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756A - 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756A
KR20170098756A KR1020170102977A KR20170102977A KR20170098756A KR 20170098756 A KR20170098756 A KR 20170098756A KR 1020170102977 A KR1020170102977 A KR 1020170102977A KR 20170102977 A KR20170102977 A KR 20170102977A KR 20170098756 A KR20170098756 A KR 2017009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usic
information
accident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윤
이민희
민아름
황윤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2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756A/en
Publication of KR2017009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7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04M1/725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preventing an accident which occurs while listening to music, and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cident preventive mobile terminal and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enables music to be played back more safely by stopping music being played on the earphon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and a predetermined noise abnormality is measured.

Description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 및 사고 방지 방법{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본 발명은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 및 사고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이동단말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음악 청취 중인 경우 외부 소음을 정확하게 들을 수 없어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마이크를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 및 사고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ident preventive mobile terminal and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 during listening to music, and it relates to an accident preventive mobile terminal and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which can prevent an accident when an earphone is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while listening to music,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and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for preventing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listening to music for measuring noise.

보행 시 이어폰을 착용하고 이동단말기로 음악 청취를 하는 것은 외부의 소리를 단절하여 자동차의 경적 또는 다른 사람들의 경고 소리를 듣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When wearing the earphones while listening to music on the mobi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frequent safety accidents occur because the outside sound is cut off and the horn of the car or other people's warning sound is not hear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5191호에 개시되어 있는 위험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은 오디오 재생 기능을 차단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어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55191 discloses a risk detec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a risk detection func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allowing the user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0812호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경고 장치 및 그 경고 방법은 경고신호발생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경고를 해주지만, 이어폰과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외부 소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70812 discloses a warning device and warning method of a portable multimedia device that alerts a user by using a warning signal generator. However, when an earphone and a mobile terminal are connec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making it detectab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5519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519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081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708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기와 이어폰이 연결되면 자동으로 외부 소음을 측정하여 기 설정된 소음 이상이 측정되는 경우 음악 재생을 멈출 수 있게 만들어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사고 방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reventing an acciden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objects and other technical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마이크 및 이어폰 연결부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로서, 상기 마이크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기 설정된 소음이상이 측정되는 경우 이어폰에 재생중인 음악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어폰이 상기 이어폰 연결부와 연결된 경우에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for preventing an accident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th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microphone and an earphone connec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is operabl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arphone to stop the music being reproduced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에 있어서, 이동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외부 소음 측정 단계 및 상기 외부 소음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이어폰에 재생중인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소음 측정 단계는 이어폰이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경우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eventing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listening to music, the method comprising: an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external noise using a microphone of a mobile terminal; And stopping the music being played back on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arphone is measured to b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wherein the step of measuring the external noise is executed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above-described problems can be solved.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폰이 이동단말기와 연결되는 경우 자동으로 외부 소음을 측정하고 기 설정된 소음 이상이 측정되는 경우 음악 재생을 중단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간소하고 안전하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만든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e external noise is automatically measur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noise level is measured, the function of stopping the music reproduction is operated. Therefore, the user can listen to the music more simply and safely I make it.

그리고 음악의 볼륨이 너무 큰 경우(기 설정된 값 이상)에도 외부 상황에 따라 음악 재생을 멈출 수 있게 만들어 외부 활동 시 보다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If the volume of the music is too large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can stop the music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situation,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operate more safely in the external activity.

또한, 이동단말기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측정하여 이동 중인 경우에만 제어부를 동작시킬 수 있어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 또는 보행 시 보다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Further, the GP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is used to measure whether the user is moving or not,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user is moving. This makes it possible to move safely such as a bicycle or a moving vehicle.

한편, 이동단말기에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외부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여 응급상황에 대비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when an impact is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to make it possible to prepare for an emergenc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단말기와 통신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의 사용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 값에 따라 실행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유무에 따라 실행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나타낸 플로어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ccident preventive mobile terminal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for preventing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music listening in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the mobile terminal for preventing an accident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music list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performed according to a volume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music listening, including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process of an accident-prevention mobile terminal that occurs during music liste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Of cour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100)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되지 않는 구성은 별도로 참조도면을 표시하였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ccident-prevention mobile terminal 100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components not shown in FIG. 1 are referred to as separate reference drawings.

