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563A -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 Google Patents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563A
KR20170110563A KR1020170121944A KR20170121944A KR20170110563A KR 20170110563 A KR20170110563 A KR 20170110563A KR 1020170121944 A KR1020170121944 A KR 1020170121944A KR 20170121944 A KR20170121944 A KR 20170121944A KR 20170110563 A KR20170110563 A KR 20170110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quid crystal
crystal layer
shaped optical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심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2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0563A/ko
Publication of KR2017011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3Electroopt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2Ophthalmic lenses having special refractive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이 개시된다. 상기 안경은, 일측면이 액정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 일측면이 상기 액정층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층,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2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고, 상기 안경의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액정층에 제 1 투명 전극과 제 2 투명 전극으로부터 가해지는 전압에 의하여 변화하는 상기 액정층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변화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이 가변적이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GLASSES AND LENS FOR PROVIDING VARIFOCAL}
본 발명은 안경 및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을 이용하여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에 관한 것이다.
노안 현상은 40세 혹은 45세를 전후해서 수정체의 조절력 기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정체의 탄력성이 저하되거나 수정체가 비대해져 근거리 시생활 범위가 감소하게 되어 근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잘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독서시, 안정시 등에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시력 교정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렌즈는 하나 이상의 고정된 초점조절 배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구의 수정체가 탄력성을 상실하고 근접 거리 초점조절이 손상되는 노안 증상을 나타내는 사람은 근거리 및 원거리 시력에 대한 다른 고정된 배율을 제공하는 안과장치를 사용한다. 고정된 초점조절 배율을 지닌 렌즈는 렌즈의 시력 교정 가능성을 렌즈 내 표준 배율 및 위치에 한정시킨다.
시력 교정을 위하여 단초점 렌즈, 이중 초점 렌즈, 다초점 렌즈 등이 사용되게 된다. 단초점 렌즈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만을 보정하는 렌즈로서, 사용자가 각각의 거리에 대응하여 안경을 바꿔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중 초점 렌즈는 원거리 및 근거리를 보정할 수 있다. 이중 초점 렌즈는 렌즈의 특정 영역의 굴절률을 다르게 하여, 착용자의 시선의 위치에 따라서 근거리 및 원거리를 볼 수 있으나 시선의 주변부가 보정이 되지 않으므로 착용자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되고, 시선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안경을 고쳐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중 초점 렌즈는 계단을 내려가거나 먼 곳을 보다가 가까운 곳을 볼 때는 어지러움을 동반할 수 있으며, 상의 도약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근거리용 부분과 원거리용 부분의 경계로 인하여 외관상 문제점이 있다. 다초점 렌즈는 근용부 누진부 원용부를 포함하는 렌즈로 이중 초점렌즈보다 상의 도약현상이나 어지러움 현상이 적고, 원거리에서 근거리까지 연속적 굴절률 변화로 근거리, 중간거리 및 원거리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다초점 렌즈는 좁은 렌즈 면적에 여러 도수가 겹쳐있어 누진부와 근용부의 면적이 좁으며, 누진대의 측방부에 왜곡수차와 비점수차로 측방 시에는 상의 흐림이나 흔들림 현상이 이중초점렌즈보다 심하고, 중간거리 명시에 사용되는 누진대가 좁고 불안정하여 장시간 안정된 사용이 불가능하며 근용부의 시야가 좁아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굴절률 가변형 렌즈에 대한 수요가 당업계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 공개문헌 제 10-2012-0033696호는 투명 탄성 필름 및 영구 자석에 의해 조절 가능한 초점거리를 갖는 렌즈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굴절률이 가변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의 영역을 분할하여 다중 초점을 구현하지 않고도, 다양한 초점 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로 구동하는 액정을 이용하여 다중 초점을 제공할 수 있는 렌즈를 갖는 안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이 개시된다. 상기 안경은, 일측면이 액정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 일측면이 상기 액정층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층,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2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고, 상기 안경의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액정층에 제 1 투명 전극과 제 2 투명 전극으로부터 가해지는 전압에 의하여 변화하는 상기 액정층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변화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이 가변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렌즈가 개시된다. 상기 렌즈는, 일측면이 액정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 일측면이 상기 액정층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층,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액정층에 제 1 투명 전극과 제 2 투명 전극으로부터 가해지는 전압에 의하여 변화하는 상기 액정층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변화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이 가변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이 개시된다. 상기 안경은 일측면이 액정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 일측면이 상기 액정층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층,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폐곡선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 또는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고, 상기 안경의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액정층에 투명 전극의 폐곡선들 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하여 변화하는 상기 액정층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변화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이 가변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렌즈가 개시된다. 