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592A -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592A
KR20170106592A KR1020160029699A KR20160029699A KR20170106592A KR 20170106592 A KR20170106592 A KR 20170106592A KR 1020160029699 A KR1020160029699 A KR 1020160029699A KR 20160029699 A KR20160029699 A KR 20160029699A KR 20170106592 A KR20170106592 A KR 2017010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fficient group
quantization coefficient
quantization
divis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9632B1 (ko
Inventor
안용조
심동규
류호찬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인사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인사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2969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9632B1/ko
Priority to KR102016002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632B1/ko
Priority to CN202310522559.XA priority patent/CN116506601A/zh
Priority to US16/084,105 priority patent/US10694184B2/en
Priority to CN202310522570.6A priority patent/CN116506603A/zh
Priority to CN202310522554.7A priority patent/CN116506600A/zh
Priority to CN201780028323.3A priority patent/CN109155857B/zh
Priority to PCT/KR2017/002578 priority patent/WO2017155334A1/ko
Priority to CN202310522574.4A priority patent/CN116506604A/zh
Priority to CN202310522560.2A priority patent/CN116506602A/zh
Publication of KR2017010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592A/ko
Priority to US16/881,786 priority patent/US11438591B2/en
Priority to US17/872,577 priority patent/US11838509B2/en
Priority to US18/381,715 priority patent/US20240048704A1/en
Publication of KR102669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압축 기술 중 양자화 계수 그룹 부호화 및 복호화에 있어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하여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USING VARIABLE SIZE UNIT OF QUANTIZED COEFFICIENT GROUP}
본 발명은 영상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압축 기술에서 양자화 계수 부호화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해상도, 고화질 비디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차세대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고효율 비디오 압축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비디오 압축 기술에서 양자화 계수 부호화 및 복호화 기술은 원본 신호와 예측 신호 간의 차분 신호에 대하여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한 신호를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을 통해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는 기술 혹은 그렇게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엔트로피 복호화 기술을 통해 차분 신호로 복원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압축 기술 대비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 획득부,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통해 양자화 계수를 획득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엔트로피 복호화부, 상기 획득한 양자화 계수들에 대하여 역양자화를 통해 변환 계수를 획득하는 역양자화부, 및 상기 획득한 변환 계수에 대하여 역변환 과정을 거쳐 차분 신호를 획득하는 역변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추출부, 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 복호화부, 및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는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에 대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 추출부,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를 결정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크기 결정부,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를 복수의 하위 양자화 계수 그룹들로 분할하는 하위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부, 및 양자화 계수 그룹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엔트로피 복호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추출부,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방법을 결정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방법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방법에 따라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크기 정보 획득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에 대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갯수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갯수 정보 추출부, 상기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방법과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 상기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갯수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을 분할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의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순서를 획득하는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순서 획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양자화 계수 부호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를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가변 크기를 사용하고 이에 부합되는 부호화 및 복호화 순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선택적 계수 부호화 및 복호화 순서를 사용하여 부호화에서 제외되는 계수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양자화 계수 부호화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및 형태를 가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변환 및 양자화에 따른 에너지 집중 효과 및 고주파 성분 제거 효과에 따른 계수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그룹 복호화의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복호화 여부를 판단하고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그룹 분할 플래그를 이용한 복호화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4x4 고정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및 이를 이용한 8x8 복호화 블록 및 16x16 복호화 블록의 스캔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쿼드-트리 구성 및 다중 스캔 순서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16x16 복호화 블록 및 32x32 복호화 블록의 쿼드-트리 분할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분할함에 있어 입력 신호 특성에 따른 정방형 이외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방형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하기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양자화 계수 그룹'은 변환 및 양자화 과정을 거친 양자화 변환 계수의 처리 단위를 지칭하며, 변환만이 수행된 변환 신호의 그룹, 양자화 과정만이 수행된 양자화 신호의 그룹, 및 변환 및 양자화 모두 거치지 않은 신호의 그룹을 모두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안하는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포함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 2를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엔트로피 복호화부(110), 역양자화부(120), 역변환부(130), 화면 내 예측부(140), 화면 간 예측부(150), 합산부(160), 인루프 필터부(170), 복원 픽쳐 버퍼(18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1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100)을 복호화하여 신택스 요소(syntax elements) 및 양자화된 계수 등과 같은 복호화 정보를 출력한다.
역양자화부(120) 및 역변환부 (130)는 양자화 계수를 수신하여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차례대로 수행하고,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를 출력한다.
화면 내 예측부(140)는 복호화되는 현재 블록과 인접하는 기 복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신호를 생성한다.
화면 간 예측부(1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움직임 벡터와 복원 픽쳐 버퍼(180)에 저장되어 있는 복원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예측 신호를 생성한다.
