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0144A -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0144A
KR20170100144A KR1020160022317A KR20160022317A KR20170100144A KR 20170100144 A KR20170100144 A KR 20170100144A KR 1020160022317 A KR1020160022317 A KR 1020160022317A KR 20160022317 A KR20160022317 A KR 20160022317A KR 20170100144 A KR20170100144 A KR 2017010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height
leg
driving mot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수
Original Assignee
(주) 큰산인디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큰산인디컴 filed Critical (주) 큰산인디컴
Priority to KR102016002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0144A/ko
Publication of KR2017010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2Adjustabl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높이 또는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 바, 상기 나사선 바에 체결되며,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 바의 회전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바 타입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이동부재에 체결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타 바입으로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타측에 체결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Desk with a height and angle adjustment structure}
본 발명은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와 동시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책상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학교 및 각종 사무실에 비치하여 의자와 함께 사용된다.
통상 책상과 관련한 의자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책상의 상면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높이로 만들어 사용하는 성인들과는 달리 어린 아이들을 포함한 초,중등 학생들은 신체 발육상태에 따른 신체조건에 맞는 책상과 의자를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일률적으로 책상의 낮은 높이에서 점차 미세하게 높아지는 형태로 미리 세팅 고정한 책상을 이용하거나, 균일한 높이로 제작된 책상을 사용하고 있는 이유에서 사용자의 자세는 허리를 필요이상으로 굽히거나 엉덩이를 의자로부터 비스듬하게 앉는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책상의 높이가 맞지 않는 이유에서 신체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며, 심지어는 신체교정술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증상도 발생하고 있다.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는 만큼 책상의 높낮이조절과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은 그만큼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하여 육제적인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절실하다.
예를 들어, 책상의 상판의 높이는 그대로 인데 상체가 성장할 경우, 책상의 상판 높이에 맞추기 위해 상체를 굽히거나 옆으로 트는 등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자세가 지속될 경우 척추에 무리를 줄 수 있고, 허리 디스크가 발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책상의 상판을 사용자가 일정한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책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하면서 사용하는 책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태이다.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간단한 구조는 책상의 다리부분을 신축조절 가능하도록 다리부분을 수용하는 받침대로부터 고정공이 마련되고, 상기 다리측에는 높낮이조절공이 형성되며, 고정공으로부터 고정볼트와 너트로서 해당하는 높낮이 조절공을 일치시켜 조립하는 구조가 대표적이다.
또한, 책상의 상판은 일측에 호형의 경사조절을 위한 조정 플레이트를 두고, 상기 조정 플레이트는 별도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여 상판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도록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상은 고정 볼트를 풀거나 조여 책상의 높이와 상판의 각도를 조정하야야 하기 때문에 특히 해당하는 사용자 외에는 또 다시 재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높낮이조절 및 경사조절을 할 수 있는 책상이 구비되었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조절에 불편함이 있어 그대로 책상에 몸을 맞추어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에 무리를 주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6080호(발명의 명칭: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1797호(발명의 명칭: 높이조절책상)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경사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높이 조절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높이 또는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 바, 상기 나사선 바에 체결되며,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 바의 회전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바 타입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이동부재에 체결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타 바입으로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타측에 체결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판의 저면에 형성된 나사선 바를 회전시킴으로써 책상 상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X'자 형태로 형성된 책상 다리부재를 이용하여 책상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에 비해 안정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은 높이 조절부재의 제2 부재상에 길이 조절부재를 형성하고, 형성된 길이 조절부재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판 저면을 이동하는 이동부재에 의해 나사선 바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부재의 측면에 상판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바퀴를 형성함으로써 나사선 바가 휘어지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책상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은 다리부재, 높이 조절부재, 구동 모터, 연결부재, 나사선 바, 이동부재, 바퀴, 레일, 제1 센서, 제2 센서, 상판 및 다리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포함될 수 있다.
상판(102)은 책상(100)의 상부를 형성하며, 평평한 일정 영역을 형성한다. 상판(102)은 목재,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판의 상단에서 업무를 수행한다.
상판(102)의 저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두 개의 나사선 바(108)가 형성된다. 2개의 나사선 바(108)의 중앙에는 구동 모터(104)가 위치한다.
구동 모터(104)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나사선 바(108)를 회전시킨다. 본 발명은 나사선 바(108)가 구동 모터(104)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연결부재(106)를 경유하여 연결된다.
