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268A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268A
KR20170106268A KR1020170115758A KR20170115758A KR20170106268A KR 20170106268 A KR20170106268 A KR 20170106268A KR 1020170115758 A KR1020170115758 A KR 1020170115758A KR 20170115758 A KR20170115758 A KR 20170115758A KR 20170106268 A KR20170106268 A KR 2017010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ubframe
transmission mode
data
l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58402B1 (en
Inventor
한진규
김윤선
Original Assignee
언와이어드 플래넷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언와이어드 플래넷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언와이어드 플래넷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17011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402B1/en
Publication of KR2017010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2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4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to transmit/receive data, capable of allowing a general subframe to select an effective transmission mode between an existing long term evolution (LTE) transmission mode and a transmission mode newly introduced to an advanced long term evolution (LTE-A), to apply the selected mode to an LTE-A user, and capable of allowing a multicast broadcast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subframe to additionally select a different transmission mode to apply the selected mode to the LTE-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a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MBSFN subframe; a step of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about a data signal; and a step of determining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ub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the information about the MBSFN subframe, and a format of the DCI; and a step of processing the data sig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mode.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0002]

본 발명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시스템 및 그의 진화 방식인 LTE-A(LTE Advance)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the 3GPP (3 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system and the LTE-A (LTE Advance) system evolved his system.

이동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데이터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aodband) 및 IEEE의 802.16e 등 다양한 이동통신 표준이 고속, 고품질의 무선 패킷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s evolved into a high-speed and high-quality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data service and multimedia service apart from providing initial voice-oriented servic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of 3GPP, LTE, High Rate Packet Data (HRPD) of 3GPP2, UMB (Ultra Mobile Braodband) and IEEE 802.16e support high speed and high quality wireless packet data transmission service .

이와 같은 최신 이동통신 시스템은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적응 변조 및 부호(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 등의 기술을 이용한다. 상기의 AMC 방법을 활용하면, 송신기에서 채널 상태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채널 상태가 좋지 않으면,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줄여서 수신 오류 확률을 원하는 수준에 맞추고, 채널 상태가 좋으면,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을 늘려서 수신 오류 확률을 원하는 수준에 맞추면서도 많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을 활용하면, 송신기에서 여러 수신기들 중에서 채널 상태가 우수한 수신기에 선택적으로 서비스하기 때문에, 하나의 수신기에 채널을 할당하고 서비스하는 것에 비해 시스템 용량이 증가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the lates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mploys techniques such as a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method and a channel responsive scheduling method. With the AMC method, the transmitter can adjust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In other words, if the channel state is poor,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s reduced to set the reception error probability to a desired level. If the channel state is good,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s increased,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Using the above-described channel-responsive scheduling method, the transmitter selectively provides service to a receiver having a good channel state among a plurality of receivers. Therefore, the system capacity increases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a channel is allocated and serviced in one receiver.

요컨대 상기의 AMC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은 수신기로부터 부분적인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를 피드백(feedback) 받아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는 시점에 적절한 변조 및 부호 기법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AMC 방법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은, 송신기가 송신 채널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획득한 상태에서 전송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다.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에서와 같이 송신기가 송신 채널의 상태를 수신 채널을 통해 유추할 수 없는 경우, 수신기는 송신기에게 송신 채널에 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T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에서는 수신 채널을 통해 송신 채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특성을 활용하여, 수신기가 송신기에 송신 채널에 관한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MC method and the channel-responsive scheduling method are based on feedback of par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from a receiver and apply an appropriat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to a time point determined to be the most efficient. The AMC method and the channel responsive scheduling method are techniques for improving transmission efficiency in a state where a transmitter has acquired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a transmission channel. The receiver is designed to report information about the transmission channel to the transmitter when the transmitter can not infer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channel through the reception channel, as in the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On the other hand, in the TDD (Frequency Division Duplex) scheme, a receiver can omit reporting information on a transmission channel to a transmitter by utilizing a characteristic of knowing the state of the transmission channel through the reception channel.

최근 2세대와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다중접속 방식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차세대 시스템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로 바꾸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3GPP, 3GPP2, IEEE 등의 표준 단체는 OFDMA 또는 변형된 OFDMA를 사용하는 진화 시스템에 관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CDMA 방식에 비해 OFDMA 방식에서 용량 증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OFDMA 방식에서 용량 증대를 낳는 여러 가지 원인 중의 하나가 주파수 축 상에서의 스케줄링(Frequency Domain Scheduling)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채널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에 따라 채널 감응 스케줄링 방법을 통해 용량 이득을 얻었듯이, 채널이 주파수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더 많은 용량 이득을 얻을 수 있다. Recently,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convert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hich is a multiple access scheme used in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into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in the next generation system. Standard organizations such as 3GPP, 3GPP2, and IEEE are in the process of standardizing on evolutionary systems using OFDMA or modified OFDMA. This is because the capacity increase can be expected in the OFDMA system as compared with the CDMA system. One of the various causes of capacity increase in the OFDMA scheme is that frequency domain scheduling can be performed on the frequency axis. As the channel gains the capacity gain by the channel adaptiv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the time varying characteristic, the channel gain can be obtained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frequency.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A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데, 두 방식 모두 주파수 축 상에서의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In the LTE system, an OFDMA scheme is adopted in a downlink (DL), and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scheme is used in an uplink It has a feature that can perform scheduling.

한편 LTE 시스템의 DL에서는 다중 안테나 송신을 지원한다. LTE 시스템의 송신기는 송신 안테나를 1개, 2개 또는 4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한 경우 사전부호화(precoding)를 적용하여 빔성형 이득과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이득을 얻을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수신기가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채널 응답을 추정하기 위해서 송신 안테나 별로 CRS(Common Reference signal)를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에 적응적(adaptive) 사전부호화가 적용된 경우, 송신기는 어떠한 사전부호화가 적용되었는가를 제어채널을 통해 수신기에게 통보한다.On the other hand, the DL of the LTE system supports multi-antenna transmission. The transmitter of the LTE system may have one, two, or four transmission antennas. When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are provided, precoding is applied to obtain a beam forming gain and a spatial multiplexing gain. Can be obtained. In the LTE system, the receiver transmits a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each transmit antenna to estimate the channel response from each transmit antenna. When adaptive pre-coding is applied to data transmission, the transmitter notifies the receiver of what pre-coding has been applied through the control channel.

LTE-A 시스템의 DL에서는 송신기의 송신 안테나 개수를 늘려 최대 8개의 송신 안테나를 지원한다.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증가하면, 송신기는 빔성형 이득과 공간 다중화 이득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최대 8개의 송신 안테나를 지원하려면 각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채널 상태를 추정하기 위한 CRS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LTE-A 시스템에서는 송신 안테나 개수의 증가에 따라 CRS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신기가 CSI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는 데 참고하는 CSI-RS와 데이터 복조를 위해 참고하는 DM-RS(Demodulation-RS)를 도입한다. LTE-A 시스템에서 새로 도입되는 전송 방식은 CSI-RS와 DM-RS를 사용하지만 후행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하기 위해, LTE-A 송신기는 CRS도 전송하여야 한다.The DL of the LTE-A system supports up to 8 transmit antenna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of the transmitter. As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increases, the transmitter can further improve the beamforming gain and spatial multiplexing gain. However, to support up to 8 transmit antennas, the amount of CRS to estimate the channel state from each transmit antenna increases. In the LTE-A system, the CSI-RS, which is used for generating the CSI feedback information, and the Demodulation (DM-RS), which is used for data demodulation, is used in order to prevent the proportion of the CRS from increasing rapidly as the number of transmission antennas increases. -RS). Newly introduced transmission schemes in LTE-A systems use CSI-RS and DM-RS, but in order to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LTE-A transmitters must also transmit CRS.

한편, LTE-A 시스템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전송을 지원한다. MBSFN 전송은 다중 셀에서 동일한 방송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방송의 서비스 영역을 넓히는 전송 방식이다. 이러한 MBSFN 전송은 다중 셀에서 동시에 전송한 신호를 수신기가 셀 별로 구분하지 않고 코히어런트 복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중 셀에서 동일한 RS를 전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셀 별로 정의된 CRS로는 MBSFN을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MBSFN 전용 RS만을 정의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unicast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CRS를 전송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LTE-A system support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transmission. MBSFN transmission is a transmission scheme that broadens the service area of broadcasting by transmitting the same broadcast signal in multiple cells. The MBSFN transmission is required to transmit the same RS in multiple cells in order to allow a receiver to perform coherent demodulation without distinguishing cells transmitted simultaneously from multiple cells. That is, since the CRS defined for each cell can not support MBSFN, only the MBSFN dedicated RS is defined and transmitted in the MBSFN subframe. And since the MBSFN subframe does not support unicast service, CRS is not transmitted.

LTE 시스템은 수신기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전송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전송 모드를 규정하고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으로 CRS를 이용하는 전송 방식과 DRS(Dedicated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는 전송 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한편 LTE-A 시스템은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으로 DM-RS를 이용하는 전송 방식을 추가한다. 후행호환성을 감안하면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CRS, DRS, DM-RS를 모두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The LTE system define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so that an appropriate transmission scheme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receiver. In the LTE system, channel estimation for demodulation defines a transmission scheme using CRS and a transmission scheme using DRS (Dedicated Reference Signal). Meanwhile, the LTE-A system adds a transmission scheme using DM-RS as a channel estimation for demodulation. For backward compatibility,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must be able to receive both CRS, DRS, and DM-RS.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도 unicast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MBSFN 서브프레임으로는 CRS를 전송되지 않지만, MBSFN 서브프레임을 후행호환성이 없는 자원으로 간주하여 DM-RS는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MBSFN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설정된 MBSFN 서브프레임과 구분하기 위해서 MBSFN 서브프레임으로 unicast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설정된 서브프레임을 편의상 LTE-A 서브프레임으로 칭한다.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can also receive the unicast service in the MBSFN subframe. This is because the CRS is not transmitted in the MBSFN sub-frame, but the DM-RS can transmit the MBSFN sub-frame as a resource with no subsequent interchangeab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bframe configured to support unicast service in an MBSFN subframe is referred to as an LTE-A subframe for convenience,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an MBSFN subframe configured to support the MBSFN service.

