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030A - System of controlling Smart Medical Illumination for Anti-Crossinfection - Google Patents
System of controlling Smart Medical Illumination for Anti-Crossinf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8030A KR20170098030A KR1020160019896A KR20160019896A KR20170098030A KR 20170098030 A KR20170098030 A KR 20170098030A KR 1020160019896 A KR1020160019896 A KR 1020160019896A KR 20160019896 A KR20160019896 A KR 20160019896A KR 20170098030 A KR20170098030 A KR 201700980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value
- signal
- control mode
- ch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06010011409 Cross infection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06010029803 Nosocomial infection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847 Surgical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977 languag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5B37/02—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H05B37/0227—
-
- H05B37/0272—
-
- H05B37/0281—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 F21W2131/205—Lighting for medical use for operating thea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조명장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조명장치는 외부로부터 온/오프신호가 수신되면 조명등이 전원을 온/오프하며, 상기 조명등이 온된 상태에서 제어모드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고, 제어모드 탈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제어값의 수신 대기를 종료하고, 상기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는 중에 특정제어값이 수신되면 그 특정제어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다축 가속도 변경을 센싱한 센싱값이 온/오프를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온/오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제어모드 진입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제어모드 탈출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특정제어값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기기로 형성되거나 휴대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cross-inf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device, wherein the illumination device turns on / off the illumination lamp when an on / off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When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waits for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terminates the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when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is received, and waits for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on / off signal and outputs the on / off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sensed value sensing the multi-axis acceleration chang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on / off. And transmits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entry into the control mode If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the control mode exit,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lighting device. If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a specific control value,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specific control value to the lighting apparatus.
Also, the control device may be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or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료용 조명등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목 등에 부착된 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의료용 조명등을 제어하여 교차 감염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국내외 일반병원, 치과병원 및 동물병원에서는 의사 혼자서 수술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스마트 의료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의공학 및 임베디드, IT 기술 등을 융합한 스마트 의료 장치를 개발함으로써 수요에 대한 기술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In domestic and overseas general hospitals, dental hospitals and veterinary hospital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smart medical devices that assist the surgeon alon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mart medical device that combines biomedical engineering, embedded technology, and IT technology to provide technical solutions to demand.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일반병원, 치과병원이나 동물병원의 수술용 의료장치 중 수술 환부를 비추기 위한 무영등 및 의료용 LED 조명등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In response to this tendency, various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the LED lamps for medical appliances and medical appliances for illuminating the surgical wound of surgical medical devices in general hospitals, dental hospitals, and veterinary hospitals have been proposed.
이러한 기술로는 음성인식기술 기반의 제어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사람의 음성으로 의료조명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감염 위험에 대한 우려로 발생될 수 있는 의료장치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수술 중 조명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 인력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hese technologies include a control system based on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This system has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manipulating the medical device, which may be caused by concerns about the risk of infection, by controlling the medical illumination device with human voice, and reducing the assistant manpower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device during surgery Have.
그러나 수술 또는 시술시에는 마스크를 통해 구강을 덮고 있으므로 명확한 제어음성을 발생시키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었으며, 수술 또는 시술자가 언어장애를 겪고 있는 경우에는 조명장치에 대한 제어음성을 발생시킬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generate clear control speech since it covers the oral cavity through the mask during surgery or surgery, and when the operator or the operator undergoes language disorders, the control voice for the lighting apparatus can not be generated .
이에 종래에는 여전히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조명제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Conventionally, development of illumination control technology for preventing cross infection has been required.
본 발명은 손목 등에 부착된 제어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의료용 조명등을 제어하여 교차 감염 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medical illumination lamp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a control device attached to a wrist or the like to enable cross infection pre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조명장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조명장치는 외부로부터 온/오프신호가 수신되면 조명등이 전원을 온/오프하며, 상기 조명등이 온된 상태에서 제어모드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고, 제어모드 탈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제어값의 수신 대기를 종료하고, 상기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는 중에 특정제어값이 수신되면 그 특정제어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다축 가속도 변경을 센싱한 센싱값이 온/오프를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온/오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제어모드 진입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제어모드 탈출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특정제어값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cross infection, comprising a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device, wherein when the on / off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When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is received in the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lamp is on, the control unit waits for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terminates the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when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is received, If a specific control value is received while waiting, the control unit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rol value. If the sensing value sensing the multi-axis acceleration chang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on / off, And transmits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to the illumination device when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entry into the control mode. And transmits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the control mode exit, and transmits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And generates the specific control valu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value to the lighting device if it corresponds to the set value.
