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83A - 터치 센서 적층체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83A
KR20170112483A KR1020160039567A KR20160039567A KR20170112483A KR 20170112483 A KR20170112483 A KR 20170112483A KR 1020160039567 A KR1020160039567 A KR 1020160039567A KR 20160039567 A KR20160039567 A KR 20160039567A KR 20170112483 A KR20170112483 A KR 20170112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layer
peeling
film
carri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훈
김상국
박성환
박승준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483A/ko
Publication of KR2017011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기판; 상기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점착층을 통해 부착된 박리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은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에 대한 박리력 이상이고, UV 조사에 의해 0.1N/25mm 이하로 저하됨으로써,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며, 박리 필름의 박리시에 터치 센서의 크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적층체{TOUCH SENSOR LAMINATE}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터치입력방식이 차세대 입력방식으로 각광받으면서 좀더 다양한 전자기기에 터치입력방식을 도입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고 정확한 터치인식이 가능한 터치센서에 대한 연구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기기의 경우 초경량, 저전력을 달성하고 휴대성이 향상된 초박막의 유연성 디스플레이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으면서 이러한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한 터치센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유연성 디스플레이란 특성의 손실 없이 휘거나 구부리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상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유연성 LCD, 유연성 OLED, 및 전자종이와 같은 형태로 기술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유연성 디스플레이에 터치입력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휘어짐 및 복원력이 우수하고 유연성 및 신축성이 뛰어난 터치센서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유연성 디스플레이 제조를 위한 필름 터치 센서에 관하여 투명 수지 기재 중에 매설된 배선을 포함하는 배선 기판이 제시되고 있다.
캐리어 기판상에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배선형성공정과, 상기 금속 배선을 덮도록 투명 수지 용액을 도포 건조하여 투명 수지 기재를 형성하는 적층 공정 및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투명 수지 기재를 박리시키는 박리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서는 박리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실리콘 수지나 불소수지와 같은 유기 박리재,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iamond Like Carbon, DLC) 박막, 산화 지르코늄 박막 등의 무기 박리재를 기판의 표면에 미리 형성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무기 박리재를 이용하는 경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기재 및 금속 배선을 박리시킬 때, 배선 및 기재의 박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기판 표면에 금속 배선 및 기재의 일부가 잔류하는 문제가 있으며, 박리재로 사용된 유기 물질이 배선 및 기재의 표면에 묻어 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191865호에서 제시되고 있는 방법은, 금속 배선이 매립된 형태의 유연기판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빛이나 용매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희생층, 금속 배선 및 고분자 물질(유연기판)을 캐리어 기판상에 형성시킨 후, 빛이나 용매를 이용하여 희생층을 제거함으로써 금속 배선 및 고분자 물질(유연기판)을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박리시킨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대형 사이즈에서의 희생층 제거 공정이 어렵고, 금속 배선이 용매 등 약액에 직접 노출되며, 고온 공정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필름 기재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박리시에 필름 터치 센서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보호층, 절연층 등이 파손되는 문제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91865호
본 발명은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 터치 센서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캐리어 기판;
상기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점착층을 통해 부착된 박리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은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에 대한 박리력 이상이고, UV 조사에 의해 0.1N/25mm 이하로 저하되는 터치 센서 적층체.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캐리어 기판에 접하는 분리층 및 상기 분리층 상에 배치된 전극 패턴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적층체.
3. 위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분리층과 전극 패턴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전극 패턴층이 배치된 보호층 상에 부착된 기재 필름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적층체.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인장 탄성율이 2.8 내지 4.5GPa인 터치 센서 적층체.
