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362A -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362A
KR20170098362A KR1020160019755A KR20160019755A KR20170098362A KR 20170098362 A KR20170098362 A KR 20170098362A KR 1020160019755 A KR1020160019755 A KR 1020160019755A KR 20160019755 A KR20160019755 A KR 20160019755A KR 20170098362 A KR20170098362 A KR 20170098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yment
merchant
terminal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6001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8362A/ko
Publication of KR20170098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3Monitoring of device authentication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은, 코드이미지를 입력받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부를 통해 가맹점매체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정보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매체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매체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Method for Providing Reverse Direction Payment by using Code Image}
본 발명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를 통해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내지 판독하여 특정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가맹점매체를 보유한 가맹점에서 상기 가맹점매체와 매핑하여 등록한 결제정보를 제공받아 역방향으로 결제 처리하는 것이다.
종래 오프라인 가맹점 결제를 고객이 본인이 소지한 카드나 휴대폰을 가맹점 측에 제시하면, 가맹점에 구비된 결제단말에서 고객의 카드나 휴대폰을 리딩하여 밴(VAN)을 거쳐 카드사로 결제 요청하는 흐름(=순방향 흐름)으로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오프라인 가맹점 결제의 경우 순방향 흐름을 위해 상기 순방향 흐름의 시작점이 되는 결제단말을 가맹점 내에 구비하여야 하며, 각 가맹점에서 순방향 흐름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한다.
최근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POS단말로 주문한 후, 매장의 POS단말이 아닌 사용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결제하는 역방향 주문결제 방법이 제안되었다(특허공개공보 제10-2012-0011776호(2012.02.08)).
그러나 종래 제안된 역방향 주문결제는 단지 사용자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결제한다는 점에서 역방향 흐름을 지니고 있을 뿐, 여전히 역방향 주문을 위해 오프라인 매장의 POS단말을 이용하므로, 역방향 주문을 접수 가능한 POS단말을 구비하지 않거나, 설사 POS단말을 구비하였더라도 사용자 스마트폰을 통한 주문을 접수하는 기능과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를 통해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내지 판독하여 특정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를 인식하고, 상기 가맹점매체를 인식한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매체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무선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은, 코드이미지를 입력받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부를 통해 가맹점매체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정보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매체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매체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유정보는 가맹점매체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유정보는 가맹점매체에서 다른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하는 동적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고유 생성한 동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에서 상기 가맹점매체에서 중복되지 않게 고유 생성한 동적코드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고유정보와 함께 매핑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는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스티커 매체, 인쇄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매체, 카드 형태로 제작된 카드형 매체,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휴대하는 휴대형 매체, 가맹점에 거치되는 거치형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인식된 고유정보를 판독하여 가맹점매체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코드체계로 이루어져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서버를 통해 유효성이 인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를 보유한 가맹점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서버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서버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서버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을 포함하여 어떤 사용자 단말로도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인식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인식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인식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을 포함하여 어떤 사용자 단말로도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가맹점에 POS단말과 같은 결제단말을 구비하지 않고, 오프라인 가맹점에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인식 가능한 별도의 가맹점매체를 구비한 후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가맹점을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와 매핑 등록한 결제정보를 제공받아 POS단말이나 별도의 가맹점단말을 통해 결제 절차 없이도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를 역방향으로 처리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맹점 주(또는 직원)은 본인이 소지한 무선단말의 앱에 결제금액을 입력하는 단순 행위만으로 사용자(=가맹점매체를 인식한 무선단말의 사용자)에게 결제금액의 결제를 요청하여 POS단말이나 별도의 가맹점단말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통해 역방향으로 결제를 처리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결제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맹점매체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결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를 통해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내지 판독하여 특정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에서 상기 가맹점매체(270)와 매핑하여 등록한 결제정보를 제공받아 결제 처리하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1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1의 무선단말(1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은, 제어부(102)와 메모리부(124)와 화면 출력부(104)와 사용자 입력부(106)와 사운드 처리부(108)와 카메라부(110)와 블루투스부(112)와 NFC부(114)와 근거리망 통신부(116)와 무선망 통신부(118)와 위치 측위부(122)와 USIM 리더부(120)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130) 구성을 본 제어부(1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124)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1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24)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1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13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124)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06)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1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08)는 사운드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08)는 사운드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신호를 지정된 엔코딩(Encoding) 규칙에 따라 엔코딩하여 상기 제어부(102)로 전달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카메라에 대응되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CCD에 입력된 비트맵 형태의 화상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는 정지 영상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영상 형태의 동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부(112)는 일정 거리(예컨대, 최대 100m) 내에서 페어링 기반의 양방향 블루투스 무선 통신, 비동기식 무선 통신(예컨대, 요청/응답이 비동기식으로 처리되는 무선 통신), 단방향 무선신호(예컨대,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방송하는 비콘신호) 송출/수신 중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규격 4.0(예컨대, 블루투스 스마트) 이후의 규격에 따라 블루투스 기반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부(112)는 블루투스 기반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무선신호에 포함된 신호데이터를 제어부(102)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02)에서 