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954A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954A
KR20170109954A KR1020160034219A KR20160034219A KR20170109954A KR 20170109954 A KR20170109954 A KR 20170109954A KR 1020160034219 A KR1020160034219 A KR 1020160034219A KR 20160034219 A KR20160034219 A KR 20160034219A KR 20170109954 A KR20170109954 A KR 2017010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borative
event
devices
task
collab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4066B1 (en
Inventor
정회경
김웅준
류승한
Original Assignee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3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066B1/en
Publication of KR2017010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9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0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기종의 기기들간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들간 관계를 맺고 협업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른 기종의 기기들에 대한 기기(device) 정보, 작업(Task) 정보, 기기간 관계(relation) 정보를 정의하여 XML문서에 저장하고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작업에 관계하는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제공하되,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유무선 공유기 내에 구현하여 저전력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기기들의 협업을 관리할 수 있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devices and managing collaborations using a wire / wireless router in order to realize a machine socialization environment in which devices of different types can communicate smoothly, device information, task information, and relation information are stored and stored in an XML document, and a 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erver for issuing a task command to devices related to the task when an event for the task is generated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chine socialization-based inter-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router, which can implement a 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erver in a wireless router to manage collaboration of various devices through a network with low power.

Description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management between machin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based on a router,

본 발명은 다른 기종의 기기들간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들간 관계를 맺고 협업을 관리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socialization-based inter-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router, which establishes relationships among devices and manages collaborations using a wire / wireless router to realize a machine socialization environment capable of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models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이하 IoT)은 기존에 인간이 기기에게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 아닌, 기기와 기기들이 서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Internet Of Things (IoT) refers to a system in which devices and devic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rather than a method in which a person gives commands to a device.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이 스마트 홈, 스마트 농장, 스마트 카, 가전제품, 원격 검침, 헬스 케어, 원격 진료 등 다양한 분야에 보급됨에 따라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는 좀 더 편한 생활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In recent years, the Internet has become more popular in various fields such as smart home, smart farm, smart car, home appliance, remote meter reading, healthcare, and telemedicine.

이에 따라 시대의 흐름에 맞게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가전제품 및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IoT 관련 제품 및 플랫폼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As a result, many research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control various home appliances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many IoT related products and platforms are being released.

그런데, 자사의 시스템과 플랫폼, 기기들 간의 소통만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타사 기기와는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이전의 아날로그 제품들은 이러한 스마트 시스템에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ystem, the platform, and the devices is smoothly performed and is not compatible with the other devices.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analog products prior to the Internet are not applicable to such a smart system.

이에 본 출원인은 기기 정보, 작업 정보, 관계 정보를 나타내는 스키마와 이벤트를 받아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27009호(발명의 명칭: 클라이언트 단말 장치, 협업 서비스 장치, 실시간 스트리밍 장치, 협업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등록일: 2011.03.29.)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proposed a system in which a work order is given to devices by receiving a schema and an event indicating device information, work information, and relationship information, and related prior art documents include Korea Patent No. 10-1027009 Name: client terminal device, collaborative service device, real-time streaming device,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registered date: Mar. 29, 2011).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플랫폼을 탑재한 다른 기종의 기기들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기기(device) 정보, 작업(Task) 정보, 기기간 관계(relation) 정보를 정의하여 저장하고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작업에 관계하는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제공하되,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유무선 공유기 내에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기기들의 협업을 관리할 수 있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information, task information, and relation information are defined and stored in order to enable compatibility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models equipped with different platforms, and when an event for a task is generated, A machine collaboration management server that provides a work order to devices related to the work, and a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 router that can manage the collaboration of various devices through the network by implementing the 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erver in the rou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management between base devices.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마련되는 다수의 협업 기기;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 기기;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기기들을 탐색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each having a microcontroller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An event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event so that the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collaborate to perform a desired task; And a microcontroller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to define device information (Device_info), task information (Task_info), and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for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And a router for searching for collaborative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when a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or and transmitting a work command to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Based collaborative management system using a shared router.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 신호를 전달하여 기기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을 통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협업 기기들과 연결하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한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협업 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피드백받고 상기 기기 정보에 협업기기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상기 XML 스키마로 전달한다. Wherein the router is connected to the collaboration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 task corresponding to the event by searching for a device by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a result code is fed back from the collaborative device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XML schema to store the state of the collaboration device in the device information.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기기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주변 협업 기기를 탐색하는 주변 기기 탐색 모듈; 및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협업 기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 모듈;을 포함한다. Wherein the wireless router includes an event generation recognition module that recognizes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when a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ion device; Searching for all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when the event occurs and searching for peripheral collaborative devices matching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and the task information stored in the XML schema, ; And a task execution module for extracting a collaborative device to be preferentially executed from among the searched collaborative devices and delivering a work command to the extracted collaborative device to execute an operation of the device.

또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에 대하여 기기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기 상태가 "busy"이면 해당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처리하는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한다. Also, the wireless router checks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is possible by checking the device status of the collaborative device search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and if the device status is "busy ", the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device is completed The cooperative equipment monitoring module processes the cooperative equipment monitoring module in a waiting state until the cooperative equipment monitoring module is activated.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여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1순위 협업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협업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이 완료된 협업 기기 외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하고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 Wherein the job execution module extracts a first-order collaborative device to perform a corresponding job first among the searched collaborative devices and delivers a work command, and when the execution of the first cooperative device is completed, The other collaborative devices other than the collaborative device having completed the execution search for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job firstly and deliver the work command.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상기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상기 기기의 상태를 체크한 후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 The work execution module checks the state of the device through the collaboration device monitoring module before delivering a work order to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and then transmits the work order when the opera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각각 정의하고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로 작성하며 상기 XML 문서에 포함된 정보의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한 XML 스키마;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outer may define device information (Device_info), task information (Task_info), and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for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And an XML schema capable of modifying and updat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ocument.

