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786A -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786A
KR20170098786A KR1020170106885A KR20170106885A KR20170098786A KR 20170098786 A KR20170098786 A KR 20170098786A KR 1020170106885 A KR1020170106885 A KR 1020170106885A KR 20170106885 A KR20170106885 A KR 20170106885A KR 20170098786 A KR20170098786 A KR 20170098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receiving
receiving apparatus
code
user interface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906B1 (ko
Inventor
김주연
권용환
김정아
이범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906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5/440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04N21/4220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7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comprising parameters, e.g. for client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제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제어 디바이스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되는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하는 검색부, 검색된 IR 코드셋을 기초로 방송수신장치를 제어 가능한 홈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로 등록하는 관리부, 및,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되는 IR 코드셋 중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코드를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BROADCAST RECIEVER}
본 발명은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 네트워크 내의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수신장치는 디지털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장치로,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방송 또는 아날로그방송 및 각종 외부기기(Video Player, DVD Player, Blue-ray Disc Player 등)로부터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TS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거나,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의 대표적 예로는 디지털 TV, VOD(Video On Demand) 등의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및 셋톱박스(Set Top Box)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는 통상적으로 리모컨과 같은 전용의 제어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어된다.
최근에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 가능한 기기의 수가 증가하였다는 점에서, 복수 기기에 대한 조작을 하나의 제어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MBR)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 리모컨에 새로운 기기를 등록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리모컨을 등록하고,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코드셋을 직접 테스트를 통하여 확정한 이후에 확정된 코드셋을 통합 리모컨에 기록하는 등의 복잡한 과정이 요구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야 하였다는 점에서, PC 가 없으면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추가하지 못하였으며, PC가 있더라도 프로그램 설치 및 연결에 불편함 점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통합 리모컨은 제조사 및 모델별로 코드셋을 관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테스트를 해본 후 코드셋을 확정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통합 리모컨은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코드셋만을 지원하였기 때문에, 특정 방송수신장치에서만 지원하는 특수 기능을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내의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되는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하는 검색부, 상기 검색된 IR 코드셋을 기초로 상기 방송수신장치를 제어 가능한 홈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로 등록하는 관리부, 및,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되는 IR 코드셋 중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코드를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제1 영역, 방송수신장치의 제조사를 입력받는 제2 영역 및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을 입력받는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복수의 제어 명령을 복수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으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입력된 편집 명령에 따라 편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아이콘을 추가, 변경, 순서 변경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수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메뉴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상기 수신된 메뉴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메뉴 정보는, 현재 채널 정보, 현재 음량 크기, 플레이 시간, 재생 잔류 시간, 현재 시각 및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어 디바이스는, 방송수신장치별 IR 코드셋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IR 코드셋 중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제어 디바이스는,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이 수신되도록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검색부는, 복수의 IR 코드를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전송되도록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반응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인식가능한 IR 코드를 검색함으로써 IR 코드셋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되는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IR 코드셋을 기초로 상기 방송수신장치를 제어 가능한 홈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로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되는 IR 코드셋 중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IR 코드를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제1 영역, 방송수신장치의 제조사를 입력받는 제2 영역 및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을 입력받는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하여 상기 정보를 입력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복수의 제어 명령을 복수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편집 명령에 따라 편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양방항 무선통신으로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메뉴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상기 수신된 메뉴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메뉴 정보는, 현재 채널 정보, 현재 음량 크기, 플레이 시간, 재생 잔류 시간, 현재 시각 및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기저장된 방송수신장치별 IR 코드셋 중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외부 서버에 상기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수신하여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IR 코드를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반응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장치에서 인식가능한 IR 코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IR 코드를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으로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검색부(150), 관리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할 관리부(160)에서 관리되고 있는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 중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코드를 해당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단방향 무선통신이란,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등 현존하는 모든 통신 기술과, 미래의 모든 단방향 무선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양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홈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와 양방향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링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링크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무선통신이란, BT(BlueTooth), RF(Radio Frequency), WI-FI(Wireless Fiedlity), HDMI-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Wireless HDMI-CEC 등 현존하는 모든 통신 기술과, 미래의 모든 양방향 무선통신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홈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메뉴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채널 정보, 음량 크기, 플레이 시간, 재생 잔류 시간, 현재 시각,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과 같은 메뉴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수신장치(예를 들어, TV 또는 셋톱박스)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메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정보는 하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송수신장치(10-1)로부터 채널 정보, 음량 크기 등의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방송수신장치(10-2)로부터 채널 각각에 대한 EPG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방송수신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는 병합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의 IR 코드셋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후술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입력받는 방송수신장치 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에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방송수신장치 정보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는 외부 서버로부터 직접 IR 코드셋을 수신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경우), 홈 네트워크 내의 외부 서버와 연결 가능한 방송수신장치를 통하여 IR 코드셋을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IR 코드셋은 방송수신장치가 입력받을 수 있는 제어 명령 및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코드의 집합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는 특정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이용하는바, 해당 방송수신장치에서 지원하는 모든 제어 명령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저장부(130)는 방송수신장치별 IR 코드셋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방송수신장치의 종류, 제조사 및 모델별로 구분된 복수의 IR 코드셋을 DB 형태로 저장한다. 