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777A -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 Google Patents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777A
KR20170112777A KR1020160040358A KR20160040358A KR20170112777A KR 20170112777 A KR20170112777 A KR 20170112777A KR 1020160040358 A KR1020160040358 A KR 1020160040358A KR 20160040358 A KR20160040358 A KR 20160040358A KR 20170112777 A KR20170112777 A KR 2017011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field emission
portable
ray source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91906B1 (en
Inventor
신승훈
유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6004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906B1/en
Publication of KR2017011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7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64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 particular type of beam
    • A61B6/4085Cone-be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X-Ray Techniques (AREA)

Abstract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면서도 절연 안정성이 뛰어난 구조의,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는, 전방을 향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전방을 향해 지름이 점점 확대되는 콘(cone)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방출점 전방에 배치되어 방출된 엑스선을 소정 각도범위의 엑스선 빔 형태로 제어하는, 엑스선 방출 콘; 및,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엑스선 방출 콘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의 외벽이 기울어진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Disclosed is a portable X-ray generator hav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in downsizing and lightweight, and has excellent insulation stability. The portable X-ray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for emitting an X-ray toward a forward direction; An X-ray emission cone having a cone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and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X-ray emission point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controls the emitted X-rays in the form of an X-ray beam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 driving circuit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voltag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using a direct current or an AC power source, wherein the driving circuit unit is disposed below the X-ray emitting cone, An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such that an outer wall of the lower portion of the X-ray emitting cone is inclined at an angle equal to or greater than an inclined angle.

Description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X-ray generator hav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본 발명은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이용하여 소형화된, 치과에서의 구강내(Intra-Oral) 엑스선 촬영에 적합한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X-ray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X-ray generator suitable for intra-oral X-ray imaging in a dental clinic, which is miniaturized us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엑스선 촬영은 엑스선의 직진성과 감쇠성을 이용한 방사선 촬영법으로서, 촬영대상을 투과하는 과정 중에 누적된 X선 감쇠량을 기초로 촬영대상의 내부구조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제공한다. 엑스선 촬영 장치는 촬영대상을 향해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발생 장치, 촬영대상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엑스선 발생 장치와 대향 배치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검출하는 엑스선 센서, 상기 엑스선 센서의 검출결과인 엑스선 투영 데이터로 촬영영역의 내부구조에 대한 그레이 레벨(gray level)의 엑스선 영상을 구현하는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한다.X-ray imaging is a radiography method using the straightness and damping property of an X-ray, and provides an X-ray imag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object to be imaged based on accumulated X-ray attenuation dur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object. An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es an X-ray generator for irradiating an X-ray toward an object to be imaged, an X-ray sensor for detecting an X-ray passing through an object to be imaged arranged opposite to the object, And a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implements a gray level x-ray imag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hotographing area with projection data.

최근 들어 엑스선 촬영은 반도체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센서를 이용한 DR(Digital Radiograhpy)로 빠르게 대체되는 가운데 엑스선 촬영 기술 또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일례로, 치과 분야에서 주로 시행되는 구강내 엑스선 촬영을 들 수 있다. 구강내 엑스선 촬영은 피검자의 구강내 한정된 영역의 엑스선 영상을 얻기 위한 엑스선 촬영기술로서, 피검자의 구강 내부에 엑스선 센서를 배치하고 구강 외부의 엑스선 발생 장치로부터 엑스선을 조사하여 이들 사이의 치아 및 치아주변조직에 대한 엑스선 영상을 획득한다. 이 같은 구강내 엑스선 촬영 영상은 왜곡이 적고 해상도와 선예도가 우수하며 방사선 노출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고해상도가 요구되는 임플란트 시술이나 근관치료 등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구강내 엑스선 촬영의 편의성과 정확성을 높여 그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엑스선 방출 장치의 경량화 및 소형화가 요구된다. In recent years, X-ray imaging has rapidly been replaced by DR (Digital Radiograhpy) using digital sensors due to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For example, intraoral x-rays taken mainly in the field of dentistry. Oral X-ray imaging is an X-ray imaging technique for acquiring X-ray images of a limited area of the subject's mouth. An X-ray sensor is placed inside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nd X-rays are emitted from the X- Obtain an x-ray image of the tissue. Such intraoral X-ray images have advantages such as low distortion, excellent resolution and sharpness, and relatively low radiation exposure, and thus they are mainly used for implant treatment or root canal treatment requiring high resolution.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intraoral x-ray imaging and to improve the utilization thereof,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weight and size of the x-ray emitting device.

최근에는 엑스선 방출 장치의 소형화 등을 위해, 탄소나노튜브(CNT) 등 나노 구조물을 이용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엑스선 소스는 전계방출(electric field emission) 방식으로서, 종래의 텅스텐 필라멘트 기반의 열음극 엑스선 소스 장치와는 그 전자 방출 메커니즘이 다르다.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엑스선 소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의 인가로 전자 방출이 가능하고, 방출되는 전자가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출되기 때문에 애노드 전극 측의 엑스선 타켓면을 향한 전자의 방향지향성이 우수하여 엑스선 방출 효율이 매우 높다. 또한 펄스형태의 엑스선을 방출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저선량으로 엑스선 영상 획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엑스선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하여 치과 진단용, 특히 구강내 엑스선 촬영용으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Recently, field emission X-ray sources using nanostructures such as carbon nanotubes (CNTs) have been studied for miniaturization of X-ray emitting devices. An X-ray source using carbon nanotubes is an electric field emission type, and differs from a conventional tungsten filament-based X-ray source device by its electron emission mechanism. Since the carbon nanotube-based X-ray source can emit electrons with a relatively low voltage and the emitted electrons are emit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bon nanotubes, the directionality of electrons toward the X-ray target surface on the anode electrode side The X-ray emission efficiency is very high because it is excellent. In addition, it is easy to emit pulse-shaped X-rays, so it is possible to acquire an X-ray image at low dose, and also it is possible to shoot an X-ray movie, and thus it is very likely to be used for dental diagnosis, especially for intraoral x-ray imaging.

