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274A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06274A KR20170106274A KR1020170116046A KR20170116046A KR20170106274A KR 20170106274 A KR20170106274 A KR 20170106274A KR 1020170116046 A KR1020170116046 A KR 1020170116046A KR 20170116046 A KR20170116046 A KR 20170116046A KR 20170106274 A KR20170106274 A KR 201701062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robot cleaner
- information
- image
- cleaning are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 G06K9/20—
-
- G06K9/6201—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 G05D2201/02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청소 수행중에 임의의 원인으로 청소가 강제 종료된 후, 다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 절대 위치 인식 유닛을 통해 자기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중복 청소를 방지하고, 영상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상대 위치 인식 유닛의 위치 인식 오류를 개선하고, 상기 영상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한 영상과 청소 영역에 대한 영상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 및 안정성을 제고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한다.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re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prevents overlapping cleaning by recognizing its own position through an absolute position recognizing unit when performing cleaning again after a forced termination of cleaning for any reason during execution of cleaning, The position recognition error of the recognition unit is improved and clean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similarity degree of the image detected with the image detection unit and the image of the cleaning region,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system and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방 카메라와 같은 영상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하는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for accurately recognizing its own position using an image detection unit such as an upper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 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의료용 로봇, 우주 항공 로봇 등이 개발되고,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In gener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industrial use and have been part of factory automation. In recent years, medical robots, aerospace robots,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and household robots that can be used in ordinary homes are being developed.
상기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는 로봇 청소기로서, 일정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주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가전기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고, 주행 중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장애물 센서를 구비하여 스스로 주행하며 청소할 수 있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domestic robot is a robot cleaner, which is a type of household appliance that sucks and cleanes dust or foreign matter around the robot while traveling in a certain area by itself. Such a robot cleaner is generally equipp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nd has an obstacle sensor capable of avoiding obstacles during traveling, so that it can run and clean by itself.
상기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주행하면서 영역을 모두 청소하기 위해서는 청소지도를 작성하고, 작성된 청소지도 내에서 청소가 된 영역과 청소를 하여야 할 영역 등 청소 영역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의 영역 판단 능력은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의 정확한 제어 성능에 의해서 결정된다.In order to clean all the areas while the robot cleaner runs on its own, a cleaning map should be created and a cleaning area such as a cleaned area and a cleaning area should be determined. The area determination capability is generally determined by the accurate control performance of the robot cleaner.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청소를 수행하는 중에 바퀴 빠짐과 같은 기구적인 한계, 또는 먼지 통 교체, 걸레 교체와 같은 사용자 개입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청소가 종료되는 경우에 원인이 제거된 후 다시 청소를 수행하더라도 자기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청소 종료 원인을 제거한 다음 임의의 위치에 로봇 청소기를 놓은 후, 청소 시작 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 경우에 상대 위치 인식 센서를 구비한 로봇 청소기는 현재 위치 정보를 인식하기 어려워, 기 청소 영역과 미 청소 영역을 구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상기의 경우에 기 청소 영역에 대하여 중복 청소를 수행하거나, 또는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처음부터 청소를 다시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not cleaned by unintentional cleaning due to mechanical limitations such as wheel dropping or user intervention such as replacing dust bin or mopp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ition of the user is not recognized. Most of the users generally remove the cause of the cleaning end and then place the robot cleaner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then press the clean start button. In this case, the robot cleaner equipped with the relative position recognition sensor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pre-cleaning area and the non-cleaning area. Therefore,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conducts redundant cleaning for the pre-cleaning area or performs cleaning again from the beginning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소 수행중에 임의의 원인으로 청소가 강제 종료된 후, 다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 절대 위치 인식 유닛을 통해 자기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중복 청소를 방지하는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일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cleaner for avoiding redundant cleaning by recognizing its own position through an absolute position recognizing unit when cleaning is forcibly termina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영상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상대 위치 인식 유닛의 위치 인식 오류를 개선하고, 상기 영상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한 영상과 청소 영역에 대한 영상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for improving the position recognition error of a relative position recognition unit by using an image detection unit and performing efficient cleaning using the similarity of the image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There are other purposes in providing a control method.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과, 상기 구조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과, 청소 재개 후 상기 검출 유닛이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구조물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절대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tructure information in a cleaning area;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structure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beforehand and recognizing the absolute posi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performing cleaning on the cleaning area.