본 발명은 손목 등에 부착된 제어장치 또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의료용 조명등을 제어하여 의료용 조명등의 수조작에 따른 교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야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dical device such as a control device attached to a wrist or the like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cross infection caused by manipulation of the medical ligh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이 처리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diagrams show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of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and 7 are diagrams showing control operations of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of 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손목 등에 부착된 제어장치 또는 휴대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의료용 조명등을 제어하여 의료용 조명등의 수조작에 따른 교차 감염을 미연에 방지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device attached to a wrist or the like controls a medical lighting lamp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preventing cross infection caused by manipulation of a medical lighting lamp.
<제1실시예>≪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medical light control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크게 조명장치(100)와 제어장치(200)로 구성된다. The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lighting device 100 and a control device 200.
상기 조명장치(100)는 제어부(102)와 기구구동부(104)와 기구부(106)와 조명제어부(108)와 조명등(110)과 조작패널(112)과 메모리부(114)와 통신모듈(11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조명장치(100)의 각부를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모듈(116)을 통해 전달되는 제어장치(200) 또는 조작패널(112)로부터의 LED 온/오프신호, 제어모드 진입신호, 특정제어값,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LED 전원 온/오프신호에 따라 조명제어부(108)를 통해 조명등(110)을 온/오프하며, 상기 조명등(110)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받으면 제어모드로 진입하여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위한 특정제어값에 따른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제어부(108) 또는 상기 기구구동부(104)에 제공하여 상기 특정제어값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제어모드를 상기 제어모드 탈출신호가 제공되거나 일정시간동안 특정제어값이 제공되지 않거나 일정시간동안 조작패널(112)을 통한 사용자 입력 등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기구구동부(104)는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구부(106)를 구동하여 상기 조명등(110)의 조사각을 변경한다. 상기 기구부(106)는 상기 조명등(110)의 조사각을 변경한다. 상기 조명제어부(108)는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조명등(110)의 LED 전원 온/오프,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등을 수행한다. 상기 조명등(110)은 상기 조명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구동한다. 상기 조작패널(112)은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른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02)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상태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메모리부(114)는 상기 제어부(102)의 프로그램 수행에 요구되는 저장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116)은 제어장치(200)와 제어부(102)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담당한다. The ligh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손목 등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로 형성되며, 제어부(202)와 메모리부(208)와 통신모듈(204)과 가속도센서(20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각부를 제어하며, 특히 가속도센서(206)로부터의 3축 가속도 센싱값을 제공받아 사용자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른 LED 온/오프신호, 제어모드 진입신호, 특정제어값,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100)로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208)는 상기 제어부(202)의 프로그램 수행에 요구되는 저장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204)은 상기 조명장치(100)와 제어부(202)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가속도센서(206)는 3축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고 그에 따른 3축 가속도 센싱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202)에 제공한다.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제어명령 입력예><Control command input example>
상기 제어장치(200)는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어장치(200)를 착용한 손을 움직여 미리 정의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Since the control device 200 is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the user can move a hand wearing the control device 200 to input a predefined control comman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손의 움직임을 이용한 명령 입력예를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 an example of command input using the movement of th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LED 온/오프신호, 제어모드 진입신호,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XZ축 원회전 동작을 토대로 정의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XZ축 원회전 동작은 제어장치(200)를 기준으로 X축과 Z축 방향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손목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LED 온신호에 대응되는 동작(LED 온동작), LED 오프신호에 대응되는 동작(LED 오프동작), 제어모드 진입에 대응되는 동작(제어모드 진입동작), 제어모드 탈출에 대응되는 동작(제어모드 탈출동작)은 상기의 XZ축 원회전동작을 이용한다. 