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484A - 송신 포인트들 사이에서 라디오 서비스를 트랜스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송신 포인트들 사이에서 라디오 서비스를 트랜스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484A
KR20170107484A KR1020177022781A KR20177022781A KR20170107484A KR 20170107484 A KR20170107484 A KR 20170107484A KR 1020177022781 A KR1020177022781 A KR 1020177022781A KR 20177022781 A KR20177022781 A KR 20177022781A KR 20170107484 A KR20170107484 A KR 20170107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ervice area
network
identity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298B1 (ko
Inventor
에릭 에릭손
요엘 베르글룬드
팔 프렌게르
마틴 헤슬러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7010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0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optimising the interference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교시들의 일 양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일시적으로 트랜스퍼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개별적인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무선 노드들 사이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주어진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다른 서비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그 디폴트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일시적으로 트랜스퍼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및/또는 지리적으로 제한된다. 라디오 아이덴티티 트랜스퍼의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네트워크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과 그것들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의 디폴트 연관들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네트워크는 동일한 서비스 영역에서 충돌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사용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트랜스퍼 시그널링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그널링은 네트워크에서 차용된 아이덴티티들의 마이그레이션 또는 확산을 제어하기 위해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 제약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송신 포인트들 사이에서 라디오 서비스를 트랜스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송신 포인트들을 갖는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이동성 관리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들에 기초하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들과 같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들에서의 핵심적이고 지속적인 과제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명제로서, 셀룰러 네트워크의 특정 라디오 노드 또는 노드들은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되고 동작 중인 주어진 모바일 노드에 대해 "서빙" 노드들로서 동작한다. 서빙 노드 업데이트들은 종종 "핸드오버들"이라고 지칭되며, 이에 의해 모바일 노드가 자신의 현재의 서빙 노드로부터 새로 지정된 서빙 노드로 "핸드오버"된다. 이러한 업데이트들은 네트워크의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들 내에서의 모바일 노드의 이동, 및 가능하게는 간섭 조건들의 변경, 셀 로드들의 변경 등에 대응한다.
공지된 접근 방식에서, 네트워크는 모바일 노드의 서빙 노드와 관련하여 이웃 라디오 노드들의 세트를 식별하고, 서빙 라디오 노드 및 그 이웃들에 대하여 디바이스에 의해 행해진 보고된 신호 품질 또는 다른 관련 측정들을 모니터링한다. 상대적인 신호 품질들에 따라, 네트워크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의 서빙 노드로부터 이웃 노드로의 핸드오버를 개시할 수 있다. 핸드오버 개시는 일반적으로 관련된 모바일 노드에 대한 시그널링뿐만 아니라, 관련된 라디오 노드들 사이의 시그널링을 수반한다.
핸드오버 동안, 모바일 노드는 서빙 라디오 노드로부터 접속해제되고, 핸드오버에 의해 타겟으로 되는 새로운 라디오 노드에 접속된다. 그들의 각각의 역할들을 반영하여, 네트워크에서의 현재의 서빙 노드는 종종 "소스" 노드라고 지칭되고, 새로이 지정된 서빙 노드는 "타겟" 노드로서 불린다. 재접속 프로세스는 종종 타겟 라디오 노드와 들어오는 모바일 노드 사이의 새로운 또는 업데이트된 리소스 할당들을 반영하는 새로운 라디오 구성들을 수반한다.
핸드오버 프로세싱과 연관된 문제점들 중 하나는 이러한 프로시져들이 셀 경계들에서 또는 셀 경계들 부근에서 종종 발생한다는 것으로서, 여기서 모바일 노드는 소스 및 타겟 라디오 노드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해 감소된 신호를 경험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 더 새로운 라디오 기술들 및 이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들의 연관된 기능은, 핸드오버 개념을, 모바일 노드가 하나의 서빙 셀로부터 다른 서빙 셀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이는 것에서 서빙 "셀"이 이동하는 것으로 변형시켰다. 이 개념은 "셀"에 의해 의미되는 것의 대응하는 정의들에 대해서만 유지되며, 이와 관련하여, "셀"은 특정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사용을 통해 식별되거나 정의될 수 있는 것과 같이, 특정 모바일 노드에 사용되는 노드 특정 라디오 링크 또는 접속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셀" 이동들을 관리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효과적인 메커니즘들이 제안되지 않았다는 것이 여기에 인식되어 있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네트워크와 모바일 노드 사이의 데이터 접속 또는 송신들은 모바일 노드에 구체적으로 할당되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사용하여 스크램블링, 가중화, 코딩 또는 다른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디바이스 특정 DMRS들은, 예를 들어, 동일한 셀(들)에서 동작하는 상이한 사용자들에 대해 상이한 DMRS들을 사용함으로써, 동시에 더 많은 모바일 노드들 또는 사용자들을 서빙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므로, 더 새로운 라디오 기술들에서 현저하게 특징적인 타입의 라디오 아이덴티티이다. 그러나, 한정된 수의 DMRS 시퀀스들이 사용가능하고, 상이한 데이터 송신들을 위해 동일한 DMRS 시퀀스들이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동시에 사용될 때 발생하는 간섭 문제들을 고려할 때, 관련된 네트워크들의 증가된 복잡성 및 셀들의 디바이스 특정 정의들을 향한 움직임으로 인해 이동성 관리가 오히려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 여기에 인식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의 일 양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일시적으로 트랜스퍼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개별적인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에 의해 지원되는 각각의 무선 노드들 사이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주어진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다른 서비스에서 사용하기 위해 그 디폴트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일시적으로 트랜스퍼하는 것은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으로 제한된다. 라디오 아이덴티티 트랜스퍼의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네트워크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과 그것들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의 디폴트 연관들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네트워크는 동일한 서비스 영역에서 충돌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사용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트랜스퍼 시그널링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그널링은 네트워크에서 차용된 아이덴티티들의 마이그레이션 또는 확산을 제어하기 위해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 제약조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라디오 리소스 관리 방법 - 각각의 무선 노드들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finite set)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됨 - 을 포함한다. 방법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현되고, 예시적인 구현에서, 네트워크의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무선 노드가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1 무선 노드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도록,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으로 트랜스퍼하는 단계, 및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트랜스퍼를 관리하는 대여(lending) 기간의 종료 시까지,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임의의 새로운 할당을 연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관련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 - 각각의 무선 노드들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 사이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고, 네트워크의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에 할당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1 무선 노드가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1 무선 노드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도록,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으로 트랜스퍼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들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세싱 회로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트랜스퍼를 관리하는 대여 기간의 종료 시까지,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임의의 새로운 사용을 연기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는 또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라디오 리소스 관리 방법 - 각각의 무선 노드들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네트워크의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구현되고, 네트워크의 이웃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는 단계,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1 무선 노드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제1 무선 노드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단계 -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됨 -; 제1 무선 노드에 대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이웃 서비스 영역의 네트워크 노드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제1 무선 노드의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추가 서비스 영역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에 부과된 임의의 대여 제약조건들에 따라,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추가 서비스 영역에게 대여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관련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 - 각각의 무선 노드들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됨 - 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에서의 네트워크 노드는 네트워크의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 