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a pre-cleaning area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청소 영역 내에서 상방 또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검출 유닛이고,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may be an im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mage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upward or forward in the cleaning area, and the storage unit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영상 검출 유닛이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낸다.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extracts one or more feature points from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Here, the minutiae include minutia information composed of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descriptor indicate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또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절대 위치를 인식한다.Further,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minutiae points by using the minutia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absolute position using the similarity.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청소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검출 유닛과, 상기 영상 정보와, 기 청소 영역 및 미 청소 영역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과,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영상 정보와 청소 재개 후 상기 영상 검출 유닛이 검출한 영상 정보로부터 각각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 모듈과, 상기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유사도 연산 모듈과, 상기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모듈과, 상기 위치 인식 모듈이 인식한 위치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영역 판단 모듈과, 상기 영역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미 청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obot cleaner including an imag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ideo image by detecting a video image,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video image, A feature point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after the resume of cleaning, a similarity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feature points, An area judging module for judging whether the cleaning area of the position recognized by the position recognizing module is a non-cleaning area; And a control module for performing cleaning on the area.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낸다.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utiae include minutia information constituted by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descriptor represent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청소 수행 중,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단계와, 상기 제1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구조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청소 재개 후, 상기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단계와, 상기 제2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구조물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와,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로봇 청소기의 절대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단계와, 상기 위치인식단계의 인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수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cting step of detecting structure information in a cleaning area during cleaning, a storing step of stor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first detecting step, A second detecting step of detecting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after cleaning is resumed;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second detecting step with the struc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ing step; A position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n absolut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step; and a cleaning step of performing cleaning on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position recognition step.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영역판단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reg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a pre-cleaning area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step.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정보는, 상기 청소 영역 내에서 상방 또는 전방을 촬영한 영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nformation is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upward or forward in the cleaning area.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낸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feature point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feature point from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second detecting step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ing step. Here, the minutiae include minutia information composed of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descriptor indicate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유사도연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imilarity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inutiae points using the minutia information, and the comparing step compares the similarities with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유사도가 일정 유사도보다 작으면, 다른 청소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2 검출단계 이후의 동작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similarity degree is smaller than a certain degree of similarity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robot cleaner moves to another cleaning area and performs operations after the second detection step again.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청소 수행중에 임의의 원인으로 청소가 강제 종료된 후, 다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 절대 위치 인식 유닛을 통해 자기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중복 청소를 방지한다.The robot cleaner and the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 the self position through the absolute position recognition unit when cleaning is performed after the cleaning is forcibly terminated for any reason during the cleaning, do.