즉, 상기 LED 온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오프상태에 있을 때, 제어장치(200)를 XZ축 원회전 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1초정도 정지후 다시 1초정도 흔드는 동작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 오프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온상태에 있을때, 제어장치(200)를 XZ축 원회전 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1초정도 정지후 다시 1초정도 흔드는 동작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드 진입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온상태에 있을때, 제어장치(200)를 XZ축 원회전 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정지하는 동작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드 탈출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온되어 있고 제어모드 상태에 있을때, 제어장치(200)를 XZ축 원회전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정지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의 동작을 통해 LED 온신호, LED 오프신호, 제어모드 진입신호, 제어모드 탈출신호 생성을 위한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다.FIG. 2 illustrates the definition of the LED on / off signal, control mode entry signal, and control mode exi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XZ axis circular motion operation. The XZ-axis circular rotation operation is an operation to rotate the wris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X-axis and Z-axis directions with reference to the control device 200,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FF signal (LED off operation),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y into the control mode (the entering operation into the control mode), and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ode exit (the control mode exit operation). That is, whe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특정제어값을 축방향 동작을 토대로 정의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축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건은, X축의 경우에는 +X축 방향으로 특정 제어값(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1단계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먼저 -X축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값 이상의 급격한 +X축 방향으로 이동해야 +X축 변경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X축 설정동작 진입 후에 +X축 방향으로 손을 이동함으로써 특정제어값 +1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손의 +X축 이동거리에 따라 +2단계, +3단계 등으로 변경할 수 있고, 특정제어값의 단계가 +1단계씩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비프(BEEP)음이 발생하고, 손을 정지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특정제어값 변경이 완료된다. 반대의 경우, -X축 방향으로 특정제어값(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1단계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먼저 +X축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값 이상의 급격한 -X축 방향으로 이동해야 -X축 변경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X축 설정동작 진입 후에 -X축 방향으로 손을 이동함으로써 특정제어값 -1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손의 -X축 이동거리에 따라 -2단계, -3단계 등으로 변경될 수 있고, 특정제어값의 단계가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비프(BEEP)음이 발생하고, 손을 정지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특정제어값 변경이 완료된다. 상기 특정제어값의 변경을 위해 X축과 마찬가지로 Y축과 Z축의 동작도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X축과 Y축과 Z축의 조합으로 특정제어값의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FIG. 3 illustrates a specific control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 the basis of an axial 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dition for controlling in the axial direction is a control value in a + X- Color temperature change, pattern size change, irradiation angle change, etc.) to the +1 step, it is necessary to first move in the -X axis direction and then to move in the + X axis direction which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 + enter the X axis change mode ,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pecific control value + 1 step by moving the hand in the + X axis direction after entering the + X axis setting oper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ange to +2 step, +3 step, etc.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hand axis of X axis, and a BEEP sound which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whenever the step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is changed by +1 step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value change is completed. In the opposite case, if it is desired to change a specific control value (illumination change, color temperature change, pattern size change, change in illumination angle, etc.) to -1 level in the -X axis direction, first move in the + X axis direction, The X-axis changing mode is entered and the specific control value-1 step can be changed by moving the hand in the -X-axis direction after entering the -X-axis setting oper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ange to a step-2, a step-3,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hand's X axis, and a beep sound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occurs every time the step of a specific control value is changed, And a specific control value change is comple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order to change the specific control value, the same algorithm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Y axis and the Z axis as well as the X axis. By applying this algorithm,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pecific control value change by a combination of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의료용 조명등 제어방법의 구성><Configuration of medical light control metho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제어 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the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제어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한 LED 온동작을 지시하는 3축 가속도 센싱값이 입력되면(300단계), LED 온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에 제공한다(302단계). When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indicating the LED on operation by the user is inputted (step 300), the control device 200 generates and provides the LED on signal to the illumination device 100 (step 302).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LED 온신호가 제공되면, LED인 조명등(110)을 온하고 비프(BEEP)음을 발생한다(400,402단계). When the LED-on signal is provided from the control device 200, the illumination device 100 turns on the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LED 온신호를 조명장치(100)에 제공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LED 오프동작을 지시하는 3축 가속도 센싱값이 입력되면(304단계), LED 오프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에 제공한다(306단계). 상기 LED인 조명등(110)을 온한 상태에서 상기 LED 오프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조명장치(100)는 LED인 조명등(110)을 오프하고 비프(BEEP)음을 발생한다(404,406단계).When the control device 200 provides the LED ON signal to the illumination device 100 and a three 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indicating the LED off operation by the user is inputted in