5. 위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에 대한 박리력은 0.1 N/25mm 내지 3N/25mm이고, 상기 점착층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은 0.1N/25mm 내지 20N/25mm인 터치 센서 적층체.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는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는 박리 필름의 박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터치 센서의 크랙을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터치 센서 적층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제조 공정의 각 공정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캐리어 기판; 상기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점착층을 통해 부착된 박리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은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에 대한 박리력 이상이고, UV 조사에 의해 0.1N/25mm 이하로 저하됨으로써,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며, 박리 필름의 박리시에 터치 센서의 크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는 캐리어 기판(10), 터치 센서 및 박리 필름(90)을 포함한다.
캐리어 기판(10)으로는 공정 중에 쉽게 휘거나 뒤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적정 강도를 제공하며 열이나 화학 처리에 영향이 거의 없는 재료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글라스, 석영, 실리콘 웨이퍼, 서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라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캐리어 기판(1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캐리어 기판(10) 상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캐리어 기판(10) 상에 형성되고, 이후, 박리 필름(90)을 부착하여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이 때, 터치 센서가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도록, 터치 센서는 캐리어 기판(10)과 접하는 면에 분리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층(20)은 제조된 필름 터치 센서가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면서, 분리 후에 전극 패턴층(40)을 보호한다.
분리층(20)은 고분자 유기막일 수 있으며, 상기 표면 에너지를 만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계 고분자, 폴리아믹산(polyamic acid)계 고분자, 폴리아미드(polyamide)계 고분자,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계 고분자, 폴리스타일렌(polystylene)계 고분자,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계 고분자,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henylmaleimide copolymer)계 고분자,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계 고분자,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고분자,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계 고분자,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계 고분자,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리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등의 고분자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20)은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어, 박리 시에 터치 센서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소재 중 캐리어 기판(10)에 대한 박리력이 1 N/25mm 이하인 소재, 보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기판(10)에 대한 박리력이 0.1 N/25mm 이하인 소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분리층(20)의 캐리어 기판(10)에 대한 박리력은 0.1N/25mm 내지 3N/25mm일 수 있다.
상기 분리층(20)의 두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전극 패턴층(40)을 더 포함한다.
전극 패턴층(40)은 분리층(20) 상에 위치할 수 있고, 분리층(20) 상에 배치된 보호층(30)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전극 패턴층(40)을 형성하는 전도성 물질의 종류는 당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 인듐징크옥사이드(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 갈륨징크옥사이드(GZO), 플로린틴옥사이드(FTO), 인듐틴옥사이드-은-인듐틴옥사이드(ITO-Ag-ITO), 인듐징크옥사이드-은-인듐징크옥사이드(IZO-Ag-IZO), 인듐징크틴옥사이드-은-인듐징크틴옥사이드(IZTO-Ag-IZT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은-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ZO-Ag-AZ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금속산화물류; 금(Au), 은(Ag), 구리(Cu), 몰리브덴(Mo) 및 A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금속류; 금, 은, 구리 및 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금속의 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CNT) 및 그래핀 (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탄소계 물질류; 및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및 폴리아닐린(PAN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전도성 고분자 물질류에서 선택된 재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산화물류, 금속류, 금속나노와이어 등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극 패턴층(40)은 터치 감지를 위한 센싱 전극 및 패드 전극을 포함한다.
센싱 전극은 분리층(20) 상의 센싱 영역에, 패드 전극은 분리층(20) 상의 패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센싱 전극과 패드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센싱 전극의 적어도 일부가 패드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고, 패드 전극의 적어도 일부가 센싱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센싱 영역은 필름 터치 센서에서 터치가 수행되는 표시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패드 영역은 패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분리층(20) 상의 센싱 영역은 분리층(20) 상에서 표시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패드 영역은 분리층(20) 상에서 패드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전극 패턴층(40)의 센싱 전극은 터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인 2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 방향의 전극은 서로 절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극 패턴층(40)은 절연층을 구비하고, 이에 의해 어느 한 방향의 전극은 브릿지 전극을 통해 다른 방향의 전극과 절연을 유지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싱 전극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 및 제2 방향으로 단위 패턴이 이격되어 형성된 제2 패턴, 그리고 제2 패턴의 이격된 단위 패턴을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은 브릿지 패턴과 제1 패턴의 교차부에만 섬 형상으로 위치할 수도 있고, 브릿지 패턴과 제1 패턴의 교차부를 포함하는 층에 층 형상으로 위치할 수도 있다. 절연층이 층 형상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브릿지 패턴은 절연층에 존재하는 컨택홀을 통해 제2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전극 패턴층(40)의 단위 패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예컨대 3각형, 4각형, 5각형, 6각형 또는 7각형 이상의 다각형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전극 패턴층(40)은 규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규칙 패턴이란, 패턴의 형태가 규칙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단위 패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과 같은 메쉬 형태나, 육각형과 같은 형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턴층(40)은 불규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불규칙 패턴이란 패턴의 형태가 규칙성을 갖지 아니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극 패턴층(40)의 두께는 당 분야에 공지된 범위 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0.01 내지 0.2㎛일 수 있다.
