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875A -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viewing device - Google Patents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view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875A
KR20170114875A KR1020160050394A KR20160050394A KR20170114875A KR 20170114875 A KR20170114875 A KR 20170114875A KR 1020160050394 A KR1020160050394 A KR 1020160050394A KR 20160050394 A KR20160050394 A KR 20160050394A KR 20170114875 A KR20170114875 A KR 2017011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device
stereoscopic
present
proj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경아
Original Assignee
(주)양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양유 filed Critical (주)양유
Publication of KR2017011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8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02Recording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0406Image plane or focused image holograms, i.e. an image of the object or holobject is formed on, in or across the recording pl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4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having refractive means, e.g. imaging elements between light guides as splitting, branching and/or combining devices, e.g. lenses,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2Handheld portable device, e.g. holographic camera, mobile holographic displ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7/00Mechanical components or mechanical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3H2227/05Support holding the holographic re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사면(예를 들면, 단면 또는 다면의 투명 또는 반투명 반사면)을 갖는 영상 투사부를 구조물(예를 들면, 뚜껑 구조물)의 내부에 형성해 놓고, 구조물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시켜, 영상 투사부를 통해 입체 홀로그램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사면을 갖는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영상 투사부가 수용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 투사부를 향하여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영상 투사부를 통하여 입체 홀로그램 영상의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in which an image projecting unit having a reflecting surface (for example,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flecting surface of a cross section or a multi-surface) Dimensional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capable of viewing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through an image projecting unit by placing the display device on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with the display device facing downward.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projection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projection unit having a reflective surfac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projection unit is accommodated,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positioned above the structure and projects an image toward the image projection unit, thereby enabling viewing of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through the image projection unit Device.

Description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viewing device}[0002]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viewing device [0003]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devices.

최근 3D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기술이 발전하여, 3D TV나 홀로그램 공연 같은 다양한 형태의 실감 영상을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영상을 좌안과 우안이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고려하여 제공되기도 하고, 특수안경을 통해 좌우안이 인식하는 영상을 달리하여 제공하는 것이 3D TV 같은 전자적 방식이다. 홀로그램 기술을 이용해 3D 효과를 제공하는 형태는 플로팅 이미지(floating image) 방식이 최근 상용화되어, 전면에 투사된 이미지가 배경의 이미지와 겹쳐져 보이도록 함으로써, 전면의 반사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간의 거리 차이를 통해 입체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Recently, technologies for providing 3D stereoscopic images have developed, and products or services that provide various types of realistic images such as 3D TVs and hologram performances have appeared. It is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viewing angl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d it is an electronic method such as 3D TV in which different images recognized by the right eye and the left eye are provided through special glasses. In the form of providing a 3D effect using hologram technology, a floating image method has recently been commercialized so that the image projected on the front surface overlaps with the image of the background, Providing a stereoscopic effect.

이러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개시된 상술한 정보는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뿐이며, 따라서 종래 기술을 구성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disclosed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include information not constituting the prior ar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의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즉, 본 발명은 반사면(예를 들면, 단면 또는 다면의 투명 또는 반투명 반사면)을 갖는 영상 투사부를 구조물(예를 들면, 뚜껑 구조물)의 내부에 형성해 놓고, 구조물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시켜, 영상 투사부를 통해 입체 홀로그램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with a simple structur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projection unit having a reflection surface (e.g.,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reflective surface in a cross section or a multifaceted surface) inside a structure (e.g., a lid structure) And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capable of viewing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through an image projecting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는 반사면을 갖는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영상 투사부가 수용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 투사부를 향하여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영상 투사부를 통하여 입체 홀로그램 영상의 감상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jecting unit having a reflection surfac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projection unit is accommodated,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positioned above the structure and projects an image toward the image projection unit, thereby enabling viewing of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through the image projection unit .

상기 영상 투사부는 단면, 양면,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 또는 다각뿔 형태일 수 있다.The image projecting unit may be in the form of a cross section, a double-sided surface, a triangular pyramid, a quadrangular pyramid, a pyramidal pyramid or a polygonal pyramid.