이와 달리 상기 LED 온신호를 조명장치(100)에 제공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어모드 진입동작을 지시하는 3축 가속도 센싱값이 입력되면(308단계), 상기 제어장치(200)는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에 제공한다(310단계).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로 진입함과 아울러 제어모드 진입을 안내하는 비프(BEEP)음 발생한 후에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한다(408,410단계). 여기서 상기 특정제어값은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조사각 변경 등이 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LED-on signal is provided to the illumination device 100 and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indicating the entering operation into the control mode by the user is input in
상기 제어장치(200)는 제어모드 진입신호의 생성 및 전송후에 사용자가 축방향 동작, 즉 +X축 설정동작 또는 -X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을 이행하는지를 체크한다(312단계). 상기 제어장치(200)는 축방향 동작, 즉 +X축 설정동작 또는 -X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을 이행하면, 그에 대응되는 특정제어값을 생성하고 이를 조명장치(100)에 전송한다(314단계). 상기 특정제어값은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이며, 이러한 제어값별 사용자의 움직임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 The control device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200 such that the user performs an axial operation, that is, a + X axis setting operation or a -X axis setting operation, a + Y axis setting operation, a -Y axis setting operation, A setting operation, and a -Z axis setting operation (step 312). When the control device 200 performs an axial operation, that is, a + X axis setting operation or a -X axis setting operation, a + Y axis setting operation, a -Y axis setting operation, a + Z axis setting operation, and a -Z axis setting operation , Generates a specific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s it to the lighting apparatus 100 (step 314). The specific control value includes a roughness change, a color temperature change, a pattern size change, an irradiation angle change, and the like. The movement of the user for each control value is previously set and stored as illustrated in FIG.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특정제어값이 수신되면,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특정제어값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00)는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수행함과 아울러 그 특정제어값에 따른 제어동작 수행을 안내하는 BEEP음을 출력한다(412,414,416단계).When the specific control value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0, the illumination device 100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That is,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rol value, the illumination apparatus 100 outputs a BEEP sound for performing illumination change, color temperature change, pattern size change, irradiation angle change, and the like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그러나 상기 제어장치(200)는 사용자가 축방향 동작을 이행하지 않으면 상기 304단계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LED 오프를 지시하는지를 체크한다.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axial operation, the control device 200 enters the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제어값을 전송한 후에, 상기 제어장치(200)는 사용자가 축방향 동작을 이행하지 않으면, X 또는 Y 또는 Z축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설정값 이상 움직이는지를 체크하고(316단계), 사용자가 어느 하나 이상으 방향으로 설정값 이상 움직이면 대기 카운트를 리셋하고(318단계), 다시 316 단계로 진입하여 특정제어값의 생성 및 전송 과정을 반복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ransmitting the specific control valu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axial movement, the control device 200 checks whether the user moves in more than one direction of the X, Y, or Z axis (Step 316). If the user moves more than the set value to one or more directions, the wait count is reset (step 318). Then, the process goes back to step 316 to repeat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specific control value.
이와 달리 사용자가 X 또는 Y 또는 Z축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설정값 이상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대기 카운트를 증가하고(322단계), 그 대기 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이거나(324단계), 사용자가 손을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흔드는 것을 지시하는 제어모드 탈출동작을 입력하면(320단계),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로 전송한다(326단계).Otherwise, the control device 200 increases the wait count (step 322). If the wait count is not less than the preset value (step 324) (Step 320), and then transmits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to the lighting apparatus 100 (step 326).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indicates that the user shakes the han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제어장치(200)로부터 제어모드 탈출신호가 수신되면(418단계),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종료하고 제어모드 탈출을 안내하는 비프(BEEP)음을 출력한다(420단계). When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device 200 in
<제2실시예>≪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medical light control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은 크게 조명장치(100)와 휴대 단말기(500)로 구성된다. The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includes a lighting device 100 and a portable terminal 500.
