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826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826A
KR20170106826A KR1020160030467A KR20160030467A KR20170106826A KR 20170106826 A KR20170106826 A KR 20170106826A KR 1020160030467 A KR1020160030467 A KR 1020160030467A KR 20160030467 A KR20160030467 A KR 20160030467A KR 20170106826 A KR20170106826 A KR 20170106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ide wall
flat plate
sidewal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4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2586B1 (en
Inventor
강현중
장준수
이경준
김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586B1/en
Priority to EP16194903.7A priority patent/EP3163362B1/en
Priority to US15/333,986 priority patent/US9999152B2/en
Priority to CN201610950215.9A priority patent/CN106920479A/en
Publication of KR2017010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8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2001/133314
    • G02F2001/13332
    • G02F2001/1333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comprises: a display panel; a rear frame locat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a front frame locat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rear frame, and connected with the display panel and the rear frame. The front frame includes: a flat plate part facing the display panel; and a side frame formed in a side surface or an edge of the flat plate part. The side frame includes: a first side wall extended from the flat plate part, and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second side wall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side wall, and exposed to outside; a first bending part extended from the first side wall,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ide wall and the one end of the second side wall; and a second bending part extended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and bent toward the rear frame or the front fram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슬림한 외형과 동시에 강성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lim profile and rigidity.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PDP), an electro luminescent display (ELD), a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a liquid crystal display (PDP),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Display), an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e been studied and used.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Among them, an OLED panel can display an image by depositing an organic layer capable of emitting light on a substrate on which a transparent electrode is formed. OLED panels are not only thin but also flexible. A larg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having such an OLED pane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를 슬림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may b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improve the rigidity of the display device.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is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of the display panel.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simplify the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조단가를 줄이는 것일 수 있다.Another object may b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프레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리어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평판부, 그리고, 상기 평판부의 측면 또는 엣지에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평판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인접한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벤딩부, 그리고, 상기 제2 측벽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리어 프레임 또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을 향하여 굽어지는 제2 벤딩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panel comprising: a display panel; A rear fram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a front frame coupled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rear frame, the front frame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rear frame, wherein the front frame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facing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side frame includes a first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flat plate portion and adjacent to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second side wall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first side wall and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 first b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wall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ide wall with the first side wall and a first b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and bent toward the rear frame or the front frame,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display portion.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공기 유동로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may include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리어 프레임의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벽 또는 상기 평판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 벤딩부와 연결되는 제3 측벽을 더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includes a third sidewall adjacent to a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wall or the fla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후면에 본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rame is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bon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의 둘레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rame may be formed around the flat portion of the front frame.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곡면을 구비하되, 상기 곡면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1 벤딩부 사이,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측벽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2 벤딩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rame has a curved surface, wherein the curved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wall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엣지를 구비하되, 상기 엣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1 벤딩부 사이,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측벽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2 벤딩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frame has an edge, wherein the edge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 wall, and And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wall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멤버층이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member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front frame may hav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member layer penetrates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ront frame have.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와 마주하는 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의 평판부는, 프레스 되어 상기 리어 프레임의 평판부의 후면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빔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frame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facing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ront frame, and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rear frame is press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rear frame And a beam formed thereon.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빔은, 상기 리어 프레임의 평판부에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may form a closed loop at the flat portion of the rear frame.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리어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리어 프레임의 빔에 결합되는 강성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rigid bar coupled to the beam of the rear frame at a rear surface of the rear frame.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은 Al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may include Al.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 사이에 공극(air-gap)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ront frame.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 본 발명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리어 프레임의 두께 보다 얇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ront frame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ar frame.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lim display devic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향상된 강성을 지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rigidity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열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at dissipation of the display panel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that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illustration only,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벤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변 또는 일코너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효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1 to 4 are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10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frame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one side or one corn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heat radiation ef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and 18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combinations of display pa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9 to 23 illustrate examples of combination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to 28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one sec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도 가능하다.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display panel. However, the display panel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n OLED panel, an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long side (LS1), a second long side (LS2), a first long side (LS1) and a second long side (LS2) opposite to the first long side A first short side SS1 adjacent to one end of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a second short side SS2 opposite to the first short side SS1.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first short side SS1 is referred to as a first side area, the second short side SS2 is referred to as a second side area opposite to the first side area, 1 long side area LS1 is referred to as a third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the second long side area LS2 may be referred to as a fourth side area adjacent to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located between the first side area and the second side area and opposed to the third side area .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Although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long sides LS1 and LS2 are longer tha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description, LS2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 sides SS1 and SS2.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first direction (DR1) is a direction parallel to a long side (LS1, LS2) of a display device and a second direction (DR2) is a direction parallel to a short side , SS2).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 or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collectively be referred to as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다른 관점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forward or front area) 또는 전면(fron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backward or back area or rear area) 또는 후면(back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upper side) 또는 상면(upper surface)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lower side) 또는 하면(lower surface or bottom)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left side) 또는 좌면(left surface)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right side) 또는 우면(right surface)이라 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the side on which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may be referred to as a forward or front area or a front surface. When a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the side on which the image can not be viewed can be referred to as a backward or back area or a rear area. When looking at the display from the front or the front, the first long side (LS1) side can be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or the upper surface. Likewise, the second long side LS2 may be referred to as a lower side or a lower surface. Likewise, the first short side SS1 may be referred to as a left side or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a right side or a right side .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ong side LS1, the second long side LS2,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ay be referred to as the edges of the display device. A corner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the second long side LS2,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with each other can be referred to as a corner. For example, a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a first corner C1, a point where the first long side LS1 and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 is a second corner C2 A point where the second short side SS2 meets the second long side LS2 is a third corner C3 and a point where the second long side LS2 and the first short side SS1 meet is a fourth corner C4. .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Here,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short side SS1 to the second short side SS1 or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short side SS2 to the first short side SS1 can be referred to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R. The direction from the first long side LS1 to the second long side LS2 or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long side LS2 to the first long side LS1 may be called the up and down direction UD.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1 to 4 are views showing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이 관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면은 화상(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표시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 그리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젤(bezel)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의 엣지(edge)에 위치하고, 비활성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observed in front of the display device 100.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display an image.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divided into an active area A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e-active area DA for displaying no image. The bezel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include an inactive area DA.

도 2를 참조하면, 모듈커버(120)는 평판부(120P, plate), 그리고 측벽(side wall, SW)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듈커버(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듈커버(120)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모듈커버(120)는 박형(slim type) 또는 초박형(ultra-slim type) 금속일 수 있다. 따라서, 평판부(120P)는 금속재질일 수 있고, 박형 또는 초박형 금속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module cover 120 may include a plate 120P and a side wall (SW). The module cover 120 can support the display panel 110. For this purpose, the module cover 120 may be made of a metal. The module cover 120 may be a slim type or an ultra-slim type metal. Therefore, the flat plate portion 120P may be made of a metal, and may be a thin or ultra-thin metal.