전달하는 신호데이터를 블루투스 기반 무선신호를 포함시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NFC부(114)는 근접 거리(예컨대, 10cm 내외)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양방향 근접 무선 통신, 전이중 근접 무선 통신, 반이중 근접 무선 통신 중 하나 이상의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NFC부(114)는 ISO 18000 시리즈 규격의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3.56Mz 주파수 대역 이외의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NFC부(114)는 리더 모드로 동작하거나, 태그 모드로 동작하거나, 양방향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와 근거리망 통신부(116)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100)은 무선망 통신부(118)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16)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16)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118)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116)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USIM 리더부(120)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12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부(122)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측위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단말기 방식 측위,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방식 측위, 상기 단말기 방식과 네트워크 방식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측위 기술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단말기 방식 측위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내장된 GPS모듈(또는 GPS 기능을 내장한 모듈)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를 정밀 측위하는 기술로서, GPS위성에서 보내는 위치신호를 무선단말(100)이 읽어 기지국에 알려주는 A-GPS (Assisted-GPS) 방식, 지상의 기준 수신기로부터 보정신호를 받아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신호의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제어부(102)는 근거리망 통신부(116)와 무선망 통신부(118)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에 대응하는 프로그램(130)을 다운로드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프로그램(130)은 지정된 절차에 따라 실행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상기 카메라부(110)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활성 처리부(135)와,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부(110)를 통해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정보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하는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가맹점매체(270)로부터 인식된 인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가맹점매체 인증부(145)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가맹점은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결제를 위해 비트 열 형태의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하는 가맹점매체(27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은 POS단말과 같은 가맹점단말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역방향 결제를 위한 필수 사항은 아니며, 오프라인 가맹점에 가맹점단말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다만 오프라인 가맹점에는 역방향 결제를 위한 결제금액을 입력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에 매핑 등록 가능한 단말기를 구비하면 족하며, 예컨대 상기 결제정보를 등록하는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이용하는 무선단말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비트 열 형태의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이미지를 표시한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스티커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가 인쇄된 인쇄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구비한 카드 형태로 제작된 카드형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구비하며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휴대하는 휴대형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구비하며 가맹점에 거치되는 거치형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가맹점매체(270)가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의 가맹점에서 동시에 복수의 가맹점매체(270)를 보유(예컨대, 주유소의 경우 각 주유기 별로 가맹점매체(270)를 보유 가능)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가맹점매체(270)가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구비한 매체 중의 하나인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스티커 매체 또는 인쇄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맹점매체(270)가 스티커 매체 또는 인쇄 매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드이미지는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예컨대, 고유 설정된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다른 가맹점에 구비된 다른 가맹점매체와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는 특정 가맹점에서 보유한 특정 가맹점매체(270)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는 해당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정보와 매핑되어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특정 가맹점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이미지는 2차 평면에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한 이미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QR코드, 데이터매트릭스, 맥시코드, PDF-417 규격 중 적어도 하나의 규격에 따른 2차원바코드 형태의 코드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고유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다른 가맹점매체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중복되지 않게 고유하게 할당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며, 가맹점 주(또는 직원)의 조작이나 또는 지정된 무선 인터페이스 절차에 따라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데이터를 2차 평면에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고유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다른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하는 동적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코드생성규칙이 구비되어 있으며, 가맹점 주(또는 직원)의 조작이나 또는 지정된 무선 인터페이스 절차에 따라 다른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하는 동적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동적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적코드를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데이터를 2차 평면에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고유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상기 제1 내지 제2 고유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의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데이터를 2차 평면에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고유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고유정보는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임을 판독 가능한 지정된 코드체계(예컨대, 자릿수, 코드배열규칙, 고유한 첵섬규칙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을 통해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고유정보와 함께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정보데이터를 2차 평면에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씨드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유정보가 씨드값 중의 하나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시간동기식 일회용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내부 전원을 이용하여 타이머를 구동하고, 상기 타이머를 통해 획득되는 시각 값을 동적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00)이나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시각 값을 전달받아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다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근거리 통신을 사용자 무선단말(100)이나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난수 값이나 지정된 고유 값을 전달받아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유정보가 가맹점매체(270)(또는 가맹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이용되는 한편,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매체(270)(또는 가맹점)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이용된다.