화면 내 예측부(140)와 화면 내 예측부(150)로부터 출력된 예측 신호는 합산부(160)를 통해 잔차 신호와 합해지고, 그에 따라 블록 단위로 생성된 복원 신호는 복원된 영상을 포함한다.
복원된 영상은 인루프 필터부(170)로 전달된다. 필터링이 적용된 복원 픽쳐는 복원 픽쳐 버퍼(180)에 저장되며, 화면 간 예측부(150)에서 참조 픽쳐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그룹 복호화의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 복호화부(210),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220), 역양자화부(230), 역변환부(250), 및 차분 신호 획득부(2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 복호화부(210)는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정보는 가변 크기 양자화 그룹의사용 여부 및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또는 가변 크기 양자화 그룹의 사용 여부,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및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는 시퀀스 파라미터셋,혹은 픽쳐 파라미터셋,혹은 슬라이스 헤더, 혹은 복호화 단위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단위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는 플래그 형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최소 혹은 최대 크기와 그에 따른 사용 가능한 크기의 깊이 형태 등으로 표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최소 혹은 최대 크기는 로그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포함한다.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 복호화부(210)를 통해 비트스트림에서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는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220)으로 전달된다.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220)은 복호화 단위로 수행되어지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된 양자화 계수를 복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의 엔트로피 복호화는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 복호화부(210)에서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복호화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양자화 계수가 추출될 때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오더는 현재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에따라 미리 정의된 스캔 오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오더가 부가 정보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역양자화부(230)는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220)에서 추출된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양자화부는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220)에서 추출된 양자화 계수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지만, 추출된 양자화 계수가 없는 경우 및 양자화 수행 여부가 거짓인 경우에는 역양자화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역양자화부(230)에서 추출된 신호는 변환 수행 여부(240)를 판별하여 변환 수행 여부가 참인 경우, 역변환부(250)을 통해 차분 신호를 획득하게 된다. 반면, 변환 수행 여부(240)를 판별하여 변환 수행 여부가 거짓인 경우, 역변환부(250)을 거치지 않고 역양자화(230)에서 추출된 신호를 차분 신호로 바로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복호화 여부를 판단하고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추출부(310),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판단부(320),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 복호화부(330), 및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3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추출부(310)는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의 사용 여부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의 사용 여부는 양자화 계수 그룹을 복호화함에 있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로써 플래그 형태, 혹은 사용되는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형태를 특정한 값 형태로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의 사용 여부는 시퀀스 파라미터셋, 혹은 픽쳐 파라미터셋, 혹은 슬라이스 헤더, 복호화 단위,혹은 양자화 계수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단위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판단부(320)에서는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추출부(310)을 통해 추출된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 복호화부(330)에서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가 참인 경우,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 복호화부(330)를 통해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정보는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또는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및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는 시퀀스 파라미터셋,혹은 픽쳐 파라미터셋,혹은 슬라이스 헤더, 복호화 단위,혹은 양자화 계수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하나 이상의 단위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는 플래그 형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최소 혹은 최대 크기와 그에 따른 사용 가능한 크기의 깊이 형태 등으로 표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최소 혹은 최대 크기는 로그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 복호화부(330)를 통해 비트스트림에서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는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340)으로 전달된다.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부(340)은 복호화 단위로 수행되어지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부호화된 양자화 계수를 복호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의 엔트로피 복호화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정보 복호화부(330)에서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복호화하는 양자화 계수 그룹에 해당하는 양자화 계수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양자화 계수가 추출될 때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오더는 현재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스캔 오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오더가 부가 정보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 양자화 그룹 분할 플래그를 이용한 복호화 순서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 추출부(410), 분할 여부 판단부(420), 하위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부(430), 양자화 계수 그룹 크기 결정부(440), 및 양자화 계수 그룹 엔트로피 복호화부(450)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 추출부(410)는 쿼드-트리 형태의 가변 크기 양자화 계수를 사용함에 있어, 현재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은 쿼드-트리 형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쿼드-트리 분할 구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은 양자화 계수 그룹이 분할되지 않거나, 하나 이상의 깊이로 재귀적 분할 구조로 분할되는 것을 포함한다.