상기 렌즈는, 일측면이 액정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 일측면이 상기 액정층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층 및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폐곡선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 또는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에 위치하는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액정층에 투명 전극의 폐곡선들 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하여 변화하는 상기 액정층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변화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이 가변적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굴절률이 가변할 수 있는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의 영역을 분할하여 다중 초점을 구현하지 않고도, 다양한 초점 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로 구동하는 액정을 이용하여 다중 초점을 제공할 수 있는 렌즈를 갖는 안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전압이 인가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전압이 인가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나노 구조물이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나노 구조물이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가 동작하여, 원시를 보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가 동작하여, 근시를 보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100)은 렌즈(110), 사용자 입력부(120), 거리 측정부(130), 제어부(140), 제 1 배열 유지 모듈(150), 제 2 배열 유지 모듈(160), 메모리부(170), 통신부(180), 및 프레임(1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110)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 액정층(113), 디스플레이 유닛(114), 제 1 투명 전극(115), 제 2 투명 전극(116) 및 나노 구조물(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는 각각의 일측면이 액정층(113)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1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로 상기 액정층(113)을 수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는 수차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호 보완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가 오목 렌즈이면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가 볼록 렌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는 오목 렌즈, 볼록렌즈 및 비 구면 렌즈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렌즈의 종류는 예시일 뿐이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는 임의의 형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의 일측면에는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115, 116)이 위치할 수 있다.
액정층(113)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액정층(113) 상기 액정층에 제 1 투명 전극(115)과 제 2 투명 전(116)극으로부터 가해지는 전압에 의하여 변화하는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변화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초점이 가변적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가변 초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외관상 영향을 받지 않고, 번거롭게 안경을 바꿔 낄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 1 투명 전극(115) 및 제 2 투명 전극(116)의 폐곡선들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113)에 가해지는 전압은, 상기 액정층(113)의 굴절률과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의 굴절률의 편차가 상기 렌즈의 중심부에서 상기 렌즈(110)의 외곽으로 갈 수록 커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113)은 상기 안경(100)이 동작하는 경우에 렌즈(110)의 중심부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굴절률을 가지나, 상기 렌즈(110)의 외곽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의 굴절률과 큰 편차를 가지는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정층(113)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액정층(113)에 가해지는 전압은, 상기 렌즈(11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정층의 굴절률을 다르게 하여 수차를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영역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의 렌즈(110)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굴절률은 일정하나, 상기 안경(100)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액정층(113)의 굴절률은 렌즈(110)의 중심부와 외곽부의 굴절률이 상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액정층(113)은 네마틱 엑정, 스멕틱 액정, 강유전성 액정, 및 카이랄 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층(113)은 미세 디옵터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종류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투명 전극(115)는 상기 액정층(113)에 렌즈(110)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제 2 투명 전극(116)과 함께 상기 액정층(113)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투명 전극(116)은 상기 액정층(113)에 렌즈(110)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투명 전극(115)과 함께 상기 액정층(113)에 수직 방향으로 전압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115, 116)은 상기 렌즈(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113)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빛을 투과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나노 구조물(117)은 모스 아이(moth eye)형태의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의 일측면 또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나노 구조물(117)은 액정층(113)에 의한 굴절률의 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구조물(117)은 빛의 반사를 경감하여, 상기 안경(100)의 사용자가 보다 선명하게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노 구조물(117)은 빛의 반사를 경감하여, 액정층(113)에 의한 굴절률의 변화를 극대화 시켜 상기 액정층(113)의 두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110)의 전체 두께를 너무 두껍지 않고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외형적으로 보다 나은 안경(10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층(113)의 일부는 상기 액정층(113)을 통과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상기 렌즈(110)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11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4)은 액정층(113)의 액정 입자의 뒤틀림에 의하여 상기 렌즈(110)를 통과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여, 랜즈(110)의 일부에 시각적인 정보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안경의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대상물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안경의 초점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액정에 가해지는 전압을 