10b)과 측면(10b)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대향하는 측면(10b)과 측면(10b) 사이의 공간(S1)에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를 위치시킴으로써,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투광커버 연결부재(1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깔끔한 외관(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투광커버(10)를 서로 연결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투광커버(10)는 배면(10a)과 전면(10c)과 측면(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면(10b)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확개 경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에 구비되는 경우, 전면(10c)의 외주연이 서로 접하여서 구비되고,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대향하는 측면(10b)과 측면(10b) 사이에 화면표시부(20)의 경계가 위치하도록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에 구비됨으로써 화면표시부의 경계인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커버의 배면(10a)은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부(10a')와 상기 굴곡부(10a')에서 연장된 평탄부(10a")로 구성되어서 화면표시부(20)와 배면(10a) 간에는 이격공간(S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광커버(10)의 측면(10b)은 4 개의 둘레면을 의미하는 것인데, 상기 연결부재(100)는 투광커버(10)의 4 개의 측면(10b) 중에서 상측과 하측의 어느 하나의 면에 부착된다.(도 1 내지 도 3, 도 6 내지 도 9 참조).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의 일 측면(100a)이 인접한 투광커버(10)의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부착되고,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의 타 측면(100b)이 인접한 투광커버(10)의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부착되어서, 인접한 복수의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일 측면(100a)과 타 측면(100b)과 저면(100c)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일 단면이 윗면(100e)이고 타 단면이 아랫면(100f)인 삼각기둥 형상이다.
그리고,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체결홀(1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홀(112)은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10)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예컨대 하기 체결부재(200)의 체결돌부(220)가 걸림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112)에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114)는 슬라이드식으로 체결할 때 박판의 몸체부(21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측면(100a)과 다른 하나의 측면(100b)은 접착수단에 의해서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테이프(T1) 또는 접착제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서 연결부재(100)를 투광커버(10)에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의 변형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저면(100c')이 체결홀(112) 쪽으로 절곡된 형상이고, 모서리가 라운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광커버 어셈블리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10)와, 상기 투광커버(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0b)에 구비되는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투광커버(10)의 어느 하나의 측면(10b)에 부착되어서 구비된다.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일 측면(100a)과 타 측면(100b)과 저면(100c)과 윗면(100e)과 아랫면(100f)으로 이루어진 삼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체결홀(112)과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가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복수로 접착되어서 인접한 투광커버(10)를 연결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투광커버(10)의 측면(10b) 전체에 걸쳐서 하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100)가 부착된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광커버 어셈블리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투광커버(10)와, 인접하는 복수의 투광커버(10)의 대향하는 측면(10b)과 측면(10b)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어서, 일 측면(100a)이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부착되고, 타 측면(100b)이 다른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부착되어서 인접하는 복수의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일 측면(100a)과 타 측면(100b)과 저면(100c)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일 단면이 윗면(100e)이고 타 단면이 아랫면(100f)인 삼각기둥 형상이다.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체결홀(112)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체결홀(112)에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투광커버 연결부재(100)가 부착된 투광커버(10)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투광커버(10)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은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의 상대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부재(200)가 채택될 수 있다.
이 체결부재(200)는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개재되어서 설치되고, 선단이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에 체결되어서,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10)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화면표시부(20) 사이에 개재되어서 구비되는 박판의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선단에 화살촉 형태로 형성되어서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의 체결홀(112)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서 체결되는 체결돌부(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후단에서 몸체부(210)에 직교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30)에는 볼트공(230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230a)에 나사체결되어서 체결부재(200)를 화면표시부(20)의 배면(20a)에 조임 고정하여서 체결부재(200)를 화면표시부에 고정시키는 장착볼트(P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측 및 하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는 체결부재(2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심미감을 고취시키기 위한 마감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에 장식부재(br)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의 조립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면테이프(T1)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를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간격을 두고 부착한다.
다음으로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투광커버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체결부재(200)의 체결돌부(220)가 화면표시부(20)의 전면(20c)로 돌출되도록 체결부재(200)를 화면표시부(20) 사이에 끼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커버 연결부재(100)가 부착된 투광커버(10)를 체결돌부(220)와 체결돌부(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전진시킨다(도 7의 D1 방향).
이후 체결부재(200)의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7의 D2 방향) 투광커버(10)를 슬라이딩하면, 체결돌부(220)가 체결홀(112)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체결되어서 연결부재(100)가 체결부재(200)에 체결되고, 따라서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20 : 화면표시부 20a : 화면표시부의 배면
20c 화면표시부의 전면 10 : 투광커버
10a : 투광커버의 배면 10a' : 투광커버의 배면의 굴곡부
10a" : 투광커버의 배면의 평탄부 10b : 투광커버의 측면
10c : 투광커버의 전면
S1 : 인접하는 투광커버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의 공간
Sa : 화면표시부(20)와 투광커버의 배면(10a) 간의 이격공간
100 : 투광커버 연결부재 100a : 투광커버 연결부재의 일 측면
100b : 투광커버 연결부재의 타 측면 100c : 투광커버 연결부재의 저면
100e : 연결부재의 윗면 100f : 연결부재의 아랫면
112 : 체결홀 114 : 절개부
200 : 체결부재 210 : 몸체부
220 : 체결돌부 230 : 플랜지부
230a : 볼트공 P1 : 장착볼트
br : 장식부재

Claims (5)

  1.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대향하는 측면(10b)과 측면(10b)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일측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체결되고, 타측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100a,100b)이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 형상이고,
    적어도 두 개의 측면(100a,10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측면(100a)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100b)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다른 하나의 투광커버(10)의 측면(10b)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에는,
    투광커버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10)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커버 어셈블리.
  5.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투광커버(10)와,
    상기 투광커버(1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0b)에 구비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투광커버 연결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커버 어셈블리.
KR1020160043029A 2016-04-07 2016-04-07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KR20170115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29A KR20170115394A (ko) 2016-04-07 2016-04-07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029A KR20170115394A (ko) 2016-04-07 2016-04-07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394A true KR20170115394A (ko) 2017-10-17

Family

ID=6029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029A KR20170115394A (ko) 2016-04-07 2016-04-07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3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7936B2 (ja) 曲面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26726B1 (ko)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343196A1 (en) Display Assembly
KR20080062164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1641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041832A1 (en) Display apparatus
KR102057754B1 (ko) Led 표시장치
US9489012B2 (en) Video wall and fixing apparatus therefor
KR20160114799A (ko) 표시 장치
CN114740655B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5599569B2 (ja) 裸眼立体視ディスプレイ
KR101822146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KR201300284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068226A2 (en) Planar display assembled and supported through components by making use of adhesive
US20090126244A1 (en) Planar Display Assembled And Supported Through Components By Making Use Of Adhesive
JP2009527788A5 (ko)
JP3198615U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WO2015070575A1 (zh) 一种液晶模组及显示设备
CN115167033B (zh) 背光模组、显示装置及拼接显示装置
US2014013287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configuration thereof
KR101842623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KR20170115394A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CN107479113A (zh) 光学膜及窄边框显示装置
KR101822149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고정부재
KR102658202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