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564A -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 Google Patents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564A
KR20170103564A KR1020160026647A KR20160026647A KR20170103564A KR 20170103564 A KR20170103564 A KR 20170103564A KR 1020160026647 A KR1020160026647 A KR 1020160026647A KR 20160026647 A KR20160026647 A KR 20160026647A KR 20170103564 A KR20170103564 A KR 20170103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core
pedestal
shaf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6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25199B1 (en
Inventor
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영
Priority to KR102016002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199B1/en
Publication of KR2017010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5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2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B28B7/183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for building blocks or similar block-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30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edestal (100) having a support function, a shrinkable core (200) mounted on the pedestal (100), protruding upward and capable of contracting inward, and a cover plate (300)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rinkable core (200), mounted to pivot on the pedestal (100) and mounted to surround the shrinkable core (200). Therefore, the shrinkable core (200) for forming the inner surface (I) of a pipe-like concrete structure (C) can be contracted inwardly, and since the cover plate (300) for forming an outer side (O) of the concrete structure (C) can be opened outwardly, the concrete structure (C) can be easily remov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ner side surface (I) and the outer side surface (O) of the concrete structure (C) can be formed to have a vertical plane.

Description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본 발명은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배관형의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서 공간을 성형하는 코어가 수축되므로 용이하게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ore for forming a space in a pipeline type concrete structure is contracted, .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하방으로 개방된 배관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하는 콘크리트 금형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and a structure of a concrete mold for molding a pipe-type concrete structure opened up and down is as follows.

판상의 받침대(10)가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코어(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코어(20)가 수용되는 배관 형상의 외형(30)이 구성된다. 상기 코어(20)와 외형(30) 사이에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A plate-like pedestal (10) is constituted, and a core (20)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0) is constituted. In addition, the outer shape 30 of the pipe shape in which the core 20 is accommodated is formed. A space filled with concrete is formed between the core (20) and the outer shape (30).

상기 콘크리트 금형(1)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e of the concrete mold 1 is as follows.

먼저, 상기 받침대(10)의 상면에 외형(30)이 코어(20)를 수용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코어(20)와 외형(30)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과정을 거친다. 그러고나서, 상기 외형(30)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콘크리트 구조물(C)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코어(20)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First, the outer shape 3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0 while the core 20 is receiv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core 20 and the outer shape 30, the curing process is performed. Then, the outer shape 30 is lifted by a crane to be detach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C. Then, the concrete structure C is lifted up by a crane to be released from the core 20.

상기 크레인으로 콘크리트 구조물(C)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C)이 양생되기 전에 와이어로 만든 고리를 삽입하여 굳힌다. 따라서, 상기 고리에 로프를 연결하여 로프를 크레인에 걸어서 들어올릴 수 있다.In order to lift the concrete structure (C) with the crane, a wire loop is inserted and cured before the concrete structure (C) is cured. Thus, the rope can be connected to the loop and the rope can be lifted up to the crane.

상기 배경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외형(30)을 들어올려서 콘크리트 구조물(C)로부터 이탈시킬 때 콘크리트 구조물(C)에 외형이 부착된 상태이므로 분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코어(20)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C)을 이탈시킬 때 콘크리트 구조물(C)이 코어(20)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분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C)을 외형(30)과 코어(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 도 2에서처럼 외형(30)의 내측면(35)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코어(20)의 외측면(23)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이 되어야 하므로, 배관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C)은 내측면(I)과 외측면(O)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모양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외측면(O)과 내측면(I)이 수직인 콘크리트 구조물(C)을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C)을 관통하는 홀을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concrete structure C because the outer shape is attached to the concrete structure C when the outer shape 30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C and the concrete structure C is detached from the core 20. [ The concrete structure C is adhered to the core 20,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it.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concrete structure C from the outer shape 30 and the core 20, the inner side 35 of the outer shape 30 is widened downward as shown in FIG. 2, The inner side surface I and the outer side surface O of the concrete structure C in the form of a pipe are inevitably tapered so as to be widened downward as the side surface 23 has to be tapered so as to become wider downwar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crete structure C having the outer side O and the inner side I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not be formed.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a hole passing through the concrete structure C can not be formed.