상기한 LTE-A 시스템에서, MBSFN 서브프레임으로 unicast 서비스를 받기 위한 LTE-A 시스템의 수신기의 동작을 정의해야 한다.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CRS를 복조에 사용하는 전송 모드로 설정된 경우, 일반 서브프레임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지만,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CRS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LTE-A 시스템의 수신기가 DM-RS를 이용한 수신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In the above-described LTE-A system,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for receiving the unicast service in the MBSFN subframe should be defined. A receiver of the LTE-A system can receive data in a normal subframe when it is set to a transmission mode using CRS for demodulation. However, since the CRS is not transmitted in the MBSFN subframe, the receiver of the LTE- Data can not be received even though reception is possib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송 모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채널을 추정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또는 LTE-A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과정은,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이면, 상기 LTE-A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면,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reception method including the steps of confirming a transmission mode set corresponding to a current subframe, and receiving a data signal by estimating a channel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 At this time, in the data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mode for a normal subframe or a transmission mode for an LTE-A subframe. In the data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step receives the data signal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f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If the frame is a normal sub-frame, the data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ode for the normal sub-frame.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은, 단말기를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신호 및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또는 LTE-A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transmission method including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for a terminal and notifying the terminal of the transmission mode, and transmitting a data signal and a reference signal for the terminal . At this time, i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mode for a general subframe or a transmission mode for an LTE-A subframe.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는,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설정된 전송 모드를 확인하기 위한 수신 제어기와, 상기 수신 제어기의 제어 하에, 상기 전송 모드에 따라 채널을 추정하기 위한 채널 추정기와, 상기 수신 제어기의 제어 하에, 상기 채널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또는 LTE-A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기는,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이면, 상기 LTE-A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면,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ata reception apparatus comprising: a reception controller for confirming a transmission mode set corresponding to a current subframe; A channel estimator and a data processor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data signal in the channel under the control of the reception controller. At this time, in the data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mode for a general subframe or a transmission mode for an LTE-A subframe. In the data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the reception controller receives the data signal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f the frame is a normal sub-frame, the data signal is received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ode for the normal sub-frame.

게다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는, 단말기를 위한 전송 모드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기에 통보하기 위한 송신 제어기와, 상기 단말기를 위한 데이터 신호 및 기준 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기 위한 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드는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또는 LTE-A 서브프레임을 위한 전송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data transmit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s a transmission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mode for a terminal and notifying the terminal of the transmission mode, and a transmission controller for multiplexing a data signal and a reference signal for the terminal And a multiplexer. At this time, in th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od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mode for a normal subframe or a transmission mode for an LTE-A subframe.

본 발명의 목적은 LTE-A 시스템의 수신기일지라도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CRS 기반의 기존 전송 방식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 기술 제어 방법을 정의하고 CRS 기반의 기존 전송 방식을 사용하도록 설정된 LTE-A 시스템의 수신기일지라도 LTE-A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스템의 용량을 개선하고 LTE-A 시스템의 수신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technology control method for supporting a CRS-based existing transmission scheme in a general subframe even in a receiver of an LTE-A system, and to provide a receiver of an LTE-A system configured to use a CRS- So that data can be received in the LTE-A subfram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elps improve the capacity of the system and improve the data rate at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CRS를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LTE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DRS를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사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시분할 다중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LTE-A 서브프레임의 시분할 다중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3, 4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기준 신호 이용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기준 신호 이용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의 기준 신호 이용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wnlink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CRS of a transmitter in an LTE system,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wnlink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DRS of a transmitter in an LTE system,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ownlink resource mapping in an LTE system,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MBSFN subframes,
5 is a view for explain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an LTE-A subframe,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ransmit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signal using procedure of a receiver according to the first,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signal using procedure of a recei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ference signal using procedure of a receiv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이하 "RS)는 두 가지 목적으로 송신기와 수신기에 기정의된 신호이다. 첫 번째 목적은 수신기에서 송신기를 위한 CSI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AMC를 지원하기 위해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CSI를 보고 받아야 한다. 그리고 수신기는 RS를 통해 CSI를 측정할 수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복조를 위한 채널 응답(channel response)을 추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수신기는 송신기가 복소신호(complex signal)를 전송한 경우, 코히어런트 복조(coherent demodulation)를 위해서 채널상에서 송신 신호가 어떻게 왜곡되었는지를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즉 RS를 수신하면, 수신기는 채널 응답을 추정할 수 있다.A reference signal (RS) is a signal set for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is to measure the CSI for the transmitter to the receiver, ie, to support AMC, the transmitter The receiver should be able to measure the CSI through the RS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estimate the channel response for demodulating the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er For example, The receiver must be able to estimate how the transmitted signal is distorted on the channel for coherent demodulation when the transmitter transmits a complex signal, that is, upon receipt of the RS, Can be estimated.

LTE 시스템은 DL에서 셀 내의 모든 수신기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RS를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RS를 공통 기준 신호(Common RS, 이하 "CRS")라고 하며, 셀 별로 다르게 정의된다고 하여 셀 별 기준 신호(cell-specific RS)라고도 칭한다. 송신기에서 다중 송신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CRS는 송신 안테나 별로 직교하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송신 안테나가 2개라면, 송신기는 두 개의 직교하는 CRS를 정의하여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한다.The LTE system defines an RS that is commonly used by all receivers in a cell in a DL. This RS is called a common 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S ") and is also referred to as a cell-specific RS by being defined differently for each cell. When a transmitter transmits a signal through multiple transmit antennas, the CRS is designed to be orthogonal for each transmit antenna. For example, if there are two transmit antennas, the transmitter defines two orthogonal CRSs and transmits through each transmit antenna.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CRS를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송신기에서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송신기가 2개를 초과하는 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된다.1 shows a downlink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CRS of a transmitter in an LTE system.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tter has two transmit antenna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same applies even if the transmitter has more than two transmit antennas.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100)는 사전부호화기(103), 제 1 다중화기(109a), 제 2 다중화기(109b), 제 1 송신 안테나(111a) 및 제 2 송신 안테나(111b)를 포함한다. 이 때 송신기(100)는 데이터 신호(101)를 공통 기준 신호(107a, 107b)와 더불어 다중화하여 송신한다. 1, a transmitter 100 includes a pre-encoder 103, a first multiplexer 109a, a second multiplexer 109b, a first transmit antenna 111a, and a second transmit antenna 111b do. At this time, the transmitter 100 multiplexes the data signal 101 together with the common reference signals 107a and 107b and transmits it.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데이터 신호(101) 입력 시, 사전부호화기(103)는 데이터 신호(101)를 빔성형한다. 여기서 데이터 신호(101)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계층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신호(101)가 하나의 계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전부호화는 일반적인 빔성형에 해당된다. 또는 데이터 신호(101)가 복수개의 계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사전부호화는 공간 다중화를 위해 데이터 신호(101)의 계층 별로 각각 빔성형된다. 사전부호화된 신호(105)는 처리 경로를 따라 제 1 다중화기(109a) 및 제 2 다중화기(109b)로 전달된다. 사전부호화된 신호(105)와 제 1 CRS(107a) 입력 시, 제 1 다중화기(109a)는 사전부호화된 신호(105)와 제 1 CRS(107a)를 다중화하여, 제 1 송신 안테나(111a)를 통해 송신한다. 사전부호화된 신호(105)와 제 2 CRS(107B) 입력 시, 제 2 다중화기(109b)는 사전부호화된 신호(105)와 제 2 CRS(107b)를 다중화하여, 제 2 송신 안테나(111b)를 통해 송신한다. Upon input of a data signal 101 for a receiver (not shown), the precoder 103 beamforms the data signal 101. [ Here, the data signal 101 is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layers. When the data signal 101 is composed of one layer, pre-coding corresponds to general beam forming. Or the data signal 10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yers, the pre-coding is beamformed for each layer of the data signal 101 for spatial multiplexing. The pre-encoded signal 105 is passed along the processing path to the first multiplexer 109a and the second multiplexer 109b. The first multiplexer 109a multiplexes the pre-coded signal 105 and the first CRS 107a at the time of inputting the pre-coded signal 105 and the first CRS 107a, Lt; / RTI > The second multiplexer 109b multiplexes the pre-coded signal 105 and the second CRS 107b and transmits the pre-coded signal 105 and the second CRS 107b to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111b, Lt; / RTI >

이 때 CRS(107a, 107b)를 이용한 DL 전송에서 데이터 신호(101)는 사전부호화되는 반면, CRS(107a, 107b)는 사전부호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CRS(107a, 107b)를 통해, 수신기는 사전부호화가 반영되지 않은 CSI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는 CSI를 직접 송신기(100)에 보고하거나 주어진 채널 상황에서 가장 선호하는 전송 방식을 송신기(100)에 보고한다. At this time, in the DL transmission using the CRS 107a and 107b, the data signal 101 is pre-encoded while the CRS 107a and 107b are not pre-encoded. Through these CRSs 107a and 107b, the receiver can measure the CSI in which the pre-coding is not reflected. The receiver reports the CSI directly to the transmitter 100 or reports to the transmitter 100 the most preferred transmission scheme in a given channel condition.

LTE 시스템에서 송신기에 보고하는 피드백 정보를 선호하는 전송 방식으로 정의하고 있는데, 채널 품질 지정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사전부호화 행렬 지정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랭크 지정자(Rank Indicator; RI) 등이 LTE 시스템에서 DL 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정의된 피드백 정보이다. CQI, PMI, RI는 각각 주어진 채널 상황에서 수신 받을 수 있는 변조 및 부호화 방식, 가장 선호되는 사전부호화 방식, 수신 받을 수 있는 공간 다중화 계층의 수를 나타낸다. The feedback information reported to the transmitter in the LTE system is defined as a preferred transmission scheme. The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the 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the rank indicator (RI) Etc. are feedback information defined to support DL transmission in an LTE system. CQI, PMI, and RI represent th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the most preferred pre-coding scheme, and the number of spatial multiplexing layers that can be received, respectively, which can be received in a given channel condition.

