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6036A -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6036A
KR20170106036A KR1020160029647A KR20160029647A KR20170106036A KR 20170106036 A KR20170106036 A KR 20170106036A KR 1020160029647 A KR1020160029647 A KR 1020160029647A KR 20160029647 A KR20160029647 A KR 20160029647A KR 20170106036 A KR20170106036 A KR 2017010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aurant
location
sleep time
time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이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영 filed Critical 이준영
Priority to KR1020160029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6036A/ko
Publication of KR2017010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07C9/00103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 이동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와 함께 관심 식당을 등록하는 식당등록부;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위치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현재위치를 획득하는 현재위치 획득부; 현재 위치에서 관심 식당의 위치까지의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sleep)시키는 슬립 시간을 산출하는 슬립시간 연산부;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키거나 웨이크업(wake-up)시키는 위치장치 활성부; 및, 상기 슬립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웨이크업 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관심 식당에 방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방문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판단부는 관심 식당에 방문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슬립시간 연산부 및 위치장치 활성부를 제어하여, 슬립 시간을 다시 갱신하여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키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의하면, 식당까지 이동가능한 시간 동안 위치인식장치나 통신장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위치인식장치나 통신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 등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 An automatic restaurant checkin system for minimum power consumption }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식당의 체크인을 자동으로 수행하되,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평소에 오프시키고, 사용자가 해당 식당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 웨이크업시키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 음식점에서 당일에 얼마나 많은 고객들이 방문할지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방문 고객 수를 예측할 수 있다면, 음식재료의 재고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음식 재료의 재고를 줄이면, 그만큼 신선한 음식 재료들을 항상 공급할 수 있고, 이러한 재료들로 보다 신선한 음식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식당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수를 예측하는 방법으로는 해당 식당에서 요일별, 시간대별 등으로 방문하는 손님들의 전체 수를 체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방문객 수로만 통계를 내면, 예측에 대한 오차가 너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각 고객별로 식당을 방문하는 시간이나 요일, 또는 횟수 등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면, 해당 식당의 방문 고객수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현재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다면, 각 고객의 식당 방문을 확인하는 작업이 보다 수월해질 것이다.
종래에는 고객들이 적립 쿠폰 등을 위해 매장 내에 설치된 QR 코드 등을 스마트폰으로 체크하여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방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또한, QR 코드를 휴대용 단말로 인식하고 GPS 등 위치 인식을 동시에 수행하여 방문을 확인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 이때, 위치인식을 위해 GPS 외에도 와이파이(wifi)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한다.
즉, 고객 또는 사용자들이 어떤 식당에 갔는지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2가지 방식이 있다.
먼저, GPS, LTE, WiFi 등을 통한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해당 식당의 일정 반경 안에 들어가면, 그 식당에 방문했다고 간주하는 방식이다.
두번째 방식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근거리 통신 장치를 식당 내에 설치하고, 근거리 통신 장치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인지하면 해당 식당에 방문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전자의 방식은 인접한 두 식당 중에 정확하게 어떤 식당을 방문했는지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GPS, LTE, WiFi에서 얻어오는 위치정보에서 발생하는 오차 때문이다. 또한, 후자의 문제는 블루투스 등 근거리 통신 장치를 식당 등 매장마다 설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어떤 식당에 방문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꽤 많은 예산이 소요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해당 식당에 방문했을 때 방문을 인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즉, 상기와 같은 위치 또는 통신 센서들로부터 계속 위치 정보를 얻어오기 위해서는, 해당 통신 기능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배터리 효율에 큰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와 같이 식당 방문을 확인하는 어플(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작동하면, 해당 어플은 GPS, LTE, WiFi 등 통신 기능을 지속적으로 온(On) 시켜 사용해야 한다. 이 경우, 해당 통신 기능들이 사용자의 스마트폰 배터리의 전력을 많이 소모하고, 사용자는 해당 어플로 인해 배터리가 급격히 소모되는 것을 알게 되면, 해당 어플을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 전력을 많이 소모하지 않으면서, 식당 방문을 체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63420호(2004.07.14. 공개)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6895호(2014.06.03. 