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287A -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6287A KR20170106287A KR1020177008154A KR20177008154A KR20170106287A KR 20170106287 A KR20170106287 A KR 20170106287A KR 1020177008154 A KR1020177008154 A KR 1020177008154A KR 20177008154 A KR20177008154 A KR 20177008154A KR 20170106287 A KR20170106287 A KR 201701062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fit
- service
- control information
-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format, e.g. an encoded audio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3—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physical layer [OSI layer 1]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운용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의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신 장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로서,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송신되어 오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제어한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기술은,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용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의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이나 미국을 포함한 각국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규격에서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 각종 제어 정보가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제어 정보에는, 그 내용에 따라서, 수신 장치측에서 즉시 취득되어야 할 정보나, 특별히 급하게 취득될 필요가 없는 정보 등이 있어, 운용 형태에 따라서 제어 정보의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제어 정보를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에 걸쳐 하나의 관리 테이블로서 전송하고자 하는 요청 외에, 서비스 사업자마다 독립적으로 관리하고, 각각의 운용 형태에 따라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운용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의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방법은, 전술한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송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있어서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상기 제1 데이터가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로서,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방법은, 전술한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로서,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제어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의하면, 운용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효과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기술을 적용한 전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의 파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의 파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L2 패킷 전송 방식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L2 패킷 전송 방식 2의 파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운용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L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운용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만이 이용하는 경우의 전송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경우의 전송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송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FIT와 서비스 컴포넌트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FIT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서비스 명칭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캐퍼빌리티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FIT의 신택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초기 스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의 파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의 파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L2 패킷 전송 방식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L2 패킷 전송 방식 2의 파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운용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L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운용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만이 이용하는 경우의 전송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경우의 전송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송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FIT와 서비스 컴포넌트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FIT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서비스 명칭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캐퍼빌리티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FIT의 신택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수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초기 스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8은,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9는,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시스템의 구성
2.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의 전송 방식
3. 운용예
(1) 운용예 1: L1 프레임 전송 방식
(2) 운용예 2: L2 패킷 전송 방식
(3) 운용예 3: 사업자 ID를 사용한 FIT의 전송
4. 신택스의 예
5. 각 장치의 구성
6.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7. 변형예
8. 컴퓨터의 구성
<1. 시스템의 구성>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1에 있어서, 전송 시스템(1)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디지털 방송)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전송 시스템(1)은, 송신 장치(10), 수신 장치(20), 및 서버(30)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수신 장치(20)와 서버(30)는, 인터넷(90)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송신 장치(10)는, 디지털 방송의 소정의 규격에 대응한 송신기로서, 방송 사업자(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는,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standards) 등의 규격을 채용할 수 있다.
송신 장치(10)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스트림을, 시그널링 데이터와 함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에 의해, 전송로(80)를 통해 송신한다. 여기서, 서비스는, 예를 들어 방송 사업자(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작된 프로그램(텔레비전 프로그램)을 편성한 것이다. 또한, 시그널링 데이터는, 서비스를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이다.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ATSC 등의 디지털 방송의 소정의 규격에 대응한 수신기로서, 텔레비전 수상기나 셋톱 박스 등의 고정 수신기, 혹은 스마트폰이나 휴대 전화기, 태블릿형 컴퓨터,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자동차 내에서 이용되는 단말기 등의 모바일 수신기이다.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전송로(80)를 통해 수신하여,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취득한다. 수신 장치(20)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접속하여, 그 스트림으로부터 얻어지는 영상과 음성을 재생(출력)한다.
서버(30)는, 수신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스트림을, 인터넷(90)을 통해 스트리밍 배신한다. 또한, 서버(30)는 수신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시그널링 데이터를, 인터넷(90)을 통해 배신한다. 또한, 서버(30)는, 시그널링 데이터(후술하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 외에,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메타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NRT(Non Real Time) 콘텐츠 등을 제공해도 된다.
수신 장치(20)는, 통신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인터넷(90)을 통해 서버(3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 또는 서버(30)로부터의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30)로부터 인터넷(90)을 통해 스트리밍 배신되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접속하여, 그 스트림으로부터 얻어지는 영상과 음성을 재생(출력)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송신 장치(10)로부터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가 직접, 수신 장치(20)에 의해 수신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1개 또는 복수의 중계국(도시생략)을 통해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가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모바일 수신기인 경우, 공중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인터넷(90)에 접속하거나, 혹은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모바일계의 네트워크(도시생략)를 통해 서버(30)에 접속하게 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통신 기능을 갖지 않는 경우나, 통신 기능을 갖고 있지만 그 통신 기능이 무효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수신 장치(20)는, 서버(30)에 액세스할 수 없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서버(30)가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컴포넌트의 스트림과, 시그널링 데이터의 양쪽을 배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컴포넌트의 스트림과, 시그널링 데이터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배신되도록 해도 된다.
<2.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의 전송 방식>
시그널링 데이터에는,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는 저 레이어의 LLS(Low Layer Signaling) 시그널링 데이터와, 서비스 단위의 SLS(Service Layer Signaling) 시그널링 데이터가 있다. 여기서,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사용한 IP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 LLS 시그널링 데이터는, IP층(레이어)보다도 하위의 계층에서 전송되고, SLS 시그널링 데이터는, IP층(레이어)보다도 상위의 계층에서 전송된다. 단, LLS 시그널링 데이터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 및 데이터의 전송과의 공통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IP층(레이어)에 의해 패킷화되어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현재 책정이 추진 중인 미국의 차세대 방송 규격인 ATSC 3.0에서는,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채용이 예상되고 있다.
LLS 시그널링 데이터는, EAD(Emergency Alerting Description), RRD(Region Rating Description), DCD(Default Component Description) 등의 메타데이터 외에, FIT(Fast Information Table)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즉, FIT는, LLS 시그널링 데이터로서 전송되는 이외에, 레이어 1(물리층)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다.
FIT는, MPEG2-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Transport Stream) 방식에 대응한 ID 체계에 의해, 방송 네트워크 내의 스트림이나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FIT에는, 서비스 레벨의 기술자로서,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 서비스 명칭 기술자, 캐퍼빌리티 기술자,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 또는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 등이 배치된다.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는, 서비스의 상태를 기술하고 있다. 서비스 명칭 기술자는, 서비스의 명칭을 기술하고 있다. 캐퍼빌리티 기술자는, 수신 장치(20)의 능력을 기술하고 있다.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부트스트랩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템플릿을 기술하고 있다.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는, 서버(30)에 의해 배신되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FIT에는, 클래스(계열)가 정의된다. 클래스(계열)는, FIT를 복수의 서로 다른 주기에 의해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클래스(계열)는, FIT를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전송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클래스는, 배신 클래스 ID(delivery_group_id)와 사업자 ID(provider_id)로 구성된다. 복수의 서로 다른 주기는, 배신 클래스 ID에 의해 식별되고,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는, 사업자 ID에 의해 식별된다. 클래스(계열)는, 클래스 ID에 의해 식별된다. 즉, 배신 클래스 ID와 사업자 ID에 의해 식별된다. 또한, 각 클래스(계열)의 FIT는, 버전 정보에 의해 그 버전이 관리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클래스 ID와, 클래스의 수를 나타내는 클래스 수를 총칭하여, 「클래스 정보」라 한다. 또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총칭하여, 「전송 계열 정보」라 한다.
SLS 시그널링 데이터는, USBD(User Service Bundle Description), USD(User Service Description),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MPD(Media Presentation Description), IS(Initialization Segment), LSID(LCT Session Instance Description), SPD(Service Parameter Description) 등의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단, 이들 메타데이터 중, 실제로 사용되는 메타데이터는, 운용에 따라서 결정된다.
여기서, SLS 시그널링 데이터는, ROUTE(Real-time Object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ROUTE는, 방송의 라이브 서비스용으로,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를 확장한 것이다. 단, ROUTE는, FLUTE+(FLUTE plus)나 FLUTE enhancement 등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대해서도, ROUTE 세션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LLS 시그널링 데이터와,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 단순히, 「시그널링 데이터」라 칭한다.
(L1 프레임 전송 방식)
도 2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으로서, L1 프레임의 헤더부를 사용한 전송 계열 정보의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L1 프레임은, 레이어 1(물리층)의 프레임으로서, 헤더부와 페이로드부로 구성된다. L1 프레임의 페이로드부에는, 복수의 L2 패킷(레이어 2의 패킷)이 배치되고, 캡슐화되어 있다.
헤더부에는, FIT 외에, 1비트의 FIT 전송 플래그(FIT_delivery_flag)와, 15비트의 FIT 버전 정보(FIT_version)가 배치된다.
FIT 전송 플래그는,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FIT 전송 플래그가 "TRUE"인 경우, FIT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고, FIT 전송 플래그가 "FALSE"인 경우, FIT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FIT 버전 정보는, 3비트의 클래스 수(num_of_class, 4비트의 클래스 ID(class_id), 및 8비트의 버전 정보(version)로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FIT 버전 정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클래스 수는, 전송된 FIT의 클래스(계열)의 수를 나타낸다. 클래스 ID는, FIT의 클래스(계열)를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버전 정보는, FIT의 클래스(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L1 프레임 전송 방식에서는,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FIT 전송 플래그와 FIT 버전 정보가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수신 장치(20)는 L1 프레임을 취득한 단계에서, FIT 전송 플래그에 의해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FIT가 전송된 경우에는,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전송 계열 정보)에 의해, FIT가 속해 있는 클래스(계열)와, 그 버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는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전송 계열 정보를 참조하여, 그 헤더부에 배치된 FIT를 취득(추출)해서 처리를 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사업자마다 클래스 ID에, 사업자 ID의 값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 장치(20)는 이 사업자 ID를 사용해서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원하는 FIT만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L1 프레임 전송 방식의 파생예)
도 3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의 파생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15비트의 FIT 버전 정보가 배치되고, 당해 FIT 버전 정보가, 클래스 수, 클래스 ID 및 버전 정보로 구성되는 점은, 도 2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3의 FIT 버전 정보에 있어서, 클래스 ID는, 사업자 ID(provider_id)와, 배신 클래스 ID(delivery_group_id)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자 ID는,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배신 클래스 ID는, FIT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즉, 클래스 ID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와 복수의 시계열이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당해 FIT의 제공원인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는 ID와, FIT의 전송 주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클래스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운용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와, 하나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클래스 ID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와 복수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ID이지만, 운용에 따라서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수신 장치(20)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ID 등, 다른 전송 계열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각 요소의 사이즈(비트 수)는 운용의 일례로서, 실제의 사이즈는 운용에 따라서 결정된다.
(L2 패킷 전송 방식 1)
도 4는, L2 패킷 전송 방식 1로서,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를 사용한 전송 계열 정보의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L2 패킷은, 레이어 2의 패킷이며, 헤더부와 페이로드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IP 전송 방식이 채용되어 있는 경우, L2 패킷의 페이로드에는, 1개 또는 복수의 IP 패킷이 배치되고, 캡슐화되어 있다. IP 패킷의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비디오나 오디오의 데이터 외에, 시그널링 데이터 등이 배치된다.
