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358A -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358A
KR20170107358A KR1020167024093A KR20167024093A KR20170107358A KR 20170107358 A KR20170107358 A KR 20170107358A KR 1020167024093 A KR1020167024093 A KR 1020167024093A KR 20167024093 A KR20167024093 A KR 20167024093A KR 20170107358 A KR20170107358 A KR 20170107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ord information
multimedia data
playback
playback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090B1 (ko
Inventor
퀴앙 푸
지구앙 가오
엔싱 호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10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기술분야에 소속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단말이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서버가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단말이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의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LAYING MULTIMEDIA DATA}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856759. 4이고, 출원일자: 2015년11월30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 출원에 도입되어 참조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콘텐츠가 점점 풍부해지고, 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식이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스마트 TV, 스마트폰 등 단말도 모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에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어느 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때, 만약 스마트 디바이스를 교체하여 계속 관람하고자 하면,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를 중지하고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타임 라인에서 관람한 시간 진도를 찾아내야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현 과정에서, 발명자는 종래 기술에 적어도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과정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교체할 경우,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찾은 후,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타임 라인에서 관람한 시간 진도를 찾아내야,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거나 청취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의 작동 효율이 비교적 낮은 결과를 초래한다.
관련 기술 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각각 송신하는 단계;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현재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재생 기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든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상기 제1 단말 유형과 동일함;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상기 제1 어카운트는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관계를 구축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 -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때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기타 단말에서 미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재생 기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에서 송신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상기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목표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관람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타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재생 기록 정보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타 단말에서 미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타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트리거 정보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기타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은 송신 서브 모듈, 수신 서브 모듈 및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바, 여기서,
상기 송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각각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서브 모듈은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모든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상기 제1 단말 유형과 동일함;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상기 제1 어카운트는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관계를 구축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모듈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때 상기 제2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송신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수신 모듈 -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상기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목표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재생 기록 정보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는,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모듈;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재생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모듈은, 획득 서브 모듈과 재생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 서브 모듈은, 상기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 서브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장치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재생 트리거 정보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상기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측면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시스템은 서버와 제1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며; 제1 단말은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은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말을 교체할 경우, 교체 후 단말은 교체 전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므로,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찾을 필요가 없이 교체 전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설명과 뒤에 이어질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분석을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고 또한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고,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나타낸 흐름도 ;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나타낸 흐름도 ;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나타낸 흐름도 ;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서술될 것이다. 상기 도면들과 문자 서술은 그 어떤 방식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 지정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해당 분야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에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할 것이며, 그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표시한다. 하기 예시적 실시예 중에서 설명되는 실시 방식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는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바, 상기 방법은 서버와 단말에 의해 공동으로 구현될 수 있고,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서버일 수 있고, 단말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과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의 프로세싱 절차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101);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102);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제1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의 프로세싱 절차는,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201);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202);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2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서버는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며; 제1 단말은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말을 교체할 경우, 교체 후 단말은 교체 전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므로,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찾을 필요가 없이 교체 전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서버와 단말(제1 단말, 제2 단말)에 의해 공동으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서버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스마트홈 등)의 백그라운드 서버일 수 있고, 서버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과정의 프로세싱에 이용될 수 있고, 메모리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과정 중에서 소요되는 데이터 및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송수신 장치는 메시지의 수신 및 송신에 이용될 수 있다. 