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375A -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375A
KR20170100375A KR1020160022861A KR20160022861A KR20170100375A KR 20170100375 A KR20170100375 A KR 20170100375A KR 1020160022861 A KR1020160022861 A KR 1020160022861A KR 20160022861 A KR20160022861 A KR 20160022861A KR 20170100375 A KR20170100375 A KR 2017010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envelope
paper
conducto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구
Original Assignee
이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구 filed Critical 이승구
Priority to KR102016002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375A/ko
Publication of KR2017010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18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flexible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Abstract

본 발명은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SAMPLE BAG, SAMPLE BAG ASSEMBLY AND SAMPLE GATHERING SYSTEM}
본 발명은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축 전염병이 발생되거나 특정 육류를 섭취한 인원들에게 집단 식중독이 발생되는 등의 경우에, 해당 육류의 유통경로를 역추적하여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고 관련 제품들의 재검사나 회수 및 폐기 등의 조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책임 소재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유통경로에는 농가, 도축장, 가공장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 등의 개별 도체 샘플을 채취 및 보관함으로써 문제가 발생된 특정 도체에 대한 유통경로 역추적에 활용할 수 있다.
국내의 경우,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각 도축장에 등급판정사가 도축단계의 모든 소 도체에 대한 내부 육질을 일부 절개하여 시료봉투에 담아 보관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시료 채취 과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효율이 낮고, 채취된 시료의 보관을 위해서 상당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육류 이력제가 돼지고기나 닭고기 등으로 확대될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는 기존의 시료 채취 대상에 비해서 10배 이상 많은 도체를 기존의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정도로 효율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도구로 도체 표면에서 시료를 채취한다. 이때, 표본 절개 시 완벽히 세척된 도체 표면에서 시료가 채취되어야 한다.
한 도체의 시료 채취에 사용된 도구는 완벽한 세척 및 소독 과정을 거치기 전 까지는 다른 도체에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작업자는 완벽히 소독된 도구를 본인의 의복 등에 다수개, 예컨대 100개 등을 소지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 증가, 작업시간 지연, 채취도구 수량을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비용부담 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채취된 시료는 정해진 봉투에 담겨지며, 시료봉투는 채취 순서가 뒤바뀌지 않도록 끈으로 묶어 이동된다. 다음으로, 시료봉투 묶음을 건조기에 넣고 일정시간 건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채취된 표본을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라벨프린터를 통해 바코드, 도축일자, 도체번호, 도축장명, 도체정보등을 표기한 라벨지를 해당 시료봉투에 붙인다. 다음으로, 파일집 등에 소정의 수량으로 순서대로 정리하여 바인딩하고, 이를 보관장소에 보관한다. 추후 문제가 발생되거나 별도의 필요가 있을 경우 특정 시료의 DNA 분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DNA 분석과정은 시료추출, 시약처리, 원심분리, DNA 검출 등의 단계를 거쳐 수행될 수 있으며, 검출된 정보는 서버 등에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시료 보관의 공간활용 효율에 한계가 있는데, 시료 채취 및 보관 대상이 확대되고, 시료의 최소 보관 시한(방역기준 관리기간 등)이 길어진다면 새롭게 도축되는 도체들에서 채취된 시료들이 계속 누적될 것이므로, 채취된 시료의 보관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850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17194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육류의 시료 채취,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향상될 수 있는 시료용 봉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육류의 시료 채취,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향상될 수 있는 시료용 봉투 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육류의 시료 채취,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향상될 수 있는 시료 채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는 시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지는 내부와 외부 사이에 생물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시료지는 밴딩되거나 접힐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료지의 일면은 채취된 시료가 위치되는 수용영역을 포함한다.
시료지의 일면에는 접착영역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접착영역은 수용영역은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영역에는 점착제 등의 접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이 맞닿도록 시료지를 접으면, 채취된 시료가 제1 수용영역과 제2 수용영역 사이의 공간인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은 접착영역에 의하여 둘러싸여짐으로써 수용공간 내부의 시료가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시료지의 타면에는 제1 식별번호가 구비될 수 있다. 시료지의 타면에는 바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식별번호 및 바코드 중 어느 하나는 시료지에 직접 표기되거나, 스티커 접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표기되는 방식은 인쇄, 수기, 날인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는 채취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채취용구는 칼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채취용구는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은 제1 수용영역과 제2 수용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은 시료지와 접촉된 제1 상태 및 시료지로부터 분리된 제2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2 부분은 제1 접착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제2 부분은 작업자의 손 또는 특정 도구로 파지될 수 있고, 이 부분을 파지하고 채취용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채취용구 중 수용영역에 위치되는 부분이 시료지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제2 부분과 시료지가 함께 파지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를 이용하여 소 또는 돼지 등의 도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할 경우, 채취용구의 제1 부분과 시료지 중 수용영역 사이의 각도는 10 내지 180도를 이룰 수 있다.
