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358A -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 Google Patents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358A
KR20170099358A KR1020170002740A KR20170002740A KR20170099358A KR 20170099358 A KR20170099358 A KR 20170099358A KR 1020170002740 A KR1020170002740 A KR 1020170002740A KR 20170002740 A KR20170002740 A KR 20170002740A KR 20170099358 A KR20170099358 A KR 20170099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ffee
outlet
flow rat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영
Original Assignee
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영 filed Critical 박준영
Priority to KR1020170002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358A/en
Publication of KR20170099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3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75Hot water outlets for drip coffee makers
    • A47J31/4478Spreader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ffee extracting device including a water diffus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vice includes: a bracket; a water tank supported by the bracket, storing water, and supplying the stored water to the bottom through an outlet; a water diffusing part placed under the outlet at a distance from the outlet, and diffusing the water supplied to the bottom through the outlet; a coffee extracting part supported by the bracket, storing solid coffee, and extracting liquid coffee by using the water diffused by the water diffusing part; and a coffee storage part storing the liquid coffee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ng part. The water diffusing part includes a diffusing plate placed opposite the outlet,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is diffused after colliding with th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ffusing plate is able to have a plate shap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collides with the diffusing plate, and then, is scattered through the edge of the diffusing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diffusing plate is able to have a plate shape having a hollow hol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collides with the diffusing plate, and then, is scattered through the edge of the plate and discharged to the bottom through the hollow hole.

Description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a water diffuser,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확산하여 커피추출부에 제공할 수 있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a water diffuser capable of diffusing water stored in a water tank and providing it to a coffee extracting unit.

커피는 커피나무의 열매를 수확하여 이를 가공공정을 통하여 볶은 후 얻어지는 커피원두를 물과 혼합하거나 물을 이용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한 후 음용하는 기호 음료이다.Coffee is a beverage that harvests the fruit of a coffee tree, roasts it through the processing process, and then mixes the obtained coffee bean with water, or extracts the liquid coffee with water and drinks it.

물을 이용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커피가 담긴 여과지에 상온의 물을 부어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드립커피 추출법, 포트에 커피를 충전한 후 고압상태에서 고온의 물을 통과시켜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법 등이 대표적이다.As a method of extracting liquid coffee using water, there is a method of extracting liquid coffee by extracting liquid coffee by pour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into a filter paper containing coffee, filling the pot with coffee, passing hot water at high pressure, Extraction of espresso coffee, and the like.

액상커피는 추출방법에 따라 카페인 함량, 커피 맛, 커피 향 등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추출과정에서 사용하는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된 액상커피의 카페인 함량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에스프레소커피 추출법을 통하여 추출된 액상커피는 고압상태에서 고온의 물을 통하여 추출되므로 상온의 물을 이용한 드립커피 추출법에 의하여 추출된 액상커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카페인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여준다.Caffeine content, coffee taste, and coffee aroma vary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of liquid coffee. In general, research has been reported that the higher the water temperature used in the extraction process, the higher the caffeine content of the extracted liquid coffee. Since the liquid coffee extracted through the espresso coffee extraction method is extracted through the high temperature water at high pressure, the caffeine cont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liquid coffee extracted by the drip coffee extraction method using the water at room temperature.

최근에 품질 좋은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와 가정에서 직접 커피머신을 활용하여 커피를 음용하는 추세가 증가함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낮고 깊고 부드러운 맛을 가지는 드립커피 시장이 증대되고 있다.Recently, as the demand of consumers for quality fine coffee and the trend of drinking coffee by using a direct coffee machine at home have been increasing, the market for drip coffee having low caffeine content and deep and soft taste is increasing.

드립커피는 더치커피라고도 불리우며, 커피탱크에 수용된 고형커피에 물을 한 방울씩 낙하시켜 고형커피로부터 액상커피를 추출함으로써 카페인 함량이 적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드립커피는 상온의 물로 액상커피를 추출하므로 추출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드립커피는 물을 한 방울씩 낙하시켜 액상커피를 추출하므로 고형커피의 일부분에만 물이 낙하하여 물과 접촉하는 고형커피에서는 액상커피가 과도하게 추출되고, 물과 접촉하지 아니하는 고형커피에서는 액상커피가 추출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Drip coffee is also known as Dutch coffee, and has the advantage of dropping water into the solid coffee contained in the coffee tank and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from the solid coffee, so that the caffeine content is small and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However, since drip coffee extracts liquid coffee with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 extraction time is long. In addition, the drip coffee drops a drop of water to extract the liquid coffee, so that the liquid coffee is excessively extracted in the solid coffee in which the water falls only in a part of the solid coffee and the water is in contact with the solid coffe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coffee is not extracted.