상기 활성 처리부(13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카메라부(110)가 상기와 같은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카메라부(110)가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활성 처리부(13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카메라부(110)를 상기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활성화 처리하거나, 또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카메라부(110)를 활성화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처리부(135)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110)가 상기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활성화된 상태임이 확인되면,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는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부(110)를 통해 가맹점매체(270)를 촬영하여 상기 카메라부(110)로 입력된 코드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비트 열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정보데이터에 대응하는 비트 열을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고유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무선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부(110)의 시선방향을 가맹점매체(270)로 지향하면,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는 상기 카메라부(110)의 시선방향에서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상기 화상데이터 내에 인식 가능한 코드이미지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화상데이터 내에 코드이미지가 확인되면 상기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비트 열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정보데이터의 상기 비트 열을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고유정보 이외에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동적 생성할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를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정보데이터로부터 인식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가맹점매체 인증부(145)는 상기 인식정보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로부터 인식된 정보인지 인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맹점매체 인증부(145)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가 아직 어떤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로부터 인식된 정보인지까지는 인증할 수 없더라도(만약 무선단말(100)의 메모리부(124)에 인식정보와 비교 가능한 정보가 저장된다면 어떤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인지가지 인식 가능), 적어도 상기 인식된 인식정보가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로부터 인식된 정보인지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는 지정된 코드체계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맹점매체 인증부(145)는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의 코드체계를 판독(예컨대, 자릿수, 코드배열, 첵섬 등)하여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가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인지 인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상기 고유정보와 함께 가맹점매체(270) 내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는 상기 고유정보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를 통해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는 인식정보가 인식되면, 상기 가맹점매체 인증부(145)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데 적용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각종 씨드값을 이용하여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검증코드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 인증이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매체 인증부(145)는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다만 이 경우 상기 일회용코드는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되어 운영서버(200)로 전송되어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인증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하는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와, 상기 구성된 매체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하는 매체인식정보 전송부(155)와,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결제정보 수신부(160)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를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결제정보 표시부(16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할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에 상기 프로그램(130)이 다운로드 설치된 후 최초 실행(또는 가입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프로그램(130)을 설치 실행한 상태의 무선단말(100)을 식별 인증받기 위한 고유인증정보를 생성하여(또는 할당받아) 상기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운영서버(200)에도 등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에 상기 프로그램(130)이 다운로드 설치된 이후에 별도로 중복되지 않고 고유하게 생성(또는 할당)된 코드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는 상기 프로그램(130)을 다운로드 설치 전부터 상기 무선단말(100)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MSISDN, IMSI, IMEI, UICC_ID 등)가 할당/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100)을 식별하는 정보일 뿐, 상기 프로그램(130)을 설치 실행한 상태의 무선단말(100)을 식별하지는 못하며(즉, 고유식별정보만으로는 해당 무선단말(100)에 상기 프로그램(130)이 설치 실행한 상태라고 인증 불가), 상기 프로그램(130)을 설치 실행한 상태의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해 상기 무선단말(100)에 상기 프로그램(130)이 설치 실행된 후 상기 프로그램(130)을 통해 상기 고유인증정보가 생성/할당되어 상기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를 통해 인식된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인증정보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정보에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측위부(122)를 통해 측위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시점 내지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프로그램(130))을 통해 동적 생성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예컨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지정된 씨드값을 대입하여 생성한 코드값)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시점 내지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매체 인식부(140)를 통해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는 전송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매체인식정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구성부(150)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8 매체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에 포함된 정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매체인식정보 전송부(155)는 상기 제1 내지 제9 매체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구성된 매체인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고유인증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운영서버(200)에 상기 프로그램(130)을 설치 실행한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한 고유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등록된 고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운영서버(200)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등록된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값을 이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운영서버(200)에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구비한 가맹점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정보의 인증은 보조적 인증수단이다. 예를들어, 가맹점이 배달업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는 위치는 가맹점의 매장이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예컨대, 집, 사무실 등)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와 가맹점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는 매칭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프로그램(130))을 통해 동적 생성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프로그램(130))에서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값을 이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에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이미지가 표시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 또는 사용자가 본인 무선단말(100)을 통해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하려는 행위를 하기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해 역방향 결제하기 위한 결제금액을 입력받고,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200)를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매핑 등록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정보(예컨대, 결제금액과 함께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수신된 가맹점정보, 또는 운영서버(200)에 기 등록된 가맹점정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해당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유사하게 상기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인식하여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인식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가 해당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하는 동적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동적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과 동일한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하는 동적코드와 동일한 동적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생성된 동적코드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정보를 등록받아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상기 가맹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결제금액과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와 해당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지정된 프로그램을 설치 실행한 상태를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등록받아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경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와 해당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등록받아 매핑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경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와 해당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제6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합한 형태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될 수 있으며,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제1 내지 제7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언제든 몇 번이든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매핑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하는 시점에는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받을 사용자 무선단말(100)이 특정되지 않은 상태이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운영서버(200)로 전송하는 시점에 비로소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결제정보를 제공할 사용자 무선단말(100)이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언제든 몇 번이든 등록되는 결제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할 어느 한 결제정보를 특정하기 위해 시간정보, 순서정보, 