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710A - 파이프 인출기 - Google Patents

파이프 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710A
KR20170112710A KR1020160040198A KR20160040198A KR20170112710A KR 20170112710 A KR20170112710 A KR 20170112710A KR 1020160040198 A KR1020160040198 A KR 1020160040198A KR 20160040198 A KR20160040198 A KR 20160040198A KR 20170112710 A KR20170112710 A KR 20170112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ver
operating member
fixing
shaf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16004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710A/ko
Publication of KR2017011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01G17/16Devices for driving-in or pulling-out p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닐하우스의 철거 또는 이동시 지반(땅속)에 매입 고착된 파이프 골조를 간단하게 이동하면서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제작한 파이프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파이프(10)가 매설된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판(20)과, 상기 받침판(20)에 수직으로 직립하여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한 지지대몸체(30)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개방된 상부측의 전후방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삽입구(31)(32)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양측으로 천공된 통공(33)(34)으로 삽입된 중심축봉(40)의 일측에는 고정너트(41)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타측에는 손으로 잡고 지지대몸체(30)를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손잡이(50)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축봉(40)을 중심공(62)을 삽입하여 형성되는 지렛대작동구(60)와, 상기 상기 중심축봉(40)에 삽입된 지렛대작동구(60)의 양측으로는 장착된 탄성스프링(42)(43) 및 지렛대작동구(60)의 일측으로 연결된 작동구손잡이(70)와, 상기 지렛대작동구(60)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연결고리(80)의 단부측에 파이프(10)를 삽입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삽입구(91)가 형성된 파이프인출구(9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인출기{A frame pipe pull out machine for vinyl house}
본 발명은 파이프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닐하우스의 철거 또는 이동시 지반(땅속)에 매입 고착된 파이프 골조를 간단하게 이동하면서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제작한 파이프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적은 설치비와 취급의 편리함으로 채소류의 속성재배 또는 열대식물의 재배를 위해 대부분이 농가에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비닐하우스는 대개 아치형의 금속 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땅속에 깊이 박아 고정하고 상부에 비닐이나 보온포 등을 덮음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비닐하우스의 개략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일정한 농토 위에 반원형으로 굴곡시킨 복수개의 지지 파이프를 고정시키며, 그 상부로 복수겹의 투명 및 반투명의 비닐지를 씌움 처리하여 실내를 긴밀하게 보온 처리한 후 수분 공급 조절 장치 및 온도조절 장치 등을 조절하면서 각종의 작물을 실내 재배하는 것이고, 최근 들어 농약 사용을 배제한 수경 재배법이 확산되면서 전술한 하우스 영농은 농토를 사용한 단순 재배를 벗어나 무공해 공법으로 씨앗의 발아에서부터 성장까지를 포함하는 다양하고도 여러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그 해체 및 지지 파이프를 일부 철거한 채 시행되는 부분적인 개/보수 작업에 있어 그 작업이 결코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즉, 금속 재질의 지지 파이프를 지면에서 인출하는데 따른 문제점이 그것으로, 지지 파이프가 지면 깊숙이 묻혀 오랜 기간이 지나게 되면 주변의 토양이 굳어져가는 것이고, 지지 파이프 하단의 산화 현상으로 흙과 밀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지 파이프를 지면 밖으로 인출시키는데, 매우 과중한 힘이 소요되는 것인바,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박혀있는 지지 파이프의 지상부를 좌/우로 흔들어 주어 지하부의 주변을 확대시킨 후 인출시키는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나, 이때 지면과 접하는 지지 파이프의 하단부가 급격하게 휘어져 재사용할 때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고, 경우에 따라 산화된 부분이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천재지변으로 파손되거나 일정기간의 사용으로 지력이 쇠퇴 되면 교체나 설치 장소를 옮기기 위해 철거를 하게 되는데 이때 장기간 설치된 비닐하우스는 땅속 깊이 박힌 금속 파이프의 양단부가 산화되면서 흙과 함께 고착되어 짐으로써 철거시 금속 파이프를 빼내기가 매우 힘들게 되어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체되고 