본 발명은 음악 청취 중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음성 메시지, 음성 통화, 메신저 메시지 음, 알림음, 팝업음, 푸쉬음 등을 이용할 때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hile listening to music,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n using a voice message, a voice call, a messenger message tone, a notification tone, a popup tone, a push tone,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100)는 마이크(10) 및 이어폰 연결부(20)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100)를 이용한다.The mobile terminal 100 uses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microphone 10 and an earphone connection unit 20 to prevent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listening to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이크(10)는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기능으로서, 마이크(10)를 이용하여 외부의 소음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음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일 경우에 이러한 정보를 제어부(40)에 제공하여 이어폰(30)에 제공 중인 음악을 중단하여 사용자가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만든다. 마이크(10)는 A/D 컨버터를 구비하여 소리를 데이터로 변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는 제어부(40)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메모리부, 출력부, 디스플레이부, 인터페이스부, 입력부, 통신부, 카메라부, 센서부, GPS, 가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단말기(100)는 스마트기기,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0 is a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icrophone 10 measures external noise using the microphone 10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measured nois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user can stop the music being provided to the user 3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 microphone 10 may include an A / D converter to convert sound into data, and such control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40.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memory unit, an output unit, a display unit, an interface unit, an input unit, a communication unit, a camera unit, a sensor unit, a GPS, a cogging speed sensor, a gyro sensor, 100 may be provided as a smart device, a smart phone, a tablet, or the like.

이어폰 연결부(20)는 이어폰(30)과 연결될 수 있는 모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어폰 포트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모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어폰(3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어폰(30)으로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이어폰(30)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하는 경우 외부 소음을 차단하여 응급 상황에 대한 경보, 자동차의 경적소리 또는 주변 사람들의 경고소리 등을 들을 수 없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어폰(30)을 이용하여 음악을 청취중인 사용자에게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마이크(10)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 청취중인 음악의 재생을 멈추어 사용자가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소음 수치는 60 dB 이상인 경우이나 이는 사용자가 별도로 소음 수치를 설정하여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The earphone connection unit 20 provides a modul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arphone 30.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20 may be provided as an earphone por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20 may be formed as a module capable of short 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 The earphone 30 is provided as an earphone 30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luetooth, a Wi-Fi, or the like. In general, when listening to music using the earphone 30, external noises are blocked, so that an emergency alert, a horn sound of a car, or a warning sound of people nearby can not be hear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a user who is listening to music using the earphone 30 generates a nois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by using the microphone 10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by providing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 preset noise figure is more than 60 dB, but i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ly adjust the noise figure.

