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7582A - Mobile communication relay having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relay having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7582A
KR20170097582A KR1020170021849A KR20170021849A KR20170097582A KR 20170097582 A KR20170097582 A KR 20170097582A KR 1020170021849 A KR1020170021849 A KR 1020170021849A KR 20170021849 A KR20170021849 A KR 20170021849A KR 20170097582 A KR20170097582 A KR 2017009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frequency module
noi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9051B1 (en
Inventor
권낙원
김현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ublication of KR2017009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75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 H04L25/085Arrangement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line transmission systems, e.g. by differenti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48Filter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requency response or filter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20Repeater circuits; Relay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22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es of digital filters
    • H03H2220/02Modular, e.g. cells connected in casc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relay including an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which can increase management efficiency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easily exchange internal parts. The mobile communication re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a first frequency module held in the case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nected to a link antenna, separating a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from a down link signal inputted from the link antenna, outputting a first noise removed down signal in which a noise is removed from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outputting a first amplified down signal resulted from power amplification of a first digitally processed down signal, and outputting a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a second frequency module held in the case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nected to a service antenna, outputting a second noise removed down signal in which a noise is removed from the second frequency signal, outputting a second amplified down signal, resulted from power amplification of a second digitally processed down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a digital processing module held in the case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outputting the first digitally processed down signal, resulted from digital conversion, digital process and analog conversion of the first noise removed down signal inputted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ting a second digitally processed down signal, resulted from digital conversion, digital process and analog conversion of the second noise removed down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 frequency module,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Description

교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중계기{MOBILE COMMUNICATION RELAY HAVING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0001] MOBILE COMMUNICATION RELAY HAVING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0002]

본 발명은 이동통신 중계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체 가능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중계기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ncluding a replaceable communication module.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률이 증가되고, 사용자의 용도와 통화 품질에 대한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이동통신 중계기가 보급되고 있다. 이동통신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를 중간에서 연결해주는 장비다. 부연하면, 기지국은 이동통신사 교환기에서 전파를 받아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기는 하지만, 기지국으로부터 전파 도달 거리는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지국의 전파를 더 정확하게, 더 멀리 송신하기 위해 이동통신 중계기가 사용된다. 보통 대도시보다는 기지국과 멀리 떨어져 있는 소도시 혹은 산간 지역에 이동통신 중계기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As the penetration r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desire for the user's use and the communication quality is increased,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spreading to solve this problem.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a device that connects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in the middle. In addition, although the base station can receive radio waves from the mobile switching center to enable services,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used to transmit radio waves of the base station more precisely and farther,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propagation distance from the base station. A larg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s are installed in small cities or mountainous areas, which are usually far away from base stations, rather than large cities.

이러한 이동통신 중계기는 용도별로 다양한 종류가 개시되어 있는데, 대표적인 이동통신 중계기로서 광 중계기와 RF 중계기가 있다. 광 중계기는, 빌딩, 지하철등 광선로 시설이 완비되어 있는 지역에 시설을하여 전파가 불안정하거나 통화품질이 미약한 지역에 송신하는 방식을 가진다. RF 중계기는, LTE, WCDMA, CDMA등의 신호 전달이 곤란한 지하 공간 또는 지상 공간의 전파 음영 지역해소를 위한 무선통신의 장비로서, 기지국과 단말기 간의 신호증폭, 무선경로를 제공하여 통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s have been disclosed for various purposes.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s include optical repeaters and RF repeaters. The optical repeater has a method of transmitting to an area where the radio waves are unstable or the communication quality is weak, by installing the equipment in an area where the optical line facilities such as a building and a subway are fully equipped. RF repeater is an equi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for solving radio propagation area in underground space or ground space where it is difficult to transmit signals such as LTE, WCDMA, CDMA, etc., and provides signal amplification and radio path between base station and terminal, .

이동통신 중계기는 케이스와 그 내부에 통신 중계를 위한 다양한 내장부품을 구비한다. 이동통신 중계기는 상황에 따라 필요로 하는 내장부품이 달라질 수 있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주파수 밴드 및/또는 대역폭이 변경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 경우 종래의 이동통신 중계기는 중계기 전체가 교체되거나 신호 처리를 하는 구성요소 전부가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망 관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이동통신 중계기가 사용자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 설치되어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종래와 같이 내장부품 분리 작업이 불편할 경우 그만큼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도 요구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has a case and various built-in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relay inside thereof. In the case of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s, the required internal compon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frequency band and / or the bandwidth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cas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h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s lowered because all the repeaters are replaced or all of the components that perform signal processing have to be replaced. Consider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user is difficult to access, it is necessary to take countermeasures when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built-in parts is inconvenient as in the related art.