보호층(30)은 필요에 따라 분리층(20)과 전극 패턴층(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전극 패턴층(40)을 피복하여 전극 패턴층(40)을 보호하며, 본 발명의 필름 터치 센서의 제조 공정 중에 분리층(20)이 전극 패턴층(40) 형성을 위한 에천트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층(30)으로는 당 분야에 공지된 고분자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유기 절연막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3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인 것이 유연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기재 필름(70)을 더 포함한다.
기재 필름(70)은 전극 패턴층(40) 상에 점접착층(60)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고, 전극 패턴층(40) 상에 배치된 제2 보호층(50) 상에 점접착층(60)을 통해 부착될 수도 있으며, 또한, 그 반대측인 분리층(20)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기재 필름(70)으로는 당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로 제조된 투명 필름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예: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1,2-디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예: 신디오택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메틸펜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조된 필름일 수 있다.
또한, 투명 필름은 등방성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일 수 있다.
등방성 필름일 경우 면내 위상차(Ro, Ro=[(nx-ny)ⅹd], nx, ny는 필름 평면 내의 주굴절률, nz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 d는 필름 두께이다) 가 40nm 이하이고, 15nm 이하가 바람직하며, 두께방향 위상차(Rth, Rth=[(nx+ny)/2-nz]ⅹd) 가 -90nm 내지 +75nm이며, 바람직하게는 -80nm 내지 +60nm, 특히 -70nm 내지 +45nm가 바람직하다.
위상차 필름은 고분자필름의 일축 연신, 이축 연신, 고분자코팅, 액정코팅의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이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의 시야각보상, 색감개선, 빛샘개선, 색미조절 등의 광학특성 향상 및 조절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기재 필름(70)으로 편광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편광자 보호필름이 부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70)으로 보호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호필름은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80)을 포함하는 필름이거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자가점착성을 가진 필름일 수 있으며, 터치 센서 표면의 보호, 공정정 개선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기재 필름(70)의 광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70)은 JIS K7136에 따라 측정되는 전체 헤이즈값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 필름(70)의 두께는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 ㎛이다.
점접착층(60)은 점착층(80) 또는 접착층을 의미한다.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는 당 분야에 공지된 열경화 또는 광경화성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등의 열경화 또는 광경화성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보호층(50)은 필요에 따라 전극 패턴층(4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호층(50)은 절연성 소재로 형성되어, 전극 패턴층(40)의 각 패턴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전극 패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극 패턴을 회로 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기적 접속공간을 확보하거나, 기재필름 접합시의 접합불량 방지, 유연성확보, 전극 패턴의 단선방지를 위해 제2 보호층(50)은 전극 패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보호층(50)으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절연 소재가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나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혹은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요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실리콘산화물(SiOx)등의 무기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증착,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5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인 것이 부식성과 평탄성 및 유연성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인장 탄성율이 2.8 내지 4.5GPa일 수 있다. 2.8Gpa 미만이면 전극 형성 시 보호층(50)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고, 4.5Gpa 초과이면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박리 시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기재 필름(70) 상에는 점착층(80)을 통해 부착된 박리 필름(90)이 위치한다. 박리 필름(90)은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의 박리를 위한 구성으로서, 터치 센서 적층체에서 박리 필름(90)을 잡고 터치 센서를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박리하고, 박리 필름(90)을 터치 센서로부터 제거하고 나면 터치 센서가 얻어지게 된다.