측벽(SW)은 평판부(120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평판부(120P)와 분리되어 형성되고, 평판부(120P)에 결합될 수도 있다. 측벽(SW)은 평판부(120P)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지닐 수 있고, 평판부(120P)의 두께와 동일할 수도 있다. The side wall SW may be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The side wall SW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t plate portion 120P, separately from the flat plate portion 120P, and may be coupled to the flat plate portion 120P. The side wall SW may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and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모듈커버(120)는 프레스 되어 평판부(120P)와 측벽(SW)을 구비할 수 있다. 평판부(120P)의 면적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면적에 대응될 수 있다. 측벽(SW)은 모듈커버(120)의 제1 장변(120LS1), 제2 장변(120LS2), 제1 단변(120SS1), 또는 제2 단변(120SS2)에 위치할 수 있다.The module cover 120 may be pressed to have the flat plate portion 120P and the side wall SW. The area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may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side wall SW may be located at the first long side 120LS1, the second long side 120LS2, the first short side 120SS1, or the second short side 120SS2 of the module cover 120. [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평판부(120P)의 전면에 위치하여 모듈커버(120)로부터 일정한 강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t plate 120P.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flexible and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lat plate 120P and may be provided with a certain rigidity from the module cover 120. [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장변(110LS1)의 길이는 모듈커버(120)의 제1 장변(120LS1)의 길이 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단변(110SS1)의 길이는 모듈커버(120)의 제1 단변(120SS1)의 길이보다 미세하게 짧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평판부(120P)에 접착되거나 모듈커버(120)에 끼워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irst long side 110LS1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fin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long side 120LS1 of the module cover 120. [ The length of the first short side 110SS1 of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fin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hort side 120SS1 of the module cover 120. [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dhered to the flat plate portion 120P or fit into the module cover 120. [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active area, A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 D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00 and an image can be displayed. The display panel 110 divides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pixels, and outputs an image by adjusting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pixel.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divided into an active area A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nd a de-active area DA in which no image is displayed. The display panel 100 may emit light corresponding to red, green, or blu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모듈커버(120)의 두께에 따라 모듈커버(12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제공하는 강성이 달라질 수 있다.The stiffness that the module cover 120 provides to the display panel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module cover 120. [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백커버(130)를 구비할 수 있다. 백커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130)는 모듈커버(120)의 후방의 일부에 위치할 수 있고, 모듈커버(120)의 후면의 대부분을 덮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back cover 130. The back cover 130 may be located behind the display device 100. The back cover 130 may be located at a part of the rear of the module cover 120 and may cover most of the rear surface of the module cover 120.

백커버(130)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30)는 모듈커버(120)의 후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백커버(130)가 모듈커버(120)의 후방의 일부에 위치하는 경우, 백커버(1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즉, 백커버(130)를 제외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두께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 두께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e back cover 13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For example, the back cover 130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rear of the module cover 120. When the back cover 130 is located at a part of the rear of the module cover 120, the back cover 130 may not affec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excluding the back cover 130 may be regarded as the entir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파워서플라이(P), 드라이버(D), 그리고 튜너(T)를 구비할 수 있다. 파워서플라이(P)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드라이버(D)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튜너(T)는 방송정보 또는 외부입력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드라이버(D)에 제공할 수 있다. 백커버(130)는 파워서플라이(P), 드라이버(D), 그리고 튜너(T)를 덮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P, a driver D, and a tuner T. The power supply (P) can supply power to the display device (100). The driver D can control the display panel 110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100 to display an image. The tuner T may receive broadcast information or external inpu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driver D. The back cover 130 may cover the power supply P, the driver D, and the tuner T. [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측벽(SW1)은 평판부(230P)의 일단에서 벽(wall)을 형성할 수 있다. 측벽(SW1)은 소정의 두께(T2)를 지닐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 두께(T1)를 슬림(slim)하게 하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요구되는 강성을 지니기 위해 평판부(120P)의 두께(T3), 측벽(SW1)의 두께(T2), 그리고 측벽(SW1)의 높이(T1)는 서로 상관될 수 있다. The side wall SW1 may form a wall at one end of the flat plate 230P. The side wall SW1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2. The thickness T3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the thickness T2 of the side wall SW1, the thickness T2 of the side wall SW2, and the thickness T3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in order to make the overall thickness T1 of the display device 100 slim, And the height T1 of the side wall SW1 may be correlated with each other.

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 두께가 감소하면, 평판부(120P)의 두께(T3) 또는 측벽(SW1)의 두께(T2)가 같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평판부(120P)의 두께(T3) 또는 측벽(SW1)의 두께(T2)가 감소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요구되는 강성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is means that if the total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reduced, the thickness T3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or the thickness T2 of the side wall SW1 can be reduced at the same time. Also, when the thickness T3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P or the thickness T2 of the side wall SW1 is reduced, the stiffness required for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lowered.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체 두께(T1)를 슬림하게 구성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요구되는 강성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구조적 강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Thus, slimming the overall thickness T1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cause a reduction in the stiffness required of the display device 100, so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stiffn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It is a necessary part.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모듈커버(120)에 끼워지거나 모듈커버(12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ST)에 의해 모듈커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ST)는,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 또는 합성수지 일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may be fitted to the module cover 120 or fixed to the module cover 120 by being adhered thereto.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coupled to the module cover 120 by an adhesive member ST. The adhesive member ST may be, for example, a double-sided tape or a synthetic resin.

측벽(SW)은 제1 측벽(SW1), 그리고 제2 측벽(SW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측벽(SW2)은 제1 측벽(SW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SW)은 굽힘면(SWR)을 구비할 수 있다. 굽힘면(SWR)은 제2 측벽(SW2)이 제1 측벽(SW1)으로부터 길게 연장되되, 굽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wall SW may include a first side wall SW1 and a second side wall SW2. The second side wall SW2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ide wall SW1. The side wall SW may have a bent surface SWR. The bending face SWR may be formed while the second side wall SW2 is elongated from the first side wall SW1 and ben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강판(120A), 그리고 접착판(120M)을 구비할 수 있다. 보강판(120A)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모듈커버(1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판(120M)은 모듈커버(120)와 보강판(12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판(120M)은 메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판(120M)은 모듈커버(12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모듈커버(120)와 보강판(120A)의 결합력 또는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reinforcing plate 120A and an adhesive plate 120M. The reinforcing plate 120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module cover 120. [ The adhesive plate 120M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module cover 120 and the reinforcing plate 120A. The adhesive plate 120M may be formed in a mesh shape. The adhesive plate 120M not only improves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module cover 120 but also improves the bonding force or adhesive force between the module cover 120 and the reinforcing plate 120A.

평판부(120P)와 보강판(120A)의 사이에 접착제(ST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ST2)는 접착판(120M)의 빈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부(120P)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접착판(120M)을 올리고, 그 위에 보강판(120A)을 올리면, 접착제는 자연스럽게 접착판(120M)의 빈공간에 도포될 수 있다. An adhesive ST2 may be formed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120P and the reinforcing plate 120A. The adhesive ST2 may be located in an empty space of the adhesive sheet 120M. For example, when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flat plate portion 120P, the adhesive plate 120M is placed thereon, and the reinforcing plate 120A is placed on the adhesive plate 120M, the adhesive can naturally be applied to the empty space of the adhesive plate 120M have.

이에 따라, 평판부(120P), 보강판(120A), 그리고 접착판(120M)의 결합 또는 접착력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모듈커버(120)의 강성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모듈커버(120)의 강성은 굽힘강성 뿐만 아니라 비틀림 강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nding or adhesive force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120P, the reinforcing plate 120A, and the adhesive plate 120M can be further improved. Further, the rigidity of the module cover 120 can be further improved. The stiffness of the module cover 120 may include not only bending stiffness but also torsional stiffness.

