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234A -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 Google Patents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234A
KR20170115234A KR1020160042562A KR20160042562A KR20170115234A KR 20170115234 A KR20170115234 A KR 20170115234A KR 1020160042562 A KR1020160042562 A KR 1020160042562A KR 20160042562 A KR20160042562 A KR 20160042562A KR 20170115234 A KR20170115234 A KR 20170115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frame
pole
table tennis
p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동선
최영진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임동선
이영주
최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선, 이영주, 최영진 filed Critical 임동선
Priority to KR102016004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234A/en
Publication of KR20170115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2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이 폴프레임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C"형상으로 만곡된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를 형성하여 일방향으로 타격된 탁구공을 실제 탁구 경기와 같이 타격 후 곧바로 리턴시키고, 다수개로 나뉘어지는 폴프레임을 형성하여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으며, 유입된 탁구공이 바운드되는 볼구분연장부와 볼구분연장부의 상부에 커튼형태의 감속커튼부를 구비하여 유입된 탁구공을 수직 낙하시켜 바운드되는 탁구공을 스윙할 수 있게 하고, 폴프레임의 상단부에 타격자의 위치로 흘러들어 공급되는 볼디스펜서부를 구비하여 스윙연습을 하는 타격자가 리턴되는 탁구공을 쫓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nging practice ball feeding device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pawl frame portions and is curved in a "C" form, so that the ping pong ball hitting in one direction is immediately returned after hitting like a real ping- The ball pendant is divided into a ball segment extending portion to which the inflated table tennis ball is bound and a curtain type slowing curtain portio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segment extending portion, And a ball dispenser portion suppli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ole frame and supplied to the position of the striker so that the striker practicing the swing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following the returned ping pong ball There is an effect.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Description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 swinging ball,

본 발명은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시 실제 탁구 경기와 같이 탁구공의 타격 후 곧바로 리턴되도록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이 폴프레임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C"형상으로 만곡된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 training ball dispensing apparatus for a table tennis g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ng training ball dispensing apparatus for a table tennis game, in which a shielding film, which is connected in a tent form so as to return immediately after batting a table tennis ball, "Relates to a swing training ball feeder for a table tennis game curved in a shape.

일반적으로 탁구게임은 중앙의 네트를 기준으로 볼을 상대편의 코트로 넘기며 플레이되는 일종의 스포츠게임으로 좁은 테이블의 위에서 볼을 반대편으로 넘기되 밖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많은 시간을 스윙연습에 투자하게 된다.In general, a ping pong game is a kind of sports game that is played by passing the ball to the opponent 's court on the basis of the center net. It invests a lot of time in the swing practice so that it does not go ou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arrow table.

여기서, 종래의 스윙연습 방법을 살펴보면 탁구 테이블의 상부 일면에 벽을 세워 연습자가 스윙한 볼을 그대로 튀겨 반복적으로 리턴시키며 연습하는게 일반적이나, 이는 연습자가 원하는 스윙위치로 토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wing practice method, a wall is set u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tennis table, and the practitioner generally bounces the ball swinging and bounces it repeatedly.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practitioner to toss to the desired swing position.

또한, 종래의 또 다른 스윙연습 방법으로는 연습자의 반대편에서 볼을 하나씩 토스해주는 보조인을 두어 연습자가 원하는 위치로 볼을 토스할 수 있게 되나, 반드시 또 다른 보조인이 필요하여 혼자서는 연습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nother conventional swing practice method is to place an auxiliary person toss the ball one by one on the other side of the practitioner, so that the practitioner can toss the ball to the desired position, but he or she needs another assistant to perform the exercise alone There was no problem.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탁구공을 무인으로 발사시키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52601호(명칭:탁구 연습장치)가 개시되었다.Meanwhi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 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52601 (name: ping-pong practice apparatus) for launching a table tennis ball unattended has been disclosed.

여기서, 종래의 탁구 연습장치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적재된 탁구공이 간헐적으로 하나씩만 빠져나가도록 하는 공급판이 구비된 호퍼와, 지지봉의 상단에 설치된 베이스판에 기체를 안착하고, 상기 기체의 상면에 상기 호퍼가 설치되도록 하되, 이 기체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호퍼의 직하부측에 설치되는 발사대와, 상기 발사대의 전방 양측으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탁구공을 발사하는 로울러로 구성된 발사수단과, 상기 발사대와, 하우징 각각을 임의 회전시켜 탁구공의 발사 방향과,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수단으로 구성되었다.The conventional table tennis practice machine includes a hopper having a supply plate that is rotated by a motor and allows a table tennis ball to be intermittently ejected one by one, a base plate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ar, A hopper, and a hopper, wherein the hopper is mounted on the base, a housing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hopper, a launching base provided on a side of the hopper, and a roller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aunching base, And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launching direction and angle of the table tennis ball by arbitrarily rotating each of the launching means, the launching platform and the housing.