사이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고, 네트워크의 이웃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에 할당하고,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1 무선 노드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제1 무선 노드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동작 -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됨 -; 제1 무선 노드에 대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이웃 서비스 영역의 네트워크 노드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제1 무선 노드의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추가 서비스 영역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에 부과된 임의의 대여 제약조건들에 따라,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추가 서비스 영역에게 대여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추가적인 관련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관리하는 방법 - 각각의 무선 노드들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됨 - 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각각의 서브세트들을 네트워크의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 중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과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 중 임의의 주어진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제1 서비스 영역에서 동작하는 무선 노드들과의 라디오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로부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2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서비스 영역으로 들어오고, 제2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로부터 할당된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갖는 들어오는 무선 노드에 대해, 방법은, 들어오는 무선 노드가 제2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계속된 사용을 제공하도록, 제1 서비스 영역에서 들어오는 무선 노드를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로서 차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제2 서비스 영역에서의 사용을 위해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리턴시키도록,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후속해서 종료하고,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서브세트로부터 취해진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들어오는 무선 노드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으로 나가고, 제1 서비스 영역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로부터 할당된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갖는 나가는 무선 노드에 대해, 방법은 제3 서비스 영역에서 들어오는 무선 노드를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로서 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여하는 동작은, 나가는 무선 노드가 제1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계속된 사용을 제공한다. 그에 대응하여, 방법은,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와 연관된 대여 기간 동안에, 제1 서비스 영역 내에서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새로운 할당들을 연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노드에서의 동작 방법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방법은 네트워크에 의해 무선 노드에 할당되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단계, 및 무선 노드와 네트워크 사이의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기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라디오 접속은 네트워크의 제1 서비스 영역에 의해 지원되고 있으며, 방법은, 라디오 접속이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서비스 영역과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라디오 접속에 대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관련 실시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노드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무선 노드는 네트워크와의 라디오 통신을 위해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네트워크에 의해 무선 노드에 할당되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무선 노드와 네트워크 사이의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기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해당 라디오 접속은 네트워크의 제1 서비스 영역에 의해 지원되고 있으며, 프로세싱 회로는, 라디오 접속이 네트워크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고, 제2 서비스 영역과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라디오 접속에 대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해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특징들 및 이점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및 첨부 도면들을 볼 때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라디오 리소스 관리를 위해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입된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 세부사항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입된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추가 예시적인 세부사항들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들과의 연관을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를 아이덴티티들의 각각의 서브세트들로 분할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되는 개별적인 무선 노드들 사이의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배분가능하고, 네트워크의 상이한 서비스 영역들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들로 분할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세트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리소스들을 관리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제시된 교시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프로세싱 모듈들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리소스들을 관리하는 방법의 로직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네트워크의 다른 영역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트랜스퍼하는 일례에 따른 블록도들의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도 9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하나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의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네트워크의 다른 영역에서 일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차용(borrowing)하는 일례에 따른 블록도들의 시퀀스를 포함한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리소스들을 관리하는 방법의 로직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라디오 리소스들을 관리하는 방법의 로직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명세서의 교시들에 따른 무선 노드, 및 연관된 프로세싱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다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 예를 들어, 12-1, 12-2 등)을 포함하는 RAN(Radio Access Network) 부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영역들(14)에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며, 예를 들어,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는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는 제2 서비스 영역(14-2) 내에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등등이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은, 예를 들어, 사용자 특정 라디오 접속들 또는 링크들이 라디오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구별되는 라디오 접속성을 제공하는 기지국들,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다른 라디오 트랜시버 노드들이며, 라디오 식별자들의 서브세트들(16)은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에서 동작하는 주어진 무선 노드들(18)에 배분(allocate)되기 위해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과 연관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은 무선 노드들(18)과 통신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들 - 예를 들어, 셀룰러 라디오 트랜시버들 회로망 - 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무선 노드들(18)은 본질적으로 네트워크(10) 내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 또는 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비제한적인 예들은 스마트폰들, 피처폰들, 모뎀들, 무선 어댑터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들, 랩탑들, 태블릿들 또는 다른 타입의 "사용자 장비" 또는 UE, 또는 가입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특정 데이터 송신들 또는 데이터 채널들에 대한 적어도 일부 타입들의 통신에 있어서, 네트워크(10)는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사용하여, 무선 노드들(18) 중 주어진 무선 노드로의 송신들 또는 이로부터의 송신들을 무선 노드들(18) 중 다른 무선 노드 또는 무선 노드들로의 송신들 또는 이로부터의 송신들에 대해 구별한다. 이와 관련해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한 풀(finite pool)은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서브세트(16-1), 제2 서비스 영역(14-2)와 연관된 제2 서브세트(16-2) 등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들은 지리적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근접한 상이한 무선 노드들(18)에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배분될 가능성 또는 빈도를 제한하려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들은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 네트워크들에 기초한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되는 하나의 타입의 라디오 아이덴티티이다. 이와 관련해서, 업링크 송신들에 대해, DMRS들은 자도프-추(Zadoff-Chu) 시퀀스들 또는 개별 사용자들에 할당되는 다른 시퀀스들이다. 다음에, 각각의 사용자는 할당된 DMRS를 자신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들에 적용한다. 수신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는 각각의 사용자에 할당된 DMRS를 사용하여, 그 사용자로부터 발신되는 송신들을 복구하며, 일반 명제로서 네트워크는 동일한 지리적 위치에서 동작하는 상이한 사용자들에 의한 동일한 DMRS의 동시 사용을 피하여, 간섭을 피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는 본 명세서에 교시된 라디오 리소스 관리의 네트워크 측 양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및 통신 회로망의 잠재적으로 복잡한 조합을 포함한다. 도 2는 임의의 또는 모든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에서 구현될 수 있는 통신 및 제어 회로망(20)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공한다.