해당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TV 등일 수 있고, 단말에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스마트 디바이스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에는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 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과정의 프로세싱에 이용될 수 있고, 메모리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과정 중에서 소요되는 데이터 및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송수신 장치는 메시지의 수신 및 송신에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단말에는 스크린 등 입력/출력 디바이스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스크린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인터페이스 등의 디스플레이에 이용될 수 있고, 해당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실시를 진행하기 전에,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에 자주 사용되는 제1 단말을 제2 단말에 바인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1 단말과 제2 단말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할 수 있고, 단말은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어카운트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단말을 트리거시켜 서버에 해당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송신할 수 있으며, 서버는 해당 단말 식별자와 해당 어카운트 식별자의 대응 관계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입력한 어카운트와 비밀번호는 모두 동일함으로, 해당 어카운트는 서버에 저장된 대응 관계로부터 제1 단말과 제2 단말을 대응하여, 이로써, 제1 단말과 제2 단말의 바인딩이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 실시방식을 결합하여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싱 절차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하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301)에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한다.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2 단말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관람하는 과정에서, 제2 단말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하고, 제1 단말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는 경우,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할 수 있으며, 해당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에는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객실에서 스마트 TV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는 과정에서, 객실의 스마트 TV를 끄고 침실에 들어가서, 휴대폰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경우, 휴대폰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면, 휴대폰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2 단말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는 과정에서, 제2 단말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하고, 제1 단말을 작동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경우, 사용자는 제1 단말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옵션을 클릭하며, 단말에서 클릭 명령을 수신할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고, 관리 애플리케이션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며, 해당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에는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가 포함되여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객실에서 스마트 TV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관람하는 과정에서, 객실의 스마트 TV를 끄고 침실에 들어가서,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관람할 때 휴대폰 중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면,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을 감지하고, 휴대폰을 트리거시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기 전에, 제1 단말은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재생 트리거 정보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 응답하여,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제1 단말은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의 다이얼로그 박스를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해당 다이얼로그 박스에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겠습니까, 예 버튼, 아니오 버튼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사용자는 예 버튼을 클릭할 수 있고, 제1 단말에서 클릭 명령을 감지할 경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재생 기록 정보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포함하거나; 또는, 재생 기록 정보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만약 사용자가 전에 제2 단말을 이용하여 어느 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했다면, 서버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에 제2 단말을 이용하여 중국영화《서유기》를 50분 동안 관람했다면, 서버가 획득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는 코믹 서유기, 재생 진도의 시점은 50분이다.
또한, 만약 사용자가 전에 제2 단말을 이용하여 어느 한 채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했다면, 서버가 획득할 수 있는 재생 기록 정보는 재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 TV를 이용하여 중국 CCTV1 채널의 생방송《7시 뉴스》를 관람했다면, 서버가 획득할 수 있는 재생 기록 정보는 중국 CCTV1 채널이다. 만약 사용자가 전에 단말에 설치된 동영상 생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방송 동영상을 관람했다면, 서버가 획득할 수 있는 정보는 재생된 동영상이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에 생방송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생방송으로 중국 CCTV5채널의 축구 시합 생방송을 관람했다면, 서버가 획득할 수 있는 동영상 재생 정보는 중국 CCTV5 채널이다.
단계(302)에서,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한다.
실시에 있어서,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나아가 해당 요청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획득한다.
단계(303)에서, 서버는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한다.
실시에 있어서, 서버는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확정한 후,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대응하는 프로세싱 방식은,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송신하고;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서버는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획득한 후, 제1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수신한 후, 자신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따라서 재생 기록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한 후,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모든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을 확정하고,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상기 제1 단말 유형과 동일함;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상기 제1 어카운트는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관계를 구축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실시에 있어서, 서버가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을 확정할 경우,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제2 단말은 제1 단말과 동일한 유형일 수 있고(예를 들면 모두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거나, 또는 모두 음악을 재생할 수 있음); 제2 단말은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 중에서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한 것일 수 있고(예를 들면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 중에서, 제2 단말을 제외한 기타 단말은 모두 10월10일에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 했는데, 제2 단말은 10월11일에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2 단말은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하였고, 제1 어카운트는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제2 단말과 제1 단말은 같은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관계를 구축한 것(예를 들면 바인딩 관계를 구축함)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때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에 있어서, 제2 단말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어느 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경우, 제2 단말에 설치된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중지를 감지하여,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식별자, 재생 진도의 시점, 또는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기록하고,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재생 기록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며, 해당 재생 기록 정보는 현재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 재생 진도의 시점, 또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서버는 해당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재생 기록 정보를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로 저장한다.
단계(304)에서, 서버는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
실시에 있어서, 서버가 획득한 재생 기록 정보가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식별자, 재생 진도의 시점인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하여, 제1 단말의 단말 식별자를 기반으로, 제1 단말에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식별자, 재생 진도의 시점을 송신하여, 제1 단말에서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에서 획득한 재생 기록 정보가 재생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인 경우, 제1 단말에 해당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송신하여, 제1 단말에서 해당 채널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실시에 있어서,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예를 들면 드라마, 영화 등)일 수도 있고, 오디오 데이터(예를 들면 음악, 방송 등)일 수도 있다.
