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665A - Tea infuser - Google Patents

Tea inf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665A
KR20170111665A KR1020160037566A KR20160037566A KR20170111665A KR 20170111665 A KR20170111665 A KR 20170111665A KR 1020160037566 A KR1020160037566 A KR 1020160037566A KR 20160037566 A KR20160037566 A KR 20160037566A KR 20170111665 A KR20170111665 A KR 20170111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main body
buoyancy
inf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5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영화
Original Assignee
진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화 filed Critical 진영화
Priority to KR102016003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665A/en
Publication of KR2017011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6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3Temperatur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 인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를 우려내기 위한 찻물에 부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꺼내기가 용이하고, 찻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 티 인퓨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는 찻잎 또는 티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통과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본체와 멀어지게 소정길이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되는 충전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부력을 갖는 부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는 사용자가 차를 우려낸 후 컵이나 용기로부터 본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어린이들이 차 문화에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찻물의 온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뜨거운 상태의 찻물에 의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inf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 infuser which can be floated on a tea for concern of a car and is easy to be taken out by a user, will b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a infus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a tea leaf or a tea bag, the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way from the main body; And a buoyant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buoyancy force, the buoyanc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lling space portion filled with air.
The tea in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take out the main body from the cup or the container after the user has touched the car and can induce the interest of the children so that the children can natural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a cultur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age due to hot tea.

Description

티 인퓨져{Tea infuser}Tea infuser {Tea infuser}

본 발명은 티 인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를 우려내기 위한 찻물에 부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꺼내기가 용이하고, 찻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 티 인퓨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inf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 infuser which can be floated on a tea for concern of a car and is easy to be taken out by a user, will be.

일반적으로 차를 우려 마시는 방법은 찻잎을 넣어 우리거나 티백을 넣어 우려 마시는데, 특히, 티백은 내용물을 포함하는 주머니, 티백을 뜨거운 물에서 건져내기 위해 티백의 한쪽 상부에 연결된 티백 끈, 티백 끈의 한쪽 끝에 연결되어 티백을 뜨거운 물에서 들어올리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티백 태그로 구성된다.In general, tea tea is a way to drink tea or put a tea bag to put us, especially tea bags, including the contents of the pouch, tea bag to get hot water from the top of one of the tea bag attached to the top of the tea bag, And a tea bag tag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and serves as a handle to lift the tea bag from the hot water.

종래의 티백은 실수로 인해 손잡이 역할을 하는 티백 태그가 컵의 내부로 빠질 수 있어 위생적이지 못하고, 오랫동안 방치하는 경우 차가 변질될 수 있으며, 컵 내부로 빠진 티백 태그를 건지는 과정에서 화상을 입거나, 이를 피하기 위해 별도의 도구를 통해 건져내야 하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tea bag can not be sanitized because the tea bag tag serving as a handle may fall into the inside of the cup due to a mistake and the tea may be deteriorated if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rescued through a separate tool to avoid this.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00113호에는 티백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컵용 홀더가 게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holder for a paper cup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tea bag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00113.

상기 티백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컵용 홀더는 티백 태그를 컵의 손잡이 부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컵의 종이컵용 홀더 손잡이에 티백 실을 끼울 수 있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티백 태그가 컵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holder for the paper cup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ea bag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in which the tea bag can be inserted into the holder handle for the paper cup of the cup so that the tea bag tag can be fixed to the handle portion of the cup,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종이컵 및 종이컵용 홀더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도록 제작된 컵이나 스테인레스형 컵에는 적용이 어려워 티백 태그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별다른 흥미와 독창적인 디자인 요소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a problem in that a pair of paper cups and holders for paper cups must be provided,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cups or stainless steel cups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provide much interest and original design elemen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의 티백에 구비된 티백 끈이나 티백 태그가 구비하지 않더라도 컵이나 용기로부터 찻잎이나 티백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차(茶) 문화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티 인퓨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a bag and a tea bag which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a cup or a container without a tea bag or a tea bag tag provided in a conventional tea ba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ea infuser that allows children to naturally experience the tea culture by adding elements that can be added to the te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는 찻잎 또는 티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통과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본체와 멀어지게 소정길이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되는 충전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부력을 갖는 부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a infuser comprising: a body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a tea leaf or a tea bag, the body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way from the main body; And a buoyant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buoyancy force, the buoyancy portion having at least one filling space portion filled with air.