공개)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183681호(2012.09.2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식당 체크인을 자동으로 수행하되,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평소에 오프시키고, 사용자가 해당 식당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시간이 경과하면 웨이크업시키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심대상인 다수의 식당 중에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식당을 선택하고, 선택된 식당으로 이동가능한 시간 동안, 스마트폰의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오프시키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 이동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와 함께 관심 식당을 등록하는 식당등록부;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위치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현재위치를 획득하는 현재위치 획득부; 현재 위치에서 관심 식당의 위치까지의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sleep)시키는 슬립 시간을 산출하는 슬립시간 연산부;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키거나 웨이크업(wake-up)시키는 위치장치 활성부; 및, 상기 슬립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웨이크업 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관심 식당에 방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방문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판단부는 관심 식당에 방문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슬립시간 연산부 및 위치장치 활성부를 제어하여, 슬립 시간을 다시 갱신하여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립시간 산출부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관심 식당의 위치까지의 이동시간을 슬립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당등록부는 상기 관심 식당의 최소 머무는 시간을 함께 등록하고, 상기 슬립시간 산출부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관심 식당의 위치까지의 이동시간과, 상기 관심 식당의 최소 머무는 시간을 모두 이용하여 슬립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립시간 산출부는 관심 식당이 다수 개인 경우, 다수의 관심 식당 각각에 대하여 각 슬립시간을 구하고, 슬립시간이 최소인 값을 최종 슬립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문판단부는 상기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관심 식당에 방문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관심 식당에 설치된 매장식별 단말로부터 관심식당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관심 식당에 방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의하면, 식당까지 이동가능한 시간 동안 위치인식장치나 통신장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위치인식장치나 통신장치가 소모하는 전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스마트폰 등 스마트 이동단말(10),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설치되는 자동 체크인 시스템(30), 및, 식당 체크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 서버(50)로 구성된다. 또한, 식당에 설치되는 매장식별 단말(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이동단말(10)과 수집 서버(50)는 이동통신망(41) 및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스마트 이동단말(10)은 스마트폰 등 무선망(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단말로서,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단말을 말한다. 즉,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식당 체크인 등을 수행하는 어플(이동단말용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이동단말(10)은 GPS(위성항법장치) 등 위치추적 장치나, 와이파이(Wifi) 나 LTE 등 통신장치를 장착한 단말이다.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라우터 등의 위치를 통해,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위치가 추정될 수 있고, LTE 등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LTE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
매장식별 단말(20)은 식당에 설치되는 단말로서, 블루투스나 지그비(zigbee) 등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매장식별 단말(20)은 해당 통신 기능을 통해 해당 식당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준다. 식당 식별 데이터는 식당 아이디, 식당 이름 등 식당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매장식별 단말(20)은 스마트 이동단말(10) 등으로부터 식별정보 요청을 받으면, 해당 식당의 식별 데이터를 전송해준다.
다음으로,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은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설치되는 앱(또는 어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사용자가 식당에 방문하는 경우 방문한 식당 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이다.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은 각 식당의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식당에 접근하면 해당 식당을 방문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때,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은 스마트 이동단말(10)의 GPS, 와이파이(wifi), LTE 등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현재 위치가 식당 위치의 일정 반경 내에 있으면 해당 식당을 방문한 것으로 추정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스마트 이동단말(10)은 식당에 설치된 매장식별 단말(20)과 통신하여, 매장식별 단말(20)로부터 매장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식당을 방문한 것으로 판단한다.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은 각 식당을 방문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식당 방문 정보들을 수집서버(50)로 전송한다. 이때,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은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수집된 방문 정보를 수집서버(50)로 전송한다. 또한,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은 식당 방문시의 날짜나 시간 등 방문 일시 데이터도 함께 취득하여, 수집서버(5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수집서버(50)는 사용자의 식당 방문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상의 서버이다. 수집서버(50)는 스마트 이동단말(10)에 설치된 자동 체크인 시스템(30)과 연동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수집서버(50)는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여 사용자 정보를 사전에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수집서버(50)는 사용자를 익명으로 처리하되,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식별 데이터로 사용자 식별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집서버(50)는 각 사용자별로 방문하는 식당들에 대한 방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은 관심대상의 식당을 등록하는 식당등록부(31), 스마트 이동단말(10) 또는 사용자의 위치를 획득하는 현재위치 획득부(32),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웨이크업(wake-up) 또는 활성화시키기 전까지 슬립(sleep) 또는 오프(off)시키는 시간을 산출하는 슬립시간 연산부(33),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웨이크업(wake-up) 시켜 활성화시키는 위치장치 활성부(34), 및, 사용자가 식당을 방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방문 판단부(35)로 구성된다. 또한, 수집 서버(50)에 수집된 식당 방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문데이터 전송부(36)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3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부(36)는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저장매체를 사용한다.