상기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관한 이벤트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센싱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Wherein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receives a signal of an event button related to a task from a user terminal or receives a sensing value measured from a sensor or an optional device to detec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task is required.

여기서, 상기 모듈들은 USB 메모리에 탑재되고, 상기 USB 메모리를 공유기 내 마운팅하여 적용할 수 있다. Here, the modules may be mounted on a USB memory, and the USB memory may be mounted in a router.

또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작업을 두 개 이상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에 중복되는 협업 기기에 대해서는 설정된 작업 간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실행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job execution module may perform two or more jobs in parallel with the event, and may set a priority between the two or more jobs, and may set a priority among the two or more jobs, Let the task run according to its priorit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협업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기기 간 협업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가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및 상기 유무선 공유기가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aging collaboration among devices in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are communicably connected using a wire / wireless router, wherein the wire / wireless router includes device information (Device_info) , Task information (Task_info), and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and storing them in an XML schema; Generating an event from an event generating device so that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collaborate to perform a desired task; And if the router generates an event from the event generating device, searching for collaborative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and transmitting a work command to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 And a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 router.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발생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기기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주변 협업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여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1순위 협업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협업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이 완료된 협업 기기 외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하고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work command, the event generation recognition module of the wireless router recognizes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ion device.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of the wireless router searches all the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and searches for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matched with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and the task information stored in the XML schema ; Wherein the job execution module of the router or the wireless router extracts a first-order collaborative device that will preferentially perform the job among the discovered collaborative devices and delivers a work order to the collaborative device, and when the execution of the first cooperative device is completed, And referring to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searching for a next collaborative device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 the remaining cooperating collaborative devices other than the collaborative device whose execution has been completed, and delivering a work command.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관한 이벤트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센싱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may include receiving the event button signal related to the task from the user terminal or receiving the sensed value measured from the sensor or the arbitrary device When the sensing value is received, the sensing value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the operation is required.

또한,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작업을 두 개 이상 병행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이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에 중복되는 협업 기기에 대해서는 설정된 작업 간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실행하도록 한다. In additio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job command, when performing two or more jobs concurrently with the event, the job execution module sets a priority between the two or more jobs and overlaps the two or more jobs For collaborative devices, the task should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among the set tasks.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device) 정보, 작업(Task) 정보, 기기간 관계(relation) 정보를 정의하여 저장하고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작업에 관계하는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내리는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플랫폼을 갖는 다른 기종의 기기들 간 호환이 가능한 사물인터넷을 구축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information, task information, and relation information between devices are defined and stored, and when an event for a task is generated, machine social By providing a provision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build an Internet of objects compatible with devices of different models having different platforms.

또한, 본 발명은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 협업 관리 서버를 유무선 공유기에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기기들의 협업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alizes a 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a machine socialization environment in a wireless router, thereby managing collaborations of various devices over a network with low power.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외부에서 가정 내 기기 제어 뿐만 아니라 센서와 시간 등 기기 자체가 상황을 인지하여 작업을 동작시킬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기기간 협업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manage the inter-device collaboration by not only controlling the in-home device from the outside but also giving the ability of the device itself to recognize the situation and operate the operation such as the sensor and the time.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플랫폼 종류에 상관없이 서버 내의 스키마 규격에 알맞은 정보를 갖추고 있으면 언제든 시스템에 접목될 수 있으므로 기존 아날로그 제품에도 활용이 가능하고, 나아가 사물인터넷을 활성화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ystem at any time if it has information suited to a schema specification in a server regardless of the platform type of the produc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for existing analog products, and further, the object Internet can be activ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유무선 공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유무선 공유기의 상세도이다.
도 4는 유무선 공유기에서 센서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기초하여 두 개의 작업을 협업하여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 간 협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전체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chine socialization-based inter-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router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of a wired / wireless router.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generated from a sensor in a wireless router.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llaboratively performing two tasks based on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using a ro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in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lso,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in a sense that i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overly comprehensive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a meaning or an overly reduced meaning.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comprising" or "comprising"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may be further comprised of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기종 기기의 플랫폼을 동일화 시키고 다른 기종의 기기 간에 데이터 교환 및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웹 표준 언어 XML 기반으로 한 스키마를 제안하고자 한다. Before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chema based on a web standard language XML so that platforms of other types of equipments can be identified and data can be exchanged and processed effectively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models I want to.

최근 무수히 많은 사물인터넷 규격과 시스템이 출시되었지만, 보통 자사의 시스템과 플랫폼, 기기들 간의 소통만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타사 기기와는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기존 기기와 타 기기 간 즉, 다른 플랫폼을 탑재한 기종의 기기간에 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표준규격과 서버 구축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준규격화를 위해 기기 정보, 작업 정보, 기기간 관계 정보를 정의하여 XML 기반으로 저장한 스키마 구조를 제안하고, 서버는 항시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하므로 가정이나 건물 내에 흔히 사용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인 공유기를 활용하여 서버를 구축하였다. Although there are a myriad of Internet standards and systems recently rel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ystem, the platform, and the device is smoothly performed and is not compatible with the third party device. Above all, in order to enable collaboration between an existing device and another device, that is, between devices of different model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eparate standard and a ser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evice information, We propose a schema structure stored in XML based on the definition of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devices. Since the server must be connected to the network at all times, the server is constructed by using a router, which is a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commonly used in a home or a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chine socialization-based inter-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기 간 협업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공유기(100)와, 유무선 공유기(10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다수의 협업 기기(300-1, 300-2 내지 300-k; 이하 300으로 통칭함), 및 이벤트 발생 기기(2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device-to-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uter 100 and a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300-1, 300-2 to 300-k ), And an event generating device 200. The event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processor.