이와 같은 저장부(130)는 제어 디바이스(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메뉴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된 메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수신된 메뉴 정보가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저장부(130)는 수신된 메뉴 정보를 하나로 병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셋톱박스를 통하여 EPG 정보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EPG 정보를 수신된 각각의 채널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제어 디바이스(100)가 제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IR 코드셋 정보 및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저장할 수 있다. 기저장된 IR 코드셋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후술할 관리부(160)에 의하여 편집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되는 방송수신장치(즉,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방송수신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창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터치패드와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키패드 및 표시 장치의 결합을 통한 장치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이용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설정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수신장치는 복수의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는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방송수신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어 명령 별로 대응되는 아이콘을 설정받고, 해당 아이콘의 순서를 설정받음으로써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기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복수의 아이콘에 대한 배치 순서를 변경하는 명령, 기 포함된 아이콘을 제거하는 명령, 새로운 제어 명령에 대응한 아이콘을 추가하는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장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편집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으로 갱신되어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방송수신장치별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 가능한 복수의 방송수신장치 중 제어하고자하는 방송수신장치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고, 선택받은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저장부(130)에서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수신된 메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방송수신장치에 해당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면서 수신된 메뉴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가 방송수신장치(TV)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채널 조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과 함께 해당 채널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메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수신된 메뉴 정보를 병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로부터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셋톱박스로부터 EPG 정보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는 방송수신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채널 정보를 표시하면서, 해당 채널에 대한 EPG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검색부(150)는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한다. 구체적으로, 검색부(150)는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IR 코드셋 중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에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검색부(150)는 외부 서버에 입력받은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검색부(150)는 학습을 통해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코드셋을 검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부(150)는 특정의 IR 코드가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전송되도록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하고, 전송된 IR 코드를 새로운 방송수신장치가 반응하는 경우 인식 가능한 IR 코드로 분류하고, 복수의 IR 코드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검색할 수 있다.
관리부(160)는 검색된 IR 코드셋을 기초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제어 가능한 홈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로 등록한다. 구체적으로, 관리부(160)는 제어 디바이스(100)에서 제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한 IR 코드셋,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정보를 DB로 관리하며, 관리부(160)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 정보를 DB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부(160)는 사용자의 편집 명령에 따라, 기저장된 IR 코드셋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정보를 편집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어 디바이스(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방송수신장치 추가 명령에 따라,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제어하고,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방송수신장치의 정보에 따른 IR 코드셋이 검색되도록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부(150)에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이 검색되면, 제어부(170)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레이아웃이 입력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제어하고, 새로운 방송수신장치가 제어 디바이스(100)에서 제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로 등록되도록 관리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제어하고자하는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를 제어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코드가 전송되도록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의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제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로 등록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병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100)가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모든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양방향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도 1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는 리모컨으로 구현되며 홈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방송수신장치들, 즉 TV(10-1), STB(Set top Box, 10-2), HTS(10-3)과 양방향 무선통신 및/또는 단방향 무선통신이 가능하다.
한편, HTS(10-3)이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라고 가정하면, 제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방송수신장치(10-3)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도 4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새로운 방송수신장치(10-3)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면, 제어 디바이스(100)는 기저장된 DB 내에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10-3)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하고, 검색된 IR 코드셋을 등록함으로써 새로운 방송수신장치(10-3)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100)가 복수의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해서 직접 제어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어 디바이스(100)는 TV(10-1)와 양방향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TV(10-1)에서 STB(Set top Box, 10-2), HTS(10-3)가 제어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를 설명함에 있어서, 홈 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가 3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홈 네트워크 내에 연결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어 디바이스(100)가 방송수신장치만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방송수신장치 이외에 양방향 무선통신 및/또는 단방향 무선통신이 가능한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라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등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 디바이스(100)는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동작(305),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추가하는 동작(310), 기등록된 방송수신장치를 편집하는 동작(375) 및 제어 디바이스(100)에 대한 도움말을 제공하는 동작(390)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동작(305)은 기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표시된 창을 통하여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코드를 해당 방송수신장치에 단방향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는 동작이다.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추가하는 동작(310)은 홈 네트워크에 새롭게 추가된 방송수신장치를 제어 디바이스(100)에 등록하는 동작이다.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추가하는 동작(310)은 방송수신장치 검색을 통하여 등록하는 동작(315)과 IR 코드 학습을 통하여 등록하는 동작(355)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방송수신장치 검색을 통하여 등록하는 동작(315)은 사용자로부터 외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320),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의 종류(325), 방송수신장치의 제조사(330),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335) 등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방송수신장치의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하여(340),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등록하는 동작이다. 한편, 제어 단말장치(100) 내의 DB에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이 없는 경우, 외부 서버를 통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검색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수신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등록할 수도 있다(350).