그러나 CQI, PMI, RI를 보고하는 경우에는, 수신기가 표준에서 소개하고 있는 사전부호화 코드북(precoding codebook) 내에 정의된 사전부호화 방식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전부호화 방식이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수신기는 사전부호화 코드북 내에 정의된 사전부호화 행렬 중 가장 선호하는 것을 하나 골라서 이를 송신기에 보고하고, 송신기는 이 정보를 토대로 사전부호화 코드북에서 사전 부호화 방식을 선택하여 실제 전송에 적용한다. 따라서 송신기는 사전부호화 코드북에 정의되지 않은 사전부호화를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 신호에 실제 사용한 사전부호화 방식에 관한 정보를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DCI")에 포함시키고 있다.However, when reporting CQI, PMI, and RI, the pre-coding method is limited because the receiver uses only the pre-coding scheme defined in the precoding codebook introduced in the standard. For example, the receiver selects one of the pre-coding matrices defined in the pre-coding codebook and reports it to the transmitter, and the transmitter selects the pre-coding scheme from the pre-coding codebook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applies it to the actual transmission. Therefore, the transmitter can not apply pre-coding not defined in the pre-coding codebook. For this reason, in the LTE system,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DCI")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re-coding scheme actually used in the data signal.

한편 LTE-A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사전부호화 코드북에 정의되지 않은 사전부호화를 적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방식의 장점은, 송신기가 사전부호화 방식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는데 있다. 이로 인하여, CRS에 기반한 전송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즉 사전부호화 방식의 수가 무한하기 때문에, DCI를 이용하여 사전부호화 방식을 알려 줄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LTE 시스템에서 하나의 계층 전송에 한하여, 수신기 별 기준 신호, 즉 단말 기준 신호(dedicated RS; DRS)를 도입하였는데, DRS는 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사전부호화 방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DCI를 이용하여 실제 적용한 사전부호화 방식을 알려주지 않아도, 수신기는 DRS를 통해 사전부호화된 채널을 추정하여 사전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LTE 시스템은 release-9에서 DM-RS를 도입하여 이러한 전송을 두 계층 전송까지 확대하였는데, LTE-A 시스템에서는 최대 8개의 계층 전송을 지원하도록 DM-RS를 8개까지 정의한다. DM-RS 역시 데이터 신호와 동일한 사전부호화 방식이 적용되고, DCI를 이용하여 실제 적용한 사전부호화 방식을 알려주지 않아도, 수신기는 DM-RS를 통해 사전부호화된 채널을 추정하여 사전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TE-A system, the transmitter is allowed to apply pre-coding that is not defined in the pre-coding codebook. An advantage of this scheme is that the transmitter can arbitrarily determine the pre-coding scheme. As a result, the CRS-based transmission scheme can not be used as it is. That is, since the number of pre-coding schemes is infinite, the pre-coding scheme can not be announced using DCI. Accordingly, only one layer transmission in the LTE system adopts a reference signal for each receiver, that is, a dedicated RS (DRS), and DRS uses the same pre-coding scheme as the data signal. Therefore, the receiver can demodulate the pre-coded data signal by estimating the pre-coded channel through the DRS without informing the pre-coding method actually applied using the DCI. In LTE system, DM-RS is introduced in release-9, and this transmission is expanded to two-layer transmission. In LTE-A system, up to 8 DM-RS are defined to support up to 8 layer transmission. The DM-RS also uses the same pre-coding scheme as the data signal. Even if the pre-coding scheme actually applied using the DCI is not indicated, the receiver estimates the pre-coded channel through the DM-RS and demodulates the pre-coded data signal .

도 2는 LTE 시스템에서 송신기의 DRS를 이용한 하향링크 전송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송신기에서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송신기가 2개를 초과하는 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아울러, 비록 LTE 시스템에서 DRS의 용도가 하나의 계층 전송으로 제한되나, LTE-A 시스템에서 최대 8개의 계층을 구성하여 전송하는 공간 다중화에 DRS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2 shows a downlink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DRS of a transmitter in an LTE system.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tter has two transmit antenna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same applies even if the transmitter has more than two transmit antennas. In addition, although the use of DRS is limited to one layer transmission in the LTE system, the DRS concept can be applied to spatial multiplexing in which up to eight layers are configured and transmitted in the LTE-A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송신기(120)는 다중화기(125), 사전부호화기(127), 제 1 송신 안테나(131a) 및 제 2 송신 안테나(131b)를 포함한다. 이 때 송신기(120)는 데이터 신호(121)를 DRS(123)와 더불어 다중화 및 사전부호화하여 송신한다. 2, the transmitter 120 includes a multiplexer 125, a pre-encoder 127, a first transmission antenna 131a, and a second transmission antenna 131b. At this time, the transmitter 120 multiplexes and pre-encodes the data signal 121 together with the DRS 123 and transmits it.

수신기(도시되지 않음)를 위한 데이터 신호(121)와 DRS(123) 입력 시, 다중화기(125)는 데이터 신호(121)와 DRS(123)를 다중화하여, 사전부호화기(127)로 전달한다. 사전부호화기(127)는 사전부호화된 신호(129)를 생성하여, 제 1 송신 안테나(131a) 및 제 2 송신 안테나(131b)를 통해 송신한다. 사전부호화된 신호(129)는 데이터 신호(121)와 DRS(123)를 포함하며, 수신기는 DRS(123)로 데이터 신호(121)의 채널을 추정하여 DRS(123)의 사전부호화 방식과 채널 응답을 모두 반영한 사전부호화된 채널 응답을 추정할 수 있다. Upon input of the data signal 121 and the DRS 123 for a receiver (not shown), the multiplexer 125 multiplexes the data signal 121 and the DRS 123 and transfers the data signal 121 and the DRS 123 to the pre- The pre-encoder 127 generates the pre-coded signal 129 and transmits it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131a and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131b. The pre-encoded signal 129 includes a data signal 121 and a DRS 123. The receiver estimates the channel of the data signal 121 to the DRS 123 and outputs the pre-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pre-coded channel response.

도 3은 LTE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자원 사상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DL 자원이 일반 CP(normal CP; normal Cyclic Prefix) 서브프레임 구조에 따라 구현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DL 자원이 확장 CP(Extended CP) 서브프레임 구조에 따라 구현될 수도 있다. 3 shows an example of downlink resource mapping in the LTE system. Here, it is assumed that the DL resour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 normal CP (normal cyclic prefix) subframe structu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DL resource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xtended CP (CP) subframe structure.

도 3을 참조하면, 시간 축 상에서 최소 자원 단위는 OFDM 심볼(OFDM symbol; 201)이다. 7개의 OFDM 심볼(201)로 하나의 슬롯(slot; 203)이 구성되고, 두개의 슬롯(203)으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 205)이 구성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205)은 시간 축 상에서 자원할당의 기본 단위가 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205)에서 선두의 하나, 둘 또는 세개의 OFDM 심볼(201)은 제어 채널 영역으로 사용되며, 나머지의 OFDM 심볼(201)은 데이터 채널 영역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주파수 축 상에서 최소 자원 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 207)이다. 12개의 서브캐리어로 하나의 자원블럭(resource block; RB; 211)이 구성된다. RB(211)는 주파수 축 상에서 자원할당의 기본 단위가 된다. 이를 통해, 주파수 축 상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207), 시간 축 상에서 하나의 OFDM 심볼(201) 및 공간 축 상에서 하나의 안테나 포트(도시되지 않음)는 자원의 가장 작은 단위인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 209)로 구성되며, 하나의 변조 심볼이 RE(209)로 송수신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minimum resource unit on the time axis is an OFDM symbol (201). One slot 203 is composed of seven OFDM symbols 201 and one subframe 205 is composed of two slots 203. This subframe 205 is a basic unit of resource allocation on the time axis. One, two, or three OFDM symbols 201 at the head in one subframe 205 are used as a control channel region, and the remaining OFDM symbols 201 are used as a data channel region. And the minimum resource unit on the frequency axis is a subcarrier 207. [ One resource block (RB) 211 is composed of 12 subcarriers. The RB 211 is a basic unit of resource allocation on the frequency axis. Accordingly, one subcarrier 207 on the frequency axis, one OFDM symbol 201 on the time axis, and one antenna port (not shown) on the spatial axis form a resource element, which is the smallest unit of resources. RE) 209, and one modulation symbo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RE 209. [

예를 들면, 송신기의 송신 안테나, 즉 안테나 포트가 4개인 경우, 송신기는 각각의 안테나 포트를 위한 CRS(220. 221, 222, 223)를 정의하여 송신한다. 즉 수신기에서 안테나 포트 0, 1, 2, 3의 채널을 추정할 수 있게 위해서, 송신기는 안테나 포트 0을 위한 CRS0(220), 안테나 포트 1을 위한 CRS1(221), 안테나 포트 2를 위한 CRS2(222) 및 안테나 포트 3을 위한 CRS3(223)을 송신한다. 이 때 송신기는 CRS0(220), CRS1(221), CRS2(222) 및 CRS3(223)을 각기 다른 RE(209)에 분산시켜 송신한다. 이를 통해, CRS0(220), CRS1(221), CRS2(222) 및 CRS3(223)는 서로 직교하는 특성을 갖는다. 아울러, 송신기는 데이터 신호 중 제어 채널 신호(225)를 제어 채널 영역의 RE(209)로 송신하고, 데이터 신호 중 데이터 채널 신호(227)를 데이터 채널 영역의 RE(209)로 송신한다. 그리고 CRS(220, 221, 222, 223)의 위치를 셀 별로 다르게 정의하고자, 셀 별 오프셋(213)은 셀의 식별자(cell identification)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For example, if the transmitter has four transmit antennas, that is, four antenna ports, the transmitter defines and transmits a CRS (220. 221, 222, 223) for each antenna port. In order for the receiver to be able to estimate the channels of antenna ports 0, 1, 2 and 3, the transmitter must have CRS0 220 for antenna port 0, CRS1 221 for antenna port 1, CRS2 222 and the CRS 3 223 for the antenna port 3. At this time, the transmitter transmits the CRS0 220, the CRS1 221, the CRS2 222, and the CRS3 223 to the different REs 209,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CRS0 220, the CRS1 221, the CRS2 222, and the CRS3 223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transmitter transmits the control channel signal 225 of the data signal to the RE 209 of the control channel region and the data channel signal 227 of the data signal to the RE 209 of the data channel region. In order to define the positions of the CRSs 220, 221, 222 and 223 differently for each cell, an offset 213 for each cell is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ell identification.