한국 특허등록 10-0613770호 (2006년 08월 10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613770 (August 10, 2006)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The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empt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외형을 들어올려서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이탈시킬 때 콘크리트 구조물에 외형이 부착된 상태이므로 분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First, when the outer shape is lifted and detach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the concrete structure is attached with the outer shape, so that the problem of being difficult to separate is solved.

둘째, 코어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을 이탈시킬 때 콘크리트 구조물이 코어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분리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Secondly, when the concrete structure is detached from the core, the concrete structure is attached to the core,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concrete structure from the core.

셋째,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형과 코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해서 도 2에서처럼 외형의 내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코어의 외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이 되어야 하므로, 배관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내측면과 외측면이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모양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외측면과 내측면이 수직인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Third, in order to easily separate the concrete structure from the outer shape and the cor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hape must be widened downward as shown in FIG. 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must be tapered so as to be widened downward.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are inevitably taper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refore, a problem that a concrete structure having an outer side and an inner sid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can not be formed is solved.

넷째,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는 홀을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Fourth, the problem that the hole penetrating the concrete structure can not be formed is solved.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은, 지지 기능을 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측방으로 수축이 가능한 수축형 코어와, 상기 수축형 코어의 외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축형 코어를 둘러싸도록 장착된 커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edestal having a supporting function; a shrinkable core mounted on the pedestal and projecting upwardly and contracting inwardly; And a cover plate mounted to pivot on the shrinkable core to surround the shrinkable core.

또한, 상기 받침대는 사각틀 형상의 것이고, 상기 수축형 코어는 사각관 형상으로서 상기 받침대의 4 코너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바(BAR)와, 상기 바(BAR)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의 내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코어판을 포함하고, 상기 바(BAR)는 양측의 상기 코어판을 바깥쪽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The shrinkable core has a square tube shape and is mount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pedestal so as to be pivoted so as to protrude upward, and a bar (BAR) , And the bar (BAR) is configured to press the core plate on both sides outwardly.

또한, 상기 커버판은 상기 코어판에 대응하도록 상기 받침대의 외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구성된다.Further, the cover plate is configured to be pivotal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edestal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re plate.

또한, 상기 커버판은, 대향하는 제1커버판과, 상기 제1커버판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대향하는 제2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판, 제2커버판 중 일측에 형성된 축 및 상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이 끼워지는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ver plate may include a first cover plate opposed to the first cover plate and a second cover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plate and opposed to each other,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haft and the other side and in which the shaft is inserted.

또한, 상기 바(BAR)의 내측면에 고정된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고 양측의 상기 코어판을 가압하는 판상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을 관통한 상기 스크류축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crew shaft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ar, a plate-like bracket penetrating the screw shaft and pressing the core plate on both sides, and a nut fastened to the screw shaft passing through the bracket .

또한, 상기 제1커버판에 장착되어 상기 제1커버판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locking means mounted on the first cover plate to prevent opening of the first cover plate.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양측의 상기 제1커버판 중, 일측의 제1커버판의 양 측면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캠과, 상기 캠에 편심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된 인장축과, 상기 인장축이 안착되도록 상대측의 제1커버판의 양 측면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U형의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에 형성되어 로드를 끼워서 상기 캠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축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cam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plate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late on both sides so as to pivot, a tension shaft mounted so as to eccentrically rotate on the cam,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am so as to be able to rotate the cam by sandwiching the rod, wherein the U-shaped engaging portion includes a U-shaped engaging portion which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cover plate of the opposing side so as to be seated,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shaft and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또한, 상기 커버판의 내측면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면을 성형하는 수축형 코어를 내측방으로 수축시킬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since the shrinkable core for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contracted inward, it is possible to easily detach the concrete structure.