그리고 IR 코드 학습을 통하여 등록하는 동작(355)은 외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360) 및 방송수신장치의 종류(325)를 선택받고, 방송수신장치 종류에 따른 복수의 제어 명령 각각에 대한 IR 코드를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설정(370)함으로써 IR 코드셋을 등록하는 동작이다.
기등록된 방송수신장치를 편집하는 동작(375)은 제어 디바이스(100) 내에 기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편집을 입력받는 동작이다. 기등록된 방송수신장치를 편집하는 동작(375)은 기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제거하는 동작(385) 및 기등록된 IR 코드셋을 편집하는 동작(380)을 포함한다. 기등록된 IR 코드셋을 편집하는 동작(380)은 IR 코드 학습을 통하여 등록하는 동작(355)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100)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6은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400)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제1 영역(410), 방송수신장치의 제조사를 입력받는 제2 영역(420),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을 입력받는 제3 영역(430), '적용' 영역(440) 및 '버튼 추가/편집' 영역(450)을 포함한다.
제1 영역(410)은 사용자로부터 TV, VTR, STB와 같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영역이다. 제2 영역(420)은 사용자로부터 방송수신장치의 제조사를 입력받는 영역이다.
제3 영역(430)은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을 입력받은 영역으로, 해당 영역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을 직접 입력받거나, 앞서 입력된 방송수신장치의 종류 및 제조사의 정보에 따라 복수의 모델명을 표시하고 이 중 하나를 입력받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의 정보를 입력하고, '적용' 영역(440)을 선택하면, 제어 디바이스(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 추가/편집' 영역(450)을 선택하면, 해당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500)은 모델명을 입력받는 영역(510),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520), '추천 코드셋 검색'을 선택받는 영역(530), '추가 모델 검색'을 선택받는 영역(540)을 포함한다.
모델명을 입력받는 영역(510)은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을 입력받는 영역이다.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520)은 모델명을 입력받는 영역(510)에서 입력받은 모델명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검색 결과에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검색된 방송수신장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반대로, 검색 결과에 사용자가 추가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송수신장치가 없는 경우, 사용자는 '추가 모델 검색'을 선택받는 영역(540)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디바이스(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검색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00)은 외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선택받는 영역(610),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영역(620), 제조사를 입력받는 영역(630) 및 적용 영역(640) 및 '버튼 추가/편집' 영역(650)을 포함한다.
외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선택받는 영역(610)은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연결된 외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새로운 방송수신장치가 TV이고, 기설정된 외부 방송수신장치가 셋톱 박스인 경우, 사용자는 외부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선택받는 영역(610)에 셋톱박스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이 있는 상태에서, 추후에 TV에 셋톱 박스가 아닌 IPTV가 연결된 경우, 제어 디바이스(100)는 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한 동작(예를 들어,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등록받는 동작, 또는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영역(620), 제조사를 입력받는 영역(630) 및 적용 영역(640) 및 '버튼 추가/편집' 영역(650)은 도 4의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영역(410), 제조사를 입력받는 영역(420), 적용 영역(440) 및 '버튼 추가/편집' 영역(450)과 동일한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8은 기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편집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10)은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예를 들어, Blue-ray)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 특정 아이콘을 이동함으로써,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810)은 기저장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복수의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고, 해당 아이콘에 대한 형상 또는 이름을 변경함으로써, 기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대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900)은 방송수신장치(예를 들어, TV)로부터 수신된 채널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 디바이스(100)는 기등록된 해당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이용하여 해당 채널이 선택되도록 IR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6-1' 채널을 선택한 경우, 제어 디바이스(100)는 "6"에 대응하는 IR 코드, "-"에 해당하는 IR 코드, "1"에 해당하는 IR 코드 및 "enter"에 해당하는 IR 코드를 순차적으로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채널에 대한 추가 정보를 원하는 경우, "info"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디바이스(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00)은 특정 채널에 대한 EPG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EPG 정보는 현재 방송을 표시하고 있는 방송수신장치(예를 들어, TV)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으며, 제어 디바이스(100)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정보이거나, 현재 방송을 표시하고 있는 방송수신장치와 다른 방송수신장치(예를 들어,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000)을 통하여 사용자가 녹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 디바이스(100)는 해당 방송수신장치(10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EPG 정보에 대응하는 채널이 녹화될 수 있도록 이에 대응하는 IR 코드를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100)는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메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방송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메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방향 무선통신을 통해 제어되는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1110). 구체적으로, 방송수신장치의 종류를 입력받는 제1 영역, 방송수신장치의 제조사를 입력받는 제2 영역 및 방송수신장치의 모델명을 입력받는 제3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한다(S1120). 구체적으로, 입력받은 정보에 따라 IR 코드셋 DB에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기저장된 IR 코드셋 DB에 입력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외부 서버에 입력받은 정보를 전송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을 검색받을 수 있다. 또는, 학습을 수행하여 해당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IR 코드셋을 검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레이아웃을 선택받는다(S1130). 구체적으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가 지원하는 복수의 제어 명령 각각에 대해서 특정의 아이콘을 선택받을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의 아이콘에 대한 위치 등을 선택받아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레이아웃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IR 코드셋을 기초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제어 가능한 홈네트워크 내의 방송수신장치로 등록한다(S1140). 구체적으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100)가 제어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한 IR 코드셋, 방송수신장치 각각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정보를 저장하는 DB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S1150),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대응하는 IR 코드셋 중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IR 코드를 등록된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한다(S1160).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 따른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추가하고자하는 방송수신장치의 종류, 제조사 및 모델명과 같은 간단한 정보만을 입력하는 동작만으로 새로운 방송수신장치를 등록을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1과 같은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제어 디바이스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방송수신장치 110: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50: 검색부