이로 인하여 실제 농가에서 비닐하우스를 철거할 때에 많은 사람이 동원되어야 됨에 따라 인건비가 과다하게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63455호의 "비닐하우스용 골조 파이프 인출기"가 공개 되었으나, 상기 구성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삼각지지대(1)(1')를 연결간(2)(2')으로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대향 입설한 상단의 횡간(3)(3')에 지렛대 삽입관(4)을 상면에 교착시킨 받침관(5)을 회전 가능하게 끼우고 지렛대 삽입관(4)의 선단에 체인(6)을 연결시킨 지렛대 작동부(100)와, 상기 지렛대 작동부(100)의 체인(6)에 연결되는 고리(7)를 융착한 지지간(8)의 돌봉(9)(9')에 파이프를 협지하는 한 쌍의 반원형 협지곡판(10)(10')을 자재롭게 끼워 대설한 파이프 협지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은 삼각지지대, 연결관, 지지간, 돌봉, 반원형 협지곡판 등의 부품이 많이 사용되므로 제작작업이 복잡하여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를 인출한 후, 다른 파이프를 인출하기 위하여 이동하는데에도 인출기의 무게가 무거워서 작업자에게 무리를 가져오게 되므로 오랜 작업을 하기에는 부적당한 것이었다.
(KR) 등록실용신안 제20-0263455호 (KR)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28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지지대작동구와 일체로 연결된 파이프인출구의 파이프삽입구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지지대 작동구와 타측에 연결된 작동구손잡이를 하향시켜주면, 작동구손잡이를 장착한 중심축봉을 중심으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파이프인출구가 상향하면 파이프가 윗쪽으로 힘을 받아 땅속으로부터 쉽게 뽑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철거 또는 이동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파이프 인출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인출기의 지지대몸체 일측으로 고정손잡이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고정손잡이를 잡고 누른 상태에서 작동구손잡이를 하향하게 되면, 지지대몸체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파이프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인출기의 일측으로 형성된 고정손잡이를 잡고 간편하게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0)가 매설된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판(20)과,
상기 받침판(20)에 수직으로 직립하여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한 지지대몸체(30)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개방된 상부측의 전후방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삽입구(31)(32)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양측으로 천공된 통공(33)(34)으로 삽입된 중심축봉(40)의 일측에는 고정너트(41)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타측에는 손으로 잡고 지지대몸체(30)를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손잡이(50)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축봉(40)을 중심공(62)을 삽입하여 형성되는 지렛대작동구(60)와,
상기 중심축봉(40)에 삽입된 지렛대작동구(60)의 양측으로는 장착된 탄성스프링(42)(43) 및 지렛대작동구(60)의 일측으로 연결된 작동구손잡이(70)와,
상기 지렛대작동구(60)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연결고리(80)의 단부측에 파이프(10)를 삽입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삽입구(91)가 형성된 파이프인출구(9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파이프인출구(90)의 일측으로 천공된 고정공(92)과 지렛대작동구(60)의 단부측에 천공된 고정공(61)에 각각 중간연결구(100)(1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볼트(101)(111)를 장착하여 고정하고, 중간연결구(100)(11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볼트(102)(112)에는 연결고리(80)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지렛대작동구(60)와 연결고리(80) 및 파이프인출구(90)가 일체로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파이프인출구(90)의 일측에 천공된 고정공(92)의 단부측으로 ㄷ자형삽입구(93)를 형성하여 상기 ㄷ자형삽입구(93)에는 지렛대작동구(60)를 삽입하고, 상기 ㄷ자형삽입구(93)에 천공된 고정공(93a)과 지렛대작동구(60)에 천공된 고정공(61)으로 연결볼트(111)를 삽입하여 지렛대작동구(60)의 단부측에 직접 파이프인출구(90)를 연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지렛대작동구와 일체로 연결되는 파이프삽입구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작업자가 고정손잡이를 잡고 누른 상태에서 작동구손잡이를 하향하게 되면, 간단하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파이프가 윗쪽으로 힘을 받아 땅속으로부터 쉽게 뽑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닐하우스의 철거 또는 이동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작업에 따른 많은 작업 인원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인출기를 이동할 때, 지지대몸체의 일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손잡이를 