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013A -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013A
KR20170115013A KR1020170122248A KR20170122248A KR20170115013A KR 20170115013 A KR20170115013 A KR 20170115013A KR 1020170122248 A KR1020170122248 A KR 1020170122248A KR 20170122248 A KR20170122248 A KR 20170122248A KR 20170115013 A KR20170115013 A KR 2017011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period
test data
condition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256B1 (ko
Inventor
음윤숙
위종석
이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7012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25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3Generating database or data structure, e.g. via user interfa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약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약 관리 에이전트를 테스트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계약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된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제1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와 상기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제공하여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계약 관련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증할 수 있다.

Description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OF TESTING CONTRACT,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계약 테스트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약 관련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증할 수 있는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는 상품을 적시에 만들어서 출시하기 위해 상품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상품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품에 대한 테스트는 감사인에 의해 작성된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써서 처리한 결과와 미리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를 비교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험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같은 종류의 사고를 당할 위험성이 있는 많은 사람이 미리 금전을 각출하여 공통준비재산을 형성하고, 사고를 당한 사람이 이것으로부터 재산적 급여를 받는 경제제도로, 신상품 판매 이후에 발생하는 유지 및 지급 등 미도래 업무 테스트 데이터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9085호는 기존의 사건 및 사고 발생 정보를 수집한 통계를 바탕으로 가입자의 실시간 동적 보험요율을 적용할 수 있는 실시간 동적 보험요율 관리 방법, 실시간 동적 보험요율 관리 시스템 및 보험요율 관리 서버를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각 가입자의 이동, 주로 방문하는 장소, 시간대별 장소 등 각 가입자의 생활 패턴에 따른 실시간 보험요율 적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1994호는 보험상품의 품질을 검증할 수 있는 보험상품 품질 검증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기술은 보험상품을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 시나리오 상세정보를 등록한 후 테스트 시나리오 상세정보에 따라 관리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보험상품에 대해 상품 기본정보와 상품 상세정보를 보험사 서버에서 액세스하여 비교 검증하거나 상품내역을 조회해 봄으로써, 신상품 및 개정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 검증을 자동 처리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908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81994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계약 관련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증할 수 있는 계약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의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계약 조건을 테스트할 수 있는 계약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계약 관련 이벤트에 따라 가상의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계약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계약 관련 데이터에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여 계약 관련 데이터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계약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계약 테스트 방법은 계약 관리 에이전트를 테스트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계약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된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제1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와 상기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제공하여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대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따른 서브 계약 조건 및 서브 계약 조건 요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과 연관된 고객의 생년월일 및 성별을 기초로 다건 계약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고객의 생년월일, 성별 및 계약 일자를 기초로 고객에 대한 고객 관리 연관자를 생성하여 상기 계약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납입 이벤트는 상기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제1 납입 이벤트 및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하는 제2 납입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납입 이벤트의 발생 시기에 따라 상기 계약에 대한 해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1 계약 관련 이벤트 및 상기 제2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납입 이벤트들, 상기 제1 및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들을 기초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기초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합성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의 이상 유무 검증을 위한 계약 검증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상기 계약 검증 쿼리를 제공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오류 식별 코드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오류 식별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계약 테스트 서버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아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할 때, 상기 방법은 계약 관리 에이전트를 