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1511A -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1511A
KR20170101511A KR1020160024106A KR20160024106A KR20170101511A KR 20170101511 A KR20170101511 A KR 20170101511A KR 1020160024106 A KR1020160024106 A KR 1020160024106A KR 20160024106 A KR20160024106 A KR 20160024106A KR 20170101511 A KR20170101511 A KR 20170101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sensor
interface uni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3816B1 (ko
Inventor
태기식
차태현
김선주
조혜정
이현주
최동혁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816B1/ko
Publication of KR2017010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1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05Evaluating swallo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7Measuring contraction of parts of the body, e.g. organ, mus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2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3Details of waveform analysis characterised by using trans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G06F19/32
    • G06F19/3437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침습 방식으로 IMU 센서를 이용하여 목 울대의 움직임을 측정 및 분석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들을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FOR DIAGNOSIS DYSPHAGIA}
본 발명은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비침습 방식으로 I MU 센서를 이용하여 목 울대의 움직임을 측정 및 분석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들을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하장애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삼키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일컫는 것으로, 파킨슨병, 뇌성마비, 뇌졸중 같은 신경학적 질환에서 빈번하게 일어나며, 심리사회적 상태의 악화와 함께 탈수와 영양실조를 야기하고, 영양실조로 인한 면역체계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음식물을 삼키는 동안 인두연하단계에서 기도보호를 저해하여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는 위험성을 높여 흡인성 폐렴을 야기하고, 이러한 흡인성 폐렴으로 인한 손상은 입원시점부터 죽음에 이를 때까지 환자에게 많은 고통을 주게 된다.
이러한 연하장애환자의 가장 일반적인 흡인요인은 병리학적으로 후두거상의 지연 또는 장애로 인한 운동학적, 일시적 기능장애로, 후두거상은 생리학적 상태에서 연하작용(swallowing movement)의 필수요소이며, 연하작용은 후두폐쇄를 유도하고 흡인을 예방하므로 이에 대한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흡인정도와 연하장애를 검사하는 종래의 임상선별검사(clinical bedside evaluation)는 주관적인 평가에 기인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지적됨에 따라, 근래에는 연하장애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도구로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 장치(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와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Fiberoptic Endoscopic Evaluation of Swallowing, FEES)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도구들은 기본적으로 크기가 크면서도 고액의 설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영상의학과, 이비인후과 등과의 협력 없이 구축 및 사용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비디오 투시 조영 검사의 경우 불가피하게 방사선에 노출될 수밖에 없고, 비디오 내시경 검사 장치의 경우 코로 내시경을 삽입하는 침습 방식으로 환자들의 일상에서 장애 특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비침습적인 수단을 이용하되, 일상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연하장애환자의 흡인 위험도(risk of aspiration)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연구가 진행중에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4443호 (2014.11.2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침습 방식으로 목 외측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목울대의 움직임을 측정 및 분석하되 이를 개인 단말기를 통해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들을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를 조합함으로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배면에 흡착재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울대 부분에 부착되되 중앙에 상기 센서부가 부착되는 흡착패드로 구성되는 장착부;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이루어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 상기 제1통신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2통신부와, 사용자로부터 신체정보를 입력받고 처리되는 그래픽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신체정보 및 제2통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연하장애를 진단하고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단말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패드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중앙에서 돌출되며 세로방향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가 안치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및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 형성되며 배면에 흡착재가 형성되는 흡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통신부에서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분석하되 x, y, z축에 대한 가속도센서 및 자이로센서의 측정값을 구분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정보생성부와, 상기 동작정보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신호를 통해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설정부와, 상기 기준정보와 더불어 다양한 신체정보 및 동작정보에 대응하는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동작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불러들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분석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목 부분에 위치한 근육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 및 동작정보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동작정보와 상기 근육정보를 통해 시간 흐름에 따른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출력하는 시뮬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흡착패드 내측으로 배치되는 스트레인게이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값을 통해 장착부의 위치보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위치보정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보정정보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MU 센서를 이용하여 목울대의 움직임을 수치화하여 기존의 임상테스트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이전의 검사 방법들에 대해 비침습적이고 저렴하며 빠른 진단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목울대 부분에 부착되어 목울대의 움직임을 외부로부터 측정하는 장착부(1)와, 상기 장착부(1)를 제어하되 측정신호를 무선전송하는 컨트롤러(2)와, 상기 컨트롤러(2)에서 전송된 신호를 처리하여 연하장애를 진단하는 단말기(3)를 구비하게 된다.