제어부(40)는 기 설정된 소음 이상이 측정되는 경우 이어폰(30)에 재생중인 음악 재생을 중단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 앱 등으로 구비되어 음악 중단에 대한 제어, 소음을 전송하는 동작 제어 등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메모리, 내장메모리, 외장메모리, 플래시메모리, SSD 또는 하드디스크 등에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비되어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0)는 이어폰(30)이 이어폰 연결부(20)와 연결된 경우에만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100)를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단말기(100)를 제어하지 않고 이어폰(30) 연결만으로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100)의 음악 중단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별도로 명령을 통하여 음악 중단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어폰(30) 연결만으로 자동으로 음악 중단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어 보다 간소하게 이용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earphone 30 to stop playing the music being reproduced when a predetermined noise abnormality is measured. The control unit 40 is provided with software, hardware, applications, and applications, and can perform overall control over music interruption, operation control for transmitting nois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may be provided in software such as a memory, an internal memory, an external memory, a flash memory, an SSD, or a hard disk to perform overall control of the accident-preventing mobile terminal 100, to b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ccident-prevention mobile terminal 100, which occurs during music listening, only when the earphone 30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20.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use the music stop function of the accident preventive mobile terminal 100, which is generated during listening to music, only by connecting the earphone 30 without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00, 100) is availab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music stop function automatically only by connecting the earphone 30 so that the music stop function can be used more simply.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제어부(40)는 재생중인 음악이 기 설정된 볼륨 값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기 설정된 볼륨 값 이상으로 음악을 청취중일 경우에 외부 소음(소리)을 잘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 설정된 볼륨 값 이상으로 음악 볼륨이 설정된 경우 소음이 측정되었을 때 재생 중인 음악을 중단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만든다. 기 설정된 볼륨 값은 볼륨 값 최대치의 50% 이상일 경우에 동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o operate when music being reproduced is set to a predetermined volume value or more. This is because it does not recognize the external noise (sound) when listening to music above the preset volume value, so if the music volume is set above the preset volume value, it will stop the music being played when the noise is measured Making it possible for users to listen to music more safely. The predetermined volume value may be operated when the volume value is 50% or more of the maximum volume valu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중일 경우 제어부(40)가 동작되도록 마련된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동 중일 경우에만 제어부(40)를 이용하여 음악 중단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게 만들어 보다 안전하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만든다. 즉 이동 중이 아닌 경우는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거나 안전한 장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제어부(40)를 동작시키지 않고, 이동 중인 경우에만 제어부(40)를 동작시켜 기 설정된 소음 이상이 측정되는 경우 재생 중인 음악을 중단 시키는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게 만들어 보행 중 또는 자전거와 같은 이동수단 이동 중 주위가 산만할 수 있는 상황에서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1 and 3, it is determined whether a user is moving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f the user is moving, (40) is operated. This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music stop function by using the control unit 40 only when the user is moving and to be able to hear the music more safely. In other words, if the user is not moving, the control section 40 is operated only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control section 40, assuming that the user is resting or staying in a safe plac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function of stopping the music, thereby providing an arrangement for coping with an emergency situation in a circumstantial state during walking or moving means such as a bicycl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2를 참고하면,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고 발생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고 발생 유무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에서 기 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급격한 위치 변화가 생기거나 장시간 특정 위치에 머물러 있는 경우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단말기(100)의 통신부를 이용하여 외부단말기(200)로 사고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40)에서 음악 중단 기능을 동작시킨 이후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단말기(200)로 사고 발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단말기(200)는 다른 이동단말기(100), 서버, 공공기관에 구비되는 단말기, 119에 구비되는 단말기, 112에 구비되는 단말기, 병원에 구비되는 단말기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응급 상황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인 또는 국가 기관에 연락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구체적으로 사고 발생 정보는 충격의 크기에 대한 정보, 충격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사고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응급실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고 당시의 응급 상황을 개인 또는 기관에 정보를 전달하여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충격의 크기에 대한 정보, 충격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사고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응급실에 대한 정보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when an accident has occurred or a sudden change in position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GPS,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And to transmit the in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using th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after the music stop function is operated in the control unit 40,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GPS,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the occurrence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The external terminal 200 refers to another mobile terminal 100, a server, a terminal provided in a public institution, a terminal provided in the terminal 119, a terminal provided in the terminal 112, a terminal provided in the hospital, It is a terminal that can be contacted to an individual or state agency. Specifically, the in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te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the impact,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time of the impac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movement route, As shown in FIG.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o that the emergency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can be communicated to an individual or an institution to respond more quickly. Information about the magnitude of the impact, information about the time of the impact,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route, and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room nearest to the accident location can be measured using GPS, acceleration sensor, or gyro sensor .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이어폰(30)은 커널형 이어폰으로 구비된다. 커널형 이어폰 외이도에 삽입하는 형태로 오픈형 보다 외부 소음 차단 능력이 뛰어나 외부 소음 차단으로 인하여 자전거를 탈 때나 보행 중에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된다. 커널형 이어폰의 경우 음악 청취에 뛰어난 효과를 제공하지만 그만큼 외부 소음을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커널형 이어폰 사용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phone 30 is provided as a canal type earphone. It is inser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canal type earphone, so it has more ability to block external noise than the open type, and frequent safety accidents occur when riding a bicycle or walking while walking. Kernal earphones offer an excellent effect on listening to music, but they do not deliver any external noise, which makes it possible for these cannular earphone users to use the product more safely.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마이크(10)에서 측정된 소음은 이어폰(30)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어폰(30)의 특성상 이어폰(30)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외부 소음이 잘 안 들리기 때문에 기 설정된 소음 이상이 측정되는 경우 음악 재생을 멈추고 마이크(10)에서 측정된 소음을 이어폰(30)으로 전송하여 외부 상황을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40)에서 제어할 수 있게 만들어 사용자가 주변 상황에 즉각 반응할 수 있게 만드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measured at the microphone 10 may be provided to provide the earphone 30 with noise. That is, when the earphone 30 is wor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phone 30, external noise is not heard well. 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noise abnormality is measured, the music reproduction is stopped and the noise measured by the microphone 10 is transmitted to the earphone 30 So that the control unit 40 can control the external situation immediately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react to the surrounding situ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은 외부 소음 측정 단계(S10) 및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S20)로 구성된다.The method for preventing an accident occurring during listening to mus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10) and a music stop step (S20).