본 발명은 교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통신망 관리 효율을 증진시키고 내장부품 교체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apable of enhanc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and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a built-i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안테나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에서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모듈;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2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는 제2 주파수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중계기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demultiplexing unit for demultiplexing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in a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A first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a first noise reduction downlink signal, outputting a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obtained by power-amplify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link sig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A second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which is received in a detachable manner in the case and is connected to a service antenna and which removes noise of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outputs a second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A second frequency module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a second frequency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first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t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link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a digital processing module for outputting the second digital processing downlink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 converting the second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frequency module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disclos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하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제1 이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frequency module is connected to the link antenna, separates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from the downlink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And outputting the resultant signal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1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입력받는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frequency module may include a second link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duplexer and receiving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모듈과 연결되되,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는 제2 이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is connected to the service antenna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inputted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to the service antenna. 2 redundant por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2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equency module may include a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duplexer and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에서 제1 주파수상향신호와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2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처리모듈은,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2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separates a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up signal from an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s a second noise And outputs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is output to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1 frequency module outputs a first noise canceled upstream signal from which noise of the first frequency upstream signal is removed and outputs a first amplified upstream signal obtained by power-amplify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to the link antenna, And outputs a second amplified up signal to the link antenna, wherein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converts the first noise-removed upstream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into a digital- Analog-converted first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the second noise-removed upstream signal inputted from the second frequency module is subjected to digital conversion, digital processing, And output a digital processing up signal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제2 이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is connected to the service antenna, separates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uplink signal, And a second redundancy unit for outputting the first redundancy unit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2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입력받는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equency module may include a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duplexer and receiving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모듈과 연결되되,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는 제1 이중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equency module is connected to the link antenna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second amplified up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frequency module to the link antenna. 1 redundant portion.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1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폭상향신호를 출력하는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frequency module may include a second link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duplication unit and outputting the second amplified up sign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이중화부는, 상기 하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duplexer may include a diplexer for separating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from the downlink signal.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이중화부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duplexer may include a diplexer for separating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uplink signa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안테나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에서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모듈;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에 포함된 제n-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1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n-1 주파수모듈 - 단, 상기 n은 3 이상의 자연수임;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에 포함된 제n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 및 상기 제n-1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는 제n 주파수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중계기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demultiplexing unit for demultiplexing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in a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A first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the removed first noise canceling down signal, for outputting a first amplified down signal which is obtained by power-amplify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 signal, and for outputting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 signal;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an n-1 frequency downlink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an (n-1) And outputs an n-1 th noise downlink signal from which the n-1 th noise downlink signal has been removed, and outputs an n-1 th noise downlink signal from which the n-1 th noise downlink signal has been removed, -1 frequency module, wherei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An nth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rvice antenna and which removes noise of an nth frequency down signal included in the nth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 n-th frequency module outputting an n-th amplified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power-amplifying a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and the n-th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a second frequency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first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t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link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ting the n-1-th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 converting the n-1-noise rejection downstream signal input from the n-1-th frequency module to the n-1-th frequency module And a digital processing module for outputting the n-th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n-th noise removing downstream signal input from the n-th frequency module to the n-th frequency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disclosed.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중계기는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에 포함된 제n-2 주파수하향신호와 제n-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2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2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n-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제n-2 주파수모듈 - 단, 상기 n은 4 이상의 자연수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처리모듈은 상기 제n-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n-2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하향신호와 상기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로 분리하며, 상기 제n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2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s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separates an n-2 frequency down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 signal and an n-2 other frequency down signal, And outputting an (n-2) -th noise downlink signal obtained by removing the noise of the (n-2) -th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outputting an (n-2) And an n-th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the n-2 th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n-1 th frequency module, wherein n is a natural number of 4 or more, And outputting the n-2-th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n-2 noise canceling downstream signal input from the n-2th frequency module to the n-2 frequency module, The (n-1) -th frequency module outputs the And separates the downlink signal into the n-1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n-1 other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n-th frequency module outputs the n-2 up / down down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n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에서 제n 주파수상향신호와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n-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에서 제n-1 주파수상향신호와 제n-1 타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1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1 주파수상향신호에 포함된 제1 주파수상향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고, 상기 제n 증폭상향신호 및 상기 제n-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처리모듈은,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 출력할 수 있다.
The n-th frequency module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n-th frequency up signal and the n-th different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service antenna, and to remove the n-th frequency up signal, And outputs the n-th amplified up signal to the n-th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n-th amplified up signal to the n-th frequency module. Wherein the n-1th frequency module separates the n-1th frequency up signal and the n-1th up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n-th different frequency upstream signal and outputs the noise of the (n-1) 1) -th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and outputs the (n-1) -th amplified upstream signal to the (n-1) Signal, and the first frequency Wherein the first amplification upstream signal is a signal obtained by removing a noise of a first frequency upstream of the (n-1) -th frequency upstream signal from the first amplification upstream signal, And outputs the n-th amplified up signal and the (n-1) th amplified up signal to the link antenna, and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outputs the first noise canceled up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1) -th noise removal upstream signal input from the (n-1) -th frequency module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n-th noise removal upstream signal input from the n-th frequency module to the n-th frequency module, Hair can be converted to output a digital and analog-to-digital converted by the n-th processed signal up to the first n-frequency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교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통신망 관리 효율을 증진시키고 내장부품 교체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apable of improv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replaceable communication module and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built-in parts.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주파수모듈이 2개 포함된 경우에 대한 이동통신 중계기의 논리적 기능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중화부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주파수모듈이 n개 포함된 경우에 대한 이동통신 중계기의 논리적 기능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recited herein.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logical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when two frequency modules are included.
4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redundanc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logical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when n frequency modules are includ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27]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자", "~모듈",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APU(Accelerate Processor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과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erms such as "to," " to ", " to ", "module "," unit ", and the like are used herein to denote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 processor, a microprocessor, a microcontrolle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 Accelerate Processor Unit (AP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tegrated Circuit),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or the lik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nstituent par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by each main function of each constituent part.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par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part, or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funct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nstituent units themselves, and that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 110), 이동통신중계기(Repeater, 120) 및 이동통신단말기(Mobile Terminal, 130)를 포함한다. 기지국(110), 이동통신중계기(120) 및 이동통신단말기(130)는 상호 간에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110, a mobile repeater 120, and a mobile terminal 130 . The base station 110,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기지국(110) 및 이동통신중계기(12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망과 이동통신단말기(130)를 연결할 수 있다. 기지국(110)이 연결하는 이동 통신망은 각 기지국 제어장치(BSC: Base Station Controller)와의 연결을 통해 각 기지국에서의 발호 및 착호를 처리하고, 모든 기지국이 효율적으로 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중앙 통제 기능과 함께 공중 전화망(PSTN: Public Switch Telecommunication Network)과 같은 다른 망과의 접속을 이루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교환기(미도시)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may connect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base station 110 connects includes a central control function for processing calls and calls from each base station through a connection with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nd for allowing all base stations to operate efficiently, And may be opera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not shown) performing a connection with another network such as a Public Switched Telecommunication Network (PSTN).

이동통신중계기(120)는 이동통신단말기(1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증폭한 후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중계기(120)는 송신 측(예컨대, 송신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한 후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과 이동통신단말기(130)의 거리가 멀어서 원활한 신호 전달이 어려운 경우, 이동통신중계기(120)가 기지국(110)과 이동통신단말기(130) 사이에서 신호 증폭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may amplif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and transmit the amplifi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110. Fur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may amplify a signal received from a transmitting side (e.g., a transmitter terminal (not shown)) and then transmit the amplified signal to the base station 110. [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is too long to smoothly transmit signals,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can perform a signal amplification func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는 이동통신망 관리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내장부품이 교체 가능한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module in which a built-in part can be replaced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는 케이스(210), 전원모듈(220), 안테나모듈(230), n개의 주파수모듈(240-1 내지 240-n)(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임), 디지털처리모듈(250)을 포함한다. 2,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210, a power module 220, an antenna module 230, n frequency modules 240-1 to 240-n ) (Where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and a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에 포함된 각 모듈(210 내지 250)은 케이스(210)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1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1개 이상의 모듈(220 내지 250)을 수용하는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110)는 이동통신중계기(120)에 있어서 대부분의 부피를 차지할 수 있으며 내부에 각 모듈(220 내지 2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부피를 갖는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 이러한 케이스(210)의 형상은 사각 박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모듈(220 내지 250)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제한없이 가능하다.Each of the modules 210 to 250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210 in a detachable manner. Here, the case 210 may be a member having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one or more modules 220 to 250. Therefore, the case 110 may occupy most of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nd may have a square box shape having a certain volume so as to accommodate the modules 220 to 250 therein. However, the shape of the case 210 is not limited to a rectangular box, and any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respective modules 220 to 250.