채취용구는 평면과 배면을 포함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평면 및 배면을 제외한 측면 부분에는 요철이 구비될 수 있다. 요철은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1 부분 단부는 첨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의 단부가 육질에 쉽게 진입될 수 있다. 또한, 채취용구를 도체에 삽입한 뒤 빼내면 채취용구의 측면 부분에 구비된 요철 부분에 시료가 묻어서 도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채취용구는 기둥 주변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나사산이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제1 부분 단부는 첨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의 단부가 육질에 쉽게 진입될 수 있다. 또한, 채취용구를 도체에 삽입한 뒤 빼내면 채취용구의 측면 부분에 구비된 나사산 부분에 시료가 묻어서 도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 집합체
시료용 봉투 집합체는 제1 시료용 봉투 및 제2 시료용 봉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시료용 봉투 및 제2 시료용 봉투 사이에는 중간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중간영역은 시료지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시료용 봉투 및 제2 시료용 봉투 각각은 접착영역과 수용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시료지를 포함하며, 제1 시료용 봉투 부분과 제2 시료용 봉투 부분 사이의 영역이 중간영역일 수 있다.
시료용 봉투 집합체는 롤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제1 시료용 봉투를 당겨서 시료용 봉투 집합체를 풀어내면 제2 시료용 봉투, 제3 시료용 봉투 순으로 연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 집합체에는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시료 채취 시스템
도체가 시료 채취부 방향으로 진입하여 시료 채취부를 지나면서 시료가 채취될 수 있다.
이때, 도체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시료 채취부는 제1 구동부, 실린더, 제1 홀더,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시료지가 위치되며,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채취용구의 제2 부분이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이 가이드레일 방향을 향해 세워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홀더가 제2 홀더 방향으로 더 당겨지면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이 가이드레일 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체가 시료 채취부 부근에 위치되면 제1 구동부는 실린더를 밀어냄으로써 채취용구가 도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실린더가 다시 제1 구동부로 삽입됨으로써 채취용구가 도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요철 부분에 시료가 묻어나올 수 있다.
가이드레일 방향을 향해 세워졌던 채취용구가 시료지를 향해 다시 눕혀질 수 있다. 그리고, 시료지에 의하여 채취용구가 덮혀진다. 일실시예에서, 전술한 접착부재에 의하여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이 접착되어 수용공간이 밀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시료지로 채취용구를 덮는 과정이 밴딩암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밴딩암이 시료지로 접근하여 시료지의 일측을 밀어내어 시료지가 채취용구를 덮도록 한 뒤 밴딩암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시료지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덮힌 후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도체의 시료를 채취할 준비가 된다. 즉, 시료 채취가 완료된 시료지가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의 영역에서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사이의 영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새로운 시료용 봉투가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영역을 시료지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의 밀봉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 사이가 고르고 강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더욱 차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도체를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지지해주는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는 제2 구동부 및 지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체의 이동, 제1 구동부, 제2 홀더, 제1 및 제2 롤러, 밴딩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코드를 생성하여 시료지에 부착시키는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가 시료지에 미리 부착되거나 표기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코드를 인식하여 도체의 이력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용 봉투는, 육류의 시료 채취,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용 봉투 집합체는, 육류의 시료 채취,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은, 육류의 시료 채취, 보관 및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용 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m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종래의 시료 채취, 보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DNA 검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료용 봉투 및 시료 채취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용 봉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료지의 일면에 채취용구와 접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식별번호 등은 시료지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제1 식별번호가 시료지의 일면에 도시되고, 도 2에 따르면 채취용구가 시료지의 타면에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용 봉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된 것으로써, 실제와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시료용 봉투는 시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시료지는 내부와 외부 사이에 생물체의 이동이 차단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시료지는 밴딩되거나 접힐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료지의 일면은 채취된 시료가 위치되는 수용영역을 포함한다.