잡고 파이프가 설치된 장소로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이동하여 파이프 인출작업을 연속하여 시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인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인출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인출기를 구성하는 파이프인출구의 파이프삽입구에 파이를 삽입하여 파이프를 인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인출기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인출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지렛대작동구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주된 요지는 파이프 인출기를 이용하여 지반에 매입된 파이프 골조를 지렛대원리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출함과 동시에 이동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손잡이를 지지대본체의 일측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주된 구성은 지반에 안착되는 지지대몸체(30)와, 상기 지지대몸체(30)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50)와 일체로 결합된 지렛대작동구(60)와, 상기 지렛대작동구(60)와 연결된 연결고리(80) 및 상기 연결고리(80)와 결합되는 파이프인출구(90)를 조합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주된 요지의 각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지대본체의 구성
지지대몸체(30)는 도 2 내지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반에 안착하여 지반에 매설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10) 등을 외부로 인출하여 파이프(10)를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반에 밀착하여 안착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받침판(2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20)의 중앙 상부측으로 직립하여 원형 또는 각형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 후방에는 절결하여 삽입구(31)(32)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통공(33)(34)이 천공된 지지대몸체(30)를 구성한다.
2. 중심축봉의 구성
지지대몸체(30)의 양측에 천공된 통공(33)(34)으로 중심축봉(40)이 삽입되어 고정너트(41)로 체결하여 고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중심축봉(40)의 일측에는 고정손잡이(50)가 형성되어. 고정손잡이(50)를 잡고 지지대몸체(30)를 지지하면서 지지대몸체(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3. 지렛대작동구의 구성
지렛대작동구(6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몸체(30)의 상부측에 장착하여 지렛대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지지대몸체(30)의 상부측에 장착된 중심축봉(40)에 결합하여 중심축봉(40)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한 구성이다.
즉, 지지대몸체(30)의 상부측으로 개방되고, 또 전,후방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삽입구(31)(32)에 삽입할 수 있도록, 납작한 판형상으로 중앙부에는 중심공(62)이 천공된 지렛대작동구(60)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렛대작동구(60)의 중심공(62)을 지지대몸체(30)에 통공(33)(34)으로 삽입하여 고정너트(41)로 고정하여 장착된 중심축봉(40)에 결합하면, 지렛대작동구(60)는 중심축봉을 중심으로 지렛대의 원리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렛대작동구(60)의 일측에는 작동구손잡이(7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끝단부의 고정공(61)에는 중간연결구(110)가 일측의 연결볼트(111)에 의해 연결되고, 중간연결구(110) 타측의 연결볼트(112)에는 연결고리(80)가 연결되어 있다.
4. 파이프인출구의 구성
파이프인출구(90)는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파이프(1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지반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삽입구(91)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파이프삽입구(91)에 파이프(10)를 삽입하게 되면, 파이프인출구(90)가 상승함과 동시에 경사지면서, 파이프삽입구(91)에 삽입된 파이프(10)를 경사지게 대각선(상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으로 맞물어서 잡아주기 때문에, 파이프(10)는 파이프삽입구(91)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이프인출구(90)의 일측에는 고정공(92)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공(92)에는 연결고리(80)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연결구(100)의 연결볼트(101)가 연결된다. 그뿐만 아니라 중간연결구(10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볼트(102)에는 연결고리(80)가 연결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지렛대작동구(60)와 연결된 중간연결구(110)의 타측 연결볼트(112)와, 파이프인출구(90)의 고정공(92)에 연결된 중간연결구(100)의 타측 연결볼트(102)에는 연결고리(80)가 연결되어 지렛대작동구(60)와 연결고리(80) 및 파이프인출구(90)는 일체로 연결하여 구성이 되는 것이다.