그러나, 종래의 탁구 연습장치는 한정된 크기의 호퍼에 충전된 볼이 모두 소진된 경우에는 연습을 불가피하게 중단하고 상기 호퍼에 연습에 사용할 볼을 충전해야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스윙연습시 지속적인 연습을 할 수 없어 연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able tennis field, when the balls filled in the hopper of a limited size are exhausted, it is inevitable to stop the practice and to work on the hopper to fill the ball to be used for practice, so that the swing practice can not be continuously practi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ercise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종래의 탁구 연습장치는 볼을 인위적으로 발사하기 위하여 전기로 구동되는 모터가 구비됨으로써, 스윙연습시 전력이 소모됨과 더불어 종래의 탁구 연습장치를 제작함에 있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able tennis practice equipment, a motor driven by an electric circuit is provided to artificially fire the ball, thereby consuming electric power during swing practice, and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is complicated .

그리고, 종래의 탁구 연습장치는 모터와 호퍼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로 인하여 그 중량이 상승하게 되는데 탁구 연습 또는 보관을 위한 자리 이동시 그 중량에 의하여 이동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able tennis equip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f the table tennis equipment is increased due to various components such as a motor and a hopp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이 폴프레임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C"형상으로 만곡된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를 형성하여, 일방향으로 타격된 탁구공을 실제 탁구 경기와 같이 타격 후 곧바로 리턴시키고, 다수개로 나뉘어지는 폴프레임을 형성하여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으며, 볼구분연장부의 상부에 커튼형태의 감속커튼부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탁구공의 속도를 감속하여 어렵지 않게 스윙연습을 할 수 있고, 폴프레임의 상단부에 타격자의 위치로 흘러들어 공급되는 볼디스펜서부를 구비하여 스윙연습을 하는 타격자가 리턴되는 탁구공을 쫓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ng training ball feeding device having a cantilevered curved shape, , The ping-pong ball struck in one direction can be returned immediately after striking like a real ping-pong game, and a pole fram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can be separately separated and easily moved and stored. In addition, And a ball dispenser part provided with a curtain part and capable of swinging the speed of the discharged ping pong ball so as to be able to swing without difficulty and flowing to the position of the puncher at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the player from moving after chasing the swinging ball.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는 탁구공에 대한 스윙연습을 하기 위하여 타격된 탁구공을 타격자의 위치로 재공급시키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로서 정해진 형상의 골조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상부에 한 쌍이 안착되며 일방향으로 만곡된 봉형상의 폴프레임부와; 상기 폴프레임부의 사이에 타격된 탁구공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의 양측면에 상기 폴프레임부의 외측면에 덮혀진 원통형상의 차단막연결부로 이루어진 차단막부와; 상기 폴프레임부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폴프레임부의 만곡된 형상이 고정되도록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조절프레임과, 상기 조절프레임의 중심부에 상기 폴프레임부의 만곡된 형상이 가변되도록 회전되는 힌지구조의 절첩구로 이루어진 조절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폴프레임부는 다수개로 나뉘어진 폴프레임과, 상기 폴프레임의 양측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폴프레임을 연결하는 파이프형상의 폴연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는 상기 폴프레임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폴삽입공이 천공된 박스형상의 폴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wing training ball dispensing apparatus for a table tennis game is provided with a swing training ball dispensing apparatus for swinging a table tennis ball to a position of a striker for swinging a table tennis ball, A mounting portion formed of a frame frame; A rod-like pole frame portion which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curved in one direction; A shielding film part formed of a shielding film connected in a tent form so that a ping pong hole struck between the pole frame parts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and a cylindrical shielding film connecting part covered on the outer side of the pole frame part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film; A control frame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pole frame portion and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ole frame portion so as to fix the curved shape of the pole frame portion; and a folding portion of the hinge structure rotated so as to vary the curved shape of the pole frame portion A control frame portion made of a sphere; The pole frame portion includes a pole fram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e frames, and a pipe-shaped pole connector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pole frame to connect a plurality of pole frames. And a box-shaped pole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pole inserting holes formed therein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pole fram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상기 폴프레임부의 내측에는 유입되는 탁구공의 상하위치가 구별되도록 상기 폴프레임부의 내측 후방향으로 연장된 볼구분연장부가 구비되고; A ball segment extending portion extending in an inner rear direction of the pole frame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pole frame portion so that a vertical position of a ping pong ball is distinguished;

상기 볼구분연장부는 상기 폴삽입공에 삽입되며 상기 폴프레임부의 내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만곡된 한 쌍의 볼구분프레임과; 상기 볼구분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탁구공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평행하게 연결된 볼차단막과, 상기 볼구분프레임의 양측면에 상기 볼구분연장부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조절프레임부에 탈착 연결되는 볼구분각도변화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ll segment extend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ball segment frames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on hole and curv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pole frame portion; A ball blocking membrane connected between the ball segmenting frames in parallel so that the table tennis ball is prevented from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ball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trol frame unit such that an angle of the ball separation extending unit is variable on both sides of the ball segmenting frame. And a segment angle changing portion.

상기 폴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타격된 탁구공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배출되는 탁구공의 속도를 감속시켜 용이하게 스윙연습되도록 하면에 커튼형태의 볼감속막이 형성된 감속커튼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eceleration curtain having a curtain-type ball reduction membran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to allow the swinging of the table tennis ball to be swung when the swinging table tennis ball moves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한 쌍의 폴프레임 사이에는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상기 차단막을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양측 폴프레임의 일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스프링안착구와, 상기 스프링안착구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차단막을 양측으로 가압하는 봉형상의 로드구로 이루어진 로드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spring seatings seated on one side of both side pole frames for flatly spreading the shielding film flexibly deformed between the pair of pole frames; and a pair of spring seatings for connecting the spring seatings to each other, And a rod spring composed of rod-shaped rod sections is provided.

