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454A -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454A
KR20170096454A KR1020160017850A KR20160017850A KR20170096454A KR 20170096454 A KR20170096454 A KR 20170096454A KR 1020160017850 A KR1020160017850 A KR 1020160017850A KR 20160017850 A KR20160017850 A KR 20160017850A KR 20170096454 A KR20170096454 A KR 2017009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socket
rechargeab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석
김성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엘코리아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엘코리아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엘코리아홀딩스
Priority to KR102016001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6454A/ko
Publication of KR2017009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형성된 제1 소켓 및 제2 소켓에 삽입되는 제3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절첩 방식으로 서로 포개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소켓(110) 및 상기 제1 소켓(110)과 이격되게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소켓(120)이 구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 소켓(110) 및 제2 소켓(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이 충전된 충전 배터리(200);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무선충전모듈(300);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배터리로 상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커넥터(400); 상기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자 담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전자 담배에 구비된 배터리로 상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커넥터(500);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제1 소켓(110)과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에 구비된 제2 소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소켓(110)과 다른 하나의 제2 소켓(1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3 커넥터(600);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4 커넥터(7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힌지(810)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8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거치하는 거치부(8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충전모듈(300)에 위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PORTABLE BATTERY CHARG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형성된 제1 소켓 및 제2 소켓에 삽입되는 제3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절첩 방식으로 서로 포개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인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는 그 유용성을 위해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결합되는 정보기기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 또는 사용중에 배터리가 완전히 소모되면 통신 등이 불가능하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는데, 이를 위해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여 다니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휴대가 용이하지 못한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보조 배터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금속물체와 접촉될 경우 보조 배터리의 폭발 가능성이 있어 별도 케이스에 보관한 상태에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보조 배터리의 특성상 배터리 용량이 작아 배터리가 금방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16480호(2003년 06월 03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0801052호(2008년 01월 29일 등록) (문헌 3) : 국내등록특허 제10-0967319호(2010년 06월 24일 등록) (문헌 4) : 국내등록특허 제10-0608518호(2006년 07월 27일 등록)
본 발명은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형성된 제1 소켓 및 제2 소켓에 삽입되는 제3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절첩 방식으로 서로 포개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내부에 무선충전모듈 및 고정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제1 커넥터와 전자 담배를 충전할 수 있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충전 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와 전자 담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 상부에 거치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소켓(110) 및 상기 제1 소켓(110)과 이격되게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소켓(120)이 구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 소켓(110) 및 제2 소켓(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이 충전된 충전 배터리(200);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무선충전모듈(300);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배터리로 상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커넥터(400); 상기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자 담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전자 담배에 구비된 배터리로 상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커넥터(500);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제1 소켓(110)과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에 구비된 제2 소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소켓(110)과 다른 하나의 제2 소켓(1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3 커넥터(600);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4 커넥터(7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힌지(810)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8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거치하는 거치부(8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충전모듈(300)에 위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400)는,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410); 및 상기 제1 케이블(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플러그(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410) 및 제1 플러그(4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500)는,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케이블(510); 및 상기 제2 케이블(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담배 전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0.5A 내지 1.0A의 전류 세기를 갖는 5핀 마이크로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1 플러그(4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블(510) 및 제2 플러그(520)는 상기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9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에 축 결합되어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권취봉(910);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권취봉(910)에 고정되며, 상기 무선충전모듈(300)에 위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감싸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920); 및 상기 밴드(920)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결합홈(170)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케이스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 형성된 제1 소켓 및 제2 소켓에 삽입되는 제3 커넥터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절첩 방식으로 서로 포개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케이스 내부에 무선충전모듈 및 고정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를 고정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제1 커넥터와 전자 담배를 충전할 수 있는 제2 커넥터를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충전 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와 전자 담배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는 케이스 상부에 거치부를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10)는 케이스(100), 충전 배터리(200), 무선충전모듈(300), 제1 커넥터(400), 제2 커넥터(500), 제3 커넥터(600), 제4 커넥터(700), 거치부(800) 및 고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사각 형태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는 반원 