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3322A -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3322A
KR20170103322A KR1020160025952A KR20160025952A KR20170103322A KR 20170103322 A KR20170103322 A KR 20170103322A KR 1020160025952 A KR1020160025952 A KR 1020160025952A KR 20160025952 A KR20160025952 A KR 20160025952A KR 20170103322 A KR20170103322 A KR 2017010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information
guide information
terminal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기
장하욱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25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3322A/ko
Publication of KR2017010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2745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신자 단말로부터 인입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요청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GUIDE INFORMATION SERVICE}
본 발명은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팸 전화란 불특정 다수에게 일반전화번호나 휴대전화번호를 가장한 전화번호 등으로 전화를 걸어 휴대전화 이용자가 전화를 수신하면, 녹음된 광고성 멘트를 내보내는 음성광고 전화를 말한다.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스팸 전화로 인하여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스팸 전화를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팸 전화를 차단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2011-0108133호는 스팸 전화를 차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 단말에서 앱스토어 등을 통해 스팸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는 스팸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한 전화가 스팸 전화에 해당한다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스팸 전화를 차단함으로써, 원치않는 전화를 받지 않거나, 보이스 피싱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은 발신자 단말로부터 호가 인입되면, 발신자 단말의 정보가 스팸 전화인지 또는 안심 전화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별도의 팝업창으로 표시하지 않고, 일반적인 착신 화면 또는 통화 화면에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써드파티(3rd Party) 안내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단말기 내에 기본 탑재된 통화 OEM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도록, 이를 규격화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에게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통해 통화의 신뢰도를 상승시키고, 편의를 향상시키는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신자 단말로부터 인입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화 이력의 표시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통화 이력에 기록된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이력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메시지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은 발신자 단말로부터 호가 인입되면, 발신자 단말의 정보가 스팸 전화인지 또는 안심 전화인지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별도의 팝업창으로 표시하지 않고, 일반적인 착신 화면 또는 통화 화면에 적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써드파티 안내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단말기 내에 기본 탑재된 통화 OEM 애플리케이션이 연동되도록, 이를 규격화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통해 통화의 신뢰도를 상승시키고, 편의를 향상시키는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설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통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를 유형별로 구분하는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의 착신 화면 또는 통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통화 이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팸 유형별 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메시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발신자 단말(110), 정보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30)은 수신자 단말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발신자 단말(110), 정보 제공 서버(120) 및 사용자 단말(130)은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발신자 단말(110) 및 정보 제공 서버(12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Wi-Fi, 블루투스(Bluetooth),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발신자 단말(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30)로 호를 요청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서버(120)는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수신하여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 때, 정보 제공 서버(120)는 조회된 안내 정보를 사용자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30)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통화 OEM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30)에서 앱스토어 등을 통해 설치한 써드파티(3rd Party) 안내 정보 조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오프(off)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제 1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온(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30)의 기종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130)의 기종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호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호환 여부의 확인이 완료되면,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연동 동의가 입력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온(on)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동작하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해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이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여 연동 설정 값에 대한 조회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하여 연동 설정 값에 대한 조회 및 변경이 가능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30)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과정은 도 2 내지 도 3c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설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최초로 실행하면(S210),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팝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S220).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로부터 연동 동의 여부를 설정받을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이 사용자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미연동을 입력받은 경우(S231),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미연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S240). 