5. 작동 실시예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판(20)과 일체로 결합된 지지대몸체(30)의 전,후방에 형성된 삽입구(31)(32에 지렛대작동구(60)를 삽입한 후, 지지대몸체(30)의 상부측 양측으로 천공된 통공(33)(34)에 중심축봉(40)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중심축봉(40)은 지렛대작동구(60)의 중심공(62)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중심축봉(40)의 단부측에는 고정너트(41)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중심축봉(40)에 결합된 지렛대작동구(60)의 양측에는 탄성스프링(43)(43)이 장착되어 있어 지렛대작동구(60)가 좌,우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봉(40)의 일측에는 고정손잡이(50)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중심축봉(40)에 결합된 지렛대작동구(60)의 단부측에 결합된 연결고리(80)와 연결하여 파이프(10)를 삽입하여 인출할 수 있는 파이프인출구(9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이프인출구(90)의 파이프삽입구(91)에 파이프(10)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왼손으로는 지지대몸체(30)에 삽입장착된 중심축봉(40)의 일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손잡이(50)를 잡고 눌러 줌과 동시에 지지대몸체(30)의 중심축봉(40)에 장착된 지렛대작동구(60)의 작동구손잡이(70)를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하게 되면, 지렛대작동구(60)는 지렛대원리에 의해 단부측을 상향하여 연결고리(80)와 연결되어 파이프(10)를 삽입하고 있는 파이프인출구(90)를 상향하여 파이프(10)를 지반에서 간단하게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이프인출기를 이동할 때에는 고정손잡이(50)를 잡고 간단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몸체(30)의 상부에 간단하게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지렛대작동구(60)를 장착하여 작동구손잡이(70)를 하향하여 지렛대작동구(60)의 단부측에 연결된 파이프인출구(90)의 파이프삽입구(91)에 삽입된 파이프(10)를 간단하게 인출할 수가 있는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동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인출구를 직접 연결고리에 연결하지 않고 지렛대작동구의 단부측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파이프인출구(90)의 일측에 천공된 고정공(92)은 중간연결구(100)에 의해 연결고리(80)를 연결할 수 있지만, 고정공(92)의 단부측으로 ㄷ자형삽입구(93)를 형성하여 상기 ㄷ자형삽입구(93)에는 지렛대작동구(60)를 삽입하고, 상기 ㄷ자형삽입구(93)에 천공된 고정공(93a)과 지렛대작동구(60)에 천공된 고정공(61)으로 연결볼트(111)를 삽입하여 지렛대작동구(60)의 단부측에 직접 파이프인출구(90)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파이프 20. 받침판
30. 지지대몸체 31, 32. 삽입구
33, 34. 통공 40. 충심축봉
41. 고정너트 42, 43. 탄성스프링
50. 고정손잡이 60. 지렛대작동구
61. 고정공 70. 작동구손잡이
80. 연결고리 90. 파이프인출구
91. 파이프삽입구 92. 고정공
93. ㄷ자형삽입구 93a. 고정공
100, 110. 중간연결구 101, 111, 102, 112. 연결너트

Claims (3)

  1. 파이프(10)가 매설된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받침판(20)과,
    상기 받침판(20)에 수직으로 직립하여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한 지지대몸체(30)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개방된 상부측의 전후방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삽입구(31)(32)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양측으로 천공된 통공(33)(34)으로 삽입된 중심축봉(40)의 일측에는 고정너트(41)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타측에는 손으로 잡고 지지대몸체(30)를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손잡이(50)와,
    상기 지지대몸체(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축봉(40)을 중심공(62)을 삽입하여 형성되는 지렛대작동구(60)와,
    상기 중심축봉(40)에 삽입된 지렛대작동구(60)의 양측으로는 장착된 탄성스프링(42)(43) 및 지렛대작동구(60)의 일측으로 연결된 작동구손잡이(70)와,
    상기 지렛대작동구(60)의 타측으로 형성되어 연결되는 연결고리(80)의 단부측에 파이프(10)를 삽입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삽입구(91)가 형성된 파이프인출구(9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인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인출구(90)의 일측으로 천공된 고정공(92)과 지렛대작동구(60)의 단부측에 천공된 고정공(61)에 각각 중간연결구(100)(1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볼트(101)(111)를 장착하여 고정하고, 중간연결구(100)(11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볼트(102)(112)에는 연결고리(80)를 각각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지렛대작동구(60)와 연결고리(80) 및 파이프인출구(90)가 일체로 연결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인출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인출구(90)의 일측에 천공된 고정공(92)의 단부측으로 ㄷ자형삽입구(93)를 형성하여 상기 ㄷ자형삽입구(93)에는 지렛대작동구(60)를 삽입하고, 상기 ㄷ자형삽입구(93)에 천공된 고정공(93a)과 지렛대작동구(60)에 천공된 고정공(61)으로 연결볼트(111)를 삽입하여 지렛대작동구(60)의 단부측에 직접 파이프인출구(90)를 연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인출기.