이력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시간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각각의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순서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각각의 결제정보가 등록된 후 어느 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된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제1 내지 제9 매체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여 구성된 매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생략 가능)한 후,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에서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매핑 등록되고 최근에 등록된 어느 한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예컨대, 2분, 1분30초, 1분, 30초, 10초 등)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지정된 타임아웃)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정보가 매핑 등록되기를 대기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결제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하나의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가 실시간 등록되어 둘 이상의 등록된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등록된 순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 중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언제든 몇 번이든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등록할 수 있듯이, 사용자 무선단말(100) 역시 언제든 몇 번이든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결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동일한 결제정보를 반복 제공할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데 방해될 수 있음)하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라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이외에 다른 무선단말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점에 특정 가맹점 내에서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이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 중 어느 무선단말이라도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맹점에 방문한 복수의 고객들이 동시(또는 같은 시간대)에 자신의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방향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더라도 그 결제정보는 이미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다른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이중 제공할 경우 같은 결제정보가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이중 결제 될 수 있음)하다. 이러한 이중 결제를 방지하기 위해 가맹점 주(또는 직원)은 순차적으로 역방향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통제할 수 있으며, 일단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결제정보가 정당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된 이후에는 언제라도(예컨대, 결제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역방향 결제가 완료되기 전이라도)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를 등록하여 다른 무선단말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등록된 결제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전송하는 매체인식정보에 해당 무선단말(100)에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나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결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예컨대, 2분, 1분30초, 1분, 30초, 10초 등)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지정된 타임아웃)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정보가 매핑 등록되기를 대기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결제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하나의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가 실시간 등록되어 둘 이상의 등록된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등록된 순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 중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언제든 몇 번이든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등록할 수 있듯이, 사용자 무선단말(100) 역시 언제든 몇 번이든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결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동일한 결제정보를 반복 제공할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데 방해될 수 있음)하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라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이외에 다른 무선단말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점에 특정 가맹점 내에서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이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 중 어느 무선단말이라도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맹점에 방문한 복수의 고객들이 동시(또는 같은 시간대)에 자신의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방향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더라도 그 결제정보는 이미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다른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이중 제공할 경우 같은 결제정보가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이중 결제 될 수 있음)하다. 이러한 이중 결제를 방지하기 위해 가맹점 주(또는 직원)은 순차적으로 역방향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통제할 수 있으며, 일단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결제정보가 정당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된 이후에는 언제라도(예컨대, 결제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역방향 결제가 완료되기 전이라도)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를 등록하여 다른 무선단말로 결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정보 수신부(160)는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정보 표시부(165)는 상기 결제정보 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무선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된 결제정보에 대응하는 결제금액이 자신이 결제할 결제금액에 대응하는지 인지하도록 처리한다. 일단 결제정보 수신부(160)를 통해 결제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결제정보 표시부(165)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가 표시된 이후, 사용자는 본인의 무선단말(100)을 이용하여 언제든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포기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결제정보가 표시되었다고 하여 결제가 완료된 것이 아니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결제정보가 수신됨에 의해 비로소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한 결제를 개시할 준비가 완료된 것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절차 수행부(170)를 구비하며,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를 확인하는 결제결과 확인부(175)와, 상기 확인된 결제결과를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한 운영서버(200)로 전송하는 결제결과 제공부(18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결제정보 수신부(160)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함에 따른 결제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결제정보 표시부(165)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가 표시되면,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70)는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이 복수인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할 결제수단을 선택받고, 상기 선택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이 하나라면, 상기 결제수단을 선택받는 절차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70)는 지정된 결제시스템(255)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200)와 연계된 결제시스템(255)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결제 절차를 위해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결제시스템(255) 상의 지정된 매체(예컨대,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발급사서버, 또는 발급사서버와 연계된 보안서버 등)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70)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할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앱을 구동하고, 상기 구동된 결제앱으로 상기 결제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예컨대, 프로세스 간 통신을 통해 결제정보를 공유 전달하거나 또는 구동된 결제앱이 지정된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결제정보 수신부(160)를 통해 수신된 결제정보와 동일한 결제정보를 수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된 결제앱은 지정된 결제시스템(255)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운영서버(200)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200)와 연계된 결제시스템(255)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앱은 상기 결제 절차를 위해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결제시스템(255) 상의 지정된 매체(예컨대,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발급사서버, 또는 발급사서버와 연계된 보안서버 등)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지정된 매체에 등록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결제결과 확인부(175)는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70)(또는 별도의 구동된 결제앱)을 통해 수행된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결제결과를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상기 결제결과 제공부(180)는 상기 결제결과 확인부(175)를 통해 확인된 결제결과를 상기 운영서버(2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200)에서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가 완료(예컨대, 결제승인, 결제오류 등)되었음을 인지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70)를 통해 수행된 결제 절차가 상기 운영서버(200)를 경유하여 수행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200)에서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를 자동 인지한 경우, 상기 결제결과 제공부(18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결제결과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결과를 대응하는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상기 결제결과를 제공함으로써, 가맹점 주(또는 직원)으로 하여금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해 역방향 결제가 완료(예컨대, 결제승인, 결제오류 등)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270)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오프라인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매체(270)를 이용하여 역방향 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역방향 결제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도면1에 도시된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오프라인 상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품/서비스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가맹점 측에서 이용하는 가맹점의 단말기(260)와,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매체(270)와, 상기 사용자 무산단말의 프로그램(130)과 연동하거나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역방향 결제를 위한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운영서버(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소유(또는 소지)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100)을 포함하며,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기능 구성을 구비한 프로그램(130)이 설치 실행된다. 