또한 도 2에서는 케이스(210) 일면이 개구되어 각 모듈(220 내지 250)이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210)의 모든 면이 막혀있거나 또는 별도의 도어를 통해 개구된 일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이동통신중계기(1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이때 케이스(210)가 별도의 도어를 구비하는 경우 도어는 케이스(210)에 대해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로킹/언로킹부를 구비하여 도어를 케이스(110)에 잠근 상태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2, each of the modules 220 to 250 is exposed to the out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ll the surfaces of the case 210 may be clogged, or a separate door may be used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can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if the case 210 has a separate door, the door may be hinged to the case 210 and a separate locking / unlocking portion may be provided to lock the door in the case 110 in a locked state .

또한,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각 모듈(220 내지 250)에 상응하는 단자(260)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모듈(220 내지 250)의 하면에도 케이스의 단자(260)와 연결되는 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모듈(220 내지 250)은 케이스에 장착되면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 terminal 26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modules 220 to 250 may be formed in the case 210. A terminal 260 connected to the terminal 260 of the cas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of the modules 220 to 250. [ Not shown) may be formed. Accordingly, each of the modules 220 to 2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predetermined method when mounted on the case.

예를 들어, 안테나모듈(230)은 링크안테나(미도시)와 서비스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링크안테나(미도시)는 제1 주파수모듈(240-1)과 연결되고, 서비스안테나(미도시)는 제n 주파수모듈(240-n)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주파수모듈(240-1 내지 240-n)은 디지털처리모듈(25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원모듈(220)는 안테나모듈(230), n개의 주파수모듈(240-1 내지 240-n) 및 디지털처리모듈(250)과 각각 연결되어 각 모듈(230 내지 250)이 전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ntenna module 230 may include a link antenna (not shown) and a service antenna (not shown), a link antenna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An antenna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Each of the frequency modules 240-1 to 240-n may be connected to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The power module 220 is connected to the antenna module 230, the n frequency modules 240-1 to 240-n and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so that the modules 230 to 250 are electrically operated Can deliver the power it can.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동통신중계기(120)의 각 동작 모듈(230 내지 25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operation modules 230 to 2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논리적 기능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logical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안테나모듈(230), 제1 주파수모듈(240-1), 제2 주파수모듈(240-2) 및 디지털처리모듈(250)이 케이스(210)에 장착된 이동통신중계기(120)가 예시된다. 비록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모듈(220)은 상기 각 모듈(230 내지 250)에 연결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3,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having the antenna module 230,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and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ounted in the case 210 . Although not shown in FIG. 3, it is apparent that the power modul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modules 230 to 250 to provid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안테나모듈(230)은 링크안테나(310) 및 서비스안테나(38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안테나(310)는 제1 주파수모듈(240-1)과 연결되어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이하, '하향링크신호'라 칭함)를 제1 주파수모듈(240-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링크안테나(310)는 제1 주파수모듈(240-1)로부터 입력된 신호(이하, '상향링크신호'라 칭함)을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antenna module 230 may include a link antenna 310 and a service antenna 380. The link antenna 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and outputs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wnlink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10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 The link antenna 310 may also transmit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o the base station 110. [

또한 서비스안테나(380)는 제2 주파수모듈(240-2)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13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이하, '상향링크신호'라 칭함)를 제2 주파수모듈(240-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안테나(380)는 제2 주파수모듈(240-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antenna 38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and transmits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uplink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 In addition, the service antenna 380 may transmit the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

제1 주파수모듈(240-1)은 제1 이중화부(320-1),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1), 제1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1), 제1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1), 제1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1) 및 제1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주파수모듈(240-2)은 제2 이중화부(320-2),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330-2), 제2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2), 제2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2), 제2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2), 제2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2) 및 제2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includes a first duplexer 320-1, a first link interface 330-1, a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380-1, a first downlink noise removing unit A first downlink analog processing unit 350-1, a first uplink noise removing unit 360-1, and a first uplink analog processing unit 370-1.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includes a second duplexer 320-2, a second link interface 330-2, a second service interface 380-2, A second downlink analog processing unit 350-2, a second uplink noise removing unit 360-2, and a second uplink analog processing unit 370-2.

먼저 제1 주파수모듈(240-1) 및 제2 주파수모듈(240-2)이 링크안테나(310)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하향링크신호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 및 제2 주파수하향신호가 결합된 신호인 경우를 가정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and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to process the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310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downlink signal is a signal in which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are combined.

제1 이중화부(320-1)는 링크안테나(310)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1 주파수하향신호'라 칭함)와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대역신호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2 주파수하향신호'라 칭함)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중화부(320-1)는 주파수 차이가 분명한 두 개 신호의 대역을 전력 손실없이 분리할 수 있는 다이플렉서(D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중화부(320-1)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first duplexer 320-1 transmits a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310 to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first frequency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a seco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signal. Here, the first duplexer 320-1 may include a d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a band of two signals with a clear frequency difference without power los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duplexer 32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중화부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redundanc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중화부(320-1)는 제1 밴드패스필터(410) 및 제1 밴드스탑필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중화부(320-1)는 링크안테나(310)를 통해 입력된 하향링크신호에서 제1 밴드패스필터(410)를 통해 제1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할 수 있고, 제2 밴드스탑필터(420)를 통해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duplexer 32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bandpass filter 410 and a first bandstop filter 420. Accordingly, the first duplexer 320-1 can separate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from the downlink signal input through the link antenna 310 through the first band pass filter 410,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420.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2 주파수하향신호의 주파수 차이가 분명하다면(즉, 20[db] 이상이라면) 제1 이중화부(320-1)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손실없이 분리할 수 있다.
If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is clear (i.e., 20 [dB] or more), the first duplexer 320-1 outputs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The downstream signal can be separated without loss.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이중화부(320-1)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를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중화부(320-1)는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330-2)로 출력할 수 있는데 제2 주파수하향신호가 제2 주파수모듈(240-2)에서 처리되는 동작은 후술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first duplexer 320-1 may output the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to the first link interface 330-1. In addition, the first duplexer 320-1 may output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to the second link interface 330-2. When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is processed by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를 제1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1)로 출력할 수 있고, 제1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1)는 입력된 제1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1)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1)는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처리모듈(25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link interface 330-1 may output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first downlink noise canceler 340-1 and the first downlink noise canceler 340-1 may output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first downlink noise canceler 340-1. The first noise cancellation down signal can be generated by removing the noise of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ccordingly, the first downlink noise canceler 340-1 may include an LNA (Low Noise Amplifier) or the like. The first downlink noise canceler 340-1 may output the first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to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

디지털처리모듈(250)는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구비된 디지털필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처리한 후, 처리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처리모듈(250)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디지털필터(Digital filter) 및 ACD(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converts the input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processes the digital signal converted through the provided digital filter, and converts the process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ccordingly,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ay include a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a digital filter, and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CD).