이는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소형으로 구현됨에 따라 쉽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연하장애의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며, 스마트폰이나 스마트단말기와 같은 개인 휴대 단말기와 연동함으로 간편하게 휴대 및 이용 가능하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장착부(1)는 사용자의 목 부분에 쉽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갖게 되며, 목울대 부분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벨트나 밴드 등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목 부분을 둘러 고정하는 방식이 아닌 간편한 부착방식을 사용하게 되며, 이를 위해 배면에 흡착재(13)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울대 부분에 부착되되 중앙에 상기 센서부(11)가 부착되는 흡착패드(12)를 구비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착패드(12)는 비교적 얇은 막이나 필름형태로 사용자의 목 앞 부분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변형성과 밀착성이 뛰어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센서부(1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전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구조의 돌출부(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1)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배면에 흡착재(13)가 형성된 흡착부(123)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1)의 배면에 목울대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상기 흡착패드(12)가 이를 덮으며 원활히 전면으로 휘어지며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121)의 상하측에는 절개부(122)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돌출부(121)도 배면의 목울대로 인해 전면으로 상대적으로 큰 굴곡을 형성하게 되므로 돌출부(121) 전면으로 세로방향의 홈을 다수 형성하여 원활한 굴곡과 함께 목울대 부분에 대한 밀착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착재(13)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끈적이는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세척을 통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1)는 가속도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12)를 조합함으로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12)가 조합된 IMU(Inertia Measurement Unit)센서를 사용하게 된다.
이를 구성하는 상기 가속도센서(111)는 물체가 얼만큼 빨라지는지 또는 늦어지는지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중력가속도가 작용을 통해 지구표면에 대하여 얼마큼 기울어져 있는지 즉 기울기의 측정이 가능하며 x, y, z 축의 3축의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 자이로센서(112)는 x, y, z 축의 3축에 대한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목울대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하고자 할 때 상기 가속도센서(111) 만으로는 움직이는 방향을 측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완하여 방향과 움직이는 정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이로센서(112)는 가속도센서(111)와는 달리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가속도센서와 조합함으로 정밀한 움직임의 측정이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x, y, z 축 또는 roll, pitch, and yaw로 3축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다.
상기 컨트롤러(2)는 상기 장착부(1)와 유선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1)를 제어하되, 상기 센서부(11)에서 측정된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단말기(3)로 무선방식으로 송신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게 되며, 아날로그 신호로 이루어지는 상기 센서부(11)의 측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로 구성되는 변환부(21)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단말기(3)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22)를 구비하여, 상기 변환부(21)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단말기(3)로 전송한다.
상기 제1통신부(22)는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서, 최근 활발하게 사용중인 블루투스나 Wi-fi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에서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인 블루투스 모듈을 적용한다.
상기 단말기(3)는 통신기능과 데이터 처리 및 입출력 기능을 갖는 상용의 단말기의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제2통신부(31)와, 인터페이스부(32)와, 제어부(33)를 구비하며, 랩톱 컴퓨터를 비롯하여 최근 활발하게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함으로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편리하게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31)는 상기 제1통신부(22)와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통신부(22)와 동일한 무선통신 모듈로 이루어져 상호 페어링 방식이나 브로드캐스팅 방식을 통한 데이터 및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2)는 사용자로부터 신체정보를 입력받고 처리되는 그래픽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수단의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단말기(3)의 기능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게 된다. 상기 단말기(3)가 컴퓨터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키보드 및 마우스와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에서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을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신체정보는 착용자의 신장이나 체중을 비롯하여 연하장애의 모니터링을 위해 필요한 기본정보로서, 상기 장착부(1)를 사용하는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기 센서부(11)에서 감지되는 값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위해 사용자의 목 둘레나 형태 및 신체적 특이사항 등의 신체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미리 입력받게 된다.
상기 제1제어부(33)는 상기 단말기(3)의 MCU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 및 제2통신부(31)에서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연하장애를 진단하고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동작정보생성부(331)와, 기준설정부(332)와, 데이터베이스(333)와, 분석부(334)의 세부구성을 구비한다.
