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748A -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748A
KR20170101748A KR1020160081525A KR20160081525A KR20170101748A KR 20170101748 A KR20170101748 A KR 20170101748A KR 1020160081525 A KR1020160081525 A KR 1020160081525A KR 20160081525 A KR20160081525 A KR 20160081525A KR 20170101748 A KR20170101748 A KR 20170101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asks
information
task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854B1 (ko
Inventor
오성교
송주환
김형준
서봉원
이재길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405,82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437604B2/en
Publication of KR2017010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22Microcontrol or microprogram arrangements
    • G06F9/28Enhancement of operational speed, e.g. by using several microcontrol devices operating in parall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38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execution order of a plurality of tasks, e.g. taking priority or time dependency constraints into consid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전자 장치는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태스크 처리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파워 온 명령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하며, 판단된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A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booting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의 사용 기록에 따라 부팅 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부팅 모드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여 부팅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전자 장치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근 프로세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단일 코어(single core)에서 멀티 코어(multi core) 형태의 프로세서가 제안되고 있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여러 개의 태스크(task)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 시스템 환경의 전자 장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시스템 환경의 전자장치보다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성능이 향상된 전자 장치이다. 예를 들어,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코어를 탑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코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코어들이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처리하므로, 전자 장치는 더욱 효율적이며, 신속하게 복수의 태스크들을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 하에서는 모든 태스크가 동등한 우선순위로 설정되어 동작하고 있거나, 일부 태스크만 별도로 다른 우선순위로 고정되어 동작한다. 또한, 종래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서 동작하는 멀티-태스킹 운영체제하에서는 모든 태스크가 모든 코어에 할당되어 동작하거나, 일부 태스크가 지정된 코어에 고정되어 동작한다.
종래와 같이, 각 태스크가 모두 동등한 우선순위로 동작하거나, 혹은 각각 지정된 우선순위로 고정되어 동작하는 경우, 각 태스크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전자 장치의 부팅 단계에서, 현시점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태스크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고정된 우선순위로 동작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TV와 같은 전자 장치의 경우,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될 때 사용자의 이전 사용(시청) 기록에 따라 중요 역할을 하는 태스크가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음에도, 종래에는 효율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장치의 부팅 시 전자 장치의 사용 기록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들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동적으로 변경함으로써, 부팅 동작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태스크 처리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파워 온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태스크 처리 정보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초기 우선 순위와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 및 부팅 모드 별로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발생시 변경되는 우선 순위와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의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최초 처리하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수행되었던 사용 기록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1 부팅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2 부팅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팅 모드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부팅 모드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별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하는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태스크를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높게 할당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부팅 방법은,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파워 온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부팅 모드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태스크 처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스크 처리 정보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초기 우선 순위와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 및 부팅 모드 별로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발생시 변경되는 우선 순위와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의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최초 처리하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수행되었던 사용 기록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1 부팅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2 부팅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팅 모드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부팅 모드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별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하는 동안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태스크를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높게 할당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더욱 효율적으로 부팅 동작을 수행하여, 부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모드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모드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여 전자 장치를 부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모드에 따른 태스크 처리 정보 및 태스크 처리 정보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부팅 모드 및 인터넷 TV 부팅 모드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속도의 향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에 따라 태스크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태스크를 처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모듈’ 혹은 복수의‘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서로 다른 타입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코어를 포함하는 이기종(heterogeneous)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예를 들면, X86, X64, ARM, GPU, DSP 중 서로 다른 연산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며, 독립적으로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연동될 수 있는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코어'는 프로세서 내부의 명령어를 실행하고, 처리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의 장치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연산장치"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스마트 TV와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키오스크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전원을 온하는 전원 온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메모리(120)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태스크 처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여기서, 태스크 처리 정보라 함은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시나리오에 따라 태스크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동적으로 정의한 정보로서,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초기 우선 순위와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 및 부팅 모드 별로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발생시 변경되는 우선 순위(priority)와 코어 할당(affinit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task)라 함은 자신만의 일정한 프로그램 영역(예, 코드, 스택..