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788A -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788A
KR20170098788A KR1020170107444A KR20170107444A KR20170098788A KR 20170098788 A KR20170098788 A KR 20170098788A KR 1020170107444 A KR1020170107444 A KR 1020170107444A KR 20170107444 A KR20170107444 A KR 20170107444A KR 20170098788 A KR20170098788 A KR 2017009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wave
diabetes
subject
extracorporeal shock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미
정명숙
조원경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788A/ko
Publication of KR2017009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04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medical, immunological, body treatment, or diagnosis
    • Y10S977/927Diagnostic contrast agent
    • Y10S977/929Ultrasound contrast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제2형 당뇨병의 근본적 원인인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제2형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A method to treat type Ⅱ diabetes mellitus by applying extracorporeal shockwave to a subject}
본 발명은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된다.
당뇨병은 제1형과 제2형으로 구분되는데, 제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여 발생하고,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은 분비되나 세포가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을 갖게 되어 발생한다. 제2형 당뇨병에서 인슐린 분비에는 이상이 없기 때문에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이라고도 한다. 제2형 당뇨병은 고열량·고단백 식단 섭취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과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외에 유전적 요인, 감염, 특정 약제, 췌장 수술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현재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치료는 식단을 변경하고 운동을 하는 생활 습관 교정을 통해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최선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외에 경우에 따라 인슐린 감수성 개선제와 같은 약물이 투여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2형 당뇨병을 직접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마땅한 치료제 또는 치료 방법은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정도의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는 인간을 위시한 포유동물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인간, 마우스, 햄스터, 랫트, 페렛, 기니피그, 토끼, 개, 영장류, 돼지 등이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료적으로 유효한 정도"는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완화를 유도하는 정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체외충격파의 적용 정도(강도 및 횟수)는 대상체의 상태 및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체외 충격파(Extracorporeal Shock Wave)는 초음파와 같이 물 또는 연조직을 통과하여 전파되는 종방향의 음파이다. 초음파와 달리, 충격파는 짧은 바늘 형태의 양성 스파이크를 아주 짧은 시간(< 1 ㎲)에 갖고 인장기(tensile phase)가 이어지는 단일 압력 펄스이며 최대 100 MPa의 진폭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외 충격파는 저에너지 체외 충격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외 충격파는 0.056 mJ/mm2 이하의 저에너지 체외 충격파일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강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은 체외충격파를 대상체에 조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외 충격파는 대상체의 복부를 덮는 영역에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체외 충격파가 조사될 수 있는 부분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체외충격파의 제2형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체외충격파 적용은 1 이상의 약물 또는 치료와 병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또는 항고혈압제 등이 본 발명의 체외충격파 적용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병행될 수 있는 약물 또는 치료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제2형 당뇨병의 근본적 원인인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제2형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체외충격파를 적용한 동물 모델 마우스에서 당내성 시험(glucose tolerance test)에서 당내성이 감소하였음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2는 체외충격파를 적용한 동물 모델 마우스에서 인슐린내성 시험(insulin tolerance test)에서 인슐린내성이 감소하였음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3은 체외충격파 조사가 지방조직의 염증 소견을 감소시킴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체외충격파가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효과 확인
1-1. 동물 모델의 준비 및 체외충격파 조사
정상 C57/BL6 마우스에 15주간 고지방 식이를 시행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도록 유도함으로써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동물 모델을 준비하였다(Cell Metabolism, Vol. 14, Issue 1, p91-103 참조). 고지방 식이가 진행되는 상기 15주간 주 2회 (0.056mJ/mm2, 1000 impulses, 각 회. 3-4일 간격으로 시행) 마우스에서지방축적이 많은 내장지방의 하나인 부고환지방조직을 겨냥하여 하복부 양측에 번갈아가며 체외충격파를 조사하였다.
1-2. 당 내성 시험
상기 1-1에서 준비한 마우스를 절식시킨 후 포도당(glucose) 1 mg/g을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그 후 시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여 포도당 농도 변화를 추적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대조군(Control)과 비교하여 체외충격파 적용군(SW)에서 각 측정 시점에서 혈당치가 더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체외충격파에 의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어 주사된 포도당이 대사됨을 의미한다.
1-3. 인슐린내성 시험
상기 1-1에서 준비한 마우스를 절식시킨 후 인슐린 1.0 U/kg을 복강내에 주사하였다. 그 후 시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여 포도당 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외충격파 적용군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혈당치가 더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체외충격파에 의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어 혈당치가 더 빨리 낮아짐을 의미한다.
< 실시예 2> 체외충격파가 지방조직 염증에 미치는 효과 확인
상기 1-1에서 준비한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부고환 지방조직 (내장지방)을 적출한 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 Eosin) 염색을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대조군에서 2마리, 체외충격파 적용군에서의 2마리의 현미경 관찰소견을 대표적 도면으로서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체외충격파 적용군에서 지방조직의 백혈구 침윤이 현저히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체외충격파에 의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인 지방조직의 염증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Claims (4)

