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862A -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 Google Patents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862A
KR20170114862A KR1020160042517A KR20160042517A KR20170114862A KR 20170114862 A KR20170114862 A KR 20170114862A KR 1020160042517 A KR1020160042517 A KR 1020160042517A KR 20160042517 A KR20160042517 A KR 20160042517A KR 20170114862 A KR20170114862 A KR 2017011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ase
coupled
mov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540B1 (ko
Inventor
공대성
Original Assignee
공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대성 filed Critical 공대성
Priority to KR102016004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5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LED모듈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배치하여 광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내부에 안정기 및 수신기 등의 제어부재를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이동가능 하여 광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개폐판을 통해 내부를 손쉽게 개폐하여 내부에 수납된 제어부재 및 발광부 의 교체,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리하도록 이루어진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PREFABRICATED STREET LAMP CAPABLE OF POSITION MOVEMENT OF THE CONTROL SYSTEM AND LED MODULE}
본 발명은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LED모듈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결합하여 광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배치하며, 안정기 및 수신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리한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 인도 등에 설치하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부재와 이를 제어 및 안전하게 작동하도록 안정기와 수신기 및 제어기 등의 구성을 통해 필요한 장소를 밝혀주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로등은 밤에 발광할 수 있도록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 다양한 광원을 가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저전력소비, 높은수명 및 밝은발광 효과를 가지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형광등, 백열등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등은 LED 모듈로 교체가 되고 있으나, LED의 발열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열판이 결합되어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파손 및 손상된 LED를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22786호 "엘이디 가로등"이 제시된 바 있다.
종래에 제시된 기술은 방열부재 및 렌즈부로 이루어진 LED를 모듈로 제작하며, 수직프레임과 결합프레임에 복수개의 모듈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교체 및 배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로등에 설치된 LED를 작동 및 사고를 예방하는 안정기 및 수신기 등은 가로등의 지주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LED를 순차적으로 결합이 용이하나, 선택적인 위치에 형성하기 불편하고 LED 및 방열판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환경에 의해 파손 및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로등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단에 결합된 LED와 하단에 구성된 안정기 및 수신기 등의 회로를 각각 확인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유지보수시 시간 및 인력이 많이 소비되고 문제점을 확인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조사되는 광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용이하게 교체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안정기 및 수신기 등의 제어부재를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며, 오작동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관리가 편리한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결합된 구성을 보호하며, 외부와 차단하여 장기간 사용 가능하고 이물질 등에 의한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타측 및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와, 내부하단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제 1레일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레일로 형성된 이중레일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제 1레일에 결합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LED모듈과 후면에 방열판이 형성된 발광부; 상기 발광부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레일에 결합하는 고정판; 상기 제 2레일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개폐판;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레일에 삽입되는 돌출판이 형성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상단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3레일과, 상기 제 3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어부재가 결합되는 이동판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더 포함되되,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제 3레일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판이 고정되는 결합부재가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 1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회로판과, 상기 회로판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 결합된 LED모듈과, 상기 회로판의 후면에 결합하여 상기 LED모듈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식히는 방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고정판, 발광부 및 개폐판을 고정하는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제 1통풍부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통풍부를 통해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 이중레일 및 제 3레일을 통해 슬라이딩 결합하여 광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개폐판을 통해 편리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내부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 발광부를 제어 및 관리하는 안정기 및 수신기 등의 제어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여 오작동 발생시 용이하게 유지보수하여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 결합된 구성을 보호하며, 외부와 차단하여 장기간 사용 가능하고 이물질 등에 의한 파손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수단을 통해 제어부재를 케이스 내부에서 편리하게 이동하여, 발광부의 위치에 따라 내부 배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통풍부 및 제 2통풍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통풍부 및 제 2통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판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은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LED모듈을 외부로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결합하여 광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배치하며, 안정기 및 수신기를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설치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가 편리한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도 및 도로 등의 외부에 설치된 지주에 결합하며, 내부에서 슬라이딩 결합방식을 통해 선택적으로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케이스(10), 발광부(20), 고정판(30), 개폐판(40) 및 커버(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11)와, 타측 및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12)가 형성되며, 내부하단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제 1레일(13a)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레일(13b)로 형성된 이중레일(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1)는 지면에 설치된 지주(100)에 끼움결합,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방법을 통해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중레일(13)은 상기 개방부(12)의 하부면 끝단에 형성되며 외측방향에 제 1레일(13a)과 내측방향에 제 2레일(13b)이 이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또는 측면에는 내부에 전원공급 및 제어를 위한 케이블 등이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판(30), 발광부(20) 및 개폐판(4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6a)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홈(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16)에 상기 고정나사(16a)를 결합하여 상기 제 1레일 및 제 2레일에 결합된 상기 커버(50), 상기 고정판(30) 및 상기 개폐판(40)을 압박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나사(16a)와 더불어 상기 고정홈(16)에 결합하여 상기 커버(50), 상기 고정판(30) 및 상기 개폐판(40)을 압박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변경 가능하다.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제 1레일(13a)에 결합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LED모듈(21)과 후면에 방열판(2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제 1레일(1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부가 결합된 회로판(23)과, 상기 회로판(23)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 결합된 LED모듈(21)과, 상기 회로판(23)의 후면에 결합하여 상기 LED모듈(21)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식히는 방열판(22)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회로판(23)에는 외부전원이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커넥터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제 1레일(13a)내에서 위치를 이동하여 LED모듈(21)을 통해 발산되는 광원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발광부(2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레일(13a)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발광부(2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이물질 및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30)에는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통풍이 이루어지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망(32)이 형성된 제 2통풍부(3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통풍부(31)는 장홈, 홈 등의 형상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방열판(22)의 열기를 식힐 수 있다.