테스트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계약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된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제1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와 상기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제공하여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계약 테스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계약 관리 에이전트를 테스트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계약 테스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된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기능, 제1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와 상기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제공하여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테스트 방법은 계약 관련 데이터의 이상 유무를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테스트 방법은 가상의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계약 조건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테스트 방법은 특정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계약 관련 이벤트에 따라 가상의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테스트 방법은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계약 관련 데이터에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여 계약 관련 데이터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테스트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에서 수행되는 계약 테스트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에서 수신하는 계약 유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약 테스트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계약 테스트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및 계약 테스트 서버(12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10)은 계약 테스트 서버(120)와 연결되어 계약 테스트 과정의 수행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Laptop),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계약 테스트 서버(120)에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전송할 수 있다.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계약 관리 에이전트를 테스트할 수 있다.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계약 관리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계약에 대한 정합성 및 오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단일 컴퓨팅 장치로 제한되지 않고 분산 처리 가능한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및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저장하는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보험 업무에 사용될 수 있다.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보험계약 라이프사이클 별로 테스트할 수 있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여 가상의 고객과 연관된 계약 조건, 유지 및 지급 업무를 적시에 테스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계약 테스트 서버(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계약 조건 수신부(210),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 계약 이상 체크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된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한다. 제1 기간은 특정 주기마다 고객으로부터 계약에 대한 계약금을 수신하는 기간에 해당한다. 제2 기간은 제1 기간 동안 고객에 의해 납입된 계약금을 기초로 계약이 유지되는 기간에 해당한다. 제1 기간은 제2 기간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기간보다 짧게 설정되고 제2 기간에 종속될 수 있다. 계약은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중 하나의 계약 유형에 포함될 수 있다.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대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수신할 수 있다.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은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합성을 체크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로,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기 전에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따른 서브 계약 조건 및 서브 계약 조건 요소를 수신할 수 있다. 신규 계약은 서브 계약 조건으로 고객 및 신계약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계약은 서브 계약 조건으로 계약상태 및 청구수납을 포함할 수 있다. 다건 계약은 서브 계약 조건으로 동일인의 다건예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규 계약은 고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본 정보(예를 들어, 주민번호, 계약자명, 유무선번호, 주소)를 설정하고 고객에 대한 기본 정보를 기초로 고객이 기 등록되어 있는지 체크한 후 기 등록된 기본 정보가 없으면 신규 고객으로 고객을 등록할 수 있다. 신규 계약은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기초로 고객에 대한 신계약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품 테이블의 키(Key) 정보(예를 들어, 상품기간, 상품기간구분코드, 납입기간, 납입기간구분코드, 나이, 성별 및 상품가입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고객에 대한 신계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계약은 청구수납 데이터 생성을 통해 과거부터 제1 기간 동안의 목표 회차(즉, 주기)만큼의 상품 납입 정보를 생성하여 과거부터 계약이 유지된 상태의 유지 계약을 생성하고 업무별로 필요한 계약 상태(예를 들어, 만기, 완납, 실효, 연체 및 부활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하여 계약 상태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유지 계약은 계약 일자가 과거인 경우 상품 납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지정된 목표 회차까지 계약에 대한 납입을 수행하여 청구수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건 계약은 한 고객에 다양한 계약을 연관시키는 것으로, 신규 계약을 생성한 후 기 등록된 고객 정보를 조회하여 기 등록된 고객 정보에 추가로 다른 계약을 생성할 수 있다.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계약과 연관된 고객의 생년월일 및 성별을 기초로 다건 계약 유무를 체크할 수 있다.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고객의 생년월일 및 성별을 기초로 생성된 고객 관리 연관자의 일부를 통해 기 등록된 고객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고객의 생년월일, 성별 및 계약 일자를 기초로 고객에 대한 고객 관리 연관자를 생성하여 계약과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관리 연관자는 생년월일일 기초로 앞자리를 생성하고 성별 및 계약 일자를 기초로 뒷자리를 생성할 수 있다. 고객 관리 연관자가 800106-2141118인 경우, 고객은 1980년 1월 6일 출생하고 2014년 11월 18일 계약을 체결한 여성에 해당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제1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와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납입 이벤트는 고객에 의한 계약금의 납입에 따라 발생되는 이벤트에 해당한다. 