커피추출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KR 10-0870923 “저 카페인 함유 커피의 추출장치 및 추출방법”, 한국등록실용 KR 20-0478513 “더치커피 추출 장치” 등이 있다. 종래의 기술 중 후자의 경우 낙하하는 물의 양과 속도의 조절을 가능하나 물이 물방울 형태로 낙하함으로써 균일하게 커피를 추출하기 어렵다는 단점은 여전히 존재한다.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 Korean Patent No. KR 10-0870923 entitled " Extraction Apparatus and Extraction Method for Coffee Containing Low Caffeine ", KR 20-0478513 " Dutc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 In the latter ca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and speed of the falling water, but there is still a drawback tha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extract coffee by dropping water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확산부를 통하여 물을 확산하여 커피추출부에 제공함으로써 균일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diffus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diffuse water through the diffusing unit and provide the coffee extracting unit to extract the coffee uniformly.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확산부를 통하여 확산된 물을 고형커피에 제공하여 커피를 추출함으로써 고형커피로부터 액상커피를 균일하게 추출할 수 있는 커피추출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a water spreader, Thereby obtaining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capable of uniformly extracting liquid coffee from solid coffe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커피추출장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물이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물탱크,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게 상기 배출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을 확산하는 물확산부, 상기 거치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내부에 고형커피가 수용되며 상기 물확산부에 의하여 확산된 상기 물을 이용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및 상기 커피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액상커피를 수용하는 커피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상기 확산판과 부딪힌 후 확산된다.In one embodiment, a coffee extracting device having a water diffuser is disclosed.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cludes a cradle, a water tank supported by the cradle and containing water therein and supplying water received through a lower outlet, a water tank disposed below the outlet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let, A water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using the water diffused by the water dispersing unit and a coffee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And a coffee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liquid coffee added and extracted. The water diffusing portion includes a diffusion plate disposed to face the discharge port,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diffused after bumping against the diffusion plate.

상기 확산판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상기 확산판과 부딪힌 후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짐으로써 확산될 수 있다.The diffusion plate may have a plate shap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may be diffused by being scattered through the edge of the diffusion plate after colliding with the diffusion plate.

상기 확산판은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확산판과 부딪힌 후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지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아래로 배출됨으로써 확산될 수 있다.The diffusion plate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may be diffused through the edge of the diffusion plate after colliding with the diffusion plate, and may be diffused by being discharged down through the through hole.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는 상기 물이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의 제1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제1물탱크, 상기 제1물탱크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며 하부의 제2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제2물탱크,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배출구와 연결되는 제2유량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e water tank includes a first water tank for containing the water therein and supplying the water accommodated through the first outlet por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water tank disposed under the first water tank and supplied with water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a second flow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and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and a second flow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 The second outlet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outle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second outlet.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상기 제2물탱크에 배치되며, 상기 제2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량조절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물탱크에 공급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제2물탱크의 상기 수위가 제1기준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1유량조절부를 닫고 상기 제2유량조절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2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제2물탱크의 상기 수위가 제2기준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2유량조절부를 닫고 상기 제1유량조절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물탱크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tank and sensing a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Wherein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unit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to the second water tank,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sensor reaches the first reference water level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is closed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water tank downward and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water leve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can be adjusted by closing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and opening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to the second water tank have.

상기 제2유량조절부는 워터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펌프의 펌핑량 및 펌핑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물의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may include a water pump.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umping amount of the water pump and the pumping speed to adjust the supply speed of the water supplied d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상기 커피추출부에 공급되는 상기 물확산부에 의하여 확산된 상기 물에 의한 상기 커피추출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물범람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범람감지센서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각각 상기 제2배출구 및 상기 물확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물범람감지센서는 상기 제2배출구 및 상기 물확산부 사이의 임피던스, 전류, 전압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 후 감지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기 수위가 상기 물확산부에 도달하였는지, 상기 제2배출구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상기 물확산부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제1유량조절부 또는 상기 제2유량조절부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기 수위의 최대값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커피추출부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커피추출부 외부로 범람하거나 상기 제2배출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spread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by the water diffused by the water diffusing unit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and the water diffusion portion, respectively.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senses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impedance, a current, a volt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between the second outlet and the water diffuser, and then transmits the sensed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has reached the water diffuser, reached the second outlet, or is located between the water diffuser and the second outle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or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maximum value of the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to flood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flow to the outle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확산부를 통하여 물을 확산하여 커피추출부에 제공함으로써 균일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드립방식의 커피추출장치는 커피추출부에 수용된 고형커피의 일부분에만 물이 낙하함으로써 물과 접촉하는 고형커피에서는 액상커피가 과도하게 추출되고, 물과 접촉하지 아니하는 고형커피에서는 액상커피가 추출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커피추출장치는 물확산부를 통하여 확산된 물을 커피추출부에 수용된 고형커피에 제공함으로써 고형커피로부터 균일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diffus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diffuse water through the diffusing unit and provide the coffee extracting unit to extract the coffee uniformly. 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drip-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liquid coffee is excessively extracted from solid coffee in contact with water due to falling of water only to a part of the solid coffee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ng portion, and solid coffe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coffee is not extracted. Alternatively,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disclosed herein can uniformly extract coffee from solid coffee by providing water that has been diffused through the water diffuser to the solid coffee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의 물탱크는 제1물탱크, 제2물탱크, 제1유량조절부 및 제2유량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제어부를 통하여 제1유량조절부 및 제2유량조절부를 제어함으로써 커피추출부에 제공되는 물의 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물탱크에는 수위감지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커피추출부에 제공되는 상기 물의 량을 보다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water tank of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first water tank, a second water tank, a first flow rate regulator, and a second flow rate regulator.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spreade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provid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by controlling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through the control unit. Meanwhile,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tank, and the amount of the water provid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can be more accurately controlled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는 물범람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물범람감지센서를 통하여 상기 커피추출부에 제공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어 상기 커피추출부로부터 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water spreade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through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thereby preventing water from overflowing from the coffee extracting unit.