상기 사용자가 조절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은 푸시 버튼(push button), 터치 센서(touch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은 상기 안경(100)의 프레임(190)의 일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가 돌출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안경 다리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안경의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대상물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안경의 동작 모드를 원거리 모드, 중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로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안경의 동작 모드를 상기 사용자가 변경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안경의 초점이 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전 설정된 모드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130)는 상기 안경(100)의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부(130)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측정부(130)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부(130)는 상기 안경의 프레임(190)의 일부에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상기 거리 측정부(130)에서 측정된 대상물과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안경(100)의 초점을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액정에 가해지는 전압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정층(113)에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115, 116)에 의해 가해지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층(113)에 가해지는 전압을 조절하여, 안경(100)의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배열 유지 모듈(150)은 상기 안경(10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가 원상태로 복귀함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를 유지하도록할 수 있다. 상기 안경(10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사용자가 굴절률 변화에 따른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배열 유지 모듈(150)은 상기 안경(10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열 유지 모듈(150)은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들(115,116)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고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들을 단락시킴으로서,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경(100)이 사용자가 근거리를 볼 수 있도록 상기 액정층(113)이 배열된 되었으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이 원상태로 복귀하여 사용자가 근거리를 볼 수 없게 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어지럼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 1 배열 유지 모듈(150)은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를 마지막 상태로 유지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 2 배열 유지 모듈(160)은 상기 안경(100)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를 사전 설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배열 유지 모듈(150, 160)은 영구자석 등으로 상기 액정에 자기장을 가하여 액정의 배열상태를 유지하거나(제 1 배열 유지 모듈(150)), 액정의 배열 상태를 사전 설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도록(제 2 배열 유지 모듈(160))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배열 유지 모듈(150, 160)은 전기장, 자기장 온도, 응력 등의 영향을 상기 액정층(113)에 가하여 상기 액정층(113)의 배열 상태를 유지하거나, 사전 결정된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부(170)는 상기 액정층에 가해지는 전압, 상기 액정층의 뒤틀림 량, 배향, 상기 액정층의 종류,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 상기 액정층의 상태에 기초한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 및 상기 렌즈의 사용자의 시력 중 적어도 하나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기록된 정보는 사용자의 시력과 대상물과의 거리, 이를 보정하기 위한 전압량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예시일 뿐이며, 상기 메모리부(170)는 다양한 임시 또는 영구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외부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시력 교정에 관련한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도록 상기 메모리부(170)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컴퓨팅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인터넷 기술로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s to the home),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8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안경(100)과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 외부 컴퓨팅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80)는 USB(universal serial bus), 썬더볼트(Thunderbolt), SATA, mSATA, PCI등의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킴퓨팅 장치 사용자 단말은,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메인 프레임 컴퓨터, 중형 컴퓨터, 대형 컴퓨터,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90)은 상기 렌즈(110)의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110)를 고정시키고, 상기 안경(100)의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90)에는 사용자 입력부(120), 거리 측정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70), 통신부(180)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200)은 렌즈(210), 사용자 입력부(220), 거리 측정부(230), 제어부(240), 제 1 배열 유지 모듈(250), 제 2 배열 유지 모듈(260), 메모리부(270), 통신부(280), 및 프레임(2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렌즈(210)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 액정층(213), 디스플레이유닛(214), 투명 전극(215), 및 나노 구조물(21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200)의 사용자 입력부(220), 거리 측정부(230), 제어부(240), 제 1 배열 유지 모듈(250), 제 2 배열 유지 모듈(260), 메모리부(270), 통신부(280), 및 프레임(29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100)의 사용자 입력부(120), 거리 측정부(130), 제어부(140), 제 1 배열 유지 모듈(150), 제 2 배열 유지 모듈(160), 메모리부(170), 통신부(180), 및 프레임(190) 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의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1, 212), 디스플레이 유닛(214), 및 나노 구조물(2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렌즈(110)의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 디스플레이 유닛(114) 및 나노 구조물(117)과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에 의한다.