시료지의 일면에는 접착영역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접착영역은 수용영역은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영역에는 점착제 등의 접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이 맞닿도록 시료지를 접으면, 채취된 시료가 제1 수용영역과 제2 수용영역 사이의 공간인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은 접착영역에 의하여 둘러싸여짐으로써 수용공간 내부의 시료가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시료지의 타면에는 제1 식별번호가 구비될 수 있다. 시료지의 타면에는 바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식별번호 및 바코드 중 어느 하나는 시료지에 직접 표기되거나, 스티커 접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직접 표기되는 방식은 인쇄, 수기, 날인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는 채취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채취용구는 칼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채취용구는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은 제1 수용영역과 제2 수용영역중 어느 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은 시료지와 접촉된 제1 상태 및 시료지로부터 분리된 제2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2 부분은 제1 접착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제2 부분은 작업자의 손 또는 특정 도구로 파지될 수 있고, 이 부분을 파지하고 채취용구를 이동시킴으로써 채취용구 중 수용영역에 위치되는 부분이 시료지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제2 부분과 시료지가 함께 파지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를 이용하여 소 또는 돼지 등의 도체로부터 시료를 채취할 경우, 채취용구의 제1 부분과 시료지 중 수용영역 사이의 각도는 10 내지 180도를 이룰 수 있다.
채취용구는 평면과 배면을 포함하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평면 및 배면을 제외한 측면 부분에는 요철이 구비될 수 있다. 요철은 쐐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채취용구의 제1 부분 단부는 첨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의 단부가 육질에 쉽게 진입될 수 있다. 또한, 채취용구를 도체에 삽입한 뒤 빼내면 채취용구의 측면 부분에 구비된 요철 부분에 시료가 묻어서 도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채취용구는 기둥 주변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인 나사산이 구비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제1 부분 단부는 첨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의 단부가 육질에 쉽게 진입될 수 있다. 또한, 채취용구를 도체에 삽입한 뒤 빼내면 채취용구의 측면 부분에 구비된 나사산 부분에 시료가 묻어서 도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 집합체
시료용 봉투 집합체는 제1 시료용 봉투 및 제2 시료용 봉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시료용 봉투 및 제2 시료용 봉투 사이에는 중간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중간영역은 시료지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시료용 봉투 및 제2 시료용 봉투 각각은 접착영역과 수용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시료지를 포함하며, 제1 시료용 봉투 부분과 제2 시료용 봉투 부분 사이의 영역이 중간영역일 수 있다.
시료용 봉투 집합체는 롤 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제1 시료용 봉투를 당겨서 시료용 봉투 집합체를 풀어내면 제2 시료용 봉투, 제3 시료용 봉투 순으로 연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시료용 봉투 집합체에는 식별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자동 연속시료지(Package 봉투)
연속시료지(일명 '약봉투') 구조(롤식)
롤식, 시료칼일체형, 시료칼 감싸는 접착방식, 개별절단선, 인쇄(개별번호인쇄, 롤번호)
시료칼(끌) or 나사방식
칼의 재질은 스테인레스 SUS304로 프레스로 제작된 칼은 세정과정을 거쳐 유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료 채취 후 일부가 부러져 도체에 잔류되거나, 전체가 도체에 잔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에서, 시료칼 또는 끌은 옆면에 화살촉과 같은 여러 꺽임 구조로 도체의 고기 부분을 순간 파내거나 표면을 긁어서 도체 일부를 채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나사방식의 칼날은 일반적인 나사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채취하고자 하는 시료가 나사선에 묻어나옴에 따라 시료가 채취될 수 있다.
시료칼 내장형 봉투 및 분리형
시료칼 내장형 : 시료지의 접착선이 구분되고 그일부 시료칼이 고정되어 롤로 감겨있는 형태.
분리형 : 시료지와 시료칼이 분리된 형태로 자동화작업 이후에 포개지는 방식.
시료용 봉투 일련번호 및 바코드
시료용 봉투는 첫장부터 1~999 세자리수의 시리얼 개별번호 및 바코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바코드는 시료용 봉투 집합체(시료롤)의 식별번호 및 시료용 봉투의 개별번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시료용 봉투의 제작출고시에 개별번호 및/또는 바코드가 인쇄될 수 있다. (시료봉투번호+개별번호)
일실시예에서, 시료롤은 총7자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앞의 2자리는 년도, 뒤의 5자리는 생산별 일련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시료롤에는 식별번호와 바코드가 인쇄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시작시 시료롤 번호, 작업 시작시 처음으로 채취되는 시료가 담겨질 시료용 봉투의 개별번호를 시스템에 입력함으로써, 도체의 고유번호나 이력번호와 전산적으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서, 자동채취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라벨스티커를 붙이거나 개별포장이 불필요해지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채취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일정 단위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오전/오후, 1일 등의 단위로 작업일시를 표기할 수 있으며, 그밖에도, 시료 채취 작업이 수행된 작업장소나 작업자, 책임자 등이 추가로 표기될 수도 있다.