둘째,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면을 성형하는 커버판을 회동하여 개방시키는 구조이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 cover plate for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is rotated and opened, the concrete structure can be easily removed.

셋째, 배관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내측면과 외측면을 수직면이 되도록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of the piping type can be formed to have a vertical plane.

넷째, 배관형 콘크리트 구조물을 관통하는 관통구를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ourth, there is an effect that a through-hole penetrating through a pipe-type concrete structure can be formed.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금형으로 성형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으로서 잠금수단에 의해 커버판의 열림이 방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으로서 잠금수단에 레버를 끼워서 잠금을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축형 코어의 바(bar)에 고정된 스크류축으로부터 브래킷과 너트를 풀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의 잠금수단을 해제하여 커버판을 외측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으로 성형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structure formed by a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cover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a locking means as a core shrinkage concrete metal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lock is released by inserting a lever into a locking means as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racket and a nut are loosened from a screw shaft fixed to a bar of a shrinkable cor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laid inside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plate is rotated to the outer side by releasing the locking means of the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 structure formed by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으로서 잠금수단에 의해 커버판의 열림이 방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으로서 잠금수단에 레버를 끼워서 잠금을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축형 코어의 바(bar)에 고정된 스크류축으로부터 브래킷과 너트를 풀어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의 잠금수단을 해제하여 커버판을 외측방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으로 성형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ver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a locking means, FIG. 4 is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 bracket and a nut are loosened from a screw shaft fixed to a bar of a shrinkable cor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oncrete is installed in a core shrinkag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is unlocke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crete structure formed by a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

본 발명에 의한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90)은 배관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양생 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e shrinking concrete mold 9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rete structure of piping shape can be easily detached after curin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지지 기능을 하는 받침대(100)가 구성되고, 상기 받침대(100)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측방으로 수축이 가능한 수축형 코어(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축형 코어(200)의 외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100)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축형 코어(200)를 둘러싸도록 장착된 커버판(300)을 포함한다.And a shrinkable core 200 which is mounted on the pedestal 100 and protrudes upward and can be contracted inwardly is constructed. And a cover plate 300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rinkable core 200 and mounted to pivot on the pedestal 100 and mounted to surround the shrinkable core 200.

상기 받침대(100)는 사각틀 형상으로서 상하방으로 개방된 것이다. The pedestal 100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opened upward and downward.

상기 수축형 코어(200)는 사각관 형상으로서, 내측면(103)에서 받침대(100)의 4 코너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바(210, BAR)를 포함하고, 바(210, BAR) 사이에 배치되도록 받침대(100)의 내측면(103)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코어판(220)을 포함한다. 즉, 바(210)와 코어판(220)은 4개씩 구성되어 상호 조합되므로 사각관 형상이 된다. 또한, 바(210, BAR)는 양측의 코어판(220)을 바깥쪽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데, 바(210)의 양측에 플랜지(219)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양측의 코어판(220)을 외측방에서 내측방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hrinkable core 200 has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includes a bar 210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103 to be pivotally mount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pedestal 100, And a core plate 220 mounted so as to pivot on the inner side surface 103 of the pedestal 100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03 and the inner surface 103 of the pedestal 100. That is, the bar 210 and the core plate 220 are formed into four pieces, and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us forming a square tube. The bar 210 is configured to press the core plate 220 on both sides of the bar 210. The flange 219 protru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bar 210, So that it can be pushed out to the side of the room.

바(210)가 회동하기 위한 일례로서는, 코너에 축(미도시)이 고정되고 축(미도시)에 끼워지는 링(미도시)이 바(210)의 하단에 고정되므로 가능하다. 또한, 코어판(220)이 회동하기 위한 일례로서는, 받침대(100)의 내측면(103)에 축(미도시)이 고정되고 축(미도시)에 끼워지는 링(미도시)이 코어판(220)의 하단에 고정되므로 가능하다.As an example for turning the bar 210, it is possible that a ring (not shown) fixed to a shaft and a shaft (not shown)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ar 210. As an example of the rotation of the core plate 220, a ring (not shown) having an axis (not shown) fixed to the inner side surface 103 of the pedestal 100 and fitted to a shaft (not shown) 220, respectively.

