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475A -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3475A
KR20170113475A KR1020170045418A KR20170045418A KR20170113475A KR 20170113475 A KR20170113475 A KR 20170113475A KR 1020170045418 A KR1020170045418 A KR 1020170045418A KR 20170045418 A KR20170045418 A KR 20170045418A KR 20170113475 A KR20170113475 A KR 20170113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psychological
teacher
test
emo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현수
Original Assignee
장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수 filed Critical 장현수
Priority to KR1020170045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3475A/en
Publication of KR20170113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4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 자신의 심리상태는 물론 아이의 양육자 그리고 아이들을 장시간 보육하는 교사들의 심리상태를 검사하고, 이들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활용하는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회원가입단계, 심리검사단계 및 심리검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를 수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examine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caregiver and the child caregivers for a long time, as well as the child's own psychological state,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psychological state,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state Introduce child emotional control methods using associations. The child emotional management method performs a membership-related step, a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and a psychological examination result association analysis step.

Description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attitude and childcare teacher emotion.

본 발명은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동이 그린 그림을 통해 얻은 아동의 심리상태,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주 양육자인 부모의 심리상태 및 보육교사가 그린 그림을 통해 얻은 교사의 심리상태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아동의 교육에 반영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in particular, a child's psychological state obtained through a picture drawn by a child, a psychological state of a parent who is a primary caregiver obtain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사회가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가족의 구성과 기능이 약해지고, 따라서 가족 구성원 중 하나인 아동의 정서적 및 심리적 불안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불안을 해소할 만한 수단이 없다면 결국 청소년 문제로 이어져 사회문제로 확대될 것이다. 이에 따라 아동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의 관심이 확산 되고 관련기관을 통한 전문교육이 활성화되고 있으나, 단순히 내용 전달에 기반을 둔 방법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효과적이 못하다. As the society develops rapidly,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the family weakens and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nxiety of children, one of the family members, is increasing rapidly. However, if there is no means to overcome such anxiety, it will eventually lead to youth problems and expand into social problems. As a result, the interest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children is spreading and professional education through related organizations is promoted. However, it is not effective because it is based on contents delivery.

아동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아동이 아직은 자신의 의사를 언어로서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미흡하고, 억압된 심리의 표현에 미흡하며, 미성숙한 발달단계에 의한 또래 간 및 가족 간 상호소통의 미흡하기 때문이며, 이외에도 부모로부터 아동에게 향하는 일방적인 의사소통, 보호자 또는 교육자와 아동 상호 간의 이해 부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다양한 심리상담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상담자와 직접 대면을 통하여 상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심리가 불안한 아동은 심리상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The reason why the child has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his / her own opinion is that the child is not yet capable of accurately communicating his or her own opinion in the language, is inadequate in the expression of oppressed psychology, In addition, there is one-sided communication from parents to the child, lack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guardian or the educator and the child. For the above reasons, various psychological counsel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psychological counseling has not been performed properly for children who are in a state of psychological distress because counseling i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counseling.

일본공개특허 특개2000-110490호(2009.5.21 공개)에서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족 마음의 건강 진단 관리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상기 발명에서는 복수의 문항을 가지는 심리검사를 제공하고 마음건강상태 판정과 지원처리수단을 제공하도록 한 것으로, 심리검사를 통해 가족구성원의 정신질환을 조기에 발견, 예방, 이해를 도와 개인 스트레스 상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발명은 심리검사의 복수 문항 중 일부 질문 항목 군에 가정환경이나 부모와 자식 관계 등을 포함토록 하여 이로부터 가족관계의 유대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는 지원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인데, 아동의 다양한 심리상태를 구분하기 어렵고, 글을 모르거나 표현이 서툰 아동에 대해서는 심리검사를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0-110490 (published on May 21, 2009) proposes a health diagnosis management system for the family mind using the Internet. In the above invention, a psychological examination having a plurality of questions is provided, and a mental health status determination and support processing means are provided. By psychological examination, the mental disorder of a family member is detected early, So that it can be improved. This invention aims to include the family environ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etc. in some question items among the multiple items of the psychological test, to grasp the degree of the family relationship and to provide support contents corresponding thereto.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psychological state,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psychological examination for children who do not understand or express their opinions.

아직 말이나 글로 정확한 의사표현이 어려운 유아기 아이들은 그림으로서 자신의 마음이나 상황을 표현하게 되므로 유아기 아이들의 마음은 그림으로 알 수 볼 수 있다. 기존의 검사들은 언어를 매개로 하는 검사인데 반해 그림검사법은 비언어적인 것으로 투사법에 의한 심리검사는 여러 가지 규제나 자아방어(Ego-Defence)가 없는 상황에서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욕구와 태도를 알 수 있다. 그림검사가 인물상을 기제로 하는 이유는 인간의 초기부터 친숙해진 것을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아동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적용시킬 수 있으며, 보다 더 깊이 있는 무의식적 심리현상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며, 검사를 시행할 때 피험자에게 일어나는 저항력이 비교적 적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미술심리검사의 투사적 그림은 언어로 표현하려고 하지 않는 것과 언어로 표현되지 않은 성격의 단면을 포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림으로 현재 자신의 마음을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다. Infant children who are not yet able to express their own words or words accurately express their minds or situations as a picture, so children's minds in infancy can be seen through pictures. The existing tests are language-based examinations, whereas the screening test is non-verbal. The psychological tests by the projection method are based on the psychological needs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in their daily lives in the absence of various regulations or ego-defenses . The reason why the picture examination is based on the figure image is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e familiar from the beginning of the human being in a non-verbal manner from the child to the adult and to express a deeper unconscious psychological phenomenon, This is because the resistance to the subject is relatively low. As such, the projective picture of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can present the mind of the present with a picture because it is possible not to express it in language and to capture a section of personality which is not expressed in language.

유아의 성장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아동 자신의 심리상태는 물론 아이의 양육자 그리고 아이들을 장시간 보육하는 교사들의 심리상태도 중요한 판단 수단이 되므로, 아동, 양육자 및 교사의 검사 및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growth environment of the infan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as well as the caregiver of the child and caregivers of the children for a long time are also important judging means, A program is requir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동 자신의 심리상태는 물론 아이의 양육자 그리고 아이들을 장시간 보육하는 교사들의 심리상태를 검사하고, 이들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활용하는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sychological condition of a child, a caregiver of a child, Child care attitude and child care teacher emo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회원가입단계, 심리검사단계 및 심리검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회원가입단계는 개인 또는 단체가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동의 절차를 거쳐 회원으로 가입하도록 한다. 상기 심리검사단계에서는 아이, 부모 및 교사가 심리검사의 대상이 되는 그림 및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제공한 질문서의 의사표시를 한 답변서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제출하고,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는 제출된 그림 및 상기 답변서로부터 아이의 심리상태, 부모의 심리상태 및 교사의 심리상태를 정량화한다. 상기 심리검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에서는 상기 심리검사단계에서 정량화된 자료를 이용하여, 아동의 심리상태, 부모의 심리상태 및 교사의 심리상태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membership enrollment step, a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and a correlation analysis step according to a psychological examination result. In the subscription step,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accesses a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provides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and subscribes to the child through the consent process of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In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a child, a parent and a teacher submit a response to the child's emotional management server in which a picture to be subjected to a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a questionnaire of a questionnaire provided by the child's emotional management server are submitted to the child's emotional management server, Quantifies the child's psychological state, the parent's psychological state, and the teacher's psychological state from the submitted picture and the answer sheet. As a result of the psychological 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step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arents, 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teacher using the quantified data at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age.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활용하면, Using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부모의 입장에서는 부모 스스로 양육유형을 돌아보고 깨닫게 하며,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는데 필요한 정서적 안정과 에너지를 북돋는 계기가 되고, 부모의 역할을 인지하게 되며, 양육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 행복한 육아를 누릴 수 있으며, Parents are encouraged to look at parental types of parental care, to realize the emotional stability and energy needed to nurture and educate their children, to recognize the role of parents, to reduce the stress of parenting, And,