액정층(213)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1, 21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213)은 상기 액정층에 투명 전극(215)의 폐곡선들 사이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하여 변화하는 상기 액정층(213)의 배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굴절률이 변화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상기 렌즈(210)의 초점이 가변적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경은 가변 초점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외관상 영향을 받지 않고, 번거롭게 안경을 바꿔 낄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투명 전극(215)의 폐곡선들 사이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액정층(213)의 굴절률과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1, 112)의 굴절률의 편차가 상기 렌즈(210)의 중심부에서 상기 렌즈(210)의 외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액정층(213)에는 상기 투명 전극(215)의 폐곡선들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213)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압이 가해지게 된다. 상기 액정층(213)은 상기 안경(200)이 동작하는 경우에 렌즈(210)의 중심부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1, 212)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굴절률을 가지나, 상기 렌즈(210)의 외곽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1, 212)의 굴절률과 큰 편차를 가지는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액정층(213)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액정층(213)에 가해지는 전압은, 상기 렌즈(21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정층의 굴절률을 다르게 하여 수차를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영역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1, 212)의 렌즈(210)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굴절률은 일정하나, 상기 안경(200)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액정층(213)의 굴절률은 렌즈(210)의 중심부와 외곽부의 굴절률이 상이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층(213)은 네마틱 엑정, 스멕틱 액정, 강유전성 액정, 및 카이랄 액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층(213)은 미세 디옵터 조절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종류의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전극(215)는 상기 액정층(213)에 렌즈(210)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 또는 복수의 폐곡선들로 구성되며, 상기 폐곡선들 마다 상이한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폐곡선들 사이에 전압이 걸리게 되어 상기 액정층(213)의 수평 방향으로 전압을 가할 수 있다. 투명 전극(215)는 상기 액정층(213)의 일측면에 접할 수 있도록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 또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a, 5b, 6b, 7a, 및 7b에서 상기 투명 전극(215)은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상기 투명 전극(215)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일축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100)의 외형의 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200)이 외형 또한 제 1 실시에에 따른 안경(100)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100)는 렌즈를 고정하며,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프레임(190), 프레임에 고정된 렌즈(110), 프레임에 위치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120), 거리 측정부(130), 메모리부(170), 및 통신부(180)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110)는 액정층(113)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렌즈(110)의 일부분은 액정층(113)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렌즈(110)에는 상기 액정층(113)에 전압을 가하기 위한 투명 전극(115,116)이 위치할 수 있다. 도 3 의 예시에서 제 1 투명 전극(115)만이 표시되어 있으나, 제 2 투명 전극(116)은 상기 렌즈(110)의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110)는 상기 액정층(113)에 의하여 상기 안경(100)의 착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14)는 상기 렌즈(110)의 일부분에 위치하며, 액정층(113)이 상기 렌즈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상기 안경(100)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안경(100)의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130)는 전면을 향하게 위치하여, 상기 안경(100)의 사용자의 시선이 바라보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 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통신부(180) 또한 상기 안경(100)의 프레임(190)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신부(180)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컴퓨팅 장치와 상기 안경(100)이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이를 위한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80)는 무선 통신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전압이 인가된 측면 단면도이다.
렌즈(110)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 및 렌즈 형상 광학부들에 수용되는 액정층(113) 및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115, 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 액정층(113)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았으므로, 액정층(113)의 액정 입자들은 뒤틀림이 없이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b에서는 액정층(113)에 제 1 투명 전극(115) 및 제 2 투명 전극(116)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113)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게 되며,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투명 전극(115, 116)의 폐곡선 각각에 의해서
Figure pat00001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은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는 투명 전극들(115, 116)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113)에 렌즈(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도 4b는
Figure pat00002
의 전압이 인가된 예시로서, 상기 액정층(113)의 액정 입자들 중 상기 렌즈(110)에서 외곽에 위치하는 액정 입자들이 가장 많이 뒤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100)은 상기 액정층(113)에 도 4b의 예시에서와 같이 렌즈(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정층(113)에 걸리는 전압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층(113)의 입자들의 뒤틀림은 상기 렌즈(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액정층(113)에 의한 굴절률은 상기 렌즈(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은 액정층(113)의 굴절률을 상기 렌즈(1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1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차를 억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선명한 상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전압이 인가된 측면 단면도이다.