상기 개폐판(40)은 상기 제 2레일(13b)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40)은 외부로 노출되는 양측면에 개방홈(41)을 형성하여 개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개방홈(41)을 통해 상기 개폐판(4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내부를 개폐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상기 제 1레일(13a)에 삽입되는 돌출판(51)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50)는 상기 발광부(20), 고정판(30) 및 개폐판(40)을 결합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돌출판(51)이 상기 제 1레일(13a)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서 나사결합을 통해 압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상단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 3레일(14)이 형성되며, 상기 제 3레일(1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어부재(80)가 결합되는 이동판(15)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재(80)는 상기 발광부(20)를 작동하기 위한 안정기 및 수신기 등으로, 전원공급과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상기 이동판(15)에 상기 발광부(20)와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재(80)를 결합시킨 후 상기 제 3레일(14)을 따라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재(80)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상기 개폐판(40)을 통해 용이하게 정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15)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7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수단(70)은 상기 제 3레일(14)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판(15)이 고정되는 결합부재(72)가 형성된 이동부재(71)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71)를 회전시키는 작동바(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71)는 상기 제 3레일(14)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도록 와이어, 끈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72)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72)는 상기 이동판(15)을 양측면에서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며, 제 3레일(14)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73)는 상기 결합부재(72)가 일부분 매립하는 매립홈(74a)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회전축(74)과, 상기 회전축(74)의 끝단에 손잡이(7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작동바(7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72)가 일부분 매립되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재(71)는 양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 3레일(14) 중 하나 이상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상기 이동부재(71)가 원활한 이동을 위해 상기 제 3레일(14)의 끝단에 회전축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71)는 상기 결합부재(7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볼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할 수 있도록 작동바(73)가 형성하는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71)를 통해 상기 이동판(15)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바(73)를 회전시켜 상기 이동판(15)을 상기 제 3레일(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제 1통풍부(17)와,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통풍부(17)를 통해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18)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통풍부(17)는 상기 케이스(10)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장홈 또는 홈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8)는 상기 제 1통풍부(17)를 수용하여,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치상태 및 개폐판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에 상기 발광부(20), 상기 고정판(30), 상기 개폐판(40)을 결합한 후 상기 커버(50)를 통해 고정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 및 상기 발광부(20)를 제어하는 안정기 및 제어기 등의 제어부재(80)가 상기 이동판(15)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후 상기 발광부(20)와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1)를 통해 상기 지주(100)에 설치한다.
이후 사용 중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개폐판(40)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나사(16a)를 제거한 수 상기 개폐판(40)을 개방하여 내부 구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상기 커버(50)를 제거하여 손쉽게 상기 발광부(20)를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상기 발광부(20)와 상기 제어부재(80)를 수용하여 오작동 및 문제점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30)을 고정하는 상기 고정나사(16a)를 제거하여 상기 개폐판(40) 및 상기 고정판(30)을 개별적으로 각각 이동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케이스(10) 내부를 확인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15)은 상기 이동수단(70)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이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바(73)를 좌/우 회전하여 상기 이동부재(71)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72)을 통해 상기 이동판(15)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이동부재(7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판(15)을 상기 제 3레일(14)의 범위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을 개방한 후 상기 작동바를 통해 상기 이동판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용이하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케이스 11: 결합부
12: 개방부 13: 이중레일
13a: 제 1레일 13b: 제 2레일
14: 제 3레일 15: 이동판
16: 고정홈 16a: 고정나사
17: 제 1통풍부 18: 덮개부
19: 삽입홈 20: 발광부
21: LED모듈 22: 방열핀
23: 회로판 30: 고정판
31: 제 2통풍부 32: 차단망
40: 개폐판 41: 개방홈
50: 커버 51: 돌출판
60: 이동판 70: 이송부
71: 이동부재 72: 결합부재
73: 작동바 74: 회전축
74a: 매립홈 75: 손잡이
80: 제어부재 100: 지주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지주에 결합되는 결합부(11)와 타측 및 하부가 개방된 개방부(12)와, 내부하단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는 제 1레일(13a)과 내측에 위치하는 제 2레일(13b)로 형성된 이중레일(13)로 이루어진 케이스(10);
    상기 제 1레일(13a)에 결합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LED모듈(21)과 후면에 방열판(22)이 형성된 발광부(20);
    상기 발광부(2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레일(13a)에 결합하는 고정판(30);