L2 패킷의 헤더부에 있어서, 확장 헤더(header extension)에는, 8비트의 타입 정보(type), 16비트의 확장 타입 정보(type extension), 및 8비트의 데이터 버전 정보(data version)가 배치된다.
타입 정보는, 당해 L2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낸다.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FIT가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설정된다.
확장 타입 정보에는, 3비트의 클래스 수(num_of_class), 및 4비트의 클래스 ID(class_id)가 포함된다. 클래스 수는, 전송되고 있는 FIT의 클래스(계열)의 수를 나타낸다. 클래스 ID는, FIT의 클래스(계열)를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또한, 확장 타입 정보에는, 9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erved)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 버전 정보는, FIT의 클래스(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이다.
이와 같이, L2 패킷 전송 방식 1에서는,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타입 정보, 클래스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가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수신 장치(20)는, L2 패킷을 취득한 단계에서, 타입 정보에 의해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FIT가 전송된 경우에는,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전송 계열 정보)에 의해, FIT가 속해 있는 클래스(계열)와, 그 버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는,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의 전송 계열 정보를 참조하여, 그 페이로드부에 배치되는 FIT를 취득(추출)하여 처리해야 할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사업자마다 클래스 ID에, 사업자 ID의 값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 장치(20)는, 이 사업자 ID를 사용해서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원하는 FIT만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L2 패킷 전송 방식 1의 파생예)
도 5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의 파생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L2 패킷의 헤더부에, 확장 헤더가 배치되고, 당해 확장 헤더가, 타입 정보, 확장 타입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로 구성되는 점은, 도 4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5의 확장 타입 정보에는, 그룹 수(num_of_group)와 그룹 ID(group_id)가 배치된다. 또한, 그룹 ID는, 사업자 ID(provider_id)와, 배신 클래스 ID(delivery_group_id)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자 ID는,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배신 클래스 ID는, FIT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즉, 클래스 ID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와 복수의 시계열이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당해 FIT의 제공원인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는 ID와, FIT의 전송 주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클래스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운용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와, 하나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클래스 ID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와 복수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ID이지만, 운용에 따라서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신 장치(20)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ID 등, 다른 전송 계열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각 요소의 사이즈(비트 수)는 운용의 일례로서, 실제의 사이즈는 운용에 따라서 결정된다.
(L2 패킷 전송 방식 2)
도 6은, L2 패킷 전송 방식 2로서,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를 사용한 전송 계열 정보의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L2 패킷은, 헤더부와 페이로드부로 구성된다.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있어서, 페이로드 헤더(payload header)에는, 8비트의 타입 정보(type), 16비트의 확장 타입 정보(type extension), 및 8비트의 데이터 버전 정보(data version)가 배치된다.
타입 정보는, 당해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서 전송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타입을 나타낸다.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FIT가 배치되는 경우, 타입 정보에는,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설정된다.
확장 타입 정보는, 3비트의 클래스 수(num_of_class), 및 4비트의 클래스 ID(class_id)가 포함된다. 클래스 수는, 전송되고 있는 FIT의 클래스(계열)의 수를 나타낸다. 클래스 ID는, FIT의 클래스(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또한, 확장 타입 정보에는, 9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erved)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 버전 정보는, FIT의 클래스(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이다.
이와 같이, L2 패킷 전송 방식 2에서는,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타입 정보, 클래스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가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수신 장치(20)는 L2 패킷을 취득한 단계에서, 타입 정보에 의해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FIT가 전송되어 있는 경우에는,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전송 계열 정보)에 의해, FIT가 속해 있는 클래스(계열)와, 그 버전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신 장치(20)는,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의 전송 계열 정보를 참조하여, 그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를 취득(추출)해서 처리해야 할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브로드캐스트 스트림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경우, 서비스 사업자마다 클래스 ID에, 사업자 ID의 값을 기술하는 것이 가능하며, 수신 장치(20)는, 이 사업자 ID를 사용해서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원하는 FIT만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L2 패킷 전송 방식 2의 파생예)
도 7은, L2 패킷 전송 방식 2의 파생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페이로드 헤더가 배치되고, 당해 페이로드 헤더가, 타입 정보, 확장 타입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로 구성되는 점은, 도 6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단, 도 7의 확장 타입 정보에는, 그룹 수(num_of_group)와 그룹 ID(group_id)가 배치된다. 또한, 그룹 ID는, 사업자 ID(provider_id)와, 배신 클래스 ID(delivery_group_id)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자 ID는, 복수의 서로 다른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배신 클래스 ID는, FIT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ID이다. 즉, 클래스 ID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와 복수의 시계열이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는 정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당해 FIT의 제공원인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는 ID와, FIT의 전송 주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가 클래스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운용에 따라서는,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와, 하나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로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클래스 ID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와 복수의 시계열로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ID이지만, 운용에 따라서는,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수신 장치(20)의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ID 등, 다른 전송 계열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각 요소의 사이즈(비트 수)는 운용의 일례로서, 실제의 사이즈는 운용에 따라서 결정된다.
<3. 운용예>
다음으로, L1 프레임 전송 방식과 L2 패킷 전송 방식의 구체적인 운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운용예 1
도 8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운용예 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 있어서, 레이어 1로서, 「L」, 「M」, 「S」가 기재된 사각형은, L1 프레임을 표시하고 있다. 이 L1 프레임의 헤더부에는, FIT가 배치되어 있지만, 「L(long)」이 기재된 사각형은, 수신 장치(20)측에서, 예를 들어 10초 주기 등의 비교적 긴 주기에서 취득(갱신)해야 할 FIT(이하, 「긴 주기의 FITL」이라고도 함)가 배치된 L1 프레임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S(short)」가 기재된 사각형은, 수신 장치(20)측에서, 예를 들어 100밀리초 주기 등의 비교적 짧은 주기에서 취득(갱신)해야 할 FIT(이하, 「짧은 주기의 FITS」라고도 함)가 배치된 L1 프레임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M(middle)」이 기재된 사각형은, 예를 들어 1초 주기 등의 「L」의 주기와 「S」의 주기 사이의 주기에서 취득(갱신)해야 할 FIT(이하, 「중간 주기의 FITM」이라고도 함)가 배치된 L1 프레임을 의미하고 있다.
이하, 「L」이 기재된 L1 프레임을, 「L1 프레임 L」이라고 기술한다. 마찬가지로, 「M」이 기재된 L1 프레임을, 「L1 프레임 M」이라고 기술하고, 「S」가 기재된 L1 프레임을, 「L1 프레임 S」라고 기술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시간의 방향은, 도면 중의 좌측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된다.
도 8에 있어서는, L1 프레임 S, L1 프레임 S, L1 프레임 M의 전송이 3회 반복된 후, L1 프레임 L이 전송된다. 그 후, 전부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찬가지로, 2회의 L1 프레임 S의 전송과 1회의 L1 프레임 M의 전송을, 3회 반복한 후에, L1 프레임 L을 전송하는 것이 반복된다.
즉,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송되는 10개의 L1 프레임의 덩어리에 주목하면, 짧은 주기의 FITS가 배치된 L1 프레임 S가 6개 전송되고, 중간 주기의 FITM이 배치된 L1 프레임 M이 3개 전송되고, 긴 주기의 FITL이 배치된 L1 프레임 L이 1개 전송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L1 프레임 L, L1 프레임 M, L1 프레임 S는, 서로 다른 주기에서 전송되고 있지만, L1 프레임 S의 전송 주기가 가장 짧은 주기로 되고, L1 프레임 M의 전송 주기가 그 다음으로 짧은 주기로 되고, L1 프레임 L의 전송 주기가 가장 긴 주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주목하고 있는 처리 대상의 L1 프레임(이하, 「대상 L1 프레임」이라고도 함)의 헤더부에 배치되는 FIT 전송 플래그(FIT_delivery_flag)를 참조하여, 대상 L1 프레임에서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8의 운용예 1에 있어서는, 모든 L1 프레임에서 FIT가 전송되었으므로, FIT 전송 플래그에는, "TRUE"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헤더부에 배치되는 FIT 버전 정보(FIT_version)에는,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가 포함되므로, 수신 장치(20)는 대상 L1 프레임으로 전송되고 있는 FIT가 속해 있는 클래스(계열)와 버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는, L1 프레임 L, L1 프레임 M, L1 프레임 S의 3개의 계열이 전송되고 있으므로, 클래스 수(num_of_class)에는, "3"이 설정된다. 따라서, 도 8에 있어서는, 모든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서, 클래스 수로서 "3"이 설정되어 있다(도시생략). 또한, 클래스 ID(class_id)로서, 짧은 주기의 FITS에는, "01"이 설정되고, 중간 주기의 FITM에는, "00"이 설정되고, 긴 주기의 FITL에는, "10"이 설정된다. 또한, 버전 정보에는, 클래스마다, FIT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예를 들어 1씩 인크리먼트된 값이 설정된다.
여기서, 시계열로 배열된 L1 프레임 중, L1 프레임 S에 주목하면, 선두의 L1 프레임 S가,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는, "01"인 클래스 ID와, "001"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수신 장치(20)에서는, 그들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하여, 선두의 L1 프레임 S로 전송되는 짧은 주기의 FITS를 취득하여 기록(갱신)해야 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짧은 주기의 FITS가 취득 완료로서, 그 버전 정보로서 "00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선두의 L1 프레임 S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S를 무시한다.
또한, 짧은 주기의 FITS가 미취득인 경우나, 짧은 주기의 FITS가 취득 완료이지만, 그 버전 정보로서 "000"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등에는, 수신 장치(20)는, 선두의 L1 프레임 S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S를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선두로부터 2번째의 L1 프레임 S가,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는, "01"인 클래스 ID와, "001"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수신 장치(20)에서는, 그들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S가 취득 완료임이 인식되므로, 2번째의 L1 프레임 S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S를 무시한다.
마찬가지로, 선두로부터 4번째, 5번째, 및 7번째의 L1 프레임 S가,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S가 취득 완료임이 인식되므로,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S를 무시한다.
그리고, 선두로부터 8번째의 L1 프레임 S가,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는, "002"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1개 전에 FITS를 배치한 7번째의 L1 프레임 S에 있어서의 "001"인 버전 정보가, 인크리먼트되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FITS의 버전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8번째의 L1 프레임 S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S를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그 후, 선두로부터 11번째, 12번째, 14번째, 및 그 이후의 L1 프레임 S가,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S가 취득 완료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S를 무시한다. 한편, 수신 장치(20)에서는,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서로 다른 버전의 FITS가 미취득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S를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짧은 주기의 FITS는, 중간 주기의 FITM이나 긴 주기의 FITL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100밀리초 주기 등의 짧은 주기에서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가 즉시 취득(갱신)해야 할 정보(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로서는, 선국된 서비스의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정보(동적 파라미터) 등이 해당된다.