상기 폴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상기 폴프레임의 하단부 높이가 가변되도록 힌지로 연결된 높이조절봉과, 상기 높이조절봉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골조프레임의 상면에 다수개 천공된 높이조절안착공으로 이루어진 하단높이조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lower height adjuster which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pole frame and includes a height adjusting rod connected by a hinge so as to vary the height of a lower end of the pole frame and a height adjusting sea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for inserting and fixing a lower end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rod, .

상기 거치부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조절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의 내측에는 상기 폴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폴프레임을 삽입 고정하는 박스형상의 제2폴연결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to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adjustment fram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box shape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pole frame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pole connection port of the second pole.

상기 폴프레임의 상단부에는 타격된 탁구공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탁구공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탁구공을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하는 미끄럼틀형상의 배출부로 이루어진 볼디스펜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le frame is provided at its upper end with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table tennis ball when the hit table tennis ball is mov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ball having a ball formed of a slider-shaped discharging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table tennis bal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dispenser unit.

상기 수용부는 상기 폴프레임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천공된 한 쌍의 디스펜서연결공과, 상기 디스펜서연결공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다른 고리형상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외측면에 상기 탁구공이 수용되도록 매쉬형태로 덮혀진 수용막과, 상기 수용막의 후면에 상기 탁구공이 유입되도록 개방된 공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ptacle includes a pair of dispenser connection hole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 upper end of the pawl frame, an annular side frame having a different height at one side and the other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penser connection hole, And a supply part which is opened to allow the table tennis ball to flow into the rear surface of the receiving film.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swing training ball feeding device for a table tennis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타격된 탁구공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이 한 쌍의 "C"형상으로 만곡된 폴프레임부의 사이에 구비된 스윙연습 볼공급장치가 형성됨으로써, 일방향으로 타격된 탁구공을 수직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켜 실제 탁구 경기와 같이 타격 후 곧바로 리턴시키며 스윙연습을 할 수 있고,First, a swinging practice ball feed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pole frame portions curved in a pair of "C" shapes in a tear film form so that the hit ping pong ball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You can practice swing by returning the ball straight after hitting like the actual table tennis game by rotating the ball in the vertical direction,

둘째, 폴프레임부의 일측에 절첩구가 구비된 조절프레임부을 구비함으로써, 폴프레임부의 만곡된 정도 즉, "C"형상을 넓게 벌리거나 좁게 좁힐 수 있어 리턴되는 탁구공의 진행높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Second, by providing the adjustment frame portion provided with the folding tab at one side of the pole frame portion, the curved degree of the pole frame portion, that is, the "C" shape can be broadly narrowed or narrowed narrowly so that the progressing height of the returned ping- And,

셋째, 폴프레임부는 다수개로 나뉘어진 폴프레임과, 폴프레임의 양측에 삽입되어 연결하는 파이프형상의 폴연결구로 이루어짐으로써, 스윙 연습을 마친 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고,Third, the pole frame portion includes a pole fram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e frames, and a pole-shaped pole connection portion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pole frame, so that the pole frame portion can be separated and easily moved and stored after completion of the swing practice.

넷째, 볼구분연장부의 상부에 커튼형태의 감속커튼부를 구비함으로써, 타격된 탁구공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타격자 방향으로 배출되는 탁구공의 속도를 감속시켜 탁구공을 보다 정확하게 스윙할 수 있게 하여 스윙연습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Fourthly, by providing the curtain type deceleration curtain at the upper part of the ball type extending portion, when the hit table ball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speed of the table tennis ball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iker is reduced to swing the table tennis ball more accurately So you can practice swing more easily,

다섯째, 한 쌍의 폴프레임 사이에 로드형태의 로드스프링을 거치함으로써,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차단막을 로드스프링의 장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평평하게 전개시켜 유입된 탁구공이 걸리거나 진행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Fifthly, by loading rod-shaped load springs between a pair of pole frames, the flexible film can be continuously and flatly expanded by the tension of the rod springs to prevent the inflow of the ping-pong ball, Therefore,

여섯째, 폴프레임의 하단부에 하단높이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폴프레임의 하단부에 대한 높이를 가변시켜 하부방향에서 리턴되는 탁구공의 진행높이를 원하는 높이이로 가변시켜 다양한 연습 환경을 설정할 수 있으며,Sixth, by providing the lower height adjuster at the lower end of the pole frame,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ole frame can be varied, and the progress height of the table tennis ball returned from the lower direction can be changed to a desired height,