따라서 디지털처리모듈(250)은 입력된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구비된 DAC(미도시)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제1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디지털필터(미도시)를 통해 처리한 후 ACD(미도시)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신호(이하,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라 칭함)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디지털처리모듈(250)은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제1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1)로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converts the inputted first noise cancellation down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DAC (not shown) provided, and converts the first noise cancellation down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through an ACD (not shown) after being processed through a digital filter (not shown).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ay then output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link signal to the first downlink analog processing unit 350-1.

제1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1)는 입력된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미리 설정된 게인(Gain)에 따라 증폭하여 제1 증폭하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1)는 PA(Power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1)는 제1 증폭하향신호를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1)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downlink analog processor 350-1 may generate the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by amplifying the inputted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link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gain. Accordingly, the first downlink analog processor 350-1 may include a power amplifier (PA) and the like. The first downlink analog processor 350-1 may output the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to the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380-1.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1)는 입력된 제1 증폭하향신호를 제2 이중화부(320-2)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이중화부(320-2)는 입력된 제1 증폭하향신호를 서비스안테나(380)로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안테나(380)는 제1 증폭하향신호를 외부로 방사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380-1 may output the input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cond duplexer 320-2. The second duplexer 320-2 may output the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380. The service antenna 380 can radiate the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to the outside and transmit it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중화부(320-1)는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330-2)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330-2)는 입력된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제2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2)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2)는 입력된 제2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2)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2)는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처리모듈(250)로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duplexer 320-1 may output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to the second link interface 330-2. Accordingly, the second link interface 330-2 can output the input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second downlink noise canceler 340-2, the second downlink noise canceler 340-2, May remove the noise of the input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to generate a second noise cancellation down signal. Accordingly, the second downlink noise canceler 340-2 may include an LNA (Low Noise Amplifier) or the like. The second downlink noise canceler 340-2 may output the second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to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

디지털처리모듈(250)는 입력된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구비된 DAC(미도시)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제2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디지털필터(미도시)를 통해 처리한 후 ACD(미도시)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신호(이하, '제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라 칭함)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디지털처리모듈(250)은 제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제2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2)로 출력할 수 있다.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converts the inputted second noise cancellation down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DAC (not shown) provided and converts the second noise cancellation down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n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through an ACD (not shown) after being processed through a digital filter (not shown).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ay then output the second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to the second downlink analog processor 350-2.

제2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2)는 입력된 제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미리 설정된 게인(Gain)에 따라 증폭하여 제2 증폭하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2)는 PA(Power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2)는 제2 증폭하향신호를 제2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2)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downlink analog processor 350-2 may amplify the input second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gain to generate a second amplified downstream signal. Accordingly, the second downlink analog processor 350-2 may include a power amplifier (PA) and the like. The second downlink analog processor 350-2 may output the second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cond service interface 380-2.

제2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2)는 입력된 제2 증폭하향신호를 제2 이중화부(320-2)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이중화부(320-2)는 제2 증폭하향신호를 서비스안테나(380)로 출력할 수 있다. 서비스안테나(380)는 제2 증폭하향신호를 외부로 방사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중화부(320-2)는 입력된 제1 증폭하향신호와 제2 증폭하향신호를 결합하여 서비스안테나(38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service interface unit 380-2 may output the input second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cond duplexer 320-2 and the second duplexer 320-2 may output the second amplified downstream signal And output it to the service antenna 380. The service antenna 380 can radiate the second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outside and transmit the signal to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At this time, the second duplexer 320-2 may combine the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and the second amplified downlink signal and output the resultant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380.

이하 제1 주파수모듈(240-1) 및 제2 주파수모듈(240-2)이 서비스안테나(380)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향링크신호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 및 제2 주파수하향신호가 결합된 신호인 경우를 가정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and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to process the uplink signals input from the service antenna 380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uplink signal is a signal in which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are combined.

제2 이중화부(320-2)는 서비스안테나(380)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1 주파수상향신호'라 칭함)와 미리 설정된 제2 주파수대역신호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2 주파수상향신호'라 칭함)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중화부(320-2)는 주파수 차이가 분명한 두 개 신호의 대역을 전력 손실없이 분리할 수 있는 다이플렉서(Diplexer)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중화부(320-1)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The second duplexer 320-2 multiplexes the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service antenna 380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first frequency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a seco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frequency up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band signal. Here, the second duplexer 320-2 may include a d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the two signal bands of which the frequency difference is clear without power loss,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1 duplicating unit 320-1.

제2 이중화부(320-2)는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제2 서비스인터페이스부(330-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중화부(320-2)는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1)로 출력할 수 있는데 제1 주파수상향신호가 제1 주파수모듈(240-1)에서 처리되는 동작은 후술한다. The second duplexer 320-2 may output the second frequency uplink signal to the second service interface 330-2. Also, the second duplexer 320-2 may output the first frequency uplink signal to the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380-1. When the first frequency uplink signal is processed by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2)는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제2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2)로 출력할 수 있고, 제2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2)는 입력된 제2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2)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2)는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처리모듈(25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service interface unit 380-2 may output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to the second uplink noise canceler 360-2 and the second uplink noise canceler 360-2 may output the The second noise canceling up signal can be generated by removing the noise of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Therefore, the second uplink noise canceler 360-2 may include an LNA (Low Noise Amplifier) or the like. The second uplink noise canceler 360-2 may output the second noise canceled uplink signal to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

디지털처리모듈(250)는 입력된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구비된 DAC(미도시)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제2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디지털필터(미도시)를 통해 처리한 후 ACD(미도시)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신호(이하, '제2 디지털처리상향신호'라 칭함)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디지털처리모듈(250)은 제2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제2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2)로 출력할 수 있다.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converts the input second noise cancellation upstream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DAC (not shown) and outputs a second noise cancellation upstream signal, which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o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requency band And then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digital processing up signal') through an ACD (not shown) after being processed through a digital filter (not shown).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ay then output the second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to the second uplink analog processor 370-2.