또는, 사용자 단말(130)이 사용자로부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연동을 입력받은 경우(S232),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온으로 변경시키면(S250),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호 연동될 수 있다(S26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10 내지 S2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설정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a는 사용자 단말의 설정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설정 페이지를 통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페이지를 통해 연동 여부가 온(on)으로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동시에 온(on)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b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최초 실행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최초 실행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후후-발신자 정보 무료 식별 서비스> 스팸부터 보이스 피싱까지 차단할 수 있는 후후 사용에 동의하시면 확인을 눌러주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화면/통화 이력/메시지의 화면에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버전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정의된 규격을 통해 사용자 단말(130)의 기종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한 후, 호환 여부를 확인하여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c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된 약관 동의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이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후후 정보 표시'에 동의를 체크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약관 동의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약관 동의를 입력받으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온(on)으로 설정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동작하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종래에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었던 안내 정보는 더 이상 출력되지 않고 규격화된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대신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은 안내 정보 서비스를 통해 안내 정보를 착신 화면 또는 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신자 단말(110)로부터 인입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한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요청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20)로 요청하고,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안내 정보는 발신자 단말(110)의 번호 별로 스팸정보가 분류된 것으로서,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분류된 번호 별 스팸정보를 상호, 스팸, 안심, 상호 이미지 등으로 조합한 정보로 특정 스트링(string)에 포함시켜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스팸 등록 횟수 또는 안심 등록 횟수가 표시 영역 중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TOP' 스트링에 포함시키고, 상호명이 표시 영역 중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MID' 스트링에 포함시키고, 주소 또는 텍스트가 표시 영역 중 제 3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BOT' 스트링에 포함시키고, 상호 이미지가 표시 영역 중 제 4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IMG' 스트링에 포함시켜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정책에 따라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정의된 안내 정보만을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함으로써, 기존 방식으로서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신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그 중 일부의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방식보다 절차적으로 간소화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의 규격에 맞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하는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하는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와 구분하기 위해 통화 화면의 컬러, 글자 크기, 글자 굵기, 글자체 등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에 기저장된 발신자 단말(130)의 정보, 발신자 단말(130)이 가입한 부가서비스, 안내 정보 간에 우선 순위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순위가 기저장된 발신자 단말(130)의 정보>발신자 단말(130)이 가입한 부가서비스>안내 정보 순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이 수신한 호가 발신자 단말(130)이 '쇼미 정보'와 같이 발신자가 설정한 레터 정보를 표시하는 부가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인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부가서비스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의 영역 제한으로 안내 정보가 일부만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상태로 전환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통화 화면은 추가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30)은 추가 표시 영역을 통해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안내 정보 서비스와 제휴된 광고, 링크, 키워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30)에서 통화 화면에 제공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 도 4a 내지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통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통화 수신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이 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호가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에 대한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b는 통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과 발신자 단말(110) 간의 호가 연결된 경우, 통화 화면에 일반 아이콘 표시 및 발신자 단말(110)의 전화번호를 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c는 통화 종료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과 발신자 단말(110) 간의 호 연결이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130)은 일반 아이콘 표시 및 발신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와 함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신자 단말(110)에 대한 안내 정보를 팝업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팝업 형태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발신자 단말의 모든 정보를 조회 및 수신한고, 그 중 출력할 정보를 추출한다는 점에서 절차 및 자원 활용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를 유형별로 구분하는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서버(120)는 복수의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유형별 안내 정보는 예를 들어, 국제전화(501), 내안심(502), 내스팸(503), 공중전화(504), 상호(505), 스팸(506), 안심만(507), 스팸>=안심(508), 스팸<안심(509), 내공유정보(510), 공유키워드만(511), 정보없음(512)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가 유형별 안내 정보 중 상호에 해당하는 경우, 정보 제공 서버(120)는 스팸 안심 표시, 상호명, 주소 등을 안내 정보로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의 착신 화면 또는 통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의 통화 수신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발신자 단말(110)로부터 인입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전달하면,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통화 화면은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정책에 따라 규격화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 영역과 각각 대응되어, 대응되는 표시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가 유형별 안내 정보 중 상호에 해당하는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표시 영역 중 제 1 영역(610)에 아이콘을 안심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제 2 영역(620)에 상호명으로 '코카콜라코리아'와 발신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인 '010-12345-6789'를 표시하고, 제 3 영역(630)에 스팸 및 안심 정보로 스팸등록횟수 147/안심등록횟수 750을 표시하고, 제 4 영역(640)에 상호지 주소로 '서울 종로구 세종로2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수신 차단 아이콘(650)을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발신자 단말(110)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가 표시 영역의 영역 표시 제한으로 잘려서 표시되는 경우, 백그라운드 상태의 제 2 애플리케이션이 포그라운드 상태로 전환되어 팝업 형태로 안내 정보를 표시될 수 있다.