또한, 바(210, BAR)의 내측면에 고정된 스크류축(213)이 구성되고, 스크류축(213)이 관통되고 양측의 코어판(220)을 가압하는 판상의 브래킷(215)이 구성되며, 브래킷(215)을 관통한 스크류축(213)에 체결되는 너트(217)를 포함한다. 따라서, 너트(217)를 스크류축(213)에 체결해서 브래킷(215)을 양측의 코어판(220)에 밀착하도록 하면, 바(210)와 코어판(220)이 안팎으로 회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면서 수축형 코어(200)는 사각관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A screw shaft 213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r 210 is formed and a plate bracket 215 is formed to penetrate the screw shaft 213 and press the core plates 220 on both sides And a nut 217 fastened to the screw shaft 213 passing through the bracket 215. Therefore, when the nut 217 is fastened to the screw shaft 213 and the bracket 215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re plates 220 on both sides, the phenomenon that the bar 210 and the core plate 220 rotate in and out is prevented The shrinkable core 200 maintains a square tube shape.

커버판(300)은 코어판(220)에 대응하도록 받침대(100)의 외측면(105)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4개가 구성된다. 코어판(220)이 회동하기 위한 일례로서는, 받침대(100)의 외측면(105) 축(미도시)이 고정되고 상기 축(미도시)에 끼워지는 링(미도시)이 코어판(220)의 하단에 고정되므로 가능하다. The cover plate 30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05 of the pedestal 100 so as to pivot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re plate 220, As an example of the rotation of the core plate 220, a ring (not shown) fixed to the axis (not shown) of the outer surface 105 of the pedestal 100 and fitted to the axis (not shown) As shown in FIG.

또한, 커버판(300)은 내측면(315, 325)에 돌기(330)가 형성되므로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C)에 홀(H) 또는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돌기(330)가 코어판(220)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것이면 홀(H)을 성형하게 되고 코어판(220)에 닿지 않게 되면 홈(미도시)을 성형하게 된다. 돌기(330)는 커버판(300)을 개방할 때 콘크리트 구조물(C)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게 형성된 테이퍼 모양이 되도록 한다. Since the cover plate 300 is formed with the protrusions 330 on the inner side surfaces 315 and 325, a hole H or a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concrete structure C to be formed. That is, if the protrusion 330 is form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e plate 220, the hole H is formed. If the protrusion 330 does not touch the core plate 220, a groove (not shown) is formed. The protrusions 330 are tapered to be narrowed toward the front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crete structure C when the cover plate 300 is opened.

또한, 커버판(300)은, 대향하는 제1커버판(310)과 상기 제1커버판(31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대향하는 제2커버판(320)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제1커버판(310), 제2커버판(320) 중 일측에 축(313)이 형성되고 상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313)이 끼워지는 삽입공(323)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제2커버판(320)의 양 측면(326)에 삽입공(323)이 형성되고, 제1커버판(310)에서 삽입공(323)에 대응되는 부분에 축(313)이 구성된다. 따라서, 제1커버판(310)과 제2커버판(320)이 닫힌 상태에서 제1커버판(310)의 열림이 방지되면 제2커버판(320)은 축(313)과 삽입공(323)의 조합에 의해서 열림이 저절로 방지되도록 구성된다.The cover plate 300 is divided into an opposite first cover plate 310 and a second cover plate 32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the second cover plate 320. A shaft 3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the second cover plate 320 and includes an insertion hole 323 formed in the opposite side and into which the shaft 313 is inserted. An insertion hole 323 is formed in both side surfaces 326 of the second cover plate 320 and a shaft 313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le 323 . When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the second cover plate 320 are closed and the first cover plate 310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the second cover plate 320 is inserted between the shaft 313 and the insertion holes 323 In order to prevent the opening automatically.