본 발명은 영상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상대 위치 인식 유닛의 위치 인식 오류를 개선하고, 상기 영상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한 영상과 청소 영역에 대한 영상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 및 안정성을 제고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osition recognition error of the relative position recognition unit using an image detection unit and performs cleaning using the similarity of the image of the cleaning area and the image detected through the image detection unit,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ncreas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가 특징점을 추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FIG. 1 and FIG. 2 are block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extracting feature points by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flowchart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 robot clea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100)과, 상기 구조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300)과, 청소 재개 후 상기 검출 유닛(100)이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구조물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절대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구조물 정보는, 천장을 포함하는 상방 영역 또는 전방에 존재하는 형광등, 인테리어 구조물, 벽이나, 천장 등에 의해 추출된 직선, 영상 등이다. 상기 제어 유닛(200)은,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구조물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한다.The structure information may be an upper region including a ceiling or a straight line or a picture extracted by a fluorescent lamp, an interior structure, a wall, a ceiling or the like existing in front of the ceiling. The
상기 검출 유닛(100)은 청소 수행중이거나, 주행중에 청소 영역 내의 주변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저장 유닛(300)은 상기 구조물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 유닛(300)은 상기 검출된 구조물 정보뿐만 아니라 미리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등에 의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청소 수행이 중단된 후 다시 재개되면, 상기 검출 유닛(100)은 다시 로봇 청소기가 놓인 위치에서 구조물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 유닛(200)은 상기 검출 유닛(100)이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구조물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의 위치는 거리 센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엔코더(Encoder) 등에 의해 로봇 청소기의 이동에 의한 상대 위치가 아니라, 청소 영역들 중 어느 청소 영역, 또는 여러 방들 중 어느 방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절대 위치이다. 상기 저장 유닛(300)은 청소 경로, 청소 패턴, 청소 영역 정보 등의 청소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제어 유닛(200)은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청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인식된 위치에서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기 청소 영역인지를 판단한다.Th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검출 유닛(100)은, 상기 청소 영역 내에서 상방 또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검출 유닛(110)이고, 상기 저장 유닛(300)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은,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을 촬영하여 상방 영상을 검출하는 상방 카메라이거나, 또는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검출하는 전방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로는 소정의 위치에서도 상방 또는 전방의 모든 영역, 예를 들어 천장의 모든 영역이 촬영될 수 있도록 화각이 넓은 렌즈, 예를 들어 화각이 160도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여기서, 상기 제어 유닛(200)은,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이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상기 제어 유닛(200)은, 상기 복수의 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좌표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을 통해 검출된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들은 천장을 포함하는 상방 영역 또는 전방에 존재하는 형광등, 인테리어 구조물 등의 자연 표식이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을 포함하는 일정한 크기의 행렬이 된다. 상기 기술자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위치에서의 구조물의 형태 또는 모양을 포함한다.Here, the
또한, 상기 제어 유닛(200)은,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절대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제어 유닛(200)은, 상기 저장 유닛(300)에 미리 저장된 영상 정보, 즉 영상이나 특징점 등과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을 통해 검출된 영상의 영상 정보들을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정합하고,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한다. 상기 특징점들 간에는 유사도를 판별하는 특징점 공간에서의 거리가 존재한다. 즉, 상기 거리가 짧으면 상기 특징점들은 큰 유사도를 가지고, 상기 거리가 길면 상기 특징점들의 유사도는 작아진다. 상기 특징점은, 예를 들어, (x1,i, y1,i), (x2,i, y2,i)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특징점을 3차원 좌표계 상의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특징점들 사이의 거리(Δ)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쓸 수 있다.Further, the
[수학식 1][Equation 1]
상기 제어 유닛(200)은,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그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이면 이를 동일한 특징점으로 판단하여 정합한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Equation 1,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thereof.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청소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검출 유닛(110)과, 상기 영상 정보와, 기 청소 영역 및 미 청소 영역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300)과,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영상 정보와 청소 재개 후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이 검출한 영상 정보로부터 각각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 모듈(210)과, 상기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유사도 연산 모듈(220)과, 상기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모듈(230)과, 상기 위치 인식 모듈이 인식한 위치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영역 판단 모듈(240)과, 상기 영역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미 청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5,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특징점 추출 모듈(210), 상기 유사도 연산 모듈(220), 상기 위치 인식 모듈(230), 상기 영역 판단 모듈(240), 상기 제어 모듈(250)은 각각 서로 다른 유닛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의 제어 유닛(200)으로 통합될 수 있다.The feature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은,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을 촬영하여 상방 영상을 검출하는 상방 카메라이거나, 또는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검출하는 전방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렌즈로는 소정의 위치에서도 상방 또는 전방의 모든 영역, 예를 들어 천장의 모든 영역이 촬영될 수 있도록 화각이 넓은 렌즈, 예를 들어 화각이 160도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The
상기 특징점 추출 모듈(210)은,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이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상기 특징점 추출 모듈(210)은, 상기 복수의 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좌표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을 통해 검출된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들은 천장을 포함하는 상방 영역 또는 전방에 존재하는 형광등, 인테리어 구조물 등의 자연 표식이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을 포함하는 일정한 크기의 행렬이 된다. 상기 기술자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위치에서의 구조물의 형태 또는 모양을 포함한다.The feature