등)을 가지고 실행되는 작업(job)일 수 있다. 이때, 태스크(task)는 프로세스(process) 혹은 프로그램(program)과 동일한 의미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태스크가 처리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특정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태스크로 구성된 태스크 그룹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태스크의 우선 순위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 시스템 내에서 동시에 복수의 태스크가 실행될 때,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스케줄링 우선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태스크의 코어 할당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코어 중 해당 태스크가 수행할 코어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의 사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의 사용 정보에는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수행되었던 사용 기록 정보 또는 사용자별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파워 온 명령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하며, 판단된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수행되었던 사용 기록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부팅 모드를 제1 부팅 모드(예를 들어, RF 부팅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팅 모드는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부팅 모드를 제2 부팅 모드(예를 들어, 인터넷 TV 부팅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2 부팅 모드는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태스크의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은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하여 CPU의 자원을 많이 소모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태스크의 코어 할당이 높은 것은 성능이 좋은 코어에 태스크를 할당하거나 많은 수의 코어에 태스크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로딩하여 전자 장치(100)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 중 복수의 태스크의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태스크를 최초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바탕으로 이벤트 발생시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라 함은 부팅 진행 중 발생하는 각종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부팅 진행상황 혹은 부팅 단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이벤트의 예로서는, 특정 태스크의 부팅 완료 이벤트, 특정 태스크의 시작 이벤트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15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서 설명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필요에 따라 상술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될 수 있으며, 다른 기능부가 추가 될 수도 있다.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구성이다. 특히, 입력부(110)는 전자 장치가 전원 오프(off)된 상태(대기 전원은 온된 상태)에서 전원 온(on)되도록 하기 위한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110)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입력부(110)가 리모컨으로 구현될 때, 파워 온 명령은 리모컨(100)의 파워 버튼을 누르는 명령일 수 있다. 그러나, 입력부(110)가 리모컨인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버튼,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음성 입력부, 모션 입력부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부(14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140)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RF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50)는 인터넷을 통해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으며, RF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영상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입력부(11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15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13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널(121), 미들웨어(12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23), 및 어플리케이션(124)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12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12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2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2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21)은 미들웨어(12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24)에서 전자 장치(1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22)는 API(123) 또는 어플리케이션(124)이 커널(12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22)는 어플리케이션(12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 프로세서(130) 또는 메모리(12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API(123)는 어플리케이션(124)이 커널(121) 또는 미들웨어(12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2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를 부팅하기 위한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기록 저장모듈(310), 시나리오 저장모듈(320), 이벤트 감지모듈(330) 및 태스크 조정모듈(340)을 포함한다.
사용기록 저장모듈(310)은 사용자의 사용 기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기록 저장모듈(310)은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수행하였던 사용정보(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제공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기록 저장모듈(310)은 전자 장치(100)르 사용하는 사용자별로 사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시나리오 저장모듈(320)은 부팅 모드별 시나리오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태스크 처리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태스크 처리 정보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초기 우선 순위와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 및 부팅 모드 별로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발생시 변경되는 우선 순위(priority)와 코어 할당(affinit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 모듈(330)은 전자 장치(100)의 부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감지 모듈(330)은 특정 태스크가 부팅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태스크 조정 모듈(340)은 사용기록 저장모듈(310)에 저장된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제공하였던 컨텐츠가 인터텟을 통해 제공된 영상 컨텐츠인 경우, 태스크 조정 모듈(340)은 부팅 모드를 인터넷 TV 부팅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태스크 조정 모듈(340)은 인터넷 TV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바탕으로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즉, 태스크 조정 모듈(340)은 태스크 처리 정보에 저장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을 바탕으로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고, 이벤트 발생시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프로세서(130)는 버스(bus)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입력부(11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150), 메모리(120) 등)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프로세서(130)가 부팅 모드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여 전자 장치를 부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프로세서(130)는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다(S41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대기 전력만 입력되는 전원 오프 상태이며, 프로세서(130)는 파워 온 명령을 통해 전자 장치(100)의 구성에 대한 전원 온(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 정보를 로드한다(S4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제공하였던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하여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로드한다(S430).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가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제1 부팅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로드하며, 프로세서(130)가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제2 부팅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2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태스크 처리 정보에 저장된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한다(S440).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부팅 모드의 시나리오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50).