교사의 입장에서는 본인의 정서적 안정을 통해 유아들의 안전과 즐거운 생활을 누릴 수 있으며, 교사와 학부모 간의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 교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점과 장점을 본인 스스로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여 결국 사명감을 가지고 업무에 임할 수 있게 하고, In terms of teachers, I can enjoy the safety and joyful life of the infant through my emotional stability. It i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trust between the teacher and the parents. It is a time that I can grasp the strengths and advantages of the teacher himself To provide a sense of mission to work in the end,

마지막으로 아동의 입장에서는 말이나 글로 할 수 없는 자신의 의사를 그림으로써 표시하여,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최적화를 이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nally, the chil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play his / her own intention that can not be spoken or written, leading to optimization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im / hersel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핵심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수행하는 아동정서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아동의 미술심리검사의 검사항목 및 검사이유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부모의 양육태도검사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부모에게 제시되는 검사항목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교사의 정서검사 중 하나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항목 및 채점 기준을 나타낸다.
도 7은 교사의 정서검사 중 다른 하나인 교사 생활화 검사의 채점기준을 나타낸다.
도 8은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와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와 교사의 정서검사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다.
FIG. 1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attitude, and childcare teacher emotion which constitute the core idea of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mbodiment of a child emotion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a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test item and the reason of the examination of the art psychological test of the child.
FIG. 4 shows an example of a parent's psychological state that can be grasped from a parental attitude test.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inspection items presented to the parents.
FIG. 6 shows the items and the scoring criteria of the human figure test in the rain, which is one of the teacher's emotional tests.
FIG. 7 shows the scoring criteria of the teacher life-style test, which is another one of the teacher's emotional tests.
FIG. 8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psychological test of the child and the parental attitude test.
Figure 9 show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rt psychological test of the child and the emotional test of the teacher.
Fig. 10 shows a processing procedure of a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provided for explain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본 발명의 핵심 아이디어는 아동(Child)이 양육되는 환경(Environment: 사람의 감정 사물에 대한 관점 등에 영향을 주는 환경)과 주 양육자(Fosterer)의 성향이 아동의 심리에 미치는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아동의 정서와 인성의 관리에 도입하자는 것으로, 미술심리검사의 방법인 투사검사를 활용한 아동의 불안과 이상심리상태 파악, 주 양육자의 양육태도검사에 의한 양육자의 심리상태, 그리고 아동의 양육과 관련된 주변요소 즉 교사정서검사에 의한 교사의 심리상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제안한다. The cor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child is raised (environment) and the tendency of the main caregiver (fosterer) to the child's psych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xiety and abnormal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using projection test, which is a method of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aregiver by the examination of the parenting attitude of the child caregi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s emotional state and teacher' s emotional state is analy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핵심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나타낸다. FIG. 1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attitude, and childcare teacher emotion which constitute the core idea of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아동심리, 부모의 양육태도 및 보육교사정서의 연관관계를 이용한 아동정서 관리방법(이하,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아동이 그린 그림을 통해 얻은 아동의 심리상태(110),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주 양육자인 부모의 심리상태(120) 및 보육교사가 그린 그림을 통해 얻은 교사의 심리상태(130)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이를 아동의 정서를 관리하는데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a child's emotional management metho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ild's emotional management metho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al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psychological state (120) and the teacher 's psychological state (130) obtained through the picture drawn by the childcare teacher is analyzed and used for managing the child' s emotion.

상술한 3가지 심리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The three psychological states mentioned above are import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유아(아동)의 심리상태는 성장기를 거쳐 성인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유아 심리상태는 그 사람의 인격과 인성에 영향을 주어 인간관계와 사회성 및 자신의 삶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친다. 유아기의 정서적 안정은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하는 자양분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가정과 사회 나아가서는 국가의 경쟁력을 신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Since the psychological state of a child (child) affects the adult through the growth period, the infant psychological state affects the personality and personality of the child, and has an overall effect on human relations, sociality, and his / her life. The emotional stability of infancy is important because it can nurture a healthy growth for the child, and can lead to a strengthening of the nation's competitiveness in the home and society.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이의 특성과 성격, 아이 자신의 미래관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를 통해, 부모의 성향 및 기질을 파악하고, 부모로서의 역할과 아이와의 상호작용을 터득하도록 하여야 한다. It is a fact that everyone knows that parenting style has a big influence on the character and personality of the child and the future of the child. Through the tests that can confirm the parental attitud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tendency and temperament of the parents and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ents and their interaction with the child.

아이들의 마음과 정서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자라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정 안에서의 돌봄도 중요하지만 보육 및 교육환경이 되는 어린이집, 유치원 및 학교에서 교사들의 역할도 중요하다. 교사들은 장시간 영유아들과 상호작용하며 영유아의 정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보육 및 유아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와 관련된 사건들이 사회적으로 공분을 야기함에 따라 아이들의 부모는 물론 교사의 사기도 저하되고 있는데, 교사정서의 검사를 통해 교사와 아이, 교사와 부모 사이의 연관성 및 교사 자신의 문제를 아이의 정서함양에 적용하여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In-home care is also important to ensure that children's minds and emotions grow in a stable state, but the role of teachers in day care centers, kindergartens and schools is also important. Teachers interact with infants for a long time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 emotions. In recent years, child abuse and child abuse cases have been linked to societal coexistence, so the morale of their parents as well as their teachers has been reduced. It is natural to apply relevance and the teachers' own problems to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을 수행하는 아동정서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2 shows an embodiment of a child emotion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a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아동정서 관리시스템(200)은 아동정서 관리서버(210), 아동의 그림입력수단(220),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입력수단(230) 및 교사의 정서검사 입력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미술심리상담사가 아동에게 직접 방문하여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는 것에 도움을 준 후, 완성된 그림을 수령하는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아동의 그림입력수단(220)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2,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ystem 200 includes a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210, a child's picture input means 220, a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check input means 230 and a teacher's emotional test input means 240 ). When a professional art educated psychologist visits a child and helps children draw a picture, then the child's picture input means 220 would not be needed if a method of receiving the completed picture is used.

아동의 그림입력수단(220)은 아동이 직접 그린 그림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아동정서 관리서버(210)에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그림은 도화지에 그린 것 이외에도 터치스크린 기능이 있는 컴퓨터 모니터에서 그린 그림도 포함한다. 아직 말이나 글로 정확한 의사표현이 어려운 유아기 아이들은 그림으로써 자신의 마음이나 상황을 표현하게 되므로,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통해 유아기 아이들의 마음을 유추할 수 있다. The picture input means 220 of the child allows the child to submit the picture drawn by the child to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210 either online or offline. In addition to the drawings on the drawing paper, the drawings also include drawings drawn on a computer monitor with a touch screen function. In early childhood,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or words accurately express their own minds or situations by drawing, so children can express the minds of infants through pictures drawn by children.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입력수단(230)은 아동정서 관리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설문지에 주 양육자인 부모가 표시한 후 이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아동정서 관리서버(210)에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설문지에는 부모(어머니)가 평소에 아이를 대하는 양육태도에 관한 질문이 기재되어 있고, 이에 대해 해당하는 사항을 체크(Check) 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있다. 자세한 설문지의 내용은 후술한다. The parental parenting attitude check input means 230 allows the parent who is the main caregiver to display the questionnaire provided by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ystem 200 and then submit it to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210 on-line or off-line. The questionnaire contains questions about parenting attitudes that parents (mothers) usually treat children, and they are designed to check the relevant items. Details of the questionnaire will be described later.