도 4를 참고하면, 외부 소음 측정 단계(S10)는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마이크(10)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을 측정하고 소음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제어부(40)로 이러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S10)이다. 즉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는 사용자 주변에 응급 상황이 발생되거나 사용자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상황을 해결할 수 있게 만든다. 외부 소음 측정 단계(S10)는 이어폰(30)이 이동단말기(100)와 연결된 경우에 실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어폰(30)을 이동단말기(100)의 이어폰 연결부(20)와 연결한 경우 사용자는 이어폰(30)을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할 것으로 판단하고 이동단말기(100)의 마이크(10)를 이용하여 주변의 소음을 측정할 수 있게 만든다. 이는 이어폰(30)을 이용하는 상황에서만 소음을 측정할 수 있어, 이동단말기(100)의 배터리 소모를 줄이고, 이어폰(30) 사용 시에만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단말기(100)를 이용할 수 있게 만든다. 또한, 사용자가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의 별도로 실행하지 않고 이어폰(30)이 연결된 것만으로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실행할 수 있어 보다 간소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4, the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10 measures the external noise using the microphone 10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control unit 40 when the nois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S10).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generated,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around the user or a situation where the user should pay attention, so that the user can solve the situation more safely. The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10 may be performed when the earphone 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at is, when the user connects the earphone 30 to the earphone connection unit 2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earphone 30 is to be used to reproduce the music and uses the microphone 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easure the surrounding noise. This can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enable the use of the accident prevention method during music listening only when the earphone 30 is used, Thereby making the mobile terminal 100 availabl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user can perform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simply by connecting the earphone 30 without separately executing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so that the earphone 30 can be used more simply.

도 4를 참고하면,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S20)는 외부 소음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이동단말기(100)와 연결된 이어폰(30)에 재생 중인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S20)이다. 이는 이어폰(30)에 재생중인 음악을 중단하여 사용자가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만들어 응급 상황에 대체할 수 있게 만든다. 이어폰(3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대부분 외부 소음을 제대로 들을 수 없었으나, 본 발명은 음악 재생을 중단함으로써, 응급 상황에 대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든다.Referring to FIG. 4, stopping the music (S20) is a step (S20) of stopping the music being played to the earphone 3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external noise is measur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is stops the music being played on the earphone 30 so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replace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case of the user using the earphone 30, most of the external noise can not be properly heard, but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emergency by stopping the music reproduc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5를 참고하면, 외부 소음 측정 단계(S10)는 재생중인 음악이 기 설정된 볼륨 값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실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재생 중인 음악의 볼륨 값 최대치의 50% 이상으로 볼륨 값이 설정되는 경우에만 외부 소음 측정 단계(S10)를 실행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이는 볼륨 값이 기 설정된 볼륨 값 이하인 경우 사용자가 충분히 외부 소음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사용자가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기 설정된 볼륨 값이 상이 되면 사용자가 외부 소음에 잘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악을 중단할 수 있게 만들어 외부 소음에 대처할 수 있게 만든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the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10 may be provided to be executed when the music being reproduced is set to a predetermined volume value or more.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but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the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10 only when the volume value is set to 50% or more of the maximum volume value of the music being reproduced. If the volume valu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olum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can cope with the external noise sufficiently. Therefore, the user can use it without using the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Which makes it possible to stop the music and cope with external nois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6을 참고하면,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 중일 경우 상기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S10)가 실행되도록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경우에만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게 만들어 이동 중에 보다 안전하게 음악을 청취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6, it is determined whether a user is moving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f the user is moving, And the step of measuring (S10) is performed. This makes it possible to use an accident prevention method that occurs during listening to music only when the user is mov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listen to music more safely on the mov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도 7을 참고하면,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S20) 이후, 이동단말기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고 발생 정보를 외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S20) 이후에 이동단말기(100)에서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여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외부단말기(200)로 사고 발생 정보를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만든다. 구체적으로 사고 발생 정보는 충격의 크기에 대한 정보, 충격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사고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응급실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로 구비된다. 이는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after stopping music (S2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or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S30) of transmitting the in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cident occurred.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fter the step S20 of stopping the music.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he incid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so that quick action can be taken. Specifically, the in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ite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formation on the magnitude of the impact,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time of the impac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movement route, Respectively.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information so that emergency response can be done more quickly.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와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10 : 마이크, 20 : 이이폰 연결부,
30 : 이어폰, 40 : 제어부,
100 : 이동단말기,
200 : 외부단말기,
S10 : 외부 소음 측정 단계,
S20 :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
S30 : 사고 발생 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10: microphone, 20: ear phone connection part,
30: earphone, 40: control unit,
100: mobile terminal,
200: external terminal,
S10: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20: stopping the music,
S30: Transmitting the in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Claims (3)