이제까지 알려진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Field Emission X-ray Source)는 진공 용기 내에, 캐소드(cathode) 전극 상에 설치된 전자 방출원(emitter)과 그에 인접하게 설치된 게이트(gate) 전극을 구비하고, 게이트 전극과 전자 방출원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게이트 전극은 메쉬(mesh) 형태나 전자 방출원의 배열에 따라 다수의 홀이 배열된 금속판 형태를 갖는다. 전자 방출원(emitter)으로부터 방출된 전자 빔(electron beam)이 이러한 메쉬 구조 또는 다수의 홀을 통과하여 진행하면, 애노드(anode)와 캐소드(cathode)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전자를 수십 kV로 가속하여 애노드 측에 설치된 엑스선 타겟(target)면에 타격시켜 엑스선이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의 전자 빔 진행 경로 주위에 배치된 집속 전극을 구비하여, 전자 빔을 집속하는 전기장을 형성하기도 한다.A field emission X-ray source known so far has an electron emitter disposed on a cathode electrode and a gate electrode disposed adjacent to the electron emitter in a vacuum container, And electrons are emitted by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electron emission sources. The gate electrode has a metal plat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arranged in a mesh shape or an arrangement of electron emission sources. When an electron beam emitted from an electron emitter passes through such a mesh structure or a plurality of holes, electrons are accelerated by several kV by an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So that the X-ray is emitted from the X-ray target surface provided on the anode side. Further, a focusing electrode disposed around the electron beam traveling path between the cathode and the anode is provided to form an electric field for focusing the electron beam.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는 엑스선 방출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한 측면이 있으나, 반대로 작은 크기의 장치에서 애노드와 캐소드 사이에 약 65kV에 달하는 높은 전위차가 형성되므로 절연 파괴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절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절연 거리를 늘리거나 절연 구조물을 추가할 수 있으나, 이는 소형화와 경량화에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has an advantage in miniaturizing and lightening the X-ray emitting device, but on the contrary, in a small-sized device, a potential difference as high as about 65 kV is form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In order to increase the insulation stabilit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sulation distance or to add an insulating structure, but this has a problem in that it may lead to downsizing and weight reduc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십 kV의 높은 전압으로 구동되는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채용한 것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면서도 절연 안정성이 뛰어난 구조의,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having a structure which is advantageous in downsizing and lightweigh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X-ray generator.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는, 전방을 향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전방을 향해 지름이 점점 확대되는 콘(cone)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방출점 전방에 배치되어 방출된 엑스선을 소정 각도범위의 엑스선 빔 형태로 제어하는, 엑스선 방출 콘; 및,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includ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for emitting X-rays toward a front side; An X-ray emission cone having a cone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and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X-ray emission point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controls the emitted X-rays in the form of an X-ray beam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a driving voltag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using a direct current or an AC power source,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엑스선 방출 콘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의 외벽이 기울어진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Wherein the driving circuit unit is disposed below the X-ray emitting cone and includes at least one X-ray emitting cone, at least one of which is arrang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an inclined angle of an outer wall of the lower part of the X-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대적으로 전압이 낮은 제 1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구동 회로부; 및, 상대적으로 전압이 높은 제 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제 2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를 구성하는 제 1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riving circuit includes: a first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a first driving voltage having a relatively low voltage; And a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for generating a second driving voltage having a relatively high voltage, wherein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can be disposed under the X-ray emitting cone.

이때,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승압 트랜스를 구비하여 입력 전압을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게이트 구동 전압 수준으로 승압하는 것으로, 상기 승압 트랜스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엑스선 방출 콘의 반대쪽 면에 실장될 수 있다. The first driving circuit unit includes at least one step-up transformer to step up an input voltage to a gate driving voltage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The step-up transformer is connected to the X-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제 1 구동 전압을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애노드 구동 전압 수준으로 승압하는 것으로,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아래에 일부가 중첩되며 후방 쪽으로 배치된 제 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boosts the first driv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to an anode driving voltage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a part thereof is overlapped under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rear side.

이 경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에 대한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relative to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is position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는, 휴대 가능한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에 있어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로부터 방출되는 엑스선 빔을 소정 각도범위로 형성하기 위한 엑스선 방출 콘; 및 상기 엑스선 소스를 고정하며, 상기 엑스선 소스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compris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 X-ray emitting cone for forming an X-ray beam emitted from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n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for fixing the x-ray source and supplying voltage to the x-ray source,

상기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는 상기 엑스선 빔 방출 방향의 후방에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하도록 한다.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allows a high-voltage printed circuit board, which supplies a voltage to the electrodes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to be positioned behind the X-ray beam emitt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엑스선 빔의 방출은 상기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의 인쇄회로기판이 속한 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Herein, the emission of the X-ray beam may b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plane of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전극은 애노드 전극이고, 상기 애노드 전극에는 적어도 2 단계 이상의 승압을 거친 고전압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od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may be an anode electrode, and a high voltage that has been stepped up by at least two stages may be input to the anode electrode.