이러한 LTE 시스템에서, 송신기는 하기 <표 1>과 같은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 이하 "TM")에 따라 데이터 신호 및 기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LTE 시스템의 DL에서 이용 가능한 전송 모드를 나열한 표이다. 각 전송 모드 별로 두 가지 데이터 전송 방식이 지원된다. 기준 전송 방식은 해당 전송 모드에서만 허용되는 전송 방식이고 대체 전송 방식은 모든 전송 모드에서 공통적으로 허용되는 전송 방식이다.In this LTE system, the transmitter can transmit a data signal and a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a transmission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M") as shown in Table 1 below. Table 1 below is a table listing transmission modes available in the DL of the LTE system. Two data transmission schemes are supported for each transmission mode. The reference transmission scheme is a transmission scheme allowed only in the corresponding transmission mode, and the alternative transmission scheme is a transmission scheme commonly allowed in all transmission modes.

LTE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준 전송 방식을 지원하지만, 모든 기준 전송 방식을 매 전송 시점마다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기준 전송 방식은 서로 다른 DCI를 요구하며, 수신기는 어떤 DCI를 수신할 것인가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송신기가 하나의 수신기에 특정 공통 전송 모드를 설정해 주면, 해당 수신기는 해당 공통 전송 모드의 기준 전송 방식으로 수신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공통 전송 모드의 설정은 상위 시그널링(higher layer signalling)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정 과정에서 시간 지연을 피할 수 없다. 그리고 특정 수신기에 설정된 공통 전송 모드의 기준 전송 방식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는 채널 상태로 변했다면, 해당 수신기의 공통 전송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대체 전송 방식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기준 전송 방식 중 가장 채널 변화에 둔감한 것이 전송 다이버시티이기 때문에, LTE 시스템은 7가지의 공통 전송 모드에 대해 대체 전송 방식으로 전송 다이버시티를 정의하고 있다.Although the LTE system supports various reference transmission methods, it is not possible to freely select all the reference transmission methods at each transmission time. Each reference transmission scheme requires a different DCI, and the receiver must know in advance which DCI to receive. Therefore, if the transmitter sets a specific common transmission mode to one receiver, the receiver performs the reception operation in the reference transmission mode of the common transmission mode. In this case, since the setting of the common transmission mode is performed through higher layer signaling, a time delay can not be avoided in the setting process. If the reference transmission scheme of the common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specific receiver is changed to a channel state that is no longer valid, an alternative transmission scheme for changing the common transmission mode of the corresponding receiver is needed. The LTE system defines transmission diversity as an alternative transmission scheme for seven common transmission modes because it is the transmission diversity which is the most insensitive to the channel variation among the various reference transmission scheme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1>에 나열된 전송 모드 1부터 6은 CRS를 기반으로 한 기준 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반면 전송 모드 7부터 10은 DRS(안테나 포트 5) 또는 DM-RS(안테나 포트 7, 8, 9, 10, 11, 12, 13, 14)를 기반으로 한 기준 전송 방식을 지원한다. Transmission modes 1 through 6 listed in Table 1 support CRS-based transmission, while transmission modes 7 through 10 correspond to DRS (Antenna Port 5) or DM-RS (Antenna Ports 7, 8, 9, , 11, 12, 13, 14).

CRS를 기반으로 한 기준 전송 방식으로는, 송신기가 하나의 송신 안테나만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단일 안테나 송신; 안테나 포트 0, 공간 다이버시티를 얻기 위한 전송 다이버시티, 공간 채널 상태에 관한 피드백 없이 공간 다중화 전송을 하는 open-loop 공간 다중화, 공간 채널 상태에 관한 피드백을 토대로 공간 다중화 전송을 하는 closed-loop 공간 다중화, 동일 자원에서 서로 다르게 성형된 빔으로 복수의 사용자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사용자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공간 채널 상태에 관한 피드백을 토대로 단일 계층 전송을 하는 closed-loop rank-1 precoding 등이 있다.The CRS-based reference transmission scheme includes a single antenna transmission corresponding to a case where the transmitter has only one transmission antenna; Antenna port 0, transmit diversity to obtain spatial diversity, open-loop spatial multiplexing for spatial multiplexing transmission without feedback on spatial channel state, closed-loop spatial multiplexing for spatial multiplexing transmission based on feedback on spatial channel state 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hat transmits a plurality of user signals to differently shaped beams in the same resource, and closed-loop rank-1 precoding that performs single layer transmission based on feedback on spatial channel conditions .

아울러, LTE 시스템은 DRS를 이용하여 채널 응답을 추정하는 방식을 하나의 공통 전송 모드로 허용하고 있는데, DRS를 안테나 포트 5용 RS라 하여 단일 안테나 송신; 안테나 포트 5 방식이라고 한다.In addition, the LTE system allows DRS to estimate the channel response using one common transmission mode, where DRS is referred to as RS for antenna port 5, and single antenna transmission; It is called antenna port 5 scheme.

LTE 시스템의 release-9에서는 전송 모드 8이 추가되었다. DM-RS인 안테나 포트 7, 8이 도입되었으며, CRS에 기반하지 않고 DM-RS에 기반한 공간 다중화를 지원한다.In release-9 of LTE system, transmission mode 8 is added. Antenna ports 7 and 8, which are DM-RSs, are introduced and support spatial multiplexing based on DM-RS instead of CRS.

LTE-A 시스템(release-10)에서는 전송 모드 9와 10이 추가되었다. 최대 8 계층 공간 다중화를 지원하기 위해, DM-RS인 안테나 포트 7, 8에 추가 DM-RS로 안테나 포트 9, 10, 11, 12, 13, 14가 정의 된다.In LTE-A system (release-10), transmission modes 9 and 10 were added. To support up to 8 layer spatial multiplexing, antenna ports 9, 10, 11, 12, 13 and 14 are defined as additional DM-RSs at antenna ports 7 and 8, which are DM-RSs.

요컨대 LTE-A 시스템에서는 CRS 기반의 전송 모드인 전송모드 1~6을 지원하고 DRS를 포함한 DM-RS에 기반한 전송모드인 전송 모드 7~10을 지원한다.In short, LTE-A system supports transmission modes 1 ~ 6, which are CRS-based transmission modes, and transmission modes 7 ~ 10, which are transmission modes based on DM-RS including DRS.

LTE 시스템과 LTE-A 시스템의 송신기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CRS를 전송한다. 이에, 수신기는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CRS를 수신하여 데이터 신호의 채널 추정에 이용할 수 있다. 다만, 한 가지 예외가 있는데, 그것은 MBSFN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MBSFN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채널 영역에 CRS가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MBSFN 전송은 다중 셀에서 동일한 방송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방송의 서비스 영역을 넓히는 전송 방식이다. 이러한 MBSFN 전송은 다중 셀에서 동시에 전송한 신호를 수신기가 셀 별로 구분하지 않고 코히어런트 복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다중 셀에서 동일한 RS를 전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The transmitter of the LTE system and the LTE-A system transmits the CRS in all subframes. Therefore, the receiver can receive the CRS in all subframes and use it for channel estimation of the data signal. However, there is one exception: in the MBSFN subframe to support MBSFN transmission, no CRS is transmitted in the data channel region. MBSFN transmission is a transmission scheme that broadens the service area of broadcasting by transmitting the same broadcast signal in multiple cells. The MBSFN transmission is required to transmit the same RS in multiple cells in order to allow a receiver to perform coherent demodulation without distinguishing cells transmitted simultaneously from multiple cells.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MBSFN 전용 RS만을 정의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unicast 서비스를 받는 LTE 시스템의 수신기는, MBSFN 서브프레임에서 CRS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MBSFN 서브프레임에서는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서, 송신기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설정을 상위 시그널링으로 unicast 서비스를 받는 LTE 시스템의 수신기에 알려주고, 수신기는 어느 서브프레임이 MBSFN 서브프레임인가를 사전에 인지한다.In the MBSFN subframe, only the MBSFN dedicated RS is defined and transmitted. Therefore,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receiving the unicast service does not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in the MBSFN subframe because the CRS is not transmitted in the MBSFN subframe. For this operation, the transmitter informs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that the unicast service is received by the upper signaling of the MBSFN subframe, and the receiver recognizes which subframe is the MBSFN subframe in advance.

도 4는 MBSFN 서브프레임의 시분할 다중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MBSFN subframes.

도 4를 참조하면, 일반 서브프레임(251)과 MBSFN 서브프레임(253)은 시분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수신기는 일반 서브프레임(251)에서 CRS를 추출하여 데이터 신호의 채널을 추정한다. 반면 수신기는 MBSFN 서브프레임(253)에서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normal subframe 251 and the MBSFN subframe 253 are time-divided. At this time, the receiver extracts the CRS from the normal subframe 251 and estimates the channel of the data signal. 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does not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in the MBSFN subframe 253.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LTE-A 시스템에서 수신기를 위해 최적화된 자원으로 MBSFN 서브프레임을 활용할 수 있다. LTE-A 시스템은 LTE 시스템과 후행호환성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송신기는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반드시 CRS를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CRS를 데이터 채널 신호 수신에 참고하지 않도록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LTE-A 시스템의 수신기에 있어서, CRS 전송에 사용된 자원은 버려진 자원인 것이다. 그러나 LTE 시스템의 수신기에 있어서, MBSFN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 CRS가 전송되지 않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LTE 시스템의 수신기는 LTE-A 서브프레임을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LTE-A 서브프레임을 LTE-A 시스템을 위해 최적화된 서브프레임으로 인식한다. LTE-A 서브프레임에서는 CRS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LTE-A 시스템의 수신기의 입장에서는 데이터 채널 신호에 할당된 자원의 양이 늘어나서 데이터 전송율을 높이거나 수신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this feature, the MBSFN subframe can be utilized as an optimized resource for the receiver in the LTE-A system. Since the LTE-A system must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with the LTE system, the transmitter must transmit the CRS in the normal subframe. However,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can set the transmission mode so that it does not refer to CRS for data channel signal reception. That is, in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the resources used for CRS transmission are abandoned resources. However, in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since the CRS is not expected to be transmitted in the data channel region of the MBSFN subframe,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recognizes the LTE-A subframe as the MBSFN subframe.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recognizes the LTE-A subframe as an optimized subframe for the LTE-A system. Since the CRS is not transmitted in the LTE-A subframe, the amount of resources allocated to the data channel signal increases in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thereby increasing the data transmission rate or improving the reception performance.