일곱째, 폴프레임의 상단부에 타격된 탁구공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타격자의 위치로 흘러들어 공급되는 볼디스펜서부를 구비함으로써, 스윙연습을 하는 타격자가 리턴되는 탁구공을 쫓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윙 폼만을 중점적으로 연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venthly, since the ball dispenser part supplied to the position of the striking person when the table tennis ball struck at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is moved upward, the striking person performing the swing practice is prevented from moving following the returned table tennis ball, It is possible to practice only the foc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탁구공이 상부로 이동되어 재공급되는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탁구공이 하부로 이동되어 재공급되는 작용을 나타내 보인 일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구분연장부와 감속커튼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구분연장부와 감속커튼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작용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볼디스펜서부를 나타내 보인 일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볼디스펜서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작용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ng training ball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ng training ball fee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table tennis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a table tennis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downward and 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ll break extension part and a deceleration curt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unctional diagram showing the action of the ball break extension part and the deceleration curta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ball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ball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구공(B)에 대한 스윙연습을 하기 위하여 타격된 탁구공(B)을 타격자(S)의 위치로 재공급시키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1)로서 정해진 형상의 골조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의 상부에 한 쌍이 안착되며 일방향으로 만곡된 봉형상의 폴프레임부(20)와;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사이에 타격된 탁구공(B)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31)과, 상기 차단막(31)의 양측면에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외측면에 덮혀진 원통형상의 차단막연결부(32)로 이루어진 차단막부(30)와;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만곡된 형상이 고정되도록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조절프레임(41)과, 상기 조절프레임(41)의 중심부에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만곡된 형상이 가변되도록 회전되는 힌지구조의 절첩구(42)로 이루어진 조절프레임부(40)로 구성된다.The swinging practice ball dispensing apparatus for a table tennis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nging practice ball dispensing apparatus for swinging a table tennis ball B to a position of a striker S in order to practice a swing for a table tennis ball B, A swinging training ball feeding device (1) for swinging a table tennis game to be reapplied; a mounting part (10) composed of a frame frame (11) of a predetermined shape; A rod-like pole frame portion 20 having a pair of seats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 and curved in one direction; A shielding film 31 connected to the pole frame 20 in a tent form so as to block the tennis ball B striking the outside of the pole frame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utside and the pole frame 20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film 31, A shielding film portion 30 made of a cylindrical shielding membrane connecting portion 32 cover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ing film portion 30; A control frame 4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le frame 20 and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ole frame 20 so as to fix the curved shape of the pole frame 20; And a control frame section 40 composed of a folding tab 42 of a hinge structure rotated so that the curved shape of the frame section 20 is variable.

여기서, 상기 폴프레임부(20)는 다수개로 나뉘어진 폴프레임(21)과, 상기 폴프레임(21)의 양측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폴프레임(21)을 연결하는 파이프형상의 폴연결구(22)로 이루어진다.The pole frame 20 includes a pole frame 21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e frames 21 and a pipe-shaped pole connector 22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pole frame 21 to connect the pole frames 21 to each other. .

또한, 상기 거치부(10)의 상면에는 상기 폴프레임부(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폴삽입공(121)이 천공된 박스형상의 폴연결구(12)가 구비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box-shaped pole connector 12 having a plurality of pole insertion holes 121 formed therein so that the pole frame portions 20 are inserted and fixed.

한편, 상기 거치부(10)의 하면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평발(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폴삽입공(121)의 일측면에는 상기 차단막(31)이 관통되는 절개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flap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thereof. On one side of the pole insertion hole 121, an incision groove (not shown) ) Is preferably formed.

또한, 상기 조절프레임(41)의 내면에는 상기 폴프레임(21)의 만곡된 각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연결공(411)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41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djustment frame 4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21 can be connected so that the angle of curvature of the pole frame 21 varies.

한편,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유입되는 탁구공(B)의 상하위치가 구별되도록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 후방향으로 연장된 볼구분연장부(50)가 구비된다.5 to 6, there are formed ball paddles B extending in the inner rear direction of the pole frame portion 20 so that the up and down positions of the ping- And a division extension portion 50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볼구분연장부(50)는 상기 폴삽입공(121)에 삽입되며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만곡된 한 쌍의 볼구분프레임(51)과; 상기 볼구분프레임(51)의 사이에 상기 탁구공(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평행하게 연결된 볼차단막(52)과, 상기 볼구분프레임(51)의 양측면에 상기 볼구분연장부(50)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조절프레임부(40)에 탈착 연결되는 볼구분각도변화구(53)로 이루어진다.The ball segment extending unit 50 includes a pair of ball segmenting frames 51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on holes 121 and curv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pole frame unit 20; A ball blocking membrane 52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ball segmenting frames 51 so that the table tennis ball B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53)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justment frame (40) so that the angle of the ball (50) is variable.

한편, 상기 볼구분프레임(51)은 상기 폴프레임(21)과 동일하게 다수개로 나뉘어지며, 이를 연결하는 폴연결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ball segment frame 51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all segments in the same manner as the pole frame 21, and a pole connection port (not shown) for connecting the ball segment frames 51 is preferably provided.

그리고,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타격된 탁구공(B)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배출되는 탁구공(B)의 속도를 감속시켜 용이하게 스윙연습되도록 하면에 커튼형태의 볼감속막(61)이 형성된 감속커튼부(60)가 구비된다.When the swinging table tennis ball B moves upward in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21, the speed of the table tennis ball B ejected when the swinging table tennis ball B is moved upward can be decelerated, And a deceleration curtain portion 60 in which a curved portion 61 is formed.

한편, 상기 볼감속막(61)은 배출되는 탁구공(B)에 최소한의 감속을 시켜줄 수 있도록 실크와 같은 얇은 직물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커튼부(60)의 후방에는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파이프형상의 감속커튼연결구(6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ll deceleration film 61 is formed of a thin fabric material such as silk so as to allow a minimum deceleration of the table tennis ball B to be discharged. And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reduction curtain connecting hole 62 is formed to be inserted.