상기 고전압 인쇄회로기판은 다수의 다이오드와 다수의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승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igh-voltage printed circuit board may include a step-up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odes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한편, 상기 고전압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게이트 구동 수준으로 승압하는 제 1 구동 회로부와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의 애노드 구동 수준으로 승압하는 제 2 구동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igh voltage printed circuit board may include a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that is stepped up to a gate driving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a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that is stepped up to an anode driving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ray.

이 경우,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보다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와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보다 더 많은 절연성 충전재로 둘러 쌓이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driving circuit than the first driving circuit.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planes.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may be surrounded by the insulating filler more than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십 kV의 높은 전압으로 구동되는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채용한 것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에 유리하면서도 절연 안정성이 뛰어난 구조의,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를 갖는 포터블 엑스선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driven by a high voltage of several tens kV is employed, and a portable X-ray generator hav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in downsizing and light weight and excellent in insulation stability is provided.

효율적인 공간 활용 및 인체 공학적 무게 배분이 실현되고, 절연 안정성 강화 구조가 적용된, 경량, 소형의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는 엑스선 영상 촬영자의 피로감을 덜고, 조작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되어 엑스선 영상 촬영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lightweight and compact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with efficient space utilization and ergonomic weight distribution and insulation stability enhancement structure helps to reduce fatigue of X-ray image photographer and improves operation accuracy. Not only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accuracy, but also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lifetime of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1 또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의 한 예를 보인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무게 배분의 관점에서 보인다.
1 shows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X-ray e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xample of an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in the embodiment of FIG. 1 or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of FIG. 3 in an opposite direc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of FIG. 3 in an opposite direction.
6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in terms of weight distribu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한편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구성요소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어느 도면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by way of example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something to d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elements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description of elem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described in the drawings may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other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다.1 shows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X-ray e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0)는 그 내부에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가 설치된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 전방에 배치된 원통형 시준부(12), 그리고 상기 몸체부(11) 아래쪽에 배치된 손잡이부(13)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부(13)의 상부에는 트리거형 스위치(14)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부(13)의 하부에는 충전식 배터리팩(15)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0)는 전체적으로는 마치 헤어드라이어 또는 전동드릴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띨 수 있다.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1 having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installed therein, a cylindrical collimator 12 disposed in front of the body 11, And a grip portion 13 disposed under the body portion 11. A trigger switch 14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13 and a rechargeable battery pack 15 may be disposed below the handle 13.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take the form of reminding a hair dryer or an electric drill as a whole.

상기 몸체부(11) 내에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는 단독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를 형성하는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는 간단하게 표현하면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데, 본 도면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눕혀진 형태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 엑스선 빔(XB)이 방출되는 전방(본 도면의 좌측)에서 볼 때 가로로 누운 방향으로 원통형의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가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로부터 엑스선 빔이 외부로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is not installed in the body part 11 but is disposed in a frame forming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has a cylindrical shape in a simplified form, and is laid ou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drawing. In other words,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of a cylindrical shape i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left side of the drawing) in which the X-ray beam XB is emitted. Hereinaf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X-ray beam is emitted from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to the outside will be referred to as for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rearward.

전술한 프레임에서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가 설치되는 엑스선 소스 수용부(51)는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부분 원통형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는 상기 엑스선 소스 수용부(51)에서 전방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제 1 구동 회로부(52)와 상기 엑스선 소스 수용부(51)의 아래쪽으로부터 후방 위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 제 2 구동 회로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52)에는 1차 승압 트랜스(522)를 포함하는 1차 승압 회로가 구성된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53)에는 다수의 다이오드(diode)와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는 2차 승압부(532)가 마련된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이 배치된다.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는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의 상부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X-ray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51 in which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is installed may be formed in a partial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in the above-described frame.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includes a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extending obliquely downward from the X-ray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51 and a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2 extending obliquely rearward and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X- 2 driving circuit portion 53. [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constituted by a first step-up circuit including a first step-up transformer 522 is disposed in the first drive circuit part 52. The second drive circuit part 53 includes a plurality of diodes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provided with a secondary up-converter 532 including a diode and a capacitor is disposed.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in an overlapping manner.

상기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에서 그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은 그 상부와 측면을 둘러싸고, 그 하부가 열린 형태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521)과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의 상하부 및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주위는 절연성 충전재로 충전되어 도면에 빗금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절연 몰딩부(51B, 52B, 53B)를 이룬다. 한편, 본 도면에 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엑스선 소스 수용부(51)에서 전방을 향해 엑스선이 방출되는 위치에는 윈도우가 형성되어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표면은 상기 윈도우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엑스선 차폐층으로 둘러싸여 의도되지 않은 엑스선 방출이 일어나지 않도록 통제된다.The frame constituting the outer shape of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surrounds an upper por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lower portion thereof is formed in an open shap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And the periphery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are filled with an insulating filler to form insulating molding parts 51B, 52B and 53B as indicated by shaded areas in the drawing.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window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X-ray is emitted forward in the X-ray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51 to expose a part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is surrounded by an X-ray shielding layer except for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ndow, so that unintentional X-ray emission does not occur.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전방으로 상기 엑스선 소스 수용부(51)와 원통형 시준부(12) 사이에는 엑스선 방출 콘(cone)(60)이 배치된다. 상기 엑스선 방출 콘(60)은 고깔 형태의 구조물로서 엑스선 차폐물질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엑스선 차폐층을 포함한다.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에서 방출된 엑스선은 상기 엑스선 방출 콘(60)을 통과하면서 일정한 조사 범위를 갖는 엑스선 빔의 양상을 띠게 된다. 상기 원통형 시준부(12) 역시 내부에 엑스선 차폐층을 가져서 난반사 등으로 의도되지 않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엑스선을 차단하고, 엑스선 빔의 조사 범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엑스선 빔의 형태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원통형 시준부(12)에 고정형 또는 가변형의 사각형이나 선형 등의 개구부를 갖는 엑스선 차폐물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n X-ray emitting cone (6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between the X-ray source accommodating part (51) and the cylindrical collimating part (12). The x-ray emitting cone 60 is a cone-shaped structure formed of an x-ray shielding material or at least an x-ray shielding layer. The X-ray emitted from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passes through the X-ray emitting cone 60 and becomes an X-ray beam having a predetermined irradiation range. The cylindrical collimation part 12 also has an X-ray shielding layer inside thereof to block the X-ray traveling in a direction not intended due to diffuse reflection and to control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X-ray beam.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provide an X-ray shielding member having a fixed or variable rectangular or linear opening in the cylindrical collimating unit 12 in order to control the shape of the X-ray beam as required.