상기 동작정보생성부(331)는 상기 제2통신부(31)에서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분석하되 x, y, z축에 대한 가속도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12)의 측정값을 구분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동작정보는 상기 가속도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12)가 각각 3개의 축에 대한 측정값을 출력함에 따라 총 6개 채널에 대한 측정값을 통해 생성되며, 시간 흐름에 따른 각 채널의 측정값의 변화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목울대의 움직임 특성을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표준편차 값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준설정부(332)는 상기 동작정보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신호를 통해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와 상기 동작정보생성부(331)를 통해 생성되는 동작정보를 통해 연하장애를 판단에 있어, 장애가 없는 상태에서의 동작정보가 명확하게 확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반영한 많은 수의 임상 측정값이 누적될 경우 이를 통해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기본적으로 착용자가 음식물을 삼키지 않은 평상시의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설정신호를 입력하여 기준으로 생성된 동작정보에 의해 음식물을 삼키지 않는 상태 및 음식물을 삼키는 상태의 판단 기준이 될 기준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기준설정부(332)를 통해 물을 마시거나 침을 삼키거나 껌을 씹는 상태를 비롯하여 삼키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여 기준정보를 생성하여 정확한 연하장애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33)는 상기 기준정보와 더불어 다양한 신체정보 및 동작정보에 대응하는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전문가로부터 분석 내지는 정확한 판단된 상태에 대한 증상을 신체정보 및 동작정보와 대응하여 상태정보로 저장되며, 추후 정확한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서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시간순으로 누적저장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이를 별도의 관제서버를 통해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다양한 착용자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와 실험에 의해 수집된 정보의 가공을 통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분석부(334)는 상기 동작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333)를 통해 불러들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동작정보생성부(331)를 통해 생성된 동작정보를 상태정보가 반영된 기준정보와 비교함으로 특정 상태임을 판단하는 것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정보가 표준편차 등의 그래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의 형태를 분석하여 비대칭성(skewness)과 중간값(median), 첨도(kurtosis), 주파수 영역 특징(Frequency Domain Features)을 추출하여 비교 후 유사도를 산출하여 가장 유사도가 높은 상태정보를 해당 착용자의 상태정보로 출력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삼킴에 따른 목울대의 움직임 상황을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부(34)와 함께 상기 장착부(1)의 정확한 착용을 안내하기 위한 스트레인게이지(14) 및 보정정보생성부(35)의 구성이 부가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333)는 목 부분에 위치한 근육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이는 목 부분의 이미지를 비롯하여 연하장애와 관련된 목의 근육의 형상을 이미지로 구현한 정보로서 주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다 다수 구비된다.
상기 시뮬레이션부(34)는 상기 단말기(3)에 구비되어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 및 동작정보생성부(331)를 통해 생성된 동작정보와 상기 근육정보를 통해 시간 흐름에 따른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출력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정보를 반영하여 재현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32)의 규격에 적합한 비율을 갖도록 목 부분의 신체 윤곽을 나타낸 형상을 생성하되 시간 흐름에 따른 목 부분 근육의 변화를 동작정보 및 대응 이미지를 통해 연속으로 시각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34)는 입력된 신체정보를 통해 신체 윤곽 즉 목 부분의 이미지 형성과, 상기 동작정보생성부(331)를 통해 생성된 동작정보를 기반으로 목 부분 근육의 움직임에 따른 이미지변경을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부(1)는 흡착패드(12) 내측으로 배치되는 스트레인게이지(14)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는 물체가 외력으로 변형될 때 등에 변형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흡착패드 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트레인게이지(14)가 구비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1)가 부착되는 목 부분은 목울대가 위치한 부분으로서 전면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장착부(1)의 중앙에서 가장 크게 휘어지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흡착패드(12)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트레인게이지(14)를 설치하여 변형 즉 휘어짐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위치인 목울대 부분이 흡착패드(12)의 중심에 위치하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4)의 측정결과는 상기 제1통신부(22)를 통해 단말기(3)로 전송된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3)에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4)의 변형값을 통해 장착부(1)의 위치보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32)로 위치보정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보정정보생성부(35)가 구비된다.