통신 및 제어 회로망(20)은 통신 인터페이스(22) 및 프로세싱 회로망(24)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망(24)은 프로세싱 회로(26) 및 스토리지(28)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에서, 프로세싱 회로(26)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들,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들 또는 다른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망과 같은 컴퓨터 회로망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스토리지(28)는 라디오 아이덴티티 할당 및 연관 정보(30) 및 컴퓨터 프로그램(32)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라디오 아이덴티티 할당 및 연관 정보(30)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영역들(14)에 현재 할당된 및/또는 현재 할당되지 않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들(16)과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들(14)의 초기 연관들의 디폴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라디오 아이덴티티 할당 및 연관 정보(30)는,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이, 모든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borrowing)" 및 "대여(lending)"를 나타내는 동적으로 결정된 또는 인스턴스화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비제한적인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32)은 프로세싱 회로망(24)에 의한 실행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32)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는데, 프로세싱 회로망(24)에 의한 그 실행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네트워크 측 라디오 아이덴티티 관리 교시들에 따른 프로세싱 회로(26)를 구성한다. 물론, 프로세싱 회로(26)는 또한 고정 회로망, 또는 고정 회로망과 프로그램된 회로망의 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 대한 추가적인 예시적인 세부사항들을 도시한다. 특히, 이 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22)는 무선 노드들(18)로 송신하고 이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트랜시버 회로망(22-1), 예를 들어, 라디오 리소스 관리를 위해 다른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과 통신하기 위한 인트라-노드 인터페이스 회로망(22-2), 및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성 관리 엔티티들, 패킷 게이트웨이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한 코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망(22-3)을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일부 실시예들에 존재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40)를 도입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네트워크 측 라디오 리소스 관리 기능들을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에서 구현하기보다는, 그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네트워크 노드(40)에서 구현된다. 유리하게는, 네트워크 노드(40)는 다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에 대해 어떤 의미에서는 집중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40)는 그것이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노드들(18)과 직접 통신하기 위한 라디오 트랜시버 회로망을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란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노드는 라디오 트랜시버 회로망을 포함할 수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문맥상 유용하면, 예를 들어, 무선 노드들(18)에 대한 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라디오 트랜시버 회로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들, 즉, 이러한 노드들을 특히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노드(40)는 네트워크(10)의 RAN(Radio Access Network) 부분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10)의 CN(Core Network) 부분에 있을 수 있다.
일례에서, 네트워크 노드(40)는 2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에 대해 어떤 의미에서는 집중화되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이며, 네트워크 측에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라디오 리소스 관리 중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노드들(12)은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내의 라디오 헤드들 또는 송신 포인트들이고, 네트워크 노드(40)는 서비스 영역들(14) 전역에서 또한 그들 사이에서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사용 및 배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여, DAS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도 4는 예시적인 도면에서 네트워크 노드(40)가 각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에 대한 통신 링크들을 가지며,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42)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통신 인터페이스(42)는 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과 데이터 및 제어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백홀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노드(40)는 프로세싱 회로망(44) 및 연관된 스토리지(46)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노드(40)의 프로세싱 회로망(44) 및 스토리지(46)는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의 전술한 프로세싱 회로망(24) 및 스토리지(28)와는 특정 방식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논의의 목적상, 프로세싱 회로망(44)은 네트워크 측 라디오 리소스 관리를 위해 구성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프로세싱 회로(26)의 버전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 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전술한 라디오 아이덴티티 배분 및 할당 정보(30)는 스토리지(46)에서 저장 및 유지관리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라디오 리소스 관리를 위해 네트워크 측에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전체 기능이 하나 이상의 집중화된 또는 유사-집중화된 네트워크 노드들(40)과 함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 각각에서 협력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도 5에 도시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세트(50)를 고려한다. 세트(50)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정의된 오프셋들을 사용하여 베이스 시퀀스로부터 도출된, 예를 들어, DMRS 시퀀스들의 세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타입들의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포함한다. 세트(50)는 전술한 서브세트들(16), 예를 들어,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서브세트(16-1), 네트워크(10)의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서브세트(16-2) 등으로 분할된다. 서브세트들(16)은 상호 배타적일 수 있고, 또는 서브세트들(16) 중 하나 이상의 서브세트가 중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서브세트들(16)이 동일한 사이즈이고, 다른 실시예에들서는 서브세트들(16) 중 2개 이상의 서브세트들이 상이한 사이즈들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서브세트(16) 내의 멤버들의 수는 서비스 영역들(14)의 상대적인 사이즈들, 서버 영역들의 성질, 예를 들어, 도시, 시골 등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위의 사실을 염두에 두면, 네트워크 노드(12 또는 40)는 네트워크(1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는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노드(12 또는 40)는 네트워크(10)의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 사이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기 위해 네트워크(10)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12)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22 또는 42)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랜스퍼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차용" 시그널링, "대여" 시그널링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디폴트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다른 서비스 영역으로 일시적으로 트랜스퍼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노드들(12 및/또는 40) 사이의 트랜스퍼 시그널링은 트랜스퍼에 대한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 제약조건들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어, 네트워크(10) 내에서 트랜스퍼된 아이덴티티의 마이그레이션, 확산 또는 전파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대여 및 차용 "프로토콜"은 "거부 메시지" 또는 이와 등가의 시그널링을 정의한다. 일례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12)가 그것이 제2 네트워크 노드(12)에게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대여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경우를 고려하도록 한다. 그러나, 제2 네트워크 노드(12)는 그것이 제2 네트워크 노드(12)에 대해서는 이웃이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12)에 대해서는 이웃이 아닌 제3 네트워크 노드(12)에서 이미 사용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와 아이덴티티 충돌을 야기하지 않고는 그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수신할 수 없다고 결정한다. 이러한 충돌 결정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대여를 "거절"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12)에 그 거절의 표시 - 예를 들어, 거절 메시지 - 를 전송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12)는 그 후 시도된 대여의 대안인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 예시적인 프로세싱 및/또는 다른 프로세싱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2 또는 40)는 통신 인터페이스(22 또는 4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 프로세싱 회로(26)를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26)는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고, 제1 무선 노드(18-1)가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1 무선 노드(18-1)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도록,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싱 회로(26)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트랜스퍼를 관리하는 대여 기간의 종료 시까지,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임의의 새로운 사용을 연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새로운 사용"은 제1 무선 노드(18)에 의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과 충돌하거나 이에 대해 갈등 상태에 있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임의의 사용을 지칭한다. 또한, "이동 중" 또는 "이동"이라는 단어는 적어도 제1 무선 노드(18-1)의 "로지컬" 이동을 내포하며, 여기서 제1 무선 노드(18-1)를 서빙할 책임이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하거나 시프트된다. 물론, 제1 무선 노드(18-1)의 물리적 이동이 관련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서비스 영역들(14)에서의 변경을 촉발시킨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10)는 무선 노드(18)를 예를 들어, 로드 밸런싱, 간섭 관리 등을 위해 하나의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다른 서비스 영역(1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노드(18)의 지리적 위치는 무선 노드(18)가 2 이상의 서비스 영역들(14)에 대해 충분히 양호한 신호 품질을 누리고, 이에 의해 네트워크(10)가 어떤 서비스 영역(14)이 무선 노드(18)를 서빙하기 위한 리소스들을 배분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데 상당한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도록 될 수 있다.