또한, 상기 유사도 연산 모듈(220)은,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위치 인식 모듈(230)은 상기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절대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 상기 유사도 연산 모듈(220)은, 상기 저장 유닛(300)에 미리 저장된 영상 정보, 즉 영상이나 특징점 등과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을 통해 검출된 영상의 영상 정보들을 이용하여 특징점들을 정합하고, 상기 특징점 정합을 통해 유사도를 연산한다. 상기 특징점들 간에는 유사도를 판별하는 특징점 공간에서의 거리가 존재한다. 즉, 상기 거리가 짧으면 상기 특징점들은 큰 유사도를 가지고, 상기 거리가 길면 상기 특징점들의 유사도는 작아진다.Also, the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은 청소 수행중이거나, 주행중에 청소 영역 내의 주변 영상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저장 유닛(300)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 유닛(300)은 상기 검출된 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미리 청소 영역 내의 영상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등에 의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청소 수행이 중단된 후 다시 재개되면,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은 다시 로봇 청소기가 놓인 위치에서 영상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상기 위치 인식 모듈(230)은,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이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한다. 이때의 위치는 거리 센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엔코더 등에 의해 로봇 청소기의 이동에 의한 상대 위치가 아니라, 청소 영역들 중 어느 청소 영역, 또는 여러 방들 중 어느 방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절대 위치가 된다. 상기 영역 판단 모듈(240)은, 검출한 영상 정보와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위치 인식 모듈(230)이 인식한 로봇 청소기의 절대 위치가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 유닛(300)은 청소 경로, 청소 패턴, 청소 영역 정보 등의 청소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영역 판단 모듈(240)은,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청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상기 위치 인식 모듈(230)이 인식한 위치에서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기 청소 영역인지를 판단한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바퀴를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를 이동하는 구동 유닛(500)과, 상기 바퀴에 연결되어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 유닛(500)은 복수의 주바퀴와 하나 이상의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상기 다수의 바퀴를 회전시키는 소정의 휠모터(Wheel Motor)를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상기 구동 유닛(500)을 통해 주행 중이거나 청소 중에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을 통해 상기 복수의 영상 정보들을 검출한다. 상기 거리 센서로는 로봇 청소기의 바퀴를 구동하는 휠모터와 연결되어 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를 주로 사용할 수 있는데, 그 대신에 속도 및 위치를 인식하는 가속도 센서, 로봇 청소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 등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장애물 검출 유닛(6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250)은, 상기 장애물을 근거로 내부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지도를 근거로 청소경로 또는 주행경로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250)은, 상기 위치를 근거로 상기 청소경로 또는 상기 주행경로를 수정하고, 수정된 청소경로 또는 수정된 주행경로를 근거로 청소를 수행하거나, 또는 주행한다. 상기 장애물 검출 유닛(600)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주행 중이거나, 청소 중에 로봇 청소기 주변의 장애물을 검출하고, 상기 장애물의 유무, 또는 위치, 크기 등의 장애물 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250)에 전달한다. 상기 장애물 검출유닛(600)으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RF 센서(Radio Frequency Sensor)나 범퍼(Bump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애물 검출유닛(600)은, 초음파 센서, 적외선 삼각 측량 방식을 이용하여 거리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PSD (Position Sensitive Device) 센서, 또는 레이저를 발사한 뒤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레이저를 검출하여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Laser Range Finder; LRF) 등을 이용하여 벽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근거로 벽면의 형태, 위치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검출 유닛(600)을 통해 검출된 장애물 정보는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될 수 있다.5,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상기 제어 모듈(250)은, 상기 장애물 검출 유닛(600)이 검출한 상기 장애물을 근거로 내부지도를 생성하고, 상기 내부지도를 근거로 청소경로 또는 주행경로를 설정한다.The
상기 저장 유닛(300)은, 주행하거나, 또는 청소하는 중에 검출한 장애물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유닛(300)은, 상기 영상 검출 유닛(110)을 통해 검출된 복수의 영상들에 관한 정보, 상기 특징점 추출 모듈(210)을 통해 추출된 특징점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300)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NVM, NVRAM)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저장 장치로서, 롬(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디스켓 드라이브, 마그네틱 테이프),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하며, 마그네틱 RAM, PRAM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유닛(300)은 상기 청소 영역 내에서의 로봇 청소기의 이동 기록, 청소 내역 등을 더 저장할 수 있고, 로봇 청소기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어 모듈(250)은, 상기 특징점의 정합 결과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검증된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청소경로 또는 상기 주행경로를 수정하고, 수정된 청소경로 또는 수정된 주행경로를 근거로 청소를 수행하거나, 또는 주행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로봇 청소기는, 충전 가능한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여 로봇 청소기 내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 유닛(400)은 로봇 청소기가 이동하고, 청소를 수행하는데 따른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로봇 청소기 내에 구비된 상기 전원 공급 수단, 즉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대로부터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한다.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상기 로봇 청소기는, 직접 제어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장애물 정보나,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유닛(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 유닛(700)은, 장애물의 위치, 로봇 청소기의 위치 등의 위치 정보나, 특징점에 관한 정보, 내부지도, 청소경로, 청소 영역 또는 주행경로를 확인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확인버튼, 설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설정버튼, 재설정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재설정버튼, 삭제버튼, 청소시작버튼, 정지버튼 중 하나 이상의 입력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n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저장 유닛(300)에 저장된 영상 정보, 구조물 정보, 특징점 등의 정보나, 장애물 정보, 또는 상기 내부지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출력 유닛(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유닛(800)은, 로봇 청소기를 구성하는 각 유닛들의 현재 상태와, 현재 청소 상태 등의 상태 정보들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출력 유닛(800)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중 어느 하나의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n
사용자 등은 상기 입력 유닛(700)을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출력 유닛(800)에 표시된 내부지도에서 청소가 필요한 청소 영역이나, 또는 방을 선택하여 청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청소 패턴, 청소 순서 등을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유닛(700)과 상기 출력 유닛(800)은, 입력 또는 출력이 모두 가능한 터치스크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A user or the like can input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가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절대 위치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청소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cognizing an absolute position using image information and performing cleaning according to the absolute posi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청소 영역을 이동하면서 상기 청소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S110, S120)와, 상기 단계(S120)에서 검출한 영상 정보로부터 각각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S130)와, 상기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S140)와, 상기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S150, S160)와, 상기 단계(S160)에서 인식한 위치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미 청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and S120 of photographing the cleaning area while moving a cleaning area to detect image information, (S140) of calculating a similarity between the minutiae points, S150 and S160 of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y comparing the similarities with each other, And a step (S170) of determining whether the cleaning area of the recognized position is an uncleaned area in step S160 and performing cleaning on the uncleaned are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S170).