상기 제1커버판(310)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커버판(320)에 장착되어 제2커버판(320)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잠금수단(400)을 포함한다. And locking means 400 mounted on the second cover plate 320 to prevent opening of the second cover plate 320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cover plate 310 from being opened.

상기 잠금수단(400)은, 양측의 제1커버판(310) 중, 일측의 제1커버판(310)의 양 측면(317)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캠(410)이 구성된다. 그리고, 캠(410)에 편심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된 인장축(420)이 구성되며, 인장축(420)이 안착되도록 상대측의 제2커버판(320)의 양 측면(317)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U형의 걸림부(425)가 구성되며, 인장축(420)에 형성되어 걸림부(425)에 걸리는 돌출부(423)가 구성된다. The locking means 400 includes a cam 410 mounted on both sides 317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lates 310 on both sides. The tension shaft 420 is eccentrically mounted on the cam 410. The tension shaft 420 is fixed to the opposite side surfaces 317 of the second cover plate 320 on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tension shaft 420 is seated, An open U-shaped latching portion 425 is formed and a protrusion 423 formed on the tensioning shaft 420 and engaged with the latching portion 425 is formed.

상기 캠(410)은 로드(R)를 끼워서 캠(41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삽입공(417)이 구성된 것으로서, 삽입공(417)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바디(415)가 구성되고, 바디(415)에 플레이트(413) 2장이 이격되어 부착된다. 그리고, 플레이트(413)는 중심축(412)이 관통되고 중심축(412)은 일측의 제1커버판(310)의 측면(317)에 고정된다. 또한, 양측 플레이트(413) 사이로 인장축(420)이 개재되어 중심축(412)으로부터 편심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는데, 편심축(414)이 양측 플레이트(413)와 인장축(420)을 관통하여 구성된다. 인장축(420)은 플레이트(413)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에 있어서 하방에 오목부(416)가 형성되어 중심축(412)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장축(420)은 걸림부(4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삽입공(417)에 로드(R)를 끼워서 인장축(420)이 후진하도록 돌렸을 때, 오목부(416)에는 상기 중심축(412)이 수용되므로 인장축(420)을 용이하게 후진할 수 있으며 돌출부(423)는 걸림부(425)를 후방으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The cam 410 has an insertion hole 417 to allow the cam 410 to rotate with the rod 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ipe-shaped body 415 having an insertion hole 417 is formed. 4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center axis 412 of the plate 413 is penetrated and the center axis 412 is fixed to the side face 317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on one side. The eccentric shaft 414 passes through both the side plates 413 and the tension shaft 420 so that the eccentric shaft 414 passes through the tension shaft 420. [ do. The tensile axis 420 is formed so that a concave portion 416 is formed below the plate 413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center shaft 412. When the tension shaft 420 is retracted to retract the tension shaft 420 by inserting the rod R into the insertion hole 417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shaft 420 is seated on the retaining portion 425, The tension shaft 420 can be easily retracted and the protruding portion 423 is configured to pull the engaging portion 425 backward.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너트(217)를 스크류축(213)에 체결하여 브래킷(215)이 양측 코어판(220)을 가압하도록 한다. 그러면, 수축형 코어(200)는 사각관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고나서, 상기 제2커버판(320)이 먼저 닫힌 상태에서 제1커버판(310)이 닫히도록 한다. 그러면, 제1커버판(310)의 축(313)이 제2커버판(320)의 삽입공(323)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커버판(310)이 닫힌 상태에서 제2커버판(320)은 축(313)과 삽입공(323)의 조합에 의해서 열림이 방지된다.The nut 217 is fastened to the screw shaft 213 so that the bracket 215 presses the both core plates 220. Then, the shrinkable core 200 maintains a square tube shape. Then, the first cover plate 310 is closed while the second cover plate 320 is closed first. Then, the shaft 313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323 of the second cover plate 320. In this case, the second cover plate 320 is prevented from being open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haft 313 and the insertion hole 323 while the first cover plate 310 is closed.