이제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0)의 몸체부(11) 내부를 공간활용 및 구조물 배치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전술한 엑스선 방출 콘(60)은 그 중심선이 상기 원통형 시준부(12)의 중심선(XB)에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상기 중심선(XB)이 곧 이들을 통과하여 방출되는 엑스선 빔의 중심선이 된다. 한편, 상기 엑스선 방출 콘(60)의 하부에는 전술한 제 1 구동 회로부(52)가 배치되는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이 속한 평면(P)이 상기 중심선(XB)을 포함하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α만큼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상기 각도α는 상기 중심선(XB)에 대한 상기 엑스선 방출 콘(60) 외벽의 기울기인 각도β에 비해 그 값이 크거나 같다. 각도α의 값이 각도β의 값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을 포함하는 제 1 구동 회로부(52)를 상기 엑스선 방출 콘(60)에 근접시킬 수 있어서 몸체부(11) 내부 공간의 효율적 활용에 유리하다. 이는 곧 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함을 의미한다. Now,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 of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space utilization and structure arrangement. The above-described X-ray emitting cone 60 is arranged so that the center line of the X-ray emitting cone 60 is aligned with the center line XB of the cylindrical collimating unit 12. As a result, the center line XB becomes the center line of the x-ray beam passing through them.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is disposed under the X-ray emitting cone 60. The plane P to which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belongs is a horizontal plane including the center line XB, As shown in Fig. The ang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ngle? Of the outer wall of the X-ray emitting cone 60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XB.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includ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can be brought closer to the X-ray emitting cone 60 as the angle? Approaches the value of the angle? It is advantageous for efficient use of space. This means that it is advantageous to miniaturize the device.