교사의 정서검사 입력수단(240)은 교사가 직접 그린 그림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아동정서 관리시스템(200)에 제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eacher's emotion test input means 240 allows the teacher to submit a picture drawn by the teacher to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ystem 200 on-line or off-line.

도 3은 아동의 미술심리검사의 검사항목 및 검사이유의 예를 나타낸다. Fig. 3 shows an example of the test item and the reason of the examination of the art psychological test of the child.

도 3을 참조하면, 아동이 그린 그림으로부터 전체적 평가(도 3a), 형식적 평가(도 3b & 도 3c 일부) 및 내용적 평가(도 3c)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child performs a holistic evaluation (FIG. 3A), a formal evaluation (FIGS. 3B and 3C), and a content evaluation (FIG.

전체적 평가로는 그림의 전체적 인상, 조화, 구조, 주제에 따른 이해도 및 발달에 따른 묘사력 등 총 5가지의 항목을 평가한다. 평가되는 5가지 항목에는 각각 4점, 4점, 4점, 6점 및 6점이 할당되어 있으며, 해당 항목에서의 정도에 따라 세분화된 점수도 할당되어 있다. The overall evaluation evaluates five items: overall impression of the picture, harmony, structure,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theme, and depic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The five items to be evaluated are assigned four points, four points, four points, six points, and six points, respectively, and subdivided points are assig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corresponding item.

형식적 평가로는, 검사 시의 태도와 소요시간, 그림을 그린 순서, 그림의 크기, 그림의 위치, 필압, 스트로크(선), 지우기, 대칭성, 방향, 세부묘사, 왜곡과 생략, 절단, 그림자와 음영 및 색상의 선택 등 총 14가지의 항목을 평가한다. 평가되는 14가지 항목에도 각각 일정한 점수가 배당되어 있고, 해당 항목에서의 정도에 따라 세분화된 점수도 할당되어 있다. The formal evaluation includes the attitude and time required during the examination, the order in which the pictures are drawn, the size of the pictures, the positions of the pictures, the pressure, the strokes, the clear, the symmetry, the direction, the details, the distortions and omissions, Shading, and color selection. In each of the 14 items evaluated, a certain score is assigned to each item, and a subdivided scor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item.

내용적 평가로는 그림에 대한 스토리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검사평가의 특성상 주제(스토리)가 주어진 상태에서 실시하므로 이들에 대해서는 배점을 하지 않을 것을 제안한다. As a content evaluation, a story about a picture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hat a score is not given to them because a theme (story) is given on the basis of the nature of the test evaluation.

따라서, 상술한 3가지 평가항목은 총 20개가 되지만, 내용적 평가를 제외하면, 19개 평가항목을 이용하여 아동의 심리상태를 정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us, although the total of the three evaluation items described above is 20, except for the content evalua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19 evaluation items are used to def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검사 시 바른 태도로 검사에 임하였는가 및 검사 시간은 어느 정도를 소요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자료인 검사 시의 태도와 검사에 소요된 시간으로부터 아동의 집중력과 성향, 심리적 갈등 및 발달 측면을 파악할 수 있다. 검사 시의 태도와 소요시간은 나이별로 구분하여, 만 3세는 15분 내외, 만 4세는 20분 내외 5세는 30분 내외의 시간 검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상시간 내에 검사를 완료한 경우에는 6점, 정상보다 현저히 짧은 시간 안에 검사를 완료하거나 현저히 지체한 경우에는 각각 3점을 배정한다. The attitude of the test and the time spent in the test, which are data to judge the extent of the 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child's concentration, disposition, psychological conflict, and developmental aspects. The attitude and the time required for the test are classified by age, and it is desirable to perform a time test of about 15 minutes for 3 year old children, 20 minutes for 4 year old, and 30 minutes for 5 year old. 6 points if the test is completed within the normal time, 3 points if the test is completed within a significantly shorter time than normal, or if it is significantly delayed.

그림을 그린 순서검사는, 그림을 그린 순서에 따라 그 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피검자(아동)의 심리적 비중과 정서적 거리감을 알아볼 수 있는 것으로, 4세 또는 5세의 아이들의 그림에서는 가족 간의 정서적 친밀감과 같은 심리적인 비중을 파악할 수 있다. 자기 자신 혹은 어머니의 모습을 먼저 그릴 때 및 어머니를 제외한 주 양육자(예를 들면 할머니)를 그릴 때에는 각각 6점, 주 양육자를 제외한 제3자를 그릴 때에는 3점을 배점한다. In order to check the order of drawing pictures, the psychological weight and emotional distance of the subject (child) with respect to the subject can b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the pictures are drawn. In the pictures of children aged 4 or 5, emotional intimacy The same psychological weight can be grasped. When drawing the figure of oneself or mother first, and when drawing the main caregiver except mother (for example, grandmother), 6 points are scored respectively, and when the third person except the main caregiver is drawn, 3 points are given.

그려진 위치 검사는, 그림을 그리는 위치 즉 도화지의 상단, 중앙, 하단,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곳에 그림이 치우쳤는가를 통해, 현재 피검자(아동)가 가지고 있는 우울, 불안, 회향성, 내향성 및 안정감과 같은 심리적 경향이나 성향, 병증의 증세 및 사회성 등과 같은 피검자의 자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용지의 중앙에 그릴 때에는 10점, 용지의 왼쪽에 그릴 때에는 5점, 용지의 왼쪽 귀퉁이에 그릴 때에는 3점, 용지의 오른쪽에 그릴 때에는 7점, 용지의 오른쪽 귀퉁이에 그릴 때에는 5점, 용지의 상부에 그릴 때에는 5점, 용지의 상부가 잘진 그림을 그릴 때에는 3점, 용지의 하부에 그릴 때에는 5점, 그리고 용지의 하부가 잘진 그림을 그릴 때에는 3점을 각각 배정한다. The painted position check shows that depression, anxiety, turnover, introversion, and sense of security of the subject (child) of the present subject (child) through the position of the picture, that is, the top, center, bottom, left, Such as psychological tendencies or inclinations, symptoms of sickness, and sociality. 10 at the center of the paper, 5 at the left of the paper, 3 at the left corner of the paper, 7 at the right of the paper, 5 at the right corner of the paper, 5 points when drawing on paper, 3 points when drawing a bold figure, 5 points when drawing on the bottom of the paper, and 3 points when drawing a bold figure on the bottom of the paper.

필압과 선의 성질 검사는, 또렷하고 명확한 선을 구사하는지, 가는 선을 구사하는지, 아니면 여리고 흐릿한 필압(그림을 그릴 때 연필을 잡는 힘의 크기)을 구사하는지에 따라 피검자의 에너지 수준과 성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필압이 강할 때에는 10점, 약할 때에는 5점, 강약의 변화가 있을 때에는 8점, 그리고 선이 약하고 불연속적인 스케치 풍으로 사용할 때에는 3점을 배정한다. The test of the pressure of the line and the quality of the line determines the energy level and personality of the examinee depending on whether they use a clear, clear line, a thin line, or a blurred pressure (the amount of force to hold a pencil when drawing a picture) . 10 points for strong pressure, 5 points for weak, 8 points for change in strength, and 3 points for weak and discontinuous sketch.

선택한 색상 검사는, 피검자가 그림을 그릴 때 주로 사용한 색채를 분류하여 피검자의 정서지능을 파악한다. 나이가 어릴수록 다양한 색채를 구사하는 것이 어렵다. 정서적 다양성이 있거나 감성이 풍부할수록 다양한 색상을 구사하며, 현재 자신이 처해 있는 정서적 환경에 따라 색상을 선택하여 그림을 그린다는 점을 활용한다. 선택한 색상이 1~2개이면 4점, 3~4개이면 7점, 그리고 5개 이상이면 10점을 배정한다. The selected color test identifi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ubject by classifying the colors used by the subject when drawing the picture.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difficult it is to use various colors. The more emotional diversity or emotional abundance is, the more various colors are used, and the fact that they choose colors according to the current emotional environment makes use of the fact that they draw pictures. 4 points for 1 to 2 colors, 7 points for 3 to 4 colors, and 10 points for 5 or more colors.