방열판(120H)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back surface)에 위치할 수 있다. 방열판(120H)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방열판(120H)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보강판(12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heat sink 120H may be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heat sink 120H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 The heat sink 120H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reinforcing plate 120A.

방열판(120H)은 보강판(120A)에 결합될 수 있다. 방열판(120H)은 보강판(120A)의 전면에 접착부재(ST3)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판(120H)은 Al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sink 120H may be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 120A. The heat sink 120H may be bond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20A by an adhesive member ST3. For example, the heat sink 120H may include Al.

방열판(120H)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방열판(120H)은 흡수한 열을 널리 전달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판(120H)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The heat sink 120H can absorb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 The heat sink 120H can widely transmit the absorbed heat. That is, the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processed by the heat sink 120H.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강성확보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공정수 또는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부로 방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여 방열판(120H)에 전달된 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0 has a complicated structure for securing rigidity, and may increase the number of processes or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hea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110 may not be effectively dissipat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the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transferred to the heat sink 120H may not be smoothly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display device 100 to the outside.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벤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6 to 10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frame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벤딩될 수 있다(a frame may be bent). 프레임(122)은 벤딩에 의해(by bending) 평판부(plate, 122P), 그리고 측벽(side wall, 122SW1)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22)은 1회 벤딩(B1)될 수 있다(a frame may be bent once). 프레임(122)은 프레스 되어 벤딩될 수 있다(a frame may be bent by a press machine). 이때, 프레임(122)은 직선을 이루며 벤딩될 수 있고, 곡선을 이루며 벤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22)은 벤딩 후에도 벤딩 전과 동일한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rame 122 may be bent (a frame may be bent). The frame 122 may be provided with a plate 122P by bending and a side wall 122SW1. The frame 122 may be bent once (B1). The frame 122 may be pressed and bent by a press machine. At this time, the frame 122 may be bent in a straight line, and may be bent in a curved line. Here, the frame 122 may have the same length L1 after bending as before bending.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2회 벤딩(B2)될 수 있다(a frame may be bent twice). 제2 회 벤딩(B2)의 방향은 제1 회 벤딩(B1)의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2)의 제1 회 벤딩(B1)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다면, 프레임(122)의 제2 회 벤딩(B2)은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22)은 벤딩에 의해 평판부(122P), 측벽(122SW1), 그리고 벤딩부(122C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22)은 벤딩 후에도 벤딩 전과 동일한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rame 122 may be bent twice (B2).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end (B2)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bend (B1). For example, if the first bend B1 of the frame 122 is counterclockwise, the second bend B2 of the frame 122 may be clockwise. The frame 122 may be provided with a flat plate portion 122P, a side wall 122SW1, and a bending portion 122C1 by bending. Here, the frame 122 may have the same length L1 after bending as before bending.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3회 벤딩(B3)될 수 있다(a frame may be bent three times). 제2 회 벤딩(B2)의 방향은 제1 회 벤딩(B1)의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제3 회 벤딩(B3)의 방향은 제2 회 벤딩(B2)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2)의 제1 회 벤딩(B1)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다면, 프레임(122)의 제2 회 벤딩(B2)은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프레임(122)의 제3 회 벤딩(B3)은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22)은 벤딩 후에도 벤딩 전과 동일한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rame 122 may be bent three times (B3).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end (B2)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first bend (B1). The direction of the third bending (B3) may be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ending (B2). For example, if the first bend B1 of the frame 122 is counterclockwise, the second bend B2 of the frame 122 may be clockwise, The third bend (B3) may be clockwise. Here, the frame 122 may have the same length L1 after bending as before bending.

도 8 및 9를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벤딩에 의해 제1 측벽(122SW1), 벤딩부(122C1), 그리고 제2 측벽(122SW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와 제2 측벽(122SW2) 사이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과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 사이에 공간(air-gap, AG)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frame 122 may have a first side wall 122SW1, a bending portion 122C1, and a second side wall 122SW2 by bending. 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extend from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idewall 122SW1.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located outside the first sidewall 122SW1. That is, 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first sidewall 122SW1. An air gap (AG)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wall 122SW2.

벤딩부(122C1)는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벤딩부(122C1)는 제1 측벽(122SW1)의 일단과 제2 측벽(122SW2)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측벽(122SW2)의 길이 또는 높이가 제1 측벽(122SW1)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The bending portion 122C1 may connect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wall 122SW2. At this time, the bending portion 122C1 may connect one end of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second side wall 122SW2 may extend longer than the first side wall 122SW1. That is, the length or height of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sidewall 122SW1.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4회 벤딩(B4)될 수 있다. 제4 회의 벤딩(B4)방향은 제3 회의 벤딩(B3)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2)의 제3 회 벤딩(B3)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다면, 프레임(122)의 제4 회 벤딩(B4)은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22)은 벤딩 후에도 벤딩 전과 동일한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rame 122 may be bent four times (B4). The fourth bending direction B4 may be the same as the third bending direction B3. For example, if the third bend B3 of the frame 122 is clockwise, the fourth bend B4 of the frame 122 may be clockwise. Here, the frame 122 may have the same length L1 after bending as before bending.

프레임(122)은 벤딩에 의해 제1 측벽(122SW1), 제1 벤딩부(122C1), 제2 측벽(122SW2), 그리고 제2 벤딩부(122C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는 제2 측벽(122SW2)의 일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는 제1 벤딩부(122C1)와 마주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와 제1 벤딩부(122C1)의 사이에 공간(air-gap, A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는 제1 평판부(122P) 또는 제1 측벽(122SW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frame 122 may have a first side wall 122SW1,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 second side wall 122SW2,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by bending.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face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 air gap (AG) may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122P or the first side wall 122SW1.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5회 벤딩(B5)될 수 있다. 제5 회의 벤딩(B5)방향은 제4 회의 벤딩(B4)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2)의 제4 회의 벤딩(B4)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졌다면, 프레임(122)의 제5 회 벤딩(B5)은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122)은 벤딩 후에도 벤딩 전과 동일한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frame 122 may be bent five times (B5). The fifth bending direction B5 may be the same as the fourth bending direction B4. For example, if the fourth bending B4 of the frame 122 is clockwise, then the fifth bend B5 of the frame 122 may be clockwise. Here, the frame 122 may have the same length L1 after bending as before bending.

프레임(122)은 벤딩에 의해 제1 측벽(122SW1), 제2 측벽(122SW2), 제1 벤딩부(122C1), 제2 벤딩부(122C2), 그리고 제3 측벽(122SW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와 제2 측벽(122SW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는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을 연결할 수 있다.The frame 122 may have a first side wall 122SW1, a second side wall 122SW2,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a third side wall 122SW3 by bending . 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be located at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first sidewall 122SW1. 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connect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제3 측벽(122SW3)은 제2 측벽(122SW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제2 측벽(122SW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 측벽(122SW3)은 평판부(122P)와 제2 측벽(122SW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또한 제1 측벽(122SW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제1 측벽(122SW1)의 하측에 위치하되, 평판부(122P)에 인접할 수 있다. 이때, 제3 측벽(122SW3)은 제1 측벽(122SW1) 또는 평판부(122P)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제3 측벽(122SW3)과 제1 측벽(122SW1)의 사이 또는 제3 측벽(122SW3)과 평판부(122) 사이에 공간(AG)이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sidewall 122SW3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idewall 122SW2. The third sidewall 122SW3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sidewall 122SW2. That is,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third sidewall 122SW3 may also be located below the first sidewall 122SW1.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may be adjacent to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t this time,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spaced from the first side wall 122SW1 or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at is, a space AG may be formed between the third side wall 122SW3 and the first side wall 122SW1 or between the third side wall 122SW3 and the flat plate portion 122. [

