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740A -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740A
KR20170100740A KR1020160022953A KR20160022953A KR20170100740A KR 20170100740 A KR20170100740 A KR 20170100740A KR 1020160022953 A KR1020160022953 A KR 1020160022953A KR 20160022953 A KR20160022953 A KR 20160022953A KR 20170100740 A KR20170100740 A KR 20170100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value
resistance value
cell module
r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488B1 (ko
Inventor
이은영
정해윤
김상학
송미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2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48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H02S50/10Testing of PV devices, e.g. of PV modules or single PV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G05F1/67Regulating electric power to the maximum power available from a generator, e.g. from solar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 중 일부가 가려지는 그림자 진단시, 그림자 비율에 따라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단락전류 조건의 저항값 변화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각 전지 셀들이 일체로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을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으로 판단하고자 한 것으로서, 측정되는 저항값이 기준값보다 감소할 경우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제어를 위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시킴으로써, 발열로 인한 손실 및 셀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r electric generating system using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 중 일부가 가려지는 그림자 진단시, 그림자 비율에 따라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시점을 단락조건의 저항값 변화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태양의 직사광선이 항상 태양전지 모듈의 전면에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태양전지 모듈의 설치 부지, 설치각도, 시간에 따른 태양광 조사각 변화, 외부 요소 등으로 인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에 그림자(음영)가 질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지 셀(스트립) 중 하나 이상이 그림자나 이물질로 인하여 가려지게 되면, 해당 전지 셀의 전류가 감소하여 전력을 생산하지 못하게 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전체 셀의 전류 흐름을 막게 되며, 결국 태양전지 모듈 전체의 전력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그림자가 진 해당 전지 셀의 전류가 감소할 때, 열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열은 태양전지 모듈에 2차적인 손실을 입히게 된다.
이러한 열적 피해를 막기 위하여, 나머지 정상적인 셀들의 전류를 원활히 흐르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 셀 갯수 마다 셀 직렬 마디에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병렬로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기존에 태양전지 모듈의 각 셀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셀의 사이사이에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삽입하여 열관리를 할 수도 있으나, 일체형으로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의 경우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삽입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열적 손실이 초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각 전지 셀들이 일체로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태양전지 패널)의 경우, 전체 셀 중 일부분에 그림자가 지는 경우, 일정 수준 범위에서는 발열량이 크지 않아 태양전지 모듈을 스위치 오프(switch off)하지 않고 발전량을 활용할 수 있지만, 특정 비율에서는 발열량이 최대가 되며 지속될 경우, 발열로 인한 손실 및 셀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지 셀 자체의 손상이나, 태양전지 패널의 접합부나 각 소자의 도전성 솔더링 부분이 파괴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각 전지 셀들이 일체로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을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으로 판단하고자 한 것으로서, 측정되는 저항값이 기준값보다 감소할 경우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제어를 위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시킴으로써, 발열로 인한 손실 및 셀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복수의 전지 셀들이 일체를 이루며 직렬로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이 발전 구동할 때,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ⅱ) 측정된 저항값(Rsc)이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조건일 때,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보다 큰 임의의 설정값인 기준값(A)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ⅲ)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으면 MPPT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ⅲ) 단계 이전,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을 때의 지속 시간이 기준시간(B)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고, 지속 시간이 기준시간(B)보다 크면 상기 ⅲ)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ⅲ) 단계 이후, MPPT 제어가 변경되거나 스위치 오프 제어가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 비율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외부에 고지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값(A)은 태양전지 모듈의 셀 수에 따라 달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항값(Rsc)를 측정하는 과정 중,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값이 정격 출력의 기준비율(C%) 이상으로 감소했는지 판단한 후, 기준비율(C%) 이상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ⅲ) 단계가 진행되고,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값이 본래대로 증가하면 MPPT 제어를 본래대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MPPT 