식당등록부(31)는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거나 관심있는 식당들을 등록한다. 식당을 등록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관심 식당을 직접 등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스마트 이동단말(10)에서 인터넷 등 앱을 사용할 때, 열람하는 문서의 내용으로부터 관심 식당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터넷 문서를 스크롤 할 때, 일정 시간 이상 머무는 화면이 있으면, 해당 화면에서 나타나는 식당들을 관심 식당으로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방문하는 식당들을 체크하여 해당 식당들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위치 센서(위치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식당의 위치에서 사전에 정해진 최소 시간을 머물면, 해당 식당을 관심 식당으로 등록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주로 방문하거나 검색, 또는 열람하는 식당들을 관심 식당으로 자동으로 등록시킬 수 있다.
한편, 식당등록부(31)는 관심 식당을 등록시 관심 식당의 위치를 함께 등록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식당등록부(31)는 관심 식당의 최소 머무는 시간도 함께 등록한다. 예를 들어, 관심 식당이 테이크 아웃이 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 테이크 아웃이 되는 경우 최소 주문시간으로 1 ~ 5분 이내의 시간을 최소 머무는 시간으로 설정하고, 식당 내에서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경우에는 최소 머무는 시간을 10~20분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식당에서 판매되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최소 머무는 시간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를 해서 나오는 고급 레스토랑인 경우나, 분식점과 같이 즉석에서 음식이 나오는 경우 등으로 세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음료 등만을 판매하는 곳인 경우 최소 머무는 시간을 달리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재위치 획득부(32)는 스마트 이동단말(10)의 위치인식장치를 통해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 위치인식장치는 GPS(위성항법장치) 등 위치추적 장치나, 와이파이(Wifi) 나 LTE 등 통신장치를 말한다. 즉, 현재위치 획득부(32)는 GPS(위성항법장치)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 또한,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라우터 등의 위치를 통해,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고, LTE 등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LTE 기지국의 위치를 통해 현재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슬립시간 연산부(33)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관심 식당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연산하여,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웨이크업(wake-up) 또는 활성화시키기 전까지 슬립(sleep) 또는 오프(off)시키는 시간(또는 슬립 시간)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시간과 관심식당에서의 최소 머무는 시간을 합한 시간을 슬립시간으로 설정한다.
슬립시간 연산부(33)는 현재위치 획득부(32)에 의해 획득된 현재 위치와, 사전에 등록된 관심 식당의 위치를 가져와서, 현재 위치에서 관심 식당까지 이동하는 시간을 연산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슬립시간 연산부(33)는 지도 또는 맵을 보유하여, 현재 위치에서 식당까지의 이동 경로를 추출하고, 이동 경로로 이동하는 경우의 이동시간을 산출한다.
또한, 슬립시간 연산부(33)는 이동 경로가 보행 도로인지, 자동차 도로인지에 따라 이동속도를 보행속도나 자동차 속도로 설정하여, 이동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식으로서, 슬립시간 연산부(33)는 이동시간을 슬립시간으로 설정한다. 제2 방식으로서, 슬립시간 연산부(33)는 이동시간과 최소 머무는 시간을 합하여 슬립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방식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시간과 최소 머무는 시간의 합에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을 뺀 시간을 슬립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제4 방식으로서, 이동시간과, 최소 머무는 시간의 1/2의 시간을 합한 시간을 슬립시간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식당으로 이동한 후, 식당에서 음식을 먹거나, 테이크아웃을 하는 경우 음식 조리 시간 동안 대기하므로, 일정시간 식당에 머물러야 한다. 이와 같은 최소 시간이 각 식당의 최소 머무는 시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이동한 후 최소 머무는 시간 동안 식당에 머물러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동안 위치인식장치나 통신 장치를 슬립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위치장치 활성부(34)는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sleep) 또는 오프(off) 시키거나, 웨이크업(wake-up) 시켜 활성화시킨다. 특히, 위치장치 활성부(34)는 슬립시간 연산부(33)에서 연산한 슬립 시간 동안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키고, 슬립 시간이 지나면 해당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방문판단부(35)는 슬립시간이 경과하여,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가 활성화되면, 이들 장치로부터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관심 식당에 방문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일실시예로서, 방문판단부(35)는 위치인식장치로부터 현재 위치를 획득하여, 현재 위치가 관심식당의 위치의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래서 현재 위치가 관심식당의 위치에서 소정의 범위(사전에 정해진 범위) 내에 위치하면, 해당 관심 식당에 방문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방문판단부(35)는 활성화된 통신장치를 통해, 식당에 설치된 매장식별 단말(20)과 통신하여, 해당 식당을 방문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즉, 통신장치를 통해 매장식별 단말(20)과 통신하여, 매장식별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식당을 방문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통신 장치는 블루투스, 지그비 등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방문판단부(35)는 사용자가 해당 식당에 방문한 것으로 판단하면, 해당 식당을 방문한 것을 기록하여, 저장부(37)에 저장한다.