전술한 내용은 이후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The foregoing provides only a selective concept in a simplified form as to what is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or limit the scope of essential features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s.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물확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물범람감지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preader.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used i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어지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 drawings, and the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other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is, the components generally described herein and illustrated in the figures, may be arranged, arranged, combined, or arranged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figurations, all of which are expressly contemplated, As shown in FIG.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or shape of an element, etc.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various layers (or films), regions and shapes.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position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disposed on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n additional component is interposed therebetween.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a case where the on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as well as a case where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erposed therebetween.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technique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 have "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is present and not to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disclosed technology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can not be constru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물확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물범람감지센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spreader.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used in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면을 참조하면,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거치대(110), 물탱크(120), 물확산부(130), 커피추출부(140) 및 커피수용부(15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수위감지센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물범람감지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including a water diffuser includes a cradle 110, a water tank 120, a water spreader 130, a coffee extracting unit 140, and a coffee receiving unit 150 do.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00 having a water spreader may further optionally include a control unit 160. [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a water spread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170 optionally.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ffee extraction apparatus 100 having a water spreader may further include a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optionally.

거치대(110)는 물탱크(120) 및 커피추출부(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물탱크지지대(112) 및 커피추출부지지대(114)를 통하여 물탱크(120) 및 커피추출부(140)를 지지하고 있는 거치대(11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커피수용부지지대(116)를 통하여 커피수용부(150)를 지지하는 거치대(11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커피수용부(150)의 경우에는 커피수용부지지대(116)를 통하지 아니하고 바닥면에 놓여질 수도 있다.The cradle 110 may serve to support the water tank 120 and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In the figure, for example, a cradle 110 supporting a water tank 120 and a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rough a water tank support 112 and a coffee extraction site 114 is illustrated. In addition, in the figure, a cradle 110 for supporting the coffee receiving portion 150 through the coffee receiving area 116 is shown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the coffee receptacle 150, it may be placed on the floo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ffee receiving area 116.

거치대(110)의 소재로는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 여러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물탱크(120), 커피추출부(140), 커피수용부(150)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한 그 소재에는 제한이 없다.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plastic, and wood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cradle 110. The material of the cradle 110 can support the water tank 120,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e coffee receiving unit 150, no limits.

물탱크(120)는 거치대(110)에 의하여 지지되며, 물(10)이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의 배출구(120a)를 통하여 수용된 물(10)을 아래로 공급한다.The water tank 120 is supported by a cradle 110 and supplies the water 10 received downward through the lower outlet 120a while the water 10 is received therein.

물확산부(130)는 배출구(120a)와 이격되게 배출구(120a)의 아래에 배치되며, 배출구(120a)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을 확산한다. 물확산부(130)는 배출구(120a)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확산판(132)을 포함하며, 배출구(1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확산판(132)과 부딪힌 후 확산된다. 일례로, 확산판(132)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형상은 원판형, 다각형판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배출구(1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확산판(132)과 부딪힌 후 확산판(132)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짐으로써 확산될 수 있다.The water diffusion part 130 is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120a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120a and diffuses the water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a. The water diffuser 130 includes a diffuser plate 132 disposed opposite to the outlet 120a so tha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120a is diffused after bumping against the diffuser plate 132. [ For example, the diffusion plate 132 may have a plate shape. The plate shape may be various shapes such as a disk shape, a polygonal plate shape, and the lik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a may be diffused by being scattered through the edge of the diffusion plate 132 after colliding with the diffusion plate 132. [

다른 예로, 확산판(132)은 내부에 관통홀(미도시)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형상은 원판형, 다각형판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배출구(1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확산판(132)과 부딪힌 후 확산판(132)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지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아래로 배출됨으로써 확산될 수 있다. 한편, 배출구(120a)와 대향하는 확산판(132)의 표면에는 복수의 돌기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들은 배출구(1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과 부딪혀 배출구(1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이 확산판(132)의 상기 가장자리로 보다 더 잘 흩뿌려지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출구(120a)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고 원뿔 또는 다각형 뿔 형상을 가져 배출구(120a)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이 확산판(132)의 상기 가장자리로 골고루 배분되어 흐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iffusion plate 132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through hole (not shown) therein. The plate shape may be various shapes such as a disk shape, a polygonal plate shape, and the lik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a is scattered through the edge of the diffusion plate 132 after colliding with the diffusion plate 132 and can be diffused by being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132 facing the discharge port 120a.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serve to help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a hi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a to be scattered more evenly to the edge of the diffusion plate 132 can d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disposed directly below the discharge port 120a and may have a conical or polygonal horn shape so that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a is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edge of the diffusion plate 132 It can play a role of flowing.

