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966A -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966A
KR20170100966A KR1020160023525A KR20160023525A KR20170100966A KR 20170100966 A KR20170100966 A KR 20170100966A KR 1020160023525 A KR1020160023525 A KR 1020160023525A KR 20160023525 A KR20160023525 A KR 20160023525A KR 20170100966 A KR20170100966 A KR 20170100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pe
cap
nut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남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포텍
Priority to KR102016002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966A/ko
Publication of KR2017010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96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측 단부에 단턱진 안착부가 형성되며, 그 양측 단부 내측에 연결구 어셈블리들이 삽입되어 각각 제1고정링이 안치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하측 즉, 경사부들의 사이 중앙부에 수파이프(P)의 밀림을 방지하는 환형돌부가 형성되는 양방향형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결구 일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고 상기 결합캡이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연결구의 양측 둘레에 감싸져서 그 양단이 밴딩처리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연결구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파이프(P)로 부터 전달되는 열, 압력 등으로 인한 연결구의 변형을 방지하는 바디캡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캡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의 내측 및 둘레의 변형을 방지하는 파이프 연결 구조를 구비 하였다.
그러므로, 양방향형의 연결구에 의해 두 파이프(P)의 연결이 간편하고, 너트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결합캡 및 너트의 결합이 확실하며, 연결구의 양측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바디캡이 체결되어 연결구의 둘레를 감싸므로 파이프(P)에서 전달되는 열, 압력 등으로 인해 연결구의 변형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두 파이프의 연결이 간편하고 연결부위의 변형없이 견고하게 파이프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The pipe coupling structure}
파이프 구조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파이프의 연결이 간편한 파이프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이나 유류와 같은 유체나 가스와 같은 유체를 수송하는데 파이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운반이나 취급상의 제약에 의해 일정규격으로 제조되어 발매되고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규격 길이보다 긴 길이로 파이프를 설치한다든가 일정 각도 절곡되어 파이프를 설치하여야 할 경우에 파이프 연결 부재를 사용하거나 파이프를
서로 연결 용접하여야만 한다. 종래에는 철관이나 동관, 스텐레스 강관과 같은 금속제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플라스틱 파이프나 XL파이프, 동관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을 간단히 설명하면, 종래의 파이프 연결 구조는 여러가지 요소, 일예로 씰링, 일명 그라블링이라 불리는 고정링, 텐션와셔 등을 연결캡에 삽입하고 난 후, 한쪽 끝단이 절곡된 슬리브를 끼우고 상기 슬리브의 다른 끝단을 적절한 공구
를 사용하여 압착벤딩하여 연결캡에 슬리브를 결합시켜서 파이프 연결 구조의 조립을 완성하고, 파이프를 삽입하여 파이프 결합 작업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 구조는 조립이 완료되면 슬리브의 양단이 모두 절곡된 상태가 되므로 분해하여 파이프 연결 구조 시스템을 수리 할 수 없게 되며 당연히 재사용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파이프 연결 구조는, 가압력 조절 나사를 결합하기 위해 슬리브의 절곡부위의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는바, 슬리브는 나사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부위의 단부 일측을 절개하고 그 절개부위를 중심으로 비틀어서 나사부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슬리브에 형성된 나사부는 단부의 두께만으로 형성되고 일측을 절개하여 비틀어진 상태이므로 가압력 조절 나사를 결합할시 가압력 조절 나사가 견고히 결합될 수 없었다.
즉, 가압력 조절 나사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가압력 조절 나사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지지하여야 하는데 슬리브에 형성된 나사부는 슬리브의 두께만으로 하나 이상의 나사산을 지지할 수 없게되어 그 결합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
였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로 가압력 조절 나사에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슬리브에 형성된 나사부는 쉽게 뭉그러져서 변형이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 구조는 연결캡의 일측 외경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나사부에 별도의 연결 금구를 결합하여야만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구성들 이외의 별도의 연결 금구를 제작 및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부품수가 증가되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파이프를 연결할시 최소에 부품으로 가장 큰 효과를 만들어내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연결 금구나, 어느 하나의 파이프에 결합용 나사부 및 결합용 플랜지 등의 형성하지 않고도 두 파이프를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파이프 연결 구조는, 제1고정링, 제2고정링, 텐션와셔, 와셔의 연결구 어셈블리가 내측에 삽입되고 일측에 연결캡이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일단에 중공형의 결합캡이 구비되는 파이프 연결 구조
에 있어서, 양측 단부에 단턱진 안착부가 형성되며, 그 양측 단부 내측에 연결구 어셈블리들이 삽입되어 각각 제1 고정링이 안치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하측 즉, 경사부들의 사이 중앙부에 수파이프(P)의 밀림을 방지하는 환형돌부가 형성되는 양방향형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하
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결구 일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고 상기 결합캡이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연결구의 양측 둘레에 감싸져서 그 양단이 밴딩처리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연결구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파이프(P)로 부터 전달되는 열, 압력 등으로 인한 연결구의 변형을 방지하는 바디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파이프 연결 구조의 다른 특징은, 상기 바디캡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의 내측 및 둘레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파이프 연결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결합캡의 내주면에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볼록한 환형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양방향형의 연결구에 의해 두 파이프(P)의 연결이 간편하고, 너트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결합캡 및 너트의 결합이 확실하며, 연결구의 양측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바디캡이 체결되어 연결구의 둘레를 감싸므로 파이프(P)에서 전달되는 열, 압력 등으로 인해 연결구의 변형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두 파이프의 연결이 간편하고 연결부위의 변형없이 견고하게 파이프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구조는, 너트에 결합되는 결합캡의 조임정도에 따라 씰링의 수축력을 조절하여 파이프(P)의 결합이 쉽게하고 씰링이 최대한 수축되도록하여 파이프(P)의 연결시 기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결합캡이 결합되는 너트가 분리적으로 구비되어 슬리브의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었던 종래에 비해 결합캡의 나사결합이 더욱 확실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나사부가 쉽게 변형되었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되며, 연결구가 양방향형으로 형성되어 두 개의 파이프(P)의 연결시 별도의 연결 금구없이도 간편하게 파이프(P)의 연결이 가능한 효과가있다.