주제에 따른 이해도 검사는, 검사자가 하는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여 피검사자가 이를 그림으로 옮기는 것으로 주제에 따른 이해도 즉 피검자의 지능과 성향, 성격 및 장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주제에 따른 이해도가 상이면 6점, 중이면 4점, 그리고 하이면 2점을 배정한다. Understanding the subject understanding test can understand the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subject, that is, the intelligence, disposition, personality, and disorder of the subject by listening and understanding the story of the examinee and transferring it to the picture by the test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topic, 6 points, 4 points in middle, and 2 points in height are assigned.

묘사력 검사는, 피검자의 인지/지능, 피검자의 뇌와 손의 협응 능력을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아동은 발달 단계에 따라 묘사력이 다르게 전개가 되며, 연령에 맞는 묘사력을 구사하는지, 그에 미치지 못하는지, 또는 그 이상의 묘사력을 구사하는지에 따라, 피검자의 인지/지능을 파악할 수 있다. 묘사력이 상이면 6점, 중이면 4점, 그리고 하이면 2점을 배정한다. The descriptive test makes it possible to grasp the subject's cognition /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of the subject's brain and hands to cooperate. The child develops his / her depiction power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and can grasp the perception / intelligence of the subject according to whether he / she is able to express his or her age-appropriate, non-existent, or above- If the descriptive power is higher, 6 points are assigned, 4 points are in middle, and 2 points are higher.

부모에게 제시되는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지는 부모양육태도검사란, 자녀(아동) 자신이 부모에 대해 표하는 요구, 자녀의 미래상에 대한 부모의 희망, 자녀의 양육환경 및 사회문화 등이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쳐서 자녀를 대하는 부모의 심리적인 상태를 검사하는 것으로, 부모의 양육방식과 혼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The parenting attitude test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presented to the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child's) demands on the parent, the parent's hope for the future of the child, the parenting environment and social culture of the child. It examines the psychological state of parents who deal with their children and sometimes uses them in combination with parents' parenting methods.

도 4는 부모의 양육태도검사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부모의 심리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FIG. 4 shows an example of a parent's psychological state that can be grasped from a parental attitude test.

도 4를 참조하면, 부모가 제출한 설문지로부터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및 비 일관성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information on support expression, rational explanation, achievement pressure, interference, punishment, supervision, overexposure, and inconsistency can b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submitted by the parents.

이 검사과정은, This inspection process,

- 부모 스스로 양육유형을 돌아보아 깨닫게 하고, - Parents themselves to look at the type of parenting,

-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는데 필요한 정서적 안정과 에너지를 북돋는 계기를 마련하며, - Encourage emotional stability and energy to nurture and educate children,

- 자녀 양육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습득하도록 하고, - To acquire useful information about childrearing,

- 부모의 역할, 부모의 지지 및 양육방법을 알고 자녀와 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며, - To know the role of parents, support and parenting methods and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 아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육아 방법에 대해 이해도를 높이고, -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raise their understanding of how to raise children,

-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고 행복한 육아에 도움을 받으며, - Reduce parenting stress and help with happy parenting,

- 건강한 자녀를 키울 수 있는 정보를 얻도록 한다. - Get information to raise healthy children.

이하에서는 각 검사항목에 대해서 설명한다. Each inspection item will be described below.

1.지지표현 1. Support expression

자녀에게 애정을 많이 보이는 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이다.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애정표현을 많이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점수가 낮을수록 애정표현을 자제하거나 적게 하는 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지지표현의 평가 점수가 높으면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예를 들어 상위 5% 이내와 같이 상당히 높은 점수는 애정적인 양육방식의 경향이 정도 이상으로 강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자녀의 울음이나 고집에도 자주 굴복하게 되어서 자녀가 충동적이거나 공격적인 성향이 될 가능성도 있다는 평가를 받게 된다. 여기서 '애정적인 양육방식'이라는 표현은 많은 관심과 사랑을 가지고 양육에 임한다는 의미이다. It is an area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affection for children. The higher the score, the more expressions of affection. The lower the score, the more likely it is to refrain from expressing affection. A high score of supportive express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ld's sociality, but a fairly high score, such as within the top 5%, means that the tendency of affectionate parenting is stronger, And the child is likely to become impulsive or aggressive. Here, the expression 'affectionate parenting' means that we have a lot of care and love and care for our children.

2. 합리적 설명 2. Rational explanations

자녀의 잘못을 꾸중할 때 자녀의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게끔 설명하는 노력의 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이다. 합리적 설명의 평가 점수가 높을 경우는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하위 10% 이하와 같이 낮은 평가 점수를 받으면 부모가 설정한 규율을 일방적으로 강요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자녀는 새로운 환경에 두려움을 많이 느끼게 될 수 있으며, 힘 있는 사람이나 자신에게 잘해 주는 사람에게 잘 보이려는 성향이 될 수 있다. It is the area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effort to explain the child's misunderstanding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from the child's perspective. A high score on a rational explan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 child's sociality, and a low score, such as less than 10%, indicate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unilaterally compelling the discipline set by the parent. Then your child can feel a lot of fear in the new environment and tend to look good to a strong person or someone who is good to them.

3. 성취 압력 3. Achievement pressure

부모가 자녀에게 사회적 성공을 강하게 요구하는 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이다. 약간의 성취 압력은 지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녀의 나이가 증가할수록 점차 줄여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능이 높은 자녀인 경우는 부모의 압력에 별 문제없이 적응할 수 있겠지만, 인지능력이 부모의 성취 압력에 부합되지 못할 경우는 스트레스에 취약하여 쉽게 초조해질 수도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It is an area that assesses the degree to which parents strongly demand children's social success. Some achievement pressure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llectual development, but it is desirable to gradually decrease as the child's age increases. Children with high intelligence may be able to adjust to parental pressure without difficulty, but if cognitive abilities fail to meet the parental pressure to achieve, they may be vulnerable to stress and may easily become irritable.

4. 간섭 4. Interference

부모가 자녀의 사생활을 잘 인정하지 않으려는 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이다. 평가 점수가 높을수록 자녀의 자율성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직된 성격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부모의 간섭이 대개 만 6세 이하의 어린 나이에는 어느 정도 인지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초등학교까지 부모의 간섭이 지속 된다면 깊이 있는 사고 습관을 갖기 어렵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는 쉽게 포기하게 될 수도 있음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이다. It is the area where the parents do not want to acknowledge the privacy of their children. The higher the score, the less likely it is to have a rigid personality because it does not allow the child's autonomy. Parental intervention can usually have a positive impact on development at a young age of six or under, but if parental intervention continues until elementary school, it is difficult to have a deep habit of thinking, It is an evaluation item that can judg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5. 처벌 5. Punishment

부모가 자녀에게 가하는 신체적 처벌이나 심리적 위협을 평가하는 영역이다. 우리나라의 부모들은 대개 다른 나라 부모보다도 자녀에 대한 애정이나 기대가 높아서 처벌이 다소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처벌은 분명 필요악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처벌을 가할 때에는 일관성을 잘 유지하고, 나아가 자녀가 처벌의 이유를 분명히 이해하고 깨닫게 한 다음 적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백분위 평가 점수가 90% 이상에 속하는 부모는 자녀도 공격성을 배우거나 목적 없는 수동적인 사람으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t is the area that assesses the physical punishment or psychological threat that parents give to their children. Parents in Korea were found to be somewhat less likely to be punished because their affection and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Since punishment can be thought of as a necessary evil, it is best to maintain consistency when punishment is applied, and then make it clear that the reason for punishment is clearly understood and applied by the child. Parents with a percentile score of more than 90% may determine that their children are also likely to learn aggression or turn them into passive people without a purpose.