KR1020160040198A 2016-04-01 2016-04-01 파이프 인출기 KR20170112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98A KR20170112710A (ko) 2016-04-01 2016-04-01 파이프 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198A KR20170112710A (ko) 2016-04-01 2016-04-01 파이프 인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10A true KR20170112710A (ko) 2017-10-12

Family

ID=6014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98A KR20170112710A (ko) 2016-04-01 2016-04-01 파이프 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7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2758A (zh) * 2019-05-06 2019-07-16 南京林业大学 一种农用大棚钢管安装装置
KR200489763Y1 (ko) * 2019-03-08 2019-08-05 황송환 작물 지주대 발취기
KR102083512B1 (ko) 2019-01-16 2020-03-02 박영태 매설 배관 인출 및 교체장치
KR102357454B1 (ko) * 2021-09-02 2022-02-08 오영철 에어컨배관 인출용 스크류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512B1 (ko) 2019-01-16 2020-03-02 박영태 매설 배관 인출 및 교체장치
KR200489763Y1 (ko) * 2019-03-08 2019-08-05 황송환 작물 지주대 발취기
CN110012758A (zh) * 2019-05-06 2019-07-16 南京林业大学 一种农用大棚钢管安装装置
KR102357454B1 (ko) * 2021-09-02 2022-02-08 오영철 에어컨배관 인출용 스크류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2710A (ko) 파이프 인출기
CN204560128U (zh) 多功能挖掘工具
KR101582325B1 (ko) 비닐하우스 철거장치
JP2008113641A (ja) 植木移植用バケット
CN203446305U (zh) 一种农田用浇水、农药喷洒装置
CN201430776Y (zh) 棉花拔杆器
CN210641740U (zh) 一种花卉苗木的移栽装置
CN210238507U (zh) 一种园林用简易省力拔桩装置
KR20150115162A (ko) 비닐하우스용 철재파이프 분리기
CN108496470A (zh) 一种柚子栽培取土装置
RU2455809C1 (ru) Лопата штыковая с опорным рычагом конструкции землякова н.в.
CN211083086U (zh) 一种园林绿化水管固定器
CN203040336U (zh) 一种树木深灌漏斗
CN206515083U (zh) 一种多功能土壤采集装置
CN2914618Y (zh) 播种用土壤打孔器
CN204796361U (zh) 一种农业种植用铺管覆膜装置
CN203523281U (zh) 一种地膜覆盖田点播挖穴器
CN205389325U (zh) 一种方便使用的农业两用锄头
CN212937135U (zh) 一种植物移栽工具
KR20130114891A (ko) 비닐하우스 골조파이프 제거기
KR100463218B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파이프 인출기
CN209134830U (zh) 一种棉花秸秆拔除器
CN215898522U (zh) 一种插竹竿辅助工具
CN209964581U (zh) 一种快速种植松土装置
CN212026395U (zh) 一种地槽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