예컨대, 다수의 협업 기기(300)는 가정의 경우 컴퓨터(300-1), 세탁기(300-2), 전기밥솥, 창문, 청소기(300-k)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전제품, 사무용품, 센서,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기기 등의 모든 사물을 포함한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300 may be a computer 300-1, a washing machine 300-2, an electric rice cooker, a window, a cleaner 300-k, and the like in the hom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ll objects such as household appliances, office supplies, sensors, and smart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다수의 협업 기기(300)에는 유무선 공유기(100)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마련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펌웨어 업데이트가 쉽고 오픈소스를 사용하며, 최근 사물인터넷에서 각광받고 있는 아두이노(Arduino)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협업 기기(300)에 마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와이파이 쉴드(WiFi shield)와 연결되어 유무선 공유기(1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기기 간 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A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300 are provided with a microcontroller connected to the wire / wireless router 100 and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The microcontroller is easy to update the firmware, uses open source, and is able to apply the Arduino, which is currently on the Internet. Accordingly, the microcontroller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the collaboration devices 300 is connected to the WiFi shield to exchange data with the wire / wireless router 100, and provides cooperation between the devices.

이처럼, 다수의 협업 기기(300)는 기존의 전자기기 등에 유무선 공유기(100)에 접속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탑재함으로써 기존 아날로그 기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he collaborative devices 300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analog devices by mounting a microcontroller,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wire / wireless router 100, to existing electronic devices.

이벤트 발생 기기(200)는 다수의 협업 기기(300)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킨다. The event generating device 200 generates an event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collaboration devices 300 collaborate to perform a desired task.

이벤트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명령, 기기나 센서에서 발생되는 값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직접적인 명령은 거실의 온도를 조절하라는 이벤트 버튼 또는 청소를 시작하는 이벤트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이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항상 휴대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폰인 사용자 단말(210)에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기기나 센서에서 발생되는 값은 타이머(230), 가정 내 기기에 부착된 온도, 습도, 조도 등의 센서(240), SNS(Social Network Service; 220) 등에서 발생될 수 있다. The event can be a direct instruction from the user, a value generated from the device or sensor,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user's direct command may be an event button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iving room, an event button for starting cleaning, or the like. This can be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210, which is a smart phone capable of network connection that is always portabl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pace. In addition, the values generated by the device and the sensor may be generated by a timer 230, a sensor 240 such as a temperature, a humidity, an illuminance attached to an in-home device, and a social network service 220.

유무선 공유기(100)는 이벤트 발생 기기(200) 및 다수의 협업 기기(300)와 연결되어, 센서나 사용자로부터 오는 이벤트에 따라 다수의 협업 기기(300)들을 관리한다. 이때, 유무선 공유기(100)는 다수의 협업 기기(300) 간 관계를 참조하여 이벤트에 따른 시나리오 즉, 기기들의 작업 스케줄을 정의해 두고,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라 해당 시나리오를 실행하여 기기 간 협업 작업을 관리한다.The wired / wireless router 100 is connected to the event generating device 200 and the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300 and manages a plurality of the collaboration devices 300 according to events from the sensors and users. At this time, the wire / wireless router 100 defines a scenario according to an event, that is, a schedule of operations of devices, referring to a relationship among a plurality of the collaboration devices 300, and executes a corresponding scenario according to an event generated, Management.

이를 위한 유무선 공유기(100)는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The wired / wireless router 100 for this purpose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2 and 3 in detail.

유무선 공유기(100)에는 작업이 시작되기 위한 이벤트 처리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XML 스키마(120), 데이터베이스(130), 기기 협업 작업을 총괄하는 기기 관리부(110)로 구성된다. The wired and wireless router 100 includes an XML schema 120 storing event processing and information for starting work, a database 130, and a device management unit 110 for managing device collaboration work.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기초하여 동작하기 위해 유무선 공유기(100)는 OpenWrt의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공유기 내에 서버를 구축한 뒤 IP를 할당하여 PHP로 구성된 기기관리부(110), XML 스키마(120), 데이터베이스(130)를 내재하는 형식으로 설계된다. 서버에는 기기 각각의 정보와, 등록된 기기들이 수행해야 할 작업의 정보, 기기의 기능과 기능간의 관계 정보를 담고 있어야 한다. 또한 이벤트를 받아 기기끼리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기기 각각의 기능과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야 시나리오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앙 집중형 처리 방식으로 유무선 공유기(100)를 사용하여 서버를 구현한다.In order to operate based on such a configuration, the router 100 installs an operating system of OpenWrt, constructs a server in the router, allocates an IP and allocates IP to the device manager 110, XML schema 120, (130). The server should contain information about each device, information about the tasks that the registered devices should perform, and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s and functions of the device. In addition, in order to receive events an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know the functions and mutual relations between the devices to perform the scenario.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server is implemented using the wireless router 100 in a centralized processing manner in order to perform an operation.

그런데, 서버를 구현하기엔 유무선 공유기(100) 저장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USB 메모리를 유무선 공유기(100)에 마운트(mount)하여 저장 공간을 확충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torage space of the wired / wireless router 100 may be insufficient to implement the server, the storage space can be expanded by mounting the USB memory to the router 100 as shown in FIG.

XML 스키마(120)는 기기 스키마(121), 작업 스키마(122), 협업 관계 스키마(123)로 구성된다. The XML schema 120 is composed of a device schema 121, an operation schema 122, and a collaboration relationship schema 123.