이하,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주체로 하는 설명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설치된 프로그램(130)을 통해 실행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오프라인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며,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함에 의해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함으로써, 이를 트리거(Trigger)로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이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하는 과정이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는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조작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가맹점에서 운영하거나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소지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고,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에 매핑 등록하는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별도의 지시가 없더라도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주체로 하는 설명은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가맹점에 구비되는 가맹점매체(270)는 상기 오프라인 가맹점 측에 구비되어 역방향 결제를 위해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인식되는 매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지정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상기 코드이미지를 표시한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스티커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가 인쇄된 인쇄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구비한 카드 형태로 제작된 카드형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구비하며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휴대하는 휴대형 매체, 상기 코드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출력영역을 구비하며 가맹점에 거치되는 거치형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가맹점매체(270)가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의 가맹점에서 동시에 복수의 가맹점매체(270)를 보유(예컨대, 주유소의 경우 각 주유기 별로 가맹점매체(270)를 보유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고유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대응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코드이미지에 부호화하여 표시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데이터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지 가맹점의 단말기(260)와 통신하며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결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관리하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받는 절차와,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구성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운영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결제를 위해 지정된 하나 이상의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 측 구성의 총칭으로 물리적인 서버장치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운영서버(200)는 기 구비된 서버장치(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과 연동하는 앱서버 등)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 내지 가맹점의 단말기(260)와 통신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특정한 물리적 서버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사용자 무선단말(100) 또는 가맹점의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방향 결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205)를 구비한다.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지정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설치하고 최초 구동(또는 회원 가입 또는 가맹점 가입) 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상기 프로그램을 설치 실행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 부여할 고유인증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의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가맹점 가입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 가입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역방향 결제에 이용될 가맹점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정보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운영서버(200)로 등록하는 결제정보에 가맹점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정보의 등록은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 가입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가맹점관련정보(예컨대, 상호, 주소, 전화번호, 연락처, 대표자정보, 사업자번호 등)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관련정보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인증정보(또는 가맹점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매체(270)를 구매하여(또는 공급받아) 구비한 경우,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가맹점매체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매체 등록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인증정보(또는 가맹점정보)와 매핑 저장된다. 한편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결제정보 등록 시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함께 등록하는 경우,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는 미리 등록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동적 생성하는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매체 인증정보(예컨대, 가맹점매체(270)에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씨드 값, 가맹점매체(270)에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등)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가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인증되는 경우, 상기 매체 인증정보는 상기 코드인증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정보 셋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체 인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매핑 저장되거나, 또는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인증정보(또는 가맹점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가맹점 접속이나 결제정보 등록을 위해 가맹점 측 비밀번호(예컨대, 가맹점 PIN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가맹점 측 비밀번호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측 비밀번호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 측 비밀번호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고, 가맹점 단말기(260)의 내부 인증 절차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가맹점 접속이나 가 결제정보 등록을 위해 일회용의 가맹점 측 인증코드(예컨대,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동적 생성하는 가맹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가맹점 측 인증정보(예컨대,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가맹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씨드 값,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가맹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등)를 확인 또는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동적 생성한 가맹점 측 인증코드가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인증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 측 인증정보는 상기 코드인증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동적 생성한 가맹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정보 셋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 측 인증정보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지정된 프로그램(130)이 다운로드 설치하고 최초 구동(또는 회원 가입) 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사용자 무선단말(100)(또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 부여할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결정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또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고유 식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상기 고유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도 저장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여(또는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는 매체 인식 또는 상기 매체 인식 기반의 역방향 결제를 인증받기 위한 사용자 측 비밀번호(예컨대, 사용자 PIN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고,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는 매체 인식 또는 상기 매체 인식 기반의 역방향 결제를 인증받기 위해 일회용의 사용자 측 인증코드(예컨대,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동적 생성하는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예컨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씨드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씨드 값,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 등)를 확인 또는 생성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동적 생성한 사용자 측 인증코드가 별도의 코드인증서버(도시생략)를 통해 인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는 상기 코드인증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동적 생성한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받기 위한 정보 셋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결제절차에 이용될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있으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지정된 결제수단DB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수단DB는 상기 운영서버(2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발급사서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200)에 상기 결제수단DB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고유인증정보를 매핑(또는 관계형으로 연계)하여 상기 결제수단D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발급사서버에 상기 결제수단DB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정보 저장부(20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등록된 결제수단정보를 상기 발급사서버로 제공하여 상기 발급사서버의 결제수단DB에 저장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운영서버(200)와 발급사서버 사이에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식별하는 식별토큰을 생성하여 상기 발급사서버와 공유(또는 발급사서버를 통해 생성된 식별토큰을 확인)하며, 상기 식별토큰을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고유인증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급사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식별토큰을 매핑하여 결제수단DB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운영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발급사서버의 결제수단DB에 등록된 결제수단정보는 원격으로 매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상기 운영서버(200)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여 결제절차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결제수단 등록 과정은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받는 결제정보 등록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등록된 결제정보의 시간정보, 순서정보, 입력정보 중 하나 이상을 관리하는 결제정보 관리부(22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정보를 등록하는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인증하는 가맹점 인증부(2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가맹점 단말기(26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 등록하며, 상기 결제정보 등록부(210)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결제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등록한다.