납입 이벤트는 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제1 납입 이벤트 및 주기 이외에 발생하는 제2 납입 이벤트를 포함한다. 계약 관련 이벤트는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에 따라 일정 계약금이 고객에게 제공될 때 발생되는 이벤트에 해당한다. 계약 관련 이벤트는 제1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1 계약 관련 이벤트 및 제2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제2 납입 이벤트의 발생 시기에 따라 계약에 대한 해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주기에 따라 제1 납입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계약에 대한 정보를 연체로 변경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계약에 대한 정보가 연체로 변경되고 제2 납입 이벤트가 계약 일자로부터 특정 기간(예를 들어, 3개월) 후에 발생하면 계약에 대한 정보를 실효로 변경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계약에 대한 정보가 실효로 변경된 일자로부터 특정 기간(예를 들어, 2개월) 후에 제2 납입 이벤트가 발생하면 계약에 대한 정보를 부활로 변경하고, 제2 납입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계약에 대한 정보가 실효일 때부터 부활일 때까지의 기간 동안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는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제1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1 계약 관련 이벤트 및 제2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를 결정하여 제1 및 제2 납입 이벤트들, 제1 및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들을 기초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별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하기의 수학식을 기초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CD_effect = {(Per1 X Pay1_count)/Con1_count} / {(Per1 X Pay2_count)/Con2_count}
여기에서, Per1는 제1 기간에 해당하고, Pay1_count는 제1 납입 이벤트의 개수에 해당하고, Con1_count는 제1 계약 관련 이벤트의 개수에 해당하고, Pay2_count는 제2 납입 이벤트의 개수에 해당하고, Con2_count는 제2 계약 관련 이벤트의 개수에 해당하고, 5.0이 넘으면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은 제1 기간이 60개월, 제1 납입 이벤트의 개수가 55, 제1 계약 관련 이벤트의 개수가 5, 제2 납입 이벤트의 개수가 5, 제2 계약 관련 이벤트의 개수가 2에 해당하면,
Figure pat00001
(즉, 6.6)로 산출되어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은 제1 기간이 60개월, 제1 납입 이벤트의 개수가 45, 제1 계약 관련 이벤트의 개수가 5, 제2 납입 이벤트의 개수가 15, 제2 계약 관련 이벤트의 개수가 2에 해당하면,
Figure pat00002
(즉, 1.2)로 산출되어 유효성이 없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기초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합성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에 대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 별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의 항목이 모두 생성되었는지 체크할 수 있다.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제공하여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의 이상 유무 검증을 위한 계약 검증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약 검증 쿼리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로 생성될 수 있다.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계약 검증 쿼리를 제공하여 계약에 대한 오류 식별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오류 식별 코드는 계약에 대한 오류 정보와 연관하여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에 대한 오류 식별 코드를 검출하면 오류 식별 코드를 분석하여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과 오류 식별 코드를 연관하여 오류 히스토리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오류가 발생한 계약에 대한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계약 테스트 서버(1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계약 조건 수신부(210),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 및 계약 이상 체크부(230) 간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과 버스(320)를 통하여 통신하는 프로세서(310)(또는 CPU)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0)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고 계약 조건 수신부(210),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 및 계약 이상 체크부(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10)는 메모리(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33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통해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메모리(330) 및 저장장치(340)를 포함하고, 메모리(330)는 롬(Read Only Memory, ROM)(331) 및 램(Random Access Memory, RAM)(33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메모리(330)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컴퓨터를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해당하고, 저장장치(340)는 영구적으로 컴퓨터를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해당한다. 메모리(330) 및 저장 장치(340) 중 적어도 하나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코드를 저장한다.
계약 테스트 서버(120)는 네트워크(130)와 통신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7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70)는 계약 테스트 서버(120)와 네트워크(130)간의 정보, 데이터 및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350)(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상품 바코드 스캔을 위한 바코드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포인팅 장치 등)를 통해 계약 테스트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350)는 계약 테스트 서버(120) 또는 네트워크(130)에 정보(예를 들어, 트랜잭션)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든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를 통해 계약 테스트 서버(120)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는 디스플레이 화면과 같은 시각적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하나의 영상 출력 장치 또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계약 테스트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35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360)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의 계약 테스트 서버(120)의 구성요소들은 도 3의 계약 테스트 서버(120)의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에서 수행되는 계약 테스트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된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한다(단계 S401).