기기 스키마(121)는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의 정보(Device_info)를 정의하여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에 저장한다. XML 문서는 모든 기기를 구분 및 분류할 수 있는 고유 정보를 관리하는 스키마이다. 기기의 정보(Device_info)는 기기의 고유번호, 기기의 기능, 모델명, 네트워크, 메인보드, 제조업체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The device schema 121 defines device information (Device_info) for a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and stores them in an XML document so as to enable mechanical information processing. An XML document is a schema that manages unique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and classify all devices. The device information (Device_info)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a unique number of the device, a function of the device, a model name, a network, a main board, and a manufacturer.

작업 스키마(122)는 기기가 수행할 작업 정보(Task_info)를 정의하여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에 저장한다. 작업 정보(Task_info)는 작업 고유번호, 기기가 수행할 작업에 대한 설명, 우선순위, 해당 작업에 대한 기기의 순서 결정 및 기기들의 그룹화를 진행하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The operation schema 122 defines task information (Task_info) to be performed by the device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an XML document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mechanically. The task information (Task_info) includes a task unique number, a description of an operation to be performed by the device, a priority, an order of devices for the task, and information for proceeding to group devices.

협업관계 스키마(123)는 기기들간 유동적인 관계 즉, 협업을 위한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에 저장한다. 협업을 위한 관계 정보(Relation_info)는 기기들의 관계 고유번호, 해당 협업관계가 정의된 기기들, 기기들 간의 협업관계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schema 123 defines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devices, i.e.,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for collaboration, and stores the relation information in an XML document so as to enable mechanical information processing. Relation information for collaboration (Relation_info) may include the relationship number of the devices, the devices for which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is defined,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vices, and the like.

기기 관리부(110)는 XML 스키마(120) 및 데이터베이스(130)와 상호 연동하여 기기 협업 작업을 총괄한다. 즉, 기기 관리부(110)는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수신된 센싱값, 리턴값을 데이터베이스(130)로 보낸 뒤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다시 값을 불러들여서 XML 스키마(120)에 다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XML 스키마(120)에 바로 저장하지 않고 데이터베이스(130)를 거쳐 저장하는 것은 XML을 저장할 때 아두이노인 와이파이 쉴드(113)와 기기 관리부(110)간 연결에 문제가 발생하기에 데이터베이스(130)를 거치는 방식을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130)를 거치지 않고 XML 스키마(120)에 바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cooperates with the XML schema 120 and the database 130 to manage the device collaboration work. That is,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sends the sensing value and the return value received from the event generating device to the database 130, fetches the value again from the database 130, and stores the value in the XML schema 120 again. Storing the data via the database 130 without directly storing the data in the XML schema 120 causes a problem in connection between the childhood Wi-Fi shield 113 and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when storing the XML, Metho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store the data in the XML schema 120 without going through the database 130.

기기 관리부(110)는 XML 스키마(12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벤트에 따른 시나리오, 기기 선택, 작업 선택 등의 작업을 실행한다. 이를 테면, 기기 관리부(110)는 사용자단말(도 1의 210)이나 센서(240), 타이머(230), SNS(220)에 의해 전달된 이벤트로부터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선정하고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협업 기기를 탐색하여 해당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executes tasks such as a scenario, a device selection, and a job selection according to an even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XML schema 120. For example,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selects corresponding job information from the event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10 in FIG. 1), the sensor 240, the timer 230, and the SNS 220, The collaborative device can be searched and the work can be executed by transmitting the work command to the collaborative devices.

구체적으로, 기기 관리부(110)는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 주변 기기 탐색 모듈(112),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 작업 실행 모듈(114)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includes an event generation recognition module 111, a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112, a collaboration device monitoring module 113, and a task execution module 114.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은 이벤트 발생 기기(도 1의 200)으로부터 임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한다. 이벤트가 사용자의 직접적인 명령인 경우에는 작업 정보를 바로 인식할 수 있지만, 센서나 타이머, SNS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의 경우에는 발생된 신호를 기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에 벗어나거나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등에 따라 작업이 필요한지를 판단함으로써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111 recognizes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when an arbitrary event is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ing apparatus 200 (FIG. 1). If the event is a direct instruction of the user, the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the timer, and the SNS, the generated signal is compared with the stored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event has occurred by judging whether a job is necessary.

이벤트는 기기들이 수행할 작업과 관계하는 것으로 시나리오 즉, 기기들의 작업 스케줄을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온도조절' 작업 버튼을 실행하면 '온도조절'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고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시나리오를 작업 정보(Task_info)에서 불러온다. 또한, 센서로부터 현재 온도값이 수신되고 수신된 현재 온도값이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온도조절'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며 실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시나리오가 결정된다.The events are related to the tasks to be performed by the apparatuses, and the scheduling of the tasks of the apparatuses, that is, the apparatuses, is determined.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button is executed, a 'temperature control' event is generated and a task scenario for adjusting the room temperature is called from the task information (Task_info). Also, when the current temperature value is received from the sensor and the received current temperature valu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 event called 'temperature control' occurs and a working scenario for adjusting the room temperature is determined.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은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로서 작업의 고유번호(Task_num)를 불러올 수 있다.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111 can retrieve the task unique number (Task_num) as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주변 기기 탐색 모듈(112)은 임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XML 스키마(120)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111)로부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전달받으면 해당 작업 정보와 관계하는 즉, 해당 작업에 동작해야 할 주변의 협업 기기를 탐색한다. 이를 테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 정보와 대응되는 온도 센서, 창문, 에어컨, 선풍기 등을 탐색하게 된다.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112 searches for information on all devices stored by the XML schema 120 when an arbitrary event occurs and receives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from the event generation recognition module 111 That is, related to the work information, that is, the nearby collaborative device to be operated in the corresponding job. For example, it search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e window, the air conditioner, the electric fan, etc.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은 주변 기기 탐색 모듈(112)을 통해 탐색된 협업기기에 대하여 기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탐색된 협업 기기가 이미 동작 중이어서 "busy"한 상태이면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기기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도록 설정할 수 있다.The collaborative device monitoring module 113 checks the state of the device for the collaborative device search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112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possible. As a result of checking, if the searched collaborative device is already in operation and is in the "busy" state, it can be set to wait until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s completed by switching to the standby state.