한편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상기 결제정보를 등록하기 전, 중의 일 시점에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생성된 가맹점 측 인증코드 및/또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입력된 가맹점 측 비밀번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 인증부(215)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로부터 상기 가맹점 측 인증코드 및/또는 가맹점 측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등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 측 인증코드 및/또는 가맹점 측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결제정보 등록부(210)를 통해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가 매핑 등록되면, 상기 결제정보 관리부(220)는 상기 결제정보 등록부(210)를 통해 상기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관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관리하거나 및/또는 상기 결제정보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측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이력정보를 관리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하는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고유정보 외에 인증 가능한 구성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매체인식 인증부(230)를 구비한다.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9 매체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면,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의 표준 시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고유인증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130)을 설치 실행한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 인증하기 위한 고유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매체인식 인증부(230)는 상기 등록된 고유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인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00)의 고유식별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매체인식 인증부(230)는 상기 등록된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매체 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매체인식 인증부(230)는 상기 매체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값을 이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구비한 가맹점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매체인식 인증부(230)는 상기 가맹점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정보의 인증은 보조적 인증수단이다. 예를들어, 가맹점이 배달업체인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는 위치는 가맹점의 매장이 아니라 사용자의 현재 위치(예컨대, 집, 사무실 등)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위치정보와 가맹점의 주소정보(또는 위치정보)는 매칭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프로그램(130))을 통해 동적 생성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매체인식 인증부(230)는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100)(또는 프로그램(130))에서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생성하는데 이용된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값을 이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포함되고 상기 정보 저장부(205)를 통해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가 등록된 경우, 상기 매체인식 인증부(230)는 상기 등록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측 비밀번호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매체인식 인증부(230)를 통해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로부터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와 매핑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하는 결제정보 확인부(235)와, 상기 확인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하는 결제정보 제공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매체인식정보 수신부(225)를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매체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로부터 등록된 결제정보 중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와 매핑되며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어느 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예컨대, 2분, 1분30초, 1분, 30초, 10초 등)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지정된 타임아웃)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정보가 매핑 등록되기를 대기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결제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하나의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확인/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가 실시간 등록되어 둘 이상의 등록된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등록된 순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 중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언제든 몇 번이든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등록할 수 있듯이, 사용자 무선단말(100) 역시 언제든 몇 번이든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결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동일한 결제정보를 반복 제공할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데 방해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라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이외에 다른 무선단말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점에 특정 가맹점 내에서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이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 중 어느 무선단말이라도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맹점에 방문한 복수의 고객들이 동시(또는 같은 시간대)에 자신의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방향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더라도 그 결제정보는 이미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다른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이중 제공할 경우 같은 결제정보가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이중 결제 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다른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등록된 결제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전송하는 매체인식정보에 해당 무선단말(100)에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나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예컨대, 2분, 1분30초, 1분, 30초, 10초 등)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지정된 타임아웃)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정보가 매핑 등록되기를 대기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결제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하나의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확인/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가 실시간 등록되어 둘 이상의 등록된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등록된 순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 중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언제든 몇 번이든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등록할 수 있듯이, 사용자 무선단말(100) 역시 언제든 몇 번이든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결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동일한 결제정보를 반복 제공할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데 방해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라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이외에 다른 무선단말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점에 특정 가맹점 내에서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이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 중 어느 무선단말이라도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맹점에 방문한 복수의 고객들이 동시(또는 같은 시간대)에 자신의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방향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더라도 그 결제정보는 이미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다른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이중 제공할 경우 같은 결제정보가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이중 결제 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는 다른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제정보 제공부(240)는 상기 결제정보 확인부(235)를 통해 확인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상기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 중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처리하는 결제 절차 처리부(245)와, 상기 결제 절차에 대한 결제결과를 확인하여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제공하는 결제결과 처리부(250)를 구비한다.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상기 운영서버(200)와 연동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처리부(245)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과 지정된 결제시스템(255)을 연동하여 상기 결제 절차에 대한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별도의 결제시스템(255)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처리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처리부(245)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결제결과 처리부(250)는 상기 결제 절차 처리부(245)와 연동하여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 절차에 대한 결제결과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상기 결제 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상기 결제 절차에 대한 결제결과를 확인한다. 상기 결제결과 처리부(250)는 상기 확인된 결제결과를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해 수행된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를 확인하도록 처리한다. 한편 상기 결제 절차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결제 절차가 처리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제결과 처리부(25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역방향 결제를 위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정보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프로그램(130)을 설치 실행한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300),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한 후(305), 상기 확인 또는 생성된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31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또는 프로그램(130))을 통해 동적 생성될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31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사용자 측 인증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사용자 측 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320).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입력될 사용자 측 비밀번호의 등록을 요청하고(31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등록받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사용자 측 비밀번호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32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이용한 결제에 이용된 사용자 결제수단을 등록 요청하며(32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과 연동하여 지정된 결제수단DB에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를 저장하는 절차를 수행하고(330), 상기 결제수단DB에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수단정보와 상기 고유인증정보를 매핑(또는 원격 매핑)한다(335).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맹점 단말기(260)의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역방향 결제를 위한 가맹점 단말기(260)의 정보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지정된 프로그램을 설치 실행한 가맹점 단말기(260)를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400),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를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인증하는 고유인증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한 후(405), 상기 확인 또는 생성된 고유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410).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를 통해 동적 생성될 가맹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가맹점 측 인증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41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 측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가맹점 측 인증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가맹점 측 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420). 한편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를 통해 입력될 가맹점 측 비밀번호의 등록을 요청하고(41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의 앱과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 측 비밀번호를 등록받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가맹점 측 비밀번호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420).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의 결제에 이용될 가맹점정보를 등록 요청하며(42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가맹점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430).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에 대한 가맹점관련정보를 등록 요청할 수 있으며(42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관련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가맹점관련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430).