앞서 설명한 프레임(122)의 길이(L1)는 프레임(122)의 표면적으로 환산될 수 있다. 즉, 프레임(122)이 동일한 길이(L1)를 유지하면서 벤딩되는 경우, 프레임(122)은 동일한 표면적을 유지하면서 벤딩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관점에서, 프레임(122)의 벤딩에 의해 프레임(122)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음을 의미한다. 프레임(122)의 표면적을 넓힌다 함은, 다시 말해, 프레임(122)이 외부와 효과적인 열전달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프레임(122)의 방열효율의 향상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한된 공간에서 프레임(122)의 벤딩에 의해 프레임(122)의 방열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ength L1 of the frame 122 described above can be converted into the surface area of the frame 122. [ That is, when the frame 122 is bent while maintaining the same length L1, the frame 122 is bent while maintaining the same surface area. In other respects, it means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frame 122 can be widened by bending of the frame 122. Widening the surface area of the frame 122, in other words, may mean that the frame 122 is capable of effective heat transfer with the outside, which may mean an improvement in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of the frame 122. That is, the heat radiation of the frame 122 can be improved by bending the frame 122 in a limited space.

다른 관점에서, 프레임(122)의 일측에 유동로(air path, AP)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로(AP)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 및/또는 유출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공간(AG)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공간(AG)은 공기의 유동로(AP)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another aspect, an air path (AP)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122. [ The flow path AP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ior of the display device 100. That is, it can mean that air can flow in and / or out from the outside of the display device 100. Air can flow through the above-described space AG. That is, the above-mentioned space AG means that it can be an air flow path AP.

프레임(122)의 복수회의 벤딩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로(AP)를 통해 프레임(122)에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다. 즉, 프레임(122)의 벤딩에 의해 프레임(122)의 방열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eat transmitted to the frame 122 through the air flow path AP formed by the bending of the frame 122 a plurality of times can be dissipat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heat radiation of the frame 122 can be improved by the bending of the frame 122.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변 또는 일코너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1 to 14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one side or one corner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일측에 사이드 프레임(SF)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상측, 하측, 좌측, 및/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외곽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frame 122 may have a side frame SF on one side. The side frame SF may be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ide frames SF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he left side, and / or the right sid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ide frame SF may be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예를 들어,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및/또는 제2 단변(SS2)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제1 측벽(122SW1), 제2 측벽(122SW2), 제3 측벽(122SW3), 제1 벤딩부(122C1), 그리고 제2 벤딩부(122C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방열부(heat sink)라 칭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강성롤(rigid roll)이라 칭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de frame SF may be formed on the first long side LS1, the second long side LS2, the first short side SS1, and / or the second short side SS2 of the flat plate 122P have. The side frame SF may include a first sidewall 122SW1, a second sidewall 122SW2, a third sidewall 122SW3,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The side frame SF may be referred to as a heat sink. The side frame SF can be referred to as a rigid roll.

이때, 제1 측벽(122SW1)과 제1 벤딩부(122C1), 제1 벤딩부(122C1)와 제2 측벽(122SW2), 제2 측벽(122SW2)과 제2 벤딩부(122C2), 및/또는 제2 벤딩부(122C2)와 제3 측벽(122SW3)은 엣지(edge, E)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second side wall 122SW2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the third side wall 122SW3 can form an edge E.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측벽(122SW1)과 제1 벤딩부(122C1), 제1 벤딩부(122C1)와 제2 측벽(122SW2), 제2 측벽(122SW2)과 제2 벤딩부(122C2), 및/또는 제2 벤딩부(122C2)와 제3 측벽(122SW3)은 곡면(curved surface, CS)을 형성할 수 있다.12, a first side wall 122SW1 and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a second side wall 122SW2, a second side wall 122SW2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 or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form a curved surface (CS).

도 13을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평판부(122P)의 코너(C1~C4)에 코너 프레임(CF)을 구비할 수 있다. 코너 프레임(CF)은 사이드 프레임(SF)과 연결될 수 있다. 코너 프레임(CF)은 복수개의 사이드 프레임(SF)과 연결될 수 있다. 코너 프레임(CF)은 평판부(122P)의 제1 코너(C1), 제2 코너(C2), 제3 코너(C3), 및/또는 제4 코너(C4)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부(122P)의 제2 코너(C2)에 위치하는 코너 프레임(CF)은 제1 장변(LS1)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SF)과 제2 단변(SS2)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레임(SF)을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frame 122 may include a corner frame CF at the corners C1 to C4 of the flat plate 122P. The corner frame CF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frame SF. The corner frame CF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ide frames SF. The corner frame CF may be located at the first corner C1, the second corner C2, the third corner C3 and / or the fourth corner C4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For example, the corner frame CF positioned at the second corner C2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has a side frame SF located on the first long side LS1 and a side frame SF located on the second short side SS2. The frame SF can be connected.

도 14를 참조하면, 코너 프레임(CF)은 제1 측벽(122SW1), 제2 측벽(122SW2), 제3 측벽(122SW3), 제1 벤딩부(122C1), 그리고 제2 벤딩부(122C2)를 포함할 수 있다. 코너 프레임(CF)은 방열부라 칭할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122SW1)과 제1 벤딩부(122C1), 제1 벤딩부(122C1)와 제2 측벽(122SW2), 제2 측벽(122SW2)과 제2 벤딩부(122C2), 및/또는 제2 벤딩부(122C2)와 제3 측벽(122SW3)은 곡면(CS)을 형성할 수 있다.14, the corner frame CF includes a first side wall 122SW1, a second side wall 122SW2, a third side wall 122SW3,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 The corner frame CF can be referred to as a heat radiating portion. At this time,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second side wall 122SW2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form a curved surface CS.

도 15 및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효과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5 and 16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heat radiation eff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평판부(122P),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SF)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에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제1 측벽(122SW1), 제2 측벽(122SW2), 그리고 제1 벤딩부(122C1)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frame 122 may include a flat plate portion 122P, and a side frame SF. The side frame SF may be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ide frame SF may extend from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ide frame SF may have a first side wall 122SW1, a second side wall 122SW2, and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의 일단에서 또는 엣지에서 평판부(122P)에 수직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의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측벽(122SW2)은 평판부(122P) 및 제1 측벽(122SW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벽(122SW1)은 제2측벽(122SW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는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는 곡면(CS)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t one end or at an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located beside the first sidewall 122SW1. At this time, the second side wall 122SW2 may be located outside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nd the first side wall 122SW1.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spaced from the first sidewall 122SW1. The first sidewall 122SW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wall 122SW2.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connect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have a curved surface CS.

이러한 프레임(122)을 평편(flat)하게 하면, 프레임(122)의 길이는 L2가 될 수 있다.When such a frame 122 is made flat, the length of the frame 122 may be L2.