또한, 방문판단부(35)는 해당 식당에 방문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슬립시간 연산부(33)를 제어하여 다시 슬립시간을 연산하게 하여,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킨다.
다음으로, 방문데이터 전송부(36)는 저장부(37)에 저장된 방문 데이터를 수집 서버(50)에 전송한다. 방문 데이터는 방문한 관심 식당과, 방문 시간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3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관심 식당이 1개가 아니라 다수인 경우에만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만 설명한다.
슬립시간 연산부(33)는 모든 식당에 대하여 각각 슬립시간을 연산하고, 슬립시간이 최소인 값을 최종 슬립시간으로 설정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스마트 이동단말 20 : 매장식별 단말
30 : 체크인 시스템 40 : 네트워크
41 : 이동통신망 50 : 수집 서버

Claims (5)

  1. 스마트 이동단말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에 있어서,
    위치와 함께 관심 식당을 등록하는 식당등록부;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위치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현재위치를 획득하는 현재위치 획득부;
    현재 위치에서 관심 식당의 위치까지의 이동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이동단말의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sleep)시키는 슬립 시간을 산출하는 슬립시간 연산부;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키거나 웨이크업(wake-up)시키는 위치장치 활성부; 및,
    상기 슬립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웨이크업 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관심 식당에 방문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방문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판단부는 관심 식당에 방문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슬립시간 연산부 및 위치장치 활성부를 제어하여, 슬립 시간을 다시 갱신하여 상기 위치인식장치 또는 통신장치를 슬립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시간 산출부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관심 식당의 위치까지의 이동시간을 슬립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당등록부는 상기 관심 식당의 최소 머무는 시간을 함께 등록하고,
    상기 슬립시간 산출부는 현재 위치에서 상기 관심 식당의 위치까지의 이동시간과, 상기 관심 식당의 최소 머무는 시간을 모두 이용하여 슬립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시간 산출부는 관심 식당이 다수 개인 경우, 다수의 관심 식당 각각에 대하여 각 슬립시간을 구하고, 슬립시간이 최소인 값을 최종 슬립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판단부는 상기 통신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관심 식당에 방문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관심 식당에 설치된 매장식별 단말로부터 관심식당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관심 식당에 방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KR1020160029647A 2016-03-11 2016-03-11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KR20170106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47A KR20170106036A (ko) 2016-03-11 2016-03-11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647A KR20170106036A (ko) 2016-03-11 2016-03-11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36A true KR20170106036A (ko) 2017-09-20

Family

ID=6003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647A KR20170106036A (ko) 2016-03-11 2016-03-11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60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2883A (zh) * 2019-03-25 2019-06-18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个性化层次核密度估计的签到位置预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2883A (zh) * 2019-03-25 2019-06-18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个性化层次核密度估计的签到位置预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2700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tracking, and validating transit journeys
US106382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operating in beacon
US20110022443A1 (en) Employment inference from mobile device data
US11561604B2 (en) Facilitating power conservation for devices based on likelihood of power usage level
KR20150001938A (ko) 컨텐츠 제공 장치, 그 제공 방법 및 서버
WO2017024780A1 (zh) 一种停车诱导的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CN111295697B (zh) 移动体分布状况预测装置和移动体分布状况预测方法
CN103902868A (zh) 信息处理设备、通信终端设备和存储介质
US20200066060A1 (en) Localization of transaction tags
US11297592B2 (en) Electronic beacon for a localization system
WO2014094861A1 (en) Method for issuing a ticket to a customer to a queue, a mobile device and a queue ticket terminal
JP2006262189A (ja) 旅行者動線情報収集システム、旅行者動線情報管理サーバ装置および旅行者動線情報収集方法
EP3427147B1 (en) Techniques for proactively providing translated text to a traveling user
JP2011048582A (ja) 情報収集装置
CN110827562A (zh) 使用公共交通提供路线引导的车辆和方法
KR20170106036A (ko)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식당 자동 체크인 시스템
CN106875720A (zh) 基于车位数据的车辆找寻时间服务系统及方法
JP2016148976A (ja) 来店予測システムおよび来店予測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0411460B (zh) 用于自适应地控制跟踪设备的方法和系统
US10382887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ccess control devices
JP5716514B2 (ja) 情報提供装置
JP729505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202176B2 (en) Power saving for device tracking
JP5331351B2 (ja) 貨物搭載用端末および拠点出入判定方法
JP7171968B1 (ja) 推定システム、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