도 6b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의 통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안심 아이콘 또는 스팸 아이콘, 상호명, 연락처 등을 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화면의 제 1 영역(610)에 아이콘을 안심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제 2 영역(620)에 상호명으로 '코카콜라코리아'와 발신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인 '010-12345-6789'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c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의 통화 종료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은 안심 또는 스팸 아이콘, 상호명, 연락처, 광고 또는 해당 전화번호의 공유/차단/스팸 등록 등을 통화 종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종료 화면의 제 1 영역(610)에 아이콘을 안심 아이콘으로 표시하고, 제 2 영역(620)에 상호명으로 '코카콜라코리아'와 발신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인 '010-12345-6789'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추가 표시 영역(660)을 통해 광고 또는 해당 발신자 단말(110)의 전화번호의 공유/차단/스팸 등록을 입력받을 수 있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30)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통화 OEM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 등을 통해 설치된 안내 정보 조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S72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신자 단말(110)로부터 인입된 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3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7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에게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 S75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착신 화면 또는 통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하는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30)에 기저장된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 발신자 단말(110)이 가입한 부가서비스, 안내 정보 간에 우선 순위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에서, 통화 화면은 추가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30)은 추가 표시 영역을 통해 안내 정보 서비스와 제휴된 광고, 링크,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20)로 요청하고,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연동 동의가 입력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온(On)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오프(off)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제 1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온(on)일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동작하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해지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하는 단계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메시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30)의 기종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130)의 기종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호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표시 영역의 영역 제한으로 안내 정보가 일부만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상태로 전환시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10 내지 S7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은 안내 정보 서비스를 통해 안내 정보를 통화 이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화 이력의 표시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통화 이력에 기록된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3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통화 OEM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앱 스토어 등을 통해 설치되는 안내 정보 조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안내 정보를 'O_SCH_SPAM', 'O_SAFE_PH', 'O_PUB_NM'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모든 반환되는 값은 JSONObject 형태의 스트링(String)형으로 반환되며, 해당 반환값은 다시 JSONObject 형으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O_SCH_SPAM'은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의 스팸 등록 정보를 나타내며, 'O_SAFE_PH'는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의 총 안심 등록 횟수를 나타내며, 'O_PUB_NM'은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의 상호명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신자 단말(13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조회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20)로 요청하고,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이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30)에서 통화 이력 화면에 제공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 도 8a 내지 도 10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통화 이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종래의 통화 이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30)의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수신한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130)의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로서 스팸 아이콘, 전화번호, 수신 날짜 및 시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b는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130)의 통화 이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수신한 안내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영역에 안내 정보 서비스의 로고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상호명을 표시하고, 제 3 영역에 스팸 아이콘 또는 안심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팸 유형별 코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애플리케이션 또는 정보 제공 서버(120)는 스팸 유형별 신고 횟수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스팸 유형별 코드로 구분하고, 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수신한 스팸 유형을 통화 이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팸 유형 코드 '1'은 대출권유, '2'는 텔레마케팅, '3'은 불법도박, '4'는 음란/유흥, '5'는 휴대폰판매, '6'은 보험권유, '7'은 전화유도, '8'은 보이스피싱, '9'는 대리운전, '10'은 중고사기, '11'은 인터넷가입, '12'는 설문조사, '13'은 스미싱, '14~99'는 기타유형으로 구분되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출권유'와 같은 스팸 유형을 통화 이력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0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3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통화 OEM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30)에서 앱 스토어를 통해 설치하는 안내 정보 조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화 이력의 표시를 요청받을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통화 이력에 기록된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0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05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이력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30)은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연동 동의가 입력된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온(On)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오프(Off)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제 1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온(On)일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동작하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해지시키는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하는 단계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130)은 사용자 단말(130)의 기종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130)의 기종과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호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발신자 단말(13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조회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가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20)로 요청하고,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된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0 내지 S10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30)은 안내 정보 서비스를 통해 안내 정보를 메시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30)은 발신자 단말(11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애플리케이션에서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안내 정보는 발신자 단말(110)의 번호 별로 스팸정보가 분류된 것으로서,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분류된 번호 별 스팸정보를 상호, 스팸, 안심, 상호 이미지 등으로 조합한 정보로 특정 스트링(string)에 포함시켜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스팸 등록 횟수 또는 안심 등록 횟수가 표시 영역 중 제 1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TOP' 스트링에 포함시키고, 상호명이 표시 영역 중 제 2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MID' 스트링에 포함시키고, 주소 또는 텍스트가 표시 영역 중 제 3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BOT' 스트링에 포함시키고, 상호 이미지가 표시 영역 중 제 4 영역에 표시되도록 'WHOWHO_IMG' 스트링에 포함시켜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메시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30)에서 메시지 화면에 제공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 도 11a 내지 도 1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메시지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시지 알림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안내 정보를 메시지 알림창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쿠팡'이라는 상호명과 스팸/안심 아이콘, 별도의 팝업 광고를 메시지 알림창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는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시지 