도 5는 LTE-A 서브프레임의 시분할 다중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ime division multiplexing of an LTE-A subframe.

도 5를 참조하면, 일반 서브프레임(251)과 LTE-A 서브프레임(255)은 시분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TE-A 서브프레임은 LTE 시스템의 수신기에게는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인식되는 반면, LTE-A 시스템의 수신기에게는 LTE-A 시스템을 위해 최적화된 서브프레임으로 인식된다. 즉 일반 서브프레임(251)에서, 송신기는 후행호환성을 위해 CRS와 LTE-A 시스템의 수신기의 복조를 위한 DM-RS를 동시에 전송해야 하지만, LTE-A 서브프레임(255)의 데이터 채널 영역에서는 CRS 없이 LTE-A 시스템의 수신기를 위한 DM-RS만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ormal subframe 251 and the LTE-A subframe 255 are time-divided. The LTE-A subframe is recognized as an MBSFN subframe for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while the receiver is recognized as the subframe optimized for the LTE-A system for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In the normal subframe 251, the transmitter must simultaneously transmit CRS and DM-RS for demodulation of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for backward compatibility. In the data channel region of the LTE-A subframe 255, Only the DM-RS for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can be transmitted.

LTE-A 시스템의 DL에서, 송신기는 LTE 시스템의 수신기를 위해서 CRS를 전송하고, LTE-A 시스템의 수신기를 위해서 DM-RS를 전송한다. 여기서 DM-RS는 공간 다중화를 지원하기 위해 DRS를 확장한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 신호가 최대 8개의 공간 계층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최대 8가지 직교하는 DM-RS를 정의한다. DM-RS를 도입한 가장 큰 이유는 송신기가 임의의 사전부호화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사전부호화가 사전부호화 코드북에 한정된다면, 다중 사용자 MIMO(Multi-User MIMO, 이하 "MU-MIMO") 등에 적합하지 않으며, CoMP JT를 지원하기 위한 DCI가 매우 복잡해진다. 이와 같이 LTE-A 시스템에서 개선 또는 새로 도입하고자 하는 전송 방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CRS를 재활용하기 보다 새로운 DM-RS를 도입하기로 결정한 것이다.In the DL of the LTE-A system, the transmitter transmits the CRS for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and the DM-RS for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Here, DM-RS is an extension of DRS to support spatial multiplexing. And since it is assumed that the data signal can form up to eight spatial layers, up to eight orthogonal DM-RSs are defined. The main reason for introducing DM-RS is to allow the transmitter to apply arbitrary pre-coding. If the pre-coding is limited to the pre-coding codebook, it is not suitable for multi-user MIMO (MU-MIMO), and DCI for supporting CoMP JT becomes very complicated. In order to effectively support the transmission scheme to be improved or newly introduced in the LTE-A system, it is decided to introduce a new DM-RS instead of recycling the CRS.

그러나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기는 LTE 시스템의 수신기를 위해 CRS도 전송하고 LTE-A 시스템의 수신기를 위해 DM-RS도 전송해야 한다. DM-RS를 이용하는 LTE-A 시스템의 전송 방식이 아무리 효과적이다 하더라도, 두가지 종류의 RS를 항상 전송해야 한다면 RS에 소비되는 자원량이 필요 이상으로 많을 수 있다. 이 때문에 DM-RS를 이용한 LTE-A 시스템의 전송 방식이 LTE시스템의 전송 방식보다 더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야기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LTE-A 시스템의 수신기라 하더라도, 선택적으로 LTE 시스템의 수신기와 같이 CRS를 이용하여 데이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However, in the normal subframe, the transmitter must also transmit the CRS for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and the DM-RS for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Even if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LTE-A system using DM-RS is effective, if the two types of RSs are always transmitted, the amount of resources consumed by the RSs may be more than necessary. Therefore, there may occur a situation where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LTE-A system using the DM-RS causes a lower data transmission rate than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LTE system.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of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the data rate can be improved by selectively receiving the data signal using the CRS as in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LTE 시스템의 DL에서는 다중 송신 안테나를 이용한 전송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하기 <표 2>와 같은 상위 시그널링을 정의한다. 즉 상위 시그널링은 수신기 별로 다중 송신 안테나 관련 상항을 알려주기 위한 상황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며, 이는, 예컨대 'AntennaInfoDedicated'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AntennaInfoDedicated'에는 LTE 시스템의 전송 모드를 정의하기 위한 모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이 때 모드 정보 요소는 'transmissionMode'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떤 전송 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3-bit의 정보로 알려 준다.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가 tmA로 설정되었다면, 전송 모드 A로 설정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m3이 설정되었다면 전송 모드 3이 설정된 것이다.In the DL of the LTE system, upper signaling is defined as shown in Table 2 below to set a transmission mode using multiple transmit antennas. That is, the upper signaling includes an information element for informing the receiver about the multiple transmit antennas for each receiver, which can be defined as 'AntennaInfoDedicated', for example. And 'AntennaInfoDedicated' includes a mode information element for defining a transmission mode of the LTE system. At this time,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can be defined as 'transmissionMode', and it indicates 3-bit information as to which transmission mode is set. If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 is set to tmA, it means that it is set to transmission mode A. For example, if tm3 is set, transfer mode 3 is set.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LTE-A 시스템의 DL에서는 전송 모드 9와 10이 추가되었다. 따라서 상기 <표 2>와 같은 'AntennaInfoDedicated'로는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없다. 따라서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후술되는 'AntennaInfoDedicated-rel10'이라는 상위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전송 모드를 파악한다.Transmission modes 9 and 10 were added in the DL of the LTE-A system. Therefore, the transmission mode can not be set to 'AntennaInfoDedicated' as shown in Table 2 above. Therefore,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receives the upper signaling 'AntennaInfoDedicated-rel10' to be described later to grasp the transmission mode.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하기 <표 3>과 같이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rel10'와 'transmissionModeMBSFN-rel10'를 모두 정의하는 것이다.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rel10'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어떠한 전송 모드를 설정하는가를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상황이란, 일반 서브프레임이나 LTE-A 서브프레임에 공히 적용될 수 있는 상황으로, 전송 모드 7, 8, 9, 10 중 하나가 설정되었다면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DM-RS 기반 전송 모드로 동작한다. 그러나 전송 모드 1, 2, 3, 4, 5, 6 중 하나가 설정되었다면, 이는 CRS 기반 전송 모드에 해당하므로 LTE-A 서브프레임에서는 적용될 수 없고, CRS가 전송되는 일반 서브프레임에만 적용된다. 즉 CRS 기반 전송 모드로 설정된 수신기는 LTE-A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both mode information elements 'transmissionMode-rel10' and 'transmissionModeMBSFN-rel10' as shown in Table 3 below.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rel10' is intended to inform which transmission mode is set in a normal situation. Here, a general situation is a situation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to a general subframe or an LTE-A subframe. If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7, 8, 9, and 10 is set, all subframes operate in a DM-RS based transmission mode. However, if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1, 2, 3, 4, 5, and 6 is set, it corresponds to the CRS-based transmission mode and can not be applied to the LTE-A subframe. That is, the receiver set in the CRS-based transmission mode can not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in the LTE-A subfram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ransmissionModeMBSFN-rel10'이라는 모드 정보 요소가 추가로 정의된다. 4-bit로 구성된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MBSFN-rel10'는 LTE-A 서브프레임에서 LTE-A 시스템의 수신기가 어느 전송모드로 설정되는가를 알려 주며, LTE-A 서브프레임에서는 CRS가 전송되지 않으므로 DM-RS 기반의 전송 모드인 전송 모드 7, 8, 9, 10 중 하나가 선택된다. To solve this problem, a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MBSFN-rel10' is additionally defined. A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MBSFN-rel10' consisting of 4-bit informs which transmission mode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is set to in the LTE-A subframe. Since the CRS is not transmitted in the LTE-A subframe, One of transmission modes 7, 8, 9, and 10, which is an RS-based transmission mode, is selected.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하기 <표 4>와 같이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rel10'는 반드시 정의하지만, 만약 LTE-A 시스템의 송신기가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rel10'에서 지시하는 전송 모드를 LTE-A 서브프레임에도 유지하려고 한다면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MBSFN-rel10'는 생략할 수도 있다. 하기 <표 4>는 본 실시예를 지원하기 위한 'AntennaInfoDedicated-rel10'이라는 상위 시그널링의 구조이다. 'transmissionModeMBSFN-rel10'는 송신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정된다는 것이 전술된 실시예와의 차이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transmissionMode-rel10'에 의해 LTE-A 시스템의 수신기가 DM-RS 기반의 전송 모드로 설정되고 'transmissionModeMBSFN-rel10'는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 LTE-A 서브프레임에서는 'transmissionMode-rel10'에 의해 설정된 DM-RS 기반의 전송 모드로 간주하고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cessarily defines a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rel10' as shown in Table 4 below, but if the transmitter of the LTE-A system transmits a transmission mode indicated by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rel10'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MBSFN-rel10' may be omitted if it is also intended to be maintained in the LTE-A subframe. Table 4 below shows an upper signaling structure called 'AntennaInfoDedicated-rel10' for supporting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transmissionModeMBSFN-rel10 is selectively set by the transmit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is set to the DM-RS based transmission mode and the transmissionModeMBSFN-rel10 is not set by the transmissionMode-rel10, the transmissionMode- RS-based transmission mode set by the DM-RS and receives the data channel signal.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하기 <표 5>와 같이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MBSFN-rel10'에서 DRS 기반의 전송 모드인 전송 모드 7은 지원하지 않고 전송 모드 8, 9, 10만 지원하는 것이다. 즉 LTE-A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모드 8, 9, 10 중 하나만이 설정된다. 하기 <표 5>는 본 실시예를 지원하기 위한 'AntennaInfoDedicated-rel10'이라는 상위 시그널링의 구조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mode 7, which is a DRS-based transmission mode, is not supported in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MBSFN-rel10', but only the transmission modes 8, 9 and 10 are supported. That is, onl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8, 9, and 10 is set in the LTE-A subframe. Table 5 below shows an upper signaling structure called 'AntennaInfoDedicated-rel10' for supporting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하기 <표 6>과 같이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MBSFN-rel10'에서 LTE release-8와 release-9에서 정의된 DRS 또는 DM-RS 기반의 전송 모드인 전송 모드 7, 8은 지원하지 않고, LTE-A에서 신규 추가된 전송 모드 9, 10만 지원하는 것이다. 즉 LTE-A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모드 9, 10 중 하나만이 설정된다. 하기 <표 6>는 본 실시예를 지원하기 위한 'AntennaInfoDedicated-rel10'이라는 상위 시그널링의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transmissionModeMBSFN-rel10'는 1-bit 정보이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nsmission mode 7, 8 (transmission mode) based on DRS or DM-RS defined in LTE release-8 and release-9 in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MBSFN-rel10' And support only the newly added transmission modes 9 and 10 in LTE-A. That is, onl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9 and 10 is set in the LTE-A subframe. Table 6 below shows an upper signaling structure called 'AntennaInfoDedicated-rel10' for supporting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ransmissionModeMBSFN-rel10' is 1-bit information.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하기 <표 7>과 같이 'transmissionModeMBSFN-rel10'로도 모든 전송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MBSFN-rel10'에서 CRS 기반 전송 모드인 전송 모드 1, 2, 3, 4, 5, 6 중 하나가 설정되면 수신기는 비록 LTE-A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에는 CRS가 없지만 제어 채널 영역과 주변 서브프레임에 존재하는 C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하고 CRS 기반의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ll transmission modes to be set to 'transmissionModeMBSFN-rel10' as shown in Table 7 below. If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1, 2, 3, 4, 5, and 6, which is a CRS-based transmission mode, is set in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MBSFN-rel10', the receiver does not have a CRS in the data area of the LTE- And a CRS existing in a neighboring subframe, and receives a data channel signal transmitted in a CRS-based transmission scheme.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송신기에서 2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송신기가 2개를 초과하는 수의 송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6 illustrates a transmitt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transmitter has two transmit antenna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same applies even if the transmitter has more than two transmit antennas.