연결부재(106)는 구동 모터(104)와 나사선 바(108)를 사이에 인입되며, 나사선 바(108)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04)에 연결된 연결부재(106)의 회전에 의해 나사선 바(108) 역시 회전한다.
나사선 바(108)에는 이동부재(110)가 결합된다. 이동부재(110)의 내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나사선 바(108)의 회전에 의해 나사선 바(108)에 결합된 이동부재(110)는 나사선 바(108)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타측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부재(110)의 외측에는 이동부재(1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바퀴(112)가 형성된다. 즉, 이동부재(110)의 외측에는 이동부재(11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두 개의 바퀴(112)가 형성된다. 바퀴(112)는 상판(10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이동부재(110)의 외측에 바퀴(112)를 형성하는 이유는 나사선 바(108)는 상판(10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부재(11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판(10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판(10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나사선 바(108)에 하중이 가해지면 나사선 바(108)는 휘어지게 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이동부재(110)에 하중에 가해지는 경우, 이동부재(110)에 가해지는 하중은 나사선 바(108)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나사선 바(108)는 이동부재(110)가 상판(102)에 밀착될 때까지 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부재(110)의 외측에 두 개의 바퀴(112)를 형성하며, 형성된 바퀴가 상판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나사선 바(110)가 휘어지는 것을 차단한다. 이동부재(110)의 외측에 형성된 바퀴(112)는 이동부재(1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높이 조절부재는 일정 길이 연장된 제1 부재(118a)와 제1 부재(118a)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 부재(118b)로 구성된다. 제1 부재(118a)의 일측 종단은 다리부재(122)에 연결되며, 타측 종단은 이동부재(110)에 연결된다. 이동부재(110)에 연결된 제1 부재(118a)의 타측 종단은 이동부재(110)의 이동에 의해 이동한다. 제2 부재(118b)의 일측 종단은 제1 부재(118a) 상의 한 지점에 고정 연결되며, 제2 부재(118b)의 타측 종단은 레일(120) 상에 연결된다. 제2 부재(118b)의 타측 종단은 레일(120) 상에서 이동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이동부재(110)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부재(118a)의 타측 종단이 이동하면, 제1 부재(118a)에 고정 연결된 제2 부재(118b)의 타측 종단 역시 동일하게 이동한다.
상판(102)의 저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선 바(108)가 상판(102)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판(102)의 저면에는 나사선 바(108)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며, 상판(102)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레일(120)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부재(118b)의 타측 종단은 레일(120)에 연결되며, 제2 부재(118b)의 타측 종단은 레일(120) 상에서 이동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2 부재(118b)는 레일(120)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 사이를 이동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레일(120)의 제1 지점에는 제1 센서(114)가 위치하며, 레일(120)의 제2 지점에는 제2 센서(116)가 위치한다. 제2 부재(118b)의 타측 종단이 레일의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에 밀착되면, 센서(114, 116)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104)의 구동을 중단한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구동 모터(104)의 구동에 의해 높이 조절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118a)의 타측 종단은 나사선 바(108)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구동 모터(104)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한 계속 구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 부재(118a)와 동일하게 이동하는 제2 부재(118b)의 이동을 이용하여 구동 모터(104)의 구동 중단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2 부재(118b)의 타측 종단이 레일 상의 제1 지점 또는 제2 지점에 밀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104)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센서(114)와 제2 센서(116)가 레일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센서와 제2 센서는 제2 부재의 타측 종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리부재(122)는 하부에 위치하며,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리부재(122)의 타측은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118a)의 일측 종단과 연결된다. 다리부재(122)의 타측과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118a)는 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118a)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물론 이동부재(110)와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118a)의 타측 종단 역시 힌지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118a)의 타측 종단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다리 연결부재(124)는 두 개의 다리부재(122)를 상호 결합하며, 이를 위해 두 개의 다리부재(122) 사이에 고정 체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센서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책상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책상의 높이가 조절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지점에 위치하는 책상의 상판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지점에서 책상의 상판을 사용하는 중 상판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도 3과 같이 상판의 높이를 조절한다.