단계(305)에서, 제1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한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나아가 해당 재생 기록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이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 또는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306)에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
실시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 재생 진도의 시점을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또는 재생 기록 정보 중의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분석한 후, 만약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한 후,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고, 만약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면, 해당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채널을 검색한 후,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해당 채널에서 현재 방송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할 수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프로세싱은,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고;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한 후,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한 후,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 기록 정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는 《화피》이고, 재생 진도의 시점은 50분23초라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50분23초부터 시작하여《화피》를 계속 재생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으며, 이와 대응하는 프로세싱은,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고;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에 있어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한 후,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기반으로 현재 재생 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여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하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재생 기록 정보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는 중국 CCTV1 채널이고, 중국 CCTV1 채널에서 현재 방송중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7시 뉴스》라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은 《7시 뉴스》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기타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방법도 제공하며, 이와 대응하는 프로세싱 과정은,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에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송신하여, 목표 단말에서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사용자에게 공유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공유 버튼을 클릭하여, 기타 친구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유 버튼을 제공하며, 공유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1 단말 중의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어느 한 동영상을 관람할 때, 동영상의 재생 인터페이스에는 동영상의 재생 화면, 음량 조절 버튼, 공유 버튼 등 일부 기타 옵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것이고, 만약 기타 친구에게 해당 동영상을 공유하고자 하면, 공유 버튼을 클릭하여, 제1 단말을 트리거시켜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목표 어카운트의 추가 다이얼로그 박스를 디스플레이하면, 사용자는 해당 추가 다이얼로그 박스에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 (예를 들면 휴대폰 번호, 메일 박스 번호 등)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며, 제1 단말은 클릭 명령을 수신한 후, 서버에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송신하고, 서버는 동영상의 공유 요청을 수신한 후,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를 획득하고,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에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송신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목표 단말은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한 후, 만약 분석을 통해 얻은 현재 재생 기록 정보가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이면, 인터페이스에 XXX가 공유하는 XXX동영상 데이터를 접수하겠습니까(예를 들면 장삼이 공유하는 《신조협려》를 접수하겠습니까)로 디스플레이하고, 만약 목표 단말의 사용자가 공유를 접수한다면, “예”옵션을 클릭하여, 목표 단말을 트리거시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선택 다이얼로그 박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해당 선택 다이얼로그 박스에는 목표 단말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옵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것이며,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옵션을 클릭하여 어느 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고, 목표 단말에서 클릭 명령이 감지될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해당 동영상을 검색하고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한다.
목표 단말은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한 후, 만약 분석을 통해 얻은 현재 재생 기록 정보가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이면, 인터페이스에 XXX가 공유하는 XXX채널을 접수하겠습니까로 디스플레이하고, 만약 목표 단말의 사용자가 공유를 접수한다면, “예”옵션을 클릭하여, 목표 단말을 트리거시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선택 다이얼로그 박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해당 다이얼로그 박스에는 목표 단말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옵션(예를 들면 중국 아이치이 옵션, 중국 풍운생중계옵션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것이며,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옵션을 클릭하여 어느 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며, 클릭 명령이 감지될 경우, 목표 단말은 해당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하여, 해당 채널을 검색하여, 해당 채널에 대응하는 동영상 데이터을 재생하도록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다이얼로그 박스에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옵션도 디스플레이되어 있을 것이며, 만약 목표 단말에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았거나, 또는 제1 단말로부터 공유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에 적합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이 없다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옵션을 클릭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로 진입하는 인터페이스를 트리거시켜, 사용자는 적합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서버에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송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는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며; 제1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 계속 재생한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때 사용자가 단말을 교체할 경우, 교체 후 단말은 교체 전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획득하고,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여,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찾을 필요도 없이 교체 전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에서 이용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를 제공하며,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제1 수신 모듈(710), 획득 모듈(720), 제어 모듈(730)을 포함한다.