상기 연결부는 찻물의 열에 의해 길이가 신축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thereof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heat of the tea.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일 측으로부터 상기 부력부에 결합되는 타 측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coupled to the body to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uoyancy portion.

상기 부력부는 찻물의 열에 의해 상기 충전공간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uoyancy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lling space portion can be expanded by the heat of the tea.

상기 부력부는 찻물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게 열 변색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oyancy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eat discoloration so that the hu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ea.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는 찻잎이나 찻잎이 포장된 티백으로부터 차를 우려내기 위한 본체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를 우려낸 후 컵이나 용기로부터 본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ea in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buoyancy is provided to the main body for disturbing the tea from the tea bag packed with the tea leaves or the tea leav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main body from the cup or the container after the car is touch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는 부력에 의해 컵이나 찻잔 또는 용기 내에서 부유 및 찻물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므로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어린이들이 차 문화에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tea in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children to naturally approach the tea culture because the color of the tea infuser chang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cup and the tea cup or the contain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tea by buoya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는 찻물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되므로 사용자가 찻물의 온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 뜨거운 상태의 찻물에 의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lor of the tea inf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ea,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emperature of the tea,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burning the tea by hot te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티 인퓨져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티 인퓨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부력부가 팽창되면서 상부로 부상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부력부를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fl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fluser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eflon fuser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oyant portion is lifted upward while being expand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buoyant portion can be taken out from the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티 인퓨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tefl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1)는 본체(100)와, 연결부(120)와, 부력부(300);를 구비한다.1 to 4 show a teflifi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4, a teething uni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connection unit 120, and a buoyancy unit 300.

상기 본체(100)는 찻잎 또는 찻잎이 포장된 티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용공간부로 찻물이 유입 및 찻물에 의해 찻잎 또는 티백에서 차가 우러날 수 있게 측방과 하방에 각각 복수의 통과구멍(112, 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찻물에 오랫동안 잠겨있더라도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찻물에 침출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100 has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receive a tea bag packed with tea leaves or tea leav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ea leaves flow into the receiving space portion and tea leaves or tea bag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2 and 122 are formed,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leach component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even if the main body 100 is immersed in the tea for a long time.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찻잎 또는 티백을 수용공간으로 투입하거나 차를 우린 뒤 본체(100)로부터 찻잎이나 티백을 꺼낼 수 있도록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호 결합시 공이나, 과일 등과 같이 구 모양을 형성하는 상측몸체(110)와 하측몸체(120)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be vertically detachable so that the tea leaves or the tea bags can be taken out from the main body 100 after putting the tea leaves or the tea bags into the accommodation spaces.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upper body 110 and a lower body 120 which are formed to be mutually coupled and detachable and form a sphere such as a ball or fruit when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상측몸체(110)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내부가 빈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몸체(110)에는 상측몸체(110)를 감싸는 헤드셋 모양의 장식부(111)가 상측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식부(111)의 양 단부측에는 상측몸체(110)의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게 된 복수의 통과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body 110 has an upper portion closed, a lower portion opened, and an internal hollow structure. A headset-shaped decorative part 111 which surrounds the upper body 110 is formed on the upper body 110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body 110. On both ends of the decorative part 111,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2 are formed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body 110 with the outside.

상기 하측몸체(120)는 상측몸체(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측몸체(110)의 하부를 폐쇄하고, 내측에는 찻잎이나 티백을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부(121)가 형성되며 바닥에는 복수의 통과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The lower body 12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10 to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110. The receiving space 121 is formed inside the upper body 110 to receive tea leaves or tea bags, A through hole 122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1)는 차를 우려낸 후 본체(100)에 잔존하는 찻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거치부(13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130)는 하측몸체(120)의 가장자리측 바닥을 지지할 수 있게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내부에는 찻물이 수거되는 수거공간부(131)가 형성된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tea infus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parate mounting part 130 for collecting the tea remaining in the main body 100 after the car is touched. The mounting portion 130 is formed in a cup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120, a lower portion closed, and a collection space 131 in which tea is collected.

상기 연결부(120)는 본체(100)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본체(100)와 멀어지게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 길이로 형성할 수 있으나, 다양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portion 1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away from the main body 100. The connect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 length, but may have various lengths.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연결부(120)는 상온에서 외력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된 소재를 적용하되 컵이나 용기에 담긴 뜨거운 찻물의 열에 의해 상온에서보다 길이가 더욱 신축될 수 있는 소재 일 예로, 연질 실리콘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는 본체(100)에 결합된 일 측으로부터 부력부(300)에 결합되는 타 측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함으로써 얇은 부분에서 두꺼운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길이 변형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when its length is increased by external force at room temperature and external force is removed, and is heated by the heat of the hot tea contained in the cup or container As one example of the material that can be stretched more than the length,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of soft silicon or the like.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form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one sid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to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uoyancy portion 300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sequentially changed from a thin portion to a thick portion .