6. 감독 6. Director

자녀의 일상 스케줄을 파악하고 있는 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이다. 부모의 감독이 적당한 경우는 행동규범을 잘 습득하고 지적인 호기심을 가지게 할 수도 있지만 연령 증가에 맞추어서 자율성의 폭을 조금씩 허용하는 지혜를 보여야만 바람직한 사회성을 습득해 나갈 수 있다. 백분위 점수가 90% 이상이 되는 상위 10%에 속하는 경우는 자녀의 자율성 발달을 방해할 위험도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자율성 발달은 지속적인 성장의 원동력이기 때문에 집중적인 학업과 자유시간의 안배를 잘해야 할 것이다. It is the area that evaluates the extent to which the child's daily schedule is grasped. If parents' supervision is appropriate, they may well acquire behavioral norms and have intelligent curiosity, but they must acquire wisdom to allow their autonomy to grow in proportion to their age. If you are in the top 10% of the percentile score of 90% or more, you may find that there is a risk of hindering your child's autonomy development. Because autonomy development is the driving force of continuous growth, it should focus on intensive study and free time.

7. 과잉기대 7. Excessive expectation

암묵적인 기대 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으로, 암묵적 기대는 부모의 기대 수준에 자녀가 따라오지 못한다고 느끼기는 하지만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게 절제된 부모들의 양육방식인데, 아주 어릴 때는 약간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자녀가 나이 들면서 부모의 마음을 읽는 능력도 발달하기 때문에 자신이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느끼게 되는데, 이것은 자녀의 자존심을 낮출 수 있는 요인이 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The implicit expectation means that the child does not follow the parent's expectation level, but does not express it in words or actions. It is largely a modest parenting style that has been found to have a slightly positive impact at very young age. It is widely known that the ability to read the mind of a parent as the child ages develops so that it does not meet the expectation of the parents, which is a factor in lowering the child's self-esteem.

8. 비 일관성 8. Non-consistency

자녀의 행동에 대해 부모가 행하는 꾸지람의 기준이 비 일관적인 정도를 평가하는 영역이다. 부모의 양육방식 가운데 가장 나쁜 것으로서 자녀의 사회성 발달에 가장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된다. 부모의 성격적인 불안정성이 가장 큰 요인이 되는 비 일관성은, 부모의 현실에 대한 불만, 가족에 대한 불만, 배우자에 대한 불만이 힘없는 자녀에게로 분출되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척도가 된다. 검사결과 상위 20%(백분위가 80% 이상)에 속하는 부모들은 특히 유념해야 할 검사항목이다. 자녀의 성격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지적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의 비 일관성은, 자녀가 불안을 느끼게 되는 원인이 되므로, 아동이 깊이 있는 지식이나 사고의 융통성은 발달시키지 못하고, 눈에 보이는 상식 같은 간단한 정보들만 취득하려는 성향의 어른으로 성장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한다. The criterion of parental scrutiny of child behavior is the area where the degree of inconsistency is assessed. It is considered to be the worst way of parental parenting and has the wors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sociality. The inconsistency of parental personality instability is the predictor of parental dissatisfaction, family dissatisfaction, and spouse dissatisfaction. Parents who belong to the top 20% (percentile more than 80%) are the test items to keep in mind. Parental inconsistencies that can affect not only the personality elements of the child but also the intellectual domains cause the child to feel anxiety and the child does not develop the depth of knowledge or the flexibility of thinking, It provides a reason to grow into an adult who is inclined to acquire only simple information.

도 5는 부모에게 제시되는 검사항목의 예를 나타낸다. Fig. 5 shows an example of the inspection items presented to the parents.

도 5를 참조하면, 부모에게 제시되는 40개의 질문을 상술한 6개의 항목으로 묶어 평가를 하면 되며, 40개 질문을 6개 그룹항목으로 묶는 작업은 이 분야의 교육자의 성향에 따라 결정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5, the 40 questions presented to the parents are classified into the six items described above, and the task of grouping the 40 questions into the six group item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ducator's tendency in this field. I do not explain.

다만, 도 5의 오른쪽에 표시된 5개의 평가 점수란은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및 "아주 그렇다"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 1, 2, 3, 4, 및 5점을 부여한다. 40개의 질문 중 해당하는 복수의 질문은 6개의 검사항목으로 결합되어 그 점수가 합산된다. However, the five evaluation score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5 can be divided into "not at all", "not so", "normal", "yes" 4, and 5 points. Of the 40 questions, the corresponding multiple questions are combined into six test items and their scores are summed up.

도 4에 도시된 부모의 지지표현과 관련된 항목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질문 중 처음 7개 항목이 포함되며, 이들 7개 항목에서 취득한 점수의 합이 지지표현의 평가점수가 된다. 나머지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및 감독도 나머지 33개의 항목에 분산되어 있다. The items related to the parent support expression shown in FIG. 4 include, for example, the first seven items of the questions shown in FIG. 5, and the sum of the scores acquired in these seven items is the evaluation score of the support expression . The remaining rational explanations, achievement pressures, interference, punishment and oversight are also distributed among the remaining 33 items.

도 6은 교사의 정서검사 중 하나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의 항목 및 채점 기준을 나타낸다. FIG. 6 shows the items and the scoring criteria of the human figure test in the rain, which is one of the teacher's emotional tests.

도 6을 참조하면,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Person-In-The-Rain; PITR)는 피검자인 교사의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자원의 적절성을 파악한다. 즉, 현재 교사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방어기제를 확인하여 심신으로 어려움이 있거나 스트레스의 적절한 방어기제를 가지지 않은 교사들을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언을 주거나 심각한 상태에 이를 것을 판단되는 교사들은 아이와 교사를 위하여 적절한 치료의 시간을 갖도록 조언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된다. Referring to FIG. 6, Person-In-The-Rain (PITR) in the rain captures the stress evaluation of the subject teacher and appropriateness of coping resources. In other words, the current teachers' stress level and the defense mechanism are checked to identify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mentally or physically, and who do not have appropriate defense mechanisms for stress. This is the basis for advice to have appropriate treatment time.

스트레스는 살아가는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결과이며 현대 기술사회에서 나타나는 특히 복잡한 현상이다. 개인이 잠재적으로 스트레스를 줄 만한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가 없는가는 그의 활동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든 사람들이 그러하겠지만 특히 시간의 대부분을 유치원(어린이집)에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하며 보내는 유치원(어린이집) 선생님들의 스트레스는 그의 활동능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러한 영향은 바로 유치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이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가 생겨날 확률이 높아진다. Stress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living processes and is a particularly complex phenomenon in modern technological societies. The ability of an individual to control potentially stressful situations can severely affect his ability to work. The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spend most of their time living with children in kindergartens (day care centers)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their ability to work,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a case will occur that has a negative effect.

만일 스트레스가 지나치게 강하거나 방어 메커니즘이 부적절하면 심신장애 또는 다른 정신적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애는 원에서 생활하고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간접적, 혹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아이들의 정서와 신체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교사들의 스트레스와 그 스트레스를 대처할 방어기제를 알아보는 일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 생각한다. If the stress is too strong or the defense mechanism is inadequate, mental and physical disorders or other mental disorders may occur and these disorders may indirectly or directly affect our children living in the circle, causing serious emotional and physical harm to the children.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stress of teachers and the defense mechanism to cope with the stress.