박리 필름(90)으로는 당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소재로 제조된 투명 필름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예: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1,2-디페녹시에탄-4,4´-디카르복실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예: 신디오택틱(syndiotactic)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메틸펜텐),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제조된 필름일 수 있다.
박리 필름(90)은 예를 들면 인장 탄성율이 80MPa 내지 100MPa일 수 있다. 인장 탄성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박리 필름(90)의 터치 센서로부터의 박리시에 터치 센서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박리 필름(9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5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박리 필름(90)의 터치 센서로부터의 박리시에 터치 센서의 크랙을 억제할 수 있다.
박리 필름(90)은 점착층(80)을 통해 터치 센서에 부착된다.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의 박리를 위해, 점착층(80)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은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10)에 대한 박리력 이상이다. 그 박리력은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10)에 대한 박리력 이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0.1N/25mm 내지 20N/25mm일 수 있다.
다만, 터치 센서를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분리하고 난 이후에는 박리 필름(90)은 터치 센서로부터 제거되어야 하는데, 점착층(80)이 이와 같이 높은 박리력을 갖는 경우, 박리 필름(90)의 터치 센서로부터의 박리가 어렵거나, 박리 시에 터치 센서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80)은 경화 후 UV 조사에 의해 박리력이 0.1N/25mm 이하로 저하된다. 그러한 경우에 터치 센서의 손상 없이 박리 필름(90)을 용이하게 터치 센서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80)은 UV 조사에 의해 박리력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80)을 이루는 점착제 조성물로는 UV 조사에 의해 박리력이 저하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분야에 공지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광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또는 그의 산아미드 등 및 그 밖의 공중합성 코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의 모노머 및 코모노머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면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부틸에스테르, 2-에틸헥실에스테르, 옥틸에스테르, 글리시딜에스테르, 히드록시메틸에스테르, 2-히드록시에틸에스테르, 히드록시프로필에스테르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의 아미드 및 N-치환 아미드 예를 들면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산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아크릴레이트기 등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관능기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를 들 수 있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1분자 중에 2개 이상 함유하는 광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모노히드록시(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2-프로페닐-3-부테닐시아누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리방사선 중합성 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광중합성 화합물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광중합성 화합물이 0.5 내지 2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이 0.5중량부 미만이면 UV 조사 후에도 점착층의 박리력이 높고, 200중량부 초과이면 저분자량 물질의 함유량이 많아져 점착층이 UV 조사 전에도 충분한 박리력을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 가교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미힐러케톤, 벤조인, 벤질메틸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실옥심에스테르, 티옥산톤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증감제로서는,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 중 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알킬에테르화 멜라민 화합물 등의 다른 가교제, 점착 부여제(예를 들면 로진 유도체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석유 수지, 유용성 페놀 수지 등), 자외선 증감제, 가소제, 충전제, 노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8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 내지 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터치 센서 적층체는 점착층(80) 하에 언더코트층(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점착층(80)이 박리 필름(90)에 접하게 되고, 언더코트층이 박리 필름(90)의 부착 대상인 보호층(30), 제2 보호층(50) 또는 기재 필름(70)에 접하게 된다.