상기 가맹점에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매체(270)를 구비한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상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등록 요청하며(43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440). 한편 상기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통해 일회용코드가 동적 생성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는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통해 동적 생성될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매체 인증정보의 등록을 요청하고(43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통해 생성될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매체 인증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하고 상기 고유인증정보와 상기 매체 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한다(440).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결제정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운영서버(200)에 매핑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결제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역방향 결제할 결제금액을 입력받는다(500). 만약 결제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결제정보 등록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구성하고(505),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200)에 매핑 등록 요청하며(510),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매핑 등록한다(51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의 시간정보 및/또는 순서정보 및/또는 이력정보를 관리한다(520).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가맹점매체(270) 인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이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하여 운영서버(200)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상기 카메라부(110)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한다(600). 만약 상기 카메라부(110)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카메라부(110)를 통해 상기 가맹점매체(270)로부터 해당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가맹점매체(270)는 해당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고(605),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구성하여(610),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하며(61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활성화된 카메라부(11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코드이미지를 촬영한다(620). 한편 상기 가맹점매체(270)는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605),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구성하여(610),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정보데이터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 가능하며(61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활성화된 카메라부(11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620). 한편 상기 가맹점매체(270)가 스티커 매체 또는 인쇄 매체와 같이 고정된 고유정보를 부호화한 코드이미지를 표시한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카메라부(110)는 상기 가맹점매체(270)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62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비트 열에 대응하는 정보데이터를 인식하고(625), 상기 정보데이터의 비트 열을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한다(630).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와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63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인식된 인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635).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인식된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판독하여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인지 인증할 수 있으며(635), 만약 상기 인식정보에 상기 가맹점매체(270)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635).
만약 상기 인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가맹점매체(270) 인식 오류 정보를 출력한다(650).
한편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가 인식되거나(630), 및/또는 상기 인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63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9 매체인식정보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구성한다(640). 만약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가 구성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지정된 운영서버(200)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하며(645),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역방향 결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운영서버(200)에서 가맹점매체(270)를 보유한 가맹점에서 등록한 결제정보를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가 역방향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역방향 결제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에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여 확인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다(7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705).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각종 구성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매체인식 오류를 제공하고(75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은 상기 매체인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760).
한편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가 수신되거나, 및/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결제정보 중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와 매핑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 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한다(710).
본 발명의 제1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예컨대, 2분, 1분30초, 1분, 30초, 10초 등)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지정된 타임아웃)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정보가 매핑 등록되기를 대기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결제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하나의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가 실시간 등록되어 둘 이상의 등록된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등록된 순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 중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언제든 몇 번이든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등록할 수 있듯이, 사용자 무선단말(100) 역시 언제든 몇 번이든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결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동일한 결제정보를 반복 제공할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데 방해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라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이외에 다른 무선단말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점에 특정 가맹점 내에서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이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 중 어느 무선단말이라도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맹점에 방문한 복수의 고객들이 동시(또는 같은 시간대)에 자신의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방향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더라도 그 결제정보는 이미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다른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이중 제공할 경우 같은 결제정보가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이중 결제 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다른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한편 본 발명의 제2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등록된 결제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전송하는 매체인식정보에 해당 무선단말(100)에서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나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하는 전송시간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710).
상기 제2 결제정보 제공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등록된 시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예컨대, 2분, 1분30초, 1분, 30초, 10초 등)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지정된 일정 시간 동안(=지정된 타임아웃) 가맹점의 단말기(260)로부터 결제정보가 매핑 등록되기를 대기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결제정보를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하나의 결제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확인/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거나 또는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신규 결제정보가 실시간 등록되어 둘 이상의 등록된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가 등록된 순서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등록된 둘 이상의 결제정보 중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가맹점의 단말기(260)에서 언제든 몇 번이든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등록할 수 있듯이, 사용자 무선단말(100) 역시 언제든 몇 번이든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인식한 가맹점매체(27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결제정보가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동일한 결제정보를 반복 제공할 경우 사용자 무선단말(100)에서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진행하는데 방해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그러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라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의 이력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이외에 다른 무선단말로 지정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제공한 이력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점에 특정 가맹점 내에서 해당 가맹점의 가맹점매체(270)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이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단말 중 어느 무선단말이라도 상기 가맹점매체(270)를 인식하여 상기 운영서버(200)로 매체인식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가맹점에 방문한 복수의 고객들이 동시(또는 같은 시간대)에 자신의 무선단말을 이용하여 역방향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점에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부터 수신된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인식시간정보(또는 전송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가맹점의 단말기(260)를 통해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정보가 존재하더라도 그 결제정보는 이미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서버(200)는 다른 무선단말로 기 제공한 결제정보를 특정 사용자 무선단말(100)로 다시 제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즉, 다른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할 결제정보를 이중 제공할 경우 같은 결제정보가 복수의 사용자 무선단말을 통해 이중 결제 될 수 있음)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영서버(200)는 다른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로 확인할 수 있다(710).