짧은 주기의 FITS에는, 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를, A_descriptor() 등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service status descriptor)가, FITS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신 장치(20)는 서비스 선국 시에, 짧은 주기에서 전송되는 FITS의 버전이 변화되었을 때, 신속하게 FITS를 취득(갱신)하여,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계열로 배열된 L1 프레임 중, L1 프레임 M에 주목하면, 선두로부터 3번째의 L1 프레임 M이,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는, "00"인 클래스 ID, 및 "001"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중간 주기의 FITM이 취득 완료로서, 그 버전 정보로서 "001"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3번째의 L1 프레임 M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M을 무시한다.
마찬가지로, 선두로부터 6번째의 L1 프레임 M이,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M이 취득 완료임이 인식되므로, 6번째의 L1 프레임 M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M을 무시한다.
그리고, 선두로부터 9번째의 L1 프레임 M이,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는, "002"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1개전에 FITM을 배치한 6번째의 L1 프레임 M에 있어서의 "001"인 버전 정보가, 인크리먼트되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FITM의 버전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9번째의 L1 프레임 M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M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그 후, 선두로부터 13번째, 및 그 이후의 L1 프레임 M이,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M이 취득 완료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M을 무시한다. 한편, 수신 장치(20)에서는,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서로 다른 버전의 FITM이 미취득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M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 주기의 FITM은, 예를 들어 1초 주기 등의 짧은 주기의 FITS와 긴 주기의 FITL 사이의 주기에서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가 즉시 취득(갱신)될 필요는 없지만, 취득될 때까지의 시간이 너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는 정보(시간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허용된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시간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허용된 정보로서는, 초기 스캔 처리 시에 취득해야 할 정보(초기 스캔 파라미터) 등이 해당된다.
중간 주기의 FITM은, 시간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허용된 정보를, B_descriptor(), C_descriptor(), D_descriptor() 등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명칭 기술자(service name descriptor), 캐퍼빌리티 기술자(capability descriptor),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service bootstrap descriptor) 등이 배치된다. 수신 장치(20)는 초기 스캔 처리 시에, 중간 주기의 FITM을 취득하여, 서비스 명칭 기술자, 캐퍼빌리티 기술자 및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에 기술된 정보(초기 스캔 파라미터)를 선국 정보로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시계열로 배열된 L1 프레임 중, L1 프레임 L에 주목하면, 선두로부터 10번째의 L1 프레임 L이,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는, "10"인 클래스 ID 및 "002"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1개 전에 FITL을 배치한 L1 프레임 L에 있어서의 버전 정보가 "001"인 경우, 버전의 값이 인크리먼트되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FITL의 버전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10번째의 L1 프레임 L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L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그 후, 그 이후의 L1 프레임 L이, 대상 L1 프레임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L이 취득 완료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L을 무시한다. 한편, 수신 장치(20)에서는,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서로 다른 버전의 FITL이 미취득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 FITL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긴 주기의 FITL은, 짧은 주기의 FITS나 중간 주기의 FITM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10초 주기 등의 긴 주기에서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가 특별히 급하게 취득(갱신)할 필요가 없는 정보(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로서는,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정보(정적 파라미터)가 해당된다.
긴 주기의 FITL은, 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를, E_descriptor(), F_descriptor() 등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signaling template)나,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signaling over internet) 등이 배치된다. 수신 장치(20)는, 임의의 타이밍에, 긴 주기에서 전송되는 긴 주기의 FITL을 취득하여,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나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에 기술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운용예 1에서는,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되는 FIT 버전 정보에, 전송 계열 정보(클래스 정보)를 설정하여, FIT를 클래스마다 복수의 계열로 분류함으로써, 예를 들어 짧은 주기의 FITS(예를 들어 100밀리초 주기)나 긴 주기의 FITL(예를 들어 10초 주기), 중간 주기의 FITM(예를 들어 1초 주기) 등,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FIT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주기마다, FIT에 배치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나 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 등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래스(계열)마다, FIT에 기술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를 분류(설정)하여, 다른 전송 주기에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운용 형태에 따른 FIT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FIT가 클래스마다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전송되는 점에서, FIT의 전송 대역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2) 운용예 2
도 9는, L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운용예 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운용예 2에서는, L2 패킷 전송 방식 2를 대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 있어서, 레이어 2로서, 「L」, 「M」, 「S」가 기재된 사각형은, L2 패킷을 표시하고 있지만, 그 의미는, 도 8의 L1 프레임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도 9에서는, 「L」, 「M」, 「S」가 기재된 L2 패킷을 각각, 「L2 패킷 L」, 「L2 패킷 M」, 「L2 패킷 S」라고 기술한다. 즉, L2 패킷 L에는, 예를 들어 10초 주기 등의 긴 주기의 FITL이 배치되고, L2 패킷 M에는, 예를 들어 1초 주기 등의 중간 주기의 FITM이 배치되고, L2 패킷 S에는, 예를 들어 100밀리초 주기 등의 짧은 주기의 FITS가 배치된다.
도 9에 있어서는, L2 패킷 S, L2 패킷 S, L2 패킷 M의 전송이 3회 반복된 후, L2 패킷 L이 전송된다. 그 후, 전부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마찬가지로, 2회의 L2 패킷 S의 전송과 1회의 L2 패킷 M의 전송을, 3회 반복한 후에, L2 패킷 L을 전송하는 것이 반복된다.
즉,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전송되는 10개의 L2 패킷의 덩어리에 주목하면, 짧은 주기의 FITS가 배치된 L2 패킷 S가 6개 전송되고, 중간 주기의 FITM이 배치된 L2 패킷 M이 3개 전송되고, 긴 주기의 FITL이 배치된 L2 패킷 L이 1개 전송되고 있다.
여기서,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주목하고 있는 처리 대상의 L2 패킷(이하, 「대상 L2 패킷」이라고도 함)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배치되는 타입 정보(type)를 참조하여, 대상 L2 패킷에 의해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9의 운용예 2에 있어서는, 모든 L2 패킷에 의해 FIT가 전송되고 있으므로, 타입 정보에는,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페이로드 헤더에 배치되는 확장 타입 정보에는, 클래스 정보가 포함되고, 데이터 버전 정보에는, 버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수신 장치(20)는 대상 L2 패킷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FIT가 속해 있는 클래스(계열)와 버전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에 있어서는, L2 패킷 L, L2 패킷 M, L2 패킷 S의 3개의 계열이 전송되고 있으므로, 모든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있어서, 클래스 수(num_of_class)에는, "3"이 설정된다(도시생략).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도 8과 마찬가지로, 클래스 ID(class_id)로서, 짧은 주기의 FITS에는, "01"이 설정되고, 중간 주기의 FITM에는, "00"이 설정되고, 긴 주기의 FITL에는, "10"이 설정된다. 또한, 버전 정보에는, 클래스마다, FIT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예를 들어 1씩 인크리먼트된 값이 설정된다.
여기서, 시계열로 배열된 L2 패킷 중, L2 패킷 S에 주목하면, 선두의 L2 패킷 S 및 선두로부터 2번째, 4번째, 5번째 및 7번째의 L2 패킷 S가,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그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는, "01"인 클래스 ID와, "001"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페이로드 헤더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S가 취득 완료임이 인식되므로,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S를 무시한다.
그리고, 선두로부터 8번째의 L2 패킷 S가,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그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는, "002"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1개 전에 FITS를 배치한 7번째의 L2 패킷 S에 있어서의 "001"인 버전 정보가, 인크리먼트되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FITS의 버전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8번째의 L2 패킷 S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S를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그 후, 선두로부터 11번째, 12번째, 14번째, 및 그 이후의 L2 패킷 S가,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S가 취득 완료임이 인식된 경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S를 무시한다. 한편, 수신 장치(20)에서는,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의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서로 다른 버전의 FITS가 미취득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S를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짧은 주기의 FITS는, 중간 주기의 FITM이나 긴 주기의 FITL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100밀리초 주기 등이 짧은 주기에서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가 즉시 취득(갱신)해야 할 정보(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로서는, 선국된 서비스의 상황에 따라서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정보(동적 파라미터) 등이 해당된다.
짧은 주기의 FITS에는, 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를, A_descriptor(), F_descriptor() 등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service status descriptor)가 FITS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수신 장치(20)는 서비스 선국 시에, 짧은 주기에서 전송되는 FITS의 버전이 변화했을 때, 신속하게 FITS를 취득(갱신)하여,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계열로 배열된 L2 패킷 중, L2 패킷 M에 주목하면, 선두로부터 3번째 및 6번째의 L2 패킷 M이,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그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는, "00"인 클래스 ID와, "001"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페이로드 헤더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M이 취득 완료임이 인식되므로,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M을 무시한다.
그리고, 선두로부터 9번째의 L2 패킷 M이,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그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는, "002"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으며, 1개 전에 FITM을 배치한 6번째의 L2 패킷 M에 있어서의 "001"인 버전 정보가, 인크리먼트되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FITM의 버전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9번째의 L2 패킷 M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M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그 후, 선두로부터 13번째, 및 그 이후의 L2 패킷 M이,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M이 취득 완료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M을 무시한다. 한편, 수신 장치(20)에서는,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서로 다른 버전의 FITM이 미취득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2 패킷 M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M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중간 주기의 FITM은, 예를 들어 1초 주기 등의 짧은 주기의 FITS와 긴 주기의 FITL 사이의 주기에서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가 즉시 취득(갱신)될 필요는 없지만, 취득할 때까지의 시간이 너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는 정보(시간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허용된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시간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허용된 정보로서는, 초기 스캔 처리 시에 취득해야 할 정보(초기 스캔 파라미터) 등이 해당된다.
중간 주기의 FITM은, 시간적인 제한이 어느 정도 허용된 정보를, A_descriptor(), B_descriptor(), C_descriptor(), D_descriptor(), F_descriptor() 등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명칭 기술자(service name descriptor), 캐퍼빌리티 기술자(capability descriptor),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service bootstrap descriptor) 등이 배치된다. 수신 장치(20)는 초기 스캔 처리 시에, 중간 주기의 FITM을 취득하여, 서비스 명칭 기술자, 캐퍼빌리티 기술자 및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에 기술된 정보(초기 스캔 파라미터)를 선국 정보로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주기의 FITM의 클래스 ID인 "00"을, 매직 넘버로 함으로써, 수신 장치(20)에 있어서의 초기 스캔 처리에 있어서, "00"인 클래스 ID의 FITM만을 취득하면 되게 되므로, 수신 장치(20)는 효율적으로 또한 신속하게 초기 스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시계열로 배열된 L2 패킷 중, L2 패킷 L에 주목하면, 선두로부터 10번째의 L2 패킷 L이,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그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는, "10"인 클래스 ID와, "002"인 버전 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1개 전에 FITL을 배치한 L2 패킷 L에 있어서의 버전 정보가 "001"인 경우, 버전의 값이 인크리먼트되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는 FITL의 버전이 상이함을 인식하고, 10번째의 L2 패킷 L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L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그 후, 그 이후의 L2 패킷 L이, 대상 L2 패킷으로 되는 경우, 수신 장치(20)에서는, 그 페이로드부에 배치되는 페이로드 헤더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한 버전의 FITL이 취득 완료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L을 무시한다. 한편, 수신 장치(20)에서는,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설정된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서로 다른 버전의 FITL이 미취득임이 인식된 경우,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 FITL을 취득하여, 기록(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긴 주기의 FITL은, 짧은 주기의 FITS나 중간 주기의 FITM과 비교하여, 예를 들어 10초 주기 등이 긴 주기에서 전송되므로, 수신 장치(20)가 특별히 급하게 취득(갱신)될 필요가 없는 정보(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를 전송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로서는,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정보(정적 파라미터)가 해당된다.