언더코트층은 카르복시기 함유 수지 및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아민계 경화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등의 지방족 폴리아민, 이소포론디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폴리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아미노디페닐설폰 등의 방향족 폴리아민, 직쇄상 디아민, 테트라메틸구아니딘, 트리에탄올아민, 피페리딘, 피리딘, 벤질디메틸아민 등의 2급 아민류 또는 3급 아민류, 다이머산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등의 폴리아민을 반응시켜서 얻은 폴리아미드아민, 멜라민, 아지리딘기(에틸렌이민)를 갖는 아지리딘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지리딘 화합물일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지리딘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1관능 아지리딘 화합물(예를 들면 아지리딘, 2-메틸아지리딘, 2-에틸아지리딘, 2,2-디메틸아지리딘, 2,3-디메틸아지리딘, 2-페닐아지리딘 등), 2관능 아지리딘 화합물(예를 들면 네오펜틸글리콜 디(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디(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4,4'-메틸렌디페놀 디(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 3관능 아지리딘 화합물(예를 들면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글리세릴 트리스(β-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 4관능 아지리딘 화합물(예를 들면 테트라아지리디닐메타크실릴렌디아민, 테트라아지리디닐메틸파라크실렌디아민, 테트라메틸프로판테트라아지리디닐프로피오네이트 등), 6관능 아지리딘 화합물(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3-104970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관능 아지리딘 화합물일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지는 분자 내에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는 수지를 말하고, 구체적으로는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점착층(80)과의 밀착성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지는 산가가 예를 들면 10 내지 100 ㎎KOH/g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KOH/g일 수 있다. 산가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점착층(80)과의 밀착력이 우수하다.
카르복시기 함유 수지와 아민계 경화제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카르복시기 함유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계 경화제가 3 내지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아민계 경화제 함량이 3중량부 미만이면 점착층(80)과의 밀착성이 부족할 수 있고, 30중량부 초과이면 저장 안정성이 부족할 수 있다.
언더코트층은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표면 요철이 형성되고, 이러한 요철이 점착층(80)의 계면에 뒤얽혀 리착체로의 초기 점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입자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 스티렌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등의 수지 입자나 실리카,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탄, 합성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스멕타이트 등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입자는 평균 입경이 예를 들면 0.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6㎛일 수 있다. 또한, 입자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기 함유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언더코트층은 알킬에테르화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류 등의 가교제, 폴리아닐린류, 폴리티오펜류, 폴리피롤류, 폴리푸란류, 폴리아세틸렌류, 폴리페닐렌류, 폴리페닐렌비닐렌류, 폴리아센류, 폴리티오펜비닐렌류 등의 대전방지제, 소포제, 미끄럼 방지제, 방부제, 방청제, pH 조정제, 산화방지제, 전술한 입자 이외의 안료, 염료, 활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언더코트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0.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필름 터치 센서의 제조 공정에 관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인바, 이하에서는 이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필름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먼저 도 2와 같이 캐리어 기판(10) 상에 분리층(20)을 형성한다.
캐리어 기판(10)으로는 전술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분리층(20)은 전술한 고분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층(2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분리층(20)을 형성한 이후에, 추가적인 경화 공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분리층(20)의 경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광경화 또는 열경화에 의하거나, 상기 2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 가능하다. 광경화 및 열경화를 모두 수행시 그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화 조건으로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열경화의 경우 50 내지 300℃에서 1분 내지 60분간 수행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에서 5분 내지 30분간 수행 가능하다. 광경화의 경우 0.01 내지 10J/cm2의 UV를 1초 내지 500초간 조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J/ cm2의 UV를 1초 내지 120초간 조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에, 도 3과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분리층(20) 상에 보호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30)은 전술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성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리층(20)의 형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이 사용 가능하다.