분할 여부 판단부(420)는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 추출부(410)에서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바탕으로 현재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여부에 대한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이 분할되는 경우는 하위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부(430)을 수행하며, 이때, 전술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 추출부(410) 및 분할 여부 판단부(420)가 재귀적으로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화 계수 그룹이 분할되지 않는 경우는 양자화 계수 그룹 크기 결정부(440)에서 현재 블록 크기를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로 결정하고, 양자화 계수 그룹 엔트로피 복호화부(450)를 수행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은 기존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4x4 고정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및 이를 이용한 8x8 복호화 블록 및 16x16 복호화 블록의 스캔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기존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4x4 고정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은 이용한 스캔 순서는 지그재그 스캔 순서(500,600), 수평 스캔 순서(510), 및 수직 스캔 순서(5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쿼드-트리 구성 및 다중 스캔 순서의 사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의 엔트로피 복호화과정에서는 도 5 및 도 6에서 전술한 기존의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에서 사용되는 스캔 순서를 포함하며 동일한 복호화 블록 내의 서로 다른 양자화 계수 그룹에서 같은 스캔 순서를 이용하거나(710), 혹은 서로 다른 스캔 순서를 이용하는 것(7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양자화 계수가 추출될 때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오더는 현재 양자화 계수 그룹 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스캔 오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오더가 부가 정보로 전송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한 16x16 복호화 블록 및 32x32 복호화 블록의 쿼드-트리 분할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쿼드-트리로 분할된 양자화 계수 그룹을 갖는 복호화 블록(810, 820)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엔트로피 복호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쿼드-트리로 분할된 양자화 계수 그룹을 갖는 복호화 블록(810,820)을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과 쿼드-트리 분할 깊이 정보에 따라 양자화 계수 그룹을 재귀적으로 분할하는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다. 16x16 복호화 블록(810)은 쿼드-트리 분할에 따라 4x4 양자화 계수 그룹(811)과 8x8 양자화 계수 그룹(812)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이며, 32x32 복호화 블록(820)은 쿼드-트리 분할에 따라 4x4양자화 계수 그룹(821), 8x8 양자화 계수 그룹(822), 그리고 16x16 양자화 계수 그룹(823)을 사용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분할함에 있어 입력 신호 특성에 따른 정방형 이외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대각선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10) 및 L자형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20)을 포함한다.
도 9의 대각선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10)은 저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1(911),저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2(912),고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1(913),고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2(914)로 분할되는 일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각선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10)은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저주파 영역부터 고주파 영역에 대하여 대각선(916)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각선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10)의 분할 갯수는 고정된 갯수를 사용하거나, 분할 갯수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여 가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9의 L자형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20)은 저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1(921),저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2(922),고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1(923),고주파 양자화 계수 그룹 2(924)로 분할되는 일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20)은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저주파 영역부터 고주파 영역에 대하여 L자선(925)을 이용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L자형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920)의 분할 갯수는 고정된 갯수를 사용하거나, 분할 갯수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여 가변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방형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비정방형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1010)은 비정방형의 가로 길이 정보(1010)과 세로 길이 정보(10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비정방형의 가로 길이 정보와 세로 길이 정보는 상위 정방형 양자화 계수 그룹에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유도하는 것과 비정방형의 가로 길이 정보와 세로 길이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방형의 가로 길이 정보와 세로 길이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하여 사용하는 경우, 비정방형의 가로 길이 정보와 세로 길이 정보에 해당하는 값 혹은 그에 대응되는 인덱스 정보, 주변 양자화 계수와의 관계를 통한 유도를 포함한다.

Claims (12)

  1.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를 통해 양자화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양자화 계수들에 대하여 역양자화 과정을 거쳐 변환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변환 계수에 대하여 역변환 과정을 거쳐 차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복호화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에 대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상기 현재 복호화단위에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복호화단위를 복수의 하위 양자화 계수 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복호화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에 대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상기 현재 복호화단위에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복호화단위를 복수의 하위 양자화 계수 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에 대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갯수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분할방법과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상기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갯수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및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의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순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7.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
    현재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양자화 계수 그룹에 대하여 엔트로피 복호화를 통해 양자화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양자화 계수들에 대하여 역양자화 과정을 거쳐 변환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변환 계수에 대하여 역변환 과정을 거쳐 차분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에 대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플래그가 분할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를 복수의 하위 양자화 계수 그룹들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상기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방법에 따라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에 대한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갯수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방법과 현재 복호화 단위의 크기,상기 양자화 계수 그룹 분할 갯수 정보에 기초하여 정의된 분할 정보를 이용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을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복호화하는 비트스트림에 대하여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를 비트스트림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 여부 정보가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 사용을 의미하는 경우, 현재 복호화 단위에서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및
    상기 역양자화를 위한 양자화 계수 그룹의 분할 정보에 기초하여 양자화 계수 그룹의 엔트로피 복호화 스캔 순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장치.