이는 상기 엑스선 구동 조립체(50)가 엑스선 방출 콘(60)의 중심선(XB)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이로써, 주변 전장 부품에 영향을 덜 주도록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가 제1 인쇄회로기판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하면서, 소정의 엑스선 방출 범위와 엑스선 구동 조립체(5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여기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특성 및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52)와 제 2 구동 회로부(53)의 특성에 관해 좀 더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는 캐소드 전극, 게이트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의 3극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캐소드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게이트 전극에는 약 5~10kV의 전위차가 있는 제 1 구동 전압이 스위칭 신호로서 인가되고, 애노드 전극에는 약 65kV의 전위차가 있는 제 2 구동 전압이 전자 가속 전압으로서 인가된다. 다만, 이러한 구동 전압 수치는 의료용 엑스선 방출 장치의 관전압 규격에 따른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is may be indicated by the X-ray drive assembly 50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enter line XB of the X-ray emitting cone 60. This allows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to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so as not to affect the surrounding electrical components, so that the predetermined x-ray emitting range and the x-ray drive assembly 50 are not interfe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has a triode structure of a cathode electrode, a gate electrode, and an anode electrode. For example, a first driving voltage having a potential difference of about 5 to 10 kV is applied as a switching signal to the gate electrode based on a voltage applied to the cathode electrode, and a second driving voltage having a potential difference of about 65 kV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 voltage is applied as an electron acceleration voltage. However, this driving voltage value is an example according to the tube voltage standard of the medical X-ray radiating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 1 구동 회로부(52)는 1차 승압부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제 2 구동 회로부(52)는 2차 승압부로서의 기능을 담당한다. 제 1 구동 회로부(52)는 예컨대, 소정의 직류 전원 또는 인버터회로를 통해 변환된 교류 전원을 1차적으로 승압하여 약 5~10kV의 제 1 구동 전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52)는 1차 승압 트랜스(522)가 실장된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521)에는 다른 여러 가지 부품들과 이들을 연결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전극 패턴이 구비되는데, 이들 중 부피와 무게가 가장 큰 것이 1차 승압 트랜스(522), 즉 트랜스포머(Transformer)다. 상기 1차 승압 트랜스(522)에서 기판에 가까운 그 전극 부분은 절연 몰딩부(52B)를 형성하는 절연성 충전재에 의해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521) 상의 전극 패턴 및 높이가 낮은 소자들과 함께 덮이고, 그 윗 부분은 상기 절연 몰딩부(52B) 밖으로 노출된다.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functions as a primary boosting portion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2 functions as a secondary boosting portion.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primarily boosts a predetermined DC power or AC power converted through the inverter circuit to generate a first driving voltage of about 5 to 10 kV, for example. To this end, the first driving circuit part 52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on which a first step-up transformer 522 is mounte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pattern for connecting various other parts with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to constitute a circuit. Among them, the largest volume and weight are the primary boost transformer 522, that is, a transformer )All. The electrode portion near the substrate in the first step-up transformer 522 is covered with the electrode pattern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and the low-height elements by the insulating filler forming the insulating molding portion 52B ,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molding part 52B.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52)에서 생성된 제 1 구동 전압은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게이트 전극에 스위칭 신호로서 제공되고, 2차 승압을 통해 애노드 전극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53)에도 제공된다.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53)에 포함된 제 2 인쇄회로기판(531)에는 다수의 다이오드(diode)와 커패시터(capacitor) 등으로 구성된 2차 승압부(532)가 마련된다. 상기 2차 승압부(532)는 입력 전압을 n배의 전압으로 승압하는 n배 전압 정류회로 또는 코크로프트 배전압 정류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정류와 동시에 상기 제 1 구동 전압을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애노드 전극 구동 전압인 약 65kV의 제 2 구동 전압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승압된 제 2 구동 전압은 제 2 인쇄회로기판(531) 상의 출력 단자로부터 그 상측에 가깝게 배치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531) 및 상기 2차 승압부(532)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소자들은 전부가 절연성 충전재에 매몰되어 또 하나의 절연 몰딩부(53B)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구동 회로부(53)는 전술한 제 1 구동 회로부(5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십 kV의 전압을 다루므로 절연성 충전재로 완전히 덮이는 것이 절연 안정성과 수명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The first driving voltage generated by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is provided as a switching signal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and the second driving voltage is su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field emission X- And is also provided in the drive circuit portion 53.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included in the second driving circuit unit 53 is provided with a secondary step-up unit 532 including a plurality of diodes and capacitors. The secondary boosting unit 532 may be configured as an n-times voltage rectifying circuit or a nocouple voltage rectifying circuit for boosting the input voltage to a voltage of n times. This rectifier can simultaneously increase the first driving voltage to a second driving voltage of about 65 kV, which is the anode electrode driving voltag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The second driving voltage thus boosted is supplied from the output terminal o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arranged close to the upper side. Most of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and the second step-up part 532 are buried in the insulating filler to form another insulating molding part 53B.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covers a voltage of several tens kV,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insulating filler for improving the insulation stability and lifetime.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0)를 경량화 관점에서 보면,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구동 회로를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구동 회로부(52)와 더 높은 고 전압을 다루는 제 2 구동 회로부(53)로 구분하고, 더 안정적인 절연 성능이 요구되는 제 2 구동 회로부(53) 쪽에 더 깊은 절연 몰딩부(53B)를 형성하고, 제 1 구동 회로부(52) 쪽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521)과 그 전극 패턴 등을 덮은 정도의 얕은 절연 몰딩부(52B)를 형성하여 절연 충전재에 의한 무게 증가를 경감시켰다.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irst driving circuit 52 for generating a relatively low voltage and a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field emission X- A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for dealing with a high voltage and a deeper insulating molding portion 53B on the side of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which requires a more stable insulation performance and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A shallow insulation molding part 52B cover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and its electrode pattern is formed to reduce the weight increase due to the insulating filler.

한편, 다시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0)를 소형화 관점에서 보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부품인 1차 승압 트랜스(522)가 설치된 제 1 구동 회로부(52)를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전방 쪽으로 배치하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의 각도가 상기 엑스선 방출 콘(60)의 외부 각도를 따라 기울어지며 확보된 그 하부의 공간을 활용하였다. 또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에 대한 제 1 인쇄회로기판(521)과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의 높이를 다르게 배치하였는데,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을 상대적으로 더 높게 배치하여 역시 그 하부에 공간이 더 확보되도록 한 것이다. In view of miniaturization of the portable X-ray radiating device 100,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provided with the first booster transformer 522, which is a relatively bulky component, is moved toward the front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And the angl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is inclined along the outer angle of the X-ray emitting cone 60 to utilize the secured space below.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with respect to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However,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is arranged at a relatively higher height But also to have more space underneath.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다. 2 shows an internal structure of a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1)는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0)의 구성, 특히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portable X-ray emit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 specific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and only the add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101)는 전술한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의 프레임 상부에 엑스선 방출 콘(60)을 회피하여 세워진 브라켓 구조물(58)과 상기 브라켓 구조물(58)에 고정된 제 3 인쇄회로기판(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4)은 직류 전원인 배터리팩(15)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인쇄회로기판(54)에는 별도의 절연 몰딩이 요구되지 않는다. The apparatus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racket structure 58 erected by avoiding the X-ray emitting cone 60 on the frame of the above-described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and a third bracket frame 58 fixed to the bracket structure 58. [ And may further comprise a printed circuit board (54).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4 may include an inverter circuit for conver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pack 15, which is a DC power source, into AC. No separate insulation molding is required for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4.

또한, 본 실시예에서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의 후방에는 제 4 인쇄회로기판(5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인쇄회로기판(55)은 사용자 조작 인터페이스(57)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56)과 연결되어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고, 작동 모드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4 인쇄회로기판(55) 역시 상기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의 프레임에 브라켓 구조물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제 4 인쇄회로기판과 컨트롤 패널이 상기 제 3 인쇄회로기판(54)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나, 몸체부(11)의 측면을 향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a fourth printed circuit board 55 may be disposed behind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The fourth printed circuit board 55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connected to a control panel 56 including a user operation interface 57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and to control operation modes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the fourth printed circuit board 55 may also be coupled to the frame of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through a bracket structure.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fourth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ntrol panel are disposed on the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4 or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1.