일 실시예에서,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대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은 테스트데이터생성아이디, 테스트업무구분코드, 테스트유형코드, 계약건수, 생년월일, 성별코드, 계약일자, 상품코드, 상품가입금액, 납입기간구분코드, 납입기간구분값, 상품기간구분코드, 상품기간구분값, 연금개시나이, 상품직업코드, 이체일구분코드, 납입횟수, 추가납입주기코드, 추가납입료 및 자유납입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따른 서브 계약 조건 및 서브 계약 조건 요소를 수신할 수 있다.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제1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와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402).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220)는 제1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1 계약 관련 이벤트 및 제2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를 결정하여 제1 및 제2 납입 이벤트들, 제1 및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들을 기초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제공하여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한다(단계 S403).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의 이상 유무 검증을 위한 계약 검증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계약 이상 체크부(230)는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계약 검증 쿼리를 제공하여 계약에 대한 오류 식별 코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계약 테스트 서버에서 수신하는 계약 유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약 조건 수신부(210)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따른 서브 계약 조건 및 서브 계약 조건 요소를 수신할 수 있다.
신규 계약은 서브 계약 조건으로 고객 및 신계약을 포함하고, 서브 계약 조건 요소로 고객에 대응하는 생년월일, 성별 및 신계약에 대응하는 계약일자, 상품코드, 보험(상품)기간, 납입기간, 연금개시나이, 직업코드, 보험가입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계약은 서브 계약 조건으로 계약상태 및 청구수납을 포함하고, 서브 계약 조건 요소로 계약상태에 대응하는 만기, 완납, 실효, 연체, 부활 및 청구수납에 대응하는 이체일구분, 납입횟수, 추가납입주기·보험료, 자유납입주기·보험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다건 계약은 서브 계약 조건으로 동일인의 다건계약을 포함하고, 서브 계약 조건 요소로 동일인의 다건계약에 대응하는 다건 계약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계약 테스트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계약 테스트 서버
210: 계약 조건 수신부
220: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 생성부
230: 계약 이상 체크부
240: 제어부

Claims (9)

  1.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고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되는 계약을 테스트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에 의해 수행 되는 계약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되는 계약 라이프사이클 중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며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을 포함하는 계약 유형에 대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동안에 주기에 따라 또는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 및 상기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가상의 고객과 연관된 상기 계약의 계약 조건, 유지 및 지급 업무를 상기 계약 라이프사이클 별로 테스트하기 위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의 발생 시기에 따라 상기 계약에 대한 해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납입 이벤트나 상기 계약 관련 이벤트에 따라 만기, 완납, 실효, 연체 및 부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의되는 계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기초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합성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거래 유형별로 생성되는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정상이 아닌 오류 유형을 검증 조건으로 사전에 등록하고,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의 오류 여부 검증을 위한 계약 검증 쿼리를 생성하며,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상기 계약 검증 쿼리를 제공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오류 식별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정합성 및 오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 각각의 계약 유형에 따른 서브 계약 조건 및 서브 계약 조건 요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계약과 연관된 고객의 생년월일 및 성별을 기초로 다건 계약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는
    고객의 생년월일, 성별 및 계약 일자를 기초로 고객에 대한 고객 관리 연관자를 생성하여 상기 계약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기에 따라 발생되는 제1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1 계약 관련 이벤트 및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되는 제2 납입 이벤트에 따른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납입 이벤트들과 상기 제1 및 제2 계약 관련 이벤트들을 기초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오류 식별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
  8.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아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할 때, 상기 방법은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되는 계약을 테스트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계약 테스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되는 계약 라이프사이클 중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며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을 포함하는 계약 유형에 대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동안에 주기에 따라 또는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 및 상기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가상의 고객과 연관된 상기 계약의 계약 조건, 유지 및 지급 업무를 상기 계약 라이프사이클 별로 테스트하기 위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의 발생 시기에 따라 상기 계약에 대한 해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납입 이벤트나 상기 계약 관련 이벤트에 따라 만기, 완납, 실효, 연체 및 부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의되는 계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기초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합성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및