도 16을 참조하면, 프레임(122)은 평판부(122P),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SF)을 구비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에서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제1 측벽(122SW1), 제2 측벽(122SW2), 제3 측벽(122SW3), 제1 벤딩부(122C1), 그리고 제2 벤딩부(122C2)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frame 122 may include a flat plate portion 122P and a side frame SF. The side frame SF may be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ide frame SF may extend from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ide frame SF may include a first sidewall 122SW1, a second sidewall 122SW2, a third sidewall 122SW3,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의 일단에서 또는 엣지에서 평판부(122P)에 수직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의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측벽(122SW2)은 평판부(122P) 및 제1 측벽(122SW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벽(122SW1)은 제2측벽(122SW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는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는 곡면(CS)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be perpendicular to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t one end or at an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located beside the first sidewall 122SW1. At this time, the second side wall 122SW2 may be located outside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nd the first side wall 122SW1.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spaced from the first sidewall 122SW1. The first sidewall 122SW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wall 122SW2.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connect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have a curved surface CS.

제3 측벽(122SW3)은 제1 측벽(122SW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제2 측벽(122SW2)과 평판부(122P)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평판부(122P) 또는 제1 측벽(122SW1)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는 제2 측벽(122SW2)과 제3 측벽(122SW3)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는 제2 측벽(122SW2)으로부터 제3 측벽(122SW3)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hird sidewall 122SW3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sidewall 122SW1.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122SW2 and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r the first side wall 122SW1.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connect the second side wall 122SW2 and the third side wall 122SW3.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extend from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o the third side wall 122SW3.

이러한 프레임(122)을 평편(flat)하게 하면, 프레임(122)의 길이는 L1이 될 수 있다. L1은 L2 보다 길 수 있다.When the frame 122 is flattened, the length of the frame 122 can be L1. L1 may be longer than L2.

이는, 도 16에서 도시된 프레임(122)의 표면적이 도 15에서 도시된 프레임(122)의 표면적 보다 넓을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도 16에서 도시된 프레임(122)의 방열능력이 도 15에서 도시된 프레임(122)의 방열능력 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5 및 16에서 도시된 프레임(122) 또는 사이드 프레임(SF)이 차지하는 공간적 제약은 동일하다. 즉, 공간적 제약이 동일한 상황에서 방열효과가 상승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frame 122 shown in Fig. 16 is larg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frame 122 shown in Fig. This also means that the heat radiation capability of the frame 122 shown in Fig. 16 is greater than the heat radiation capability of the frame 122 shown in Fig. Here, the spatial constraint occupied by the frame 122 or the side frame SF shown in Figs. 15 and 16 is the same. That is, it means that the heat radiation effect can be raised in a situation where the space constraint is the same.

동시에, 전술한 사이드 프레임(SF)을 구비하는 프레임(122)은 평판부(122P)에 가해질 수 있는 굽힘 또는 비틀림 힘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슬림화되고 대면적화되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필요한 강성을 전술한 프레임(122)이 충분히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At the same time, the frame 122 having the above-described side frame SF can provide sufficient rigidity against a bending or torsional force which can be applied to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at is, the display device 100 is slimmed and sized, which means that the frame 122 described above can sufficiently provide the rigidity required for the display device 100. [

또한,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SF)이 평판부(122P)의 상하좌우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프레임(122)의 방열능력은 보다 더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보다 더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de frames SF are formed on the upper, lowe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lat plate 122P, not only the heat radiation performance of the frame 122 can be further improved, .

도 17 및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17 and 18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combinations of display pan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멤버층(member layer, ML)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일 수 있고, 멤버층(member layer, ML)은COF(chip-on-film), COG(chip-on-glass),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TCP(tape carrier package)등일 수 있다. 멤버층(ML)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단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display panel 110 may include a member layer (ML).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n OLED and the member layer ML may be a chip-on-film (COF), a chip-on-glass (CO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 TCP (tape carrier package) or the like. The member layer ML may extend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프레임(122)은 개구부(122OP)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122OP)는 평판부(122P)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22OP)는 평판부(122P)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할 수 있다. 개구부(122OP)는 평판부(122P)의 일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122OP)는 평판부(122P)의 제2 장변(122LS2)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122OP)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맴버층(ML) 2개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측면에서 프레임(122)을 향하는 경우, 개구부(122OP)는 2개가 형성되어 2개의 멤버층(ML)은 2개의 개구부(122OP)를 관통할 수 있다.The frame 122 may have an opening 122OP. The opening 122OP may be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opening 122OP can penetrate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opening 122OP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lat plate 122P. The opening 122OP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second long side 122LS2 of the flat plate 122P. A plurality of openings 122OP may be formed. For example, when two member layers ML are directed from the rear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frame 122, two openings 122OP are formed so that the two member layers ML are divided into two openings 122OP .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레임(122)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사이드 프레임(SF)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은 평판부(122P)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은 사이드 프레임(SF)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평판부(122P) 사이에 접착부재(DT)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DT)는 일면이 평판부(122P)에 접착되고, 타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접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프레임(122)에 고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22.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side frame SF. That is,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covered by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covered with the side frame SF. The adhesive member D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ne side of the adhesive member DT is adhered to the flat plate 122P and the other side is adhered to the display panel 110 to fix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frame 122. [

접착부재(DT)는 평판부(122P)의 테두리에 인접하거나 평판부(122P)의 외곽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접착부재(DT)는 평판부(122P)의 엣지에 인접하여 평판부(122P)의 전면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이 직접 프레임(122)의 평판부(122P)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The adhesive member DT may be adjacent to the rim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r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at is, the adhesive member DT can be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djacent to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ccordingly, heat generated from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f the frame 122 directly.

전술한 프레임(122)은 프런트 프레임(front frame, 122)이라 칭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22)은 제1 프레임(122)이라 칭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술한 프레임을 프런트 프레임(122)이라 하여 설명한다.The frame 122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frame 122. [ The front frame 122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rame 122. 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frame will be described as the front frame 122. [

도 19 내지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결합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s 19 to 23 illustrate examples of combinations of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를 참조하면, 리어 프레임(rear frame, 124)은 평판부(124P) 그리고, 측벽(124SW)을 구비할 수 있다. 측벽(124SW)은 평판부(124P)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측벽(124SW)은 리어 프레임(124)의 일변 또는 모든 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프레임(124)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프레임(124)의 두께는 0.8미리미터일 수 있다. 측벽(124SW)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은 제2 프레임(124)이라 칭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9, a rear frame 124 may include a flat plate portion 124P and a side wall 124SW. The side wall 124SW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4P. The side wall 124SW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all sides of the rear frame 124. Thus, the bending or torsional rigidity of the rear frame 124 can be improved.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rear frame 124 may be 0.8 millimeters. The side wall 124SW may be omitted in some cases. The rear frame 124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rame 124.

도 20을 참조하면, 평판부(124P)는 일부가 프레스 될 수 있다. 평판부(124P)는 일부가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평판부(124P)는 일부가 전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즉, 평판부(124P)는 일부가 프레스 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a part of the flat plate part 124P may be pressed. A part of the flat plate portion 124P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In other respects, the flat plate portion 124P may be partially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That is, the flat plate portion 124P may mean that a part can be pressed.

평판부(124P)는 빔(124B)을 구비할 수 있다. 빔(124B)은 평판부(124P)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빔(124B)은 평판부(124P)의 일부가 프레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빔(124B)은 평판부(124P)의 일부가 전면에서 함몰되고, 후면에서 돌출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빔(124B)은 유한선(definite line)을 형성할 수 있고, 무한선(infinite line)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무한선은 폐루프(closed loop) 또는 서킷(circuit)을 의미할 수 있다.The flat plate portion 124P may have a beam 124B. The beam 124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at plate portion 124P. The beam 124B can be formed by pressing part of the flat plate part 124P. The beam 124B may be formed while a part of the flat plate part 124P is depressed from the front surface and protruding from the rear surface. The beam 124B may form a definite line and may form an infinite line. An infinite line can refer to a closed loop or a circuit.