작업 실행 모듈(114)은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에서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확인되는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1순위 협업기기에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한다.The task execution module 114 extracts a first-order collaborative apparatus to which the first task is to be preferentially performed among the collaborative apparatuses that are confirmed to be operable in the current state in the first collaborative apparatus monitoring module 113, And execute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1순위 협업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XML 스키마(120)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참조하여,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한다. 그리고, 탐색된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한다. 이때, 작업 실행 모듈(114)은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 대하여 작업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순서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The work execution module 114 refers to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stored in the XML schema 120 when the execution of the first-level collaboration device is completed, and prioritizes the corresponding work in the remaining cooperating collaborative devices Find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to do. Then, a work instru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arched next collaboration device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t this time, the job execution module 114 may sort the remaining cooperative workable devices according to the job priority order, and sequentially execute the operations of the devices according to the sorted order.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113)을 통해 해당 기기의 상태를 체크한 후 차기 협업 기기가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차기 협업 기기가 동작이 가능한 상태이면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한다.Also, the work execution module 114 may check the stat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through the collaboration device monitoring module 113 before confirming whether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is in an operable state before transmitting the work order to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 If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is ready for operation, it sends a work order to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작업 명령을 전달한 협업기기의 동작이 완료되면 해당 협업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피드백받고 기기 정보에 협업기기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XML 스키마(120)로 전달한다. 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work command is completed, the work execution module 114 feeds back the result code from the collaborative device and transmits the result code to the XML schema 120 to store the state of the collaborative device in the device information do.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하나의 이벤트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시나리오가 수행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시나리오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실행 모듈(114)은 임의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다른 작업이 끼어들거나 두 개 이상의 작업이 병행하여 실행될 때 작업에 우선권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작업이 중복 실행될 때 작업 실행 모듈(114)은 작업 스키마(122)에서 작업끼리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진행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ask execution module 114 can execute two or more scenarios for one event, and in this case, priority can be set for each scenario. In addition, the task execution module 114 may give priority to tasks when another task interrupts or two or more tasks are executed in parallel while a task is being performed. Accordingly, when multiple jobs are executed redundantly, the job execution module 114 compares priorities of jobs among the jobs in the job schema 122, and proceeds from a job having a higher priority.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집안을 청소하는 제1 시나리오(Task1)와 작업의 스케줄을 집안의 온도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제2 시나리오(Task2)로 나누었고, 2개의 시나리오가 창문(Window)에서 겹쳐지도록 설계하였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first scenario (Task 1) for automatically cleaning the house at a set time and a second scenario (Task 2) for adjusting the schedule of the work to a temperature preferred by the user And the two scenarios were designed to overlap in the window.

제2 시나리오에서, 센서에서 받아진 온도값은 기기관리부를 통해 기기 정보(device_info)에 저장이 되고 저장된 온도값을 보고 온도 조절 작업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다. 제1 시나리오의 청소 작업은 적정 시간이 되면 실행되도록 하고 두 작업 간 우선순위는 청소 작업을 더 높게 설정한다. 각각의 기기들은 실행이 완료된 Result code를 반환하고 이를 보고 다음 작업으로 진행된다. 도 5의 흐름도는 처음 유무선 공유기에서 주변의 모든 기기에서 신호를 전달하여 기기를 탐색한 후 탐색된 기기와 유무선 공유기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시나리오의 이벤트가 발생되고 유무선 공유기에서 데이터를 요청하여 작업이 시작된다. 탐색된 기기 중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기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동작을 시작하게 되고 끝남과 동시에 관계를 맺어 다음 작업할 기기를 선정하게 된다. 선정된 기기 또한 상태를 체크하여 동작 여부를 결정하여 하나의 이벤트를 끝마치게 된다. 이때, 제2 시나리오는 집안의 온도가 올라가면 창문이 닫히고 에어컨이 가동되면서 선풍기가 동작되고, 제1 시나리오는 특정 시간을 설정하고 해당 시간이 되면 창문이 열리고 오디오가 동작한 후 청소기가 동작하도록 정의되어 있는데, 창문 작업에서 중복 실행되는 경우, 제1 시나리오에 따른 창문 작업과 제2 시나리오에 따른 창문 작업은 상반된다. 따라서, 유무선 공유기는 작업 스키마(122)에 저장된 작업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진행한다. In the second scenario, the temperature value received from the sensor is stored in the device information (device_info) through the device management unit, and an event for the temperature adjustment operation is generated by viewing the stored temperature value. In the first scenario, the cleaning task is executed at the appropriate time, and the priority between the two tasks is set higher for the cleaning task. Each device returns a result code that has been executed, and proceeds to the next operation. In the flowchart of FIG. 5, after the first wireless router transmits signals from all the surrounding devices, the discovered device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router. Then, an event of the first scenario is generated, and the work is started by requesting data from the wireless rou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device is checked by checking the status of the first device to be performed first among the searched devices and the device to be next operated is selected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nd. The selected device also checks the status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vice is in operation, thus completing one event. In this case, in the second scenario,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use is increased, the window is closed,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and the fan is operated. In the first scenario, a specific time is set. When the window is opened at that time, However, in the case of overlapping execution in the window operation, the window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scenario and the window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scenario are contradictory. Therefore, the router can compare the priority of the tasks stored in the task schema 122 and proceed from the task with the highest priority.