제1 수신 모듈(710)은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획득 모듈(720)은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모듈(730)은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72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서브 모듈(721), 수신 서브 모듈(722), 획득 서브 모듈(723)을 포함하는 바, 여기서,
송신 서브 모듈(721)은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서브 모듈(722)은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획득 서브 모듈(723)은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획득 서브 모듈(723)은,
모든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을 확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상기 제1 단말 유형과 동일함;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상기 제1 어카운트는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관계를 구축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선택적으로, 획득 모듈(720)은,
제2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때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수신 모듈(740),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를 포함함;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상기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로 송신하여, 상기 목표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 송신 모듈(750) 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재생 기록 정보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 또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동일한 기술 사상을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 제1 단말에 이용될 수 있으며,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송신 모듈(1010), 수신 모듈(1020), 재생 모듈(1030)을 포함한다.
송신 모듈(1010)은 서버에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모듈(1020)은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재생 모듈(1030)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1010)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서버에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재생 모듈(1030)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모듈(1030)은,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는 획득 서브 모듈(1031);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서브 모듈(1032)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획득 서브 모듈(1031)은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
재생 서브 모듈(1032)은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에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1040);
재생 트리거 정보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 응답하여, 서버에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 모듈(101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서버에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송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서버는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며; 제1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 계속 재생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말을 교체할 경우, 교체 후 단말은 교체 전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획득하고,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여,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찾을 필요도 없이 교체 전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장치에서, 각 모듈이 조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해당 방법의 관련 실시예에서 이미 상세히 기술하였기에,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여기서 설명이 필요할 것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 상기 각 기능 모듈의 구분에 따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일 뿐, 실제 응용에서는, 소요에 따라 부동한 기능 모듈을 통해 상기 기능 분배를 완성할 수 있으며, 즉,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서로 다른 기능 모듈로 구분하여, 상기 기술한 전부 또는 일부 기능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에 관한 실시예는 동일한 사상으로써, 구체적인 구현 과정은 방법 실시예를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 더이상 서술하지 않겠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서버와 제1 단말을 포함하고, 여기서,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룰 획득하고; 서버는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고; 제1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말을 교체할 경우, 교체 후 단말은 교체 전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므로,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찾을 필요가 없이 교체 전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제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버(13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 및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1932)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 리소스를 포함한다. 메모리(1932)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매개마다 한조의 명령과 일대일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어셈블리(1922)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용 기록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실행한다.
서버(1300)는, 서버(1300)의 전원 관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전원 어셈블리(1926); 서버(13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950) 및 하나의 입력/출력(I/O)인터페이스(1958)를 더 포함한다. 서버(1300)는 메모리(1932)에서의 저장을 기반으로 하는 예를 들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유사한 운용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다.
서버(1300)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프로그램은 하기의 조작을 진행하는 명령,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송신하고;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모든 단말로부터 제2 단말을 확정하고,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상기 제1 단말 유형과 동일함;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상기 제1 어카운트는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관계를 구축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한다.
선택적으로,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제2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때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은,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수신하고;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에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송신하여, 목표 단말에서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재생 기록 정보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 또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룰 획득하고; 서버는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고; 제1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말을 교체할 경우, 교체 후 단말은 교체 전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므로,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찾을 필요가 없이 교체 전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을 제공한다. 해당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등 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말(1400)은 하기의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즉 프로세싱 어셈블리(802), 메모리(804), 전원 어셈블리(8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 오디오 어셈블리(810), 입력/출력(I/O)인터페이스(812), 센서 어셈 블리(814), 및 통신 어셈블리(816)이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통상적으로 단말(14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제어하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전화 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되는 조작 등이다.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실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의 단계를 완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포함되어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어셈블리(8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여,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802)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여러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단말(1400)의 조작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로는 단말(1400) 상에서 조작하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자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이다.