상기 조명장치(100)는 제어부(102)와 기구구동부(104)와 기구부(106)와 조명제어부(108)와 조명등(110)과 조작패널(112)과 메모리부(114)와 통신모듈(116)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조명장치(100)의 각부를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모듈(116)을 통해 전달되는 휴대 단말기(500) 또는 조작패널(112)로부터의 LED 온/오프 신호, 제어모드진입신호, 특정제어값,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입력받는다. 특히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LED 전원 온/오프신호에 따라 조명제어부(108)를 통해 LED인 조명등(110)을 온/오프하며, 상기 조명등(110)이 온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받으면 제어모드로 진입하여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위한 특정제어값에 따른 제어명령을 상기 조명제어부(108) 또는 상기 기구구동부(104)에 제공하여 상기 특정제어값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제어모드를 상기 제어모드 탈출신호가 제공되거나 일정시간동안 특정제어값이 제공되지 않거나 일정시간동안 조작패널(112)을 통한 사용자 입력 등이 발생되지 않으면 제어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기구구동부(104)는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구부(106)를 구동하여 상기 조명등(110)의 조사각을 변경한다. 상기 기구부(106)는 상기 조명등(110)의 조사각을 변경한다. 상기 조명제어부(108)는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따라 조명등(110)의 LED 온/오프,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등을 수행한다. 상기 조명등(110)은 상기 조명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구동한다. 상기 조작패널(112)은 사용자의 수조작에 따른 제어명령을 상기 제어부(102)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부(102)로부터 제공되는 상태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 메모리부(114)는 상기 제어부(102)의 프로그램 수행에 요구되는 저장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116)은 휴대 단말기(500)와 제어부(102)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담당한다. The lighting apparatus 100 includes a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스마트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 제어를 위한 앱(APP)이 설치되며, 제어부(502)와 메모리부(508)와 통신모듈(504)과 가속도센서(506)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502)는 상기 휴대 단말기(500)의 각부를 제어하며, 특히 가속도센서(506)로부터의 3축 가속도 센싱값을 제공받아 사용자 제어명령을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른 LED 온/오프신호, 제어모드진입신호, 특정제어값, 제어모드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100)로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508)는 상기 제어부(502)의 프로그램 수행에 요구되는 저장영역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모듈(504)은 상기 조명장치(100)와 휴대 단말기(500)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가속도센서(506)는 3축 가속도 변화를 센싱하고 그에 따른 3축 가속도 센싱값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2)에 제공한다. The portable terminal 500 is an apparatus such as a smart terminal and is provided with an app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제어명령 입력예><Control command input example>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500)를 착용한 손을 움직여 미리 정의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Since the portable terminal 500 is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the user can move a hand wearing the portable terminal 500 to input a predefined control comman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손의 움직임을 이용한 명령 입력예를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 an example of command input using the motion of the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LED 온/오프신호, 제어모드 진입신호,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XZ축 원회전 동작을 토대로 정의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상기 XZ축 원회전 동작은 휴대 단말기(500)를 기준으로 X축과 Z축 방향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손목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LED 온신호에 대응되는 동작(LED 온동작), LED 오프신호에 대응되는 동작(LED 오프동작), 제어모드 진입에 대응되는 동작(제어모드 진입동작), 제어모드 탈출에 대응되는 동작(제어모드 탈출동작)은 상기의 XZ축 원회전동작을 이용한다. 즉, 상기 LED 온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오프상태에 있을 때, 휴대 단말기(500)를 XZ축 원회전 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1초정도 정지후 다시 1초정도 흔드는 동작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 오프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온상태에 있을때, 휴대 단말기(500)를 XZ축 원회전 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1초정도 정지후 다시 1초정도 흔드는 동작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드 진입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온상태에 있을때, 휴대 단말기(500)를 XZ축 원회전 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정지하는 동작으로 정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드 탈출동작은 조명장치(100)의 조명등(110)이 온되어 있고 제어모드 상태에 있을때, 휴대 단말기(500)를 XZ축 원회전동작으로 1초정도 흔들고 정지하는 동작을 말한다. 상기의 동작을 통해 LED 온신호, LED 오프신호, 제어모드 진입신호, 제어모드 탈출신호 생성을 위한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다.FIG. 6 illustrates the LED on / off signal,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and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defined based on the XZ axis circular motion operation. The XZ-axis rotation operation is an operation to rotate the wrist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in the X-axis and Z-axis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terminal 500,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FF signal (LED off operation),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y into the control mode (the entering operation into the control mode), and the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ode exit (the control mode exit operation). That is, when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특정제어값을 축방향 동작을 토대로 정의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축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한 조건은, X축의 경우에는 +X축 방향으로 특정 제어값(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1단계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먼저 -X축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값 이상의 급격한 +X축 방향으로 이동해야 +X축 변경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X축 설정동작 진입 후에 +X축 방향으로 손을 이동함으로써 특정제어값 +1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손의 +X축 이동거리에 따라 +2단계, +3단계 등으로 변경할 수 있고, 특정제어값의 단계가 +1단계씩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비프(BEEP)음이 발생하고, 손을 정지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특정제어값 변경이 완료된다. 반대의 경우, -X축 방향으로 특정제어값(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1단계로 변경하고자 한다면, 먼저 +X축 방향으로 이동했다가 미리 설정된 가속도값 이상의 급격한 -X축 방향으로 이동해야 -X축 변경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X축 설정동작 진입 후에 -X축 방향으로 손을 이동함으로써 특정제어값 -1단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손의 -X축 이동거리에 따라 ??2단계, -3단계 등으로 변경될 수 있고, 특정제어값의 단계가 변경될 때마다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비프(BEEP)음이 발생하고, 손을 정지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특정제어값 변경이 완료된다. 