도 3에 의하면,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나사선 바가 회전하며, 나사선 바의 회전에 의해 나사선 바의 양측 종단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부재가 나사선 바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동부재가 나사선 바의 내측 종단으로 이동하면, 이동부재와 연결된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의 타측 종단 역시 나사선 바의 내측 종단으로 이동한다. 물론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의 이동에 의해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에 고정 연결된 제2 부재 역시 내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2 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레일의 제1 지점에 밀착되면, 제1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 모터의 구동 중단을 요청한다.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가 내측으로 이동하면, 책상의 구성하는 상판의 높이가 기존 대비하여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재는 제1 부재와 제1 부재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제2 부재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판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2 부재((118b) 상에 길이 조절 부재(118c)를 내장한다. 길이 조절 부재(118c)는 제2 부재(118b) 상에 내장되며, 일정 길이 연장된다. 길이 조절 부재(118c)의 연장에 의해 제2 부재(118b)의 전체 길이 역시 연장되며, 제2 부재(118b)의 길이가 연장되면, 제2 부재(118b)에 고정된 상판의 각도가 조절된다. 즉, 길이 조절 부재(118c)가 연장되면, 상판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며, 연장된 길이 조절 부재가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판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이동한다. 물론 상판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 상태까지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도 4는 상판 전체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상판 중 일부만 각도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판은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다리부재는 체결부재를 의해 고정 체결된다. 다리 연결부재는 다리부재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상이한 길이를 갖는 다리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다리부재를 연결함으로서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와 나사선 바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역시 다리 연결부재와 동일하게 상이한 길이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와 나사선 바를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물론 나사선 바와 연결부재의 체결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두 개의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두 개의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두 개의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는 경우, 책상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닥면의 따라 두 개의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책상 102: 상판
104: 구동 모터 106: 연결부재
108: 나사선 바 110: 이동부재
112: 바퀴 114: 제1 센서
116: 제2 센서 118a: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
118b: 높이 조절부재의 제2 부재
120: 레일 122: 다리부재
124: 다리 연결부재

Claims (7)

  1. 상판;
    상기 상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 바;
    상기 나사선 바에 체결되며, 내측에 나사선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선 바의 회전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바 타입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 이동부재에 체결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 상의 한 지점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타 바입으로 형성된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타측에 체결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타측의 이동을 유도하며, 상기 상판의 저면에 형성된 레일;
    상기 레일의 일측 종단에 형성된 제1 센서, 상기 레일의 타측 종단에 형성된 제2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또는 제2 센서에서 상기 레일 상을 이동하는 상기 제2 부재의 타측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을 중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상판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바퀴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와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제1 부재는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부재로 형성되며,
    두 개의 다리부재는 다리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나사선 바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재의 제2 부재는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두 개의 부재 사이에 길이 연장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길이 연장부재에 의해 상기 제2 부재의 길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0160022317A 2016-02-25 2016-02-25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170100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17A KR20170100144A (ko) 2016-02-25 2016-02-25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17A KR20170100144A (ko) 2016-02-25 2016-02-25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44A true KR20170100144A (ko) 2017-09-04

Family

ID=59924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17A KR20170100144A (ko) 2016-02-25 2016-02-25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01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2172A (zh) * 2018-11-28 2019-04-12 杨雨棋 一种多功能课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2172A (zh) * 2018-11-28 2019-04-12 杨雨棋 一种多功能课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8916B1 (en) Display device and stand therefor
US20030111890A1 (en) Chair
US11395544B1 (en) Keyboard tray that adjust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US11766132B2 (en) Adjustable bed with tilting mechanisms
US20080106133A1 (en) Seating unit for supporting a body or part of a body
US20120126085A1 (en) Versatile Lift For Chair, Recliner Or Objects
AU2015213376A1 (en) Height-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a worktop, and height-adjustable table comprising said support structure
CN101496679B (zh) 一种可调节高度的书桌
CN105579010A (zh) 可调节的家具
US5483903A (en) Table
US20120159712A1 (en) Bed structure
KR20170100144A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796251B1 (ko) 압박 벨트의 경사 조절이 가능한 호흡 기능 보조용 복부 압박 장치
US6102808A (en) Height-adjustable billiard table
US7127757B2 (en) Adjustable traction table
US7607397B2 (en) Device for a wiggle-free table
US20050150438A1 (en) Motorized adjustable workstation
GB2323274A (en) Chair or bed raiser
US11344132B2 (en) Adjustable bed with load distribution bracket
KR101768879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CN208651985U (zh) 一种应用于家电安装的支撑座
CN208216544U (zh) 一种农机座椅底座高低、软硬调节机构
KR200334197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장치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RU22500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и лечения позвоночни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