긴 주기의 FITL은, 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를, E_descriptor() 등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signaling template descriptor) 등이 배치된다. 수신 장치(20)는, 임의의 타이밍에, 긴 주기에서 전송되는 긴 주기의 FITL을 취득하여,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에 기술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운용예 1에서는, A_descriptor()는, 짧은 주기의 FITS에만 배치되고, F_descriptor()는 긴 주기의 FITL에만 배치되는 등, FIT의 계열마다, 1개 또는 복수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관련지어져 있었다. 한편, 도 9의 운용예 2에 있어서는, A_descriptor()과 F_descriptor()는 짧은 주기의 FITS와 중간 주기의 FITM의 양쪽의 FIT에 배치되어 있으며, 1개 또는 복수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복수의 클래스(계열)에 걸쳐 관련지어져 있다.
전자의 운용예 1(도 8)의 경우, FIT의 클래스(계열)마다,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FIT의 클래스(계열) 내에서, 최신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에서의 갱신(덮어쓰기) 처리를 행하면, 항상 최신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를 참조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운용예 2(도 9)의 경우에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복수의 클래스(계열)에 속해 있으므로, 클래스(계열)마다 우선도를 부여하여, 우선도가 높은 클래스(계열)에서 전송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에 의해, 우선도가 낮은 클래스(계열)에서 전송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를 갱신(덮어쓰기)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클래스 ID의 값이 클수록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설정하면, "10"인 클래스 ID의 긴 주기 FITL이 가장 우선도가 높고, "01"인 클래스 ID의 짧은 주기 FITS, "00"인 클래스 ID의 중간 주기의 FITM의 순서대로 우선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도 9의 운용예 2에 있어서는, A_descriptor()과 F_descriptor()는 짧은 주기의 FITS와 중간 주기의 FITM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지만, 중간 주기의 FITM보다도 우선도가 높은 짧은 주기의 FITS에 배치되는 A_descriptor() 또는 F_descriptor()에 의해, 중간 주기의 FITM에 배치되는 A_descriptor() 또는 F_descriptor()을 갱신(덮어쓰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클래스 ID의 값이 클수록 우선도가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등, 클래스(계열)마다 우선도를 부여하여, 우선도에 따른 덮어쓰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덮어쓰기 처리의 반복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L2 패킷 전송 방식 2를 이용한 운용예 2에서는,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전송 계열 정보(클래스 정보)를 설정하여, FIT를 클래스마다 복수의 계열로 분류함으로써, 예를 들어 짧은 주기의 FITS(예를 들어 100밀리초 주기)나 긴 주기의 FITL(예를 들어 10초 주기), 중간 주기의 FITM(예를 들어 1초 주기) 등,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FIT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주기마다, FIT에 배치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나 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 등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클래스(계열)마다, FIT에 기술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를 분류(설정)하여, 서로 다른 전송 주기에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운용 형태에 따른 FIT의 전송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FIT가 클래스마다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전송되는 점에서, FIT의 전송 대역의 삭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운용예 2에서는, L2 패킷 전송 방식 2로서, 페이로드 헤더에 전송 계열 정보(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가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전송 계열 정보가,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배치되는 점 이외에 대해서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도 8의 운용예 1과, 도 9의 운용예 2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클래스 ID를 2비트의 비트열로 표시하고, 버전 정보를 3비트의 비트열로 표시하고 있다.
(3) 운용예 3
(방송 서비스의 전송 형태 1)
도 10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만이 이용하는 경우의 전송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방송 서비스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 대역)마다 분할되고, 전파 주파수를 관리하는 당국 등이 물리 채널 번호를 할당함으로써, 관리된다. 도 10에 있어서는, 물리 채널 1을 방송국 A(Broadcaster A), 물리 채널 2를 방송국 B(Broadcaster B)가 점유하는 형태로 할당되어 있다. 방송국 A는, 채널에 10.1을 부여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방송국 B는, 채널에 11.1 및 11.2를 부여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10」 및 「11」은, 서비스 사업자마다 할당되는 메이저 채널 번호를 나타내고, 이 메이저 채널 번호와 소수점에 이어지는 숫자는, 마이너 채널 번호를 나타낸다. 메이저 채널 번호는, 서비스 지역에 있어서,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며, 마이너 채널 번호는, 서비스 사업자마다 채널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이다.
서비스 사업자는, 1개 또는 복수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예에서는, 방송국 A는, 1개의 채널(10.1)을 방송하고, 방송국 B는, 2개의 채널(11.1 및 11.2)을 방송하고 있다.
도 10의 방송 서비스의 전송 형태에서는, 하나의 전송 대역을,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만이 이용하는 점에서, 당해 전송 대역에 의해 전송되는 FIT는, 하나의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성 정보를 기술하면 된다. 즉, 당해 서비스 사업자가 독립적으로 FIT를 작성(생성), 관리, 운용하면 되게 된다.
(방송 서비스의 전송 형태 2)
도 11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이용하는 경우의 전송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송 대역(예를 들어 6㎒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방송 서비스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도 10의 전송 형태와 마찬가지로, 6㎒마다 분할되어 관리, 이용되지만, 요즘의 물리층의 전송 기술이나 음성,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술의 향상 등에 의해, 주파수의 이용 효율이 높아짐으로써, 종래와 같은 전송 대역에서 많은 서비스가 전송 가능해지는 것이 예상되는 것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전파 주파수를 관리하는 당국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전파를 이용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으며, 앞으로의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하나의 전송 대역을 공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11에는, 물리 채널 1을 방송국 A(Broadcaster A)와 방송국 B(Broadcaster B)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방송국 A가, 채널에 10.1을 부여하고, 방송국 B가, 채널에 11.1 및 11.2를 부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는, 도 10의 전송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의 방송 서비스의 전송 형태에서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하나의 전송 대역을 공용하는 점에서, 당해 전송 대역에 의해 전송되는 FIT에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구성 정보를 기술해야 한다. 도 11의 방송 서비스의 전송 형태에 있어서, 도 10의 전송 형태와 마찬가지로, 당해 전송 대역에 의해 방송하는 서비스를 하나의 FIT에 의해 기술하면, 송출측(송신 장치(10)측)의 설비에 따라,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에 걸쳐 서비스를 관리, 운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FIT의 관리, 운용예)
도 12는,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송출 처리(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있어서는, 하나의 전송 대역에 의해 방송국(BC1: Broadcaster 1)이 채널 10.1 및 10.2를 방송하고, 방송국(BC2: Broadcaster 2)이 채널 11.1을 방송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방송국(BC1) 및 방송국(BC2)은, 각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를 중첩해서 방송 송출 설비에 배신하는 것과 병행하여, 당해 서비스의 구성 정보가 기술된 FIT를 생성하여 배신한다. 즉, FIT를 전송하는 LLS 시그널링 데이터의 스트림에는, 방송국(BC1)의 서비스 구성 정보가 기술된 FIT와, 방송국(BC2)의 서비스 구성 정보가 기술된 FIT가 전송된다.
도 12의 송출 처리(송신 처리)에 있어서는, 방송국(BC1) 및 방송국(BC2)이 각각의 서비스 구성에 기초한 FIT를 생성하고, 방송 송출기(송신 장치(10))에 의해, 서비스 컴포넌트(컴포넌트), 서비스 메타데이터(메타데이터), 및 FIT를 송출한다. 즉, 각 서비스 사업자가,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운용하는 형태이다. 본 송출 방식에서는, FIT가 어느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LLS 패킷 헤더와 FIT의 공통 파라미터에 사업자 ID(provider_id)를 기술하지만, 그 상세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T와 서비스 컴포넌트의 관계)
도 13은, 하나의 전송 대역을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FIT와 서비스 컴포넌트(컴포넌트)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하나의 전송 대역은, 브로드캐스트 스트림(Broadcaster Stream)에 의해 표현되고, 또한 PLP(Physical Layer Pipe)에 의해, 1개 또는 복수의 ROUTE 세션이 전송된다. ROUTE 세션에 의해 각 서비스의 컴포넌트가 전송된다. 각 서비스에는,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 ID가 부여되고, 또한 서비스 사업자마다 사업자 ID(provider_id)가 부여된다.
FIT는, LLS 시그널링 데이터의 스트림에 의해 전송된다. LLS 시그널링 데이터는, PLP에 의해, L2 패킷(레이어 2의 패킷)에 의해 전송된다. 단, 운용에 따라서는, LLS 시그널링 데이터를, L1 프레임(레이어 1의 프레임), 또는 IP 패킷, UDP 패킷, 또는 ROUTE 패킷에 의해 패킷화하여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LLS 시그널링 데이터의 스트림에 의해 전송되는 FIT는, LLS 헤더가 부가 된 패킷에 의해 전송된다. 이 LLS 헤더에는, 도 5 또는 도 7에 도시한 그룹 ID(group_id)의 사업자 ID(provider_id)에 의해, 당해 FIT와 서비스 사업자가 관련지어진다. 또한, 도 14 또는 도 21에 도시한 FIT에도, 사업자 ID(provider_id)가 기술할 수 있기 때문에, FIT와 서비스 사업자가 관련지어진다.
이 운용예 3에 있어서는, 수신 장치(20)는 LLS 헤더에 의해 당해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타입이 시그널링(LLS 시그널링 데이터)이며, FIT인 것 또한 시그널링이 FIT인 경우에, FIT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와 전송 주기 계열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필터링을 행할 수 있다. 즉, 수신 장치(20)는, 원하는 FIT만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FIT에는, 공통 파라미터부에, 사업자 ID(provider_id)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스트림과의 관련지음을 행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도 13의 FIT에 있어서, 사업자마다의 프로바이더 루프는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공통 파라미터부에, 사업자 ID 대신에 프로바이더 루프가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4. 신택스의 예>
(FIT의 신택스)
도 14는, 바이너리 형식의 FIT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비트의 FIT_protocol_version에는, 프로토콜의 버전 정보가 지정된다. 16비트의 Broadcast_stream_id에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가 지정된다.
8비트의 num_services에는, 서비스의 개수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의 개수에 따라서, 서비스 루프가 반복된다. 4비트의 class_id에는, 클래스 ID가 지정된다. 8비트의 version에는, FIT의 버전이 지정된다. 서비스 루프에는, 이하의 내용이 배치된다.
16비트의 service_id에는, 대상의 서비스 서비스 ID가 지정된다. 16비트의 provider_id에는, 사업자 ID가 지정된다. 5비트의 service_category에는, 대상의 서비스 카테고리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로서는, NRT(Non Real Time) 서비스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서비스 등이 지정된다. 1비트의 sp_indicator에는, 대상의 서비스 보호를 나타내는 암호화 정보가 지정된다.