제2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2)는 입력된 제2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미리 설정된 게인(Gain)에 따라 증폭하여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2)는 PA(Power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2)는 제2 증폭상향신호를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330-2)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cond uplink analog processor 370-2 can amplify the input second digital processing up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gain to generate a second amplified up signal. Accordingly, the second uplink analog processor 370-2 may include a power amplifier (PA) and the like. The second uplink analog processor 370-2 can output the second amplified up signal to the second link interface 330-2.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330-2)는 입력된 제2 증폭상향신호를 제1 이중화부(320-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이중화부(320-1)는 입력된 제2 증폭상향신호를 링크안테나(310)로 출력할 수 있다. 링크안테나(310)는 제2 증폭상향신호를 외부로 방사하여 제2 증폭상향신호가 기지국(110)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econd link interface 330-2 may output the input second amplified upstream signal to the first duplexer 320-1. The first duplexer 320-1 may output the input second amplified uplink signal to the link antenna 310. [ The link antenna 310 may radiate a second amplified up signal to the outside so that a second amplified up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10.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이중화부(320-2)는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1)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1)는 입력된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제1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1)로 출력할 수 있고, 제1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1)는 입력된 제1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1)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1)는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처리모듈(250)로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uplexer 320-2 can output the first frequency uplink signal to the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380-1. Accordingly, the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380-1 can output the input first frequency up signal to the first uplink noise canceler 360-1, the first uplink noise canceler 360-1, May remove the noise of the input first frequency up signal to generate a first noise cancel upstream signal. Accordingly, the first uplink noise removing unit 360-1 may include an LNA (Low Noise Amplifier) or the like. The first uplink noise removing unit 360-1 may output the first noise canceling uplink signal to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

디지털처리모듈(250)는 입력된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구비된 DAC(미도시)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고,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제1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디지털필터(미도시)를 통해 처리한 후 ACD(미도시)를 통해 다시 아날로그 신호(이하,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라 칭함)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후 디지털처리모듈(250)은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제1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1)로 출력할 수 있다.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converts the input first noise cancellation upstream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DAC (not shown), converts the first noise cancellation upstream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o a digit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frequency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digital processing up signal') through an ACD (not shown) after being processed through a digital filter (not shown).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ay then output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to the first uplink analog processor 370-1.

제1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1)는 입력된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미리 설정된 게인(Gain)에 따라 증폭하여 제1 증폭상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1)는 PA(Power Amplifier) 등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1)는 제1 증폭상향신호를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uplink analog processor 370-1 may amplify the input first digital processing up signal according to a preset gain to generate a first amplified up signal. Accordingly, the first uplink analog processor 370-1 may include a power amplifier (PA) or the like. The first uplink analog processor 370-1 may output the first amplified up signal to the first link interface 330-1.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는 입력된 제1 증폭상향신호를 제1 이중화부(320-1)로 출력할 수 있고, 제1 이중화부(320-1)는 입력된 제1 증폭상향신호를 링크안테나(310)로 출력할 수 있다. 링크안테나(310)는 제1 증폭상향신호를 외부로 방사하여 제1 증폭상향신호가 기지국(110)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이중화부(320-1)는 입력된 제1 증폭상향신호와 제2 증폭상향신호를 결합하여 링크안테나(31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link interface 330-1 may output the input first amplified up signal to the first duplexer 320-1 and the first duplexer 320-1 may output the first amplified up signal And output the signal to the link antenna 310. The link antenna 310 may radiate the first amplified up signal to the outside so that the first amplified up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110. [ At this time, the first duplexer 320-1 may combine the input first amplified up signal and the second amplified up signal, and output the combined signal to the link antenna 3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에 제1 주파수모듈(240-1)과 제2 주파수모듈(240-2)이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에 n개의 주파수모듈(240-1 내지 240-n)이 장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and the second frequency module 240-2 ar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case where n frequency modules 240-1 to 240-n are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중계기의 논리적 기능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gical func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는 안테나모듈(230), 제1 주파수모듈(240-1) 내지 제n 주파수모듈(240-n) 및 디지털처리모듈(250)이 케이스(210)에 장착된 이동통신중계기(120)가 예시된다. 비록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원모듈(220)은 상기 각 모듈(230 내지 250)에 연결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도 5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동통신중계기(120)는 n개의 주파수모듈(240-1 내지 240-n)이 장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 제n-2 주파수모듈 등도 전원모듈(220)과 연결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에 n개의 중계기모듈(240-1 내지 240-n)이 연결된 경우의 신호 처리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5,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having the antenna module 230,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o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and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ounted on the case 210 . Although not shown in FIG. 5, it is apparent that the power supply module 220 may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modules 230 to 250 to provid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5,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may include n frequency modules 240-1 to 240-n, the n-1 frequency module (not shown), the n-2 Frequency module and the like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module 220 to receiv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Hereinafter, the signal processing operation when n repeater modules 240-1 to 240-n ar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안테나모듈(230)은 링크안테나(310) 및 서비스안테나(38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안테나(310)는 제1 주파수모듈(240-1)과 연결되어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이하, '하향링크신호'라 칭함)를 제1 주파수모듈(240-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링크안테나(310)는 제1 주파수모듈(240-1)로부터 입력된 신호(이하, '상향링크신호'라 칭함)을 기지국(1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antenna module 230 may include a link antenna 310 and a service antenna 380. The link antenna 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and outputs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wnlink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110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 The link antenna 310 may also transmit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o the base station 110. [

또한 서비스안테나(380)는 제n 주파수모듈(240-n)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13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이하, '상향링크신호'라 칭함)를 제n 주파수모듈(240-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안테나(380)는 제n 주파수모듈(240-n)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rvice antenna 380 is connected to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and transmits a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uplink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to the n-th frequency module 240-2. . Also, the service antenna 380 may transmit the signal input from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따라서, 제2 주파수모듈(미도시) 내지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는 안테나모듈(230)과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frequency module (not shown) to the (n-1) th frequency module (not shown) may not be connected to the antenna module 230.