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을 촬영하여 상방 영상을 검출하는 상방 카메라이거나, 또는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검출하는 전방 카메라 등의 영상 검출 유닛을 통해 복수의 영상 정보를 검출한다(S120). 그런 다음, 상기 로봇 청소기는, 복수의 영상 정보들로부터 천장을 포함하는 상방 영역 또는 전방에 존재하는 형광등, 인테리어 구조물 등의 자연 표식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고(S130), 상기 특징점들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여 유사도를 연산하고(S140), 상기 유사도를 근거로 상기 특징점을 정합한다(S150). 여기서, 상기 거리는, 실제 거리가 아니라, 특징점 공간에서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거리가 짧으면 상기 특징점들은 큰 유사도를 가지고, 상기 거리가 길면 상기 특징점들의 유사도는 작아진다. 여기서, 특징점들은, 상기 영상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정합 결과를 이용하여 자기의 절대 위치를 인식하고(S160), 이를 이용하여 인식한 절대 위치의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한 다음 청소를 수행한다(S170). 즉,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 경로, 청소 패턴, 청소 영역 정보 등의 청소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식한 위치에서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기 청소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청소 도중에 바퀴 빠짐과 같은 기구적인 한계 또는 먼지 통 교체, 걸레 교체와 같은 사용자 개입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강제로 청소 종료되고, 강제 종료 원인이 제거된 후에도, 중복 청소를 수행하거나, 처음부터 다시 청소를 수행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미 청소 영역을 중심으로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청소 효율이 증대된다.The robot cleaner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detects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through an image detecting unit such as an up camera for photographing an upside and an upside camera for photographing an upside and detecting a forward image S120). Then, the robot cleaner extracts feature points from a plurality of pieces of image information from a natural marker such as a fluorescent lamp or an interior structure existing in an upper region including a ceiling or a front region (S130), calculates a distance between the feature points (S140), and the feature points are matched based on the similarity (S150). Here, the distance is not an actual distance but a distance in a minutia point space.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is short, the feature points have a large degree of similarity, and if the distance is long, the similarity degree of the feature points becomes small. Here, the minutiae are constituted by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and the descriptor indicate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recognizes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robot using the matching result (S160), determines whether the recognized absolute position cleaning area is a preliminary cleaning area, and performs cleaning (S170). That is, the robot cleaner preliminarily stores information on cleaning such as a cleaning route, a cleaning pattern, and cleaning area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area at the recognized position is a non-cleaning area or a pre-cleaning area. As a result,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intentionally terminates the cleaning by unintentional user intervention such as mechanical limit such as wheel drop, replacement of the dust bin or mop during cleaning, unlike the prior art, Even after the cleaning is performed, the cleaning efficiency is increased by performing redundant cleaning or performing cleaning again from the beginning, and performing cleaning around the uncleaned area.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청소 수행 중,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단계(S210)와, 상기 제1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구조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220)와, 청소 재개 후, 상기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단계(S250)와, 상기 제2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구조물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260)와,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로봇 청소기의 절대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단계(S270)와, 상기 위치인식단계의 인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수행단계(S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7, a method of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cting step (S210) of detecting structure information in a cleaning area during cleaning, a step of detecting the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first detecting step A second detection step (S250) of detecting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after cleaning is resumed, a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second detection step, and a struc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ructure A step S260 of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robot cleaner with a comparison result of the robot cleaner, a step S260 of recognizing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step S270, And a cleaning execution step (S280) for performing cleaning for the cleaning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영역판단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region determining step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a pre-cleaning area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step.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 수행중이거나, 주행중에 청소 영역 내의 주변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고(S210), 상기 구조물 정보를 저장한다(S220). 여기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검출된 구조물 정보뿐만 아니라 미리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 등에 의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청소 수행이 중단된 후 다시 재개되면(S230, S240), 상기 로봇 청소기는 현재 위치에서의 구조물 정보를 다시 검출한다(S250).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는,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저장된 구조물 정보를 비교하고(S260),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자기 위치를 인식한다(S270). 이때의 위치는 거리 센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엔코더 등에 의해 로봇 청소기의 이동에 의한 상대 위치가 아니라, 청소 영역들 중 어느 청소 영역, 또는 여러 방들 중 어느 방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절대 위치이다.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 경로, 청소 패턴, 청소 영역 정보 등의 청소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이 인식된 위치에서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기 청소 영역인지를 판단한 다음, 청소를 수행한다(S280).The robot cleaner detects the surrounding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during the cleaning or running (S210), and stores the structure information (S220). Herein, the robot cleaner may store not only the detected structure information but also the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in the form of a database. Then, if the cleaning operation is interrupted by a user or the like or by another cause (S230, S240), the robot cleaner detects the structure information at the current position again (S250). Further, the robot cleaner compares the detected structure information with the stored structure information (S260), and recognizes its own position using the comparison result (S270). The position at this time is an absolute position indicating which one of the cleaning areas, or the various rooms, among the cleaning areas, not the relative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by the distance sensor, e.g., the gyro sensor or the encoder.