보호층(30)은 후술할 패턴들의 패터닝 등의 공정 중에 분리층(20)의 측면이 에천트 등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분리층(20)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분리층(20) 측면의 노출을 완전히 차단한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보호층(30)은 분리층(20) 측면 전부를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도 4와 같이 터치 필름 센서의 분리층(20) 윗면에 보호층(3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호층(30) 상에 전극 패턴층(40)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턴층(40)은 전술한 금속산화물류, 금속류, 나노와이어, 탄소계 물질류, 고분자 물질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 패턴층(4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물리적 증착법, 스퍼터링(Sputtering), 화학적 증착법, 플라즈마 증착법, 플라즈마 중합법, 열 증착법, 열 산화법, 양극 산화법, 클러스터 이온빔 증착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등의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극 패턴층(40)이 형성된 보호층(30) 상에 제2 보호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호층(50)은 전극 패턴층(40)의 부식을 막고, 표면을 평탄화하여 기재 필름(70)과의 접착시 미세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은 도 6과 같이, 상기 전극 패턴층(40) 상측에 기재 필름(70)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패턴층(40) 상에 점접착층(6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점접착층(60) 상에 기재 필름(70)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접착층(60)은 전술한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슬릿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 스핀 코팅법, 캐스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바 코팅법, 롤 코팅법, 와이어 바 코팅법, 딥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스크린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플렉소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잉크젯 코팅법, 디스펜서 인쇄법, 노즐 코팅법, 모세관 코팅법 등의 도포 방법에 의해 전극 패턴층(40) 상에 도포되고, 건조 또는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점접착층(60)은 전술한 탄성률 범위 및 박리력 범위를 가지는 것이 상기 박리 공정시에 필름 터치 센서의 크랙 발생 억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후,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박리 필름(90)을 점착층(80)을 통해 상기 기재 필름(70) 상에 부착한다. 박리 필름(90)은 전술한 박리 필름(90)일 수 있다.
박리 필름(90)은 점착층(80)을 통해 기재 필름(7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점착층(80)은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이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10)에 대한 박리력 이상이다. 이에, 후술하는 터치 센서의 박리 단계에서 터치 센서를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점착층(80)은 전술한 조성 및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점착층(80) 하에 언더코트층(미도시)이 더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후,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를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박리한다.
박리에 의해 도 9에 예시된 터치 센서에 박리 필름(90)이 부착된 구성이 얻어진다.
이후, 박리 필름(90)을 터치 센서로부터 박리하면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터치 센서가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박리 필름(90)의 박리 전에 박리 필름(90)측에 UV를 조사하여 박리 필름(90)의 점착층(80)의 박리력을 저하시킨 다음에 박리가 수행된다.
UV는 예를 들면 100~1,000mJ/cm2의 조건으로 조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UV 조사로 인해, 박리 필름(90)의 점착층(80)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이 0.1N/25mm 이하로 저하된다.
박리 필름(90)을 터치 센서로부터 박리할 때에도 터치 센서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박리 필름(90) 점착층(80)의 박리력을 저하시킨 다음에 박리를 수행함으로써 터치 센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두께, 탄성율, 박리력 등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터치 센서의 크랙 방지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은 기재 필름(70) 상에 박리 필름(90)을 부착하는 대신에, 전극 패턴층(40)이 형성된 보호층(30) 상에 박리 필름(90)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이 보호층(30) 상에 제2 보호층(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박리 필름(90)은 제2 보호층(5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박리 필름(9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부착될 수 있고, 이후, 분리층(20)을 캐리어 기판(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박리 필름(90) 측에 UV를 조사하여 박리 필름(90)의 점착층(80)의 박리력을 저하시킨 다음에 박리 필름(90)을 박리한다.