먼저 제1 주파수모듈(240-1) 내지 제n 주파수모듈(240-n)이 링크안테나(310)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하향링크신호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 내지 제n 주파수하향신호 중 둘 이상이 결합된 신호인 경우를 가정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o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to process the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310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downlink signal is a signal in which two or more of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n < th >

제1 주파수모듈(240-1)은 제1 다중화부(520-1),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1), 제1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1), 제1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1), 제1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1) 및 제1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n 주파수모듈(240-n)은 제n 다중화부(520-n), 제n 링크인터페이스부(330-n), 제n 서비스인터페이스부(380-n), 제n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340-n), 제n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50-n), 제n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360-n) 및 제n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370-n)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includes a first multiplexing unit 520-1, a first link interface unit 330-1, a first service interface unit 380-1, a first downlink noise removing unit A first downlink analog processing unit 350-1, a first uplink noise removing unit 360-1, and a first uplink analog processing unit 370-1.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includes an n-th multiplexing unit 520-n, an n-th link interface unit 330-n, an n-th service interface unit 380- N-th downlink analog processing unit 350-n, an n-th uplink noise removing unit 360-n, and an n-th uplink analog processing unit 370-n.

마찬가지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은 제n-1 다중화부(미도시), 제n-1 링크인터페이스부(미도시), 제n-1 서비스인터페이스부(미도시), 제n-1 하향링크노이즈제거부(미도시), 제n-1 하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미도시), 제n-1 상향링크노이즈제거부(미도시) 및 제n-1 상향링크아날로그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Similarly, although not shown, an n-1 frequency module (not shown) may include an n-1 multiplexer (not shown), an n-1 link interface (not shown) 1 < th > uplink noise eliminator (not shown), and an n-1 uplink noise eliminator (not shown) And a processing unit (not shown).

먼저 제1 다중화부(520-1)는 링크안테나(310)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1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1 주파수하향신호'라 칭함)와 다른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라 칭함)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다중화부(520-1)는 주파수 차이가 분명한 두 개 신호의 대역을 전력 손실없이 분리할 수 있는 다이플렉서(Diplexer)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중화부(320-1)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first multiplexer 520-1 multiplexes the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310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a first frequency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frequency down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other frequency down signal "). Here, the first multiplexer 520-1 may include a d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two signal bands having different frequency differences without power loss.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multiplexer 520-1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1 duplicating unit 320-1.

또한 제1 다중화부(520-1)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를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1 주파수모듈(240-1)가 제1 주파수하향신호를 처리하여 제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링크인터페이스부(330-1)는 제1 증폭하향신호를 제1 다중화부(520-1)로 출력할 수 있고, 제1 다중화부(520-1)는 제1 증폭하향신호를 제n 다중화부(520-n)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irst multiplexer 520-1 may output the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to the first link interface 330-1.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for processing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 signal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first link interface 330-1 may output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first multiplexer 520-1, and the first multiplexer 520-1 may output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N multiplexing unit 520-n.

또한, 제1 다중화부(520-1)는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제2 주파수모듈(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2 주파수모듈(미도시)에 포함된 제2 다중화부(미도시)는 구비된 다이플렉서를 통해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제2 주파수하향신호와 제2 타주파수하향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제2 주파수모듈(미도시)는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처리하여 제2 증폭하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다중화부(미도시)는 제2 증폭하향신호를 제n 다중화부(520-n)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다중화부(미도시)는 제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제3 주파수모듈(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multiplexer 520-1 may output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not shown). That is, the second multiplexer (not shown) included i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not shown) separates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 signal into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other frequency down signal through the diplexer provided therein can d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not shown) processes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to generate a second amplified down signal, and the second multiplexer (not shown) processes the second amplified down signal to the n th multiplexer 520 -n). The second multiplexer (not shown) may output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third frequency module (not shown).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에 포함된 제n-1 다중화부(미도시)는 구비된 다이플렉서를 통해 제n-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제n-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는 제n-1 주파수하향신호를 처리하여 제n-1 증폭하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n-1 다중화부(미도시)는 제n-1 증폭하향신호를 제n 다중화부(520-n)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n-1 다중화부(미도시)는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제n 주파수모듈(240-n)로 출력할 수 있다. An n-1 multiplexer (not shown) included in an n-1 frequency module (not shown) according to the same or similar method multiplexes an n-2 other frequency downstream signal through an included diplexer into an n-1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the (n-1) -th frequency downlink signal. An n-1 multiplexer (not shown) may generate an (n-1) -th amplified downstream signal by processing an n-1 frequency down signal, And output the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n-th multiplexer 520-n. The n-1 multiplexer (not shown) may output the (n-1) -th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또한 제n 다중화부(520-n)는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에 포함된 제n 주파수하향신호를 제n 링크인터페이스부(330-n)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n 주파수모듈(240-n)이 제n 주파수하향신호를 처리하여 제n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다중화부(520-1)는 입력된 제1 증폭하향신호 내지 제n 증폭하향신호를 결합하여 서비스안테나(38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n-th multiplexer 520-n may output the n-th frequency downlink signal included in the (n-1) -th frequency downlink signal to the n-th link interface 330-n. The operation of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to process the n-th frequency down signal and output the n-th amplified down signal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first multiplexer 520-1 may combine the first amplified down signal to the n th amplified down signal and output the resultant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380.

이하 제1 주파수모듈(240-1) 내지 제n 주파수모듈(240-n)이 서비스안테나(380)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향링크신호는 제1 주파수하향신호 내지 제n 주파수하향신호가 결합된 신호인 경우를 가정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o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to process the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service antenna 380 will be described. Here, it is assumed that the uplink signal is a signal in which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n < th > frequency down signal are combined.

먼저 제n 다중화부(520-n)는 서비스안테나(380)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를 미리 설정된 제n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n 주파수상향신호'라 칭함)와 다른 주파수대역에 상응하는 신호(이하,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라 칭함)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n 다중화부(520-n)는 주파수 차이가 분명한 두 개 신호의 대역을 전력 손실없이 분리할 수 있는 다이플렉서(Diplexer)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이중화부(320-1)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First, the n-th multiplexer 520-n multiplexes the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service antenna 380 with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set n-th frequency ba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n-th frequency up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n-th another frequency upstream signal "). Here, the n-th multiplexer 520-n may include a diplexer capable of separating two signal bands having different frequency differences without power loss,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1 duplicating unit 320-1.

또한 제n 다중화부(520-n)는 제n 주파수상향신호를 제n 서비스인터페이스부(330-n)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n 주파수모듈(240-n)이 제n 주파수상향신호를 처리하여 제n 증폭상향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n 서비스인터페이스부(330-n)는 제n 증폭상향신호를 제n 다중화부(520-n)로 출력할 수 있고, 제n 다중화부(520-n)는 제n 증폭상향신호를 제1 다중화부(520-1)로 출력할 수 있다. The n-th multiplexer 520-n may output the n-th frequency upstream signal to the n-th service interface 330-n. The operation of the n-th frequency module 240-n to process the n-th frequency up signal to output the n-th amplified up signal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n-th service interface unit 330-n may output the n-th amplified upstream signal to the n-th multiplexing unit 520-n, and the n-th multiplexing unit 520- To the first multiplexing unit 520-1.