한편 너트가 체결되는 연결구의 양측 외주면 둘레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바디캡이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파이프(P)들로 부터 전달되는 열, 압력 등으로 인해 연결구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되며, 이에 따라 파이프(P)의 연결부위가 느슨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파이프(P)들의 연결이 견고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연결구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양방향형으로 구비되는바, 양측 단부에는 단턱진 안착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중심부에 근접한 경사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부에는 후술할 연결구 어셈블리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데, 제1고정링이 경사부에 안치되며 제1고정링의 탄성편은 경사부의 면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제1고정링의 상측에는 순차적으로 내측이 테이퍼진 텐션와셔, 제2고정링, 와셔, 씰링이 안치되며 이 어셈블리는 경사부의 상측 즉, 연결구 양단의 내측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또한 연결구의 내측 중심부 즉, 양측 경사부들의 사이 중심부에는 파이프(P)의 삽입시 파이프(P)의 진입을 제한하는 환형돌부가 형성된다.
너트는 그 하부에 연결구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의 내측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연결구의 양측 안착부에 안착되면서 그 상부 둘레가 연결구의 단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너트가 체결된 연결구의 상부둘레에는 너트를 연결구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바디캡이 연결구의 양측에 체결되고, 그 바디캡은 일단이 절곡된 상태이고 타단을 연결구의 외주면 둘레에 밴딩되어 고정된다.
특히, 바디캡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며, 연결구의 상부 둘레에 결합고정되어 연결구에 파이프(P)들의 연결시 파이프(P)들로 부터 전달되는 열, 압력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결합캡은 외주면 둘레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그 수나사부가 너트의 암나사부에 결합되어 연결구 양측에 결합되는 너트에 결합된다.
이 결합캡은 너트에 결합되어 연결구의 내측에 삽입되는 일단이 연결구 어셈블리의 씰링에 밀착되어 결합캡의 조임시 씰링을 눌러주며, 연결구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은 파이프(P)의 삽입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결합캡은 그 조임정도에 따라 씰링을 눌러주므로써 씰링의 수축력을 조절한다.
여기서, 결합캡의 일단에는 결합캡을 조이기 위한 공구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파이프 연결 구조는 연결구가 양방향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연결 금구없이 연결구만으로 두 파이프(P)의 연결이 가능하다.
즉, 연결구의 양단에 형성된 안착부에 너트가 안착되고 너트가 체결된 연결구의 양측 상부둘레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바디캡을 체결하고 바디캡의 일측을 연결구의 상부둘레에 밴딩처리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구의 양측 각각에 제1고정링, 텐션와셔, 제2고정링, 와셔, 씰링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다음으로 결합캡을 너트에 나사결합하고, 연결구의 양측에 결합캡의 내측을 통해 연결구의 내측으로 두 파이프(P)를 삽입한다.
파이프(P)의 삽입시에 너트에 결합된 결합캡을 느슨하게 풀어둔 상태에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결합캡을 풀어둔 상태에서는 씰링에서 결합캡의 누름 단부가 이격된 상태이므로 씰링은 수축되지 않은 최초의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결합캡을 느슨하게 풀어둔 상태에서 파이프(P)를 삽입하면 적은 힘으로 파이프(P)를 삽입하여도 파이프(P)가 씰링을 쉽게 통과하여 연결구(10)의 내측까지 쉽게 삽입된다.
그리고 파이프(P)가 연결구 내측으로 삽입시 파이프(P)의 삽입 단부가 연결구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환형돌부에 의해 타 파이프(P)가 삽입되는 연결구의 반대측까지 삽입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두개의 파이프(P)들이 연결구의 양측에서 삽입되면 통상의 파이프 연결 구조와 같이 파이프(P)들의 둘레에
제1고정링 및 제2고정링에 형성된 탄성편들이 살짝 파고들어가 자리를 잡는다.