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stores information about cleaning such as a cleaning route, a cleaning pattern, and cleaning area information in advan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area at the recognized position is a non-cleaning area or a pre-cleaning area Next, cleaning is performed (S280).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청소 수행 중, 청소 영역 내의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단계(S310)와, 상기 제1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320)와, 청소 재개 후, 상기 청소 영역 내의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단계(S360)와, 상기 제2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단계(S370)와,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유사도연산단계(S380)와, 상기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는 비교단계(S390)와,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로봇 청소기의 절대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단계(S400)와,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영역판단단계(S410)와,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수행단계(S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교 결과 유사도가 일정 유사도 미만이거나, 상기 인식한 위치가 기 청소 영역인 경우에는 다른 청소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2 검출단계 이후의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S430). 이하 장치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한다.Referring to FIG. 8, a method for controll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etecting step (S310) of detecting image information in a cleaning area during cleaning, a step of detecting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first detecting step (S360) for detecting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after the cleaning is resumed; a second detection step (S360) of detecting the imag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after the cleaning is resumed; A similarity calculation step S380 for calculating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minutiae points using the minutia information, a comparing step S390 for comparing the similarities with each other, A position recognition step (S400) of recognizing an absolut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step; and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a preliminary cleaning area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step And the area determining step (S4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eaning step performed (S420) to perform the cleaning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area. If the similarity is less than a certain degree of similarity or the recognized position is a preliminary cleaning area, the operation moves to another cleaning area and the operation after the second detection is performed again at step S430. The construction of th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 수행중이거나, 주행중에 청소 영역 내의 주변 영상 정보를 검출하고(S310, S320),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한다(S330). 그런 다음, 사용자 등에 의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청소 수행이 중단된 후 다시 재개되면(S340, S350), 다시 놓인 위치에서 영상 정보를 검출한다(S360). 이때, 상기 로봇 청소기는 검출한 영상 정보와 저장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한다(S370 내지 S400). 이때의 위치는 거리 센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엔코더 등에 의해 로봇 청소기의 이동에 의한 상대 위치가 아니라, 청소 영역들 중 어느 청소 영역, 또는 여러 방들 중 어느 방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절대 위치이다.The robot cleaner detects peripheral imag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during the cleaning or running (S310, S320), and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S330). Then, if the cleaning operation is interrupted by a user or the like or is restarted again (S340, S350), the image information is detected at the reset position (S360). At this time, the robot cleaner compares the detected image information with stored image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using the comparison result (S370 to S400). The position at this time is an absolute position indicating which one of the cleaning areas, or the various rooms, among the cleaning areas, not the relative position by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by the distance sensor, e.g., the gyro sensor or the encoder.
상기 로봇 청소기는, 검출한 영상 정보와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S370). 즉,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복수의 영상들 각각에 대하여 좌표 정보를 갖는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특징점들은 천장을 포함하는 상방 영역 또는 전방에 존재하는 형광등, 인테리어 구조물 등의 자연 표식이다. 여기서,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낸다.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영상에서 상기 특징점을 포함하는 일정한 크기의 행렬이 된다. 상기 기술자는,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위치에서의 구조물의 형태 또는 모양을 포함한다.The robot cleaner extracts one or more minutiae from the detected image information and stored image information (S370). That is, the robot cleaner extracts one or more feature points having coordinat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images. Referring to FIG. 4, the minutiae are natural markers such as a fluorescent lamp, an interior structure, etc. existing in an upper area including a ceiling or a front area. Here, the minutiae point includes minutia information constituted by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and the descriptor indicate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The descriptor represents a feature of the feature point, and becomes a matrix of a fixed size including the feature point in the image. The descriptor includes the shape or shape of the structure at the position extracted from the image.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고(S380), 상기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절대 위치를 인식한다(S390, S400). 상기 특징점들 간에는 유사도를 판별하는 특징점 공간에서의 거리가 존재한다. 즉, 상기 거리가 짧으면 상기 특징점들은 큰 유사도를 가지고, 상기 거리가 길면 상기 특징점들의 유사도는 작아진다. 