도 6을 참조하면, 송신기(300)는 송신 제어기(301), 제 1 다중화기(303), 제 1 사전부호화기(309), 제 2 사전부호화기(313), 제 2 다중화기(315a), 제 3 다중화기(315b), 제 1 송신 안테나(317a) 및 제 2 송신 안테나(317b)를 포함한다. 이 때 송신기(300)는 데이터 신호(303)와 DM-RS(305) 또는 CRS(311)를 다중화하여 전송한다. LTE-A 서브프레임에서, 송신기(300)는 데이터 영역에서 DM-RS(305)를 전송하지만 CRS(311)는 전송하지 않는다. 일반 서브프레임에서, 송신기(300)는 후행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CRS(311)를 전송하며 LTE-A 시스템의 수신기에 설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필요한 경우 DM-RS(305)를 추가로 전송한다. 6, the transmitter 300 includes a transmission controller 301, a first multiplexer 303, a first pre-encoder 309, a second pre-encoder 313, a second multiplexer 315a, 3 multiplexer 315b, a first transmission antenna 317a, and a second transmission antenna 317b. At this time, the transmitter 300 multiplexes the data signal 303 and the DM-RS 305 or the CRS 311 and transmits the multiplexed signal. In the LTE-A subframe, the transmitter 300 transmits the DM-RS 305 in the data area, but the CRS 311 does not. In the normal subframe, the transmitter 300 transmits the CRS 311 to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and further, if necessary, the DM-RS 305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송신 제어기(301)는 현재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 또는 일반 서브프레임 중 어느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LTE-A 서브프레임이면, 송신 제어기(301)는 데이터 신호(303)와 DM-RS(305)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송신 제어기(301)는 스케줄링된 수신기에 설정된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를 참고하여 DCI 포맷을 결정한다. DM-RS(305)의 수는 공간 다중화 계층 수에 의해 결정되며, PDCCH로 전송되는 DCI를 통해 수신기에 통보한다.The transmission controller 301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or a general subframe. If it is an LTE-A subframe, the transmission controller 301 controls to generate and transmit the data signal 303 and the DM-RS 305.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controller 301 refers to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set in the scheduled receiver to determine the DCI format. The number of DM-RSs 305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patial multiplexing layers and notifies the receiver through the DCI transmitted on the PDCCH.

한편, 현재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면, 송신 제어기(301)는 데이터 신호(303)와 CRS(311) 그리고 LTE-A 시스템의 수신기에 설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필요한 경우 DM-RS(305)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송신 제어기(301)는 스케줄링된 수신기에 설정된 일반 전송 모드를 참고하여 DCI 포맷을 결정한다. CRS 기반 전송 모드인 경우 DM-RS(305)는 전송되지 않으며 송신기가 데이터 채널 신호 전송에 사용한 사전부호화 정보는 DCI를 통해 통보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전송 모드에 의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DM-RS(305)의 수는 공간 다중화 계층 수에 의해 결정되며, PDCCH로 전송되는 DCI를 통해 수신기에 통보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the transmission controller 301 generates the DM-RS 305 if necessary according to the data signal 303 and the CRS 311 and the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controller 301 determines the DCI format by referring to the general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scheduled receiver. In the CRS-based transmission mode, the DM-RS 305 is not transmitted, and the pre-coding information used by the transmitter to transmit the data channel signal is notified through the DCI or is considered to be based on a preset transmission mode. The number of DM-RSs 305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spatial multiplexing layers, and notifies the receiver through the DCI transmitted on the PDCCH.

데이터 신호(303)와 DM-RS(305) 입력 시, 제 1 다중화기(307)는 데이터 신호(303)와 DM-RS(305)를 다중화하여, 제 1 사전부호화기(309)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1 사전부호화기(309)는 DM-RS(305)와 데이터 신호(303)에 동일한 사전부호화를 적용한다. 또는 DM-RS(305) 없이 데이터 신호(303) 입력 시, 제 1 다중화기(307)는 데이터 신호(303)를 다중화하여, 제 1 사전부호화기(309)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1 사전부호화기(309)는 데이터 신호(303)를 사전부호화한다. 이 때 제 1 사전부호화기(309)에서 특정 수신기를 위해 어떤 사전부호화를 적용할 것인가는 송신 제어기(301)에 의해 결정된다. The first multiplexer 307 multiplexes the data signal 303 and the DM-RS 305 and transmits the multiplexed data signal 303 and the DM-RS 305 to the first pre-encoder 309. The first pre-encoder 309 applies the same pre-coding to the DM-RS 305 and the data signal 303. The first multiplexer 307 multiplexes the data signal 303 and transfers the multiplexed data signal 303 to the first pre-encoder 309. The DM- The first pre-encoder 309 pre-encodes the data signal 303.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controller 301 determines which pre-coding is to be applied to the specific receiver in the first pre-encoder 309.

CRS(311) 입력 시, 제 2 사전부호화기(313)는 CRS(311)에 고정된 사전부호화(fixed precoding)를 적용한다. 여기서 고정된 사전부호화란 수신기의 채널 상태에 따라 사전부호화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일정한 사전부호화를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정된 사전부호화를 적용하는 이유는, LTE-A 시스템은 최대 8개의 송신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으나, LTE 시스템의 수신기는 LTE-A 시스템을 최대 4개의 송신 안테나를 가진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LTE 시스템의 최대 4개의 CRS를 최대 8개 송신 안테나에 배치하는 규칙을 도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안테나 가상화(antenna virtualization)라고 한다. 이 때 제 2 사전부호화기(313)는 CRS(311)를 어떻게 제 1 송신 안테나(317a) 및 제 2 송신 안테나(317b)에 배치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When the CRS 311 is input, the second pre-encoder 313 applies fixed precoding fixed to the CRS 311. Here, the fixed pre-coding means not always changing the pre-coding according to the channel state of the receiver but always applying a constant pre-coding. The reason for applying the fixed pre-coding is that the LTE-A system can have up to 8 transmit antennas, but the receiver of the LTE system recognizes the LTE-A system as having up to 4 transmit antennas, Of the maximum number of CRSs of up to 8 transmit antennas. This process is called antenna virtualization. At this time, the second pre-encoder 313 determines how to place the CRS 311 on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317a and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317b.

제 1 사전부호화기(309)에서 사전부호화된 데이터 신호(303)와 DM-RS(305) 입력 시, 제 2 다중화기(315a) 및 제 3 다중화기(315b)는 데이터 신호(303)와 DM-RS(305)를 다중화하여, 제 1 송신 안테나(317a) 및 제 2 송신 안테나(317b)를 통해 송신한다. 또는 제 1 사전부호화기(309)에서 사전부호화된 데이터 신호(303)와 제 2 사전부호화기(313)에서 사전부호화된 CRS(311) 입력 시, 제 2 다중화기(315a) 및 제 3 다중화기(315b)는 데이터 신호(303)와 CRS(311)를 다중화하여, 제 1 송신 안테나(317a) 및 제 2 송신 안테나(317b)를 통해 송신한다. The second multiplexer 315a and the third multiplexer 315b receive the data signal 303 and the DM-RS 305 in response to the pre-coded data signal 303 and the DM-RS 305 in the first pre- RS 305, and transmits the multiplexed signal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317a and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317b. Or the CRS 311 pre-coded by the second pre-coder 313 is input to the second multiplexer 315a and the third multiplexer 315b Multiplexes the data signal 303 and the CRS 311 and transmits the multiplexed data through the first transmission antenna 317a and the second transmission antenna 317b.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수신기에서 2개의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예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수신기가 2개를 초과하는 수의 수신 안테나들을 구비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된다.7 shows a receiv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receiver includes two reception antenna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Even if the receiver has more than two receive antennas.