도 3은 상기 도 1 또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의 한 예를 보인다. FIG. 3 shows an example of an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in the embodiment of FIG. 1 or FIG.

본 도면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를 그 상측 후방에서 본 모습을 보인다. 가운데에 엑스선 소스 수용부(51)가 있고, 그 가운데에 전방을 향해 열린 윈도우(511)가 보인다. 상기 엑스선 소스 수용부(51)의 한 측단에는 그 내부에 배치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애노드 전극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그 프레임(50F) 외부로 돌출된 방열부(4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부(411)는 전기 절연성이면서 열전도도가 우수한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5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0F)는 전술한 윈도우(511)와 방열부(411)를 제외하고는 상면과 측면부를 둘러싸도록, 그리고 그 하면부는 개방되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This figure shows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viewed from the upper rear side thereof. There is an X-ray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51 in the center, and a window 511 opened toward the front is shown in the center. One side of the X-ray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51 is provided with a heat radiating portion 411 protruding out of the frame 50F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from the anode electrod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disposed inside thereof to the outside . The heat dissipation unit 411 may be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that is electrically insulative and ha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In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0, the frame 50F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surround the upper and side surfaces except for the window 511 and the heat dissipating unit 411, and to open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50F .

도 4는 상기 도 3의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of FIG. 3 in an opposite direction.

본 도면에는 프레임(50F)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절연 몰딩을 위한 절연성 충전물은 표시되지 않았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0F)에서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52)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더 얕게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53)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다. 또한, 엑스선 소스 수용부(51)는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53)에 해당하는 부분의 안쪽에 더 깊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50F)에서 제 1 구동 회로부(52) 안쪽에는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을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 구조물(523)이 마련되고, 제 2 구동 회로부(53) 안쪽에도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을 안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보스 구조물(533)이 마련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엑스선 소스 수용부(51) 내부에도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입체 구조물이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다수의 보스 구조물(523, 533)은 각각 제 1 인쇄회로기판(521)이 고정된 상태, 그리고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이 고정된 상태에서 유동성 있는 상태의 절연성 충전재가 주입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521, 531)의 양면이 절연성 충전재로 채워지도록 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In this figure, an insulating filler for an insulating molding is not shown to help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ame 50F.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in the frame 50F is relatively shallower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is formed relatively deeper do. In addition, the X-ray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51 is formed deeper inside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A plurality of boss structures 523 for fixing and fix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are provided inside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in the frame 50F, A plurality of boss structures 533 for seating and fix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531 are provided. Although not show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 supporting a part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may be provided in the X-ray source accommodating portion 51 as well. The plurality of boss structures 523 and 533 described above are formed such that whe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is fixed and the insulating filler in a fluid state is injected in a state where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is fixed , A space is formed so that both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rinted circuit boards (521, 531) are filled with an insulating filler.

절연성 충전재로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제 1 인쇄회로기판(521)과 제 2 인쇄회로기판(531) 및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가 서로 배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전술한 프레임(50F) 내측의 공간에 배치되고, 그 위에 유동성 있는 에폭시 수지가 주입된다. 프레임(50F)에서 이들을 각각 수용하는 부분의 측벽 높이 등에 따라 의도된 깊이로 절연성 충전재인 에폭시 수지가 채워지고 경화되면, 절연 몰딩부(52B, 53B)가 형성되는 것이다. As the insulating filler, for example, an epoxy resin may be use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1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and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are arranged in a space inside the above-described frame 50F in a state where they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Epoxy resin is injected. The insulating molding portions 52B and 53B are formed when epoxy resin, which is an insulating filler, is filled and hardened at an intended depth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idewall of the portion respectively accommodating them in the frame 50F.

도 5는 상기 도 3의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를 반대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of FIG. 3 in an opposite direction.

본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동 회로부(52) 내의 절연 몰딩부(52B)는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양면과 그 표면에 실장된 작은 크기의 소자들을 덮는 정도의 얕은 깊이로 형성되고, 그 결과 1차 승압 트랜스(522)의 전극 부분은 상기 절연 몰딩부(52B) 내부에 잠기나 그 반대쪽 일부는 그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제 2 구동 회로부(53) 내의 절연 몰딩부(53B)는 도 4에 도시된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은 물론 그 위에 실장된 2차 승압부(532) 전부가 잠길 정도로 깊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몰딩부(52B, 53B)의 깊이는 전술한 프레임(50F)의 해당 부분 측벽 높이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50F)에서 제 2 구동 회로부(53)를 둘러싸는 측벽은 제 1 구동 회로부(52)를 둘러싸는 측벽에 비해 각각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sulating molding portion 52B in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is formed to have a shallow depth enough to cover the both surfaces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mall-sized elements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he electrode portion of the secondary step-up transformer 522 is submerged in the insulating molding portion 52B, and a portion of the opposite 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ng molding part 53B in the second driving circuit part 53 is formed deep enough to lock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shown in FIG. 4 and the second step-up part 532 mounted o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epths of the insulating molding parts 52B and 53B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dewall height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frame 50F. In other words, the side walls surrounding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53 in the frame 50F can be formed to be relatively higher from the respective bottom surfaces than the side walls surrounding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52.

도 6은 상기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무게 배분의 관점에서 보인다. 6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2 in terms of weight distribution.