  1.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정도의 체외충격파(extracorporeal shockwave)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이고, 상기 체외 충격파는 0.056 mJ/mm2의 저에너지 체외 충격파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외충격파는 대상체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제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방법.
  3.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 치료적으로 유효한 정도의 체외충격파(extracorporeal shockwave)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이고, 상기 체외 충격파는 0.056 mJ/mm2의 저에너지 체외 충격파인 방법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외충격파는 대상체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170107444A 2017-08-24 2017-08-24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KR20170098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44A KR20170098788A (ko) 2017-08-24 2017-08-24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444A KR20170098788A (ko) 2017-08-24 2017-08-24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276A Division KR20160063695A (ko) 2014-11-27 2014-11-27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788A true KR20170098788A (ko) 2017-08-30

Family

ID=5976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444A KR20170098788A (ko) 2017-08-24 2017-08-24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7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9373B2 (en) * 2016-04-18 2022-07-19 Softwave Tissue Regeneration Technologies, Llc Acoustic shock wave therapeutic methods to prevent or treat opioid addiction
US11389372B2 (en) * 2016-04-18 2022-07-19 Softwave Tissue Regeneration Technologies, Llc Acoustic shock wave therapeutic methods
US11458069B2 (en) * 2016-04-18 2022-10-04 Softwave Tissue Regeneration Technologies, Llc Acoustic shock wave therapeutic methods to treat medical conditions using reflexology zon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89373B2 (en) * 2016-04-18 2022-07-19 Softwave Tissue Regeneration Technologies, Llc Acoustic shock wave therapeutic methods to prevent or treat opioid addiction
US11389372B2 (en) * 2016-04-18 2022-07-19 Softwave Tissue Regeneration Technologies, Llc Acoustic shock wave therapeutic methods
US11458069B2 (en) * 2016-04-18 2022-10-04 Softwave Tissue Regeneration Technologies, Llc Acoustic shock wave therapeutic methods to treat medical conditions using reflexology z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yne et al. Bioelectric neuromodulation for gastrointestinal disorders: effectiveness and mechanisms
Notarnicola et al. The biological effects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eswt) on tendon tissue
VILLÁNYI et al. Short-term changes in renal function afte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in children
Lee et al. Dose-related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for plantar fasciitis
Handa et al. Pretreatment with low‐energy shock waves induces renal vasoconstriction during standard shock wave lithotripsy (SWL): a treatment protocol known to reduce SWL‐induced renal injury
Callaway et al. Delayed Treatment With AM-36, a Novel Neuroprotective Agent, Reduces Neuronal Damage After Endothelin-1–Induced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n Conscious Rats
Andersson et al. Low-level mechanical stimulation is sufficient to improve tendon healing in rats
Andersson et al. Tissue memory in healing tendons: short loading episodes stimulate healing
KR20170098788A (ko)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Li et al. Effectiveness of focused shockwave therapy versus radial shockwave therapy for noncalcific rotator cuff tendinopathi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Montgomery et al. Muscle and tendon heating rates with therapeutic ultrasound in horses
Lischer et al. Treatment of chronic proximal suspensory desmitis in horses using focused electrohydraulic shockwave therapy
Ilieva et al. Radial shock wave therapy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Cui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novel low-intensity pulsed ultrasound (LIPUS) in treating mild to moderate erectile dysfunc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sham-controlled clinical study
Collins et al. A clinical study of extracorporeal shock waves (ESW) for treatment of chronic lateral epicondylitis
Guo et al. Applic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n nervous system diseases: a review
KR20160063695A (ko) 대상체에 체외충격파를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방법
Sun et al. Study of vascular injuries using endothelial denudation model and the therapeutic application of shock wave: a review
Masseau et al. Carotid inflammation is unaltered by exercise in hypercholesterolemic Swine
Goel et al.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tralesional platelet rich plasma injection and extracorporeal shockwav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Wu et al. Electrophysiological and functional effects of shock waves on the sciatic nerve of rats
Stania et al. Analysis of pain intensity and postural control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shock wave therapy and sonotherapy in Achilles tendinopathy–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rady et al. Extracorporeal pulse-activated therapy versus injection: Treatment of recalcitrant plantar fasciitis
Li et al. Sciatic Nerve Block Combined with Flurbiprofen Inhibits Spinal Cord Inflammation and Improves Postoperative Pain in Rats with Plantar Incision
Rezvani et al. A novel murine muscle loading model to investigate Achilles musculotendinous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