상기 영상 투사부는 평평한 상면과,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평평한 하면을 포함할 수 있고(여기서, 상면과 하면은 개방되어 있거나 막혀 있을 수 있음), 상기 반사면은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상면에 대하여 둔각, 상기 하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mage projecting unit may include a flat top surface and a flat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top surface, wherein the top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may be open or clogged, the reflecting surface is provided between the top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The reflecting surface may be formed at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and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상기 영상 투사부의 반사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image projecting unit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상기 구조물은 평평한 상면과, 상면의 반대인 평평한 하면과, 상기 상면과 하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The structure includes a flat top surface, a flat bottom surface opposite the top surface, and side surfaces form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top surface and bottom surface, and the structure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상기 구조물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상기 구조물의 하면에는 컵, 잔, 병, 원형, 사각, 다각 구조물 또는 다양한 구조물이 더 결합될 수 있다.A cup, a cup, a bottle, a round, a square, a polygonal structure, or various structures may be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반사면을 갖는 영상 투사부를 구조물의 내부에 형성해 놓고, 구조물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시켜, 영상 투사부를 통해 입체 홀로그램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of a simple structur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capable of viewing a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through an image projecting unit by placing an image projecting unit having a reflection surface inside a structure, Lt; / RTI >

일례로, 본 발명은 홍보, 판촉, 브랜드 프로모션 같은 이벤트에서 제공되는 용기(예를 들면, 잔, 병, 컵 등)의 상부에 상술한 영상 투사부를 갖는 구조물을 결합하고, 그 위에 디스플레이 기기를 얹어 이미지를 투사함으로써, 입체 홀로그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입체 홀로그램의 생동감 있는 영상을 소비자에게 제공해 높은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 structure having the above-described image projecting unit on top of a container (for example, glass, bottle, cup, etc.) provided in an event such as publicity, promotion, or brand promotion, By projecting an im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hologram effec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pect a high publicity effect by providing a lively image of various stereoscopic holograms to consumer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용기에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용기에 결합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가 용기에 결합된 후, 장치 위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가 용기에 결합된 후, 장치 위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위치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가 용기에 결합된 후, 장치 위에 디스플레이 기기가 위치된 후,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taine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taine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is placed on a device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ntain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display device is placed on the device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after the display apparatus is placed on the apparatus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In the following drawings,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connected "mean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the C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nd the A member and the B member are indirectly connected d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 and / or "comprising, " when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terchangeable with the said form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It is obvious that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하부"를 포괄하는 개념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related to space such as "beneath," "below," "lower," "above, But may be utilized for an easy understanding of other elements or features. Terms related to such a space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various process states or us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f an element or feature of the drawing is inverted, the element or feature described as "lower" or "below" will be "upper" or "above." Accordingly, "below" is a concept covering "upper" or "lower ".

또한, 본 발명은 플로팅 이미지 기술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플로팅 이미지 기술은 투사되는 면을 하나로 하는 경우의 전면 고정 시야 방식이 보편적이지만, 투사면을 세 개 또는 네 개로 하고, 이를 삼각뿔이나 사각뿔형태로 구성한 후, 상면(또는 바닥면)에서 각 면에 반사되어 비춰지도록 단면 또는 다면의 시점에서 보게 될 이미지를 각각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장면을 각 면에서 보는 시야마다 다르게 이미지를 보여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투명 다각형 뿔에 이미지를 투사하여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기술은, 입체적인 효과면에서는 전자적인 방식이나 플로팅 이미지 방식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지만, 고정된 위치에서 입체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방에서 입체적인 이미지를 보게 되어 생동감 있는 입체 효과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간편하여 간이 홀로그램 이미지 제공 형태로 선호될 수 있다. 투명 또는 불투명 반사면이 단면 또는 다면으로 형성되어 각 면마다 이미지를 투사하여 입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적용하면, 실제로 입체 이미지를 감상하고자 하는 구조물과 결합될 경우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홍보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loating image technique. Such a floating image technique is a universal front fixed viewing method when a single projected surface is used. However, when three or four projection surfaces are used and the projection surface is configured as a triangular or quadrangular pyramid (Or bottom surface) to be viewed from the viewpoint of the cross-section or the multi-view so as to be reflected on each surface, the image is display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view of the same scene on each surface. The technique of projecting an image on such a transparent polygonal horn to produce a stereoscopic effect is less effective than an electronic stereoscopic effect or a floating stereoscopic effect but does not provide a stereoscopic effect at a fixed position, Not only realize a lively stereoscopic effect, but also can be easily preferred in terms of providing a simple hologram image. When a transparent or opaque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or a multi-sided surface and the image can be projected on each surface to provide a stereoscopic effec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when the stereoscopic image is combined with a structure Therefore, we can expect high publicity effect at low cos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에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시키는 영상 투사부(110)와, 영상 투사부(110)가 수용되는 구조물(120)을 포함한다.1,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jecting unit 110 for projecting an image and a structure 120 in which an image projecting unit 110 is accommodated.