도면에는 일단이 배출구(120a)에 인접한 물탱크(120)에 연결되고, 타단이 확산판(132)과 연결된 확산판연결부(134)를 통하여 배출구(120a)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확산판(132)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확산판(132)은 일단이 커피추출부(140)의 내면 또는 바닥면과 연결되고, 타단이 확산판(132)과 연결되는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하여 배출구(120a)와 대향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확산부(130)를 통하여 물을 확산하여 커피추출부(140)에 제공함으로써 균일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드립방식의 커피추출장치는 커피추출부(140)에 수용된 고형커피(20)의 일부분에만 물이 낙하함으로써 물과 접촉하는 고형커피(20)에서는 액상커피(30)가 과도하게 추출되고, 물과 접촉하지 아니하는 고형커피(20)에서는 액상커피(30)가 추출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드립방식의 추출장치를 통하여 액상커피(30)를 추출할 경우에 물이 낙하하는 고형커피(20)의 상기 일부분만으로 액상커피(30)를 추출하게 되므로 액상커피(30)의 카페인 함량은 높아지고, 커피향은 옅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물확산부(130)를 통하여 확산된 물을 커피추출부(140)에 수용된 고형커피(20)에 제공함으로써 고형커피(20)로부터 균일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형커피(20)로부터 액상커피(30)을 추출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추출되는 액상커피(30)의 맛과 향을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diffuser plate 13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20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120a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120a through the diffusion plate connection part 134 connected to the diffusion plate 132, Is shown as an example. Alternatively, the diffusion plate 132 may have a connection member (not show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ffusion plate 132 And may be disposed opposite to the discharge port 120a.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diffusing unit disclosed herein can uniformly extract coffee by diffusing water through the diffusion unit 130 and supplying the water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In other words, in the conventional drip typ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in the solid coffee 20 in which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only a part of the solid coffee 20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e liquid coffee 30 is excessiv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coffee 30 is not extracted in the solid coffee 20 which is extracted and not in contact with water. In addition, when the liquid coffee 30 is extracted through the conventional drip extraction apparatus, the liquid coffee 30 is extracted only by the part of the solid coffee 20 in which the water falls, The content is increased and the coffee aroma is reduced. Alternatively,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disclosed herein may dispense the water diffused through the water diffuser 130 to the solid coffee 20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You can extract the coffee. Thus, the time for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30 from the solid coffee 20 can be shortened, and the taste and flavor of the liquid coffee 30 to be extracted can be stably controll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물탱크(120)는 물(10)이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의 제1배출구(122a)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제1물탱크(122), 제1물탱크(122) 아래에 배치되며, 제1배출구(122a)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며, 하부의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제2물탱크(124), 제1배출구(122a)와 연결되는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배출구(124a)와 연결되는 제2유량조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배출구(124a)는 배출구(120a)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tank 120 includes a first water tank 122 for containing water 10 therein and supplying the water received through the lower first outlet 122a downward, A second water tank 124 disposed below the tank 122 to receive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122a and to supply the water receiv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ort 124a below, A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122a and a second flow rate controller 128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124a. The second outlet 124a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outlet 120a.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는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른 제어부(160)의 동작 명령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게 되어 제1물탱크(122) 또는 제2물탱크(124)에 수용된 물이 제1배출구(122a) 또는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의 동작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제어부(160)에 배치되거나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창(미도시)을 통하여 입력 명령을 확인 할 수 있다.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ar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n operation command of the controller 160 according to a previously inputted pattern so that the first water tank 122 or the second water tank 124 can be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first outlet 122a or the second outlet 124a. As anothe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mmand. The user's input command can be input through an input unit (not shown). The input unit may be disposed in the control unit 160 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In this case, the user can confirm the input command through a display window (not shown)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unit.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는 예로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솔밸브 또는 숄밸브로 호칭되기도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전기신호로부터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력을 활용하여 플런저(plunger)를 움직여 솔레노이드 밸브 내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일 제어하는 밸브를 말한다. 이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상기 전기신호는 미리 입력된 패턴에 따라 제어부(160)에 의해 제공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may be, for example, solenoid valves. The solenoid valv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ol valve or a shovel valve. A solenoid valve refers to a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of fluid through a solenoid valve by moving the plunger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oil from an external electrical signal. In this case, the electric signal externally applied may be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60 according to a previously input pattern, or may be provided by the user.

한편, 제2유량조절부(128)로서 워터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유량조절부(128)로서 상기 워터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뿐 아니라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60)는 상기 워터펌프의 펌핑량 및 펌핑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의 양과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water pump can be used as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By using the water pump as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128,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a can be adjusted and the speed can be adjusted.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60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a and the supply speed by controlling the pumping amount and the pumping speed of the water pump.

커피추출부(140)는 거치대(110)에 의하여 지지되며, 내부에 고형커피(20)가 수용되며, 물확산부(130)에 의하여 확산된 상기 물을 이용하여 액상커피(30)를 추출한다.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is supported by a cradle 110 and receives the solid coffee 20 therein and extracts the liquid coffee 30 using the water diffused by the water diffuser 130 .

커피수용부(150)는 커피추출부(140)가 추출한 액상커피(30)를 수용한다.The coffee receiving portion 150 receives the liquid coffee 30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ng portion 140.