상기 부력부(300)는 연결부(120)의 타 측 단부에 결합되고,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충전공간부(31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력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찻물 내부에 상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하부만 침지될 수 있을 정도의 부력을 갖도록 형성한다.The buoyant part 30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20 and has at least one or more filling space parts 310 in which air is filled so as to have buoyancy. As shown in FIG. 3, the buoyant portion 300 is formed to have buoyancy enough to be immersed in only the lower portion except the upper portion of the tea.

한편, 상기 부력부(300)는 뜨거운 찻물의 열에 의해 충전공간부(310)의 공기가 팽창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The buoyant portion 3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air in the charging space 310 can be expanded by the heat of the hot tea.

이 경우, 상기 부력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찻잎이나 티백을 투입한 상태로 본체(100)를 찻물에 투입할 시, 본체(100)가 컵이나 용기의 바닥으로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고, 찻물 내부의 충전공간부(310)의 공기가 찻물의 열에 의해 팽창되면서 부력부(300)의 부피가 설정된 범위만큼 팽창되어 부력부(300)의 부력이 일정치 증가하면 본체(100)를 상승시켜 부력부(300)의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4,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ea bodies with the tea leaves or tea bags put into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volume of the buoyancy part 300 is expanded by the set range and the buoyancy of the buoyancy part 300 is increased to a constant value It is preferable to raise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portion 3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부력부(300)는 찻물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게 열 변색성을 갖는 소재 또는 안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80℃~100℃에서는 적색, 60℃~80℃에서는 주황색, 40℃~60℃에서는 노랑색 40℃이하에서는 녹색으로 변하는 열 변색성 소재나 안료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찻물의 온도를 눈으로 인지할 수 있어 뜨거운 찻물에 의해 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uoyancy portion 300 may be formed to include a material or pigment having heat discoloration property so as to change the colo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tea. For example, a thermochromic material or pigment that changes from red at 80 ° C to 100 ° C, orange at 60 ° C to 80 ° C, or yellow at 40 ° C to 60 ° C and green at 40 ° C or lower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temperature of the tea, thereby preventing the tea from being caught by the hot tea.

상기의 연결부(120)와 부력부(300)는 뜨거운 찻물에 오랫동안 침지 또는 접촉된 상태에 있더라도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용출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연결부(120)와 부력부(300)는 실리콘을 적용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20 and the buoyant part 300 are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dissolve harmful components to the human body even when the object is immersed or in contact with the hot tea for a long time.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buoyancy portion 300 may be made of silicon.

한편, 도 5에는 본체(100)에 대해 부력부(30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거리조절부가 더 구비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부(300)는 하단이 연결부(120)와 분리되게 형성되고, 상기 거리조절부는 일 단이 부력부(30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 측은 소정길이 연장되어 연결부(120) 내부에 형성된 안내홀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단에 걸림돌기(411)가 형성된 승강로드(410)를 포함한다. 5, a distance adjusting unit is provided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buoyancy part 3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 5, the buoyancy part 300 is formed so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art 120. The distance adjustment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uoyancy part 300 at one end, And a lifting rod 410 which is vertically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long a guide hole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guide groove 420 and has a locking projection 411 formed thereon.

그리고, 상측몸체(110)에는 연결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승강로드(410)를 감싸도록 형성된 안내부(115)가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115)의 단부에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진동자(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찻물에 초음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초음파를 발진하는 발진회로부 및 배터리는 안내부(115) 내부에 내장할 수 있다.The upper body 110 has a guide portion 115 extending downw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rtion 120 so as to surround the lifting rod 410. An ultrasonic vib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ultrasonic waves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part 115 to provide ultrasound waves to the tea product. An oscillation circuit part for oscillating ultrasonic waves and a battery may be built in the guide part 115 .

상기 승강로드(410)와 연결부(120) 또는 안내부(115)의 내주면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패킹(420)이 개재되어 있고, 연결부(120)의 내주면에는 승강로드(410)의 상승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돌기(430)가 돌출되어 있다.A packing 420 for seal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lifting rod 4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or the guiding portion 115.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limits the lifting of the lifting rod 410 A limiting protrusion 430 for protruding a protrusion.