영상 투사부(110)는 반사면(113)을 가지며, 예를 들면, 단면, 양면,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 육각뿔, 칠각뿔, 팔각뿔 등의 다각뿔 형태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영상 투사부(110)는 대략 평평한 사각의 상면(111)과, 상면(111)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한 사각의 하면(112)을 포함하고, 상면(111)과 하면(112)의 사이에 4개의 반사면(113)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면(111)의 넓이가 하면(112)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반사면(113)은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특히, 상면(111)에 대하여 둔각으로, 하면(112)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면(112)과 반사면(113) 사이의 각도는 10° 내지 80°, 바람직하게 20° 내지 70°, 더욱 바람직하게 30° 내지 60°, 더 더욱 바람직하게 40° 내지 50°일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4개의 반사면(113)은 상부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기기(140)로부터 입사된 4개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반사시킴으로써, 입체 홀로그램 영상의 감상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has a reflection surface 113 and may be in the form of a polygonal pyramid such as a cross section, a two-sided surface, a triangular pyramid, a quadrangular pyramid, a pyramidal pyramid, a hexagonal pyramid, a pyramid pyramid or an octagonal pyramid. It is not.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includes a substantially planar upper face 111 and a substantially planar lower face 112 as an opposite face to the upper face 111. The upper face 111 and the lower face 112 The four reflecting surfaces 113 may be inclined. Here,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111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112. Therefore, the reflecting surface 113 can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trapezoidal shape, and in particular, at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11, and at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112. More specifically, the angle between the lower surface 112 and the reflecting surface 113 is in the range of 10 ° to 80 °, preferably 20 ° to 70 °, more preferably 30 ° to 60 °, still more preferably 40 ° To 50 [deg.]. Thus, the four reflective surfaces 113 reflect the four images incident from the upper display device 140 to the user, thereby enabling viewing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여기서, 상면(111) 및 하면(112)은 밀폐된 평평한 구조이거나, 또는 관통된 구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Here, the upper surface 111 and the lower surface 112 may be a closed flat structure or a through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이러한 반사면(113)은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일례로, 반사면(113)은 반사율이 대략 90% 이상인 거울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반사면(113)은 플라스틱에 코팅된 반사율이 대략 85% 이상인 반사 코팅층일 수 있다. 반사 코팅층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에 코팅(증착)된 제1이산화규소층, 제1이산화규소층 위에 코팅(증착)된 알루미늄층, 및 알루미늄층 위에 코팅(증착)된 제2이산화규소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사면(113)은 반사율이 대략 50% 정도인 필름이나 플라스틱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면(113)의 투명도나 재질은 반사 대상 기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ng surface 113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In one example, the reflecting surface 113 may be a mirror having a reflectance of about 90% or more. As another example, the reflective surface 113 may be a reflective coating layer having a reflectance of about 85% or more coated on the plastic. The reflective coating layer may comprise, for example, a first silicon dioxide layer coated (deposited) on plastic, an aluminum layer coated (deposited) on the first silicon dioxide layer, and a second silicon dioxide layer coated (deposited) on the aluminum layer Lt; / RTI > Further, the reflecting surface 113 may be a film or plastic having a reflectance of about 50%. However, the transparency and the material of the reflection surface 113 may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reflection target device or applic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구조물(120)은 영상 투사부(110)를 수용하며, 대략 밀폐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구조물(120)은 대략 평평한 상면(121)과, 상면(121)의 반대면으로서 대략 평평한 하면(122)과, 상면(121)과 하면(12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원형의 측면(123)을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 투사부(110)는 이러한 상면(121), 하면(122) 및 측면(123)이 이루는 대략 내부의 중앙에 위치된다.The structure 120 receives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and may be in a substantially closed configuration. In one example, the structure 120 includes a generally planar top surface 121, a generally planar bottom surface 122 as the opposite surface to the top surface 121, and a circular side surface (not shown) along the perimeter of the top surface 121 and bottom surface 122 123). Therefore, the image projecting unit 11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ubstantially inner portion formed by the top surface 121, the bottom surface 122, and the side surface 123.

여기서, 영상 투사부(110)의 상면(111)과 구조물(120)의 상면(121)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영상 투사부(110)의 하면(112)과 구조물(120)의 하면(122)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면, 영상 투사부(110)의 상면(111)이 구조물(120)의 상면(1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영상 투사부(110)의 하면(112)이 구조물(120)의 하면(12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111 of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and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structure 120 may be coplanar and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120 122 may be the same.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structure 120 and the lower surface 112 of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120. [ (Not shown).

이러한 구조물(12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으나, 이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투사부(110)와 구조물(120) 사이에는 비어 있는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한 재료가 채워질 수 있다.Such a structure 120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urther, an empty space or a transparent material may be filled between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and the structure 120.