제어부(160)는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는 거치대(110)에 배치된 제어부(16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제어부(160)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가 배치되는 바닥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를 제어하여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Although the control unit 160 disposed on the cradle 110 is shown as an example, the control unit 160 may be disposed on the floor where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spreading unit disclosed herein is disposed hav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a.

제어부(160)는 입력부(미도시)와 표시창(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창은 제어부(160)에 배치되거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명령은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표시창(미도시)을 통하여 입력 명령, 액상커피(30) 추출 진행상황 등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어부(160)에 배치되거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를 이용하여 액상커피(30)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시간,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양,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제공속도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작성되는 액상커피추출을 위한 레시피(recipe)와 후술하는 제1기준수위, 제2기준수위 및 전기적 신호의 기준값을 포함하는 설정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액상커피(30)를 추출하기 위한 상기 추출시간은 추출에 사용되는 물의 양과 물의 제공속도를 기준으로 작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액상커피(30)를 추출하기 위한 상기 추출시간은 고형커피(20)의 종류, 유형 등에 따라 세분화되어 작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시피는 커피추출부(140)에 수용되는 고형커피(20)의 종류, 가공상태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put unit (not shown) and a display window (not shown).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window may be disposed in the control unit 160 or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The user's input command can be input through an input unit (not shown). The user can confirm an input command, progress of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30, and the like through a display window (not shown) disposed adjacent to the input unit.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atabase (not shown). The database may be disposed in the control unit 160 or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60. In the database, the extraction time for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30,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extraction, the supply rate of water used for extraction, and the like are determined by using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setting value including a first reference level, a second reference level, and a reference value of an electrical signa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stored. For example, the extraction time for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30 can be created and stored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extraction and the water supply speed. The extraction time for extracting the liquid coffee 30 may be prepar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ype, the type, and the like of the solid coffee 20. In this case, the recipe may be subdivid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based on at least one of a type of solid coffee 20 accommodat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a processing state, and a combination thereof.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 또는 미리 프로그램된 방식에 따라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의 동작을 제어하여 액상커피(30)가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레시피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60)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가 선택한 레시피에 따라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반복 제어하거나 간헐적으로 제어하여 액상커피(30)를 추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controller 128 to extract the liquid coffee 30 according to a user's input command or a preprogrammed system.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recipe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controller 128 according to a recip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The liquid coffee 30 can be extracted by repeatedly or repeated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iquid coffee 30 in sequence.

다른 예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고형커피(20)로부터 추출되는 액상커피(30)의 추출시간과 액상커피(30)의 양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미리 설정된 제2물탱크(124)의 제1기준수위 및 제2기준수위로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의 1회 동작으로부터 커피추출부(140)에 제공되는 물의 양-이하 1회 주입량이라 함-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액상커피(30)의 양을 추출하기 위한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의 동작 횟수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커피추출부(140)에 제공되는 물의 양과 물의 제공속도에 따른 액상커피(30)의 추출시간 정보로부터 커피추출부(140)에 상기 1회 주입량을 제공하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추출시간에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액상커피(30)를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can input the amount of the liquid coffee 30 and the extraction time of the liquid coffee 30 extracted from the desired solid coffee 20 through the input unit.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first flow rate controlle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controller 128, which sequentially proceed from the first reference water level and the second referenc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from the one-time operation -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mount of one injection.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rate controllers 126 and 128 for extracting the amount of the liquid coffee 30 desired by the user can be determined. The control unit 160 provides the amount of the one injection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provid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stored in the database and the extracting time information of the liquid coffee 30 according to the water providing speed Can be calculated. Accordingly,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spreade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provide the user with a desired amount of the liquid coffee 30 at the extraction time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수위감지센서(170)는 제2물탱크(124)에 배치되며, 제2물탱크(124)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70)로서 광센서, 플로팅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수위감지센서(170)로서 제2물탱크(124)의 외벽에 부착된 광센서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 이 경우, 제2물탱크(124)는 광투과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에서 제2물탱크(124)에 광을 조사한 후 상기 수광부를 통하여 반사광을 측정함으로써 제2물탱크(124)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위감지센서(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70)가 감지한 제2물탱크(124)의 상기 수위는 제어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sensor 170 is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tank 124 and can sense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As the level sensor 170, an optical sensor, a floating sensor, or the like may be used. In the figure, an optical sensor attached to the outer wal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as the water level sensor 170 is shown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second water tank 124 may be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e light senso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not shown) and a light receiving unit (not shown).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light to the second water tank 124 and measures the reflected light through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level sensor 124 can be sensed. For this purpose, the water level sensor 170 may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r more optical sensors. The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70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60.

다른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수위감지센서(170)로서 플로팅센서(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플로팅센서는 제2물탱크(124)의 내부에 배치되어 통상의 부구와 같은 원리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플로팅센서는 제2물탱크(124)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승하고, 수위가 하강함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플로팅센서는 제2물탱크(124)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70)가 감지한 제2물탱크(124)의 상기 수위는 제어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floating sensor (not shown) may be used as the level sensor 170, unlike the one shown in the drawings. The floating sensor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water tank 124, and can operate on the same principle as a normal floating gate. The float sensor rises as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rises and falls as the water level falls. Accordingly, the floating sensor can sense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The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70 may be provided to the controller 160.