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101)는 그 손잡이부(13)를 사용자가 한 손(H)으로 파지한 상태로 그 무게를 가누며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위해서 주요 부품들을 경량화함은 물론이고, 전/후방, 상/하, 좌/우의 적절한 무게 배분을 통해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아도 장치 자체로서 균형을 잡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 배분을 고려한 부품의 배치가 장치의 소형화에 역행하지 않도록 한 점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The portable X-ray radiating apparatus 10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igned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handle 13 by grasping the handle 13 with the hand H hel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not only the main parts are lightened but also the device itself can be balanced even if no extra force is applied through proper weight distribution of the front / rear, top / bottom, left / right. It is also one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 distribution does not go against the downsizing of the apparatus.

장치 내에서 구성 요소의 배치에 관해서 지켜져야 할 제한 조건이 있는데, 엑스선 빔이 방출되는 초점으로부터 엑스선 빔이 장치 외부로 방출되기까지의 거리, 즉 전술한 원통형 시준부(12)의 전단부로부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의 중심부까지의 거리(D)가 200mm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상기 원통형 시준부(12)는 그 내부로부터 외부로 제어되지 않은 엑스선 빔이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원통형 시준부(12)와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 사이에 배치된 엑스선 방출 콘(60)도 넓은 범위로 방사되는 엑스선을 일정한 각도 범위의 빔 형태로 통제하는 역할을 하므로, 납 또는 산화 비스무트(Bismuth Oxide) 등의 엑스선 차폐 물질로 이루어진 엑스선 차폐층 포함한다. 이러한 엑스선 차폐층은 해당 부품의 중량 증가 요인이 된다. There are limitations on the placement of the components in the device, which are the distance from the focal spot where the x-ray beam is emitted to the time the x-ray beam is emitted outside the device, i.e.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above- The distance D to the central part of the emitting X-ray source 40 should be secured to 200 mm or more. The cylindrical collimating unit 12 shields the uncontrolled x-ray beam from being emitted from the inside thereof to the outside and emits x-rays emitted from the cylindrical collimating unit 12 and the field emission x- The cone 60 also includes a x-ray shielding layer made of x-ray shielding material such as lead or bismuth oxide since it serves to control the x-rays emitted in a wide range in a beam shape of a certain angle range. This x-ray shielding layer is a factor of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component.

상기 원통형 시준부(12)와 상기 엑스선 방출 콘(60)은 그 무게 중심이 손잡이부(13)의 중심선(HP)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에 위치한다. 이들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는 부분이 제 2 인쇄회로기판(531)이 내재된 절연 몰딩부(53B)이다. 다수의 다이오드 및 커패시터는 물론 이들 사이를 채우는 절연성 충전물의 중량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40) 자체도 금속 전극과 세라믹 스페이서 등으로 구성되므로 어느 상기 중심선(HP) 후방의 무게를 가중하는 부분으로 작용한다. The cylindrical collimating unit 12 and the X-ray emitting cone 60 are positioned forward when viewed from the center line HP of the handle 13. And a part thereof which is balanced with the weight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is an insulating molding part 53B in which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1 is embedded. This is because a large number of diodes and capacitors as well as the insulating fill that fills them are heavy. Of course, since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40 itself is constituted by a metal electrode and a ceramic spacer, it functions as a weighting portion behind the center line HP.

한편, 무게가 많이 나가는 또 하나의 부품으로 1차 승압 트랜스(522)를 들 수 있다. 상기 1차 승압 트랜스(522)에는 많은 양의 구리선이 감겨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차 승압 트랜스(522)는 손잡이부(13)의 중심선(HP)이 지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1차 승압 트랜스(522)의 무게 중심(522C)이 상기 중심선(HP)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3) 하부에서 배터리팩(15) 역시 상기 손잡이부(13)의 중심선(HP)이 지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 무게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부품들이 사용자의 손(H)으로 파지되는 손잡이부(13)의 중심선(HP) 상에 또는 그에 가깝게 모일수록 균형을 유지하기 쉬워져서 유리하다. 한편, 전술한 인버터 회로나 컨트롤 회로 등은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상기 중심선(HP)으로부터 다소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tep-up transformer 522 is another component that is heavy in weight. This is because a large amount of copper wire is wound around the primary step-up transformer 52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imary step-up transformer 522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center line HP of the handle 13 passes.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center of gravity 522C of the primary step-up transformer 522 may be disposed on the center line HP. The battery pack 15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elow the handle 13 at a position where the center line HP of the handle 13 passes. It is advantageous that the parts that occupy a high proportion of the weight of the apparatus are easily balanced on or near the center line HP of the grip 13 gripped by the user's hand H,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verter circuit, the control circuit,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are relatively light in weight, they may be disposed somewhat farther from the center line HP.

11: 몸체부
12: 원통형 시준부 13: 손잡이부
14: 트리거형 스위치 15: 배터리팩
40: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411: 방열부
50: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 51: 엑스선 소스 수용부
52: 제 1 구동 회로부 521: 제 1 인쇄회로기판
522: 1차 승압 트랜스 53: 제 2 구동 회로부
531: 제 2 인쇄회로기판 532: 2차 승압부
54: 제 3 인쇄회로기판 55: 제 4 인쇄회로기판
11:
12: Cylindrical collimating part 13: Handle part
14: Trigger type switch 15: Battery pack
40: Field emission X-ray source 411:
50: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51: X-ray source accommodating part
52: first driving circuit part 521: first printed circuit board
522: primary boost transformer 53: second drive circuit part
531: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532: second boosting unit
54: third printed circuit board 55: fourth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14)