도 7을 참조하면, 수신기(400)는 수신 제어기(401), 제 1 수신 안테나(403a), 제 2 수신 안테나(403b), 제 1 역다중화기(405a), 제 2 역다중화기(405b), 채널 추정기(407), 결합기(409), 데이터 처리기(413)를 포함한다. 7, a receiver 400 includes a reception controller 401, a first reception antenna 403a, a second reception antenna 403b, a first demultiplexer 405a, a second demultiplexer 405b, An estimator 407, a combiner 409, and a data processor 413.

수신 제어기(401)는 상위 시그널링을 해석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 또는 일반 서브프레임 중 어느 것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수신 제어기(401)는 수신기에 설정되어 있는 전송 모드와 PDCCH를 통해 전달된 제어 정보(DCI)를 참고하여 다음 사항을 결정한다.The receiving controller 401 analyzes the upper signaling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or a normal subframe. Also,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refers to the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receiver and the control information (DCI) transmitted through the PDCCH to determine the following matters.

i.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에 사용해야 하는 RS는 CRS인가 DM-RS인가? (미리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전송 모드에 의해 결정)i. The RS that should be used for channel estimation for demodulation is CRS or DM-RS?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mode previously set in the upper signaling)

ii.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에 DM-RS를 사용한다면 몇 개의 DM-RS를 추정해야 하는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의해 결정)ii. How many DM-RSs should be estimated if DM-RS is used for channel estimation for demodulation? (Determined by the DCI transmitted over the PDCCH)

iii. 데이터 수신 방법과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 제어신호(DCI)는 어떤 포맷으로 가정하고 PDCCH를 수신해야 하는가? (미리 상위 시그널링으로 설정된 전송 모드에 의해 결정)iii. What format should the control signal (DCI) including data reception method and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be supposed to receive and receive the PDCCH?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mode previously set in the upper signaling)

iv. 데이터 채널 신호는 어느 자원에서 어떻게 수신해야 하는가?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DCI에 의해 결정)iv. How should the data channel signal be received from? (Determined by the DCI transmitted over the PDCCH)

제 1 수신 안테나(403a) 및 제 2 수신 안테나(403b)에서 신호 수신 시, 제 1 역다중화기(405a) 및 제 2 역다중화기(405b)는 각각 신호를 역다중화하여 RS와 데이터 신호로 구분한다. 이 때 제 1 역다중화기(405a) 및 제 2 역다중화기(405b)는 RS를 채널 추정기(407)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1 역다중화기(405a) 및 제 2 역다중화기(405b)는 데이터 신호를 결합기(409)로 전달한다.The first demultiplexer 405a and the second demultiplexer 405b demultiplex the signals into RS and data signals when receiving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antennas 403a and 403b. The first demultiplexer 405a and the second demultiplexer 405b transmit the RS to the channel estimator 407 at this time. The first demultiplexer 405a and the second demultiplexer 405b transmit the data signal to the combiner 409. [

채널 추정기(407)는 입력된 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이 때 수신 제어기(401)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되면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에 따라 PDCCH를 수신하고 DCI 정보를 획득하여 어느 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할 것인가를 결정하고 채널 추정기(407)가 데이터 채널 신호 복조에 필요한 채널을 추정하도록 명령한다. 그러나 만약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가 CRS 기반의 전송 모드로 설정되었다면, 수신 제어기(401)는 상기 LTE-A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채널 신호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간주하고 데이터 채널 신호 수신 과정을 종료한다. 단,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는, 제어채널 영역과 주변 서브프레임에 존재하는 CRS를 이용하여 LTE-A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신기가 강제로 설정한 경우, 수신 제어기(401)는 제어채널 영역과 주변 서브프레임에 존재하는 C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도록 채널 추정기(407)에 명령한다.The channel estimator 407 estimates a channel using the input RS.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ubframe is the LTE-A subframe,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receives the PDCCH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and obtains the DCI information, And instructs the channel estimator 407 to estimate the channel required for demodulating the data channel signal. However, if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s not set or if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s set to the CRS-based transmission mode,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transmits the data channel signal in the LTE- It is regarded that it is not transmitted and the data channel signal reception process is terminated. However,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ransmitter forcibly sets the data channel signal in the LTE-A subframe using the CRS existing in the control channel region and the neighboring subframe, The channel estimator 407 instructs the channel estimator 407 to estimate the channel using the CRS existing in the control channel region and the neighboring subframe.

수신 제어기(401)에서 현재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인 것으로 결정되면 모드 정보 요소 "transmissionMode-rel10"에서 설정된 전송 모드에 따라 데이터 신호 수신 및 채널 추정을 진행한다. 즉, "transmissionMode-rel10"에서 CRS 기반의 전송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 제어기(401)는 해당 전송 모드에 따른 PDCCH를 수신하고 DCI 정보를 획득하여 채널 추정기(407)가 CRS를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 복조에 필요한 채널을 추정하도록 명령한다. "transmissionMode-rel10"에서 DM-RS 기반의 전송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수신 제어기(401)는 해당 전송 모드에 따른 PDCCH를 수신하고 DCI 정보를 획득하여 채널 추정기(407)가 DM-RS를 이용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 복조에 필요한 채널을 추정하도록 명령한다.If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proceeds to data signal reception and channel estimation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ransmissionMode-rel10 ". If the CRS-based transmission mode is set in the "transmissionMode-rel10",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receives the PDCCH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and obtains the DCI information, and the channel estimator 407 estimates the data channel And instructs to estimate a channel necessary for signal demodulation. If the transmission mode is set to DM-RS based on "transmissionMode-rel10",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receives the PDCCH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mode and acquires the DCI information, and the channel estimator 407 uses the DM- And instructs to estimate a channel necessary for demodulating the data channel signal.

채널 추정기(407)는 수신 제어기(401)가 지시한 RS의 패턴에 따른 채널 추정 방법을 적용하여 채널을 추정한다. 그리고 채널 추정기(407)는 채널 추정치를 수신 제어기(401)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수신 제어기(401)는 제 1 수신 안테나(403a) 및 제 2 수신 안테나(403b)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어떻게 결합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결합 계수를 결정한다. 또한 수신 제어기(401)는 이 결합 계수를 결합기(409)에 전달한다. The channel estimator 407 estimates a channel by applying a channel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a pattern of the RS indicated by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The channel estimator 407 then passes the channel estimate to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Accordingly,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determines a coupling coefficient indicating how to couple the received data signal through the first reception antenna 403a and the second reception antenna 403b. The reception controller 401 also transfers this coupling coefficient to the combiner 409. [

데이터 신호와 결합 계수 입력 시, 결합기(409)는 결합 계수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적절하게 결합하여 복구된 데이터 심볼(411)을 구한다. 데이터 처리기(413)는 데이터 심볼(411)에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하여 정보 비트열로 복원한다. 이 때 수신 제어기(401)가 DCI로 통보된 변조 및 부호화 방법을 전달함에 따라, 데이터 처리기(413)는 적절한 복조 및 복호를 수행할 수 있다.Upon input of the data signal and the coupling coefficient, the combiner 409 appropriately combines the data signal according to the coupling coefficient to obtain the recovered data symbol 411. The data processor 413 performs demodulation and decoding on the data symbol 411 to recover the information bit stream. At this time, as the receiving controller 401 transmits the modulation and coding method notified by the DCI, the data processor 413 can perform appropriate demodulation and decoding.