도 4는 유무선 공유기에서 센서로부터 생성된 데이터의 전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generated from a sensor in a wireless router.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 기기 중 하나인 센서에서 읽어들인 값이나 기기 동작이 끝난 후 발생되는 결과값을 통해 작업이 시작된다. 센서를 통해 감지된 값은 유무선 공유기의 아두이노 보드에 전달되어 변수 형태로 저장되고, 유무선 공유기 내 와이파이 쉴드를 통해 기기 관리부(110)에 Get 방식으로 보내진다. 데이터를 전달받은 기기 관리부(110)는 XML 스키마(12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130)로 전달한다. 데이터베이스(130)에 업데이트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는 다시 기기 관리부(110)에 의해 호출되고 XML 스키마(120)에 저장된다. 기기 동작이 끝나면 생성되는 완료 신호(result code) 역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 및 저장된다.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with a value read from a sensor, which is one of the event generating devices, or a result value generated after the device operation ends. The value sensed by th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adonyno board of the wired / wireless router and is stored in a variable form, and is sent to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through the Wi-Fi shield in the wired / wireless router.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receiving the data transfers the data to the database 130 in order to store the data in the XML schema 120. Data stored in an update format in the database 130 is again called by the device management unit 110 and stored in the XML schema 120. [ When the device operation is completed, the result code that is generated is also generated and stored as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기기 간 협업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유기를 이용하여 기기 간 협업을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전체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FIG. 6 is an overall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using a rou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n event is generated in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S100 단계 이전에 준비 단계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유무선 공유기에,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하여 기본 정보(Device_info), 기기들에 대한 작업 정보(Task_info), 기기들 간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각각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한다. 6,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ic information (Device_info) for a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task information (Task_info) about the devices,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Relation information (Relation_info) is defined and stored in the XML schema.

예컨대, '청소(Task1)' 및 '온도조절(Task2)'에 대한 이벤트를 정의하고, 청소(Task1) 이벤트에 대하여 동작할 기기들로서 전자시계, 창문, 오디오, 로봇청소기 등의 기기 정보를 정의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온도조절(Task2) 이벤트에 대하여 동작할 기기들로 온도 센서, 창문, 에어컨, 선풍기 등의 기기 정보를 정의한다. 또한, 각 이벤트에 대한 기기들에 작업 정보 및 이들간 우선순위 관련 협업 관계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온도조절(Task2) 이벤트의 경우, 온도 센서를 1순위로 실행하고 센싱된 온도에 따라 창문을 닫고(2순위), 에어컨을 가동하거나(3순위), 선풍기를 부가적으로 동작시키는(4순위) 순서로 시나리오를 정의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ts for 'Task 1' and 'Temperature 2' are defined, and apparatus information such as an electronic clock, a window, an audio, and a robot cleaner is defined as devices to be operated for a task (Task 1) . Likewise, device information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 window, an air conditioner, and an electric fan is defined as devices to be operated for a temperature control (Task 2) even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task information and the collabo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ority among the devices for each event. In the case of the temperature control (Task 2) event, the temperature sensor is executed in the first order, the window is closed accor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second order), the air conditioner is operated (third order), and the fan is additionally operated Scenarios can be defined in sequence.

이처럼 XML 스키마의 구축이 완료되면, S100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기기에서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하고, 유무선 공유기의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사용자단말 또는 센서, SNS 등을 포함한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감지한다.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XML schema is completed, as shown in step S100, a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collaborate in the event generating device to generate an event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When the event generation recognition module of the wireless router receives a user terminal, sensor, And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the event from the event-generating device, and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이벤트 발생 감지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단말에 의한 직접적인 명령,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이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event occurrence detection can use a sensing value measured from a direct command, a sensor, or an arbitrary device by a user terminal.

S111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사용자단말로부터 작업 ID에 대응하는 버튼 선택으로 작업 지시 신호를 수신하고, 이로 인해 S115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As shown in step S111,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receives the task instruction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task ID, and thus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s in step S115.

또, S112 단계와 같이,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센서 또는 임의 기기(SNS, 타이머 등)으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면, S113 및 S114 단계와 같이 센싱값을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벗어나는 경우 또는 기준치를 만족하는지에 따라 작업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When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receives the sensed value measured from the sensor or the arbitrary device (SNS, timer, etc.) as in step S112, it compares the sensed value with the stored reference value as in steps S113 and S114,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operation is requi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reference value is satisfied.

작업이 필요하면 S115 단계와 같이 이벤트를 발생시킨다.If an operation is required, an event is generated as in step S115.

다음 S110 단계에서, 유무선 공유기의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발생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검색하여 인식한다. 작업 정보는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의 고유번호(Task_num)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조절' 버튼 이벤트가 발생되면 Task1 이라는 작업 고유번호가 주변 기기 탐색 모듈로 전달된다. In step S110,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of the router detects and recognizes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event. The task information may be a unique number (Task_num) of the task corresponding to the event. For example, when a 'temperature control' button event occurs, the task unique number Task1 is transmitted to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다음 S120 단계에서, 유무선 공유기의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이, 이벤트 발생에 의해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탐색 목록에서 기기 정보와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작업에 동작해야 할 주변의 협업 기기를 탐색한다. In the next step S120,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of the router searches all the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by the occurrence of the event, compares the device information with the ev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in the search list, Explore the collaborative devices around you.

탐색을 통해,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탐색된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한다.Through the search, the job execution module of the router or the wireless router transmits the job command to the searched collaborative device to execute the operation of the device.

구체적으로 S130 단계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탐색된 협업 기기 중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실행할 1순위 기기를 선택한다. Specifically, as in step S130, the work execution module of the router selects a first-order device to which the corresponding work is preferentially executed among the discovered collaborative devices.