한편, 제어부(160)는 수위감지센서(170)로부터 수신한 제2물탱크(124)의 수위 정보로부터 제2물탱크(124)의 수위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부(160)는 제1유량조절부(126)를 개방하여 제1물탱크(122)에 수용된 물을 제2물탱크(124)에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수위감지센서(170)로부터 감지되는 제2물탱크(124)의 수위가 제1기준수위에 이르면 제1유량조절부(126)를 닫고 제2유량조절부(128)를 개방하여 제2물탱크(124)에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수위감지센서(170)로부터 감지되는 제2물탱크(124)의 수위가 제2기준수위에 이르면 제2유량조절부(128)를 닫고 제1유량조절부(126)를 개방하여 제1물탱크(122)에 수용된 물을 제2물탱크(124)에 공급함으로써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커피추출부(140)를 통하여 원하는 양 만큼의 액상커피(30)를 추출하는 시간 동안 반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160)는 물확산부(130)으로 제공되는 물의 양을 간헐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준수위는 제2물탱크(124)의 상부의 형상을 고려하여 제2물탱크(124)에 수용되는 물이 제2물탱크(124)의 상부와 맞닿는 수위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2기준수위는 예로서 제2물탱크(124)에 수용된 물이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배출되지 아니하고 내부에 머무르는 수위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based on the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17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60 may open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122 to the second water tank 124.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7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level,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is closed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is opened,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124 can be supplied downwar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170 reaches the second reference level,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is closed and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is open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a can be adjusted by supply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122 to the second water tank 124. [ This process can be repeated for a period of time to extract a desired amount of the liquid coffee 30 through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diffusion unit 130 intermittently or periodically. The first reference water level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water level at which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water tank 12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 The second reference water level may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water level in which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water tank 124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a and stays therein.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의 물탱크(120)는 제1물탱크(122), 제2물탱크(124),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제어부(160)를 통하여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를 제어함으로써 커피추출부(140)에 제공되는 물의 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물탱크(124)에 배치되는 수위감지센서(170)를 통하여 커피추출부(140)에 제공되는 물의 량을 수동이 아닌 자동 방식으로 보다 더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In summary, the water tank 120 of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first water tank 122, a second water tank 124, a first flow control unit 126, And a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herein controls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via the controller 160 to control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can be controll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170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tank 124 can be controlled more accurately in a non-manual, automatic manner.

한편, 제2물탱크(124)의 수위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물탱크(124)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표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유량조절부(128)를 닫은 상태에서 제1유량조절부(126)를 개방하여 제2물탱크(124)에 원하는 수위만큼 물을 채울 수 있다. 이후 제1유량조절부(126)를 닫고, 제2유량조절부(128)을 개방하여 제2물탱크(124)에 수용된 물을 제2배출구(124a)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수작업에 의해서도 커피추출부(140)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can be controll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For this purpose, a water level indicator indicating the water level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tank 124. In this case, the user can fill the second water tank 124 with a desired water level by opening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while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is closed. Thereafter,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is closed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is opened to allow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water tank 124 to be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second outlet 124a. Accordingly,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spreade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by manual operation.

물범람감지센서(180)는 커피추출부(140)에 공급되는 물확산부(130)에 의하여 확산된 물에 의한 커피추출부(14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물범람감지센서(180)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며, 물범람감지센서(180)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각각 제2배출구(124a) 및 물확산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범람감지센서(180)는 제2배출구(124a) 및 물확산부(130) 사이의 임피던스, 전류, 전압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 후 감지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는 물확산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물범람감지센서(180)이 예로서 표현되어 있다.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can detect the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by the water diffused by the water diffusing unit 130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includes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second outlet 124a and a water diffusion portion 130 As shown in FIG.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senses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of impedance, current, volt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between the second outlet 124a and the water spreader 130, And can provide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60. [ In the figure, a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ater diffuser plate 132 is shown as an example.