미술심리검사에서 사용하는 투사기법의 하나인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는 검사자가 의도하는 바를 그림검사를 행하는 피검자는 알 수가 없으므로 방어기제의 저항 없이 현재 피검자의 심리상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One of the projection techniques used in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is the "PITR in the Rain", which can not know the person who performs the picture inspection of the intention of the examinee. Therefore, It has advantages.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의 가치는 이미지에 비를 포함하는 것으로 비는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은유이며 비를 피할 수 있는 직간접적인 보호물은 스트레스의 상황에서의 대처방식으로 인물화에서는 알 수 없는 대처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피검자가 현재 겪고 있는 스트레스의 양 뿐만이 아니라 이를 방어기제의 와해나 퇴행 없이 얼마나 잘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대처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나는 인물은 자화상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검자가 자기 개념을 알 수 있고, 그림 속의 인물이 비(rain)로 나타나는 환경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를 통해 환경의 지각과 외부자극이나 스트레스의 대처 능력 그리고 개인의 자아 강도를 추측할 수 있다. The value of the PITR in the rain includes the rain in the image, rain is a metaphor for environmental stress, and direct and indirect protections that can avoid rain are coping in a stressful situation, Provides much information on coping. It is therefore possible to measure not only the amount of stress the patient is currently experiencing, but also the ability to cope with how well the defenses are handled without regressing or regressing. In addition, the person who appears in the person painting test in the rain serves as a self-portrait, so the subject can know his / her concept and how the person in the painting copes with the environment in which rain appears. And the self-intensity of the individual.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를 시행하여 현재 교사들의 스트레스 정도와 방어기제를 확인하여 심신으로 어려움이 있거나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교사들을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한 치료적 조언을 주거나 심각한 상태에 이른 것으로 사료되는 교사들은 아이와 교사를 위하여 적절한 치료의 시간을 조언하거나 시행하여 아이들의 건강한 보육환경(Environment)을 만들고자 하는데 그 시행 목적이 있다. In the PITR, the current teachers' stress level and defense system are checked to identify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mentally or physically, or who do not have adequate defense mechanisms against stress, and give appropriate therapeutic advice if necessary. Teachers, who are considered to have reached a serious state, are trying to make a healthy childcare environment by advising or conducting appropriate treatment time for the child and the teacher.

도 6을 참조하면,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에는 모두 19개의 항목에 대하여 검토하는데, 대처 자원 점수는 R1~R16까지의 점수에서 R17~R19의 점수를 뺀 점수이다. 대처 자원점수가 +(positive)의 값을 가진다는 것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고도 +의 값만큼 자원이 확보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negative)의 값을 가진다는 것은 -의 값만큼 스트레스가 쌓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9개 각 항목의 점수는 0(zero)와 1(one) 중 하나의 값을 가진다. Referring to FIG. 6, 19 items are examined in the rain test, and the resource resource score is a scor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core of R17 to R19 from the score of R1 to R16. The fact that the coping resource score has a positive value means that the resource is secured by the value of + even though it relieves the stress, and having a negative value means that the stress is accumulated by the value of - . The score of each of the 19 items has a value of 0 (zero) or 1 (one).

도 7은 교사의 정서검사 중 다른 하나인 교사 생활화 검사의 채점기준을 나타낸다. FIG. 7 shows the scoring criteria of the teacher life-style test, which is another one of the teacher's emotional tests.

도 7을 참조하면, 교사 생활화검사(Kinetic Teacher Drawing; KTD)는 교사 근무지에서의 생활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는 검사로써, 채점기준은 크게 5개의 요인, 즉 인물상의 특징, 인물상의 행위, 양식, 역동성 및 전체표현으로 5가지 영역을 분류하여 총 21개의 변인과 채점기준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Kinetic Teacher Drawing (KTD) is a test for examining the attitude toward life in a teacher's workplace, and the scoring criteria are classified into five factors, namely, characteristics of person figures, Dynamics, and total expressions, and a total of 21 variables and scoring criteria can be identified.

교사 생활화 검사는 교사들이 어린이집(유치원) 내에서 교사들과 관련성이 있는 어린이집(유치원) 인물, 즉 교사 자신, 다른 교사와 원장, 원감, 어린이집(유치원) 내 아이들의 무엇인가를 하고 있는 그림을 그리게 함으로써 어린이집(유치원) 환경 내에서의 상호 관계 및 교사 성취를 알아보는 투사기법이다. The Teacher's Life Examination tests the teacher's drawings in a kindergarten that is related to the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that is, the teacher himself, the other teacher, the child, the presenter, the child in the kindergarten This is a projection technique that examines the interrelationships and teacher accomplishments in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교사 생활화 검사는 교사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는 모습을 보고자 하는 것으로, 유치원(어린이집) 내에서 본인 모습과 담당하고 있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상호관계를 맺고 있으며, 아이들에게 바라는 성취성은 무엇인지, 동료 교사들과의 상호관계는 어떠한지를 파악할 수 있다. 교사 생활화검사를 통해 유치원(어린이집) 내에서의 선생님들의 생활을 알아볼 수 있으며, 무엇에 중점을 두고 생활하는지에 따른 파악으로 담당하고 있는 반의 아이들에게 다가가는 교사들의 심리를 짐작하고 그 관계성을 파악하여 아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가늠해 보고 상황에 따라 지지와 격려,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로 인하여 아이들의 건강한 보육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Teacher's life test is to see how teachers live in kindergarten or daycare center. In the kindergarten (daycare center), how they interact with their children and how they fulfill their children's needs, It is possible to grasp what the mutual relationship is with. Teachers can check the lives of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daycare center) through the examination of teacher life-style, guess the teacher's minds approaching the children of the class who are in charge of what they are focusing on And to give support,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the situation. This will create a healthy childcare environment for the children.

도 8은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와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FIG. 8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psychological test of the child and the parental attitude test.

도 8을 참조하면,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제2검사)에 포함된 8가지 검사항목에 대해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제1검사)에 포함된 19가지 검사항목을 비교하였다. Referring to FIG. 8, the nine items included in the child's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first examination) were compared with the eight items included in the parental attitude test (second test).

도 8a는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항목 중 하나인 지지표현과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 항목 19가지(전체적 평가 5가지 및 형식적 평가 14가지; 이하 동일)의 연관성을 표시하였고, 도 8b는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항목 중 하나인 합리적 설명과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 항목 19가지의 연관성을 표시하였다. 도 8c, 도 8d, 도 8e, 도 8f, 도 8g 및 도 8h는 각각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항목에 포함되는 성취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및 비 일관성과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 항목 등 19가지의 연관성을 각각 표시하였다. FIG. 8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expression, which is one of the items of the parenting attitude test, and the 19 items of the art psychological test of the child (total evaluation 5 and 14 types of evaluation) One of the test items, rational explanation, and 19 items of artistic psychological test items of children were shown. 8C, 8D, 8E, 8F, 8G, and 8H are graphs showing achievement pressure, interference, punishment, supervision, overexposure, and inconsistency included in the item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19 associations, respectively.

도 8의 그림에 기재된 %는 각 항목의 최고 점수의 합과 피검사자가 획득한 각 항목에서의 점수의 합의 비율을 나타낸다. The percentages shown in the figure of FIG. 8 indicate the sum of the highest scores of each item and the sum of the scores of the items obtained by the examinees.

도 9는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와 교사의 정서검사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Figure 9 show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rt psychological test of the child and the emotional test of the teacher.