또한, 제n 다중화부(520-n)는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에 포함된 제n-1 다중화부(미도시)는 구비된 다이플렉서를 통해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제n-1 주파수상향신호와 제n-1 타주파수상향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제n-1 주파수모듈(미도시)은 제n-1 주파수상향신호를 처리하여 제n-1 증폭상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n-1 다중화부(미도시)는 제n-1 증폭상향신호를 제1 다중화부(520-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n-1 다중화부(미도시)는 제n-1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제n-2 주파수모듈(미도시)로 출력할 수 있다. Also, the n-th multiplexer 520-n may output the n-th different frequency upstream signal to the (n-1) -th frequency module (not shown). That is, the n-1 multiplexer (not shown) included in the n-1 frequency module (not shown) multiplexes the n-th frequency up signal through the diplexer provided with the -1 can be separated into other up frequency signals. An n-1 multiplexer (not shown) may generate an (n-1) th amplified up signal by processing an n-1 frequency up signal to generate an Amplified upstream signal to the first multiplexer 520-1. An n-1 multiplexer (not shown) may output the n-1 th frequency upstream signal to the n-2 frequency module (not shown).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2 주파수모듈(미도시)에 포함된 제2 다중화부(미도시)는 구비된 다이플렉서를 통해 제3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제2 주파수상향신호와 제2 타주파수상향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제2 주파수모듈(미도시)은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처리하여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제2 다중화부(미도시)는 제2 증폭상향신호를 제1 다중화부(520-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다중화부(미도시)는 제2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제1 주파수모듈(240-1)로 출력할 수 있다. A second multiplexer (not shown) included in a second frequency module (not shown) according to the same or similar method multiplexes a third different frequency upstream signal and a second different frequency upstream signal through a diplexer, It can be separated into upstream signals. A second frequency module (not shown) may process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to generate a second amplified up signal, and a second multiplexer (not shown) may process the second amplified up signal to the first multiplexer 520 -1). In addition, the second multiplexer (not shown) may output the second different frequency upstream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또한 제1 다중화부(520-1)는 제2 타주파수상향신호에 포함된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330-1)로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1 주파수모듈(240-1)이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처리하여 제1 증폭상향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다중화부(520-1)는 입력된 제1 증폭상향신호 내지 제n 증폭상향신호를 결합하여 링크안테나(310)로 출력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multiplexer 520-1 may output the first frequency uplink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uplink frequency up signal to the first service interface 330-1.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frequency module 240-1 to process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output the first amplified up signal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first multiplexer 520-1 may combine the first amplified up signal to the n th amplified up signal and output the combined signal to the link antenna 310.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중계기(120)는 구성된 각 모듈, 특히 복수의 주파수모듈(240-1 내지 240-n)이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서비스 주파수가 변경되어도 이동통신중계기(120) 자체가 교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처리모듈(250)은 임의의 주파수모듈이 변경될 때 변경된 주파수모듈에 상응하도록 구비된 디지털필터가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으므로 파손되지 않는 한 교체되지 않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of the configured modules,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frequency modules 240-1 to 240-n are detachably connected, The repeater 120 itself may not be replaced. Also,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250 may not be replaced unless corrupted because the digital filter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d frequency module may be modified by the administrator when any frequency module is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통신망 관리 효율을 증진시키고 내장부품 교체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apable of improving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replaceable communication module and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built-in parts.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10: 기지국
120: 이동통신중계기
130: 이동통신단말기
210: 케이스
220: 전원모듈
230: 안테나모듈
240-n: 제n 주파수모듈
250: 디지털처리모듈
110: base station
120: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13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10: Case
220: Power module
230: Antenna module
240-n: n-th frequency module
250: Digital processing module