이 상태에서 양측의 제1커버판(310)의 걸림부(425)에 인장축(420)을 안착시킨 후, 캠(410)의 삽입공(417)에 로드(R)를 끼워서 후방으로 돌린다. 그러면, 플레이트(413)는 중심축(41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편심축(414)은 인장축(420)을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인장축(420)의 돌출부(423)는 걸림부(425)에 걸린 상태가 되므로 양측의 제1커버판(310)은 열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커버판(310)과 제2커버판(320)은 도 3에서처럼, 사각관 모양으로 상호 조합된 상태가 된다. In this state, after the tension shaft 420 is seated on the latching portion 425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on both sides, the rod 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7 of the cam 410 and is turned backward. Then, the plate 413 is rotated backward about the central axis 412, and the eccentric shaft 414 pulls the tension shaft 420 backward. Accordingly, since the projecting portion 423 of the tension shaft 420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425, the first cover plate 310 on both sides is prevented from opening. Therefore,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the second cover plate 32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rectangular tube shape as shown in FIG.

그러고나서, 도 6에서처럼 수축형 코어(200)와 커버판(30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 과정을 거친다.Then, as shown in FIG. 6,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shrinkable core 200 and the cover plate 300, and then subjected to a curing process.

양생 후에는 도 4에서처럼, 캠(410)의 삽입공(417)에 로드(R)를 끼운 후, 전방으로 돌린다. 그러면, 캠(410)은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편심축(414)은 인장축(420)을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인장축(420)의 돌출부(423)는 걸림부(425)에서 전방으로 이탈하게 되므로, 인장축(42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서 후방으로 돌릴 수 있게 된다. After curing, the rod 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7 of the cam 410, as shown in Fig. 4, and then turned forward. Then, the cam 410 rotates forward, while the eccentric shaft 414 pushes the tension shaft 420 forward. Therefore, the protruding portion 423 of the tension shaft 420 is forwardly released from the locking portion 425, so that the tension shaft 420 can be lifted upward and turned backward.

이 상태에서, 도 6에서처럼 양측 제1커버판(310)을 열게 되면 제2커버판(320)의 삽입공(323)에서 축(313)이 빠져나오면서 상기 제2커버판(320)도 외측방으로 열 수 있다. 이때, 제1커버판(310)과 제2커버판(320)의 내측면(315, 325)에 형성된 돌기(330)가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C)로부터 이탈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C)에 관통구(H)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330)는 테이퍼 모양이므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구(H)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6, when the both side first cover plates 310 are opened, the shafts 313 are removed from the insertion holes 323 of the second cover plate 320, . At this time, the projections 330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315 and 325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the second cover plate 320 are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structure C, (H). At this time, since the protrusion 330 has a tapered shape, it can be easily detach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hrough-hole H can be easily formed.

그리고, 상기 너트(217)를 스크류축(213)으로부터 풀리도록 하므로 브래킷(215)이 양측의 코어판(220)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러면, 코어판(220)은 안쪽으로 회동되고 바(210)도 내측방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되어 수축형 코어(200)는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수축된다.Since the nut 217 is loosened from the screw shaft 213, the bracket 215 is released from the core plate 220 on both sides. Then, the core plate 220 is pivoted inwardly and the bar 210 is also pivoted inward, so that the shrinkable core 200 is shrunk as it goes inward.