시나리오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S450-Y), 프로세서(130)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바탕으로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한다(S460).
시나리오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S450-N), 프로세서(130)는 시나리오 상의 모든 이벤트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70).
시나리오 상의 모든 이벤트 처리가 완료된 경우(S470-Y),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부팅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시나리오 상의 모든 이벤트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S470-N), 프로세서(130)는 시나리오에 따른 이벤트 발생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450).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팅 모드에 따른 태스크 처리 정보 및 태스크 처리 정보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5a의 좌측 도면은 제1 부팅 모드의 태스크 처리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팅 모드의 태스크 처리 정보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의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팅 모드는 태스크 A, 태스크 B,..., 태스크 그룹 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태스크 A는 초기 우선 순위를 5로, 초기 코어 할당을 0-3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A가 발생되면, 태스크 A는 우선 순위가 20으로, 코어 할당이 0-4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벤트 B가 발생되면, 태스크 A는 우선 순위가 40으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벤트 K가 발생되면, 태스크 A의 우선 순위가 0으로 변경되며, 코어 할당이 0-2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태스크 B는 이벤트 k가 발생될 때부터 처리되기 시작하며, 우선 순위가 50으로, 코어 할당이 0-4로 처리될 수 있다. 이벤트 L이 발생되면, 이벤트 B는 우선 순위가 0으로 변경되고, 코어 할당이 0-2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태스크 그룹 M은 이벤트 b가 발생될 때부터 처리되기 시작하며, 우선 순위가 10으로, 코어 할당이 0-3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벤트 L이 발생되면, 이벤트 B는 우선 순위가 50으로 변경되고, 코어 할당이 0-2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즉, 도 5a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스크 처리 정보를 시간 축 상으로 도시하면, 도 5a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시나리오로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우선, 도 5b의 좌측 도면은 제2 부팅 모드의 태스크 처리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팅 모드의 태스크 처리 정보는 복수의 태스크 각각의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팅 모드는 태스크 A, 태스크 C,..., 태스크 그룹 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태스크 A는 초기 우선 순위를 5로, 초기 코어 할당을 0-3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A가 발생되면, 태스크 A는 우선 순위가 20으로, 코어 할당이 0-4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이벤트 B가 발생되면, 태스크 A는 우선 순위가 0으로 변경되며, 코어 할당이 0-2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태스크 C는 이벤트 A가 발생될 때부터 처리되기 시작하며, 우선 순위가 50으로, 코어 할당이 0-4로 처리될 수 있다. 이벤트 L이 발생되면, 이벤트 C는 우선 순위가 0으로 변경되고, 코어 할당이 0-2로 변경되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태스크 그룹 M은 이벤트 L이 발생될 때부터 처리되기 시작하며, 우선 순위가 50으로, 코어 할당이 0-4로 처리될 수 있다.
즉, 도 5b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태스크 처리 정보를 시간 축 상으로 도시하면, 도 5b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시나리오로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부팅 모드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부팅 모드를 RF 부팅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RF 부팅 모드는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도 6a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부팅 모드의 태스크 처리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이때, RF 부팅 모드의 경우,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Channel show, channel 전환 및 Launcher 표시 기능이 중요하다.