도 9를 참조하면, 교사의 정서검사 항목(제3검사) 중 PITR과 아동의 미술심리 검사(제1검사) 항목 19가지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는데, 교사의 스트레스의 정도와 방어기제의 면에서 크게 2가지로 구분하였다. 그 중 하나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높고 스트레스를 풀어나갈 자신만의 방어기제를 적절히 가지고 있지 못하는 경우(상부)이고 다른 하나는 스트레스의 정도가 낮고 스트레스를 풀어나갈 자신만의 방어기제를 적절히 가지고 있는 겨우(하부)이다. Referring to FIG. 9,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ITR and the art psychological examination (first examination) items of the teacher's emotional test item (the third test) was compared with the 19 items of the teacher's stress degree and the defensive instrument And two types. One of them is a person who has a high level of stress and does not have his / her own defense mechanism to cope with stress (upper level) and the other is a person who has a low level of stress and has his own defense mechanism (Lower).

도 9에는 교사의 정서검사 중 하나인 교사의 스트레스(PITR)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는데, 다른 하나의 검사항목인 교사의 교육환경에 관한 교사 생활화 검사(KTD)는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연구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FIG. 9 shows only the teacher's stress (PITR), which is one of the teacher's emotional tests. The teacher's life test (KTD) regarding the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is another inspection item, is not shown for simplification of explanation,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is description, so that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낸다. Fig. 10 shows a processing procedure of a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1000)은, 회원가입단계(1010), 심리검사단계(1020), 심리검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1030) 및 상담 & 교육단계(1040)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bscription step 1010, a psychological testing step 1020, a psychological test result relevance analysis step 1030, and a consultation & education step 1040, .

회원가입단계(1010)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아동정서 관리방법(1000)을 활용하고자 하는 개인 또는 단체가 아동정서 관리서버(210)에 접속하여 일정한 정보의 제공 및 동의 절차를 거쳐 회원으로 가입한다. In the subscription step 1010,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using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esses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210 and subscribes to the child through the process of providing and agreeing certain information.

심리검사단계(1020)에서는 검사 자료의 제출단계(1021), 아동의 심리검사단계(1022),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단계(1023) 및 교사의 정서검사단계(1024)를 각각 수행한다. 여기서 3개의 검사단계(1022, 1023, 1024)는 아동정서 관리서버(210)에서 수행한다. In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1020, the submission step 1021 of the examination data,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1022 of the child, the parenting attitude examination step 1023, and the teacher's emotional examination step 1024 are performed respectively. Here, the three stages of examination 1022, 1023, and 1024 are performed by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210.

심리검사 자료의 제출단계(1021)에서는 아동이 그린 그림, 부모가 체크 한 질문서 및 교사가 그린 그림을 각각 입력수단(220, 230, 240)을 통해 아동정서 관리서버(210)에 제출한다. In the submission step 1021 of the psychological test data, the child's drawing, the questionnaire checked by the parents, and the drawing drawn by the teacher are submitted to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210 through the input means 220, 230 and 240, respectively.

아동의 심리검사(1022)는 제출된 아동의 그림으로부터 전체적 평가, 형식적 평가 및 내용적 평가를 수행한다. 아동의 심리검사는 도 3 및 도 3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A psychological examination (1022) of the child performs an overall evaluation, a formal evaluation, and a content evaluation from the picture of the submitted child.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of the child is replaced with the explanation of FIG. 3 and FIG.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1023)는 도 5에 도시된 질문서에 기재된 40가지의 질문에 답한 것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 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재 및 비 일관성에 대하여 평가한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질문 및 이의 평가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이들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test 1023 answers the 40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shown in FIG. 5 to show the support expression, rational explanation, achievement pressure, interference, punishment, supervision, Evaluate for inconsistency. The questions about parenting attitudes and their evaluation are shown in Figs. 4 and 5, and these have already been described,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교사의 정서검사(1024)는 제출된 교사의 그림으로부터 교사의 스트레스 및 교육환경 내에서의 교사의 태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사하여 교사의 정서에 대하여 평가한다. 교사의 스트레스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를 통해 수행하고, 교육환경 내에서의 교사의 태도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교사생활화검사를 통해 수행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teacher's emotional test (1024) evaluates the teacher's emotions by examining at least one of the teacher's stress and the teacher's attitud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the submitted teacher's picture. The stress of the teacher is performed through the PITR in the rain as shown in FIG. 6, and the attitude of the teacher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performed through the teacher life test as shown in FIG. 7, The description is omitted.

심리검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1030)에서는 검사단계(1020)에서 얻은 아동의 심리상태 평가, 부모의 양육태도 평가 및 교사의 정서 평가를 이용하여 아동의 현재의 심리상태에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정서가 미친 영향의 정도 즉 연관성을 정성적(문장)으로 또는 정량적(수치)으로 분석한다. In the correlation analysis step (1030), the child's attitude toward the current state of psychology of the child and the teacher's attitude are measured using the evaluation of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obtained in the examination step (1020)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of emotions, that is, associations, either qualitatively (sentences) or quantitatively (numerical).

심리검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1030)에서는 적어도 3종류의 연관성 자료를 얻는다. In the psychological test result, at least three kinds of association data are obtain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step (1030).

제1연관성 자료는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단계(1023)에서 검사한 8가지의 검사 항목 각각에 대해 아동의 심리검사단계(1022)에서 검사한 19가지 검사 항목을 1대 1로 대비하여 얻는다. The first association data is obtained by comparing one to one of the 19 test items tested in the child's psychological test step (1022) for each of the eight test items examined in the parental attitude test step (1023).

제2연관성 자료는 교사의 정서검사단계(1024)에서 얻은 교사의 스트레스의 정도 및 방어기제의 정도에 대해 아동의 심리검사단계(1022)에서 검사한 19가지 검사 항목을 1대 1로 대비하여 얻는다. The second association data is obtained by comparing the 19 items examined in the child's psychological examination stage (1022) on a one-to-one basis with respect to the degree of the teacher's stress and the degree of defensive measures obtained in the teacher's emotional test step (1024) .

제3연관성 자료는 교사의 정서검사단계(1024)에서 얻은 교사의 교육환경 내에서의 교사의 태도를 검사한 5가지 검사 항목에 대해 아동의 심리검사단계(1022)에서 검사한 19가지 검사 항목을 1대 1로 대비하여 얻는다. The third association data is composed of 19 test items (1022) of the children's psychological test (1022) for the five test items that examined the teacher's attitude in the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 One-on-one.

상담 & 교육단계(1040)에서는 연관성 분석단계(1030)에서 생성된 수치화된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아이, 부모 및 교사와 상담하거나 이들에 대해 필요한 교육을 실시 한다. In the counseling & education phase 1040, using the quantified analysis data generat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phase 1030, the child is consulted with the parents, the teacher, or the necessary education is provided to them.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아동정서 관리서버
220: 아동의 그림 입력수단
230: 부모의 양육태도검사 입력수단
240: 교사의 정서검사 입력수단
210: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220: Picture input means of a child
230: Parental rearing attitude test input means
240: Teacher's emotional test input means

Claims (4)

