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9758A -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9758A
KR20170109758A KR1020160033726A KR20160033726A KR20170109758A KR 20170109758 A KR20170109758 A KR 20170109758A KR 1020160033726 A KR1020160033726 A KR 1020160033726A KR 20160033726 A KR20160033726 A KR 20160033726A KR 20170109758 A KR20170109758 A KR 2017010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ent
vehicle
analyz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민
박정미
이지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9758A/ko
Publication of KR2017010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7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60R16/0373Voice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 운전자 또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청각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활용함으로써 운전자의 감성까지 고려하여 컨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능동적인 차량 VUI(Voice User Interface)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청각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한 청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운전자 감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분석한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 감성을 기반으로 그 연관성을 분석하여 활용하는 활용부를 포함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VOICE INTERFAC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 운전자 또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청각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활용함으로써 운전자의 감성까지 고려하여 컨텐츠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능동적인 차량 VUI(Voice User Interface)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차량의 기능적인 측면에 있어서 운전자의 편의성 또는 안전성 향상 등을 강조하는 기술이나 서비스가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특히, 차량에 적용된 통신 가능한 각종 단말들을 통하여 운전자 또는 탑승객에게 다양한 컨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현재 급속도로 발전한 상태이나, 운전자 또는 탑승객의 감성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기술이나 서비스 개발은 아직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현대인의 차량 이용 인구수는 증가하는 반면 도로는 한정되어 있음에 따라 차량 이용자는 예전보다 더 오랜 시간을 차량에서 보내게 되는데, 차량 운전 중에는 다른 일상생활 때 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평소 운전자가 즐겨 듣던 컨텐츠를 기억해 놓았다가 알려주거나 또는 운전자의 현재 상황이나 감성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능동적이고 스마트한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청각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감성까지 고려하여 운전자에게 특정 데이터 및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청각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한 청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운전자 감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분석한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 감성을 기반으로 그 연관성을 분석하여 활용하는 활용부를 포함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청각 데이터는 음성 정보 데이터, 컨텐츠 정보 데이터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는 차량 내 사람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에 관한 데이터이고, 상기 컨텐츠 정보 데이터는 차량 오디오 출력, 차량 비디오 출력 또는 차량 라디오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컨텐츠 내용 데이터는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 또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집부는, 음성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성 정보 수집부, 컨텐츠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텐츠 내용 수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석부는, 음성 정보 데이터의 음량과 음역대를 분석하는 음성 정보 분석부, 컨텐츠 정보 데이터의 컨텐츠 이름, 음원 채널, 라디오 주파수 또는 재생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컨텐츠 정보 분석부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의 주제와 어휘를 분석하는 컨텐츠 내용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정보 분석부 및 컨텐츠 내용 분석부의 분석을 토대로 운전자 감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활용부의 지시에 의해 특정 컨텐츠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다양한 청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감성까지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평소 운전자가 즐겨 듣던 컨텐츠를 기억해서 먼저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감성에 맞춘 적절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등 각종 데이터 및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마이크를 통해 각종 청각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으로, 보다 저비용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세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의 감성을 고려하여 운전자에게 컨텐츠 등을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는 마이크(100), 상기 마이크를 통해 청각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200), 수집한 청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운전자 감성을 분석하는 분석부(300) 및 분석한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 감성을 기반으로 그 연관성을 분석하여 활용하는 활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세구성도가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청각 데이터의 수집을 위한 기본적인 장치로 마이크(100)를 포함하는데, 상기 마이크는 차량 내부에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마이크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청각 데이터가 신호로 수집부(200)에 전달된다.
마이크(100)를 통해 상기 수집부(200)에 수집되는 청각 데이터는 음성 정보 데이터, 컨텐츠 정보 데이터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이며,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는 차량 내 사람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에 관한 데이터이고, 상기 컨텐츠 정보 데이터는 차량 오디오 출력, 차량 비디오 출력 또는 차량 라디오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컨텐츠 내용 데이터는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 또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세분화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상기 수집부(200)는 음성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성 정보 수집부(210), 컨텐츠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220)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텐츠 내용 수집부(230)를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상기 음성 정보 수집부(210)는 음량계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수집부(220)는 기계적 데이터, 라디오 주파수 또는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컨텐츠 내용 수집부(230)는 ASR(음성 인식)를 통해 발화 내용을 텍스트로 수집하여 SLU에 의해 주요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상기 수집부(200)에 의해 수집된 청각 데이터는 분석부(300)로 전달되어 수집된 청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운전자 감성을 분석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석부(300)는 음성 정보 데이터의 음량과 음역대를 분석하는 음성 정보 분석부(310), 컨텐츠 정보 데이터의 컨텐츠 이름, 음원 채널, 라디오 주파수 또는 재생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컨텐츠 정보 분석부(320)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의 주제와 어휘를 분석하는 컨텐츠 내용 분석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정보 분석부 및 컨텐츠 내용 분석부의 분석을 토대로 운전자 감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부(300)는 음성 정보 데이터와 컨텐츠 정보 데이터의 유형을 분류하여 활용할 수 있는 분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분류기는 음성 정보 데이터와 컨텐츠 정보 데이터 자체를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효율적인 분석을 위해 음성 정보 데이터 또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를 구분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활용부(400)는 상기 분석부(300)에서 분석한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 감성을 기반으로 그 연관성을 분석하여 활용하게 되는데,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 감성을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면, 차량 운전자가 아침 출근길에 운전을 하면서 라디오 프로그램 중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를 청취하는 경우, 수집부(200)는 라디오 채널 정보, 음량, 청취 내용, 발화 내용, 현재 시각, 청취 시간, 상황/감정 등을 수집하고, 분석부(300)는 라디오 채널 정보 중 주파수 95.9㎒, 제목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채널 재생 시간을 분석하고, 음량은 120dB임을 분석하며, 청취 내용은 주제가 경제, 사회, 시사이고 빈도어휘가 TTP, 한국, 중국, 아시아, 하락세, 위기임을 분석하며, 발화 내용은 "저번 달에 사 놓은 주식 어떻게 할까? 불안한데, 일단 출근하고 보자"임을 분석하고, 현재 시각이 오전 8시 20분임을 분석하며, 청취 시간은 약 10분임을 분석하고, 상황/감정과 관련하여 출근길에 주식/경제 관련 관심이 있으며 불안한 상태임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활용부(400)는 운전자가 항상 약 오전 8시 20분에 차에 탑승하여 출근하면서 라디오를 약 80%정도 듣고 경제/사회 분야에 관심이 있으며 평균 120dB로 컨텐츠를 재생하고 현재 주식투자 중임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해 운전자 상황/선호도/감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차량 VUI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활용부(400)의 지시에 의해 특정 컨텐츠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오디오(Audio)(510), 비디오(Video)(520) 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53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표시부(500)의 구성을 이용하여 수집/분석한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 감성을 토대로 사용자의 별도의 제어 없이도 능동적으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청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감성까지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평소 운전자가 즐겨 듣던 컨텐츠를 기억해서 먼저 제공하거나 운전자의 감성에 맞춘 적절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등 각종 데이터 및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마이크를 통해 각종 청각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보다 저비용으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마이크
200: 수집부
210: 음성 정보 수집부
220: 컨텐츠 정보 수집부
230: 컨텐츠 내용 수집부
300: 분석부
310: 음성 정보 분석부
320: 컨텐츠 정보 분석부
330: 컨텐츠 내용 분석부
400: 활용부
500: 표시부
510: 오디오
520: 비디오
530: 내비게이션