    거래 유형별로 생성되는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정상이 아닌 오류 유형을 검증 조건으로 사전에 등록하고,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의 오류 여부 검증을 위한 계약 검증 쿼리를 생성하며,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상기 계약 검증 쿼리를 제공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오류 식별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정합성 및 오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9.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되는 계약을 테스트하는 컴퓨터 수행 가능한 계약 테스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서 관리되는 계약 라이프사이클 중 제1 기간 동안 주기에 따라 고객으로부터 납입을 수신하고 제2 기간 동안 유지되는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을 수신하며 신규 계약, 유지 계약 및 다건 계약을 포함하는 계약 유형에 대한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제1 기간 동안에 주기에 따라 또는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 및 상기 제2 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계약 관련 이벤트를 가상적으로 생성하여 가상의 고객과 연관된 상기 계약의 계약 조건, 유지 및 지급 업무를 상기 계약 라이프사이클 별로 테스트하기 위한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주기 이외에 발생되는 납입 이벤트의 발생 시기에 따라 상기 계약에 대한 해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납입 이벤트나 상기 계약 관련 이벤트에 따라 만기, 완납, 실효, 연체 및 부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의되는 계약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테스트 데이터 생성 기준을 기초로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정합성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 및
    거래 유형별로 생성되는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에 대해 정상이 아닌 오류 유형을 검증 조건으로 사전에 등록하고, 상기 계약 조건 테스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약에 대한 계약 조건의 오류 여부 검증을 위한 계약 검증 쿼리를 생성하며, 상기 계약 관리 에이전트에 상기 계약 검증 쿼리를 제공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오류 식별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계약에 대한 정합성 및 오류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계약 테스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70122248A 2017-09-22 2017-09-22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851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48A KR101851256B1 (ko) 2017-09-22 2017-09-22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2248A KR101851256B1 (ko) 2017-09-22 2017-09-22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197A Division KR20160067603A (ko) 2014-12-04 2014-12-04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013A true KR20170115013A (ko) 2017-10-16
KR101851256B1 KR101851256B1 (ko) 2018-04-23

Family

ID=6029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248A KR101851256B1 (ko) 2017-09-22 2017-09-22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2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262A (ko) * 2020-10-05 2022-04-12 안상덕 금융기관 고객 금융거래 테스트 데이터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262A (ko) * 2020-10-05 2022-04-12 안상덕 금융기관 고객 금융거래 테스트 데이터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256B1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7304B2 (en) Account type detection for fraud risk
US111070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security utilizing user behavior and device identification
US10922761B2 (en) Payment card network data validation system
US11030622B2 (en) Card systems and methods
US10643180B2 (en) Fraud detection system automatic rule population engine
CN109727105B (zh) 差旅费自助核销处理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939200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formation related to payment card breaches
CA2830553C (en) Methods and systems for electronic commerce verification
US112504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fraud detection based on transactions at potentially compromised locations
US8949150B2 (en) Fraud detection system automatic rule manipulator
US115623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liability acceptance with payment card transactions
US20130282583A1 (en) Fraud detection system rule profile interaction
US116406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warnings to merchants for data breaches
US20200402064A1 (en) Data analysis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recurring payment programs
US110939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chargeback scoring for network transactions
US20110276475A1 (en) Payment transaction dispute resolution system
US9129321B2 (en) Fraud detection system audit capability
US20130144782A1 (en) Electronic invoice payment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US20140101050A1 (en) Do-not-recognize transaction handling
US20210012346A1 (en) Relation-based systems and methods for fraud detection and evaluation
KR101851256B1 (ko)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883212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weirdness of variables
US10943203B2 (en) Geographic region modification tool for database query enhancement
KR20160067603A (ko) 계약 테스트 방법, 이를 수행하는 계약 테스트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N113592571A (zh) 一种票据开具预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