더불어, 구조물(120)의 상면(121)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40)를 고정하는 고정부(124)(예를 들면, 고정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는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a fixing part 124 (for example, a fix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140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121 of the structure 120, and may not be formed if necessary.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구조물(1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영상 투사부(110)를 향하여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영상 투사부(110)를 통하여 입체 홀로그램 영상의 감상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display device 140 is positioned above the structure 120 to project an image toward the image projecting unit 110, so that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jecting unit 110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를 용기(130)에 결합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를 용기(130)에 결합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a state in which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30 is shown. Referring to FIG. 3, a state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30 is show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20)의 하면(122)에는 컵, 잔, 병, 원형, 사각, 다각 구조물 또는 다양한 구조물과 같은 용기(1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구조물(120)의 하면(122)의 직경과 용기(130)의 상단 직경은 동일하거나 대략 유사할 수 있다. 더불어, 구조물(120)은, 예를 들면, 용기(130)를 덮는 뚜껑일 수 있다. 즉, 구조물(120)은 용기(130) 내의 물이나 음료수, 커피 등이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뚜껑의 역할과, 사용자에게 입체 홀로그램의 영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2 and 3, the bottom surface 122 of the structure 120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130 such as a cup, a cup, a bottle, a circle, a square, a polygonal structure, or various structures. Of course, for this purpose, the diameter of the lower surface 122 of the structure 120 and the upper diameter of the container 130 may be the same or substantially similar. In addition, the structure 120 may be, for example, a lid that covers the container 130. That is, the structure 120 can serve as a lid for preventing water, beverage, coffee, etc. in the container 130 from flowing to the outside, and to provide the user with an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더불어, 용기(130)는 일정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높이에서 입체 홀로그램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ontainer 130 has a constant height,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appreciate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at a proper height.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가 용기(130)에 결합된 후, 장치 위에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위치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가 용기(130)에 결합된 후, 장치 위에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위치된 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re is shown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40 is positioned on the device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30. Referring to FIG. 5, there is shown a state after the display device 140 is placed on the device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30.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투사부(110) 및 구조물(12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위치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기기(140)의 표시면이 영상 투사부(110) 및 구조물(120)을 향하여 위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기기(140)로부터의 영상이 하부의 영상 투사부(110)에 제공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기기(140)는 구조물(120)에 형성된 고정부(124)에 고정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쉽게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구조물(1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display device 14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and the structure 120. Particularly, since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40 is positioned toward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and the structure 120, an image from the display device 140 is provided to the lower image projection unit 110. At this time, the display device 140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124 formed on the structure 120, so that the display device 14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tructure 120 by the external force.

또한, 디스플레이 기기(140)로부터 표시되는 영상의 갯수는 반사면(113)의 갯수와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면(113)의 갯수가 4개이면, 이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 기기(140)로부터 표시되는 영상 역시 4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투사부(110)를 통하여 4개의 영상을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입체 홀로그램 영상을 감상하게 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images displayed from the display device 140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reflective surfaces 113.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reflection surfaces 113 is four, the number of images displayed from the display device 140 may correspond to four. 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four images through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thereby viewing the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가 용기(130)에 결합된 후, 장치 위에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위치된 후, 디스플레이 기기(140)의 동작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after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130, after the display device 140 is placed on the device, An operation of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operation is show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뒤집힌 채로 영상 투사부(110) 및 구조물(120)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기기(140)가 소정 영상을 영상 투사부(110)의 반사면(113)에 입사시킴으로써, 영상 투사부(110)의 반사면(113)이 디스플레이 기기(140)로부터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반사하여 전송한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기기(140)의 영상을 직접 보는 것이 아니라, 영상 투사부(110)에 구비된 반사면(113)을 통하여 감상하게 된다. 이때, 반사면(113)이 다수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을 감상하게 된다.6, when the display device 140 is positioned on the image projecting part 110 and the structure 120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40 turned upside down, the display device 140 displays a predetermined image on the half of the image projecting part 110 The reflection surface 113 of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reflects the image from the display device 140 to the user and transmits the reflection image to the user. That is, the user does not see the image of the display device 140 directly but appreciates it through the reflection surface 113 provided in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At this time, since a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113 are provided, the user can enjoy stereoscopic hologram images.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반사면(113)을 다수개 구비한 후, 이에 동일, 다른, 또는 약간의 위상차가 있는 영상을 제공하여, 다양한 시점에서 영상이 보이도록 한다. 따라서, 동일한 영상이 보는 시야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reflection surfaces 113, and then provides images having the same, different, or slight phase differences therebetween, so that images can be seen at various viewpoints. Therefore, the same image may differ slightly from view to view.