만약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제공할 결제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으로 상기 확인된 결제정보를 제공하며(71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운영서버(200)로부터 상기 매체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와 매핑되고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 등록된 결제정보를 수신하고(720), 무선단말(100)의 화면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를 표시한다(725).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무선단말(100)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정보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730), 상기 결제 절차를 운영서버(200)와 연계하여 서버 측 결제 절차가 수행되거나(730b), 또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이 별도 지정된 결제시스템(255)과 연동하여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730a).
만약 상기 결제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의 프로그램(130)은 상기 결제 절차에 대한 결제결과를 확인하고(735), 상기 운영서버(200)로 상기 결제결과를 전송한다(740). 상기 운영서버(200)는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결과를 확인하고(745). 가맹점의 단말기(260)로 상기 결제결과를 제공함으로써(750),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00)을 통해 처리된 역방향 결제의 결제결과를 상기 가맹점 단말기(260)로 통지한다.
100 : 무선단말 110 : 카메라부
130 : 프로그램 135 : 활성 처리부
140 : 가맹점매체 인식부 145 : 가맹점매체 인증부
150 : 매체인식정보 구성부 155 : 매체인식정보 전송부
160 : 결제정보 수신부 165 : 결제정보 표시부
170 : 결제 절차 수행부 175 : 결제결과 확인부
180 : 결제결과 제공부 200 : 운영서버
205 : 정보 저장부 210 : 결제정보 등록부
215 : 가맹점 인증부 220 : 결제정보 관리부
225 : 매체인식정보 수신부 230 : 매체인식 인증부
235 : 결제정보 확인부 240 : 결제정보 제공부
245 : 결제 절차 처리부 250 : 결제결과 처리부
260 : 가맹점의 단말기 270 : 가맹점매체

Claims (20)

  1. 코드이미지를 입력받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사용자 무선단말에 설치 실행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보유한 가맹점매체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 가능하게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부를 통해 가맹점매체에 표시된 코드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코드이미지에 부호화된 정보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가맹점매체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인식정보를 인식하는 제2 단계;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정보를 지정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매체를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지정된 일정 시간 내에 최근에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무선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가맹점매체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정보는,
    가맹점매체에서 다른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하는 동적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코드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고유 생성한 동적코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에서 상기 가맹점매체에서 중복되지 않게 고유 생성한 동적코드를 포함하는 고유정보를 인식한 후 상기 인식된 고유정보와 함께 매핑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매체는,
    스티커 형태로 제작된 스티커 매체,
    인쇄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매체,
    카드 형태로 제작된 카드형 매체,
    가맹점 주(또는 직원)이 휴대하는 휴대형 매체,
    가맹점에 거치되는 거치형 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인식된 고유정보를 판독하여 가맹점매체의 고유정보에 대응하는 코드체계로 이루어져 있는지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에서 생성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서버를 통해 유효성이 인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을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를 보유한 가맹점의 결제를 위한 가맹점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서버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서버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서버에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를 수신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을 포함하여 어떤 사용자 단말로도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인식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가장 최근에 등록된 결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인식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로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인식정보는, 상기 가맹점매체로부터 상기 인식정보를 인식한 인식시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정보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고유정보와 매핑 등록된 결제정보 중 상기 인식시간정보를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등록되고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을 포함하여 어떤 사용자 단말로도 제공된 이력이 없는 결제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를 무선단말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할 결제수단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19. 제 1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의 결제를 처리할 결제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앱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된 결제앱으로 상기 결제정보가 제공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가 수행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결제 절차의 결제결과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1020160019755A 2016-02-19 2016-02-19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70098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55A KR20170098362A (ko) 2016-02-19 2016-02-19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755A KR20170098362A (ko) 2016-02-19 2016-02-19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62A true KR20170098362A (ko) 2017-08-30

Family

ID=5976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755A KR20170098362A (ko) 2016-02-19 2016-02-19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83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3038A (zh) * 2019-02-17 2019-06-18 北京意锐新创科技有限公司 复杂背景下多信息叠加的二维码支付方法和装置
KR102172924B1 (ko) 2020-01-15 2020-11-02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단일qr코드 기반의 결제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3038A (zh) * 2019-02-17 2019-06-18 北京意锐新创科技有限公司 复杂背景下多信息叠加的二维码支付方法和装置
KR102172924B1 (ko) 2020-01-15 2020-11-02 나이스정보통신주식회사 단일qr코드 기반의 결제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24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transaction request from device
KR20170098362A (ko) 코드이미지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20087198A (ko) 가맹점 로열티 적립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KR20170098363A (ko) 바코드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70098359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5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20088016A (ko) 실물카드의 실시간 모바일 카드 발급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모바일 폰과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70098357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70098360A (ko) 사운드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6602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47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54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65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70098364A (ko) 다중 터치를 이용한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70099014A (ko) 무선단말 간 단방향 근거리 무선신호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80001644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102179428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역방향 가치 적립 방법
KR20180001653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43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51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55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49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48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35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56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