도 6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실행에 따라 컴퓨터 프로세싱 회로망 내에서 실현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기능적 또는 프로세싱 모듈들의 배열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회로(26)의 컴퓨터 구현을 도시한다. 모듈들 중에서, 각각의 무선 노드들(18) 또는 대응하는 라디오 접속들에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RI(radio identity)" 할당 모듈(60)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할당들은 서비스 영역들(14)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행해질 수 있고, 차용되거나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과 연관된 할당들과 함께, 초기 및 후속 할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네트워크(10) 내의 리소스로서 관리하는 것과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12 또는 40)과 라디오 아이덴티티 할당 및/또는 배분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된 RI 교환 모듈(62)을 볼 수 있다. 교환 모듈(62)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영역들(14) 각각과 연관된 디폴트 할당들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예를 들어, RI 제어 모듈(64) 하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 차용 및 대여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시그널링을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RI 제어 모듈(64)을 볼 수 있다. RI 제어 모듈(64)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배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 트랜스퍼 기능들(이는 차용 및/또는 대여 기능들로서 간주될 수 있음)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되는 예시적인 경우를 고려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40)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회로(26)는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의 서브세트(16-1)로부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연관된 서브세트(16-1)는 다수의 각각의 서브세트들(16) 중 하나일 수 있으며, 각각의 이러한 서브세트(16)는 네트워크(10) 내의 상이한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다.
논의되는 프로세싱 회로(26)가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 내에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싱 회로(26)는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에게 대여 시그널링을 전송함으로써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트랜스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여 시그널링은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26)는, 대여 시그널링에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해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및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어느 정도까지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사항들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경우에,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초기에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동작하는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한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배분된다. 그 다음, 무선 노드(18-1)의 심리스 트랜스퍼 또는 이동 및 제2 서비스 영역(14-2)에 대한 그 라디오 접속을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의 라디오 접속을 지원하도록 제2 서비스(14-2)에 일시적으로 트랜스퍼, 대여된다.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 트랜스퍼된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약하도록, 트랜스퍼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에 대한 임의의 시간적 또는 지리적 제한들이 나타내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예를 들어, 새로운 서비스 영역(14)에 새로이 할당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에 따라 접속을 재구성할 필요없이, 무선 노드(18)의 서빙 접속이 하나의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새로운 서비스 영역(14)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관련된 무선 노드(18)가 셀 경계들 또는 다른 공지된 저품질 신호 영역들과 연관된 지리적 영역에 있는 동안에 일시적인 트랜스퍼는 지속되고, 무선 노드(18)가 새로운 서비스 영역(14)에 대한 보다 양호한 신호 조건들로 이동하고 나면, 새로운 서비스 영역(14)에 대해 "네이티브(native)"인 새로운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할당된다.
그러나, 대체로, 주어진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다른 서비스 영역(14)에서 사용하기 위해 그 디폴트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일시적으로 트랜스퍼하는 것은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으로 제한된다. 라디오 아이덴티티 트랜스퍼의 시간적 및/또는 지리적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네트워크(10)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들(16)과 그들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의 명목상 또는 디폴트 연관들을 실질적으로 유지관리할 수 있게 하고, 이는 네트워크(10)로 하여금 동일한 서비스 영역(14)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사용들이 충돌할 공산을 방지 또는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제1 서비스 영역(14-1)과 관련된 다른 예에서, 프로세싱 회로(26)는 네트워크(10)의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고,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2 무선 노드(18-2)에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차용은 제2 무선 노드(18-2)가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들어온 결과일 수도 있고, 또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디폴트 연관된 서브세트(16-1)로부터 배분에 사용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남아 있지 않을 때, 제2 무선 노드(18-2)가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네트워크(10)에 초기에 접속하는 것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26)는,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는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한 할당을 위해 어떠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도 현재 사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회로(26)가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서 구현되는 경우, 프로세싱 회로(26)는,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로 차용 요청을 전송하고,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함으로써,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서의 프로세싱 회로(26)는 그 차용 요청에 응답하여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여기서, 프로세싱 회로(26)는, 리턴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및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어느 정도까지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회로(26)는, 리턴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제2 무선 노드(18-2)와의 라디오 접속에 대한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한한다.
논의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앞에서 언급했듯이 특정 DMRS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광범위하게,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주어진 서비스 영역(14)을 서빙하기 위해 주어진 무선 노드(18)의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도록 네트워크(10)에 의해 적어도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 시퀀스들, 값들 등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DMRS; 물리 계층 스크램블링 시퀀스; 데이터 패킷들의 랜덤화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 라디오 접속 특정 동기화 신호; 및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매핑된다.
프로세싱 회로(26)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에서, 해당 프로세싱 회로(26)가 여기서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 상주한다고 가정하면, 프로세싱 회로(26)는 제1 무선 노드(18-1)로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시그널링은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로부터 전송되며, 제1 무선 노드(18-1)와의 라디오 접속이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되는 중이라는 표시, 및 라디오 접속에 대한 수신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서 사용 중인 라디오 채널 필터링을 리셋한다는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는 제1 무선 노드(18-1) 및/또는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에 시그널링을 전송하여, 제1 무선 노드(18-1)의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러한 시그널링과 동시에 또는 이에 후속하여,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는 제1 무선 노드(18-1)에서 필터 리셋이 필요하다고 제1 무선 노드(18-1)에게 나타낸다. 리셋 시그널링은 리셋이 발생해야 할 때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리셋이 적용되어야 하는 시간의 표시와 함께 미리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무선 노드(18-1)가 리셋을 언제 개시할지를 결정하기에 충분히 지능적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리셋은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에 대한 전파 채널이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 대한 전파 채널과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따라서, 비록 라디오 접속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측면에서 재구성되지 않더라도, 무선 노드(18-1)는 자신의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하나의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다른 서비스 영역(14)으로 트랜스퍼하는 것과 관련된 변경된 송신 포인트를 반영하도록 자신의 수신기 프로세싱을 리셋하거나 또는 초기화할 수 있다.