상기의 거리조절부는 부력부(300)를 찻물에 침지되지 않도록 하거나, 컵이나 용기의 깊이에 따라 부력부(300)를 본체(100)로부터 멀어지게 지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부력부(30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The distance adjusting portion can prevent the buoyancy portion 300 from being immersed in the tea or the buoyancy portion 300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up or the container so that the buoyancy portion 300 can be moved away from or away from the main body 100, 3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티 인퓨져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본체
110 : 상측몸체
111 : 장식부
112 : 통과구멍
120 : 하측몸체
122 : 통과구멍
130 : 거치부
200 : 연결부
300 : 부력부
310 : 충전공간부
100:
110: upper body
111: decorative part
112: through hole
120: lower body
122: Through hole
130:
200: Connection
300: buoyancy part
310: Charging space part

Claims (5)

찻잎 또는 티백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통과구멍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은 본체와 멀어지게 소정길이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충전되는 충전공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부력을 갖는 부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인퓨져.
A main body having a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for accommodating a tea leaf or a tea bag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away from the main body;
And a buoyancy portion coupl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r more filling space portions for filling air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찻물의 열에 의해 길이가 신축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인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the heat of the t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된 일 측으로부터 상기 부력부에 결합되는 타 측으로 연장될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인퓨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o gradually expand in diameter from one side coupled to the main body to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buoyanc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찻물의 열에 의해 상기 충전공간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인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cy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lling space portion can be expanded by the heat of the t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는 찻물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될 수 있게 열 변색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 인퓨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oyancy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eat discoloration so that the hu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tea.
KR1020160037566A 2016-03-29 2016-03-29 Tea infuser KR201701116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66A KR20170111665A (en) 2016-03-29 2016-03-29 Tea inf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566A KR20170111665A (en) 2016-03-29 2016-03-29 Tea inf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665A true KR20170111665A (en) 2017-10-12

Family

ID=6014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566A KR20170111665A (en) 2016-03-29 2016-03-29 Tea inf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665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0165A (en) * 2018-01-15 2019-07-17 Summers Christopher The tasteaire unique float tray device
KR102067245B1 (en) * 2018-08-06 2020-01-16 (주)조이쿡 tea strainer
WO2021232101A1 (en) * 2020-05-20 2021-11-25 Cosmetic Edge Pty Ltd A portable handheld tea infusion enhancing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0165A (en) * 2018-01-15 2019-07-17 Summers Christopher The tasteaire unique float tray device
KR102067245B1 (en) * 2018-08-06 2020-01-16 (주)조이쿡 tea strainer
WO2021232101A1 (en) * 2020-05-20 2021-11-25 Cosmetic Edge Pty Ltd A portable handheld tea infusion enhanc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1890T3 (en) IMPROVEMENTS IN THE CAPSULES CONTAINING A POWDER SUBSTANCE THAT ALLOWS THE EXTRACTION OF A DRINK, PREFERREDLY EXPRESSED COFFEE.
KR20170111665A (en) Tea infuser
CN205379196U (en) Brewing structure with magnetic and buoyancy effects
US20140124513A1 (en) Floating Insulating Beverage Container
WO2015095562A1 (en) Food and beverage apparatus
US3774804A (en) Straw-forming structure for a beverage container
US20150053090A1 (en) Portable cup lid assembly with a d-shaped infuser basket or strainer
CN103781706A (en) Disposable baby bottle kit
KR200471638Y1 (en) A Lid for Disposable cups
CN205122040U (en) Presentation device that thermos bottle plug was bounce
CN209499374U (en) A kind of teacup of double cup lids
CN207949647U (en) Convenient type hand rushes folliculus group structure
TWM462556U (en) Brewing cup assembly and lid thereof
JP2007068611A (en) Drink extraction bag
TWM469834U (en) Tea making cup
US20160255985A1 (en) Anthropomorphic holder for reusable coffee filter
KR102434839B1 (en) Dripper Having Variable Structure
JP2006122626A (en) Simple coffee dripper
WO2017129836A1 (en) Container having additional compartment
WO2017152177A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container including a fragile inner container
KR100573725B1 (en) Packing pack for liquid
US2480232A (en) Coffee brewer filter
CN205499785U (en) A box for packing honey
CN208550907U (en) Thermal insulation teacup is used in a kind of travelling
KR101507247B1 (en) 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