전원 어셈블리(806)는 단말(1400)의 각 어셈블리를 위하여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806)에는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전원 및 오디오 출력 장치(1400)의 전력 생성, 관리와 분배에 관련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에는 단말(1400)과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에는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이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에 터치패널이 포함된다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에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가 포함되어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과 관련되는 지속 시간과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808)에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가 포함된다. 단말(1400)이 조작 모드, 예를 들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 거리 및 광학적 주밍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810)에는 하나의 마이크(MIC)가 포함되고, 오디오 출력 장치(1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에 처할 때, 마이크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나아가 메모리(804) 또는 통신 어셈블리(8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I/ O 인터페이스(8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8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는 홈 버튼, 음량 조절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814)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포함되어, 단말(1400)을 위하여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어셈블리(814)는 단말(14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포지셔닝을 감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셈블리는 단말(14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814)는 또한 단말(1400) 또는 단말(14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단말(1400)의 접촉 여부, 단말(1400) 위치 또는 가속/감속과 단말(1400)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에는 접근 센서를 포함하여, 아무런 물리적 접촉이 없을 때 근처 물체의 존재를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814)에는 광 센서, 예를 들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가 더 포함되어, 이미징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어셈블리(814)에는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816)는 단말(1400)과 기타 장치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을 도모할 수 있다. 단말(1400)은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어셈블리(8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어셈블리(816)에는 근거리 통신(NFC) 모듈이 더 포함되어 근거리 통신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전파 식별(RFID) 기술, 국제 적외선 데이터 통신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400)은 적어도 하나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하여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804)를 제공하며, 상기 명령은 단말(1400)의 프로세서(8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램(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및 광 데이터 메모리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중의 명령이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단말로 하여금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방법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기 전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은,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재생 트리거 정보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 응답하여,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서버는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룰 획득하고; 서버는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고; 제1 단말은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은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말을 교체할 경우, 교체 후 단말은 교체 전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자동적으로 획득할 수 있고, 해당 재생 기록 정보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재생하므로, 사용자는 검색을 통해 찾을 필요가 없이 교체 전 단말에서 관람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람할 수 있으므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작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해당 분야 당업자는 명세서 및 여기에 공개된 내용을 숙지한 후 쉽게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자 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또한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해당 분야의 일반 상식 또는 관용 해결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 및 도면 중의 정확한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변화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다.

Claims (25)

  1.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각각 송신하는 단계;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모든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확정하는 단계 - 상기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상기 제1 단말 유형과 동일함;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상기 제1 어카운트는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관계를 구축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함 - 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때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서 송신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상기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목표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 또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8.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재생 트리거 정보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13.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는 제1 수신 모듈;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송신 서브 모듈, 수신 서브 모듈 및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송신 서브 모듈은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모든 단말에 재생 기록 정보의 업로드 알림을 각각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 서브 모듈은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모든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모든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단말은 하기 사항, 상기 제1 단말 유형과 동일함; 최후로 재생 기록 정보를 업데이트함; 제1 어카운트에 로그인함, 상기 제1 어카운트는 상기 제1 단말이 로그인한 어카운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관계를 구축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상기 제2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중지할 때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에서 송신한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수신 모듈 - 상기 멀티미디어 공유 요청에는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와 목표 어카운트의 어카운트 식별자를 포함함 - ;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상기 목표 어카운트에 로그인한 목표 단말에 송신하여, 상기 목표 단말이 상기 제1 단말의 현재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18.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록 정보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 또는,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대응하는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20.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는 송신 모듈;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는 재생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감지될 경우,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듈은 획득 서브 모듈과 재생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와 재생 진도의 시점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 서브 모듈은, 상기 재생 진도의 시점부터 시작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획득 서브 모듈은, 상기 재생 기록 정보로부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재생 서브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채널 식별자가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기 전에,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트리거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재생 트리거 정보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획득 요청을 상기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장치.
  25. 서버와 제1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단말에서 송신한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재생 기록 정보의 획득 요청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에서 송신한 로컬 제1 단말과 바인딩된 제2 단말의 재생 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재생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대응하는 목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스템.