물론, 제1 서비스 영역(14-1)이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 사용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트랜스퍼하는 것(이는 "대여"의 형태임)에 더하여,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서 구현되는 프로세싱 회로(26)는 또한 서비스 영역들(14) 중 다른 서비스 영역(14)과 정상적으로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26)는,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서, 이웃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트랜스퍼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라고 지칭되는 다른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트랜스퍼되는 중이라는 표시를 수신하고,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트랜스퍼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전술한 프로세싱 구성들의 선상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의 라디오 리소스 관리 방법(700)을 도시한다. 방법(700)과 관련하여,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하고, 개별적인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은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방법(700)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협력적으로, 또는 임의의 하나 이상의 집중화된 또는 유사-집중화된 네트워크 노드들(40)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협력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700)은,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는 단계(블록(702)), 및 제1 무선 노드(18-1)가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제1 무선 노드(18-1)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도록,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하는 단계(블록(704))를 포함한다. 방법(700)은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트랜스퍼를 관리하는 대여 기간의 종료 시까지,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임의의 새로운 할당을 연기하는 단계(블록(706))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8a는 관련된 도면들 1, 2 및 3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최상단의 도면인 이미지 1은 3개의 서비스 영역들(14-1, 14-2 및 14-3)을 도시한다.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1)는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되고, 라디오 아이덴티티들(RI0, RI3 및 RI6)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2)는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되고, 라디오 아이덴티티들(RI2, RI5 및 RI8)을 포함하고, 서브세트(16-3)의 라디오 아이덴티티들(RI1, RI4 및 RI7)은 서비스 영역(14-3)과 연관된다.
접속은 서비스 영역(14-1)에서 무선 노드(18-1)에 대해 확립되고, 라디오 아이덴티티(RI0)를 사용한다. 중간 이미지인 이미지 2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RI0)가 제2 서비스 영역(14-2)에게 대여되어, 무선 노드(18-1) 및 그의 라디오 접속을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최하단 이미지인 이미지 3에서, 제1 무선 노드(18-1)가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14-3)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14-3)으로 포워딩되어, 제1 무선 노드(18-1)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b는 계속해서 이미지들의 시퀀스를 도시하며, 여기서 최상단의 이미지인 이미지 4에서는, 제3 서비스 영역(14-3)에서의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한 라디오 접속이 포워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RI0)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도 8a를 다시 참조하면, 그 아이덴티티는 통상적으로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되고, 초기에 제1 서비스 영역(14-1)에 배분되었다. 그 배분에 이어서, 무선 노드(18-1)가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라디오 아이덴티티(RI0)가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의 사용을 위해 대여되었다. 또한, 그 후 무선 노드(18-1)가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14-3)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라디오 아이덴티티(RI0)가 제3 서비스 영역(14-3)에서의 사용을 위해 포워딩되었다.
중간 이미지인 이미지 5에서, 제3 서비스 영역(14-3)에서 무선 노드(18-1)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제3 서비스 영역(14-3)에 "네이티브"인 라디오 아이덴티티 - 예를 들어, RI7 - 가 무선 노드(18-1)에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새로운 할당은,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게 리턴 표시자를 시그널링함으로써, 포워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RI0)가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리턴되게 할 수 있다. 최하단 이미지인 이미지 6에서, 제3 서비스 영역(14-3)에서의 동작은 새로이 할당된 네이티브 또는 로컬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에 기초하여 계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고려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 차용을 수반하는 다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최상위 이미지인 이미지 1에서, 다수의 무선 노드들(18-1, 18-3 및 18-4)에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1)로부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RI0, RI2 및 RI4)이 배분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분들은, 무선 노드(18-2)에 대해서는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남기지 않고, 서브세트(16-1)를 소진한다.
따라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는 서비스 영역(14-2)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에게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고 싶다는 것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는 여기서 RI1로서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라디오 아이덴티티들 중 하나 - 예를 들어, RI1 - 를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게 대여한다.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2)로부터 취해진다. 이 대여는 서브세트(16-2)로부터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이것이 리턴될 때까지 또는 임의의 정의된 대여 기간이 만료될 때까지, 적어도 일시적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그에 대응하여, 하단 이미지인 이미지 2에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는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한 할당을 위해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RI1)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의 라디오 리소스 관리 방법(1000) -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됨 - 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방법(1000)은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라디오 기지국들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영역들(14)에 대해 집중화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40)에서 구현된다.
네트워크(10)에서 주어진 제1 서비스 영역(14-1)에 대해, 방법(1000)은 네트워크(10)의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는 단계(블록(1002))를 포함한다. 방법(1000)은,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는 단계(블록(1004)), 및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제1 무선 노드(18-1)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단계(블록(1006A)) -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됨 -;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이웃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전송하는 단계(블록(1006B)); 및 제1 무선 노드(18-1)의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추가 서비스 영역(14)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에 부과된 임의의 대여 제약조건들에 따라,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추가 서비스 영역(14)에게 대여하는 단계(블록(1006C))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무선 노드(18-1)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단계(블록(1006A))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된 사용에 지정된 시간 제한 내에 제1 무선 노드(18-1)를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로부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추가 서비스 영역(14)에게 대여하는 단계(블록(1006C))는, 추가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의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한하는 지리적 제약조건 및 시간적 제약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약조건을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추가로 대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방법(1000)은, 이웃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의 사용을 위해 대여 중임을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 또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40)는, 네트워크(10)의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 사이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기 위해, 네트워크(10)의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22 또는 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회로(26)는 통신 인터페이스(22 또는 42)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되고, 네트워크(10)의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고,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싱 회로(26)는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제1 무선 노드(18-1)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동작 -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됨 -;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이웃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제1 무선 노드(18-1)의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추가 서비스 영역(14)으로의 이동을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에 부과된 임의의 대여 제약조건들에 따라,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추가 서비스 영역(14)에게 대여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관리하는 방법(1100) -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됨 - 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방법(1100)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협력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들(40)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들 네트워크 노드들(40) 각각은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 중 둘 이상에 대한 라디오 리소스들 및 그들의 대응하는 서비스 영역들(14)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방법(1100)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각각의 서브세트들(16)을 네트워크(10)의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14) 중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과 연관시키는 단계(블록(1102))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14) 중 임의의 주어진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방법(1100)은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동작하는 무선 노드들(18-1)과의 라디오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로부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할당하는 단계(블록(110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들어오고,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로부터 할당된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갖는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에 대해, 방법(1100)은, 들어오는 무선 노드(18)가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계속된 사용을 제공하도록,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들어오는 무선 노드(18)를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로서 차용하는 단계(블록(1106)); 및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의 사용을 위해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리턴시키도록,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후속해서 종료하고,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서브세트(16)로부터 취해진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에 할당하는 단계(블록(1108)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14-3)으로 나가고,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로부터 할당된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갖는 나가는 무선 노드(18)에 대해, 방법(1100)은, 나가는 무선 노드(18)가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14-3)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계속된 사용을 제공하도록, 제3 서비스 영역(14-3)에서 들어오는 무선 노드(18)를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대여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로서 대여하는 단계(블록(1110)); 및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와 연관된 대여 기간 동안에,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새로운 할당들을 연기하는 단계(블록(1112))를 포함한다.