Claims (7)

  1. 차량에 탑재되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청각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한 청각 데이터 및 상기 청각 데이터로부터 도출되는 운전자 감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분석한 청각 데이터와 운전자 감성을 기반으로 그 연관성을 분석하여 활용하는 활용부; 를 포함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데이터는 음성 정보 데이터, 컨텐츠 정보 데이터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는 차량 내 사람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에 관한 데이터이고,
    상기 컨텐츠 정보 데이터는 차량 오디오 출력, 차량 비디오 출력 또는 차량 라디오 출력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이며,
    상기 컨텐츠 내용 데이터는 상기 음성 정보 데이터 또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음성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음성 정보 수집부;
    컨텐츠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텐츠 정보 수집부;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컨텐츠 내용 수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음성 정보 데이터의 음량과 음역대를 분석하는 음성 정보 분석부;
    컨텐츠 정보 데이터의 컨텐츠 이름, 음원 채널, 라디오 주파수 또는 재생 시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석하는 컨텐츠 정보 분석부; 및
    컨텐츠 내용 데이터의 주제와 어휘를 분석하는 컨텐츠 내용 분석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정보 분석부 및 컨텐츠 내용 분석부의 분석을 토대로 운전자 감성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용부의 지시에 의해 특정 컨텐츠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또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60033726A 2016-03-22 2016-03-22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KR20170109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26A KR20170109758A (ko) 2016-03-22 2016-03-22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726A KR20170109758A (ko) 2016-03-22 2016-03-22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758A true KR20170109758A (ko) 2017-10-10

Family

ID=6019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726A KR20170109758A (ko) 2016-03-22 2016-03-22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97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9440B2 (en) 2017-12-18 2020-09-01 Hyundai Mobis Co., Ltd. Safe driving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59440B2 (en) 2017-12-18 2020-09-01 Hyundai Mobis Co., Ltd. Safe driving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59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selective hearing
US10013977B2 (en) Smart home control method based on emotion recognition and the system thereof
US9293133B2 (en) Improving voice communication over a network
Ma et al. Context awareness using environmental noise classification.
CN113647119A (zh) 用于处理音频信号的信号处理装置、系统和方法
US20110282661A1 (en) Method for speaker source classification
CN106782615A (zh) 语音数据情感检测方法和装置及系统
CN112397065A (zh) 语音交互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616112B1 (ko) 음성 특징 벡터를 이용한 화자 분리 시스템 및 방법
Mielke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non-speech sound awareness for people with hearing loss
CN111028834B (zh) 语音信息提醒方法、装置、服务器和语音信息提醒设备
CN108257605B (zh) 多通道录音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6092430A (ja) 音楽再生装置
US202301645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dphone equalization and room adjustment for binaural playback in augmented reality
CN111801667B (zh) 车辆用操作辅助装置和车辆用操作辅助方法
Ramsay et al. The intrinsic memorability of everyday sounds
Beritelli et al. An automatic emergency signal recognition system for the hearing impaired
KR102135076B1 (ko)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감성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뉴스 추천 시스템
CN111179903A (zh) 一种语音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器
CN113793624B (zh) 一种声学场景分类方法
KR20170109758A (ko) 차량 음성 인터페이스 장치
Vacher et al. Speech and sound use in a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health care
JP2007187748A (ja) 音選択加工装置
KR101889809B1 (ko) 중요 화제 선별을 이용한 자동 방향 선택 음성인식시스템 및 음성인식방법
EP4170522A1 (en) Lifelog device utilizing audio recognition,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