전자 장치(100)는 빠른 Channel show를 위하여 TV-viewer 태스크를 빠르게 부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TV-viewer 태스크를 높은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channel 전환을 위해 TVS 태스크의 빠른 부팅이 필요하며, TVS 태스크를 부팅하기 위하여 AVOCD 태스크 역시 빠른 부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AVOCD 태스크를 높은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AVOCD Ready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자 장치(100)는 AVOCD 태스크의 우선 순위를 낮추고, TVS 태스크를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Launcher 표시 기능을 위해 Launcher 태스크의 빠른 부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Window manger 태스크 및 X-server 태스크를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으로 처리하고 나서, Launcher 태스크를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는 RF 부팅 모드로 전자 장치(100)를 부팅하는 경우, 도 6a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안테나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더욱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태스크들(예를 들어, AVOCD 태스크, TV-viewer 태스크, X-server 태스크, TVS 태스크 등)을 다른 태스크들에 비해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TV 부팅 모드에 따라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은 사용 정보가 저장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부팅 모드를 인터넷 TV 부팅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터넷 TV 부팅 모드는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도 6b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TV 부팅 모드의 태스크 처리 정보를 로드할 수 있다. 이때, 인터넷 TV 부팅 모드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TV PLUS(인터넷 TV) 표시 기능이 중요하다.
전자 장치(100)는 빠른 TV PLUS 표시 기능을 위하여 S-Live 태스크 및 TV Plus service 태스크의 빠른 부팅이 필요하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S-Live 태스크 및 TV Plus service 태스크의 빠른 부팅을 위해 Connection Manager 태스크의 빠른 부팅이 필요하며, Connection Manager 태스크의 빠른 부팅을 위해 D-BUS 태스크의 빠른 부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D-BUS 태스크를 높은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D-BUS ready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Connection Manager 태스크를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Network ready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100)는 S-Live 태스크 및 TV Plus service 태스크를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인터넷 TV 부팅 모드로 전자 장치(100)가 부팅되는 경우, 도 6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 컨텐츠를 더욱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태스크들(예를 들어, D-BUS 태스크, Connection Manager 태스크, S-Live 태스크 및 TV Plus service 태스크 등)을 다른 태스크들에 비해 우선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도 6a 및 도 6b를 비교해 보면, 각각의 부팅 모드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태스크들의 종류가 다르다. 이는 각 부팅 모드마다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태스크들이 상이하게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부팅 모드에 따라 상이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는 더욱 빠르게 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팅 시간이 종래에 비해 단축되어, 더욱 빠르게 부팅 동작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부팅 모드가 RF 부팅 모드 또는 인터넷 TV 부팅 모드가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양한 부팅 모드(예를 들어, HDMI 단자를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HDMI 부팅 모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부팅 모드 등)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 정보가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의 사용 정보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 정보가 사용자별 사용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에 대한 파워 온을 입력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제1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부팅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인터넷 TV를 자주 시청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의 부팅 모드를 인터넷 TV 부팅 모드로 판단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사용자가 지상파, 케이블 TV를 자주 시청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2 사용자에 대한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의 부팅 모드를 RF 부팅 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 정보가 사용자별 사용 정보인 경우, 전자 장치(100)에 대한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다(S8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한다(S820). 이때, 사용 정보는 전자 장치(100)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의 사용 정보 또는 사용자별 사용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부팅 모드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한다(S830). 이때, 전자 장치(100)는 부팅 모드에 따라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을 바탕으로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고, 이벤트 발생시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동적으로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더욱 효율적으로 부팅 동작을 수행하여, 부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에 따라 태스크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태스크를 처리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다(S910).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파워 온 명령에 응답하여 부팅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 기록에 따라 부팅 모드를 결정하고, 부팅 모드를 바탕으로 전자 장치(100)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부팅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20). 이‹š, 사용자 조작은 전자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에는 채널을 변경하는 사용자 조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판단한다(S930). 구체적으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팅 도중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태스크(예를 들어, TV-viewer 태스크, AVOCD 태스크, TVS 태스크 등)를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부팅 도중 인터넷 TV를 시청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태스크(예를 들어, S-Live 태스크 및 TV Plus service 태스크 등)를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0)는 판단된 태스크를 높은 우선순위 및 높은 코어할당으로 처리한다(S940). 즉,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우선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높은 우선 순위 및 높은 코어 할당으로 판단된 태스크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인터넷 TV 부팅 모드로 부팅하는 동안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로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태스크를 판단하며,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태스크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높게 할당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기존의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태스크의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낮게 할당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우선 처리하여 부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부팅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입력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입력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통신부
150: 디스플레이