Claims (15)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안테나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에서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모듈;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2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는 제2 주파수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case;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demultiplexing unit for demultiplexing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in a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A first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a first noise reduction downlink signal, outputting a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obtained by power-amplify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link sig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A second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which is received in a detachable manner in the case and is connected to a service antenna and which removes noise of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outputs a second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A second frequency module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And outputs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being digitally converted, digitally processed, and analog converted from the first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A digital processing module for outputting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the second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 converting the second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frequency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하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제1 이중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first duplexer connected to the link antenna for separating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from the downlink sig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1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입력받는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second link interface connected to the first duplexer and receiving the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모듈과 연결되되,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는 제2 이중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second duplexer connected to the service antenna and connected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to the service antenna;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2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first service interface coupled to the second duplexer for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link sig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에서 제1 주파수상향신호와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2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2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처리모듈은,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2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uplink signal input from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s a second noise canceled up signal by removing noise of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Wherein the first frequency module comprises:
And outputting a first noise canceled up signal from which noise of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is removed, outputting a first amplified up signal obtained by power-amplifying the first digital processed up signal to the link antenna, And outputs it to the link antenna,
Wherein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comprises:
And outputs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first noise-canceled upstream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ting the second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digitally converted, digitally processed, and analog-converted to the second noise-canceled upstream signal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is a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제2 이중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second duplexer connected to the service antenna for separating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uplink signal and outputting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2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를 입력받는 제1 서비스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first service interface coupled to the second duplexer to receive the first frequency uplink sig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모듈과 연결되되, 상기 제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2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는 제1 이중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first duplexer connected to the link antenn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the second amplified up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frequency module to the link antenna;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1 이중화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증폭상향신호를 출력하는 제2 링크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frequency module comprises:
A second link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first duplexer to output the second amplified up sig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화부는,
상기 하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duplexer includes:
A diplexer for separating the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down signal from the downlink sig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중화부는,
상기 상향링크신호에서 상기 제1 주파수상향신호와 상기 제2 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는 다이플렉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duplication unit may include:
A diplexer for separating the first frequency up signal and the second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uplink sig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es: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링크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링크안테나로부터 입력된 하향링크신호에서 제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1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1 주파수모듈;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에 포함된 제n-1 주파수하향신호와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1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1 증폭하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출력하는 제n-1 주파수모듈- 단, 상기 n은 3 이상의 자연수임;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서비스안테나와 연결되고, 상기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에 포함된 제n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제1 증폭하향신호 및 상기 제n-1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는 제n 주파수모듈; 및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1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1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디지털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case;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demultiplexing unit for demultiplexing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in a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link antenna, A first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the removed first noise canceling down signal, for outputting a first amplified down signal which is obtained by power-amplify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 signal, and for outputting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 signal;
A first frequency downlink signal demultiplexer for demultiplexing an n-1 frequency downlink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an (n-1) And outputs an n-1 th noise downlink signal from which the n-1 th noise downlink signal has been removed, and outputs an n-1 th noise downlink signal from which the n-1 th noise downlink signal has been removed, -1 frequency module, wherein n is a natural number of 3 or more;
An nth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rvice antenna and which removes noise of an nth frequency down signal included in the nth first frequency down signal, An n-th frequency module outputting an n-th amplified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power-amplifying a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ting the first amplified downstream signal and the n-th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And
And outputs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being digitally converted, digitally processed, and analog converted from the first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n-1-th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n-1-noise rejection downstream signal input from the n-1-th frequency module to the n-1-th frequency module A digital processing module for outputting the n-th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n-th noise removing downstream signal input from the n-th frequency module to the n-th frequency module;
The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compri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도록 수용되고, 상기 제1 타주파수하향신호에 포함된 제n-2 주파수하향신호와 제n-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2 주파수하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2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n-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제n-2 주파수모듈 - 단, 상기 n은 4 이상의 자연수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처리모듈은 상기 제n-2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2 노이즈제거하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2 디지털처리하향신호를 상기 제n-2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2 타주파수하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하향신호와 상기 제n-1 타주파수하향신호로 분리하며,
상기 제n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2 증폭하향신호를 상기 서비스안테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second frequency downlink signal demultiplexing unit for demultiplexing an n-2 frequency downlink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other frequency downlink signal and an n-2 frequency downlink signal included in the case, And outputs an n-2-th amplified downstream signal obtained by power-amplifying the n-2-th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to the n-th frequency module, N-2 frequency module for outputting a signal to the n-1-th frequency module, wherein n is a natural number of 4 or more;
Further comprising: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converts the (n-2) -th digital processing downstream signal that has been digitally converted, digitally processed, and analog-converted the n-2 noise canceling downlink signal input from the n-2 & Module,
The n-1 frequency module separates the (n-2) -th frequency down signal into the (n-1) -th frequency down signal and the (n-1)
And the n-th frequency module outputs the n-2-th amplified downstream signal to the service antenn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주파수모듈은,
상기 서비스안테나로부터 입력된 상향링크신호에서 제n 주파수상향신호와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n-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 타주파수상향신호에서 제n-1 주파수상향신호와 제n-1 타주파수상향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n-1 주파수상향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n-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n-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n-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타주파수상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주파수모듈은,
상기 제n-1 주파수상향신호에 포함된 제1 주파수상향의 노이즈를 제거한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출력하고,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전력증폭한 제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고, 상기 제n 증폭상향신호 및 상기 제n-1 증폭상향신호를 상기 링크안테나로 출력하며,
상기 디지털처리모듈은,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고,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1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1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n-1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며,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n 노이즈제거상향신호를 디지털 변환, 디지털 처리 및 아날로그 변환한 상기 제n 디지털처리상향신호를 상기 제n 주파수모듈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중계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n < th >
An n-th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uplink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ice antenna, and outputs an n-th noise canceled up signal from which noise of the n-th frequency up signal is removed, And outputs the n-th frequency up signal to the (n-1) -th frequency module,
Wherein the n-th frequency module comprises:
And separating the n-1th frequency up signal and the n-1th up frequency up signal from the n-th different frequency upstream signal and outputting an n-1 noise cancellation up signal from which noise of the (n-1) And outputs the n-1 th amplified up signal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n-th another frequency up signal,
Wherein the first frequency module comprises:
And outputs a first noise canceled up signal from which noises of a first frequency up included in the (n-1) -th frequency up signal are removed, and outputs a first amplified up signal by power- And outputs the n-th amplified up signal and the (n-1) th amplified up signal to the link antenna,
Wherein the digital processing module comprises:
And outputting the first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digitally converted, digitally processed, and analog-converted to the first noise-canceled upstream signal input from the first frequency module to the first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n-1-th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obtained by digitally converting, digitally processing, and analog-converting the input n-1 noise removal upstream signal to the n-1th frequency module, And outputs the n-th digital processing upstream signal obtained by performing digital conversion, digital processing, and analog conversion on the n-th noise removing upstream signal to the n-th frequency module.
KR1020170021849A 2016-02-18 2017-02-17 Mobile communication relay having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KR1021290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369 2016-02-18
KR20160019369 2016-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7582A true KR20170097582A (en) 2017-08-28
KR102129051B1 KR102129051B1 (en) 2020-07-02

Family

ID=5975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849A KR102129051B1 (en) 2016-02-18 2017-02-17 Mobile communication relay having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05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947B1 (en) 2019-02-01 2023-09-14 삼성전자 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2692A (en) * 2005-06-17 2006-12-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Rf synthesizing distributing apparatus
KR20100040497A (en) * 2008-10-10 2010-04-20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Multi-band repe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2692A (en) * 2005-06-17 2006-12-2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Rf synthesizing distributing apparatus
KR20100040497A (en) * 2008-10-10 2010-04-20 세원텔레텍 주식회사 Multi-band rep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051B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1378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rchitectures
US7450853B2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base station
US680176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s signals
US20160329957A1 (en) Distributed duplexer configuration for blocking and linearity
CN110999234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predistortion
KR101463239B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supporting multi band
KR2007010636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ultipath interference signal using multiple wire feedback signal
KR20020063644A (en) Intermediate-frequency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3149871A1 (en) Integrated analog and digital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utilizing an all fiber optic network
KR101791636B1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base station interface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12976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noise suppression f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0926373B1 (en) Multi-band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his signal processing method
JP53394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70097582A (en) Mobile communication relay having exchangeable communication module
EP3242450B1 (en) Method of summing forward digital signal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20060104636A (en) Integrated radio optical repeater
KR100736118B1 (en) Optical repeater for WiBro service
KR101961853B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or multi-bandwidth and method of the same
KR101877266B1 (en) Remote apparatus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1868848B1 (en) Device for Canceling Passive Intermodulation Signal
KR101973669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remove PI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316811B1 (en) A BTS extending coverage in itself
KR100837519B1 (en) 2g/1x amp unification base station
JP2000031879A (en) Radio relay amplifier
KR20170073407A (en) Apparatus for integrating monitor port of digital rep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