이하 도면을 활용하여 물범람감지센서(18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물범람감지센서(180)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은 각각 제2배출구(124a) 및 물확산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범람감지센서(180)는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통하여 제2배출구(124a)와 물확산판(132) 사이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커피추출부(140)의 수위가 물확산판(132)에 도달하기 전, 물확산판(132)에 도달한 후, 물확산판(132)과 제2배출구(124a)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2배출구(124a)에 도달한 후, 제2배출구(124a)가 잠긴 경우 등에서 측정되는 임피던스는 변화하게 된다. 물범람감지센서(180)는 변화하는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커피추출부(140)의 상기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르게는, 물범람감지센서(180)는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통하여 정해진 값의 전류를 흘려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통하여 측정되는 전압값을 측정하거나,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통하여 정해진 값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커피추출부(140)의 상기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124a and the water diffuser plate 132, respectively.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can measure the impedance between the second outlet 124a and the water diffuser plate 132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section 140 reaches the water diffuser plate 132 before it reaches the water diffuser plate 132 and then is located between the water diffuser plate 132 and the second outlet 124a, The impedance measured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outlet 124a is locked after reaching the second outlet 124a is changed.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may sense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by measuring a varying impedance. Alternatively,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may measure a voltage value measured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flowing a current having a predetermined value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e controller may sense the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by measuring a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applying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value through th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한편, 제어부(160)는 물범람감지센서(18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로부터 커피추출부(140)의 수위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어부(160)는 물범람감지센서(180)로부터 수신한 전기적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커피추출부(140)의 수위가 물확산부(130, 도면에는 예로서 물확산판(132)을 기준으로 표현되어 있음)에 도달하였는지, 제2배출구(124a)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물확산부(130)와 제2배출구(124a)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제1유량조절부(126) 또는 제2유량조절부(128)의 개폐를 제어하여 커피추출부(140)의 상기 수위의 최대값을 제어함으로써 커피추출부(140)에 수용되는 물이 커피추출부(140) 외부로 범람하거나 제2배출구(124a)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준값은 커피추출부(140)의 직경, 커피추출부(140)에 수용되는 고형커피(20)의 종류, 커피추출부(140)에 제공되는 물의 성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들을 고려한 상기 기준값은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제어부(160)와 연결되며, 제어부(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기준값을 참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from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60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diffusing unit 130 132), whether it has reached the second outlet (124a) or is located between the water diffuser (130) and the second outlet (124a), and then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126 or the second flow control unit 128 to control the maximum value of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It can be prevented from flooding or flowing backward to the second outlet 124a. The reference valu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e type of the solid coffee 20 accommodat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e constituents of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 The reference value considering these can be stored in advance in a database (not shown), the database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60, and the controller 160 can refer to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database.

정리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물범람감지센서(180)를 포함하며, 물범람감지센서(180)를 통하여 커피추출부(140)에 제공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어 커피추출부(140)로부터 물이 외부로 범람하거나 제2배출구(124a)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ummary,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spread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and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detects the water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rough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18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from flowing out from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o the outside or flowing backward to the second outlet 124a.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물확산부(130)를 통하여 물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커피추출부(140)에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00)는 제1물탱크(122)와 제2물탱크(124)로 구성되는 물탱크(120)를 통하여 커피추출부(140)에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물탱크(122)로부터 제2물탱크(124)로의 물의 공급과 제2물탱크(124)로부터 물확산부(130)으로의 물의 공급은 제어부(160)에 의한 제1유량조절부(126) 및 제2유량조절부(128)의 제어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140)는 물확산부(130)를 통하여 분산된 물을 커피추출부(140)에 제공할 수 있고,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하여 정해진 량의 물을 정해진 시간 동안 단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커피추출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the drawings,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diffuser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can provide water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in such a manner that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water diffuser 130 .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00 having the water diffus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provided with a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rough a water tank 120 composed of a first water tank 122 and a second water tank 124, Water can be provided.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first water tank 122 to the second water tank 124 and the supply of water from the second water tank 124 to the water diffusion portion 130 are performed by the first flow control portion 126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8, as shown in FIG. That is,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140 having the water dispersing un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supply the dispersed water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through the water diffusing unit 130,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may be intermittently or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140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From the foregoing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describ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that there are many possible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is disclosure. An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but true ideas and scope will be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10 : 물
20 : 고형커피
30 : 액상커피
100 :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110 : 거치대
112 : 물탱크지지대
114 : 커피추출부지지대
116 : 커피수용부지지대
120 : 물탱크
120a : 배출구
122 : 제1물탱크
122a : 제1배출구
124 : 제2물탱크
124a : 제2배출구
126 : 제1유량조절부
128 : 제2유량조절부
122 : 배출구
130 : 물확산부
132 : 확산판
134 : 확산판연결부
140 : 커피추출부
150 : 커피수용부
160 : 제어부
170 : 수위감지센서
180 : 물범람감지센서
10: water
20: Solid coffee
30: liquid coffee
100: coffee extracting device having a water diffuser
110: Cradle
112: Water tank support
114: Coffee extraction zone
116: Coffee reception area
120: Water tank
120a:
122: first water tank
122a: first outlet
124: Second water tank
124a: second outlet
126: First flow rate regulator
128: second flow rate regulator
122: Outlet
130: Water diffuser
132: diffusion plate
134: diffusion plate connection portion
140: Coffee extracting part
150: coffee receptacle
160:
170: Level sensor
180: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Claims (7)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물이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의 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물탱크;
상기 배출구와 이격되게 상기 배출구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을 확산하는 물확산부;
상기 거치대에 의하여 지지되며, 내부에 고형커피가 수용되며, 상기 물확산부에 의하여 확산된 상기 물을 이용하여 액상커피를 추출하는 커피추출부; 및
상기 커피추출부가 추출한 상기 액상커피를 수용하는 커피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상기 확산판과 부딪힌 후 확산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holder;
A water tank supported by the cradle and adapted to supply the water received therein through the lower outlet;
A water diffuser disposed below the discharge por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port and diffusing water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port;
A coffee extracting part supported by the cradle and containing solid coffee therein and extracting liquid coffee using the water diffused by the water diffusing part; And
And a coffee receiving part for receiving the liquid coffee extracted by the coffee extracting part,
Wherein the water diffusing portion includes a diffusion plate disposed to face the discharge port,
And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has a water diffusion portion which is diffused after being hit with the diffus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상기 확산판과 부딪힌 후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짐으로써 확산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plate has a plate shape,
Wherei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has a water spreader which is diffused by being scattered through an edge of the diffusion plate after colliding with the diffus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내부에 관통홀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기 물은 확산판과 부딪힌 후 상기 확산판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흩뿌려지고,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아래로 배출됨으로써 확산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plate has a plate shape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Wherein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is scattered through an edge of the diffusion plate after colliding with the diffusion plate and is diffused by being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는
상기 물이 내부에 수용되고, 하부의 제1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제1물탱크;
상기 제1물탱크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며, 하부의 제2배출구를 통하여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는 제2물탱크;
상기 제1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배출구와 연결되는 제2유량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배출구는 상기 배출구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량조절부 및 상기 제2유량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ontrol unit,
The water tank
A first water tank in which the water is accommodated therein and which supplies the water accommodated through the lower first outlet port;
A second water tank disposed below the first water tank for receiving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first outlet and supplying the water received through the second outlet below;
A first flow rate regulator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And
And a second flow rate regulator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The second outlet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outle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second out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물탱크에 배치되며, 상기 제2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유량조절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물탱크에 공급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제2물탱크의 상기 수위가 제1기준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1유량조절부를 닫고 상기 제2유량조절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2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아래로 공급하며,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제2물탱크의 상기 수위가 제2기준수위에 이르면 상기 제2유량조절부를 닫고 상기 제1유량조절부를 개방하여 상기 제1물탱크에 수용된 물을 상기 제2물탱크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물의 량을 조절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water level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water tank and sensing a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Wherein the control unit opens the first flow rate regulating unit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to the second water tank,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sensor reaches the first reference water level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is closed and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s opened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econd water tank downward and the water level of the second water tank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or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water leve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own through the second outlet is regulated by closing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and opening the first flow rate regulator to supply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rst water tank to the second water tank And a water diffus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량조절부는 워터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펌프의 펌핑량 및 펌핑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공급되는 상기 물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econd flow rate regulator includes a water pump,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umping amount and the pumping speed of the water pump so as to adjust the supply speed of the water supplied downward through the second outl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추출부에 공급되는 상기 물확산부에 의하여 확산된 상기 물에 의한 상기 커피추출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물범람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물범람감지센서의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각각 상기 제2배출구 및 상기 물확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물범람감지센서는 상기 제2배출구 및 상기 물확산부 사이의 임피던스, 전류, 전압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 후 감지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기 수위가 상기 물확산부에 도달하였는지, 상기 제2배출구에 도달하였는지 또는 상기 물확산부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제1유량조절부 또는 상기 제2유량조절부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커피추출부의 상기 수위의 최대값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커피추출부에 수용되는 물이 상기 커피추출부 외부로 범람하거나 상기 제2배출구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확산부를 구비하는 커피추출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for sensing a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by the water diffused by the water diffusing unit supplied to the coffee extracting unit,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of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and the water diffuser, respectively,
The water flood detection sensor senses an electrical signal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impedance, a current, a voltage, and a combination thereof between the second outlet and the water diffuser, and then transmits the sensed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ler Provide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electrical signal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has reached the water diffuser, reached the second outlet, or is located between the water diffuser and the second outle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flow rate control unit or the second flow rate control unit to control the maximum value of the level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to flood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ffee extracting unit to the outside of the coffee extracting unit, And a water diffuser for preventing backflow to the outlet.
KR1020170002740A 2017-01-09 2017-01-09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KR201700993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40A KR20170099358A (en) 2017-01-09 2017-01-09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40A KR20170099358A (en) 2017-01-09 2017-01-09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984A Division KR101832756B1 (en) 2016-02-23 2016-02-23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358A true KR20170099358A (en) 2017-08-31