또한, 상기 한 쌍의 폴프레임(21)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상기 차단막(31)을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양측 폴프레임(21)의 일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스프링안착구(71)와, 상기 스프링안착구(71)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차단막(31)을 양측으로 가압하는 봉형상의 로드구(72)로 이루어진 로드스프링(70)이 구비된다.1, a pair of springs (not shown) that are seated on one side of the pawl frame 21 so as to spread the blocking film 31, which is flexibly deformed, And a rod spring 70 composed of a rod-shaped rod 72 for connecting the seat 71 and the shielding plate 31 to each other.

한편, 상기 로드스프링(70)은 상기 폴프레임(20)의 일부분에 다수개가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안착구(71)는 상기 폴프레임(21)에 안착되도록 그 단면이 "C"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e rod springs 70 are mounted on a part of the pole frame 20 and the spring seat 71 is formed in a C shape in cross section so as to be seated on the pole frame 21 .

이때, 상기 로드스프링(70)은 상기 볼구분연장부(50)의 볼차단막(52)을 평평하게 펼쳐주도록 상기 볼차단막(52)의 하부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rod spring 70 is preferably provided under the ball blocking layer 52 so as to spread the ball blocking layer 52 of the ball breaking extension 50 in a flat manner.

그리고, 상기 폴프레임(21)의 하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프레임(21)의 하단부 높이가 가변되도록 힌지(H)로 연결된 높이조절봉(81)과, 상기 높이조절봉(81)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골조프레임(11)의 상면에 다수개 천공된 높이조절안착공(82)으로 이루어진 하단높이조절부(80)가 구비된다.4, a height adjusting rod 81 connected to the pole frame 21 by a hinge H such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ole frame 21 is variable, And a lower height adjusting portion 80 made up of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apertures 8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frame 1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aperture 82 is inserted and fixed.

한편, 상기 높이조절안착공(82)이 반대로 돌출된 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봉(81)의 하면에 천공부가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Meanwhil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height adjusting aperture 82 is form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in an opposite direction, and a hole is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rod 81.

또한, 상기 거치부(10)의 상부 일면에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조절프레임(4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13)의 내측에는 상기 폴프레임(21)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폴프레임(21)을 삽입 고정하는 박스형상의 제2폴연결구(14)가 구비된다.1 and 2, a fixing protrusion 13 protruding upward to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adjusting frame 4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 13, a box-shaped second pawl connector 14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pawl frame 21 is fixed so that the pawl frame 21 is firmly fixed.

한편, 상기 고정돌부(13)의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천공되고, 상기 제2폴연결구(14)의 일측면에는 상기 폴프레임(21)의 고정되는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 또는 볼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rotrusion 13, and a protrusion (not shown) inserted into the hole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second pole connection hole 14, Or bolts are preferably provided.

그리고,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된 탁구공(B)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탁구공(B)을 수용하는 수용부(91)와, 상기 수용부(9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탁구공(B)을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하는 미끄럼틀형상의 배출부(92)로 이루어진 볼디스펜서부(9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S. 8 to 9, at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21, a receiving portion 91 for receiving the table tennis ball B when the battered table tennis ball B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ball dispenser 9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91 and configured to have a slidable discharge portion 92 for discharging the table tennis ball B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여기서, 상기 수용부(91)는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천공된 한 쌍의 디스펜서연결공(911)과, 상기 디스펜서연결공(911)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다른 고리형상의 측면프레임(912)과, 상기 측면프레임(912)의 외측면에 상기 탁구공(B)이 수용되도록 매쉬형태로 덮혀진 수용막(913)과, 상기 수용막(913)의 후면에 상기 탁구공(B)이 유입되도록 개방된 공급부(914)로 이루어진다.
The receptacle 91 includes a pair of dispenser connection holes 911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21 and a pair of dispenser connection holes 91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ispenser connection hole 911, A receiving film 913 covered in a mesh form so as to receive the table tennis ball B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frame 912; And a supply portion 914 opened to allow the table tennis ball B to flow.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wing training ball feeding apparatus for a table tennis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는 탁구공(B)에 대한 스윙연습을 하기 위하여 타격된 탁구공(B)을 타격자(S)의 위치로 재공급시키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1)이다.The swing training ball supply device for a table tennis g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ng training ball supply device for a table tennis game in which a batted ball ball B is re-supplied to a position of a striker S for swing practice for a table tennis ball B (1).

즉, 정해진 형상의 거치부(10) 상부에 "C"형상으로 만곡된 폴프레임부(20)이 구비되고,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사이에 타격된 탁구공(B)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3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탁구공(B)을 하부방향으로 타격할 경우 도 3과 같이 상기 차단막(31)의 곡면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며 타격자(S)에게 탁구공(B)을 리턴시켜 재공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 pole frame portion 20 curved in a "C" shap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portion 10 of a predetermined shape, and a table tennis ball B struck between the pole frame portions 20 is released 3, when the table tennis ball B is struck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topper film 31 is rotated upward in the upward direction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blocking film 31 as shown in FIG. 3, The player can return the table tennis ball B to the player S and re-supply it.