따라서,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C)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수축형 코어(200)와 커버판(300)이 모두 이탈된 상태이므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refore, if the cured concrete structure C is lifted up by the crane, the shrinkable core 200 and the cover plate 3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easily separated.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수축형 코어(200)와 커버판(300)이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C)로부터 이탈 가능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C)의 외측면(O)과 내측면(I)을 수직면이 되도록 성형하더라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ince the contraction type core 200 and the cover plat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cured concrete structure C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surface O and the inner surface I of the concrete structure C can be separated from the vertical sur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90: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100: 받침대
103: 내측면 105: 외측면
200: 수축형 코어 210: 바
211: 내측면 213: 스크류축
215: 브래킷 217: 너트
219: 플랜지 220: 코어판
300: 커버판 310: 제1커버판
313: 축 315: 내측면 317: 측면 320: 제2커버판
323: 삽입공 325: 내측면
326: 측면 330: 돌기
400: 잠금수단 410: 캠
412: 중심축 413: 플레이트
414: 편심축 415: 바디
416: 오목부 417: 삽입공
420: 인장축 423: 돌출부
425: 걸림부
90: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100: pedestal
103: inner side 105: outer side
200: shrinkable core 210: bar
211: inner side 213: screw shaft
215: Bracket 217: Nut
219: flange 220: core plate
300: cover plate 310: first cover plate
313: Shaft 315: Inner side 317: Side 320: Second cover plate
323: Insertion hole 325: Inner side
326: side 330: projection
400: locking means 410: cam
412: center axis 413: plate
414: eccentric shaft 415: body
416: recess 417: insertion hole
420: Tension shaft 423:
425:

Claims (8)

지지 기능을 하는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고 내측방으로 수축이 가능한 수축형 코어(200)와,
상기 수축형 코어(200)의 외측방에 배치되어 상기 받침대(100)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수축형 코어(200)를 둘러싸도록 장착된 커버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A pedestal 100 having a supporting function,
A shrinkable core 200 mounted on the pedestal 100 and protruding upward and contracting inwardly,
And a cover plate (300)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rinkable core (200) and mounted to pivot on the pedestal (100) so as to surround the shrinkable core (200) Type concrete m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사각틀 형상의 것이고,
상기 수축형 코어(200)는 사각관 형상으로서 상기 받침대(100)의 4 코너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바(210, BAR)와,
상기 바(210, BAR)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대(100)의 내측면(103)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코어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바(210, BAR)는 양측의 상기 코어판(220)을 바깥쪽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destal 100 is shaped like a rectangle,
The shrinkable core 200 includes a bar 210 (BAR)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mounted to rotate at four corners of the pedestal 100 and protruding upward,
And a core plate (220) pivotally mounted on an inner surface (103) of the pedestal (100)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bars (210, BAR)
Wherein the bar (210, BAR) is configured to press the core plate (220) on both sides from the out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00)은 상기 코어판(220)에 대응하도록 상기 받침대(100)의 외측면(105)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ver plate (300) is rotatably mounted on an outer surface (105) of the pedestal (100) to correspond to the core plate (2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00)은, 대향하는 제1커버판(310)과,
상기 제1커버판(310)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호 대향하는 제2커버판(3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판(310), 제2커버판(320) 중 일측에 형성된 축(313) 및 상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축(313)이 끼워지는 삽입공(3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The method of claim 3,
The cover plate 300 includes a first cover plate 310 facing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a second cover plate (320)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plates (310) and facing each other,
A shaft 313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the second cover plate 320 and an insertion hole 323 formed at the other side and into which the shaft 313 is inserted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제2항에서 제4항까지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210, BAR)의 내측면에 고정된 스크류축(213)과,
상기 스크류축(213)이 관통되고 양측의 상기 코어판(220)을 가압하는 판상의 브래킷(215)과,
상기 브래킷(215)을 관통한 상기 스크류축(213)에 체결되는 너트(21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 screw shaft 213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bar 210,
A plate-like bracket 215 penetrating the screw shaft 213 and pressing the core plates 220 on both sides,
And a nut (217) fastened to the screw shaft (213) passing through the bracket (2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판(3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커버판(310)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잠금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locking means (400) mounted on the first cover plate (310) and configured to prevent the first cover plate (310) from being open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0)은, 양측의 상기 제1커버판(310) 중, 일측의 제1커버판(310)의 양 측면(317)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캠(410)과,
상기 캠(410)에 편심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된 인장축(420)과,
상기 인장축(420)이 안착되도록 상대측의 제1커버판(310)의 양 측면(317)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개방된 U형의 걸림부(425)를 포함하고,
상기 캠(410)에 형성되어 로드(R)를 끼워서 상기 캠(41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공(417)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축(420)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425)에 걸리는 돌출부(42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cking means 400 includes a cam 410 mounted on both sides 317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on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lates 310 on both sides,
A tension shaft 420 mounted eccentrically to the cam 410,
And a U-shaped locking part 425 fixed to both sides 317 of the first cover plate 310 of the mating side so that the tension shaft 420 is seated and opened upward,
And an insertion hole (417) formed in the cam (410) and configured to pivot the cam (410) with a rod (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rotrusion (423) formed on the tension shaft (420) and engaged with the latching part (425).
제1항에서 제4항까지의 항 및 제6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300)의 내측면(315, 325)에 형성된 돌기(3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수축형 콘크리트 금형.
8.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or 7,
And a protrusion (330) formed on inner surfaces (315, 325) of the cover plate (300).
KR1020160026647A 2016-03-04 2016-03-04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KR101825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647A KR101825199B1 (en) 2016-03-04 2016-03-04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647A KR101825199B1 (en) 2016-03-04 2016-03-04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564A true KR20170103564A (en) 2017-09-13
KR101825199B1 KR101825199B1 (en) 2018-02-05