1비트의 SLS_simpleservice에는, 대상의 서비스가, 베이직 서비스인지, 혹은 리치 비스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SLS_simpleservice로서는, 베이직 서비스인 경우에는 "TRUE"가 지정되고, 리치 서비스인 경우에는 "FALSE"가 지정된다.
여기서, 베이직 서비스란,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스트림이, MIME 타입에 의해 개별로 식별 가능한 서비스이다. 대상의 서비스가 베이직 서비스인 경우, SLS 시그널링 데이터 중, MPD와 LSID를 취득함으로써,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리치 서비스란, 베이직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이다. 대상의 서비스가 리치 서비스인 경우, 컴포넌트의 스트림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모든 SLS 시그널링 데이터가 필요해진다.
4비트의 num_srv_level_descriptor에는, 서비스 레벨의 기술자의 개수가 지정된다. 이 서비스 레벨의 기술자의 개수에 따라서, 서비스 레벨 기술자 루프가 반복된다. 서비스 레벨 기술자 루프에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srv_level_descriptor())가 배치된다.
이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는, 예를 들어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 서비스 명칭 기술자, 캐퍼빌리티 기술자,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 또는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 등이 배치된다. 또한, 서비스 레벨 기술자의 상세한 구조는, 도 15 내지 도 20의 신택스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서비스 루프의 다음에는, 1비트의 num_FIT_level_descriptor가 배치된다. num_FIT_level_descriptor에는, FIT 레벨의 기술자 개수가 지정된다. 이 FIT 레벨의 기술자 개수에 따라서, FIT 레벨 기술자 루프가 반복된다. FIT 레벨 기술자 루프에는, FIT 레벨 기술(FIT_level_descriptor())이 배치된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 SLS_simpleservice의 다음에는, 1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erve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레벨 기술자 루프와, FIT 레벨 기술자 루프의 다음에는, 4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erved)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도 14의 서비스 레벨 기술자 루프에 배치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의 신택스)
도 15는, 바이너리 형식의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service_status_descriptor)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비트의 descriptor_tag에는, 각 기술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술자 태그가 지정된다. 여기에서는,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의 기술자 태그가 지정된다. 8비트의 descriptor_length에는, 이 필드보다도 후에 이어지는 데이터 바이트 수를 기입하는 영역으로 하는 기술자 길이가 지정된다. 여기에서는,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의 기술자 길이가 지정된다.
8비트의 SLS_data_version에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의 버전 정보가 지정된다. 3비트의 service_status에는, 대상의 서비스 스테이터스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스로서는, 대상의 서비스가 제공 중임을 나타내는 액티브 상태(active)나, 대상의 서비스가 휴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비액티브 상태(inactive) 등이 지정된다.
또한, service_status의 다음에는, 5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erved)이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명칭 기술자의 신택스)
도 16은, 바이너리 형식의 서비스 명칭 기술자(service_name_descriptor)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비트의 descriptor_tag와, 8비트의 descriptor_length에는, 서비스 명칭 기술자의 기술자 태그와, 기술자 길이가 지정된다.
24비트의 ISO_639_language_code에는, ISO 639 규격에 준거한 언어의 코드가 지정된다. 3비트의 short_service_name_length에는, 쇼트 서비스명의 길이가 지정된다. 16*N 비트의 short_service_name에는, 쇼트 서비스명이 지정된다.
또한, short_service_name_length의 다음에는, 5비트의 리저브드 영역(reserved)이 설치되어 있다.
(캐퍼빌리티 기술자의 신택스)
도 17은, 바이너리 형식의 캐퍼빌리티 기술자(capability_descriptor)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비트의 descriptor_tag와, 8비트의 descriptor_length에는, 캐퍼빌리티 기술자의 기술자 태그와, 기술자 길이가 지정된다.
8비트의 capability_code에는, 하나의 서비스를 복수의 서로 다른 타깃에 대하여 제공하기 위한 캐퍼빌리티 코드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캐퍼빌리티 코드로서는, "2K"나 "4K" 등이 지정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서비스(예를 들어 프로그램)를 수신 환경이 불안정한 모바일 수신기용으로는, 높은 로버스트니스의 2K 해상도(가로 2000×세로 1000 픽셀 정도의 해상도)의 영상과 음성으로 배신하는 한편, 수신 환경이 안정되어 있는 고정 수신기용으로는, 로버스트니스 성능은 낮으나, 4K 해상도(가로 4000×세로 2000 픽셀 정도의 해상도)의 영상과 음질이 좋은 음성으로 배신하는 경우 등이 상정된다.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의 신택스)
도 18은, 바이너리 형식의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service_bootstrap_descriptor)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비트의 descriptor_tag와, 8비트의 descriptor_length에는,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의 기술자 태그와, 기술자 길이가 지정된다.
1비트의 IP_version_flag에는, IP 패킷의 버전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지정된다. SLS_src_IP_addr_flag에는, IP 패킷의 송신원(source)의 IP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지정된다. 6비트의 리저브드 영역의 다음에는, SLS_src_IP_addr_flag가, IP 어드레스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32비트 또는 128비트의 SLS_dst_IP_addr로서, 송신원(source)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32비트 또는 128비트의 SLS_dst_IP_addr에는, 수신처(destination)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16비트의 SLS_dst_port_num에는, 포트 번호가 지정된다. 16비트의 SLS_TSI에는, 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가 지정된다. 또한, 8비트의 SLS_PLP_id에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가 전송되는 PLP(Physical Layer Pipe)를 식별하기 위한 ID가 지정된다.
이들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및 PLP ID에 의해, SLS 부트스트랩 정보가 형성된다.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의 신택스)
도 19는, 바이너리 형식의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signaling_template_descriptor)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비트의 descriptor_tag와, 8비트의 descriptor_length에는,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의 기술자 태그와, 기술자 길이가 지정된다.
4비트의 encoding_type에는, 인코드의 타입 정보가 지정된다. 16비트의 template_length에는, 이 필드보다도 후에 이어지는 데이터 바이트 수를 기입하는 영역으로서, 시그널링 템플릿 길이가 지정된다. 8*N 비트의 template에는, 시그널링 템플릿이 배치된다.
여기서, 시그널링 템플릿은, 플랫폼에서 공통으로 되는 계속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를 템플릿으로서 제공한 것이다. 실제로 이용 가능하게 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와의 차분의 정보는, 차분 정보로서 제공되게 된다. 단,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의 시그널링 데이터의 템플릿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변환 방식에 따라서, 텍스트 형식을 바이너리 형식으로 변환하고 나서 배치하게 된다.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의 신택스)
도 20은, 바이너리 형식의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signaling_over_internet_descriptor)의 신택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8비트의 descriptor_tag와, 8비트의 descriptor_length에는,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의 기술자 태그와, 기술자 길이가 지정된다.
16비트의 uri_length에는, 이 필드보다도 나중에 이어지는 데이터 바이트 수를 기입하는 영역으로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길이가 지정된다.
8*N 비트의 SLS_uri에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통신 경유로 취득하는 경우의 URI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SLS_uri에는, 인터넷(90)을 통해 서버(30)에 의해 배신되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URI가 지정된다. 단, 텍스트 형식의 문자열로 이루어지는 URI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변환 방식에 따라서, 텍스트 형식을 바이너리 형식으로 변환하고 나서 배치하게 된다.
(FIT의 신택스의 다른 예)
도 21은, FIT의 신택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의 FIT의 신택스는, 도 14의 FIT의 신택스와 비교하여, 4비트의 num_total_class와, 4비트의 reserved가 추가되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num_total_class에는, FIT로 지정하는 클래스의 총수가 지정된다.
또한, 도 21에 있어서, num_total_class와 reserved가 추가된 이외에 대해서는, 도 14의 FIT의 신택스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1에 있어서, FIT와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바이너리 형식으로 기술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FIT와 서비스 레벨 기술자는, 예를 들어 XML 형식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기술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4 내지 도 21에 나타낸 FIT와 서비스 레벨 기술자의 신택스는 일례로서, 다른 신택스가 채용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4나 도 21의 FIT에 있어서, class_id와 version을 배치하지 않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5. 각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1의 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 장치(10)와 수신 장치(20)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송신 장치의 구성)
도 22는, 도 1의 송신 장치(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에 있어서, 송신 장치(10)는 컴포넌트 취득부(111), 인코더(112), 시그널링 생성부(113), 시그널링 처리부(114), 패킷 생성부(115), 프레임 생성부(116) 및 송신부(117)로 구성된다.
컴포넌트 취득부(111)는, 외부의 서버나 내장한 스토리지, 혹은 비디오 카메라나 마이크로폰 등으로부터,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인코더(112)에 공급한다.
인코더(112)는, 컴포넌트 취득부(111)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의 부호화 방식에 준거하여 부호화하고, 패킷 생성부(115)에 공급한다.
시그널링 생성부(113)는, 외부의 서버나 내장된 스토리지 등으로부터, 시그널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근본(素) 데이터를 취득한다. 시그널링 생성부(113)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근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그널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시그널링 처리부(114)에 공급한다. 여기에서는, 시그널링 데이터로 하고, LLS 시그널링 데이터와, SLS 시그널링 데이터가 생성된다.
시그널링 처리부(114)는, 시그널링 생성부(113)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처리하고, 패킷 생성부(115) 또는 프레임 생성부(116)에 공급한다.
즉, 시그널링 처리부(114)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LLS 시그널링 데이터 중, FIT를, 프레임 생성부(116)에 공급함과 함께, FIT 이외의 LLS 시그널링 데이터와,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패킷 생성부(115)에 공급한다. 또한, 시그널링 처리부(114)는 L2 패킷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LLS 시그널링 데이터와,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패킷 생성부(115)에 공급한다.
패킷 생성부(115)는, 인코더(112)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와, 시그널링 처리부(114)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사용하고, IP 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패킷 생성부(115)는, 1개 또는 복수의 IP 패킷을 캡슐화함으로써, L2 패킷을 생성하고, 프레임 생성부(116)에 공급한다.
단, 패킷 생성부(115)은 L2 패킷 전송 방식 1이 사용되는 경우,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타입 정보, 클래스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가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패킷 생성부(115)는 L2 패킷 전송 방식 2가 사용되는 경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타입 정보, 클래스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가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패킷 생성부(115)는, L2 패킷 전송 방식 1 또는 L2 패킷 전송 방식 2가 사용되는 경우에, FIT를 전송할 때에는, 타입 정보에,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을 설정함과 함께, 클래스 정보와 데이터 버전 정보(버전 정보)를 설정하고, 그들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L2 패킷이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FIT는,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된다.
프레임 생성부(116)는, 패킷 생성부(115)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L2 패킷을 캡슐화함으로써, L1 프레임을 생성하고, 송신부(117)에 공급한다.