KR1020160029699A 2016-03-11 2016-03-11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102669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99A KR102669632B1 (ko) 2016-03-11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PCT/KR2017/002578 WO2017155334A1 (ko) 2016-03-11 2017-03-09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CN202310522560.2A CN116506602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2310522570.6A CN116506603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2310522554.7A CN116506600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1780028323.3A CN109155857B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2310522559.XA CN116506601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CN202310522574.4A CN116506604A (zh) 2016-03-11 2017-03-09 视频编码方法以及装置
US16/084,105 US10694184B2 (en) 2016-03-11 2017-03-09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6/881,786 US11438591B2 (en) 2016-03-11 2020-05-22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7/872,577 US11838509B2 (en) 2016-03-11 2022-07-25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8/381,715 US20240048704A1 (en) 2016-03-11 2023-10-19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99A KR102669632B1 (ko) 2016-03-11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6626A Division KR20240078425A (ko) 2024-05-22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592A true KR20170106592A (ko) 2017-09-21
KR102669632B1 KR102669632B1 (ko) 2024-05-28

Family

ID=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86B1 (ko) * 2018-06-11 2019-07-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케일링을 이용한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97681B1 (ko) * 2018-06-11 2019-07-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화 파라미터 기반의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0356413B1 (en) 2018-06-19 2019-07-16 Kwangwoon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residual coefficient
WO2019240450A1 (ko) * 2018-06-11 2019-12-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잔차 계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90140422A (ko) * 2018-06-11 2019-12-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화 파라미터 기반의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20263022A1 (ko) * 2019-06-27 2020-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24619A (ko) * 2018-06-27 2021-03-05 지티이 코포레이션 이미지 인코딩, 디코딩 방법 및 장치, 전자 설비 및 시스템
KR20220054771A (ko) * 2019-07-02 2022-05-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양자화 파라미터 기반의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86B1 (ko) * 2018-06-11 2019-07-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케일링을 이용한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997681B1 (ko) * 2018-06-11 2019-07-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화 파라미터 기반의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350093B2 (en) 2018-06-11 2022-05-31 Hanwha Techwin Co., Ltd. Residual coefficient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US11838527B2 (en) 2018-06-11 2023-12-05 Hanwha Visio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residual block on basis of quantization parameter
WO2019240450A1 (ko) * 2018-06-11 2019-12-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잔차 계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90140422A (ko) * 2018-06-11 2019-12-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화 파라미터 기반의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WO2019240449A1 (ko) * 2018-06-11 2019-12-19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양자화 파라미터 기반의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284099B2 (en) 2018-06-11 2022-03-22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decoding residual block on basis of quantization parameter
KR102030384B1 (ko) * 2018-06-19 2019-11-08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잔차 계수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11277613B2 (en) 2018-06-19 2022-03-15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residual coefficient
US10764584B2 (en) 2018-06-19 2020-09-01 Kwangwoon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residual coefficient
US11818354B2 (en) 2018-06-19 2023-11-14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residual coefficient
US10356413B1 (en) 2018-06-19 2019-07-16 Kwangwoon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residual coefficient
KR20210024619A (ko) * 2018-06-27 2021-03-05 지티이 코포레이션 이미지 인코딩, 디코딩 방법 및 장치, 전자 설비 및 시스템
US11647196B2 (en) 2018-06-27 2023-05-09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WO2020263022A1 (ko) * 2019-06-27 2020-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54771A (ko) * 2019-07-02 2022-05-0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양자화 파라미터 기반의 잔차 블록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184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22033107A (ja) ビデオ符号化での分割ブロック符号化方法、ビデオ復号化での分割ブロック復号化方法及びこれを実現する記録媒体
RU2745254C1 (ru)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основе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KR20190090866A (ko) 이차 변환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의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AU20162019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imag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image
JP2015109687A (ja) 大きいサイズの変換単位を利用した映像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装置
KR101379186B1 (ko) 인트라 예측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30103803A (ko) 영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20110046016A (ko) 레지듀얼 블록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00110214A (ko) 예측 유닛을 서브 유닛들로 분할하여 예측하는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KR20200110220A (ko) 잔차블록을 효율적으로 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79314A (ko) 그래프 기반 리프팅 변환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88020A (ko) 다양한 변환 기술을 사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70106592A (ko)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102669632B1 (ko)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240068602A (ko)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50021981A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RU2811758C1 (ru)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основе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того
KR20240078425A (ko) 가변 크기의 양자화 계수 그룹을 이용한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KR20180041833A (ko) 화면 내 예측에 대한 참조 모드 리스트를 사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장치
WO2017135661A1 (ko) 그래프 기반 분리 가능한 변환 (graph-based separable transform)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 /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28530B1 (ko) 영상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32762A (ko) 색차블록을 복원하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장치
KR20150021982A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KR20150021980A (ko) 비디오 복호화에서의 분할 블록 복호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