도 12는 무선 노드(18)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 무선 노드(18)는 본질적으로 네트워크(1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타입의 무선 장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들은 UE(user equipment)들을 포함하며, 이 UE들은 가입자 디바이스들, 사용자 단말들, 모바일 단말들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능력들을 갖는 스마트폰들, 피처폰들, 호출기들, 모뎀들, 네트워크 어댑터들, 랩탑 컴퓨터들 및 태블릿들이 구체적인 예들을 나타내지만, 이 열거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무선 노드들(18)은 M2M(Machine-to-Machine)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모바일 릴레이 노드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무선 노드(18)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회로(102)를 통해, TX(transmitter)(108) 및 RX(receiver)(106)를 포함하는 라디오 트랜시버(104)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100)을 포함한다. 무선 노드(18)는 프로세싱 회로망(110),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FPGA들, DSP들, ASIC들, 또는 다른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망을 추가로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망(110)은 프로세싱 회로(112)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메모리 회로들 또는 다른 스토리지 디바이스들일 수 있는 스토리지(114)와 연관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매체들은 다양한 구성 데이터(116) 및 컴퓨터 프로그램(118)에 대한 비일시적인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노드(18)는, 컴퓨터 프로그램(118)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그 실행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성된다. 이러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프로세싱 회로(112)가 이하의 더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특정 알고리즘들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자신의 TX(108) 및 RX(106)를 갖는 트랜시버(104)는 네트워크(10)와의 라디오 통신을 위해 구성되며, 프로세싱 회로(112)는 네트워크(10)에 의해 무선 노드(18)에 할당되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무선 노드(18)와 네트워크(10) 사이의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기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에 의해 지원되는 라디오 접속, 즉, 라디오 접속은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디오 리소스들을 소비한다.
프로세싱 회로(112)는 라디오 접속이 네트워크(10)의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네트워크(10)로부터 수신하고, 제2 서비스 영역(14-2)과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라디오 접속에 대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해서 사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10)로부터 상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싱 회로(112)는 무선 노드(18)에 의해 라디오 접속의 수신에 사용되는 라디오 채널 필터(120)를 리셋하도록 구성된다. 라디오 채널 필터(120)를 리셋하는 것은 라디오 채널 필터(120)에 의해 사용되는 필터 계수들을 제로화 또는 재초기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필터는 프론트-엔드 회로로서 RX(106)에서 구현될 수 있도 있고, 베이스밴드 디지털 필터로서 프로세싱 회로(112)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 13은 도 12의 무선 노드(18)에 의해, 또는 본질적으로는 무선 노드(18)의 임의의 구현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의 방법(1300)을 도시한다. 방법(1300)은 네트워크(10)에 의해 무선 노드(18)에 할당되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단계(블록(1302)), 및 무선 노드(18)와 네트워크(10) 사이의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기 위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는 단계(블록(1304))를 포함한다. 라디오 접속은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에 의해 지원되고, 방법(1300)은 라디오 접속이 네트워크(10)의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네트워크(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블록(1306)), 및 제2 서비스 영역(14-2)과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라디오 접속에 대해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단계(블록(130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1300)은, 네트워크(10)로부터의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무선 노드(18)에 의해 라디오 접속에 대한 수신에 사용되는 라디오 채널 필터(120)를 리셋하는 단계(블록(1310))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예시의 세부 사항들에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은 사용자 특정 시퀀스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 특정 시퀀스들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자"는 특정 무선 노드(18)를 나타낸다. 이들 사용자 특정 시퀀스들의 서브세트들(16)은 어떤 디폴트적인 의미로 네트워크(10)의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과 연관될 수 있지만, 이들은 보다 일반적으로 자신들의 각각의 사용자들에게 적어도 일시적으로 속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하나의 서비스 영역(14)에서 특정 시퀀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새로운 서비스 영역(14)으로 이동한 후에도 적어도 일시적으로 그 시퀀스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영역들(14) 사이에서 사용자 특정 시퀀스들을 차용, 대여, 포워딩, 및 다른 방식으로 트랜스퍼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LTE로부터의 예로서, 사용자 특정 시퀀스들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DMRS 시퀀스 초기화들이고, 및/또는 C-RNTI들 및 다운링크 제어 채널 구성들, 물리적 셀 ID들 및/또는 채널 및/또는 간섭 측정들에 사용되는 신호 시퀀스들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교시들은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할당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영역(14) 내뿐만 아니라 이웃 서비스 영역들(14) 사이에서의 시퀀스들의 양호한 상관 특성들이 유지관리되고, 또한 무선 노드들(18)이 이러한 노드들에 사용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재구성을 요구하지 않고도 서비스 영역들 사이를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예를 들어, 주어진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하나의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다른 서비스 영역들(14)로의 일시적인 "마이그레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네트워크(10)가 개별적인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충돌 사용을 제한하는 기본적인 라디오 아이덴티티 계획 또는 배분 방식을 유지관리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개시된 발명(들)의 수정들 및 다른 실시예들이 전술한 설명들 및 연관된 도면들에 제시된 교시들의 이점을 갖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들)이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정들 및 다른 실시예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제한의 목적이 아닌,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의미로만 사용된다.