단, 프레임 생성부(116)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FIT 전송 플래그, 클래스 정보 및 버전 정보가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 생성부(116)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에, FIT를 전송할 때에는, FIT 전송 플래그에, "TRUE"를 설정함과 함께, 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를 설정하여, 그들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L1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FIT는,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된다.
송신부(117)는, 프레임 생성부(116)로부터 공급되는 L1 프레임에 대하여, 예를 들어 부호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디지털 변조, RF(Radio Frequency)대로의 업컨버전, 또는 전력 증폭 등의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118)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송신한다.
(수신 장치의 구성)
도 23은, 도 1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튜너(212), 디멀티플렉서(213), 제어부(214), NVRAM(215), 입력부(216), 통신부(217), 디코더(218) 및 출력부(219)로 구성된다.
튜너(212)는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안테나(211)에서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의 주파수 채널의 성분에 대하여 동조를 행한다. 또한, 튜너(212)는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동조된 디지털 방송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이 복조 처리에서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수신된 L1 프레임에 대한 복조 처리가 행해지고, 복조의 결과 얻어지는 스트림이, 디멀티플렉서(213)에 공급된다.
디멀티플렉서(213)는,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튜너(212)로부터 공급되는 스트림을,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와, 시그널링 데이터로 분리한다. 디멀티플렉서(213)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디코더(218)에 공급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를 제어부(214)에 공급한다.
제어부(214)는, 수신 장치(20)의 각부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14)는 디멀티플렉서(213)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멀티플렉서(213)를 제어하고,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가, 디코더(218)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14)는 디멀티플렉서(213)로부터 공급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신부(217)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214)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튜너(212)에 의해 처리되는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FIT 전송 플래그, 클래스 정보 및 버전 정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FIT 전송 플래그에 "TRUE"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헤더부에 배치되어 있는 FIT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214)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이 사용되는 경우, 디멀티플렉서(213)에 의해 처리되는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타입 정보, 클래스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타입 정보에,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페이로드부에 배치되어 있는 FIT를 취득한다.
또한, 제어부(214)는, L2 패킷 전송 방식 2가 사용되는 경우, 디멀티플렉서(213)에 의해 처리되는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타입 정보, 클래스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타입 정보에,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페이로드부에 배치되어 있는 FIT를 취득한다.
제어부(214)는, L1 프레임 또는 L2 패킷으로부터 취득된 FIT를, NVRAM(215)에 기록한다. NVRAM(215)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각종 데이터(예를 들어 FIT)를 기록한다. 입력부(216)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제어부(214)에 공급한다.
통신부(217)는,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인터넷(90)을 통해 서버(30)에 액세스하고, SLS 시그널링 데이터의 배신을 요구한다. 통신부(217)는 서버(30)로부터 배신되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인터넷(90)을 통해 수신하고, 제어부(214)에 공급한다. 제어부(214)는 통신부(217)로부터 공급되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멀티플렉서(213) 또는 통신부(217)를 제어한다.
통신부(217)는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인터넷(90)을 통해 서버(30)에 액세스하고,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 배신을 요구한다. 통신부(217)는, 서버(30)로부터 배신되는,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더(218)에 공급한다.
디코더(218)에는, 디멀티플렉서(213) 또는 통신부(217)로부터,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가 공급된다. 디코더(218)는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MPEG 등의 복호 방식에 준거하여 복호하고, 출력부(219)에 공급한다.
출력부(219)는, 디코더(218)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나 자막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도시생략)에 공급한다. 또한, 출력부(219)는 디코더(218)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의 데이터를, 스피커(도시생략)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는, 선국된 서비스의 영상이 표시되고, 스피커로부터는,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출력된다.
또한, 도 23에 있어서는, 수신 장치(20)가 텔레비전 수상기 등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가 내장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통신부(217) 등의 통신 기능을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6.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전송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처리)
우선, 도 2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송신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송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컴포넌트 취득부(111)는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스텝 S111에 있어서, 인코더(112)는 컴포넌트 취득부(111)로부터의 비디오나 오디오, 자막 등의 데이터를, MPEG 등의 부호화 방식에 준거하여 부호화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시그널링 생성부(113)는,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취득되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근본 데이터를 사용하여, LLS 시그널링 데이터 또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스텝 S112에 있어서, 시그널링 처리부(114)는 LLS 시그널링 데이터 또는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처리한다.
스텝 S113에 있어서, 패킷 생성부(115)는, 인코더(112)로부터의 컴포넌트의 데이터와, 시그널링 처리부(114)로부터의 시그널링 데이터에 기초하여, L2 패킷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패킷 생성부(115)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이 사용되는 경우,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타입 정보, 클래스 정보 및 데이터 버전 정보를 설정함과 함께, 페이로드부에 FIT를 배치하여,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L2 패킷이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FIT는, 각 서비스 사업자가 생성하는, 서비스를 선국할 때 필요해지는 제어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FIT로서 배치해서 전송해도 되며, 혹은, 각 서비스 사업자가 각각의 서비스를 선국할 때 필요하게 되는 제어 정보를 기술한 FIT를 생성하여 배치해서 전송해도 된다. 전자의 경우, 사업자 ID(provider_id)는, 하나의 값을 지정하면 된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사업자 ID(provider_id)는, 복수의 사업자마다 상이한 값을 지정하고, 수신 장치(20)가 서비스 사업자마다 제공되는 FIT의 계열을 식별할 수 있도록 전송할 필요가 있다.
스텝 S114에 있어서, 프레임 생성부(116)는, 패킷 생성부(115)로부터의 L2 패킷에 기초하여, L1 프레임을 생성한다. 단, 프레임 생성부(116)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FIT 전송 플래그, 클래스 정보, 및 버전 정보를 설정함과 함께, 헤더부에 FIT를 배치하여,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L1 프레임이 전송되도록 한다.
스텝 S115에 있어서, 송신부(117)는, 프레임 생성부(116)로부터의 L1 프레임에 대하여 OFDM 디지털 변조 등의 처리를 행하고, 안테나(118)를 통해 디지털 방송 신호로서 송신한다.
이상, 송신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 송신 처리에 있어서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그 헤더부에 FIT가 배치된 L1 프레임이 전송되고, L2 패킷 전송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그 페이로드부에 FIT가 배치된 L2 패킷이 전송된다.
(초기 스캔 처리)
다음으로, 도 2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초기 스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스텝 S211에 있어서는, 제어부(214)에 의해, 입력부(216)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이 감시되고, 초기 스캔 처리 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초기 스캔 처리가 개시되고, 처리는, 스텝 S212로 진행한다.
스텝 S212에 있어서, 튜너(212)는 제어부(214)로부터의 제어에 따라서, 주파수 스캔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13에 있어서는, 스텝 S212의 주파수 스캔 처리에 의해, 주파수 스캔이 성공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213에 있어서, 주파수 스캔이 실패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2의 처리로 복귀되고, 다시, 주파수 스캔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스텝 S213에 있어서, 주파수 스캔에 성공하였디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4로 진행한다.
스텝 S214에 있어서는, FIT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이 FIT 취득 처리에서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L1 프레임에서 초기 스캔용의 FIT가 전송되고 있을 때, 당해 FIT가 취득되고, 기록된다. 또한, L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 L2 패킷에 의해 초기 스캔용의 FIT가 전송되고 있을 때, 당해 FIT가 취득되고, 기록된다. 또한, FIT 취득 처리의 상세한 내용은,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FIT 취득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215로 진행한다. 스텝 S215에 있어서는, 전체 주파수 대역의 스캔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215에 있어서, 전체 주파수 대역의 스캔이 미완료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12로 되돌아가서, 스텝 S212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각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주파수 스캔 처리가 행해지고, 초기 스캔용의 FIT가 취득되고, 기록된다. 그리고, 스텝 S215에 있어서, 전체 주파수 대역의 스캔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도 25의 주파수 스캔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초기 스캔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FIT 취득 처리)
다음으로,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5의 스텝 S214의 처리에 대응하는 FIT 취득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FIT 취득 처리의 내용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과, L2 패킷 전송 방식에서 상이하므로, 최초에,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하고 나서, 그 다음에, L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한다. 단, L2 패킷 전송 방식으로서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대표로 설명한다.
(1)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FIT 취득 처리
스텝 S231에 있어서, 튜너(212)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하고, L1 프레임(대상 L1 프레임)을 취득한다. 또한, 이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정보는, 제어부(214)에 공급된다.
스텝 S232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FIT 전송 플래그(FIT_delivery_flag)가 "TRUE", 즉, FIT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2에 있어서, FIT가 전송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FIT_version)에 포함되는 클래스 ID(class_id)가 초기 스캔용의 FIT의 계열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클래스 ID가 초기 스캔용의 FIT의 계열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34로 진행한다. 스텝 S234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되어 있는 FIT를 취득하고, 선국 정보로서, NVRAM(215)에 기록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초기 스캔용의 FIT(예를 들어, "00"인 클래스 ID의 중간 주기의 FITM)에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서비스 명칭 기술자, 캐퍼빌리티 기술자 및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들 기술자에 기술된 내용이 기록된다. 또한, FIT가 사업자 ID(provider_id)로 나타내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전송되어 있는 경우, 수신 장치(20)는 스텝 S231 내지 S234의 처리(FIT 취득 처리)에 의해, 서비스 사업자마다 취득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234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도 25의 스텝 S214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S232에 있어서, FIT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233에 있어서, 클래스 ID가 초기 스캔용의 FIT의 계열을 나타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3 또는 S234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도 25의 스텝 S21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상,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FIT 취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2)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의 FIT 취득 처리
스텝 S231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213)은 L2 패킷(대상 L2 패킷)을 취득한다. 또한, 이 대상 L2 패킷의 헤더부나 페이로드 헤더의 정보는, 제어부(214)에 공급된다.
스텝 S232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의 타입 정보(type)에,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설정되어 있는, 즉,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2에 있어서, FIT가 전송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배치되는 확장 타입 정보에 포함되는 클래스 ID(class_id)가 초기 스캔용의 FIT의 계열을 나타내고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33에 있어서, 클래스 ID가 초기 스캔용의 FIT의 계열을 나타내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34로 진행한다. 스텝 S234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되는 FIT를 취득하여, 선국 정보로서, NVRAM(215)에 기록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초기 스캔용의 FIT(예를 들어, "00"인 클래스 ID의 중간 주기의 FITM)에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서비스 명칭 기술자, 캐퍼빌리티 기술자, 및 서비스 부트스트랩 기술자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들 기술자에 기술된 내용이 기록된다. 또한, FIT가 사업자 ID(provider_id)로 나타내는 복수의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전송되어 있는 경우, 수신 장치(20)는 스텝 S231 내지 S234의 처리(FIT 취득 처리)에 의해, 서비스 사업자마다 취득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234의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도 25의 스텝 S214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S232에 있어서, FIT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또는 스텝 S233에 있어서, 클래스 ID가 초기 스캔용의 FIT의 계열을 나타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33 또는 S234의 처리는 스킵되고, 처리는, 도 25의 스텝 S214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전술한 처리에서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L2 패킷 전송 방식 2를 이용한 경우에는, 타입 정보(type)은,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배치된다. 또한, 클래스 ID는,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의 확장 타입 정보에 포함된다.