이에 따라, 리어 프레임(124)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은 향상될 수 있다.Thus, the bending or torsional rigidity of the rear frame 124 can be improved.

도 21을 참조하면, 리어 프레임(124)은 프런트 프레임(122)과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은 프런트 프레임(12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접착부재(DT)는 프런트 프레임(122)과 리어 프레임(12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재(DT)에 의해서 리어 프레임(124)은 프런트 프레임(122)에 본딩될 수 있다. 이때, 리어 프레임(124)의 측면에 프런트 프레임(122)의 사이드 프레임(SF)이 위치할 수 있다. 즉, 리어 프레임(124)은 프런트 프레임(122)에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the rear frame 124 can be coupled with the front frame 122. The rear frame 124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2. The adhesive member DT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 The rear frame 124 can be bonded to the front frame 122 by the adhesive member DT. At this time, the side frame SF of the front frame 122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That is, the rear frame 124 can be inserted into the front frame 122.

도 22를 참조하면, 접착부재(DT)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착부재(DT)는 프런트 프레임(122)과 리어 프레임(124)의 결합 후 굽힘 또는 비틀림 힘에 대한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결합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좌우 또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접착부재(DT1, DT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됨에 따라서 프런트 프렘임(122)과 리어 프레임(124)이 일정한 유격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2,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DT may be provided.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DT may be arranged laterally or vertically in order to secure the bonding stability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rigidity against bending or twisting forces after 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are joined. That is, as the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DT1 and DT2 are arranged with a constant interval, it means that 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can have a uniform clearance.

예를 들어, 프런트 프레임(122)은 Fe를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고, 리어 프레임(124)은 Al를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다. 양자의 열팽창계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프레임(122)과 리어 프레임(124)의 결합을 한 후, 프런트 및 리어 프레임(122,124)에 고온 또는 저온이 가해지면 서로 다르게 팽창할 수 있는데, 복수개의 접착부재(DT1, DT2)는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ront frame 122 may be a metal containing Fe, and the rear frame 124 may be a metal containing Al.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both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ront and rear frames 122 and 124 can be expanded differently when a high temperature or a low temperature is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frames 122 and 124 after 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wisting phenomenon that may occur at this time.

다른 예를 들어, 프런트 프레임(122)은 Al를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고, 리어 프레임(124)은 Al을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다. 양자의 열팽창계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프런트 프레임(122)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리어 프레임(124) 보다 가깝게 위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서로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가지는 금속일지라도 서로 열에 노출되는 정도가 달라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현상은 복수개의 접착부재(DT1, DT2)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ront frame 122 may be a metal containing Al, and the rear frame 124 may be a metal containing Al.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both can be the same. At this time, the front frame 122 may be directly exposed to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as it is positioned closer to the display panel 110 than the rear frame 124. That is, even a metal having the sam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wisted by a plurality of adhesive members DT1 and DT2, which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degree of exposure to heat.

도 23을 참조하면, 강성빔(126)은 리어 프레임(124)에 결합될 수 있다. 강성빔(126)은 리어 프레임(124)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강성빔(126)은 리어 프레임(124)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됨 빔(124B)에 결합될 수 있다. 강성빔(126)과 빔(124B)의 결합은 리벳 또는 볼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강성빔(126)은 리어 프레임(124)의 후면에 형성된 빔(124B)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강성빔(126)은 리어 프레임(124)의 굽힘 또는 비틀림 강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3, the stiff beam 126 may be coupled to the rear frame 124. The rigid beam 126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The rigid beam 126 may be coupled to the beam 124B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 The combination of the rigid beam 126 and the beam 124B may be achieved by a rivet or a bolt. The rigid beam 12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am 124B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 The rigid beam 126 can further improve the bending or torsional rigidity of the rear frame 124. [

파워 서플라이(P), 드라이버(D), 및/또는 튜너(T)는 빔(124B)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빔(124B)이 폐루프 또는 서킷을 이루며 리어 프레임(124)의 후면에서 돌출되는 경우, 이들은 빔(124B)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P, the driver D, and / or the tuner 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eam 124B. If the beams 124B form a closed loop or circuit and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the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eam 124B.

백커버(130)는 빔(124B) 또는 강성빔(126)에 결합되면서 파워 서플라이(P), 드라이버(D), 및/또는 튜너(T)를 커버할 수 있다.The back cover 130 may cover the power supply P, the driver D, and / or the tuner T while being coupled to the beam 124B or the rigid beam 126. [

도 24 내지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일 단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24 to 28 are views showing examples of one sec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도 25 내지 28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종단면(A-A')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5 내지 28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상측단면, 좌측단면, 우측단면, 및/또는 하측단면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4, Figs. 25 to 28 are views showing a part of a longitudinal section (A-A ') of the display device 100. Fig. Here, FIGS. 25 to 28 can be upper, left, right, and / or lower sections of the display device 100.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런트 프레임(122)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은 프런트 프레임(12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프런트 프레임(122)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접착부재(DT)는 프런트 프레임(122)의 평판부(122P)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의 일부가 접착부재(DT)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5,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2. The rear frame 124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2.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dhered and fixed to the front frame 122. The adhesive member DT is fixed to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f the front frame 122 and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fixedly adhered to the adhesive member DT.

프런트 프레임(122)은 평판부(122P), 그리고 사이드 프레임(SF)을 구비할 수 있다. 평판부(122P)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마주할 수 있다. 접착부재(DT)는 평판부(122P)의 일부에 접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접착부재(DT)에 후면이 접착될 수 있다. The front frame 122 may have a flat plate portion 122P and a side frame S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may face the display panel 110. [ The adhesive member DT can be adhered to a part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DT.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평판부(122P)의 전면 사이에 공극(air-gap, AG)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이 평판부(122P)에 전달될 수 있다. 평판부(122P)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평판부(122P) 전체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An air gap (AG) may be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flat plate 122P. Accordingly,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flat plate 122P. The flat plate part 122P can absorb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10 and distribute the flat plate part 122P evenly.

리어 프레임(124)은 프런트 프레임(122)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은 접착부재(DT)에 의해 프런트 프레임(122)의 후면에 본딩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은 평판부(124P), 그리고 측벽(124SW)을 구비할 수 있다. 측벽(124SW)은 평판부(124P)의 엣지 또는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22)의 평판부(122P)는 리어 프레임(124)의 평판부(124P) 보다 얇은 두께를 지닐 수 있다. The rear frame 124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2. The rear frame 124 can be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122 by an adhesive member DT. The rear frame 124 may have a flat plate portion 124P, and side walls 124SW. The side wall 124SW may be formed at the edge or one sid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4P.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f the front frame 122 may be thinner than the flat plate portion 124P of the rear frame 124. [

예를 들어, 프런트 프레임(122)의 평판부(122P)는 0.6미리미터일 수 있고, 리어 프레임(124)의 평판부(124P)는 0.8미리미터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런트 프레임(122)은 0.6미리미터일 수 있고, 리어 프레임(124)은 0.8미리미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리어 프레임(124)은 0.8미리미터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lat portion 122P of the front frame 122 may be 0.6 millimeters, and the flat portion 124P of the rear frame 124 may be 0.8 millimeters. As another example, the front frame 122 may be 0.6 millimeters and the rear frame 124 may be 0.8 millimeters. As another example, the rear frame 124 may be 0.8 millimeters.