Claims (33)

  1.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의 라디오 리소스 관리 방법(700)으로서,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radio connections)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radio identities)의 유한 세트(finite set)(5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되고, 상기 방법(700)은 상기 네트워크(10)의 네트워크 노드(12, 40)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는 단계(702);
    상기 제1 무선 노드(18-1)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moving)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도록,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transfer)하는 단계(704); 및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트랜스퍼를 관리하는 대여 기간(lending period)의 종료 시까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임의의 새로운 할당을 연기하는 단계(706)
    를 포함하는 방법(7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상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의 서브세트(16-1)로부터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7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연관된 서브세트(16-1)는 다수의 각각의 서브세트들(16) 중 하나의 서브세트이며, 각각의 이러한 서브세트(16)는 상기 네트워크(10) 내의 상이한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되는 방법(7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트랜스퍼하는 단계(704)는 상기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가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로 대여 시그널링(lending signaling)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여 시그널링은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7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 시그널링에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해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및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어느 정도까지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사항들을 나타내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7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상기 네트워크(10)의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borrow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2 무선 노드(18-2)에 할당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7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700)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는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한 할당을 위해 어떠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도 현재 사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차용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로부터 상기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로 차용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리턴 시그널링(return signaling)을 상기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7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및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어느 정도까지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리턴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와의 라디오 접속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7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DMRS(demodulation modulation reference signal);
    물리 계층 스크램블링 시퀀스(physical layer scrambling sequence);
    데이터 패킷들의 랜덤화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
    라디오 접속 특정 동기화 신호; 및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매핑되는 방법(7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700)은 상기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노드(18-1)로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와의 라디오 접속이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되는 중이라는 표시, 및 상기 라디오 접속에 대한 수신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서 사용 중인 라디오 채널 필터링을 리셋한다는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7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700)은,
    상기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서, 이웃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트랜스퍼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라고 지칭되는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트랜스퍼되는 중이라는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상기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퍼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700).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의 라디오 리소스 관리 방법(1000)으로서,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되고, 상기 방법(1000)은 상기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12, 40)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네트워크(10)의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는 단계(1002);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는 단계(1004); 및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단계(1006A) -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됨 -;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이웃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전송하는 단계(1006B); 및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의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추가 서비스 영역(14)으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에 부과된 임의의 대여 제약조건들에 따라,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게 대여하는 단계(1006C)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10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단계(1006A)는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된 사용에 지정된 시간 제한 내에 상기 제1 무선 노드(18-1)를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로부터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00).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게 대여하는 단계(1006C)는,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의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한하는 지리적 제약조건 및 시간적 제약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약조건을 나타내는 단계; 및
    상기 이웃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의 사용을 위해 대여 중임을 나타내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1000).
  15.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2, 40)로서,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네트워크(10)의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 사이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10)의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22, 42);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 프로세싱 회로(26)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네트워크(10)의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고,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의 동작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는 동작 -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됨 -;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를 상기 이웃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의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추가 서비스 영역(14)으로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에 부과된 임의의 대여 제약조건들에 따라,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게 대여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차용된 사용에 지정된 시간 제한 내에 상기 제1 무선 노드(18-1)를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로부터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로 변경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후속해서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의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한하는 지리적 제약조건 및 시간적 제약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제약조건을 나타내는 동작; 및
    상기 이웃 서비스 영역(14)의 네트워크 노드(12)에게,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의 사용을 위해 대여 중임을 나타내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추가 서비스 영역(14)에게 대여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18.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관리하는 방법(1100)으로서,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되고, 상기 방법(1100)은
    상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각각의 서브세트들(16)을 상기 네트워크(10)의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14) 중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과 연관시키는 단계(1102);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14) 중 임의의 주어진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동작하는 무선 노드들(18)과의 라디오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로부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할당하는 단계(1104);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들어오고,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로부터 할당된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갖는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에 대해,
    상기 들어오는 무선 노드(18)가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계속된 사용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상기 들어오는 무선 노드(18)를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로서 차용하는 단계(1106); 및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의 사용을 위해 상기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리턴시키도록, 상기 차용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후속해서 종료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서브세트(16)로부터 취해진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에 할당하는 단계(1108); 및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3 서비스 영역(14-3)으로 나가고,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서브세트(16)로부터 할당된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갖는 나가는 무선 노드(18)에 대해,
    상기 나가는 무선 노드(18)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상기 제3 서비스 영역(14-3)으로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계속된 사용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3 서비스 영역(14-3)에서 들어오는 무선 노드(18)를 지원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상기 현재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로서 대여하는 단계(1110); 및
    상기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와 연관된 대여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상기 대여된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새로운 할당들을 연기하는 단계(1112)
    를 포함하는 방법(1100).
  19.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2, 40)로서, 각각의 무선 노드들(18)과의 개별적인 라디오 접속들을 구별하기 위해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로부터 상기 네트워크(10)에 의해 배분가능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이 사용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네트워크(10)의 각각의 서비스 영역들(14) 사이에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을 트랜스퍼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10)의 하나 이상의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들(12)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22, 42);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 프로세싱 회로(26)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1 무선 노드(18-1)에 할당하고,
    상기 제1 무선 노드(18-1)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도록,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하고,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트랜스퍼를 관리하는 대여 기간의 종료 시까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 내에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임의의 새로운 사용을 연기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상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유한 세트(50)의 서브세트(16)로부터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아이덴티티들의 연관된 서브세트(16)는 다수의 각각의 서브세트들(16) 중 하나의 서브세트이고, 각각의 이러한 서브세트(16)는 상기 네트워크(10) 내의 상이한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과 연관된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에게 대여 시그널링을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트랜스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대여 시그널링은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대여 시그널링에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해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및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 대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부터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어느 정도까지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약하는 하나 이상의 제한사항들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네트워크(10)의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고,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의 동작을 위해 제2 무선 노드(18-2)에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는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한 할당을 위해 어떠한 라디오 아이덴티티들도 현재 사용가능하지 않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고, 상기 이웃 서비스 영역(14)과 연관된 제2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2)로 차용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리턴 시그널링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차용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리턴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및 추가 서비스 영역(14)에서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에 대해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 상기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여부 또는 어느 정도까지 트랜스퍼될 수 있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리턴 시그널링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노드(18-2)와의 라디오 접속에 제2 라디오 아이덴티티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는,
    DMRS(demodulation modulation reference signal);
    물리 계층 스크램블링 시퀀스;
    데이터 패킷들의 랜덤화에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
    라디오 접속 특정 동기화 신호; 및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에 매핑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8. 제19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노드(18-1)로 시그널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시그널링은,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와의 라디오 접속이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트랜스퍼되는 중이라는 표시, 및 상기 라디오 접속에 대한 수신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노드(18-1)에서 사용 중인 라디오 채널 필터링을 리셋한다는 표시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2, 40)는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과 연관된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26)는,
    상기 제1 라디오 네트워크 노드(12-1)에서, 이웃 서비스 영역(14)으로부터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으로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트랜스퍼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라고 지칭되는 다른 라디오 아이덴티티가 트랜스퍼되는 중이라는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영역(14-1)에서 상기 들어오는 무선 노드(18)와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퍼된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2, 40).