마이크(10) 및 이어폰 연결부(20)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100)로서,
상기 마이크(10)를 이용하여 외부의 소음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소음이 기 설정된 소음 이상인 경우 이어폰(30)에 재생중인 음악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며,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이어폰(30)이 상기 이어폰 연결부(2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재생중인 음악이 기 설정된 볼륨 값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외부의 소음을 측정하며,
상기 기 설정된 볼륨 값은 볼륨 값 최대치의 50% 이상일 경우이고,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고 발생 정보를 외부단말기(200)로 전송하며,
상기 사고 발생 정보는 충격의 크기에 대한 정보, 충격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사고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응급실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microphone (10) and an earphone connection part (20)
The external noise is measured using the microphone 10,
Controls the earphone (30) to stop playing music when the measured noise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noise,
A controller (40) for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moving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at the music being played is set to a predetermined volume value or more and that the user is moving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nly the external noise is measured,
The preset volume value is 50% or more of the maximum volume value,
The mobile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or not an accident has occurred by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he occurren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impact,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time of the impac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movement route, Wherein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0)은 커널형 이어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이동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arphone (30) is a canal type earphone.
이동단말기(100)의 마이크(10)를 이용하여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외부 소음 측정 단계(S10);
상기 외부 소음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연결된 이어폰(30)에 재생중인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S20); 및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소음 측정 단계(S10)는 이어폰(30)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재생중인 음악이 기 설정된 볼륨 값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이동 중이라고 판단되는 경우만 실행되며,
상기 기 설정된 볼륨 값은 볼륨 값 최대치의 50% 이상일 경우이고,
상기 음악을 중단하는 단계(S20) 이후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구비되는 GPS,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고 발생 정보를 외부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고 발생 정보는 충격의 크기에 대한 정보, 충격 발생 시간에 대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 및 사고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의 응급실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청취 중 발생되는 사고 방지 방법.
An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10 for measuring external noise using the microphone 10 of the mobile terminal 100;
Stopping the music being played on the earphone (3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external noise is measured to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S20); And
Determining whether a user is moving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The external noise measurement step S10 may be performed when the earphone 3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music being played is set to a predetermined volume value or more, and the user is moving It is executed only when it is judged,
The preset volume value is 50% or more of the maximum volume value,
After stopping the music (S20)
Determining whether an accident has occurred using at least one of a GP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accident has occurred, transmitting the in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external terminal 200 (S30 ),
The accident occur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formation on the size of the impact,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time of the impac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movement route, Wherein the music is played back while the music is being played.
KR1020170102977A 2017-08-14 2017-08-14 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 KR201700987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77A KR20170098756A (en) 2017-08-14 2017-08-14 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977A KR20170098756A (en) 2017-08-14 2017-08-14 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791 Division 2016-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756A true KR20170098756A (en) 2017-08-30

Family

ID=5976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977A KR20170098756A (en) 2017-08-14 2017-08-14 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7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075B1 (en) Open ear audio device with bone conduction speaker
US9462100B2 (en) Method and earpiece for visual operational status indication
US81948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ound detection and audio control
CN112203206B (en) Microphone hole blockage detec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
WO2014173189A1 (en) Control method for incoming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50223271A1 (en) Wireless security device and method to place emergency calls
WO2009112092A1 (en) Reactive headphones
JP2018060403A (en) Sound output device and portable device
EP4164243A1 (en) Active sound device utilizing audio recognition
EP3162082B1 (en) A hear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enabling monitoring mode within said hearing device
US11388498B1 (en) Binaural hearing device with monaural ambient mode
TW201421355A (en) Multi-mode audio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KR20170103539A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ring pattern using the mobile device and headset
KR20170098756A (en) Mobile terminal of accident prevention that occur during music listening and accident prevention method
US20160330538A1 (en) Audio interrupter alertness device for headphones
KR101861357B1 (en)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US11722813B2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for hearing protection devices
US20230381025A1 (en) Situat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safety in hearing prote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KR101341064B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US994081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phone loss prevention function by means of bluetooth earphones
JP2021052262A (en) Sound output control device, sound volum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5177439A (en) Electronic apparatus, voice out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4085651A1 (en) Headset and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data
KR20080058306A (en) Sleepiness prevention head ear-set and vehicle immediacy travelling control device thereof uses
CN115373509A (en) Riding safety control method, mobile terminal, weara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