수동전환 방안
작업자가 직접 시료용 봉투를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작업자가 시료용 봉투를 잡고 시료 채취용 칼날을 세워 도체에 삽입한 뒤 칼날을 빼내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시료를 채취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시료가 묻어있는 시료 채취용 칼날을 눕혀 시료지로 덮어 시료와 시료 채취용 칼날이 시료지로 둘러싸여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수동식으로 시료 채취 작업이 수행될 경우, 작업자가 소지한 개인용 단말기(판정용 PDA, 바코드 리더기 등)를 이용하여 시료용 봉투의 개별정보를 전자적으로 입력하거나 시료용 봉투에 식별번호 또는 바코드 등을 표기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이동, 보관, 적재
1회 작업당 연결된 시료용 봉투를 묶음단위(시료롤)로 보관하고 건조, 묶음표기, 이동 할 수 있다. 본사 적재보관은 롤식이나 지그재그적층식 적재 후 묶음 단위로 보관 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m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료 채취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체가 시료 채취부 방향으로 진입하여 시료 채취부를 지나면서 시료가 채취될 수 있다.
이때, 도체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시료 채취부는 제1 구동부, 실린더, 제1 홀더,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시료지가 위치되며, 도 8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채취용구의 제2 부분이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8c 및 도 8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이 가이드레일 방향을 향해 세워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홀더가 제2 홀더 방향으로 더 당겨지면 채취용구의 제1 부분이 가이드레일 방향을 향해 세워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e를 참조하면, 도체가 시료 채취부 부근에 위치되면 제1 구동부는 실린더를 밀어냄으로써 채취용구가 도체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실린더가 다시 제1 구동부로 삽입됨으로써 채취용구가 도체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때, 채취용구의 요철 부분에 시료가 묻어나올 수 있다.
도 8g 내지 도 8l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 방향을 향해 세워졌던 채취용구가 시료지를 향해 다시 눕혀질 수 있다. 그리고, 시료지에 의하여 채취용구가 덮혀진다. 일실시예에서, 전술한 접착부재에 의하여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이 접착되어 수용공간이 밀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시료지로 채취용구를 덮는 과정이 밴딩암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밴딩암이 시료지로 접근하여 시료지의 일측을 밀어내어 시료지가 채취용구를 덮도록 한 뒤 밴딩암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8l 및 도 8m을 참조하면, 시료지에 의하여 수용공간이 덮힌 후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하여 이동한다. 이에 따라, 다음 도체의 시료를 채취할 준비가 된다. 즉, 시료 채취가 완료된 시료지가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의 영역에서 제1 롤러 및 제2 롤러 사이의 영역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새로운 시료용 봉투가 제1 홀더와 제2 홀더 사이의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의 영역을 시료지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용공간의 밀봉도가 향상될 수 있다. 즉, 제1 접착영역과 제2 접착영역 사이가 고르고 강하게 접촉되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더욱 차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도체를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지지해주는 지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는 제2 구동부 및 지지암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과정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도체의 이동, 제1 구동부, 제2 홀더, 제1 및 제2 롤러, 밴딩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코드를 생성하여 시료지에 부착시키는 모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바코드가 시료지에 미리 부착되거나 표기된 상태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코드를 인식하여 도체의 이력정보와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롤카트리지 > 시료기헤드부 > 실린더 > PLC > 시료봉투 적재함
표본헤드부 동작순서 : 롤시료지 Feeding > 시료칼잡기 > 시료칼세우기 > 헤드부 표본적출 > 시료칼복귀 > 시료봉투접기 > 접착 > 적재함
기존 도축현장 자동레일 활용 가능
자동화 시료기는 기본적으로 도축장 도체 이송레일이 자동레일 구간에 설치가 가능하다.
이분체 도체 중앙에 프레임을 설치
이분체된 도체를 중앙을 분리하여 내부의 엉덩이살 부위를 채취하기 때문에 자동화 시료기는 이분체된 도체 가운데 위치하며,
도체가 자동레일을 통해 이송되는 중간에 센서인식 후 채취할 수 있다.
자동 도체감지 검출 시스템
도체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센서가 작동과 동시에 시료기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채취가 작동완료된 신호를 컴퓨터에 전송할 수 있다.
롤카트리지 - 시료기커버를 열고 롤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 할수 있도록 한다.
시료기헤드부 - 시료기헤드부의 구성은 롤카트리지함, 시료지Feeding, 시료칼잡이, 시료기커버, 시료봉투접개, 토출roller로 될 수 있다.