상기 특정제어값의 변경을 위해 X축과 마찬가지로 Y축과 Z축의 동작도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X축과 Y축과 Z축의 조합으로 특정제어값의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FIG. 7 illustrates a specific control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 the basis of an axial motion. The condition for controlling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case of the X axis, Color temperature change, pattern size change, irradiation angle change, etc.) to the +1 step, it is necessary to first move in the -X axis direction and then to move in the + X axis direction which is more than the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 + enter the X axis change mode , An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pecific control value + 1 step by moving the hand in the + X axis direction after entering the + X axis setting oper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ange to +2 step, +3 step, etc. according to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hand axis of X axis, and a BEEP sound which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whenever the step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is changed by +1 step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e control value change is completed. In the opposite case, if it is desired to change a specific control value (illumination change, color temperature change, pattern size change, change in illumination angle, etc.) to -1 level in the -X axis direction, first move in the + X axis direction, The X-axis changing mode is entered and the specific control value-1 step can be changed by moving the hand in the -X-axis direction after entering the -X-axis setting operation.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ange to the second stage, the third stag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X axis movement distance of the hand, and a BEEP sound that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every time the step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is changed, When the hand is stopped and a certain time passes, the specific control value change is completed. In order to change the specific control value, the same algorithm can be applied to the operation of the Y axis and the Z axis as well as the X axis. By applying this algorithm,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pecific control value change by a combination of the X-axis, the Y-axis, and the Z-axis.
<의료용 조명등 제어방법의 구성><Configuration of medical light control method>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제어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the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사용자에 의한 LED 온동작을 지시하는 3축 가속도 센싱값이 입력되면(600단계), LED 온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에 제공한다(602단계). When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indicating the LED on operation by the user is input (operation 600), the portable terminal 500 generates and provides the LED on signal to the illumination apparatus 100 (operation 602).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휴대 단말기(500)로부터 LED 온신호가 제공되면, LED인 조명등(110)을 온하고 비프(BEEP)음을 발생한다(700,702단계). When the LED ON signal is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500, the illumination device 100 turns on the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LED 온신호를 조명장치(100)에 제공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LED 오프동작을 지시하는 3축 가속도 센싱값이 입력되면(604단계), LED 오프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에 제공한다(606단계). 상기 LED인 조명등(110)을 온한 상태에서 상기 LED 오프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조명장치(100)는 LED인 조명등(110)을 오프하고 비프(BEEP)음을 발생한다(704,706단계).If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indicating the LED off operation by the user is input in the state where the LED ON signal is provided to the illumination device 100 in
이와 달리 상기 LED 온신호를 조명장치(100)에 제공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어모드 진입동작을 지시하는 3축 가속도 센싱값이 입력되면(608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에 제공한다(610단계).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모드로 진입함과 아울러 제어모드 진입을 안내하는 비프(BEEP)음 발생한 후에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한다(708,710단계). 여기서 상기 특정제어값은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조사각 변경 등이 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LED-on signal is provided to the illumination device 100 and the three-axis acceleration sensing value indicating the entry into the control mode by the user is inputted in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제어모드 진입신호의 생성 및 전송후에 사용자가 축방향 동작, 즉 +X축 설정동작 또는 -X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을 이행하는지를 체크한다(612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축방향 동작, 즉 +X축 설정동작 또는 -X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Y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 -Z축 설정동작을 이행하면, 그에 대응되는 특정제어값을 생성하고 이를 조명장치(100)에 전송한다(614단계). 상기 특정제어값은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이며, 이러한 제어값별 사용자의 움직임은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다. After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he mobile terminal 500 performs an axial operation, that is, a + X axis setting operation or a -X axis setting operation, a + Y axis setting operation, a -Y axis setting operation, A setting operation, and a -Z axis setting operation (step 612). When the portable terminal 500 performs an axial operation, that is, a + X axis setting operation or a -X axis setting operation, a + Y axis setting operation, a -Y axis setting operation, a + Z axis setting operation, and a -Z axis setting operation , Generates a specific control value corresponding thereto, and transmits it to the lighting apparatus 100 (step 614). The specific control value includes a roughness change, a color temperature change, a pattern size change, an irradiation angle change, etc. The movement of the user for each control value is preset and stored as illustrated in FIG.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휴대 단말기(500)로부터 특정제어값이 수신되면,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특정제어값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100)는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조사각 변경 등을 수행함과 아울러 그 특정제어값에 따른 제어동작 수행을 안내하는 BEEP음을 출력한다(712,714,716단계).When the specific control value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500, the lighting apparatus 100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ly. That is,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rol value, the illumination apparatus 100 outputs a BEEP sound for performing illumination change, color temperature change, pattern size change, irradiation angle change, and the like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그러나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축방향 동작을 이행하지 않으면 상기 604단계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LED 오프를 지시하는지를 체크한다.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axial movement, the portable terminal 500 proceeds to step 604 and checks whether the user instructs the LED off.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특정제어값을 전송한 후에,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축방향 동작을 이행하지 않으면, X 또는 Y 또는 Z축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설정값 이상 움직이는지를 체크하고(616단계), 사용자가 어느 하나 이상으 방향으로 설정값 이상 움직이면 대기 카운트를 리셋하고(618단계), 다시 616 단계로 진입하여 특정제어값의 생성 및 전송 과정을 반복하게 한다. Meanwhile, after transmitting the specific control value as described above, if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axial movement, the mobile terminal 500 checks whether the user moves in more than one direction of the X, Y, or Z axis (Step 616). If the user moves more than the set value to one or more directions, the wait count is reset (step 618). Then, the process goes back to step 616 to repeat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specific control value.