상기 특징점은, 예를 들어, (x1,i, y1,i), (x2,i, y2,i)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특징점을 3차원 좌표계 상의 점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특징점들 사이의 거리(Δ)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쓸 수 있다.Also, the robot cleaner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minutiae points using the minutia information (S380), and recognizes the absolute position using the similarity (S390, S400). There is a distance in the minutiae space that determines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minutiae. That is, if the distance is short, the feature points have a large degree of similarity, and if the distance is long, the similarity degree of the feature points becomes small. The feature point may be expressed, for example, as (x1 , i , y1 , i ), (x2 , i , y2 , i ). Of course, the minutiae can be displayed as points on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minutiae points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상기 로봇 청소기는,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그 거리가 일정 거리 이하이면 유사도가 일정 유사도 이상으로 판단하고, 동일한 특징점으로 판단하여 정합한다.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정합 결과를 이용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한다(S400).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는, 검출한 영상 정보와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인식한 절대 위치의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한다(S410).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 경로, 청소 패턴, 청소 영역 정보 등의 청소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청소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된 위치에서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기 청소 영역인지를 판단한 다음, 미 청소 영역을 중심으로 청소를 수행한다(S430). 이때, 상기 로봇 청소기는, 상기 유사도가 일정 유사도보다 작아서 상기 특징점들이 정합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인식한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이면 다른 청소 영역으로 이동하여 다시 영상 정보를 검출한다.For example, if the dista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using Equation (2), the robotic cleaner determines that the similarit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certain degree of similarity, and matches the same by determining the same minutia. The robot cleaner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using the matching result (S400).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compares the detected image information with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before stopping the cleaning, and determines whether the cleaned area of the recognized absolute position is a pre-cleaning area (S410). The robot cleaner preliminarily stores information about cleaning such as a cleaning route, a cleaning pattern, and cleaning area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area at the recognized position is a non-cleaning area or a pre-cleaning area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cleaning Next, cleaning is performed around the uncleaned area (S430). At this time, if the similarity degree is smaller than a certain degree of similarity, the robot cleaner does not match the feature points, or if the recognized cleaning area is the basic cleaning area, the robot cleaner moves to another cleaning area and detects the image information agai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은, 청소 수행중에 임의의 원인으로 청소가 강제 종료된 후, 다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 절대 위치 인식 유닛을 통해 자기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중복 청소를 방지하고, 영상 검출 유닛을 이용하여 상대 위치 인식 유닛의 위치 인식 오류를 개선하고, 상기 영상 검출 유닛을 통해 검출한 영상과 청소 영역에 대한 영상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 및 안정성을 제고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obot cleaner and the robot clean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leaning is forcibly terminated for any reason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and the cleaning is performed again, the self-position is recognized Thereby improving the position recognition error of the relative position recognizing unit by using the image detecting unit and performing the cleaning by using the similarity of the image with respect to the image detected through the image detecting unit and the image of the cleaning area,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user and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100: 검출 유닛
110: 영상 검출 유닛
200: 제어 유닛
300: 저장 유닛
210: 특징점 추출 모듈
220: 유사도 연산 모듈
230: 위치 인식 모듈
240: 영역 판단 모듈
250: 제어 모듈
300: 저장 유닛
400: 전원 유닛
500: 구동 유닛
600: 장애물 검출 유닛
700: 입력 유닛
800: 출력 유닛100: detection unit 110: image detection unit
200: control unit 300: storage unit
210: feature point extraction module 220: similarity calculation module
230: position recognition module 240: area determination module
250: control module 300: storage unit
400: power supply unit 500: drive unit
600: obstacle detection unit 700: input unit
800: Output unit
Claims (14)
상기 구동 유닛이 주행 중일 때,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유닛;
미리 형성된 데이터 베이스 형태의 제1 구조물 정보와, 상기 구동 유닛이 주행 중일 때 검출되는 제2 구조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이 사용자에 의해 중단 된 후 다시 재개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다시 놓인 위치에서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구조물 정보와,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제1 및 제2 구조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절대 위치를 인식하여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정보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방 또는 전방에 존재하는 물체와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in a cleaning area;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when the drive unit is runn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first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database formed in advance and second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when the drive unit is running; And
Wherein when the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is interrupted by the user and then resumed, the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robot cleaner is reset,
And a control unit which compar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before stopping the cleaning and recognizes an absolute position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and performs cleaning on the cleaning area,
The structure information includes:
And an image related to an object existing above or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상기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a pre-cleaning area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청소 영역 내에서 상방 또는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검출 유닛이고,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etection unit is an image detection unit that photographs upward or forward in the cleaning area to detect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image information.
상기 영상 검출 유닛이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And extracts one or more feature points from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eature point includes minutia information constituted by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descriptor indicate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유사도를 이용하여 상기 절대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minutiae points by using the minutia information, and recognizes the absolute position using the similarity.