KR1020167024093A 2015-11-30 2016-05-19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45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56759.4 2015-11-30
CN201510856759.4A CN105430487A (zh) 2015-11-30 2015-11-30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PCT/CN2016/082683 WO2017092247A1 (zh) 2015-11-30 2016-05-19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358A true KR20170107358A (ko) 2017-09-25
KR101945090B1 KR101945090B1 (ko) 2019-04-17

Family

ID=55508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093A KR101945090B1 (ko) 2015-11-30 2016-05-19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55958A1 (ko)
EP (1) EP3174053A1 (ko)
JP (1) JP6423445B2 (ko)
KR (1) KR101945090B1 (ko)
CN (1) CN105430487A (ko)
RU (1) RU2654510C2 (ko)
WO (1) WO2017092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0487A (zh) * 2015-11-30 2016-03-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CN106817390B (zh) * 2015-12-01 2020-04-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用户数据共享的方法和设备
CN105898544A (zh) * 2016-05-23 2016-08-24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05913698B (zh) * 2016-06-13 2020-11-10 网易有道信息技术(杭州)有限公司 一种播放课程多媒体信息的方法和装置
CN106302631B (zh) * 2016-07-21 2019-04-26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分享内容的方法和系统
CN107801058A (zh) * 2016-09-05 2018-03-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视频管理信息的管理方法、装置及系统
CN106357522B (zh) * 2016-10-25 2020-03-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的分享方法及装置
US11032698B2 (en) * 2016-10-27 2021-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sture based smart download
CN108415908B (zh) * 2017-02-09 2021-12-10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的处理方法及服务器
CN106911948B (zh) * 2017-03-15 2021-11-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装置、控制设备及电子设备
CN106998490B (zh) * 2017-04-18 2019-02-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同步方法及装置
CN107769881B (zh) * 2017-10-10 2019-05-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同步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CN108153560B (zh) * 2017-12-11 2021-06-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数据下发方法及装置
CN109918206A (zh) * 2017-12-13 2019-06-21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同应用之间的信息交互方法及系统
CN108282673B (zh) * 2018-01-29 2021-02-23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一种播放记录的更新方法、服务器及客户端
US10820056B2 (en) * 2019-03-13 2020-10-27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back of content using progress point information
US10992992B2 (en) 2019-03-13 2021-04-27 ROVl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nciling playback using progress point information
CN111611573B (zh) * 2020-05-20 2023-10-03 深圳市镜玩科技有限公司 实现终端设备切换的数据处理方法、相关设备及介质
CN111813360A (zh) * 2020-06-28 2020-10-23 广州励丰文化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演艺设备的控制方法、控制中心及控制系统
WO2022048221A1 (zh) * 2020-09-07 2022-03-10 聚好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视频进度同步方法、显示设备及电子设备
CN112333756B (zh) * 2020-09-14 2024-02-27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区域网络质量监测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2528052A (zh) * 2020-12-22 2021-03-19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多媒体内容输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4793288B (zh) * 2021-01-26 2024-04-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权限信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CN113111199B (zh) * 2021-03-31 2023-02-03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多媒体资源的续播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13194352B (zh) * 2021-04-28 2023-04-07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播放进度记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3535994A (zh) * 2021-07-22 2021-10-22 北京爱奇艺科技有限公司 用户对多媒体的兴趣指标的确定方法和装置
CN116541589A (zh) * 2022-01-26 2023-08-04 花瓣云科技有限公司 播放记录显示方法及相关设备
CN115379273B (zh) * 2022-08-11 2023-09-26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基于智能床垫的视频播放控制方法及相关产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49A (ja) * 2001-04-27 2002-11-15 Hitachi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視聴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50095769A (ko) * 2003-01-24 2005-09-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WO2007000949A1 (ja) * 2005-06-27 2007-01-04 Nec Corporation 再生開始位置制御付き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装置
US20090232481A1 (en) * 2008-03-11 2009-09-17 Aaron Baalberg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content playback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01570A (fi) * 2000-06-30 2001-12-31 Nokia Corp Synkronoitu palveluntarjonta tietoliikenneverkossa
JP4708128B2 (ja) * 2005-09-08 2011-06-22 三菱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コンテンツ継続視聴システム
US20080155062A1 (en) * 2006-11-02 2008-06-26 Andre Rabold System for providing media data