제어를 변경하는 것은 전류를 낮추는 동시에 발열량을 줄일 수 있도록 최대출력점(Maximum power point)보다 고전압을 유지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각 전지 셀들이 일체로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을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둘째,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제어를 위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시킴으로써, 발열로 인한 손실 및 셀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태양전지 모듈을 총 10개의 스트립 즉, 총 10개의 셀이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일체로 직렬 연결된 구조로 제작한 후, 그림자 비율별 전류-전압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태양전지 모듈의 그림자 조건별 저항값 측정예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을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태양전지 모듈을 총 10개의 스트립 즉, 총 10개의 셀이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일체로 직렬 연결된 구조로 제작한 후, 그림자 비율별 전류-전압을 측정한 결과의 전류-전압 곡선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듯이, 태양전지 모듈 전체에 그림자가 지지 않은 경우(NO SHADE)와, 총 10개 중 1개의 셀에 그림자가 진 경우(1 STRIP SHADE)와, 총 10개 중 2개의 셀에 그림자가 진 경우(2 STRIP SHADE)에 비하여, 3개의 셀에 그림자가 진 경우(3 STRIP SHADE)가 발열량(손실량)이 최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발열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조건을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구동시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여,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Rsc = |dV/dI|)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발열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조건은 총 10개의 셀 중 3개의 셀에 그림자가 진 경우(3 STRIP SHADE)이고, 이때 측정된 저항값(Rsc)이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Rsc = |dV/dI|sc, 도 2의 그래프에서 기울기 역수)으로서 가장 작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발열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조건은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Rsc = |dV/dI|sc)이 가장 작을 때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이 최대가 되는 음영 조건에서 정상모듈 전류와 음영조건에서 단락전류가 동일하며, 이 조건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구동이 지속될 경우, 발열 과다에 의한 셀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이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을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으로 판단하고자 한 것으로서,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보다 큰 임의의 설정값) 이하로 측정될 경우,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제어를 위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시킴으로써, 발열로 인한 손실 및 셀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먼저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복수의 전지 셀들이 일체를 이루며 직렬로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이 발전 구동할 때, 저항값 변화를 측정한다(S101).
이어서,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보다 큰 임의의 설정값)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한다(S102).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으면 태양전지 발전을 위한 MPPT 제어를 변경하거나, 태양전지 발전을 오프시키는 스위치 오프(switch off) 제어가 이루어진다(S104).
참고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는 최대 전력점 제어로서, 태양전지 모듈이 최대전력을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MPPT 제어를 변경한다는 것은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에서 최대출력점(Maximum power point)보다 고전압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MPPT 제어 변경 또는 스위치 오프에 의거 전류를 낮추는 동시에 발열량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발열로 인한 손실 및 셀 손상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을 때의 시간이 지속되면, 발열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가 증가하지만, 반면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을 때의 시간이 일시적인 단시간으로 유지되는 경우, 지속 시간 이후에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다시 증가하여 발열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을 때의 지속 시간이 기준시간(B)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여(S103), 클 경우에 MPPT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 제어(S104)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MPPT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면, 태양전지 시스템의 외부 모니터링 시스템에 음영여부를 고지한다(S105).
즉,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비율에서 MPPT 제어가 변경되거나 스위치 오프 제어가 이루어진 것임을 고지한다.
한편, 상기 저항값(Rsc)를 측정하는 과정 중,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값이 정격 출력의 기준비율(C%) 이상으로 감소했는지 판단하고, 기준비율(C%) 이상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MPPT 제어를 일시 변경하는 등의 제어를 하고, 다시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값이 본래대로 증가하면 MPPT 제어를 본래대로 다시 실시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발전 구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태양전지 모듈을 총 10개의 스트립 즉, 총 10개의 셀이 바이패스 다이오드 없이 일체로 직렬 연결된 구조로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태양전지 모듈을 발전 구동시키고, 구동에 따른 출력전류 및 전압으로부터 저항값(Rsc = |dV/dI|sc)을 측정하였으며,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측정 결과의 예를 나타내는 전류-전압 곡선 그래프이다.
도 4에서 보듯이, 태양전지 모듈 전체에 그림자가 지지 않은 경우(NO SHADE)와, 총 10개 중 1개의 셀에 그림자가 진 경우(1 STRIP SHADE)에는 저항값(Rsc)이 약 800Ω으로 측정되었다.