채취실린더 - 시료기헤드부를 도체에 순간적으로 찌르고 오게하는 왕복 공압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다.
시료봉투 적재 - 적재함은 완성된 시료봉투가 줄줄이 쌓이도록 할 수 있다.
PLC 자동제어
PLC(Programable Logic Control)은 프로그램을 통해 복잡한 자동제어 시설구조의 각종센서신호제어, 실린더 및 모터 속도제어, 타장비(PC, 프린터)와의 정보통신등을 하는 시설의 두되부분이다.
PC 프로그램 저장
자동 시료봉투 적재
이력번호 인쇄기(옵션) - 시료봉투의 일련번호와 PC의 도체정보,이력번호가 자동으로 매핑되므로 별도의 봉투에 시료정보를 표기하지 않아도 되지만, 사무실 전용 (연속)시료봉투 프린터를 통해 시료봉투에 시료정보를 인쇄를 할 수 있다.
시스템의 장점
* 자동시스템
* 실시간 data 서버 등록
* 자동화 & 프로그램 기법
도축단계 현장에서부터 전산화되어 있으므로 바로 시료채취 자동화를 통해 고유번호를 서버등록 하면 된다.
따라서 채취 및 이송 보관과정에 어떠한 data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 개별포장 방식은 필히 각 객체의 정보를 라벨링해야 하므로 많은 장비와 시간, 소모품, 인력이 소모 된다.
* 시료 보관
기존방식은 별도의 보관함 및 장부를 통해 보관해야 하지만, 자동화시설에 롤방식의 시료봉투 투입에서 자동 표본검출 된 연속봉투를 어떠한 다른 공정(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건조하여 이력본부에 배송만 하면 됨.
* 자동이 불가능한 상황 시
시료칼이 내장된 시료봉투 자체 만으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시료채취가 용이하다.
시료봉투의 일련번호의 시작번호에서 끝번호를 서버에 입력 하면 자동 이력번호 매핑됨.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시료용 봉투 집합체
100-1 : 제1 시료용 봉투
100-2 : 제2 시료용 봉투
110 : 시료지
111 : 수용영역
111-1 : 제1 수용영역
111-2 : 제2 수용영역
112 : 접착영역
112-1 : 제1 접착영역
112-2 : 제2 접착영역
113 : 중간영역
120 : 채취용구
121 : 제1 부분
122 : 제2 부분
123 : 요철
130 : 접착부재
150 : 제1 식별번호
160 : 제1 바코드
170 : 제2 바코드
180 : 제2 식별번호

Claims (2)

  1. 칼날 또는 나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채취용구; 및
    일면에 상기 채취용구가 구비되는 시료지;를 포함하는 시료용 봉투.
  2. 청구항 1에 따른 시료용 봉투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시료용 봉투 사이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구비되는 시료용 봉투 집합체.
KR1020160022861A 2016-02-25 2016-02-25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 KR20170100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861A KR20170100375A (ko) 2016-02-25 2016-02-25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861A KR20170100375A (ko) 2016-02-25 2016-02-25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375A true KR20170100375A (ko) 2017-09-04

Family

ID=5992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861A KR20170100375A (ko) 2016-02-25 2016-02-25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3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52275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thdrawing biological samples
AU2008284129B2 (en) System for sampling and tracking plant material
US6724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carcasses
CN106028802A (zh) 具有标记的活检收集器
US20080064983A1 (en) Livestock tissue identification method and device
JP2009526232A (ja) 改良されたラベル処理装置及びそれに関連する方法
US8091390B2 (en) Hide folding system and method
AU2001260601A1 (en) An integrated meat processing and information handling method
EP1289374A1 (en) An integrated meat processing and information handling method
KR20170100375A (ko) 시료용 봉투, 시료용 봉투 집합체 및 시료 채취 시스템
CN106482974B (zh) 活检钳标本自动取样器及其取样方法
WO2006007505A3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llecting and securing chain of custody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men and generated via specimen collection
US201602642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instruments
EP1940238A1 (d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bearbeitungsschritten an schlachttieren
EP26041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sampling
JP2004144527A (ja) 組織検体採取器具、組織保存容器一体型識別票及び固有識別票装着方法
KR20230143769A (ko) 시료 채취 시스템
WO2008034847A1 (en) Sampling device, system and method
AU20022432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carcasses
CN114955528A (zh) 一种采样拭子智能传送和收集方法
AU2022312691A1 (en) An automated system for collecting tissue samples, and correspon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90082653A1 (en) Tissue sampling cartridge
AU20022432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carca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