    상기 제 2레일(13b)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개폐판(40);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레일에 삽입되는 돌출판(51)이 형성된 커버(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상단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 3레일(14)과,
    상기 제 3레일(1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어부재(80)가 결합되는 이동판(15)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판(15)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70)이 더 포함되되,
    상기 이동수단(70)은,
    상기 제 3레일(14)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동판(15)이 고정되는 결합부재(72)가 형성된 이동부재(71)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71)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바(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0)는,
    상기 제 1레일(13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회로판(23)과,
    상기 회로판(23)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수개 결합된 LED모듈(21)과,
    상기 회로판(23)의 후면에 결합하여 상기 LED모듈(21)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식히는 방열판(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고정판(30), 발광부(20) 및 개폐판(4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16a)가 결합되는 고정홈(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6. 제 1항에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는, 외부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형성된 제 1통풍부(17)와,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통풍부(17)를 통해 이물질 및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1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KR1020160042517A 2016-04-06 2016-04-06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KR101800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7A KR101800540B1 (ko) 2016-04-06 2016-04-06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7A KR101800540B1 (ko) 2016-04-06 2016-04-06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62A true KR20170114862A (ko) 2017-10-16
KR101800540B1 KR101800540B1 (ko) 2017-11-22

Family

ID=6029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517A KR101800540B1 (ko) 2016-04-06 2016-04-06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5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499A1 (ko) * 2018-04-17 2019-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0046919A1 (en) * 2018-08-27 2020-03-05 Current Lighting Solutions, Llc Apparatus for mounting light sources in light fixture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102275402B1 (ko) * 2021-04-06 2021-07-08 곽순이 암 일체형 led 가로 등기구
CN116447532A (zh) * 2023-06-20 2023-07-18 深圳市旺坤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多模组球场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014B1 (ko) * 2022-07-19 2023-07-27 주식회사 양화조명 슬라이딩 방식 조명등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5940B (zh) 2008-10-21 2011-12-28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灯具
KR101115549B1 (ko) 2011-10-21 2012-03-06 김종천 조명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
KR101301508B1 (ko) 2013-02-18 2013-09-04 주식회사 한양반도체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499A1 (ko) * 2018-04-17 2019-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308856B2 (en) 2018-04-17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dular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display performance
WO2020046919A1 (en) * 2018-08-27 2020-03-05 Current Lighting Solutions, Llc Apparatus for mounting light sources in light fixture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US11555601B2 (en) 2018-08-27 2023-01-17 Current Lighting Solutions, Llc Apparatus for mounting light sources in light fixtures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KR102275402B1 (ko) * 2021-04-06 2021-07-08 곽순이 암 일체형 led 가로 등기구
CN116447532A (zh) * 2023-06-20 2023-07-18 深圳市旺坤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多模组球场灯
CN116447532B (zh) * 2023-06-20 2023-08-18 深圳市旺坤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多模组球场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540B1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540B1 (ko) 제어계통 및 led 모듈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조명기기
US8783900B2 (en) LED replacement lamp and a method of replacing preexisting luminaires with LED lighting assemblies
KR100948820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KR101428440B1 (ko) 가로등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56976B1 (ko) 촬영용 조명기능이 일체로 구비된 강의실 설치용 led 조명기구
KR101798494B1 (ko) 발광다이오드 터널등
JP2011523170A (ja) Ledを用いた照明灯
KR101673518B1 (ko) 엘이디모듈의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KR100892650B1 (ko) 열 배출 기능이 구비된 엘이디 가로등
KR10108689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가로등
US20090175025A1 (en) Permanently installed light emitting elements for a barrier operator
KR100968260B1 (ko)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0983954B1 (ko)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실외 조명장치
KR101228926B1 (ko) 엘이디 보안등의 방열구조체
KR100984768B1 (ko) 조명각 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가로등
KR200453298Y1 (ko) 엘이디용 가로등 헤드
KR102016136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기구의 조립구조
KR100937764B1 (ko) 엘이디 투광등 케이스
KR20160143305A (ko) 가로등
KR100934707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10096737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등기구의 방열장치
KR200482689Y1 (ko) 야외용 등기구
KR101810818B1 (ko) 개폐가 용이한 분리모듈형 led 터널등기구
CN219036564U (zh) 一种便于组装的轨道灯
ES2715878T3 (es) Campana extractora de humos con elemento de extracción y unidad de iluminació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