이상,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의 FIT 취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이 FIT 취득 처리에 있어서, 수신 장치(20)는, 예를 들어 "00"인 클래스 ID의 FIT(중간 주기의 FITM)만을 취득(추출)하면 되므로, 효율적으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초기 스캔 처리 시에는, "10"인 클래스 ID의 FIT(긴 주기의 FITL)를 무시함으로써, 신속하게 초기 스캔 처리를 완료시킬 수 있다.
(선국 처리)
다음으로, 도 2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선국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스텝 S251에 있어서는, 제어부(214)에 의해, 입력부(216)로부터의 조작 신호 등이 감시되고, 서비스 선국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스텝 S252에 있어서, 서비스 선국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53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선국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ID(채널 번호)를 취득한다. 또한, 스텝 S254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NVRAM(215)을 참조하여, 선국 정보(FIT)가 기록되고, 취득 완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54에 있어서, 선국 정보가 취득 완료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5로 진행한다. 스텝 S255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NVRAM(215)에 기록된 선국 정보(FIT)를 판독하여 취득한다.
한편, 스텝 S254에 있어서, 선국 정보가 취득 완료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5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56에 있어서는, FIT 취득 처리가 행해진다. 이 FIT 취득 처리에서는,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는, L1 프레임으로 전송되는 초기 스캔용의 FIT가 취득되고, 기록된다. 또한, L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에는, L2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초기 스캔용의 FIT가 취득되고, 기록된다. 또한, FIT 취득 처리가 상세한 내용은, 도 26의 흐름도의 설명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스텝 S257에 있어서는, 튜너(212), 디멀티플렉서(213) 및 제어부(214) 등에 의해, 스텝 S255의 처리에서 취득된 선국 정보(FIT)에 기초한 선국 처리가 행해진다. 수신 장치(20)에서는, 이 선국 처리의 결과, 선국된 서비스의 영상과 음성이 출력된다.
이상, 선국 처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
마지막으로, 도 2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단, 도 28의 흐름도의 처리가 실행되는 전제로서, 도 27의 선국 처리가 실행되고, 선국된 서비스가 시청되고 있도록 한다.
또한,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의 내용은, L1 프레임 전송 방식과, L2 패킷 전송 방식에서 상이하므로, 처음에,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하고 나서, 그 다음에, L2 패킷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를 설명한다. 단, L2 패킷 전송 방식으로서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대표로 설명한다.
(1)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
스텝 S271에 있어서, 튜너(212)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복조 처리를 행하고, L1 프레임(대상 L1 프레임)을 취득한다. 또한, 이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정보는, 제어부(214)에 공급된다.
스텝 S272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FIT 전송 플래그(FIT_delivery_flag)가 "TRUE", 즉, FIT가 전송되었음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72에 있어서, FIT 전송 플래그가 "FALSE"가 되고, FIT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71로 되돌아가서,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스텝 S271 내지 S272의 처리가 반복되고, FIT 전송 플래그가 "TRUE"로 되는 L1 프레임이 취득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7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73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1 프레임의 헤더부의 FIT 버전 정보(FIT_version)에 포함되는 클래스 ID(class_id)와 버전 정보(version)를 취득한다.
스텝 S274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스텝 S273의 처리에서 취득한 클래스 ID와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FIT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클래스 ID는, 사업자 ID(provider_id)와 배신 클래스 ID(delivery_group_id)로 구성할 수 있다. 즉, FIT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상이하면, 당해 클래스 ID는 상이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서비스 사업자마다, FIT가 갱신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스텝 S274에 있어서, FIT가 갱신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75로 진행한다. 스텝 S275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동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계열의 FIT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75에 있어서, 동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계열의 FIT가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7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76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동적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FIT의 내용이, 시청 중인 서비스의 상태에 반영되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동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계열의 FIT(예를 들어, "00"인 클래스 ID의 짧은 주기 FITS)에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로서, 서비스 스테이터스 기술자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대상의 서비스 스테이터스로서, 비액티브 상태(inactive)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청 중인 서비스를 종료시킨다.
또한, 스텝 S275에 있어서, 동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계열의 FIT가 갱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77로 진행한다. 스텝 S277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정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계열의 FIT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77에 있어서, 정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FIT가 갱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78로 진행한다. 스텝 S278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정적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FIT를 갱신하여, NVRAM(215)에 기록되도록 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정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FIT(예를 들어, "10"인 클래스 ID의 긴 주기 FITL)에는, 시그널링 템플릿 기술자 또는 시그널링 오버 인터넷 기술자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시그널링 템플릿이나 SLS 시그널링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URI가 갱신되게 된다.
스텝 S278의 처리가 종료되면,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는 종료된다. 또한, 스텝 S277에 있어서, 정적 파라미터를 전송하는 계열의 FIT가 갱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78의 처리는 스킵된다. 또한, 스텝 S274에 있어서, FIT가 갱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75 내지 S278의 처리는, 스킵된다.
이상,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2)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의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
스텝 S271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213)는, L2 패킷(대상 L2 패킷)을 취득한다. 또한, 이 대상 L2 패킷의 헤더부나 페이로드 헤더의 정보는, 제어부(214)에 공급된다.
스텝 S272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의 타입 정보(type)에, "FIT"를 나타내는 비트열이 설정되어 있는, 즉, FIT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72에 있어서, FIT가 전송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27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73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대상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배치되는 확장 타입 정보에 포함되는 클래스 ID(class_id)와, 확장 헤더에 배치되는 데이터 버전 정보(data version)를 취득한다.
스텝 S274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스텝 S273의 처리에서 취득한 클래스 ID와 데이터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FIT가 갱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클래스 ID는, 사업자 ID(provider_id)와 배신 클래스 ID(delivery_group_id)로 구성할 수 있다. 즉, FIT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상이하면, 당해 클래스 ID는 상이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서비스 사업자마다, FIT가 갱신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이 행해진다.
또한, 스텝 S275 내지 S278의 처리는, 전술한 L1 프레임 전송 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와 마찬가지이며, 그 설명은 반복이 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단,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 FIT는,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처리에서는,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L2 패킷 전송 방식 2를 이용한 경우에는, 타입 정보(type)는,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배치된다. 또한, 클래스 ID는, 대상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의 확장 타입 정보에 포함된다.
이상, L2 패킷 전송 방식 1을 이용한 경우의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였다.
이 선국 중의 FIT 취득 처리에 있어서는, L1 프레임의 헤더부나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전송 계열 정보(클래스 정보와 버전 정보)가 설정됨으로써, FIT가 클래스마다 복수의 계열로 분류되고, 예를 들어 짧은 주기의 FITS(예를 들어 100밀리초 주기)나 긴 주기의 FITL(예를 들어 10초 주기), 중간 주기의 FITM(예를 들어 1초 주기) 등, 복수의 전송 주기에서 FIT가 전송되고 있다. 그로 인해, 전송 주기마다, FIT에 배치되는 서비스 레벨 기술자가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신 장치(20)에서는, 시간적인 제한이 있는 정보나 시간적인 제한이 없는 정보 등을, 용도에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전송 계열 정보로서, FIT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는 사업자 ID(provider_id)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FIT를, 서비스 사업자마다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10.1과 10.2를 방송하는 방송국 A와, 채널 11.1을 방송하는 방송국 B와, 채널 10.1과 10.2와 11.1의 ESG 메타데이터를 배신하는 ESG 서비스 사업자 C에 의해 제공되는 FIT를, 각각의 계열로 배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채널 10.1이 시청되고 있는 경우, 방송국 A의 FIT를 감시하면, 서비스의 동적 파라미터를 취득할 수 있는 점에서, 서비스의 시청 상황에 적합한 FIT만을 필터링하여 취득할 수 있다.
<7. 변형예>
전술한 설명에서는, 현재 책정이 추진 중인 미국의 차세대 방송 규격인 ATSC 3.0에 있어서,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채용이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의 규격으로서, 미국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방식인 ATSC를 예시하였지만, 일본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ISDB(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나, 유럽의 각국 등이 채용하는 방식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등에 적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상 디지털 방송 외에, 위성 디지털 방송이나 디지털 유선 텔레비전 방송 등에서 채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시그널링 데이터의 명칭으로서, Description의 약어인 「D」를 사용하였지만, Table의 약어인 「T」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SPD(Service Parameter Description)는 SPT(Service Parameter Table)라 기술되는 경우가 있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Description」과 「Table」의 형식적인 차이이며, 각 시그널링 데이터가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시그널링 데이터가, 바이너리 형식에 의해 기술된 경우에 있어서의, 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들 구성 요소의 명칭은 일례로서, 다른 명칭이 채용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FIT에 규정되는 「브로드캐스트 스트림 ID(Broadcast_stream_id)」는, 「네트워크 ID(Network ID)」나 「RF 얼로케이션 ID(RF Alloc ID)」, 「RF 채널 ID(RF Channel ID)」등이라 칭하도록 해도 된다. 단,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로서, 그들 구성 요소의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클래스 ID는, 사업자 ID(provider_id)와 배신 클래스 ID(delivery_group_id)로 구성되는 설명을 하였지만, 실제의 서비스 운용 형태에 따라서는, 클래스 ID를 다른 전송 계열 정보에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사업자가, 수신 장치(20)의 디코드·출력 능력(예를 들어, H. 264/AVC 또는 HEVC, 4K 또는 2K 등)에 따라서 채널을 구성하는 경우, 서비스의 수신에 필요한 수신 장치(20)의 능력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서비스 사업자가 방송 채널을 특정한 지역으로 한정해서 제공하고 싶은 경우, 클래스 ID의 일부를 지역 코드와 관련지어진 값(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우편 번호나 위도 경도 정보 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FIT가 서비스 루프에 의해 복수의 서비스를 기술하는 경우, 서비스의 기술마다 복수의 전송 계열에 의해 전송되어도 된다. 즉, 클래스 ID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전송 계열을 나타내는 식별자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전송 계열을 식별하는 ID의 명칭으로서 「클래스 ID」를 사용하였지만, 별도의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FIT의 전송 계열의 그룹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룹 ID」나 「전송 그룹 ID」, 「세그먼트 ID」나 「전송 세그먼트 ID」, 「파트 번호」나 「토탈 파트 수」, 「파트 ID」 등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사업자 ID(provider_id)」는, 「사업자 태그(provider_tag)」 등이라 칭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들 명칭의 차이는, 형식적인 차이로서, 그들 구성 요소의 실질적인 내용이 상이한 것은 아니다.
<8. 컴퓨터의 구성>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도 29는,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9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901), ROM(Read Only Memory)(902), RAM(Random Access Memory)(903)은, 버스(9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9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9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05)에는, 입력부(906), 출력부(907), 기록부(908), 통신부(909), 및 드라이브(9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9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9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908)는, 하드디스크나 불휘발성이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9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910)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900)에서는, CPU(901)가, ROM(902)이나 기록부(9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905) 및 버스(904)를 통해 RAM(903)에 로드해서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900)(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911)에 기록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9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드라이브(9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905)를 통해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909)에서 수신하고,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902)이나 기록부(9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행해질 필요는 없다. 즉, 컴퓨터가 프로그램에 따라서 행하는 처리는, 병렬적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 수를 나타내는 클래스 수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 ID를 포함하는 클래스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
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송신 장치.