Claims (17)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태스크 처리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파워 온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부팅 모드에 대응되는 태스크 처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처리 정보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초기 우선 순위와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 및 부팅 모드 별로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발생시 변경되는 우선 순위와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의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수행되었던 사용 기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1 부팅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2 부팅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팅 모드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부팅 모드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별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하는 동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태스크를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높게 할당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의 부팅 방법에 있어서,
    파워 온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파워 온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부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부팅 모드를 바탕으로 상기 전자 장치를 부팅하기 위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에 대한 태스크 처리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스크 처리 정보는,
    부팅 모드 별로 복수의 태스크들에 대한 초기 우선 순위와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 및 부팅 모드 별로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 발생시 변경되는 우선 순위와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태스크의 초기 우선 순위 및 초기 코어 할당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태스크를 최초 처리하며,
    이벤트 발생시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변경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수행되었던 사용 기록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1 부팅 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가장 최근에 오프되기 이전에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부팅 모드를 제2 부팅 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팅 모드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이며,
    상기 제2 부팅 모드는,
    상기 인터넷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에 대해 다른 태스크보다 높은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제공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정보는,
    사용자별 사용 이력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팅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부팅하는 동안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태스크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태스크를 우선 순위 및 코어 할당을 높게 할당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팅 방법.
KR1020160081525A 2016-02-29 2016-06-29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KR10244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05,821 US10437604B2 (en) 2016-02-29 2017-01-13 Electronic apparatus and boo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01184P 2016-02-29 2016-02-29
US62/301,184 2016-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748A true KR20170101748A (ko) 2017-09-06
KR102447854B1 KR102447854B1 (ko) 2022-09-27

Family

ID=5992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525A KR102447854B1 (ko) 2016-02-29 2016-06-29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9541B2 (en) * 2019-01-07 2022-08-30 Dell Products L.P. Unlocking of computer storage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9660A (ko) * 2014-01-28 2015-08-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7317A (ko) * 2014-02-18 2015-08-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어 친화도 조정 장치 및 그것의 코어 친화도 조정 방법
US20150339129A1 (en) * 2014-05-09 2015-1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THEREOF TO OPTIMIZE BOOT TIME OF COMPUTERS HAVING MULTIPLE CPU's
US9223601B2 (en) * 2011-09-30 2015-12-29 Fujitsu Limited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 virtual system deploy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23601B2 (en) * 2011-09-30 2015-12-29 Fujitsu Limited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 virtual system deployment
KR20150089660A (ko) * 2014-01-28 2015-08-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부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7317A (ko) * 2014-02-18 2015-08-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코어 친화도 조정 장치 및 그것의 코어 친화도 조정 방법
US20150339129A1 (en) * 2014-05-09 2015-11-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THEREOF TO OPTIMIZE BOOT TIME OF COMPUTERS HAVING MULTIPLE CP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9541B2 (en) * 2019-01-07 2022-08-30 Dell Products L.P. Unlocking of computer storag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854B1 (ko)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369B1 (ko) 휴대용 디바이스에서 동기적 태스크 디스패치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040804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and method therefor
US88688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environments in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48633B2 (en)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727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67331B2 (en)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20110093836A1 (en)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EP3535641B1 (en) Thread importance based processor core partitioning
CN110300328B (zh)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US20120192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multipl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with a single gesture input
US20120173986A1 (en) Background synchronization within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1043760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booting method thereof
US10520929B2 (en) Techniques for implementing universal commands in a welding or cutting system
US20150358554A1 (en) Proactively Selecting a Multisource Video Presentation Mode of Operation
US20180052700A1 (en) Facilitation of guest application display from host operating system
KR102447854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부팅 방법
WO2011011368A2 (en)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48667B2 (en) Apparatus for managing application program and method therefor
US20180059640A1 (en) Techniques for event driven scheduling in a welding or cutting system
US96068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 activation method, and program
US1044486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9126A (ko)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 메뉴 인터페이스 관리 방법 및 매체
WO2011011365A2 (en)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