박리 필름(90)은 분리층(20) 상에 기재 필름(70)을 부착한 다음에 터치 센서로부터 박리될 수도 있고, 박리 필름(90)이 먼저 박리된 다음에, 분리층(20) 상에 기재 필름(70)을 부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비교예
두께 700㎛의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를 캐리어 기판으로 사용하고, 상기 캐리어 기판 상에 멜라민계 수지, 신나메이트계 수지,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터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분리층 조성물을 두께 100~600nm로 도포하여 100~130℃에서 2분간 프리베이크하고, 150~180℃에서 5분간 포스트베이크 처리하여 분리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분리층 상에 보호층 조성물(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 에폭시계 수지,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MEDG), PGMEA 및 3-메톡시부탄올을 각각 30중량부, 40중량부, 30중량부로 혼합된 용매에 고형분이 20중량부의 비율을 가지도록 제조)을 두께 2㎛로 도포하고, 230℃에서 30분간 건조 경화하여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보호층 상에 ITO를 상온 25℃ 조건에서 45nm 두께로 증착하고, ITO층을 230℃에서 30분 동안 어닐링하여 전극 패턴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전극 패턴층 상에 실리콘 절연물질(SiO2)로 두께 1.5㎛의 제2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보호층 상에 모노머 CEL2021P((3,4-Epoxycyclohenaxane)methyl 3,4-Epoxy cyclohexylcarboxyl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밀착부여제 KRM0273, 희석모노머 4-HBVE, 중합개시제 SP500, 레벨링제 KRM230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60㎛ 편광자(기재 필름)과 제2 보호층 사이에 스포이드로 도포하고, 롤 라미테이터로 압착하여 점착층의 두께가 2㎛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접착층에 10mW/cm2 세기의 자외선을 100초간 조사하여 밀착시키고, 8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 후 상온까지 방치하였다.
이후, 상기 편광자 상에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점착층을 두께 2㎛로 형성하였고, 상기 점착층 상에 실시예 1 내지 5는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 필름, MRF,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사, 인장 탄성율 90MPa)을 부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는 코포닐 N7271 (일본 합성 화학사, 고형분 40%) 100중량부, 코로네이트 L45E (일본 폴리우레탄사, 고형분 45%) 0.55중량부, 이르카큐어 184 (BASF사, 고형분 100%) 1.4중량부, 희석용매 38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박리 필름을 이용하여, 분리층을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박리시킨 다음, 박리 필름 측에 250mJ/cm2의 UV를 100초간 조사하고, 박리 필름을 박리하였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는 분리층의 두께, 베이킹 온도 등을 달리하였고, 비교예 1~3은 박리 필름으로 FUJIMORI사의 AY-638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4~5는 FUJIMORI사의 AZ671을 사용하였으며, 분리층, 박리 필름이 하기 표 1에 기재된 박리력을 갖도록 하였다.
구분 박리력 (N/25mm) 박리력 (N/25mm)
분리층 박리 필름 UV 조사후
실시예1 0.05 15 0.05
실시예2 0.08 15 0.05
실시예3 0.1 15 0.05
실시예4 1 15 0.05
실시예5 2 15 0.05
비교예1 0.05 0.08 0.08
비교예2 0.08 0.08 0.08
비교예3 0.1 0.08 0.08
비교예4 0.5 1.2 1.2
비교예5 1 1.2 1.2
터치 센서의 인장 탄성율은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인장 탄성율(GPa)
실시예1 3.71
실시예2 3.97
실시예3 3.82
실시예4 4.06
실시예5 4.20
비교예1 3.71
비교예2 3.97
비교예3 3.82
비교예4 4.06
비교예5 4.20
실험예
(1) 박리력 측정
분리층의 박리력 측정은, 캐리어 기판 상에 분리층까지만 형성한 후에, UTM autograph AG-X(1KN)로 박리속도 300mm/min, 90° 박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박리 필름의 경우, 박리 필름을 캐리어 기판 상에 전사롤로 압착하고, UTM autograph AG-X(1KN)로 박리속도 300mm/min, 90° 박리함으로써 측정하였다.
(2) 박리 가부
터치센서 기판을 제작하여 박리 필름을 이용하여 박리 가능여부를 눈으로 관측하였다.