(3)
상기 클래스 ID는, 전송 주기마다, 다른 전송 계열로서 상기 제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송신부는, 전송 계열에 따른 전송 주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도록,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송신 장치.
(4)
상기 클래스 ID는, 상기 서비스의 선국을 행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를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이라고 식별하고,
상기 송신부는,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가,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보다도 짧아지도록,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송신 장치.
(5)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6)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 걸쳐서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는, 상기 클래스 ID에 따른 갱신의 우선도가 할당되어 있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7)
상기 제1 데이터는, 레이어 1의 L1 프레임이며,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8)
상기 제1 데이터는, 레이어 2의 L2 패킷이며,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9)
상기 제1 데이터는, 레이어 2의 L2 패킷이며,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장치.
(10)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송신 장치.
(11)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12)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로서,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13)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 수를 나타내는 클래스 수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 ID를 포함하는 클래스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
를 포함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수신 장치.
(14)
상기 클래스 ID는, 전송 주기마다, 다른 전송 계열로서 상기 제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는, 전송 계열에 따른 전송 주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도록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수신 장치.
(15)
상기 클래스 ID는, 상기 서비스의 선국을 행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를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이라고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는,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가,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보다도 짧아지도록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수신 장치.
(16)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7)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기술자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 걸쳐서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는, 상기 클래스 ID에 따른 갱신의 우선도가 할당되어 있는, 상기 (13)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8)
상기 제1 데이터는, 레이어 1의 L1 프레임이며,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L1 프레임의 헤더부에 배치되는, 상기 (13)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9)
상기 제1 데이터는, 레이어 2의 L2 패킷이며,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헤더부의 확장 헤더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배치되는, 상기 (13)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20)
상기 제1 데이터는, 레이어 2의 L2 패킷이며,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 헤더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L2 패킷의 페이로드부의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상기 (13)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21)
상기 전송 계열 정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수신 장치.
(22)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계열을 나타내는 전송 계열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로서,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계열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제어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1: 전송 시스템
10: 송신 장치
20: 수신 장치
30: 서버
80: 전송로
90: 인터넷
111: 컴포넌트 취득부
112: 인코더
113: 시그널링 생성부
114: 시그널링 처리부
115: 패킷 생성부
116: 프레임 생성부
117: 송신부
212: 튜너
213: 디멀티플렉서
214: 제어부
215: NVRAM
216: 입력부
217: 통신부
218: 디코더
219: 출력부
900: 컴퓨터
901: CPU
10: 송신 장치
20: 수신 장치
30: 서버
80: 전송로
90: 인터넷
111: 컴포넌트 취득부
112: 인코더
113: 시그널링 생성부
114: 시그널링 처리부
115: 패킷 생성부
116: 프레임 생성부
117: 송신부
212: 튜너
213: 디멀티플렉서
214: 제어부
215: NVRAM
216: 입력부
217: 통신부
218: 디코더
219: 출력부
900: 컴퓨터
901: CPU
Claims (20)
-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와 함께,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버전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그룹 ID와 그룹의 수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 ID와 클래스의 수를 포함하는, 송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전송 주기마다, 다른 전송 계열로서 상기 제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송신부는, 전송 계열에 따른 전송 주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도록,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선국을 행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제어 정보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제어 정보를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이라고 식별하고,
상기 송신부는,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가,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보다도 짧아지도록,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 관련지어져 있는, 송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 걸쳐서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갱신의 우선도가 할당되어 있는, 송신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IP 패킷 또는 UDP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송신 장치. - 송신 장치에서의 송신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와 함께,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버전 정보에 따른 전송 계열에서 상기 제1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방법. -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서비스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그룹 ID와 그룹의 수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을 식별하기 위한 클래스 ID와 클래스의 수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초기 스캔을 위한 주파수 스캔 처리 동안 저장되는, 수신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제어 정보는, 채널 선택 동안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버전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되는, 수신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전송 주기마다, 다른 전송 계열로서 상기 제어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는, 전송 계열에 따른 전송 주기에서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도록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서비스의 선국을 행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제어 정보와, 상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제어 정보를 서로 다른 전송 계열이라고 식별하고,
상기 수신부는, 동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가, 정적으로 갱신해야 할 상기 제어 정보의 전송 주기보다도 짧아지도록 송신되어 오는,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 관련지어져 있는, 수신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서비스마다, 각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는,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 걸쳐서 관련지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에는, 상기 식별 정보에 따른 갱신의 우선도가 할당되어 있는, 수신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IP 패킷 또는 UDP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수신 장치. - 수신 장치에서의 수신 방법으로서,
상기 수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서비스의 선국 시에 필요해지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의 식별 정보와, 상기 제어 정보의 계열마다의 버전을 나타내는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버전 정보에 따라서 취득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024779 | 2015-02-10 | ||
JPJP-P-2015-024779 | 2015-02-10 | ||
JPJP-P-2015-042752 | 2015-03-04 | ||
JP2015042752 | 2015-03-04 | ||
KR1020167026822A KR101722364B1 (ko) | 2015-02-10 | 2016-01-29 |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PCT/JP2016/052583 WO2016129407A1 (ja) | 2015-02-10 | 2016-01-29 |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6822A Division KR101722364B1 (ko) | 2015-02-10 | 2016-01-29 |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287A true KR20170106287A (ko) | 2017-09-20 |
KR102330694B1 KR102330694B1 (ko) | 2021-11-25 |
Family
ID=566142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8154A KR102330694B1 (ko) | 2015-02-10 | 2016-01-29 | 송신 장치, 송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 |
KR1020167026822A KR101722364B1 (ko) | 2015-02-10 | 2016-01-29 |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6822A KR101722364B1 (ko) | 2015-02-10 | 2016-01-29 |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3) | US11444885B2 (ko) |
EP (1) | EP3258696B1 (ko) |
JP (1) | JPWO2016129407A1 (ko) |
KR (2) | KR102330694B1 (ko) |
CN (1) | CN106134207B (ko) |
CA (1) | CA2944781C (ko) |
MX (1) | MX2016012951A (ko) |
WO (1) | WO201612940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2387B1 (ko) * | 2014-11-13 | 2021-11-30 | 소니그룹주식회사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
WO2016093537A1 (ko) | 2014-12-10 | 2016-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
US10498792B2 (en) * | 2015-05-17 | 2019-12-03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
US20220299617A1 (en) * | 2021-03-19 | 2022-09-22 | Facebook Technologies,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triggering of rang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3814A (ja) * | 1997-08-27 | 1999-06-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放送システムの制御情報作成装置 |
JP2008263616A (ja) | 2008-04-28 | 2008-10-30 | Sony Corp |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
KR20100074818A (ko) * | 2008-12-24 | 2010-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02726A (en) * | 1992-01-31 | 1996-03-26 | Nellcor Incorporated | Serial layered medical network |
EP0899955A3 (en) | 1997-08-27 | 2001-01-3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for broadcast system |
US20060123097A1 (en) * | 2004-12-02 | 2006-06-08 | Nokia Corporation | Enhanced electronic service guide container |
KR101456002B1 (ko) * | 2007-06-26 | 2014-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KR101461958B1 (ko) * | 2007-06-29 | 2014-11-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US8051451B2 (en) * | 2007-08-24 | 2011-11-01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US8087052B2 (en) * | 2007-09-21 | 2011-12-27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WO2009038439A2 (en) * | 2007-09-21 | 2009-03-26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EP2063638A1 (fr) * | 2007-11-26 | 2009-05-27 | Nagravision S.A. | Méthode d'évaluation de droits d'utilisateurs stockés dans un module de sécurité |
EP2654266B1 (en) | 2008-06-07 | 2018-12-12 | Coherent Logix Incorporated |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use with multimedia streams |
WO2010021526A2 (en) * | 2008-08-22 | 2010-02-25 | Lg Electronics Inc. | A method for pro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n announced service or content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
KR101598093B1 (ko) | 2009-02-02 | 2016-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
US9204289B2 (en) | 2011-02-15 | 2015-1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user equipment catego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30034032A1 (en) * | 2011-08-05 | 2013-02-07 | Nokia Corporation | Accessing Service Guide Information in a Broadcast System |
US9838748B2 (en) | 2013-07-05 | 2017-12-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
US10271269B2 (en) * | 2013-09-27 | 2019-04-23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Changes of cluster head |
-
2016
- 2016-01-29 KR KR1020177008154A patent/KR1023306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1-29 CA CA2944781A patent/CA2944781C/en active Active
- 2016-01-29 MX MX2016012951A patent/MX2016012951A/es unknown
- 2016-01-29 EP EP16749051.5A patent/EP3258696B1/en active Active
- 2016-01-29 KR KR1020167026822A patent/KR10172236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1-29 JP JP2016555629A patent/JPWO2016129407A1/ja not_active Ceased
- 2016-01-29 CN CN201680000955.4A patent/CN106134207B/zh active Active
- 2016-01-29 WO PCT/JP2016/052583 patent/WO201612940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1-29 US US15/301,547 patent/US11444885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8-04 US US17/881,343 patent/US11956159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02-06 US US18/433,560 patent/US2024017910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63814A (ja) * | 1997-08-27 | 1999-06-1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放送システムの制御情報作成装置 |
JP2008263616A (ja) | 2008-04-28 | 2008-10-30 | Sony Corp |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
KR20100074818A (ko) * | 2008-12-24 | 2010-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데이터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ervice Multiplex and TransportSubsystem Charateristics, ATSC Mobile DTV Standard A/153, Part 3,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ee, 2013.10.29.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377018A1 (en) | 2022-11-24 |
US20170034066A1 (en) | 2017-02-02 |
EP3258696B1 (en) | 2021-04-28 |
CN106134207B (zh) | 2020-12-11 |
CA2944781A1 (en) | 2016-08-18 |
CN106134207A (zh) | 2016-11-16 |
MX2016012951A (es) | 2017-01-20 |
CA2944781C (en) | 2023-10-24 |
JPWO2016129407A1 (ja) | 2017-11-24 |
KR20160119865A (ko) | 2016-10-14 |
KR101722364B1 (ko) | 2017-03-31 |
EP3258696A4 (en) | 2018-08-29 |
KR102330694B1 (ko) | 2021-11-25 |
EP3258696A1 (en) | 2017-12-20 |
US11444885B2 (en) | 2022-09-13 |
US11956159B2 (en) | 2024-04-09 |
US20240179100A1 (en) | 2024-05-30 |
WO2016129407A1 (ja) | 2016-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74993B2 (en) | Reception device,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 |
KR101760445B1 (ko)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 |
US11395123B2 (en) |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 |
US11871087B2 (en) | Receiver, reception metho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 |
US11956159B2 (en) |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 |
JPWO2018008430A1 (ja) |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