이때, 상기 탁구공(B)을 상부방향으로 타격할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차단막(31)의 곡면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며 타격자(S)에게 탁구공(B)을 재공급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table tennis ball B is struck in the upward direction, the table tennis ball B can be re-supplied to the striker S while being rotated downwar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blocking film 31 as shown in FIG. .

여기서,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일측과 타측면에 절첩구(42)가 구비된 조절프레임부(4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만곡된 정도 즉, "C"형상을 넓게 벌리거나 좁게 좁힐 수 있어 리턴되는 탁구공(B)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adjustment frame portion 40 having the folding tabs 42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wl frame portion 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pawl frame portion 20, So tha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turned table tennis ball B in a desired direction.

한편, 상기 폴프레임부(20)는 다수개로 나뉘어진 폴프레임(21)과, 상기 폴프레임(21)의 양측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폴프레임(21)을 연결하는 파이프형상의 폴연결구(22)로 이루어짐으로써, 스윙 연습을 마친 후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용이하게 이동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The pole frame part 20 includes a pole frame 21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e frames 21 and a pipe-shaped pole connector 22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pole frame 21 to connect the pole frames 21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separated and easily moved and stored after completing the swing exercises.

또한, 상기 거치부(10)의 상면에는 상기 폴프레임부(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폴삽입공(121)이 천공된 박스형상의 폴연결구(1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폴프레임부(20)를 상기 거치부(10)의 상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is provided with a box-shaped pole connection hole 12 in which a plurality of pole insertion holes 121 are formed so that the pole frame portion 20 is inserted and fixed. (20) can be firm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

이때, 상기 거치부(10)의 상부 일면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13)의 내측에는 상기 폴연결구(12)의 근접한 거리에서 고정지점을 부가하는 박스형상의 제2폴연결구(14)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폴프레임(21)을 2지점으로 고정시켜 외부 충격에 대비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fixing protrusion 13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and a fixing point is added to the in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13 at a close distance of the pole connector 12 By providing the second pole connection port 14 in a box shape, the pole frame 21 can be fixed at two points and fixed firmly against external impacts.

한편,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에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에는 유입되는 탁구공(B)의 상하위치가 구별되도록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 후방향으로 연장된 볼구분연장부(5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탁구공(B)이 폴프레임부(20)의 중앙으로 유입될 경우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탁구공(B)이 중력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속도를 가질 수 없게 되어 중앙으로 이동되는 탁구공(B)은 상기 볼구분연장부(50)의 상면으로 차단하여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탁구공(B)이 리턴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5 to 6, the pole fram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pole frame portion 20, a pole frame portion 20, The ball tongue hole B extending upward in the backward direction of the pawl hole 20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table tongue hole B flows into the center of the pawl frame portion 20, The ball tennis ball B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ball so that it can not be discharged at a speed enough to be discharged by gravity and is guided to be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being block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all type extending portion 50, B) can not be prevented from being returned.

또한,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 즉, 상기 볼구분연장부(50)의 상부에는 커튼형태의 볼감속막(61)이 형성된 감속커튼부(60)가 구비됨으로써, 타격된 탁구공(B)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타격자(S) 방향으로 배출되는 탁구공(B)의 속도를 감속시켜 탁구공(B)을 보다 정확하게 스윙할 수 있게 하여 스윙연습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A deceleration curtain 60 having a curtain-shaped ball reduction membrane 6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21, that i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segment extending portion 50, The player can swing the table tennis ball B more accurately by reducing the speed of the table tennis ball B discharged in the direction of the striker S so that the swing practic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do.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폴프레임(21)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형태의 로드스프링(70)이 거치됨으로써,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상기 차단막(31)을 평평하게 펼치기 위하여 한 쌍의 스프링안착구(71)를 양측 폴프레임(21)에 연결하고 상기 로드구(72)을 소정의 각도로 꺽어주어 상기 차단막(31)을 지속적으로 평평하게 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1, a load-type rod spring 70 is mounted between the pair of pole frames 21 so that the pair of pole frames 21 can be flexibly deformed by a pair of The spring seat 71 is connected to both the pole frames 21 and the rod opening 72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blocking film 31 can be continuously and flatly deployed.

또한, 상기 폴프레임(21)의 하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프레임(21)의 하단부에 대한 높이를 가변시키는 하단높이조절부(80)를 구비함으로써, 하부방향에서 리턴되는 탁구공(B)의 진행높이를 원하는 방향으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lower end of the pawl frame 21 is provided with a lower height adjuster 80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pawl frame 21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pawl frame 21, It is possible to vary the traveling height of the moving object B in a desired direction.