프런트 프레임(122)과 리어 프레임(124)은 동종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런트 프레임(122)과 리어 프레임(124)은 Al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서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런트 프레임(122)과 리어 프레임(124)은 서로 다른 색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 톤의 외관을 실현할 수 있다. 멀티 톤은 서로 다른 도색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질감을 가지도록 프런트 프레임(122)과 리어 프레임(124)의 표면 마감을 달리 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may be 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twisting phenomenon that may be caused by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in a high temperature or low temperature environment. 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may have different colors. Thus, the appearance of multi-tone can be realized. The multi-tones may be implemented by different colors and may be implemented with different finishes of the front frame 122 and the rear frame 124 so as to have different textures.

프런트 프레임(122)은 사이드 프레임(SF)을 구비할 수 있는데,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일측 또는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컬링(curling)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SF)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서 컬링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 및/또는 리어 프레임(124)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The front frame 122 may have a side frame SF, and the side frame SF may be formed at one side or edge of the flat plate 122P. The side frame SF can be curled. The side frames SF can cover the side surfaces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 or the side surfaces of the rear frame 124 while being curled at the edges of the flat plate 122P.

사이드 프레임(SF)은 제1 측벽(122SW1), 제2 측벽(122SW2), 제3 측벽(122SW3), 제1 벤딩부(122C1), 그리고 제2 벤딩부(122C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벤딩부(122C)는 컬링부(122C)라 칭할 수 있다.The side frame SF may include a first sidewall 122SW1, a second sidewall 122SW2, a third sidewall 122SW3, a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Here, the bending portion 122C may be referred to as a curled portion 122C.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의 엣지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122SW1)은 평판부(122P)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향해서 굽으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에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측벽(122SW2)은 제1 측벽(122SW1)으로부터 일정거리(G1) 이격될 수 있다. 제2 측벽(122SW2)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2 측벽(122SW2)은 외기(outside air)와 접할 수 있다.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extend from th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122P. At this time, the first side wall 122SW1 may be formed while being bent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in the flat plate portion 122P.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the first sidewall 122SW1. At this time,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G1 from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second side wall 122SW2 can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제1 벤딩부(122C1)는 제1 측벽(122SW1)에서 연장되어 제2 측벽(122SW2)을 향해 굽어지고 제2 측벽(122SW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는 제1 측벽(122SW1) 및/또는 제2 측벽(122SW2)과 곡면(CS)을 형성하면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extend from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be bent towar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and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 or the second side wall 122SW2 while forming a curved surface CS.

제3 측벽(122SW3)은 리어 프레임(124)의 측면에 인접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리어 프레임(124)의 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리어 프레임(124)의 측벽(124SW)과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제2 측벽(122SW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측벽(122SW3)은 제1 측벽(122SW1)의 및/또는 프런트 프레임(122)의 평판부(122P)에 동시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form a gap with the side wall 124SW of the rear frame 124. [ The third sidewall 122SW3 may be located inside the second sidewall 122SW2. The third side wall 122SW3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ide wall 122SW1 and / or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f the front frame 122 at the same time.

다른 관점에서, 리어 프레임(124)의 측벽(124SW)은 제3 측벽(122SW3)과 접착부재(DT)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의 측벽(124SW)의 상면은 프런트 프레임(122)의 평판부(122P) 또는 제1 측벽(122SW1)에 인접하거나 접하거나 그것과 마주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의 측벽(124SW)의 내측면은 접착부재(DT)에 인접하거나 접하거나 그것과 마주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24)의 외측면은 프런트 프레임(122)의 제3 측벽(122SW3)의 일면에 인접하거나 접하거나 그것과 마주할 수 있다.The side wall 124SW of the rear frame 124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third side wall 122SW3 and the adhesive member DT.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4SW of the rear frame 124 may abut or abut against or face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r the first side wall 122SW1 of the front frame 122. [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4SW of the rear frame 124 may abut, abut, or face the adhesive member DT.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rame 124 may abut, abut, or face one surface of the third side wall 122SW3 of the front frame 122. [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슬림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리어 프레임(124)의 파단면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음으로 인하여 파단면의 별도의 마감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공정수를 줄이고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파단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 부식발생, 갭 벌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igidity of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ensured and a slim structure can be realized. In addition, since the end face of the rear frame 124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finishing step of the fracture fac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rocesses and facilitating the assemb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user from floating, erosion, gap widening, and the like which may occur due to exposure of the fracture surface to the outside.

제2 벤딩부(122C2)는 제2 측벽(122SW2)과 제3 측벽(122SW3)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는 제2 측벽(122SW2)으로부터 연장되면서 굽어지고 제3 측벽(122SW3)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connect the second side wall 122SW2 and the third side wall 122SW3.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extend from the second side wall 122SW2 and be bent and connected to the third side wall 122SW3.

제1 벤딩부(122C1) 및 제2 벤딩부(122C2)는 제2 측벽(122SW2)과 함께 외기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3 측벽(122SW3)과 리어 프레임(124)의 측면 또는 리어 프레임(124)의 측벽(124SW)이 갭을 형성하면서 외기는 컬링된 사이드 프레임(SF)의 내측으로 유입/유출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측벽(122SW1), 제2 벤딩부(122C1), 제2 측벽(122SW2), 제2 벤딩부(122C2), 그리고 제3 측벽(122SW3)은 모두 외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여 프런트 프레임(122)의 평판부(122P)에 흡수된 열은 사이드 프레임(SF)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ir together with the second side wall 122SW2. The outside air can flow into / out of the curled side frame SF while the sides of the third side wall 122SW3 and the rear frame 124 or the side walls 124SW of the rear frame 124 form a gap . As a result, the first sidewall 122SW1,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1, the second sidewall 122SW2,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the third sidewall 122SW3 can all be exposed to the outside air. 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absorbed by the flat plate portion 122P of the front frame 122 can be effectively dissipated through the side frame SF.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측벽(122SW1)과 제1 벤딩부(122C1)는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와 제2 측벽(122SW2)은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측벽(122SW2)과 제2 벤딩부(122C2)는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와 제3 측벽(122SW3)은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5와 비교하여, 도 26의 사이드 프레임(SF)의 길이(L4)는 도 25의 사이드 프레임(SF)의 길이(L3) 보다 길다. 엣지(E)의 형성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SF)이 외기에 노출되는 표면적은 증가한다. 이는, 프런트 프레임(122)의 방열효과의 향상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6,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form an edge E.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can form an edge E. The second sidewall 122SW2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can form an edge E.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the third side wall 122SW3 can form an edge E. [ Compared with Fig. 25, the length L4 of the side frame SF in Fig. 26 is longer than the length L3 of the side frame SF in Fig. With the formation of the edge (E), the surface area of the side frame (SF) exposed to the outside air increases. This means that the heat radiation effect of the front frame 122 is improved.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의 갭(G2)은 도 25의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의 갭(G3)과 동일한 거리일 수 있다.The gap G2 between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wall 122SW2 may be the same distance as the gap G3 between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wall 122SW2 in Fig.