이와 달리 사용자가 X 또는 Y 또는 Z축의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설정값 이상 움직이지 않으면 상기 휴대 단말기(500)는 대기 카운트를 증가하고(622단계), 그 대기 카운트가 설정값 이상이거나(624단계), 사용자가 손을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흔드는 것을 지시하는 제어모드 탈출동작을 입력하면(620단계),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조명장치(100)로 전송한다(626단계).Otherwise, if the user does not move more than the set value in any one direction of the X, Y, or Z axis, the mobile terminal 500 increases the wait count in
상기 조명장치(100)는 상기 휴대 단말기(500)로부터 제어모드 탈출신호가 수신되면(718단계),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종료하고 제어모드 탈출을 안내하는 비프(BEEP)음을 출력한다(720단계). When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500 in
100 : 조명장치
102 : 제어부
104 : 기구구동부
106 : 기구부
108 : 조명제어부
110 : 조명등
112 : 조작패널
114 : 메모리부
116 : 통신모듈
200 : 제어장치
202 : 제어부
204 : 통신모듈
206 : 가속도 센서
208 : 메모리부
500 : 휴대 단말기
502 : 제어부
504 : 통신모듈
506 : 가속도 센서
508 : 메모리부100: Lighting device
102:
104:
106:
108:
110: Lighting light
112: Operation panel
114:
116: Communication module
200: Control device
202:
204: communication module
206: Accelerometer
208:
500: portable terminal
502:
504: Communication module
506: Acceleration sensor
508:
Claims (8)
조명장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조명장치는 외부로부터 온/오프신호가 수신되면 조명등이 전원을 온/오프하며,
상기 조명등이 온된 상태에서 제어모드 진입신호가 수신되면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고, 제어모드 탈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제어값의 수신 대기를 종료하고,
상기 특정제어값의 수신을 대기하는 중에 특정제어값이 수신되면 그 특정제어값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다축 가속도 변경을 센싱한 센싱값이 온/오프를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온/오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제어모드 진입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제어모드 탈출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센싱값이 특정제어값을 위해 미리 설정해둔 값에 대응되면, 상기 특정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A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cross infection,
A lighting device and a control device,
When the on / off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illumination device turns on / off the illumination lamp,
When receiving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in the state in which the illumination lamp is turned on, waits for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ends waiting for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when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is received,
When a specific control value is received while waiting for reception of the specific control value,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rol value is performed,
The control device generates and transmits the on / off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sensed value sensing the multi-axis acceleration chang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on / off,
And generates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if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entry into the control mode,
And generates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if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the control mode exit,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the specific control value and transmits the control value to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sensing value corresponds to a preset value for a specific control value.
상기 제어장치는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기기로 형성되거나 휴대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formed of a wearable device worn on the wrist or a portable terminal.
상기 특정제어값에 따른 동작은,
조사각 변경, 조도 변경, 색온도 변경, 패턴 사이즈 변경 중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trol value,
Wherein the at least one of the illumination angle change, the illuminance change,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and the pattern size change is at least one of a change in illumination angle, illumination change, color temperature change, and pattern size change.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온오프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특정제어값 변경동작을 완료하거나, 상기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수신할 때마다 비프(BEEP)음을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llumination device outputs a BEEP sound whenever it receives the on-off signal, receives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completes the specific control value changing operation, or receives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Medical lighting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cross infection.