한편,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된 탁구공(B)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타격자(S)의 위치로 흘러들어 공급되는 볼디스펜서부(90)가 구비됨으로써, 스윙연습을 하는 타격자(S)가 리턴되는 탁구공(B)을 쫓아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윙연습만을 중점적으로 연습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S. 8 to 9, a ball dispenser unit (not shown), which flows into the position of the striker S when the striking table tennis ball B is moved upward, (9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riker (S) performing the swing practice from moving following the returned table tennis ball (B), so that only the swing practice can be practiced intensively.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탁구공 S : 타격자
H : 힌지 1 : 볼공급장치
10 : 거치부 11 : 골조프레임
12 : 폴연결구 121 : 폴삽입공
13 : 고정돌부 14 : 제2폴연결구
20 : 폴프레임부 21 : 폴프레임
411 : 연결공 22 : 폴연결구
30 : 차단막부 31 : 차단막
32 : 차단막연결부 40 : 조절프레임부
41 : 조절프레임 42 : 절첩구
50 : 볼구분연장부 51 : 볼구분프레임
52 : 볼차단막 53 : 볼구분각도변화구
60 : 감속커튼부 61 : 볼감속막
62 : 감속커튼연결구 70 : 로드스프링
71 : 스프링안착구 72 : 로드구
80 : 하단높이조절부 81 : 높이조절봉
82 : 높이조절안착공 90 : 볼디스펜서부
91 : 수용부 911 : 디스펜서연결공
912 : 측면프레임 913 : 수용막
914 : 공급부 92 : 배출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B: Table tennis ball S: Striker
H: Hinge 1: Ball feeder
10: mounting part 11: framing frame
12: Pole connection hole 121: Pole insertion hole
13: fixed protrusion 14: second pole connector
20: pole frame section 21: pole frame
411: connecting ball 22: pole connector
30: blocking film 31:
32: barrier membrane connection part 40: regulating frame part
41: Adjustable frame 42:
50: Ball division extension part 51: Ball division frame
52: a ball blocking film 53: a ball breaking angle changing zone
60: Deceleration curtain section 61: Ball deceleration film
62: Deceleration curtain connector 70: Rod spring
71: spring seat 72: rod
80: lower height adjusting portion 81: height adjusting rod
82: Height control opening 90: Ball dispenser part
91: accommodating portion 911: dispenser connecting hole
912: side frame 913: receiving membrane
914: Supply part 92:

Claims (8)

탁구공(B)에 대한 스윙연습을 하기 위하여 타격된 탁구공(B)을 타격자(S)의 위치로 재공급시키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1)에 있어서,
정해진 형상의 골조프레임(11)으로 이루어진 거치부(10)와;
상기 거치부(10)의 상부에 한 쌍이 안착되며 일방향으로 만곡된 봉형상의 폴프레임부(20)와;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사이에 타격된 탁구공(B)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천막형태로 연결된 차단막(31)과, 상기 차단막(31)의 양측면에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외측면에 덮혀진 원통형상의 차단막연결부(32)로 이루어진 차단막부(30)와;
상기 폴프레임부(2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만곡된 형상이 고정되도록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조절프레임(41)과, 상기 조절프레임(41)의 중심부에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만곡된 형상이 가변되도록 회전되는 힌지구조의 절첩구(42)로 이루어진 조절프레임부(40)로 구성되고;
상기 폴프레임부(20)는 다수개로 나뉘어진 폴프레임(21)과, 상기 폴프레임(21)의 양측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폴프레임(21)을 연결하는 파이프형상의 폴연결구(22)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부(10)의 상면에는 상기 폴프레임부(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폴삽입공(121)이 천공된 박스형상의 폴연결구(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A swing training ball feeding device (1) for a table tennis game, wherein a swinging table tennis ball (B) is re-fed to the position of the striker (S) for swing practice for the table tennis ball (B)
(10) comprising a framing frame (11) of a predetermined shape;
A rod-like pole frame portion 20 having a pair of seats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0 and curved in one direction;
A shielding film 31 connected to the pole frame 20 in a tent form so as to block the tennis ball B striking out between the pole frame 20 and the pole frame 20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film 31; A shielding film portion 30 made of a cylindrical shielding film connecting portion 32 cover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ielding film portion 30;
A control frame 4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le frame 20 and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ole frame 20 so as to fix the curved shape of the pole frame 20; (40) composed of a folding mouth (42) of a hinge structure rotated so that the curved shape of the frame portion (20) is variable;
The pole frame unit 20 includes a pole frame 21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le frames 21 and a plurality of pole frames 21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pole frame 21, ;
And a box-shaped pawl connection hole (12) in which a plurality of pawl insertion holes (121) are formed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pawl frame part (20)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10) Practice Ball Fee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에는 유입되는 탁구공(B)의 상하위치가 구별되도록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 후방향으로 연장된 볼구분연장부(50)가 구비되고;
상기 볼구분연장부(50)는 상기 폴삽입공(121)에 삽입되며 상기 폴프레임부(20)의 내측에서 일측방향으로 만곡된 한 쌍의 볼구분프레임(51)과; 상기 볼구분프레임(51)의 사이에 상기 탁구공(B)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평행하게 연결된 볼차단막(52)과, 상기 볼구분프레임(51)의 양측면에 상기 볼구분연장부(50)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조절프레임부(40)에 탈착 연결되는 볼구분각도변화구(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side the pole frame portion 20, a ball segment extending portion 50 extending inwardly inward of the pole frame portion 20 is provided so as to distinguish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table tennis ball B introduced therein;
The ball division extending portion 50 includes a pair of ball division frames 51 inserted into the pole insertion holes 121 and curved in one direction from the inside of the pole frame portion 20; A ball blocking membrane 52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ball segmenting frames 51 so that the table tennis ball B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53)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justing frame part (40) so that the angle of the swinging ball (50) is vari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타격된 탁구공(B)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배출되는 탁구공(B)의 속도를 감속시켜 용이하게 스윙연습되도록 하면에 커튼형태의 볼감속막(61)이 형성된 감속커튼부(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ole frame 21, when the struck table tennis ball B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speed of the table tennis ball B discharged is reduced and the swinging practice is facilitated, And a deceleration curtain (60) formed on the swinging curtain (6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폴프레임(21) 사이에는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상기 차단막(31)을 평평하게 펼쳐지도록 양측 폴프레임(21)의 일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스프링안착구(71)와, 상기 스프링안착구(71)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차단막(31)을 양측으로 가압하는 봉형상의 로드구(72)로 이루어진 로드스프링(7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spring receiving openings 71 seated on one side of both side pole frames 21 so as to spread the blocking film 31 flexibly deformed between the pair of pole frames 21, And a rod spring (70) consisting of a rod-shaped rod (72) for interconnecting the seat (71) and pressing the shield (31) to both sid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프레임(21)의 하단부에는 상기 폴프레임(21)의 하단부 높이가 가변되도록 힌지(H)로 연결된 높이조절봉(81)과, 상기 높이조절봉(81)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골조프레임(11)의 상면에 다수개 천공된 높이조절안착공(82)으로 이루어진 하단높이조절부(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ight adjustment rod 81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pole frame 21 by a hinge H so as to vary the height of the lower end of the pole frame 21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rod 81, And a lower height adjusting portion (80) made up of a plurality of height adjusting apertures (8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의 상부 일면에는 상기 조절프레임(41)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부(13)의 내측에는 상기 폴프레임(21)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폴프레임(21)을 삽입 고정하는 박스형상의 제2폴연결구(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protrusion 13 protruding upward to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a lower end of the adjusting frame 41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10, Shaped swinging practice ball feeding device for a table tennis game, characterized in that a box-shaped second pawl connection port (14)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pawl frame (21) is fixed so that the pawl (21) is firmly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에는 타격된 탁구공(B)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탁구공(B)을 수용하는 수용부(91)와, 상기 수용부(9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탁구공(B)을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하는 미끄럼틀형상의 배출부(92)로 이루어진 볼디스펜서부(9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21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91 for receiving the table tennis ball B when the battered table tennis ball B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And a ball dispenser unit (90) comprising a slider-shaped discharge unit (92) for discharging the table tennis ball (B)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91)는 상기 폴프레임(21)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천공된 한 쌍의 디스펜서연결공(911)과, 상기 디스펜서연결공(911)의 하부에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다른 고리형상의 측면프레임(912)과, 상기 측면프레임(912)의 외측면에 상기 탁구공(B)이 수용되도록 매쉬형태로 덮혀진 수용막(913)과, 상기 수용막(913)의 후면에 상기 탁구공(B)이 유입되도록 개방된 공급부(9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게임용 스윙연습 볼공급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ceptacle 91 includes a pair of dispenser connection holes 911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pole frame 21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911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dispenser connection hole 911, A receiving film 913 covered in a mesh form so as to receive the table tennis ball B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frame 912; And a supply unit (914) opened to allow the ball (B) to flow.
KR1020160042562A 2016-04-07 2016-04-07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KR201701152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62A KR20170115234A (en) 2016-04-07 2016-04-07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62A KR20170115234A (en) 2016-04-07 2016-04-07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234A true KR20170115234A (en) 2017-10-17