160: 관리부 170: 제어부

Claims (12)

  1.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에 있어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 및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IR (Infrared Rays) 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IR 코드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매핑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의 IR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리모컨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R 코드를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서버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을 상기 서버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 수신하는, 제어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의 IR 코드를 편집하는, 제어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에 상기 사용자 편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에 매핑된 IR 코드를 제거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한 IR 코드를, 상기 IR 코드가 제거된 아이콘에 매핑시키는, 제어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편집 명령에 따라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아이콘의 위치, 모양 및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제어 디바이스.
  7. 제어 디바이스의 방송 수신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IR (Infrared Rays)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IR 코드를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의 IR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방송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리모컨이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IR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IR 코드를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적외선 통신을 통해서 수신하는,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서버이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을 상기 서버로부터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편집 명령에 따라,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의 IR 코드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하는 단계는,
    상기 IR 코드가 매핑된 아이콘에 매핑된 IR 코드를 제거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한 IR 코드를, 상기 IR 코드가 제거된 아이콘에 매핑시키는,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편집 명령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의 위치, 모양 및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70106885A 2017-08-23 2017-08-23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KR10189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885A KR101890906B1 (ko) 2017-08-23 2017-08-23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885A KR101890906B1 (ko) 2017-08-23 2017-08-23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247A Division KR101772653B1 (ko) 2010-12-31 2010-12-31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786A true KR20170098786A (ko) 2017-08-30
KR101890906B1 KR101890906B1 (ko) 2018-08-22

Family

ID=5976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885A KR101890906B1 (ko) 2017-08-23 2017-08-23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9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968B1 (ko) * 2002-01-18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060112390A (ko) * 2005-04-26 200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의 리모콘 학습 제어방법과 학습 제어장치
KR20060112531A (ko) * 2005-04-27 200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80063309A (ko) * 2005-09-15 2008-07-03 오픈픽 인크.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968B1 (ko) * 2002-01-18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20060112390A (ko) * 2005-04-26 2006-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젼의 리모콘 학습 제어방법과 학습 제어장치
KR20060112531A (ko) * 2005-04-27 2006-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콘의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080063309A (ko) * 2005-09-15 2008-07-03 오픈픽 인크. 디바이스 제어 시스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906B1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2653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US9277156B2 (en) Universal parallel television remote control
US77833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acro command and inputting macro command
US7436346B2 (en) System, method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of a home entertainment system via a single control device
US73756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universal remote control configuration
US92023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setup
US20130069769A1 (en) Remote control user interface for handheld device
US9800837B2 (en) Virtual control device
EP3417630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100610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KR1024022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00013660A1 (en) Pairing method and control device therefor
US201602054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levision receive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0801117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mapping in bluetooth device
US8769007B2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178455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210014572A1 (en) Display device
KR101890906B1 (ko)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JP4624268B2 (ja) 遠隔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
US20240073470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system
JP2010050792A (ja) 電子機器の制御装置
KR100539542B1 (ko) 홈 모바일 영상 시스템의 원격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966872A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p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econd device with a set top box remote control unit
KR20100074854A (ko)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 방법,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장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