상기 구동 유닛이 주행 중일 때, 청소 영역을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검출 유닛;
미리 형성된 데이터 베이스 형태의 제1 영상 정보와, 상기 구동 유닛이 주행 중일 때 검출되는 제2 영상 정보 및, 기 청소 영역 및 미 청소 영역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
상기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이 사용자에 의해 중단 된 후 다시 재개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다시 놓인 위치에서 상기 영상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영상과, 청소 중단 전에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제1 및 제2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각각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 모듈;
상기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유사도 연산 모듈;
상기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여 로봇 청소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모듈;
상기 위치 인식 모듈이 인식한 위치의 청소 영역이 미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영역 판단 모듈; 및
상기 영역 판단 모듈의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미 청소 영역에 대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obot cleaner in a cleaning area;
An image detecting unit for photographing a cleaning area and detecting image information when the drive unit is runn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first image information of a preformed database type, second image information detected when the drive unit is running, and a pre-cleaning area and a non-cleaning area;
Wherein when the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is interrupted by the user and then resumed,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on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robot cleaner is reset and the first and second images A feature point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feature points from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A similarity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similarity between the minutiae points;
A position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y comparing the degrees of similarity;
An area determining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cleaning area of the location recognized by the location recognition module is a non-cleaning area;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performing cleaning on the uncleaned are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area determination module.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eature point includes minutia information constituted by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descriptor indicate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청소 수행 중,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제1 검출단계;
상기 제1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제2 구조물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로봇 청소기의 청소 수행이 사용자에 의해 중단 된 후 후 다시 재개되면, 상기 로봇 청소기가 다시 놓인 위치에서 상기 청소 영역 내의 구조물 정보를 검출하는 제2 검출단계;
상기 제2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구조물 정보와, 상기 제1 및 제2 구조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로봇 청소기의 절대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단계; 및
상기 위치인식단계의 인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에 대해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수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물 정보는,
상기 로봇 청소기의 상방 또는 전방에 존재하는 물체와 관련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A storage step of storing first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database in advance associated with structure information in a cleaning area before performing cleaning;
A first detecting step of detecting structure information in a cleaning area during cleaning;
A storing step of storing second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first detecting step;
A second detection step of detecting structure information in the cleaning area at a position where the robot cleaner is placed again when the cleaning of the robot cleaner is interrupted by the user and then resumed;
A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structur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second detecting step and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 information;
A position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an absolute position of the robot cleaner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son step; And
And a cleaning step of performing cleaning on the cleaning area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position recognition step,
The structure information includes:
And an image related to an object existing above or in front of the robot cleaner.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를 근거로 상기 청소 영역이 기 청소 영역인지 판단하는 영역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reg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leaning area is a pre-cleaning area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comparing step.
상기 제2 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영상 정보와, 상기 저장단계에서 저장한 영상 정보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추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eature point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t least one feature point from the image information detected in the second detecting step and the im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ing step.
상기 특징점은, 상기 영상 정보에서의 위치, 방향, 및 기술자로 구성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술자는, 상기 특징점의 추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eature point includes minutia information constituted by a position, a direction, and a descriptor in the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descriptor indicates extraction information of the minutiae point.
상기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특징점들 사이의 유사도를 연산하는 유사도연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유사도를 상호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calculating a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minutiae points using the minutia information,
Wherein the comparing step compares the degrees of similarity with each other.
상기 비교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유사도가 일정 유사도보다 작으면, 다른 청소 영역으로 이동하여 제2 검출단계 이후의 동작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if the degree of similarity is smaller than a certain degree of similarity, the control unit moves to another cleaning area and performs the operation after the second detection step aga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046A KR101895314B1 (en) | 2017-09-11 | 2017-09-11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6046A KR101895314B1 (en) | 2017-09-11 | 2017-09-11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6246A Division KR20120044768A (en) | 2010-10-28 | 2010-10-28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809A Division KR101943359B1 (en) | 2018-02-06 | 2018-02-06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6274A true KR20170106274A (en) | 2017-09-20 |
KR101895314B1 KR101895314B1 (en) | 2018-10-24 |
Family
ID=6003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6046A KR101895314B1 (en) | 2017-09-11 | 2017-09-11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531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57164A (en) * | 2021-07-15 | 2021-11-16 |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ng target object, clean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CN116638017A (en) * | 2023-06-26 | 2023-08-25 | 深圳市欣茂鑫实业有限公司 |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automatic forging stamping die |
KR102757694B1 (en) * | 2023-11-06 | 2025-01-21 | 주식회사 잡위드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quality and performance rate of cleaning service based on user shooting and sensor data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469B1 (en) * | 2006-09-13 | 2008-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attitude estimation of mobile robot |
KR100877072B1 (en) * | 2007-06-28 | 2009-0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reating and cleaning maps for mobile robots |
-
2017
- 2017-09-11 KR KR1020170116046A patent/KR10189531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57164A (en) * | 2021-07-15 | 2021-11-16 |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 Method and device for calibrating target object, clean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CN116638017A (en) * | 2023-06-26 | 2023-08-25 | 深圳市欣茂鑫实业有限公司 |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automatic forging stamping die |
CN116638017B (en) * | 2023-06-26 | 2024-04-12 | 深圳市欣茂鑫实业有限公司 |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based on automatic forging stamping die |
KR102757694B1 (en) * | 2023-11-06 | 2025-01-21 | 주식회사 잡위드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latform service to manage quality and performance rate of cleaning service based on user shooting and sensor dat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5314B1 (en) | 2018-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44768A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813922B1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677634B1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EP2894533B1 (en) | Mobile robo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N107260069B (en) | Mobile robot, charging base for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system | |
EP2423772B1 (en) | Mobile robot and visual naviga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649645B1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976462B1 (en) | A robot cleaner a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951414B1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943359B1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895314B1 (en) | Robot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20116278A (en) | Robot clea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303161B1 (en) | Mobile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10085500A (en) | Robot cleaner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160090278A (en) | Mobile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9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010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0010624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20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0102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0010624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8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