○: 완전히 전사된 상태
△: 부분 박리가 일어난 상태
X: 전사가 되지 않은 상태
(3) 박리 크랙 평가
1) 캐리어 기판으로부터의 박리
상기예로 제조된 기판을 3M #55 tape(25mm폭/길이10cm)를 이용하여 박리하고 이때 전사된 터치 센서의 크랙 발생 여부를 눈으로 관측하였다
○:Crack이 없는 상태
△: Crack이 3개 이하의 상태
X: Crack이 3개 이상 발생한 상태
2) 박리 필름의 박리
박리 가능 여부 확인 평가와 동일한 방법으로 박리 필름을 이용하여 전사된 터치 센서를 다시 박리력 0.08N/25mm의 박리 필름을 이용하여 재전사한 상태를 현미경으로 확인하였다.
○:완전히 전사되고 터치 센서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
△: 완전히 전사되지만 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 혹은 부분 박리가 일어난 상태
X: 전사가 되지 않은 상태
구분 박리력 (N/25mm) 박리가능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박리시 크랙 박리력 (N/25mm) 박리 필름의 박리
분리층 박리필름 UV 조사후
실시예1 0.05 15 0.05
실시예2 0.08 15 0.05
실시예3 0.1 15 0.05
실시예4 1 15 0.05
실시예5 2 15 0.05
비교예1 0.05 0.08 0.08
비교예2 0.08 0.08 0.08
비교예3 0.1 0.08 × - 0.08 ×
비교예4 0.5 1.2 1.2 ×
비교예5 1 1.2 1.2 ×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터치 센서 적층체는 박리 필름의 박리가 용이하고 터치 센서의 크랙이 발생하지 않지만, 비교예는 그렇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캐리어 기판 20: 분리층
30: 보호층 40: 전극 패턴층
50: 제2 보호층 60: 점접착층
70: 기재 필름 80: 점착층
90: 박리 필름

Claims (5)

  1. 캐리어 기판;
    상기 캐리어 기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점착층을 통해 부착된 박리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은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에 대한 박리력 이상이고, UV 조사에 의해 0.1N/25mm 이하로 저하되는 터치 센서 적층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캐리어 기판에 접하는 분리층 및 상기 분리층 상에 배치된 전극 패턴층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적층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분리층과 전극 패턴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전극 패턴층이 배치된 보호층 상에 부착된 기재 필름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적층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인장 탄성율이 2.8 내지 4.5GPa인 터치 센서 적층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의 캐리어 기판에 대한 박리력은 0.1 N/25mm 내지 3N/25mm이고, 상기 점착층의 터치 센서에 대한 박리력은 0.1N/25mm 내지 20N/25mm인 터치 센서 적층체.
KR1020160039567A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적층체 KR20170112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67A KR20170112483A (ko)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적층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67A KR20170112483A (ko)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적층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83A true KR20170112483A (ko) 2017-10-12

Family

ID=6014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67A KR20170112483A (ko) 2016-03-31 2016-03-31 터치 센서 적층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4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97A1 (ko) * 2018-02-19 2019-08-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컬러필터 일체형 터치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0297A1 (ko) * 2018-02-19 2019-08-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컬러필터 일체형 터치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99619A (ko) * 2018-02-19 2019-08-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컬러필터 일체형 터치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11287913B2 (en) 2018-02-19 2022-03-29 Dongwoo Fine-Chem Co., Ltd. Color filter-integrated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0728B2 (en) Touch sensor lamin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37695B1 (ko) 필름 터치 센서
KR10230193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131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320948B2 (en) Film touch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I735419B (zh) 薄膜觸控感測器及其製造方法
KR20190044267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660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8143594A1 (ko) 투명 적층체
KR2019004342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5697B1 (ko) 필름 터치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12483A (ko) 터치 센서 적층체
KR20160073735A (ko) 터치 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85036A (ko) 필름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122579B1 (ko) 터치 센서 적층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177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04026B1 (ko)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2600A (ko) 필름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1768B1 (ko) 필름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7430B1 (ko) 플렉서블 기능성 필름과 그 제조방법
KR20190042438A (ko) 무기물층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1912583B1 (ko) 필름 터치 센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70112482A (ko) 필름 터치 센서
KR20160116627A (ko) 필름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