Family

ID=6029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562A KR20170115234A (en) 2016-04-07 2016-04-07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23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97B1 (en) * 2018-07-30 2020-01-15 한국기계연구원 Tennis training apparatus having integrated multi-slopes
KR20200127452A (en) * 2019-05-02 2020-11-11 한국기계연구원 Multidirectional tennis training apparatus with recognition function of effective hit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797B1 (en) * 2018-07-30 2020-01-15 한국기계연구원 Tennis training apparatus having integrated multi-slopes
KR20200127452A (en) * 2019-05-02 2020-11-11 한국기계연구원 Multidirectional tennis training apparatus with recognition function of effective hit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964B2 (en) Volleyball spiking training device
JP4087791B2 (en) Ball training equipment
JP5577247B2 (en) Multi-sport ball / disc return net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334821B1 (en) Tethered practice apparatus for a ball game
US5713805A (en) Baseball practice device
US10500465B1 (en) Multi-functional basketball cross-trai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WO1980001650A1 (en) Training apparatus for ball sports
EP3753609B1 (en) Golf practice net
KR20170115234A (en) Practice swinging the ball supply of table tennis game
EP1614452A1 (en) Target apparatus
US20040132558A1 (en) Multiple-plane or user-enclosing rebound surfaces for practicing soccer or other sports
US8827844B2 (en) Footballmaster
KR100849196B1 (en) Structure for golf training
KR200449519Y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swing of tennis
US20200171377A1 (en) Speed and agility game
KR20030082482A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US8956253B2 (en) Speed and trajectory modifying device for moving object
FI20160292A1 (en) Target goal
ES2269478T3 (en) BALL GAME DEVICE.
US20220161093A1 (en) Speed and Agility Game Platform
US20110201457A1 (en) Sports Stations
CN112399877B (en) Multi-purpose court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vering and supplying ball
US7134975B1 (en) Ball game apparatus
AU2011331897A1 (en) Sports training device
JP2004344611A (en) Ball stri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