다음 S140 단계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의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이,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 스키마를 참조하여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체크를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가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한다.The collaborative device monitoring module of the router can check the status of the collaborative device search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by referring to the device schema stored in the XML schema as in step S140. Check to see if the collaborative device searched for is currently operational.

기기의 상태가 'busy' 상태이면 이전 단계로 돌아가거나, 대기 상태로 전환하여 해당 기기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린다. If the status of the device is 'busy', it returns to the previous step or waits until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completed by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기기의 상태가 'no busy' 상태이면, S150 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가 해당 협업 기기로 연결하여 조인한다.If the state of the device is 'no busy', as in S150, the wireless router connects and joins to the collaboration device.

다음 S160 단계와 같이,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해당 협업 기기로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한다. The work execution module of the router or router conduct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by transmitting a work command to the collaborative device as in step S160.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해당 협업 기기는 결과값을 반환하고, 유무선 공유기는 해당 협업 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수신한다. When the execution of the device is completed, the collaborative device returns a result value, and the wireless router receives a result code from the collaborative device.

다음 S170 단계에서, 유무선 공유기는 완료 신호의 수신을 기점으로 XML 스키마의 협업 관계 스키마를 참조하여 다음 실행할 협업기기를 조회한다. 조회 결과 다음 실행할 협업기기에 대하여 상태와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작업을 이어 진행한다. 임의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다른 작업이 끼어들게 되면 작업 스키마에서 작업끼리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부터 진행하도록 한다. In step S170, the router inquires of the collaborative device to be executed next by referring to the collaboration schema of the XML schema from the reception of the completion signal. Check the status and priority for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to be inquired, and continue the work. If another task is interrupted during the arbitrary operation, the priority of the tasks among the tasks in the task schema is compared and the task with the highest priority is execu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he techniqu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유무선 공유기(AP) 200: 이벤트 발생 기기
210: 사용자단말 220: SNS
230: 타이머(시간) 240: 센서
300: 다수의 협업기기 110: 기기 관리부
120: XML 스키마 130: 데이터베이스
111: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 112: 주변 기기 탐색 모듈
113: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 114: 작업 실행 모듈
121: 기기 스키마 122: 작업 스키마
123: 협업 관계 스키마
100: Wireless Router (AP) 200: Event generating device
210: user terminal 220: SNS
230: timer (time) 240: sensor
300: a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110:
120: XML Schema 130: Database
111: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112: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113: Collaboration device monitoring module 114: Task execution module
121: Appliance schema 122: Operation schema
123: Collaboration Relationship Schema