이러한 수신기(400)에서 데이터 채널 영역의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for receiving the data channel signal of the data channel region in the receiver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3, 4 실시예에서 적용 가능한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8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receiver applicable in the first,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우선 501 단계에서 상위 시그널링의 상황 정보 요소, 즉 "AntennaInfoDedicated-rel10"에서 모드 정보 요소, 즉 "transmissionMode-rel10"와 "transmissionModeMBSFN-rel10"를 확인한다. 이 때 수신기는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해당 수신기에 설정된 전송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기는 모드 정보 요소로부터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1 내지 10 중 해당 수신기에 설정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는 503 단계에서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Referring to FIG. 8, in step 501,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first checks a mode information element, i.e., "transmissionMode-rel10" and "transmissionModeMBSFN-rel10", from the status information element of the upper signaling, that is, "AntennaInfoDedicated-rel10" .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ognize the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receiv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ubframe. Here, the receiver can determine from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hat the receiver is set to the receiver in the transmission modes 1 to 10 in Table 1 above. In step 503, the receiv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만약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라면, 수신기는 505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rel10"에서 설정된 일반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기는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만약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이라면, 수신기는 507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MBSFN-rel10"에서 설정된 LTE-A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기는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f the current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the receiver assumes a normal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rel10" in step 505 and receives the data channel signal.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1 to 10 in Table 1 above. 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the receiver assumes an LTE-A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MBSFN-rel10 in step 507 and receives a data channel signal.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7 to 10 in Table 1 above.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적용 가능한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9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receiver applicabl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우선 601 단계에서 상위 시그널링의 상황 정보 요소, 즉 "AntennaInfoDedicated-rel10"에서 모드 정보 요소, 즉 "transmissionMode-rel10"와 "transmissionModeMBSFN-rel10"를 확인한다. 이 때 수신기는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해당 수신기에 설정된 전송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기는 모드 정보 요소로부터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1 내지 10 중 해당 수신기에 설정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는 603 단계에서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9, in step 601,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first checks a mode information element, i.e., "transmissionMode-rel10" and "transmissionModeMBSFN-rel10", from the status information element of the upper signaling, ie, "AntennaInfoDedicated-rel10" .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ognize the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receiv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ubframe. Here, the receiver can determine from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hat the receiver is set to the receiver in the transmission modes 1 to 10 in Table 1 above. In step 603, the receiv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만약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라면, 수신기는 605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rel10"에서 설정된 일반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기는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만약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이라면, 수신기는 611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MBSFN-rel10"를 확인하여,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가 설정되었다면, 수신기는 613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MBSFN-rel10"에서 설정된 LTE-A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만약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수신기는 615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rel10"에서 설정된 일반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가 CRS 기반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일반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가 CRS 기반이라면, LTE-A 서브프레임에는 CRS가 없으므로, 기지국은 617 단계에서 데이터 채널 신호 수신을 중단한다. 만약 일반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가 DM-RS 기반이라면, LTE-A 서브프레임에는 DM-RS가 전송될 수 있으므로, 기지국은 605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rel10"에서 설정된 일반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If the current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the receiver assumes the normal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rel10" in step 605 and receives the data channel signal. At this time, the receiver receives a data channel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1 to 10 in Table 1 above. If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the receiver checks "transmissionModeMBSFN-rel10" in step 611 to determine whether a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s set. If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s set, the receiver assumes the LTE-A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MBSFN-rel10 " If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s not set, the receiver determines in step 615 whether the normal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rel10" If the normal subframe transmission mode is CRS-based, there is no CRS in the LTE-A subframe, so the base station stops receiving the data channel signal in step 617. If the normal subframe transmission mode is based on DM-RS, the DM-RS can be transmitted to the LTE-A subframe. Therefore, the BS assumes a normal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 Signal.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 적용 가능한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receiver applicable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LTE-A 시스템의 수신기는 우선 701 단계에서 상위 시그널링의 상황 정보 요소, 즉 "AntennaInfoDedicated-rel10"에서 모드 정보 요소, 즉 "transmissionMode-rel10"와 "transmissionModeMBSFN-rel10"를 확인한다. 이 때 수신기는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여 해당 수신기에 설정된 전송 모드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기는 모드 정보 요소로부터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1 내지 10 중 해당 수신기에 설정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기는 703 단계에서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10, in step 701, the receiver of the LTE-A system first checks a mode information element, i.e., "transmissionMode-rel10" and "transmissionModeMBSFN-rel10", from the status information element of the upper signaling, ie, "AntennaInfoDedicated-rel10" .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ognize the transmission mode set in the receiver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subframe. Here, the receiver can determine from the mode information element that the receiver is set to the receiver in the transmission modes 1 to 10 in Table 1 above. In step 703, the receiv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만약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이라면, 수신기는 705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rel10"에서 설정된 일반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기는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만약 현재의 서브프레임이 LTE-A 서브프레임이라면, 수신기는 721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MBSFN-rel10"를 확인하고 LTE-A 서브프레임용으로 설정된 전송 모드가 CRS 기반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가 CRS 기반이라면, 수신기는 723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MBSFN-rel10"에서 설정된 LTE-A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LTE-A 서브프레임 내 제어채널 영역의 CRS와 주변 서브프레임의 C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하고 데이터 채널 신호 수신한다. 이 때 수신기는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LTE-A 서브프레임용 전송 모드가 DM-RS 또는 DRS 기반이라면, 수신기는 725 단계에서 "transmissionModeMBSFN-rel10"에서 설정된 LTE-A 서브프레임 전송 모드를 가정하여 데이터 채널 신호 수신한다. 이 때 수신기는 상기 <표 1>에서 전송 모드 7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데이터 채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f the current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the receiver assumes a normal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rel10" in step 705 and receives the data channel signal.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1 to 10 in Table 1 above. If the current subframe is an LTE-A subframe, the receiver checks transmissionModeMBSFN-rel10 in step 721 and determines whether the transmission mode set for the LTE-A subframe is CRS-based. If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s CRS-based, the receiver assumes the LTE-A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MBSFN-rel10" Estimates the channel using the CRS of the frame, and receives the data channel signal.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1 to 6 in Table 1 above. If the transmission mode for the LTE-A subframe is based on DM-RS or DRS, the receiver assumes the LTE-A subframe transmission mode set in transmissionModeMBSFN-rel10 in step 725 and receives the data channel signal. At this time, the receiver can receive the data channel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transmission modes 7 to 10 in Table 1 above.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Claims (18)

사용자 장치(UE)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신호에 대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DCI의 포맷에 기초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처리(process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A method for receiving data in a user equipment (UE)
Receiv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Receiving information on a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subframe;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on a data signal;
Determining at least one transmission scheme corresponding to a current subfram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on the MBSFN subframe, and the format of the DCI; And
Processing the data sig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scheme;
G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는 것인, 데이터 수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common reference signal (CR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W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일 때,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일 때,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Receiving the data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for the MBSFN subframe when the current subframe is the MBSFN subframe; And
Receiving the data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for the normal subframe when the current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포맷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수신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mat of the DCI includes information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전송 모드 9 또는 전송 모드 10이고, 상기 DCI의 포맷은 DCI 포맷 1A인 것인, 데이터 수신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s transmission mode 9 or transmission mode 10, and the format of the DCI is DCI format 1A. 기지국(BS)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데이터 신호에 대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DCI의 포맷에 기초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base station (BS)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n MBSFN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subframe;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or a data signal;
Determining at least one transmission scheme corresponding to a current subframe based on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on the MBSFN subframe, and the format of the DCI; And
Transmitting the data sig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scheme
And transmitting the dat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는 것인,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common reference signal (CR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Wa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포맷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전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ormat of the DCI includes information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전송 모드 9 또는 전송 모드 10이고, 상기 DCI의 포맷은 DCI 포맷 1A인 것인, 데이터 전송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s transmission mode 9 or transmission mode 10, and the format of the DCI is DCI format 1A. 데이터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제어기 및 데이터 처리기(data processor)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제어기 및 데이터 처리기는,
상기 수신 제어기에 의해, 복수의 전송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제어기에 의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제어기에 의해, 데이터 신호에 대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DCI의 포맷에 기초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기에 의해, 상기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처리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데이터 수신 장치.
In the data receiving apparatus,
A receive controller and a data processor,
The receiving controller and the data processor,
Receiving, by the reception controller,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Receiving, by the reception controller, information on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subframe;
Receiving, by the reception controlle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on the data signal;
Determine, by the receiving controller, at least one transmission scheme corresponding to a current sub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on the MBSFN subframe, and the format of the DCI;
The data processor processes the data sig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scheme
To the data receiving apparatu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는 것인, 데이터 수신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common reference signal (CR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vi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제어기는 또한,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일 때,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이 일반 서브프레임일 때, 상기 일반 서브프레임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데이터 수신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ceiving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Receive the data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for the MBSFN subframe when the current subframe is the MBSFN subframe;
When the current subframe is a normal subframe, receiving the data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for the normal subframe
To the data receiving apparatu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포맷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수신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ormat of the DCI includes information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전송 모드 9 또는 전송 모드 10이고, 상기 DCI의 포맷은 DCI 포맷 1A인 것인, 데이터 수신 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s transmission mode 9 or transmission mode 10, and the format of the DCI is DCI format 1A.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송신 제어기 및 다중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제어기 및 다중화기는,
상기 송신 제어기에 의해, 복수의 전송 모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제어기에 의해,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제어기에 의해, 데이터 신호에 대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하고;
상기 송신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 상기 MBSFN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DCI의 포맷에 기초하여,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며;
상기 송신 제어기에 의해, 상기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를 전송
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데이터 전송 장치.
A data transfer apparatus comprising:
A transmission controller and a multiplexer,
The transmission controller and the multiplexer,
Transmitting, by the transmission controller, information on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amo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 (MBSFN) subframe by the transmission controlle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or a data signal by the transmission controller;
Determine, by the transmission controller, at least one transmission scheme corresponding to a current subfra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nformation on the MBSFN subframe, and the format of the DCI;
The transmission controller transmits the data signal based on the transmission scheme
And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data to the data transmission devic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전송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는 것인, 데이터 전송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common reference signal (CRS), a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odes is based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CI의 포맷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데이터 전송 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ormat of the DCI includes information on a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송 모드는 전송 모드 9 또는 전송 모드 10이고, 상기 DCI의 포맷은 DCI 포맷 1A인 것인, 데이터 전송 장치.16. The apparatus of claim 15, wherein the at least one transmission mode is transmission mode 9 or transmission mode 10, and the format of the DCI is DCI format 1A.
KR1020170115758A 2017-09-11 2017-09-1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1018584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758A KR101858402B1 (en) 2017-09-11 2017-09-1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758A KR101858402B1 (en) 2017-09-11 2017-09-1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291A Division KR101780503B1 (en) 2010-10-06 2010-10-06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268A true KR20170106268A (en) 2017-09-20
KR101858402B1 KR101858402B1 (en) 2018-05-16

Family

ID=60034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758A KR101858402B1 (en) 2017-09-11 2017-09-11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40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66A (en) 2017-11-15 2019-05-23 김완수 Side manuring spreader for equivalent scatter of fertilizer
KR20200110592A (en) 2019-03-16 2020-09-24 김완수 Machine for agriculture for triple agricultural working combined spreader and ridger and rota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66A (en) 2017-11-15 2019-05-23 김완수 Side manuring spreader for equivalent scatter of fertilizer
KR20200110592A (en) 2019-03-16 2020-09-24 김완수 Machine for agriculture for triple agricultural working combined spreader and ridger and rota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402B1 (en)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3001B1 (en) Receiver and method for using reference singnal thereof
KR1017805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EP3493418B1 (en) Data sending method, and signaling send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401001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downlink signaling for partially precoded csi-rs and csi feedback
KR1018541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8-tx codebook and feedback signaling in 3gpp wireless networks
US934491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341230B1 (en) Method of signaling particular types of resource el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7395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precoding information in multiple antenna system
CA2799547C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cch feedback in 3gpp wireless networks
CN10653780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201200699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cch subband feedback signaling in a wireless network
US20110009148A1 (en) Channel Rank Updates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EP31742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eedback signals
US107015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8194762B2 (en) Feedforward of non-quantized precoding weigh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4036070A1 (en)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for mitigating downlink interference
KR1018584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KR20130020487A (en) Control signals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ata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