전방을 향해 엑스선을 방출하는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전방을 향해 지름이 점점 확대되는 콘(cone)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엑스선 방출점 전방에 배치되어 방출된 엑스선을 소정 각도범위의 엑스선 빔 형태로 제어하는, 엑스선 방출 콘; 및,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엑스선 방출 콘의 중심선을 포함하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의 외벽이 기울어진 각도보다 크거나 같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A field emission x-ray source emitting x-rays toward the front;
An X-ray emission cone having a cone shape whos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front and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X-ray emission point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controls the emitted X-rays in the form of an X-ray beam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nd a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a driving voltag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by using a direct current or an AC power,
The driving circuit unit includes:
An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below the X-ray emitting cone and arrang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greater than or equal to an inclined angle of the outer wall of the lower portion of the X-ray emitting cone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including a center line of the X- Including,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는,
상대적으로 전압이 낮은 제 1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구동 회로부; 및,
상대적으로 전압이 높은 제 2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제 2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를 구성하는 제 1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엑스선 방출 콘 하부에 배치된,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circuit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circuit for generating a first driving voltage having a relatively low voltage; And
And a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for generating a second driving voltage having a relatively high voltage,
Wherei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X-ray emitting cone,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승압 트랜스를 구비하여 입력 전압을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게이트 구동 전압 수준으로 승압하고,
상기 승압 트랜스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엑스선 방출 콘의 반대쪽 면에 실장된,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step-up transformer to step up an input voltage to a gate driving voltage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Wherein the step-up transformer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X-ray emitting cone i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제 1 구동 전압을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애노드 구동 전압 수준으로 승압하는 것으로,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아래에 일부가 중첩되며 후방 쪽으로 배치된 제 2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driving circuit part boosts the first driving voltage su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circuit part to an anode driving voltage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partly overlaps under the field emission X-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에 대한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치되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된,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relative to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휴대 가능한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에 있어서,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로부터 방출되는 엑스선 빔을 소정 각도범위로 형성하기 위한 엑스선 방출 콘; 및
상기 엑스선 소스를 고정하며, 상기 엑스선 소스에 전압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는 상기 엑스선 빔 방출 방향의 후방에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는 고전압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하도록 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In a portable portable x-ray emitting apparatus,
Field emission X - ray sources;
An X-ray emitting cone for forming an X-ray beam emitted from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nd an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for fixing the x-ray source and supplying voltage to the x-ray source,
Wherein the X-ray source driving assembly has a high-voltage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behind the X-ray beam emitting direction for supplying a voltage to an electrode of the X-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빔의 방출은 상기 엑스선 소스 구동 조립체의 수평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mission of the x-ray beam is at an angle to the horizontal plane of the x-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전극은 애노드 전극인,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electrode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is an anode electrode,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에는 적어도 2 단계 이상의 승압을 거친 고전압이 입력되도록 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node electrode is supplied with a high voltage that has been stepped up by at least two steps,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인쇄회로기판은 다수의 다이오드와 다수의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igh voltag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step-up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odes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의 게이트 구동 수준으로 승압하는 제 1 구동 회로부와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의 애노드 구동 수준으로 승압하는 제 2 구동 회로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igh voltag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for stepping up to a gate driving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and a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for stepping up to an anode driving level of the field emission X-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방출 엑스선 소스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보다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eld emission X-ray source is located closer to the second driving circuit than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와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는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are located on different planes,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 1 구동 회로부보다 더 많은 절연성 충전재로 둘러 쌓이도록 하는,
포터블 엑스선 방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portion is surrounded by more insulating filler than the first driving circuit portion,
Portable x-ray emitting device.
KR1020160040358A 2016-04-01 2016-04-01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KR1017919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358A KR101791906B1 (en) 2016-04-01 2016-04-01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358A KR101791906B1 (en) 2016-04-01 2016-04-01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77A true KR20170112777A (en) 2017-10-12
KR101791906B1 KR101791906B1 (en) 2017-10-31

Family

ID=6014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358A KR101791906B1 (en) 2016-04-01 2016-04-01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9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104A1 (en)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바텍 X-ray source driving circuit, and x-ray generation device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61911A (en) * 2004-04-09 2005-01-12 任冲 Laser broad angle sector crossing tube ball X-ray beam central line indic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6104A1 (en)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바텍 X-ray source driving circuit, and x-ray generation devic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906B1 (en)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734B2 (en) Portable x-ray generation device having electric field emission x-ray source
US7672432B2 (en) X-ray machine and related voltage generator
KR101427555B1 (en) X-ray device to reduce the weight and Radiation Exposure
KR101791909B1 (en)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KR101222224B1 (en) Multi array x-ray system
CN109804449B (en) X-ray source
KR101247453B1 (en) A X-ray source having the cooling and shielding function
KR101791906B1 (en)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US10568592B2 (en) X-ray module assembly for portable X-ray device
KR101791913B1 (en) Portable x-ray generating apparatus having field emission x-ray source
KR102106511B1 (en) Portable x-ray generator
KR20150114367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x-ray using replaceable x-ray source cartridge
KR102556353B1 (en) Portable X-ray generator
CN216962475U (en) Light X-ray digital imaging system
CN210009041U (en) Local secondary fluorescent radiation X-ray bulb tube
JP2022134597A (en) Radiation tube and radiation source
KR20170081875A (en) Portable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Slide Type Collimating Structure
JP2004213974A (en) X-ray source and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JPWO2020086094A5 (en)
JP2006024480A (en) X-ray tube, x-ray generating device, and x-ray insp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