Family

ID=5976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740A KR20170099358A (en) 2017-01-09 2017-01-09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3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9359A (en)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attachable water suppling block
US10398254B2 (en) Apparatus for beverage production
CA2495317C (en) Liquid beverage conductivity detecting system
US91922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using hot beverages
AU2020201218A1 (en) Beverage brew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10743705B2 (en) Coffee brewing appliance with variable operating parameters
US20060278092A1 (en) Brewing apparatus with pre-infusion and pulse brewing
US2006019636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fusing a pre-packaged pod
KR101382254B1 (en) A duch coffee extracting equipment
US7163126B2 (en) Heated water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090028833A (en) Method for controlling a quantity of water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quantity of hot liquid
ES2973641T3 (en) Espresso machine with regulation of dispensing pressure and procedure for regulating the dispensing pressure of an espresso machine
KR101832756B1 (en)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KR20090031448A (en) Beverage maker comprising a floating member for determining when a water pumping action needs to be terminated
CN113646600B (en) Refrigerator and brew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1832767B1 (en)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attachable water suppling block
WO2005041731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water
EP3945956B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JP2009082552A (e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KR20170099358A (en) coffee extracting machine with water diffuser
RU2812802C1 (en) Coffee machine and valve device suitable for use in coffee machine
JPH04364820A (en) Discharger of constant volume hot water
CN115137209A (en) Beverage making machine
JPS6156617A (en) Bevarage extractor
JPS6066716A (en) Hot water feeder of bevarage extra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