상기 제어장치는 3축 가속도 센서 및 의료용 조명등 제어를 위한 앱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로서, 상기 앱은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센싱값을 토대로 온오프신호 또는 제어모드 진입신호 또는 제어모드 탈출신호 또는 특정제어값을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device is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three-axis acceleration sensor and an app for medical lighting control, and the app can detect an on-off signal, a control mode entry signal, a control mode exit sig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value to the lighting device.
상기 제어장치는 미리 정해둔 시간마다 대기 카운트를 증가하고, 그 증가된 대기 카운트가 미리 정해둔 수이면 제어모드 탈출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wait count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generates a control mode exit signal when the increased wait count is a predetermined number and transmits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to the lighting device. Control system.
상기 제어장치는 다축 가속도 변경을 센싱값이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미리 정해둔 두 개의 축 방향으로 원회전 운동하였다가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정지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동작으로부터 센싱한 값에 대응될 때에, 상기 동작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해둔 온/오프신호, 상기 제어모드 진입신호 및 상기 제어모드 탈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adapted to perform a multi-axis acceleration change when the sensed value corresponds to a sensed value from an operation that selectively combines a predetermined rotational movement in two axial directions predeterm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tops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on / off signal pre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operation, the control mode entry signal, and the control mode exit signal.
상기 제어장치는, 다축 가속도 변경을 센싱값이 미리 정해둔 시간동안 어느 한 축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으로부터 센싱한 값에 대응될 때에, 그 동작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해둔 특정제어값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방향에 비해 제2방향으로의 이동량이 큼을 특징으로 하는 교차감염 방지를 위한 의료용 조명등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device changes the multi-axis acceleration change to a value sensed from an operation of moving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one axi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moving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 And generates a specific control value previously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Wherein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is larger than that in the first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9896A KR101911426B1 (en) | 2016-02-19 | 2016-02-19 | System of controlling Smart Medical Illumination for Anti-Crossinf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9896A KR101911426B1 (en) | 2016-02-19 | 2016-02-19 | System of controlling Smart Medical Illumination for Anti-Crossinfe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8030A true KR20170098030A (en) | 2017-08-29 |
KR101911426B1 KR101911426B1 (en) | 2018-12-19 |
Family
ID=5976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9896A KR101911426B1 (en) | 2016-02-19 | 2016-02-19 | System of controlling Smart Medical Illumination for Anti-Crossinf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14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0272A (en) | 2022-11-29 | 2024-06-07 | 주식회사 덴티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non-contact control of shadowless lamps for surgery |
-
2016
- 2016-02-19 KR KR1020160019896A patent/KR101911426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0272A (en) | 2022-11-29 | 2024-06-07 | 주식회사 덴티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non-contact control of shadowless lamps for surger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1426B1 (en) | 2018-1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778199B2 (en) | Remote control robot system | |
US10016122B2 (en) | Surgical headligh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 |
EP3210095B1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hands-free configuration of a luminous distribution | |
US1133748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fety beacon for a welding protection device | |
US20170129103A1 (en) | Robot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om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130310652A1 (en) | Integrated surgical task lighting | |
KR101483159B1 (en) | Medical light source device | |
JP2021509759A (en) | Interactive portable lighting system | |
JP6647228B2 (en) | Control devices for medical devices | |
US20170296290A1 (en) | Operating room lighting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illumination adjustment instructions to an operator of the operating room lighting system | |
US2017031553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pointer-guided tracking system and a pointer-guided mechanical movable device control system | |
KR101911426B1 (en) | System of controlling Smart Medical Illumination for Anti-Crossinfection | |
US9655212B2 (en) | Lighting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lighting devices and an integrated control module | |
KR20080075268A (en) | Robot toy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 |
KR101701385B1 (en) | Led lamp for infant and wrist band linked the same | |
KR102089747B1 (en) | Surgical light system automatically controlled by user's input sig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2018007994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oom control based on wearable device and spatial augmented reality | |
KR101935453B1 (en) |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smartphone's app | |
JP6568601B2 (en) | Robot, robot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CN112790963A (en) | Beauty device with guiding function | |
CN112764517B (en) | Control method, weara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 |
CN206532248U (en) | The patient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of recognizable action | |
US20240196503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medical light via a handle | |
JP2004289850A (en) | Control method, equipment control apparatus,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 |
KR2024008027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on-contact control of shadowless lamps for surge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3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4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