반면, 도 5에서 보듯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총 10개 중 3개의 셀에 그림자가 진 경우(3 STRIP SHADE) 측정된 저항값(Rsc)은 약 83Ω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Rsc = |dV/dI|sc)으로서 다른 그림자 조건에 비하여 가장 작게 측정된 값으로 나타났고, 그 결과 발열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조건은 총 10개의 셀 중 3개의 셀에 그림자가 진 경우(3 STRIP SHADE)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발열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 조건에서 발열에 따른 셀 손상 등을 방지하고자, 위와 같이 측정되는 저항값(Rsc)과 비교되는 기준값(A)을 약 100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기준값(A)는 상기와 같이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조건일 때,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보다 큰 임의의 설정값이며, 태양전지 모듈의 셀 수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으면 태양전지 발전을 위한 MPPT 제어를 변경하거나, 태양전지 발전을 오프시키는 스위치 오프(switch off)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발열로 인한 손실 및 셀 손상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ⅰ) 복수의 전지 셀들이 일체를 이루며 직렬로 연결된 태양전지 모듈이 발전 구동할 때, 저항값 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ⅱ) 측정된 저항값(Rsc)이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음영) 조건일 때, 단락전류 조건에서의 저항값보다 큰 임의의 설정값인 기준값(A) 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ⅲ)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으면 MPPT 제어를 변경하거나, 스위치 오프 제어가 이루어지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 이전,
    측정된 저항값(Rsc)이 기준값(A) 보다 작을 때의 지속 시간이 기준시간(B)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고, 지속 시간이 기준시간(B)보다 크면 상기 ⅲ)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 이후,
    MPPT 제어가 변경되거나 스위치 오프 제어가 발열량이 최대가 되는 그림자 비율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외부에 고지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A)은 태양전지 모듈의 셀 수에 따라 달리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Rsc)를 측정하는 과정 중,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값이 정격 출력의 기준비율(C%) 이상으로 감소했는지 판단한 후, 기준비율(C%) 이상으로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ⅲ)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출력값이 본래대로 증가하면 MPPT 제어를 본래대로 다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PPT 제어를 변경하는 것은 전류를 낮추는 동시에 발열량을 줄일 수 있도록 최대출력점(Maximum power point)보다 고전압을 유지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KR1020160022953A 2016-02-26 2016-02-26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KR10188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53A KR101886488B1 (ko) 2016-02-26 2016-02-26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953A KR101886488B1 (ko) 2016-02-26 2016-02-26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740A true KR20170100740A (ko) 2017-09-05
KR101886488B1 KR101886488B1 (ko) 2018-08-07

Family

ID=5992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953A KR101886488B1 (ko) 2016-02-26 2016-02-26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044A (ko) 2019-09-25 2021-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의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장 진단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765A (ko) * 2007-09-03 2009-03-06 윤주평 Cds소자를 이용한 태양광 추적장치
KR20130027900A (ko) * 2011-09-08 2013-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KR101385692B1 (ko) * 2013-06-13 2014-04-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 추종장치 및 그 방법
KR101421713B1 (ko) * 2013-02-15 2014-07-2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센서를 이용한 태양위치 추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3765A (ko) * 2007-09-03 2009-03-06 윤주평 Cds소자를 이용한 태양광 추적장치
KR20130027900A (ko) * 2011-09-08 2013-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KR101421713B1 (ko) * 2013-02-15 2014-07-2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광센서를 이용한 태양위치 추적장치
KR101385692B1 (ko) * 2013-06-13 2014-04-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태양광 모듈의 최대전력점 추종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488B1 (ko) 201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9621B1 (en)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CN103730911B (zh) 光伏并网逆变器的并网控制方法及光伏并网发电系统
US9397610B2 (en) Photovoltaic modu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93609B2 (en) Camera controlled solar cells array
US9515517B2 (en) System for the electronic management of photovoltaic cells with adapted thresholds
KR20160042148A (ko) 태양 전지 설비를 위한 국부화된 파워 포인트 옵티마이저
KR20160093143A (ko) 태양광모듈의 전압변동을 가변 보상하는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전력보상장치
JP5377018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101838760B1 (ko) 기상의 함수로서 광기전 전지의 전자 관리를 위한 시스템
EP2779250A2 (en) Photovoltaic bypass and output switching
KR20120080107A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점을 추종하는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34256B1 (ko) 고효율 및 장수명을 위한 태양광 발전 접속반 시스템
JP201809366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劣化防止機能を備え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及び太陽光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劣化防止方法
US20120280567A1 (en) Photovoltaic device
CN103983855A (zh) 一种绝缘阻抗检测方法及电路
KR101886488B1 (ko) 태양전지 시스템의 발전 제어 방법
KR101671078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최대 전력점 추종 장치 및 방법
Lamb et al. Real-time anticipation and prevention of hot spots by monitoring the dynamic conductance of photovoltaic panels
JP2000181555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777230B1 (ko) 태양광 발전을 위한 인버터 시스템
JP2017059094A (ja) 太陽電池の昇圧機能付き発電動作点制御回路装置
KR20120008626A (ko) 태양 전지 시스템
KR101378708B1 (ko) Led 가로등의 태양광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86528B1 (ko) 다단 스위치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10033191B2 (en) System of power gene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