Claims (14)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마련되는 다수의 협업 기기;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이벤트 발생 기기; 및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기기들을 탐색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유무선 공유기;
를 포함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provided with a microcontroller capable of network communication;
An event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 event so that the plurality of collaboration devices collaborate to perform a desired task; And
(Device_info), task information (Task_info), and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for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and stores them in an XML schema A router for searching for collaborative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when a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ing device and transmitting a work command to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Based collaborative management system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rou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 신호를 전달하여 기기를 탐색하고 상기 탐색을 통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협업 기기들과 연결하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한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협업 기기로부터 완료 신호(Result code)를 피드백받고 상기 기기 정보에 협업기기의 상태를 저장하도록 상기 XML 스키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router includes: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to search for the device and connect with the collabo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through the search,
And transmits the result code to the XML schema to feedback the completion code (Result code) from the collaborative device and store the state of the collaboration device in the device informa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work command is completed. Socialization - based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기기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주변 협업 기기를 탐색하는 주변 기기 탐색 모듈; 및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협업 기기를 추출하고 추출된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여 기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router includes:
An event genera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when a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ion device;
Searching for all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when the event occurs and searching for peripheral collaborative devices matching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and the task information stored in the XML schema, ; And
A task execution module for extracting a collaborative device to be preferentially executed among the searched collaborative devices and delivering a work command to the extracted collaborative device to execute an operation of the device;
Based collaborative management system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 rou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을 통해 탐색된 협업 기기에 대하여 기기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기기 상태가 "busy"이면 해당 협업 기기의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처리하는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wireless router includes:
Checking the device status of the collaborative device searched through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operation is possible, and if the device status is "busy" A collaborative device monitoring module;
Based collaborative management system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 rou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여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1순위 협업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협업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이 완료된 협업 기기 외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하고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job execution module comprises:
Extracting a first-order collaborative device to perform a corresponding job from among the searched collaborative devices and delivering a work order to the first collaborative device, and when the first collaborative device is completed, referring to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stored in the XML schema, Wherein the collaborative device is operable to search for a next collaborative device to perform the work first, and to transmit a work command to the collaborative device based on the machine socialization based on the rou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차기 협업 기기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기 전에, 상기 협업기기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상기 기기의 상태를 체크한 후 동작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job execution module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checks the state of the device through the collaboration device monitoring module before delivering the work order to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and transmits the work order when the operation is possible. Based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는,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각각 정의하고 기계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XML 문서로 작성하며 상기 XML 문서에 포함된 정보의 수정 및 갱신이 가능한 XML 스키마;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wireless router includes:
(Device_info), task information (Task_info), and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is defined and written in an XML document so that mechanical informa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nd an updateable XML schema;
Based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 rou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관한 이벤트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센싱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comprises:
Receiving a signal of an event button related to a job from a user terminal or receiving a sensed value measured from a sensor or an arbitrary device to detec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When the sensed value is received, compares the sensed valu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determines that the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task is required, based on the machine socialization based inter-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들은 USB 메모리에 탑재되고,
상기 USB 메모리를 공유기 내 마운팅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8,
The modules are mounted on a USB memory,
Wherein the USB memory is mounted in a router and applied to the mach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은,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작업을 두 개 이상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에 중복되는 협업 기기에 대해서는 설정된 작업 간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job execution module comprises:
The event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wo or more tasks,
Wherein the priority setting unit sets priorities between the two or more tasks and executes the tasks according to the priority among tasks set for the cooperative apparatuses overlapping the two or more tasks. system.
유무선 공유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협업 기기간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에서의 기기 간 협업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무선 공유기가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에 대한 기기 정보(Device_info), 작업 정보(Task_info), 협업 관계 정보(Relation_info)를 정의하여 XML 스키마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협업 기기들이 협업하여 원하는 작업(task)을 수행하도록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는 단계; 및
상기 유무선 공유기가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협업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변의 협업 기기들에게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방법.
A method for collaborative management between devices in a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are communicatable using a wire / wireless router,
The router may define device information (Device_info), task information (Task_info), and collaboration relationship information (Relation_info) for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and store them in an XML schema.
Generating an event from an event generating device so that the plurality of collaborative devices collaborate to perform a desired task; And
Searching for collaborative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when a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ing device, and transmitting a work command to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A method for collaborative management between machin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 rou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상기 이벤트 발생 기기로부터 발생된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주변 기기 탐색 모듈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기기들을 탐색하고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기기 정보 및 작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는 작업 정보와 매칭되는 주변 협업 기기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공유기의 작업 실행 모듈이 상기 탐색된 협업 기기 중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1순위 협업 기기를 추출하여 작업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1순위 협업 기기의 실행이 완료되면 상기 XML 스키마에 저장된 협업 관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실행이 완료된 협업 기기 외 나머지 동작 가능한 협업 기기들에서 해당 작업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차기 협업 기기를 탐색하고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 간 협업 관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job command,
Recognizing an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of the wireless router,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generated from the event generator;
The peripheral device search module of the wireless router searches all the devices stored in the XML schema and searches for neighboring collaborative devices matched with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based on the device information and the task information stored in the XML schema ;
Wherein the job execution module of the router or the wireless router extracts a first-order collaborative device that will preferentially perform the job among the discovered collaborative devices and delivers a work order to the collaborative device, and when the execution of the first cooperative device is completed, Searching for the next collaborative device to perform the job first and delivering a work command from the other cooperating collaborative devices other than the collaborative device having completed the execution by referring to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ased collaborative management of machine socialization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와 대응되는 작업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인식모듈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업에 관한 이벤트 버튼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센서 또는 임의 기기로부터 측정된 센싱값을 수신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하되,
상기 센싱값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센싱값을 기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여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recognizing the tas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comprises:
Wherein the event occurrence recognition module receives a signal of an event button related to a task from a user terminal or receives a sensed value measured from a sensor or an arbitrary device to detect whether an event has occurred,
Comparing the sensed value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when the sensing value is received, and determining that the event occurs only when an operation is required, based on the machine socialization based inter-device collaboration management using the rout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이벤트에 대하여 작업을 두 개 이상 병행하여 수행하는 경우,
상기 작업 실행 모듈이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 간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작업에 중복되는 협업 기기에 대해서는 설정된 작업 간 우선순위에 따라 작업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기를 이용한 머신 소셜라이제이션 기반 기기간 협업 관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job command,
If two or more tasks are performed in parallel on the event,
Wherein the job execution module sets the priority between the two or more jobs and executes the job according to the priority among the set jobs for the cooperating devices overlapping the two or more jobs. How to Manage Collaboration Between Devices Based on.
KR1020160034219A 2016-03-22 2016-03-2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KR1018340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19A KR101834066B1 (en) 2016-03-22 2016-03-2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219A KR101834066B1 (en) 2016-03-22 2016-03-2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954A true KR20170109954A (en) 2017-10-10
KR101834066B1 KR101834066B1 (en) 2018-03-02

Family

ID=6019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219A KR101834066B1 (en) 2016-03-22 2016-03-22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06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469A1 (en) * 2017-10-19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CN110018677A (en) * 2019-05-14 2019-07-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A kind of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477198B2 (en) 2020-05-29 2022-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computing on the ed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5094B2 (en) 2019-06-27 2023-08-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712B1 (en) * 2014-01-24 2015-10-14 모다정보통신 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M2M Services based on Self-configuring Social Collaboration Group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8469A1 (en) * 2017-10-19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for
KR20190043940A (en) * 2017-10-19 2019-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0018677A (en) * 2019-05-14 2019-07-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A kind of internet of things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477198B2 (en) 2020-05-29 2022-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computing on the e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066B1 (en) 2018-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12521B (en) Intelligent device configuration guidance via automated assistant interface of individual client devices
US20180006840A1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home
US10250712B2 (en) Method and server of configuring scenario mode for smart devices
KR101715538B1 (en) 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mmending scene mode of smart device
JP6207734B2 (en) Intelligent device scene mode customiz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4885406B (en) For the method and apparatus in domestic network system medium-long range control household equipment
CN111262761B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KR1018340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devices based on machine socialization using access point
US9577692B2 (en)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560279B2 (en) Method and server for controlling smart devices based on predefined scenario mode
EP3532927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sensor data collection and sensor configuration
US20140129006A1 (en) Smart gateway, smart home system and smart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357245B (en) A kind of smart home system and its design method based on cloud service and ZigBee technology
WO2014119255A1 (e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JP2019212183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9710753B1 (en) Collaboration of audio sensors for geo-location of events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nvironment
US20160124403A1 (en) Method and server of customizing scenario mode for smart devices
JP6181486B2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WI482461B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6802354B2 (en) Communication test equipment, communication test methods and programs
US20160202672A1 (en) Thing cooper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modeling tool thereof
US201601707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stalling smart appliance
KR101975537B1 (en) SERIAL TO LoRa CONVERTER
JP6815978B2 (en) Initial setting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ed equipment
CN109818813A (en) Maintaining method, device and th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of intelligent gatew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