Family

ID=5996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647A KR101825199B1 (en) 2016-03-04 2016-03-04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1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887A (en) * 2019-05-17 2019-08-02 湖州国盛环保工程有限公司 A kind of integrated cesspool pours mold, method and the septic tank poured out
CN112942807A (en) * 2021-02-04 2021-06-11 山东华邦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template with heat preservation humidification structure for concrete form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46B1 (en) * 2012-06-29 2013-07-10 고려씨엔씨 주식회사 Manhole block for mold device
KR101480414B1 (en) * 2013-07-19 2015-01-23 (주)동양콘텍 One body type mold of manhole for easily detachab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6887A (en) * 2019-05-17 2019-08-02 湖州国盛环保工程有限公司 A kind of integrated cesspool pours mold, method and the septic tank poured out
CN110076887B (en) * 2019-05-17 2023-11-17 湖州国盛环保工程有限公司 Integral septic tank pouring mold, method and poured septic tank
CN112942807A (en) * 2021-02-04 2021-06-11 山东华邦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template with heat preservation humidification structure for concrete forming
CN112942807B (en) * 2021-02-04 2022-06-17 山东华邦建设集团有限公司 Building template with heat preservation humidification structure for concrete fo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199B1 (en) 201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199B1 (en) Core shrinkage type concrete mold
CN201628643U (en) Combined concrete specimen
EP3534476A1 (en) Installation box
KR102162318B1 (en) manhole that is easy to close and close
KR101587021B1 (en) Concrete wall formwork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KR100996578B1 (en) Concrete form support waler
CN210361882U (en) Concrete pole steel mould
CN210910562U (en) Cement pipe manufacturing mold
US3096555A (en) Clamp for radially split ring pallet
CN208777710U (en) A kind of Quick action clamping mould positioning device
JP2010236199A (en) Lock device
JP2018003395A (en) Manhole cover and cover structure
KR100662057B1 (en) Sliding open and close type manhole forming apparatus
KR101260049B1 (en) Opening apparatus for manhole cover
CN210758417U (en) Cement pipe mould convenient to disassemble
CN220889557U (en) Adjusting device and assembled building
FR2772662A1 (en) Force distribution insert
CN212983918U (en) Building foundation pile fastening device
JPH0634080A (en) Piping hole clearance filling auxiliary panel
KR102526131B1 (en) Forming apparatus of base block for a post of a street light
CN206929959U (en) A kind of shell structure of dehumidifier
CN220219016U (en) Concrete inspection well manufacturing device
CN211714553U (en) Cantilever beam fixing structure
CN109930831B (en) Concrete cast-in-place mould stabilizing pull rod and use method thereof
KR200306661Y1 (en) Securing device for manhole cover and manhole cover assembly using sec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