개인 또는 단체가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가 요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의 동의 절차를 거쳐 회원으로 가입하는 회원가입단계;
아이, 부모 및 교사가 심리검사의 대상이 되는 그림 및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서 제공한 질문서의 의사표시를 한 답변서를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제출하고,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는 제출된 그림 및 상기 답변서로부터 아이의 심리상태, 부모의 심리상태 및 교사의 심리상태를 정량화하는 심리검사단계; 및
상기 심리검사단계에서 정량화된 자료를 이용하여, 아동의 심리상태, 부모의 심리상태 및 교사의 심리상태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심리검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정서 관리방법.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accessing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providing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and joining the child through the consent process of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sends a response to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in which the child, the parent and the teacher are subjected to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and the question mark of the questionnaire provided by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is submitted to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server, A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for quantify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arents, an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teacher from the answer sheet; And
A correlation analysis step of a psychological test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psychological state, a parent's psychological state, and a teacher's psychological state using the quantified data at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To
The child's emotional state.
제1항에 기재된 상기 아동정서 관리방법은,
상기 심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에 생성된 연관성을 이용하여 아이, 부모 및 교사와 상담하거나,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실시 하는 상담 & 교육단계;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정서 관리방법.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unseling & education step for consulting with a child, a parent and a teacher using the association generated in the psychological result association analysis step, or conducting necessary education for them; To
Wherein the child emotion management method further comprises:
제1항에 기재된 상기 심리검사단계에서는,
아동이 그린 그림, 부모가 답한 질문서 및 교사가 그린 그림을 상기 아동정서 관리서버에 제출하는 심리검사 자료의 제출단계;
상기 아동이 그린 그림으로부터, 전체적 평가 및 형식적 평가를 수행하는 아동의 심리검사단계;
상기 부모가 답한 질문서로부터 부모의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 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및 비 일관성에 대하여 평가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단계; 및
상기 교사가 제출한 그림으로부터 교사의 스트레스 및 교육환경 내에서의 교사의 태도를 평가를 위해 인물상의 특징, 인물상의 행위, 양식, 역동성 및 전체표현의 5가지를 검사하는 교사의 정서검사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전체적 평가에는 그림의 전체적 인상, 조화, 구조, 주제에 따른 이해도 및 발달에 따른 묘사력이 포함되며,
상기 형식적 평가에는 검사 시의 태도와 소요시간, 그림을 그린 순서, 그림의 크기, 그림의 위치, 필압, 스트로크(선), 지우기, 대칭성, 방향, 세부묘사, 왜곡과 생략, 절단, 그림자와 음영 및 색상의 선택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정서 관리방법.
In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according to claim 1,
A step of submitting psychological test data that the child paints, the questionnaire the parents answered, and the picture drawn by the teacher to the child emotional management server;
A psychological examination step of the child performing the holistic evaluation and the formal evaluation from the picture drawn by the child;
A parental parenting attitude test step that evaluates parental support expression, rational explanation, achievement pressure, interference, punishment, supervision, overexposure, and inconsistency from the questions answered by the parents; And
A teacher 's emotional test step that examines the fiv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s characteristics, person 's behavior, style, dynamics, and total expression in order to evaluate the teachers'Lt; / RTI >
The overall assessment includes the overall impression of the picture, harmony, structure,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theme, and depic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The formal evaluation includes the attitude and time required during the examination, the order in which the pictures were drawn, the size of the pictures, the positions of the pictures, the pressure, the strokes, the clear, the symmetry, the directions, the details, the distortions and omissions, And a selection of colo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결과 연관성 분석단계에서는,
상기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단계에서 검사한 8가지의 검사 항목 각각에 대해 상기 아동의 심리검사단계에서 수행한 전체적 평가 및 형식적 평가에 포함되는 19가지 검사 항목을 1대 1로 대비하여 제1연관성 자료를 얻고,
상기 교사의 정서검사단계에서 얻은 교사의 스트레스의 정도 및 방어기제의 정도에 대해 상기 아동의 심리검사단계에서 수행한 전체적 평가 및 형식적 평가에 포함되는 19가지 검사 항목을 1대 1로 대비하여 제2연관성 자료를 얻으며,
상기 교사의 정서검사단계에서 얻은 교사의 교육환경 내에서의 교사의 태도를 검사한 5가지 검사 항목에 대해 상기 아동의 심리검사단계에서 수행한 전체적 평가 및 형식적 평가에 포함되는 19가지 검사 항목을 1대 1로 대비하여 제3연관성 자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정서 관리방법.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in the psychological result association analysis step,
For each of the eight test items examined at the parental attitude test stage, the 19 items included in the overall evaluation and the formal evaluation performed at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age of the child were prepared one by one, Lt; / RTI >
As for the degree of the teacher's stress and the degree of defensive measures obtained from the teacher's emotional test step, the 19 items included in the overall evaluation and the formal evaluation performed at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stage of the child were prepared one by one, Obtain association data,
For the five test items that examined the teacher's attitude in the teacher's educational environment obtained from the teacher's emotional testing stage, the 19 items included in the overall evaluation and the formal evaluation performed at the child's psychological examination stage were 1 Wherein the third association data is obtained by preparing the first association data.
KR1020170045418A 2017-04-07 2017-04-07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KR201701134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18A KR20170113475A (en) 2017-04-07 2017-04-07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18A KR20170113475A (en) 2017-04-07 2017-04-07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035 Division 2016-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475A true KR20170113475A (en) 2017-10-12

Family

ID=6014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18A KR20170113475A (en) 2017-04-07 2017-04-07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347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658A (en)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ersonality analysis program by VR role-playing game
KR102263192B1 (en) * 2020-11-09 2021-06-08 이미경 Relationship developmental analysis method for children emotional behavior disorder judgement
CN113180664A (en) * 2021-04-14 2021-07-30 脑谷人工智能研究院(南京)有限公司 Child psychological test assessment method and display mechanism thereof
KR20220124592A (en) 2021-03-03 2022-09-14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 psychological test system and online psychological test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0658A (en)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로로아트플랜 Personality analysis program by VR role-playing game
KR102263192B1 (en) * 2020-11-09 2021-06-08 이미경 Relationship developmental analysis method for children emotional behavior disorder judgement
KR20220124592A (en) 2021-03-03 2022-09-14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Online psychological test system and online psychological test method
CN113180664A (en) * 2021-04-14 2021-07-30 脑谷人工智能研究院(南京)有限公司 Child psychological test assessment method and display mechanism thereof
CN113180664B (en) * 2021-04-14 2024-01-02 山东中科慧心智能科技有限公司 Psychological test evaluation method for children and display mechanis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macho-Morles et al. Activity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performance: A meta-analysis
Jorquera-Cabrera et al. Assessment of sens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in children between 3 and 11 years old: A systematic review
Harmeyer et al. Predicting self-regulation and vocabulary and academic skills at kindergarten entry: The role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mother-child closeness
Taylor The assessment of social intelligence.
KR20170113475A (en) Method for manag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using relationship between child psychology, parenting styles and emotion of the teacher
Ellingsen Standardized assessment of cognitive development: Instruments and issues
Ren et al. Relations among parenting, child behavioral regulation and early competencies: A study on Chinese preschoolers
Destan et al. 6-and 8-year-olds’ performance evaluations: Do they differ between self and unknown others?
Gupta et al. Diagnostic reasoning in psychiatry: acknowledging an explicit role for intersubjective knowing
Davies et al. Traumatic brain injury: The efficacy of a half-day training for school psychologists
Resing et al. Dynamic Testing: Measuring Inductive Reasoning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s.
Nicholas Cognitive assessment of children who are deafblind: Perspectives and suggestions for assessments
Poulou et al.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peer provocation and early school adjustment
Tan et al. A note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deep‐elaborative versus shallow‐reiterative information processing students
Goudarzi et al. An explor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EFL learners’ English self-efficacy, metacognitive awareness, and their test performan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Geurten et al. Domain-specific and domain-general metacognition for strategy selection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hsen et al.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Academic Performance among Young Adults: Moderating Role of Parenting Style
Lochman et al. Intervention Development, Assessment, Planning, and Adaptation
Masuda et al. Applicability of mentalizing research to
Utami et al. Mentari's guide validation as a guidelines in teaching bath skills for tunagrahita children
Al-Hilawani et al. Measuring metacognition and reaction time: Further findings on the performances of general education, low-achieving, and institutionally raised students
Miklein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ping skills and typically developing sibling adjustment in families with a child with a disability
Ewen A longitudinal study of nursing students'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xiety, critical thinking and academic achievement
Paschalidis The Paschalidis Tri-Anthropo-Type Model in Education: Three Learning Profiles, Three Teaching Styles
Jansen et al. Brachmann Cornelia De Lange Syndrome: A Tailored Approach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Using the Griffiths I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