렌즈(110)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 및 렌즈 형상 광학부들에 수용되는 액정층(213) 및 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투명 전극(2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서 액정층(213)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았으므로, 액정층(213)의 액정 입자들은 뒤틀림이 없이 정렬되어 있을 수 있다. 도5b에서는 액정층(213)에 투명 전극(215)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213)의 길이방향의 평행 방향으로 전압이 인가되게 되며, 예를 들어, 투명 전극(215)의 폐곡선 각각에 의해서 상기 폐곡선들 사이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경(200)은 복수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는 투명 전극(215)에 의하여 상기 액정층(213)에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도 5b는
Figure pat00003
의 전압이 인가된 예시로서, 상기 액정층(213)의 액정 입자들 중 상기 렌즈(210)에서 외곽에 위치하는 액정 입자들이 가장 많이 뒤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200)은 상기 액정층(213)에 도 5b의 예시에서와 같이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액정층(213)에 걸리는 전압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층(213)의 입자들의 뒤틀림은 상기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상기 액정층(213)에 의한 굴절률은 상기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200)은 액정층(213)의 굴절률을 상기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20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차를 억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선명한 상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나노 구조물이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의 렌즈에 나노 구조물이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나노 구조물(117, 217)은 모스 아이(moth eye) 형태의 구조물로서,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111, 211)의 일측면 또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112, 212)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나노 구조물(117, 217)은 액정층(113, 213)에 의한 굴절률의 변화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구조물(117, 217)은 빛의 반사를 경감하여, 상기 안경(100, 200)의 사용자가 보다 선명하게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나노 구조물(117, 217)은 빛의 반사를 경감하여, 액정층(113, 213)에 의한 굴절률의 변화를 극대화 시켜 상기 액정층(113, 213)의 두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렌즈(110, 210)의 전체 두께를 너무 두껍지 않고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외형적으로 보다 나은 안경(100, 2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가 동작하여, 원시를 보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예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것이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도 동일한 방식으로 원시를 보정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예시에서, 안경(200)의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는 빛을 집광하는 특성을 가진 볼록 렌즈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기 위한 액정층(213)을 포함하는 안경(200)은 오목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에 대해서도 상응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액정층(213)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액정층(213)에 인가되는 전압이 강할수록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1, 212)의 집광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원시는 눈에서 상이 망막의 뒤쪽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안경등을 이용하여 상이 망막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상을 맺히는 위치를 현상태보다 앞으로 당겨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액정층(213)에 인가되는 전압은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가 외곽일수록 약하게 인가되어, 렌즈(210)상에서의 위치가 외곽(도 7a의 예시에서
Figure pat00004
가 인가된 영역)일수록 굴절률이 크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투명 전극(215)에 의하여 상기 렌즈(210)상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강한 전압(
Figure pat00005
)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렌즈(2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액정층(213)의 액정 입자가 가장 적게 뒤틀리게 되고, 액정층(213)의 굴절률은 렌즈(210)의 외곽에서 가장 크게 된다.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
Figure pat00006
)은 상기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액정의 굴절률은 중심부가 가장 낮고 외곽으로 갈수록 증가(
Figure pat00007
)할 수 있다. 액정층(213) 중심부의 굴절률(
Figure pat00008
)이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액정층(213)과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의 편차는 상기 렌즈(210)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커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정층(213)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렌즈(21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달리하여, 액정층(213)의 굴절률을 다르게 하여 수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a예시에서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의 굴절률(
Figure pat00009
)은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
Figure pat00010
)과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은 렌즈(210)상에서 위치에 따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이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액정층(213)의 굴절률은 수차 제거를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의 굴절률과의 편차가 렌즈(210)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200)은 상기 액정층(213)에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함으로써, 상기 액정층(213)이 동작하지 않을 때 보다, 집광 특성이 강화되어 상기 안경(200)의 사용자에게 맺히는 상을 망막으로 당겨 원시를 보정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안경의 렌즈가 동작하여, 근시를 보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된 예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것이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안경(100)도 동일한 방식으로 근시를 보정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예시에서, 안경(200)의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는 빛을 집광하는 특성을 가진 볼록 렌즈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초점을 제공하기 위한 액정층(213)을 포함하는 안경(200)은 오목렌즈 또는 비구면 렌즈에 대해서도 상응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액정층(213)에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 액정층(213)에 인가되는 전압이 강할수록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1, 212)의 집광 특성이 감소될 수 있다. 근시는 눈에서 상이 망막의 앞쪽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안경등을 이용하여 상이 망막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므로, 상이 맺히는 위치를 현상태보다 뒤쪽으로 밀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액정층(213)에 인가되는 전압은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가 외곽일수록 강하게 인가되어, 렌즈(210)상에서의 위치가 외곽(도 7b의 예시에서