이때 위치보정 메시지는 미리 설정된 문자나 음성 등을 활용하여 착용된 장착부(1)의 위치를 상하좌우 중 선택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이동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1)가 부착된 상태의 목 부분의 윤곽을 나타낸 형상을 출력함과 동시에 장착부(1)가 바른 위치로 이동 부착되어야 할 방향을 상하좌우 방향의 화살표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장착부 11: 센서부 111: 가속도센서
112: 자이로센서
12: 흡착패드 121: 돌출부
122: 절개부 123: 흡착부
13: 흡착재 14: 스트레인게이지
2: 컨트롤러 21: 변환부 22: 제1통신부
3: 단말기 31: 제2통신부 32: 인터페이스부
33: 제어부 331: 동작정보생성부
332: 기준설정부 333: 데이터베이스
334: 분석부
34: 시뮬레이션부 35: 보정정보생성부

Claims (5)

  1. 가속도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12)를 조합함으로 3축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11)와, 배면에 흡착재(13)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목울대 부분에 부착되되 중앙에 상기 센서부(11)가 부착되는 흡착패드(12)로 구성되는 장착부(1);
    상기 센서부(11)의 측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21)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로 이루어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22)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신호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2);
    상기 제1통신부(22)와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제2통신부(31)와, 사용자로부터 신체정보를 입력받고 처리되는 그래픽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32)와, 상기 신체정보 및 제2통신부(31)에서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연하장애를 진단하고 결과를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33)로 구성되는 단말기(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패드(12)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중앙에서 돌출되며 세로방향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센서부(11)가 안치되는 돌출부(121)와, 상기 돌출부(121) 및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22)를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 형성되며 배면에 흡착재(13)가 형성되는 흡착부(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3)는 상기 제2통신부(31)에서 수신한 디지털신호를 분석하되 x, y, z축에 대한 가속도센서(111) 및 자이로센서(112)의 측정값을 구분하여 동작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정보생성부(331)와, 상기 동작정보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입력되는 설정신호를 통해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설정부(332)와, 상기 기준정보와 더불어 다양한 신체정보 및 동작정보에 대응하는 상태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333)와, 상기 동작정보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333)를 통해 불러들인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출력하는 분석부(3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333)는 목 부분에 위치한 근육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3)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입력된 신체정보 및 동작정보생성부(331)를 통해 생성된 동작정보와 상기 근육정보를 통해 시간 흐름에 따른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32)를 통해 출력하는 시뮬레이션부(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는 흡착패드(12) 내측으로 배치되는 스트레인게이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3)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4)의 변형값을 통해 장착부(1)의 위치보정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32)로 위치보정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보정정보생성부(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60024106A 2016-02-29 2016-02-29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9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106A KR101793816B1 (ko) 2016-02-29 2016-02-29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106A KR101793816B1 (ko) 2016-02-29 2016-02-29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1511A true KR20170101511A (ko) 2017-09-06
KR101793816B1 KR101793816B1 (ko) 2017-11-06

Family

ID=59925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106A KR101793816B1 (ko) 2016-02-29 2016-02-29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8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57A (ko) 2018-11-19 2020-05-28 수상에스티(주) Vfss 기반 연하곤란 자동 검출 시스템 및 그 검출방법
KR102263535B1 (ko) 2019-07-17 2021-06-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사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64936B1 (ko) 2022-11-02 2023-08-07 조은정 손떨림 측정 및 개선을 위한 스마트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3361A1 (en) * 2005-09-23 2007-03-29 Bioq, Inc. Medical device for restoration of autonomic and immune functions impaired by neuropathy
CA2824787A1 (en) * 2011-01-18 2012-07-26 University Health Network Method and device for swallowing impairment detection
JP6060076B2 (ja) * 2011-06-30 2017-01-11 株式会社明治 嚥下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816B1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Assessment of postural sway in individuals with multiple sclerosis using a novel wearable inertial sensor
CN106999065B (zh) 使用加速度测量术的可穿戴疼痛监测器
Lugade et al. Validity of using tri-axial accelerometers to measure human movement—Part I: Posture and movement detection
DK2296545T3 (en) Systems to perform overfladeelektromyografi
CN105031908B (zh) 一种平衡矫正式训练装置
Korpan et al. Effect of ActiGraph GT3X+ position and algorithm choice on step count accuracy in older adults
US20110066078A1 (en) Pain monitor for a patient undergoing a medical procedure
CA2904264A1 (en) Form factors for the multi-modal physiological assessment of brain health
JP2017536896A (ja) 集積ベルトセンサを含む装置におけるマルチパラメータアルゴリズムによる呼吸速度モニタリング
JP2019516454A (ja) 対象上のウェアラブル装置の位置及び向きの少なくとも一方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10631739B2 (en) Monitoring vital signs
KR101793816B1 (ko) 연하장애 진단보조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Silsupadol et al. Smartphone-based assessment of gait during straight walking, turning, and walking speed modulation in laboratory and free-living environments
WO2004014230A1 (ja) 平衡状態解析装置
JP4606889B2 (ja) 血圧測定装置
CN102228379A (zh) 平衡检测系统
Tesio et al. Gait analysis on split-belt force treadmills: validation of an instrument
KR20120098538A (ko) 피검자의 트래머데이터 측정장치
CN101536904A (zh) 基于心电的睡眠呼吸暂停检测装置
Bonnechère et al. Validation of the balance board for clinical evaluation of balance during serious gaming rehabilitation exercises
WO2014053534A1 (en) A monitoring device for analysing a sleep condition
WO20190233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ALUATING ORAL FUNCTION
JP2020192307A (ja) 下肢筋力評価方法、下肢筋力評価プログラム、下肢筋力評価装置及び下肢筋力評価システム
JP2014138873A (ja) 三次元加速度計を備えた脳・神経系疾患の病状診断システム
KR20170098022A (ko)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운동량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