리스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안내 정보를 메시지 리스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쿠팡'이라는 상호명과 스팸/안심 아이콘을 메시지 리스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c는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에서 메시지 상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c를 참조하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안내 정보를 메시지 상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쿠팡'이라는 상호명과 스팸/안심 아이콘 및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세 정보 보기를 메시지 상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30)에 의해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21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3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는 메시지 OEM 애플리케이션이고,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안내 정보 조회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발신자 단말(11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를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발신자 단말(110)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하여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1250에서 사용자 단말(130)은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메시지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30)은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하는 안내 정보를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발신자 단말의 정보와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210 내지 S12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발신자 단말
120: 정보 제공 서버
130: 사용자(수신자) 단말

Claims (22)

  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신자 단말로부터 인입된 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안내 정보 조회 애플리케이션인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정책에 따라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연동 동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온(On)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오프(off)이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온(on)인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해지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종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종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호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영역 제한으로 상기 안내 정보가 일부만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 상태로 전환시켜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안내 정보 서비스와 제휴된 광고, 링크, 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추가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통화 화면은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전달하는 안내 정보를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발신자 단말의 정보와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기저장된 발신자 단말의 정보, 상기 발신자 단말이 가입한 부가서비스, 상기 안내 정보 간에 우선 순위가 설정된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화 이력의 표시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통화 이력에 기록된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통화 이력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애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안내 정보 조회 애플리케이션인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에 대한 동의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및
    연동 동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온(On)으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오프(off)이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설정에 대한 기본 설정값은 온(on)인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foreground) 상태로 동작하고,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 상태로 동작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을 해지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의 연동 설정을 오프(off)로 변경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종 및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기종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버전의 호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가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가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안내 정보를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22.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안내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
    발신자 단말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동이 온(On)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발신자 단말의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를 메시지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내 정보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의되는 것인, 안내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25952A 2016-03-03 2016-03-03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201701033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52A KR20170103322A (ko) 2016-03-03 2016-03-03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952A KR20170103322A (ko) 2016-03-03 2016-03-03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22A true KR20170103322A (ko) 2017-09-13

Family

ID=5996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952A KR20170103322A (ko) 2016-03-03 2016-03-03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33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584B1 (ko) * 2021-07-27 2021-11-05 (주)모든솔루션 안심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669B1 (ko) * 2008-11-14 2011-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953A (ko) * 2011-12-23 2013-07-22 김용성 보이스피싱, 원링, 스팸 전화 및 문자 발신정보 수집 및 광고를 이용한 보상과 활용 방법 및 장치
KR101561942B1 (ko) * 2015-03-23 2015-10-20 주식회사 에바인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에 대한 표시율을 향상 시키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22154A (ko) * 2014-08-19 2016-02-29 (주)케이티씨에스 통화량 분석에 기반하는 스팸 의심 전화 안내 장치 및 스팸 의심 전화 안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669B1 (ko) * 2008-11-14 2011-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953A (ko) * 2011-12-23 2013-07-22 김용성 보이스피싱, 원링, 스팸 전화 및 문자 발신정보 수집 및 광고를 이용한 보상과 활용 방법 및 장치
KR20160022154A (ko) * 2014-08-19 2016-02-29 (주)케이티씨에스 통화량 분석에 기반하는 스팸 의심 전화 안내 장치 및 스팸 의심 전화 안내 방법
KR101561942B1 (ko) * 2015-03-23 2015-10-20 주식회사 에바인 유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에 대한 표시율을 향상 시키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584B1 (ko) * 2021-07-27 2021-11-05 (주)모든솔루션 안심키워드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8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cloud-based electronic communication vault
US8356341B2 (en) Life cycle management of authentication rules for service provisioning
US20170289071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messaging integration
US10009741B1 (en) Content distribution channel selection, transcoding, and tracking gateway
US10080118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managing associations between users in multiple over-the-top service platforms
EP4035316A1 (en) Enhancing messages with dynamic content
US9929995B2 (en) Third party messaging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domain names and websites
US20180144377A1 (en) Traffic Routing Optimizer
US20080268883A1 (en) Spam short message blocking system using a call back short message and a method thereof
US20140129579A1 (en) Mutual matching system
CN112202744A (zh) 一种多系统数据通信方法和装置
KR20170103322A (ko) 안내 정보 서비스의 제공 방법
US20230113581A1 (en) Messaging campaign manager, messaging campaign manager system, bulk or mass messaging system, method of bulk or mass messaging, computer program, computer-readable medium,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14031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카드 전송방법
US9654627B1 (en) Electronic card delivery and communication channel integration
CN112862374A (zh) 客服代表的推送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836201A (zh) 多平台信息互通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8490202B2 (en) Method for masking data
EP3357265B1 (en) Delivering anonymous communication between customers at customer care site
US8249630B1 (en) Messaging session enhancement with user data
KR20140087255A (ko) 멀티미디어 콜아이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4442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related to a call
US11570303B2 (en) Managing telephone based channel communication 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US11641384B1 (en) System for linking chatbot services and contact center services
KR102017183B1 (ko) 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