Figure pat00011
가 인가된 영역)일수록 굴절률이 작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투명 전극(215)에 의하여 상기 렌즈(210)상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강한 전압(
Figure pat00012
)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렌즈(210)의 외곽에 위치하는 액정층(213)의 액정 입자가 가장 많이 뒤틀리게 되고, 액정층(213)의 굴절률은 렌즈(210)의 외곽에서 가장 작게 된다.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
Figure pat00013
)은 상기 렌즈(210) 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액정의 굴절률은 중심부가 가장 낮고 외곽으로 갈수록 감소(
Figure pat00014
)할 수 있다. 액정층(213) 중심부의 굴절률(
Figure pat00015
)이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상기 액정층(213)과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의 편차는 상기 렌즈(210)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커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정층(213)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렌즈(210)상에서의 위치에 따라 달리하여, 액정층(213)의 굴절률을 다르게 하여 수차를 제거할 수 있다. 도 7b예시에서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212)의 굴절률(
Figure pat00016
)은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
Figure pat00017
)과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상이할 수도 있다.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211)의 굴절률은 렌즈(210)상에서 위치에 따라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이할 수도 있으며, 상기 액정층(213)의 굴절률은 수차 제거를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의 굴절률과의 편차가 렌즈(210)의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200)은 상기 액정층(213)에 전압이 인가되어 동작함으로써, 상기 액정층(213)이 동작하지 않을 때 보다, 집광 특성이 약화되어 상기 안경(200)의 사용자에게 맺히는 상을 망막으로 밀어 근시를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에 있어서,
    일측면이 액정층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 일측면이 상기 액정층의 다른 일측면과 접촉하는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상기 제 1 및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층,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1 투명 전극, 및 상기 렌즈 상에서의 위치에 따른 전압을 상기 액정층에 가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폐곡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렌즈 형상 광학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제 2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를 고정시키고, 상기 안경의 사용자에게 착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프레임;
    을 포함하는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KR1020170121944A 2017-09-21 2017-09-21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KR20170110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44A KR20170110563A (ko) 2017-09-21 2017-09-21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944A KR20170110563A (ko) 2017-09-21 2017-09-21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084A Division KR101782572B1 (ko) 2015-07-14 2015-07-14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563A true KR20170110563A (ko) 2017-10-11

Family

ID=6013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944A KR20170110563A (ko) 2017-09-21 2017-09-21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056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1107A (zh) * 2019-01-04 2019-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眼镜、眼镜度数的调节方法及显示装置
KR20190063310A (ko) * 2017-11-29 2019-06-07 (주) 오프렌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 렌즈
KR20190063312A (ko) * 2017-11-29 2019-06-07 (주) 오프렌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 렌즈
KR20190063308A (ko) * 2017-11-29 2019-06-07 (주) 오프렌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 렌즈
US11921553B2 (en) 2020-07-16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310A (ko) * 2017-11-29 2019-06-07 (주) 오프렌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 렌즈
KR20190063312A (ko) * 2017-11-29 2019-06-07 (주) 오프렌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 렌즈
KR20190063308A (ko) * 2017-11-29 2019-06-07 (주) 오프렌 액정을 포함하는 복합 렌즈
CN109491107A (zh) * 2019-01-04 2019-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眼镜、眼镜度数的调节方法及显示装置
CN109491107B (zh) * 2019-01-04 2021-04-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眼镜、眼镜度数的调节方法及显示装置
US11921553B2 (en) 2020-07-16 2024-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0563A (ko)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US9726907B2 (en) Rewritable le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P2425293B1 (en) A method for assessing an optical feature of an ophthalmic lens design
US11662608B2 (en) Hybrid type lens and glasses for providing varifocal focus
EP336284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three dimensional performance of an ophthalmic lens; associated method of calculating an ophthalmic lens
KR101782572B1 (ko)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및 렌즈
KR102298041B1 (ko) 난시 교정용 가변 초점을 제공하기 위한 안경 및 렌즈
KR20070100902A (ko) 프리즘 베이스를 가지는 다초점 안과용 렌즈
US20100245762A1 (en) Opthalmic lenses having reduced base out prism
JP2009540386A (ja) 動的光学素子と光学結合する静的プログレッシブ面領域
CN107407826B (zh) 眼科镜片以及确定所述眼科镜片的方法
EP2867721B1 (en) A process for determining a pair of progressive ophthalmic lenses
US10216006B2 (en) Multifocal lens supply system for providing to a wearer a customized progressive spectacle ophthalmic lens
EP3526641B1 (en) Reduced distortion spectacle lens
EP3143457B1 (en) A method of modifying an dioptric function of an ophthalmic lens surface
KR20210081695A (ko) 가변 초점 안경
CN104884999B (zh) 多焦点眼镜片
KR20210082671A (ko) 가변 초점을 제공하는 안경
CN202339452U (zh) 能看远看近的老花镜
EP3332286B1 (en)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tical power of an optical lens
US6322215B1 (en) Non-progressive trifocal ophthalmic lens
JP2000199877A (ja) 累進多焦点レンズおよび眼鏡および製造方法
EP3966625A1 (en) An ophthalmic progressive addition lens adapted for a wearer
CN207268813U (zh) 一种方便更换镜片的弹簧眼镜夹片
Sanders Rock and roll in progressive non-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