그리고 씰링은 파이프(P)의 둘레에 마찰 접촉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P)가 삽입되면 느슨하게 풀어 두었던 결합캡을 조이면 씰링에 근접한 결합캡의 누름 단부가 씰링을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씰링이 수축되면서 파이프(P)의 둘레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두개의 파이프(P)를 연결구 양측에서 삽입고정시 결합캡의 조임정도를 조절하면 파이프(P)의 삽입시 파이프(P)의 삽입이 쉬워지고, 파이프(P)의 삽입이 완료되면 씰링이 최대한 수축되도록 하여 파이프(P)의 둘레에 견고히 밀착되므로 파이프(P)의 연결시 기밀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파이프(P)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파이프(P)의 연결구조를 수리 할시는 결합캡을 너트에서 분리하여 파이프(P)를 쉽게 수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형의 연결구에 의해 두 파이프(P)들이 연결되어서 파이프(P)의 설치 목적 즉, 보일러의 배관, 공압, 유압의 호스 등으로 사용될시 파이프(P)에 의해 전달되는 열, 공압, 유압의 흐름에 의한 압력 등으로
인해 연결구의 내측 및 둘레에는 변형이 발생되는데, 이때,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연결구 둘레에 체결되어 밴딩처리된 바디캡이 연결구 둘레를 감싼상태로 연결구의 변형을 확실히 잡아주게 된다.
즉, 바디캡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므로 열이나 압력에 의한 변형없이 연결구의 변형을 확실히 잡아주고, 이에 따라 연결구의 변형에 의해 파이프(P)의 연결부가 헐거워지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한편, 본 고안의 큰 장점은 연결구가 양방향형으로 형성되므로 두 파이프(P)들의 연결시 파이프(P)의 일단에 연결용 나사부나 연결 플랜지 등을 형성할 필요 없이 연결구만으로 두 파이프(P)의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 파이프 연결 구조는 슬리브의 일측 단부가 비틀어져서 슬리브의 두께만큼의 좁은 면적으로 나사부가 형성되었던 종래와 달리 너트가 독립적으로 구비되므로 결합캡의 나사결합이 더욱 확실하며, 결합캡의 반복적인 조
임과 풀림의 작동에도 암나사부 및 수나사부가 쉽게 마모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뭉그러지지 않는다.
본 고안 파이프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결합 단면도로써, 결합캡의 내주면에 단면이 반원형상인 지지돌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연결구에 파이프(P)를 삽입하면 환형돌부가 파이프(P)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어 연결구 내측의씰링과 같은 보조 씰링의 역활을 할 수 있게되어 파이프(P)의 연결시 그 기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

  1. 제1고정링, 제2고정링, 텐션와셔, 와셔의 연결구 어셈블리가 내측에 삽입되고 일측에 연결캡이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 일단에 중공형의 결합캡이 구비되는 파이프 연결 구조에 있어서, 양측 단부에 단턱진 안착부가 형성되며, 그 양측 단부 내측에 연결구 어셈블리들이 삽입되어 각각 제1고정링이 안치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하측 즉, 경사부들의 사이 중앙부에 수파이프(P)의 밀림을 방
    지하는 환형돌부가 형성되는 양방향형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결구 일단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연결구에 체결되고 상기 결합캡이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연결구의 양측 둘레에 감싸져서 그 양단이 밴딩처리되어 상기 너트를 상기 연결구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파이프(P)로 부터 전달되는 열, 압력 등으로 인한 연결구의 변형을 방지하는 바디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구조.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캡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의 내측 및 둘레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구조.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캡의 내주면에 반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볼록한 지지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구조.
KR1020160023525A 2016-02-26 2016-02-26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170100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25A KR20170100966A (ko) 2016-02-26 2016-02-26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25A KR20170100966A (ko) 2016-02-26 2016-02-26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66A true KR20170100966A (ko) 2017-09-05

Family

ID=5992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525A KR20170100966A (ko) 2016-02-26 2016-02-26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9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15104B (zh) 凸缘接合部加固夹具
EP2463567B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tightening element bushing
KR20110100140A (ko) 배관 접속 장치
JP5915918B2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KR200416932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130108184A (ko)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US7699357B2 (en) Coupling for tubes
JP4185161B1 (ja) 伸縮ユニオン継手及び流体移送配管系
KR20170100966A (ko)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0341920B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및 회수기의 관연결구 또는 볼밸브연결구조
KR101870214B1 (ko) 파이프 이음구 어셈블리
WO2017199466A1 (ja) 燃料分配装置
CA2911611C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JP3217571U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2020101289A (ja) 補強治具の装着方法
KR100962465B1 (ko) 배관용 커플링
JP2010101431A (ja) 管継手
JP6592757B2 (ja) 高圧用継手
KR200352644Y1 (ko) 가압력 조절 나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 구조
KR20200123920A (ko)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EP3742036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corrugated steel pipe and connecting method
JP7340851B2 (ja) 絶縁継手
JP2011256945A (ja) 拡管式管継手
KR20180136842A (ko) 플렉시블 조인트의 연결구 결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