  30.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노드(18)에서의 동작 방법(1300)으로서, 상기 방법(1300)은
    네트워크(10)에 의해 상기 무선 노드(18)에 할당되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단계(1302);
    상기 무선 노드(18)와 상기 네트워크(10) 사이의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기 위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는 단계(1304) - 상기 라디오 접속은 상기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에 의해 지원되고 있음 -;
    상기 라디오 접속이 상기 네트워크(10)의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1306); 및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과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라디오 접속에 대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해서 사용하는 단계(1308)
    를 포함하는 방법(1300).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10)로부터의 상기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노드(18)에 의해 상기 라디오 접속에 대한 수신에 사용되는 라디오 채널 필터(120)를 리셋하는 단계(1310)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1300).
  32.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노드(18)로서, 상기 무선 노드(18)는
    상기 네트워크(10)와의 라디오 통신을 위해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04, 106, 108);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04, 106, 108)와 동작가능하게 연관된 프로세싱 회로(112)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회로(112)는,
    상기 네트워크(10)에 의해 상기 무선 노드(18)에 할당되는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 노드(18)와 상기 네트워크(10) 사이의 라디오 접속을 구별하기 위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사용하고 - 상기 라디오 접속은 상기 네트워크(10)의 제1 서비스 영역(14-1)에 의해 지원되고 있음 -,
    상기 라디오 접속이 상기 네트워크(10)의 제2 서비스 영역(14-2)으로 이동 중임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1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비스 영역(14-2)과의 라디오 접속을 계속하기 위해, 상기 라디오 접속에 대해 상기 제1 라디오 아이덴티티를 계속해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18).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회로(112)는, 상기 네트워크(10)로부터의 상기 시그널링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04, 106, 108)에 의해 상기 라디오 접속에 대한 수신에 사용되는 라디오 채널 필터(120)를 리셋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노드(18).
KR1020177022781A 2015-01-16 2015-01-16 송신 포인트들 사이에서 라디오 서비스를 트랜스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037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E2015/050036 WO2016114697A1 (en) 2015-01-16 2015-01-1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radio service between transmission poi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484A true KR20170107484A (ko) 2017-09-25
KR102037298B1 KR102037298B1 (ko) 2019-11-26

Family

ID=56406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781A KR102037298B1 (ko) 2015-01-16 2015-01-16 송신 포인트들 사이에서 라디오 서비스를 트랜스퍼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918265B2 (ko)
EP (1) EP3245812B1 (ko)
JP (1) JP6634087B2 (ko)
KR (1) KR102037298B1 (ko)
CN (1) CN107409333B (ko)
AU (1) AU2015377279B2 (ko)
IL (1) IL253316B (ko)
MX (1) MX365763B (ko)
WO (1) WO2016114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1127B (zh) 2016-06-29 2019-10-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1685A1 (en) * 2007-11-29 2009-06-04 Nokia Siemens Networks Oy Mobile station handover using transferrable virtual access point address for wireless networks
KR20130093953A (ko) * 2012-02-15 201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5434B1 (en) * 2006-05-12 2010-10-27 Alcatel Lucent Resource allocation for OFDM transmission with subcarriers partitioning and bilateral cell subcarriers exchange
KR100795563B1 (ko) * 2006-06-29 2008-01-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이를위한 기지국 및 이동 단말
US9161212B2 (en) * 2006-10-03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ynchronizing of temporary UE I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28890B1 (en) * 2007-08-12 2019-01-02 LG Electronics Inc. Handover method with link failure recovery,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for implementing such method
CN102638858B (zh) * 2007-08-22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演进网络切换处理方法与系统
FI20085253A0 (fi) * 2008-03-28 2008-03-28 Nokia Siemens Networks Oy Solutunnisteet solukko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8107961B1 (en) * 2008-07-01 2012-01-31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frequency allocation during handoff
US20100008235A1 (en) * 2008-07-11 2010-01-14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and resolving conflicting use of a node identifier
CN102036228A (zh) * 2009-09-29 2011-04-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终端切换的方法及系统
CN102469557B (zh) * 2010-11-15 2014-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接入基站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9173192B2 (en) * 2011-03-1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cell select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continuity
EP2809122B1 (en) * 2013-05-30 2019-07-10 Alcatel Lucent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Node and Method
US9467909B2 (en) * 2013-09-11 2016-10-11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relocating a backhaul channel between a small cell base station and a macro cell base st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1685A1 (en) * 2007-11-29 2009-06-04 Nokia Siemens Networks Oy Mobile station handover using transferrable virtual access point address for wireless networks
KR20130093953A (ko) * 2012-02-15 201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77279A1 (en) 2017-08-03
US10517030B2 (en) 2019-12-24
CN107409333A (zh) 2017-11-28
US9918265B2 (en) 2018-03-13
IL253316A0 (en) 2017-09-28
CN107409333B (zh) 2020-12-29
US20180152874A1 (en) 2018-05-31
AU2015377279B2 (en) 2019-02-14
EP3245812A4 (en) 2018-07-11
EP3245812A1 (en) 2017-11-22
IL253316B (en) 2019-10-31
MX365763B (es) 2019-06-13
KR102037298B1 (ko) 2019-11-26
WO2016114697A1 (en) 2016-07-21
JP6634087B2 (ja) 2020-01-22
JP2018502519A (ja) 2018-01-25
EP3245812B1 (en) 2022-03-09
US20160212670A1 (en) 2016-07-21
MX2017009262A (es)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2471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MBMS interest indication communication
KR101930195B1 (ko) 통신 시스템
JP6125723B2 (ja) 層構造のモビリティ
US20130157676A1 (en) Control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2345306B1 (ko) 타깃 plmn id 및 타깃 셀 id를 결정하는 노드들 및 방법
JP2020507983A (ja) Epsと5gsの間のシステム情報を解決すること
WO2016186995A1 (en) Establishing data relay operation between a relay user equipment (relay-ue) device and an out-of-coverage user equipment (ue) device
US10999743B2 (en) UE context handling in disaggregated radio access node
GB2570150A (en) Communication system
US10798519B2 (en) Enhancing the accuracy of communication network's knowledge about location of terminal devices
US20230043617A1 (en) Deterministic plmn selection during disaster roaming
US105170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radio service between transmission po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JP2013197792A (ja) 無線基地局装置、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接続モード切替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6469750B2 (ja) 層構造のモビリテ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