이러한 반사면(113)을 갖는 영상 투사부(110)에 입체적인 효과를 내는 기술은, 실질적으로 전자적인 방식에 비해 효과가 떨어지지만, 고정된 위치에서 입체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방향에서 입체적인 영상을 제공하여 생동감 있는 입체 효과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이 간편하여 간이 홀로그램 영상을 제공하는데 적절하다.The technique of providing the stereoscopic effect to the image projection unit 110 having the reflection surface 113 is less effective than the electronic stereoscopic effect but does not provide a stereoscopic effect at a fix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ively stereoscopic effect by providing an image, and is also suitable for providing a simple hologram image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100)는 실제로 입체 이미지를 감상하고자 하는 구조물(120) 또는 용기(130) 등과 결합될 경우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높은 홍보 효과를 기대할 수다.Therefore, when the stereoscopic image view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combined with the structure 120 or the container 130 to which stereoscopic images are to be viewed, the effect can be maximized, I can expect.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110; 영상 투사부 111; 상면
112; 하면 113; 반사면
120; 구조물 121; 상면
122; 하면 123; 측면
124; 고정부 130; 용기
140; 디스플레이 기기
100;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vie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 An image projecting unit 111; Top surface
112; 113; Reflective surface
120; Structure 121; Top surface
122; When 123; side
124; A fixing portion 130; Vessel
140; Display device

Claims (7)

반사면을 갖는 영상 투사부; 및
상기 영상 투사부가 수용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기기가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영상 투사부를 향하여 영상을 투사함으로써, 상기 영상 투사부를 통하여 입체 홀로그램 영상의 감상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An image projecting unit having a reflecting surfac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image projection unit is accommodated,
Wherein the display device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ructure and projects an image toward the image projecting portion so that the stereoscopic hologram image can be viewed through the image projec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부는 단면, 양면,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 또는 다각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projection unit is in the form of a cross section, a double-sided surface, a triangular pyramid, a quadrangular pyramid, a pyramidal pyramid or a polygonal pyram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부는 평평한 상면과,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평평한 하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반사면은 상기 상면과 하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상면에 대하여 둔각, 상기 하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projecting unit may include a flat top surface and a flat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top surface,
Wherein the reflective surfa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nd the reflective surface is formed at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and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투사부의 반사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image projecting unit i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평평한 상면과, 상면의 반대인 평평한 하면과, 상기 상면과 하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includes a flat top surface, a flat bottom surface opposite to the top surface, and side surfac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p surface and bottom surface,
Wherein the structure is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를 고정하는 고정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display device is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하면에는 컵, 잔, 병, 원형, 사각 또는 다각 구조물이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홀로그램 영상 감상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cup, a cup, a bottle, a round, a square or a polygonal structure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ructure.
KR1020160050394A 2016-04-06 2016-04-25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viewing device KR201701148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340 2016-04-06
KR20160042340 2016-04-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75A true KR20170114875A (en) 2017-10-16

Family

ID=6029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394A KR20170114875A (en) 2016-04-06 2016-04-25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view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487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637B2 (en) Micro mirror array,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icro mirror array, and floa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micro mirror array
JP5498853B2 (en) Display device
US7537345B2 (en) Volumetric liquid crystal display for rendering a three-dimensional image
JP6987855B2 (en) Floating image formation system
US20110002038A1 (en) Three-dimensional image formation device
EP2736815B1 (en) Package
JP2010509138A (en) Container with reflective surface for creating a visual display with multiple effects
CN108181715A (en) For the system being imaged in the air
KR20170106238A (en) Container structure capable of watching three-dimensional hologram image by reflecting display screen of the video device
EP2811333A1 (en) Holographic display extension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115998B2 (en) Exhibition equipment
KR101848353B1 (en) Hologram projecting apparatus for smart phone
US9910409B2 (en) Exhibition device and video picture exhibition method
KR101571413B1 (en) Reflection type hologram apparatus
KR20160000214U (en) Structure of foldable ticket capable viewing 3D holographic image
US20050000128A1 (en) Box body having a grating
JP5808777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program
KR20170114875A (en)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image viewing device
WO2018111939A1 (en) Display screen configured to display viewing position-dependent images
JP3185126U (en) Polarizing sheet
JP2000270990A (en) Imaging cup for decoration and image projection by using the same
JP6174093B2 (en) Video display device
WO2011014092A1 (en) Method and vessel for producing a stereoscopic and/or lenticular image in a liquid
KR101708667B1 (en) Micro Mirror Arr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loating Display including such a Micro Mirror Array
KR20180112362A (en) A cup with hologram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