도 27을 참조하면,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의 갭(G3)은 도 25 또는 도 26의 제1 측벽(122SW1)과 제2 측벽(122SW2)의 갭(G1,G2) 보다 클 수 있다. 도 27의 사이드 프레임(SF)의 길이(L5)는 도 25 또는 27의 사이드 프레임(SF)의 길이(L3, L4) 보다 길다. 이는, 사이드 프레임(SF)이 외기에 노출되는 표면적의 증가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프런트 프레임(122)의 방열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27, the gap G3 between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wall 122SW2 is larger than the gap G1, G2 between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second sidewall 122SW2 of FIG. 25 or 26 ). The length L5 of the side frame SF in Fig. 27 is longer than the lengths L3 and L4 of the side frame SF in Fig. 25 or 27. [ This means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side frame SF exposed to the outside air is increased. Accordingly, the heat radiating effect of the front frame 122 can be further improved.

도 28을 참조하면, 제1 측벽(122SW1)과 제1 벤딩부(122C1)는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벤딩부(122C1)와 제2 측벽(122SW2)은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측벽(122SW2)과 제2 벤딩부(122C2)는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벤딩부(122C2)와 제3 측벽(122SW3)은 엣지(E)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7과 비교하여, 도 28의 사이드 프레임(SF)의 길이(L6)는 도 27의 사이드 프레임(SF)의 길이(L5) 보다 길다. 엣지(E)의 형성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SF)이 외기에 노출되는 표면적은 더 증가한다. 이는, 프런트 프레임(122)의 방열효과의 더 많은 향상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8, the first sidewall 122SW1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may form an edge E. The first bending portion 122C1 and the second side wall 122SW2 can form an edge E. The second sidewall 122SW2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can form an edge E. The second bending portion 122C2 and the third side wall 122SW3 can form an edge E. [ In comparison with Fig. 27, the length L6 of the side frame SF in Fig. 28 is longer than the length L5 of the side frame SF in Fig. With the formation of the edge (E), the surface area of the side frame (SF) exposed to the outside air further increases. This means a further improvement in the heat radiation effect of the front frame 122.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갭(G4)은 도 27의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갭(G3)과 동일한 거리일 수 있다.The gap G4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may be the same distance as the gap G3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in Fig.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or other embodiments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프레임;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리어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리어 프레임과 결합되는 프런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마주하는 평판부, 그리고,
상기 평판부의 측면 또는 엣지에 형성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평판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에 인접한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일측에 위치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 벤딩부, 그리고,
상기 제2 측벽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리어 프레임 또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을 향하여 굽어지는 제2 벤딩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 display panel;
A rear frame positioned behind the display panel; And,
And a front frame position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rear frame and coupled with the display panel and the rear frame,
The front frame includes:
A flat plate portion facing the display panel,
And a side frame formed on a side or an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The side frame includes:
A first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flat plate portion and adjacent to a sid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A second sidewall located at one side of the first sidewall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first b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wall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first side wall to the first side wall,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and bent toward the rear frame or the fron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공기 유동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rame includes:
And an air flow path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second sidewa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리어 프레임의 측면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측벽 또는 상기 평판부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 벤딩부와 연결되는 제3 측벽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rame includes:
And a third sidewall adjacent to a side surface of the rear fram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idewall or the flat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en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후면에 본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frame is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frame,
Wherein the display panel is bonded to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의 둘레에 모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frame includes:
And is formed all around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ron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곡면을 구비하되,
상기 곡면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1 벤딩부 사이,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측벽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2 벤딩부 사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de frame has a curved surface,
Preferably,
And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and between the second sidewall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엣지를 구비하되,
상기 엣지는,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1 벤딩부 사이,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측벽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2 벤딩부 사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frame having an edge,
The edge (s)
And between the first sidewall and the first be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sidewall, and between the second sidewall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멤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프레임은,
상기 멤버층이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mber lay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The front frame includes:
And the member layer has an opening passing through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ron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와 마주하는 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의 평판부는,
프레스 되어 상기 리어 프레임의 평판부의 후면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빔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ar frame,
And a flat plate portion facing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ront frame,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rear frame,
And a beam that is pressed and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rear fra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리어 프레임의 평판부에서 폐루프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eam,
And a closed loop is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rear fram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프레임의 후면에서 상기 리어 프레임의 빔에 결합되는 강성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rigid bar coupled to the beam of the rear frame at a rear surface of the rear fra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 및 상기 리어 프레임은 Al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comprise 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평판부 사이에 공극(air-gap)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ir gap is form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fron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bending portion are exposed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리어 프레임의 두께 보다 얇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hickness of the front frame is smaller than a thickness of the rear frame.
KR1020160030467A 2015-10-27 2016-03-14 Display device KR102492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67A KR102492586B1 (en) 2016-03-14 2016-03-14 Display device
EP16194903.7A EP3163362B1 (en) 2015-10-27 2016-10-20 Display device
US15/333,986 US9999152B2 (en) 2015-10-27 2016-10-25 Display device
CN201610950215.9A CN106920479A (en) 2015-10-27 2016-10-2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467A KR102492586B1 (en) 2016-03-14 2016-03-14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826A true KR20170106826A (en) 2017-09-22
KR102492586B1 KR102492586B1 (en) 2023-01-27

Family

ID=6003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467A KR102492586B1 (en) 2015-10-27 2016-03-14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58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795A (en) 2019-04-25 2020-11-05 희성전자 주식회사 Back cover for display panel
WO2021075612A1 (en) * 2019-10-18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10123915A (en) * 2020-04-06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634413B1 (en) 2022-08-23 2024-02-06 (주)티에스이 Middle frame for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19B1 (en) * 2006-09-2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807027B1 (en) * 2006-10-13 2008-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KR20080107630A (en) * 2007-06-07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Receiving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00053348A (en) * 2008-11-12 2010-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3402340A (en) * 2013-08-05 2013-11-20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Electronic product middle fram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50137819A (en)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119B1 (en) * 2006-09-20 2007-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807027B1 (en) * 2006-10-13 2008-02-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KR20080107630A (en) * 2007-06-07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Receiving contain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00053348A (en) * 2008-11-12 2010-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3402340A (en) * 2013-08-05 2013-11-20 奥捷五金(江苏)有限公司 Electronic product middle fram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50137819A (en) * 2014-05-30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795A (en) 2019-04-25 2020-11-05 희성전자 주식회사 Back cover for display panel
WO2021075612A1 (en) * 2019-10-18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20020910A (en) * 2019-10-18 202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20210123915A (en) * 2020-04-06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634413B1 (en) 2022-08-23 2024-02-06 (주)티에스이 Middle frame for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586B1 (en) 2023-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3362B1 (en) Display device
US10401016B2 (en) Display device
US9292042B2 (en) Display device
JP5288526B2 (en) Flat display
US9474169B2 (en) Display device
US11029547B2 (en) Display device
KR102492586B1 (en) Display device
US20130170156A1 (en) Display device
KR102445670B1 (en) Display device
US11703703B2 (en) Display device
US10585303B2 (en)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torsional rigidity
MX2014015486A (en) Display apparatus.
US11770951B2 (en) Display device
EP3267245B1 (en) Display device
US9064432B2 (en) Display device
KR102428657B1 (en) Display device
US20230021970A1 (en) Display device
US10816719B2 (en) Display device
KR20140122480A (en) Display Apparatus
KR20160039028A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