US8026805B1 (en) * 2009-04-09 2011-09-2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dia tracker
JP2011119859A (ja) * 2009-12-01 2011-06-16 Sharp Corp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10219105A1 (en) * 2010-03-04 2011-09-08 Panasoni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session continuity
US8908103B2 (en) * 2010-10-01 2014-12-09 Sony Corporation Content supplying apparatus, content supplying method,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method, program and content viewing system
US20130041790A1 (en) * 2011-08-12 2013-02-14 Sivakumar Murugesa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n application state
US10225300B2 (en) * 2012-06-10 2019-03-05 Apple Inc. Unified playback position
US9195383B2 (en) * 2012-06-29 2015-11-24 Spotify Ab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ath control signals for media presentation devices
CN102769783A (zh) * 2012-07-20 2012-11-07 深圳数字电视国家工程实验室股份有限公司 一种多媒体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3716703A (zh) * 2012-10-09 2014-04-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和装置
US20140359735A1 (en) * 2013-05-29 2014-12-04 Sap Portals Israel Ltd Maintaining application session continuity across devices
US9467359B1 (en) * 2013-06-07 2016-10-11 Google In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sum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across multiple devices
US9380059B2 (en) * 2013-10-16 2016-06-28 Spotify Ab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device
US9432429B1 (en) * 2013-12-06 2016-08-30 Tp Lab, Inc. Playing of media content among multiple devices using a temporal progress
CN104822090B (zh) * 2014-04-25 2017-12-01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的方法、装置和系统
CA2895637C (en) * 2014-06-27 2023-09-05 Bce Inc. Content consumption monitoring
CN104168503B (zh) * 2014-07-24 2016-08-2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共享视频信息的方法及装置
CN104244063B (zh) * 2014-09-04 2017-05-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多播放设备的转换方法和装置
CN104270668B (zh) * 2014-09-26 2018-03-20 广州创维平面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内容续播方法与系统
CN105049903A (zh) * 2015-07-03 2015-11-11 浪潮软件集团有限公司 媒体文件跨设备同步的方法、系统及媒体播放设备
CN105430487A (zh) * 2015-11-30 2016-03-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播放多媒体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8949A (ja) * 2001-04-27 2002-11-15 Hitachi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視聴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50095769A (ko) * 2003-01-24 2005-09-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통신 시스템 및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 기록 매체 및 프로그램
WO2007000949A1 (ja) * 2005-06-27 2007-01-04 Nec Corporation 再生開始位置制御付き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装置
US20090232481A1 (en) * 2008-03-11 2009-09-17 Aaron Baalberg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content playbac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28949호(2002.11.15.) 1부. *
일본 재공표특허공보 WO2007/000949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37532A3 (ko) 2018-03-29
WO2017092247A1 (zh) 2017-06-08
US20170155958A1 (en) 2017-06-01
CN105430487A (zh) 2016-03-23
JP2018506865A (ja) 2018-03-08
RU2016137532A (ru) 2018-03-29
RU2654510C2 (ru) 2018-05-21
EP3174053A1 (en) 2017-05-31
JP6423445B2 (ja) 2018-11-14
KR101945090B1 (ko) 201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090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6105246B (zh) 直播显示方法、装置及系统
JP6285615B2 (ja) リモートアシスタンス方法、クライアント、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9348239B (zh) 直播片段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6149163B2 (ja) Wi−fi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10334282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live broadcasting based on live broadcasting application
KR20170061107A (ko) 화상 획득 방법 및 장치
CN105338389A (zh) 控制智能电视的方法和装置
JP2016535351A (ja) 動画情報共有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90022567A (ko)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CN106507166B (zh) 智能电视开机动画的配置方法及装置
CN109039872B (zh) 实时语音信息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4079964B (zh) 传输视频信息的方法及装置
CN111212306A (zh) 连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2037393A1 (zh) 多媒体资源的处理方法及装置
CN110475134A (zh) 一种评论内容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188230A (zh) 虚拟资源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服务器
CN111182328B (zh) 一种视频剪辑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CN105872573A (zh) 一种视频播放方法及装置
CN111147882B (zh) 视频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05657690A (zh) 移动终端设置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CN111277984A (zh) 无线局域网接入方法及装置
CN109525966B (zh) 智能设备的查询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4254021A (zh) 信息显示方法、装置和系统
CN109831538B (zh) 一种消息处理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