형태의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일측 및 타측면의 양단에 각각 제1 소켓(110), 제2 소켓(120), 삽입공(130) 및 삽입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소켓(110)은 케이스(100)의 일측 및 타측면 전방에 형성되고,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 고정된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커넥터(6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소켓(120)은 제1 소켓(110)과 이격되게 케이스(100)의 일측 및 타측면 후방에 형성되고,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 고정된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커넥터(600)가 삽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1 소켓(110) 및 제2 소켓(120)을 케이스(100)에 형성하여 사용하게 되면,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200)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200)가 제3 커넥터(60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특히, 케이스(100)와 근접한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를 접어서 중첩되게 절첩 방식으로 포개어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삽입공(130)은 제1 소켓(110)과 근접하게 위치하고, 제1 소켓(110) 및 제2 소켓(120)에 삽입된 제3 커넥터(600)의 미사용시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제3 커넥터(600)가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40)은 삽입공(130)과 제2 소켓(120) 사이에 위치하고, 케이스(100)의 일측 및 타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1 커넥터(400) 및 제2 커넥터(500)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400) 및 제2 커넥터(500)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고 삽입홈(140)에 삽입한 상태로 휴대하여 제1 커넥터(400) 및 제2 커넥터(50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제1 커넥터(400) 및 제2 커넥터(500)가 케이스(100)의 외측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삽입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2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무선충전모듈(300), 제1 커넥터(400), 제2 커넥터(500), 제3 커넥터(600) 및 제4 커넥터(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와 연결된 전자기기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무선충전모듈(300)은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 고정되며,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20)가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무선충전모듈(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미도시)가 케이스(100)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원부는 버튼 방식으로 형성되어 버튼의 눌림에 따라 전원부를 온/오프시켜 무선충전모듈(300)에서 자기장이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커넥터(400)는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고, 휴대용 단말기(2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 또는 충전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20)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전자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400)는 제1 케이블(410) 및 제1 플러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블(410)은 일단이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1 플러그(420)가 연결되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을 제1 플러그(420)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블(410)의 일단은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의 일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삽입홈(140)에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1 플러그(420)가 어느 방향에서든 휴대용 단말기(20)에 형성된 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케이블(410) 미사용시 케이스(100)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의 일단에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플러그(420)는 제1 케이블(41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단자에 삽입되어 제1 케이블(410)을 통해 충전 배터리(200)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전달받아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배터리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러그(420)는 제1 케이블(410)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미사용시 삽입홈(140)의 타단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제2 커넥터(500)는 제1 커넥터(400)의 반대 측인 케이스(100)의 타측에 설치되고, 전자 담배(미도시)에 구비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자 담배에 구비된 배터리로 충전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커넥터(500)는 제2 케이블(510) 및 제2 플러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담배의 충전은 휴대용 단말기(20)의 충전과 다른 저항값을 가지므로 제1 커넥터(400)에서 충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전자 담배를 충전할 수 있는 제2 커넥터(5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로 들면, 휴대용 단말기(20)에 사용하는 전류의 세기는 1.0A 내지 2.0A로 사용되지만, 전자 담배에 사용하는 전류의 세기는 0.5A 내지 0.7A로 사용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20)에서 사용하는 제1 커넥터(400)는 1.0A 내지 2.0A로 이루어진 전류의 세기를 가지고, 전자 담배는 0.5A 내지 1.0A로 이루어진 전류의 세기로 만약, 제1 커넥터(400)를 이용하여 전자 담배에 구비된 배터리로 충전을 하게 되면 쇼트가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케이블(510)은 제1 케이블(410)과 동일한 것으로 일단이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2 플러그(520)가 연결되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을 제2 플러그(520)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블(510)의 일단은 케이스(100)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의 일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삽입홈(140)에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자유자재로 움직이도록 하여 제2 플러그(520)가 어느 방향에서든 전자 담배에 구비된 단자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케이블(510) 미사용시 케이스(100)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의 일단에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플러그(520)는 제2 케이블(510)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 담배에 구비된 단자에 삽입되어 제2 케이블(510)을 통해 충전 배터리(200)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전달받아 전자 담배에 구비된 배터리로 충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플러그(520)는 전자 담배 전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0.5A 내지 1.0A의 전류 세기를 갖는 5핀 마이크로 플러그로 이루어지고, 제2 케이블(510)의 타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미사용시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의 타단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제3 커넥터(600)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10)와 다른 하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 커넥터(600)는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1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절첩 방식으로 서로 엇갈리게 포개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커넥터(600)는 제1 접촉단자(610), 제2 접촉단자(620) 및 제3 케이블(6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접촉단자(610)는 제1 소켓(110)에 삽입되어 제1 소켓(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접촉단자(620)는 제2 소켓(120)에 삽입되어 제2 소켓(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케이블(630)은 제1 접촉단자(610)와 제2 접촉단자(620)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예로 들면,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1 소켓(110)과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2 소켓(120)이 일렬로 위치하도록 근접 배치한 다음 제1 접촉단자(610)는 제1 소켓(110)에 삽입되고, 제2 접촉단자(620)는 제2 소켓(120)에 삽입하여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200)와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또한, 제1 소켓(110)이 전방에 위치한 케이스(100) 위에 제2 소켓(120)이 전방에 위치하여 제1 소켓(110)과 수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가 올려진 상태에서, 제1 접촉단자(610)는 제1 소켓(110)에 삽입하고, 제2 접촉단자(620)는 제2 소켓(120)에 삽입하도록 하여 케이스(100)와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가 서로 포개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제3 커넥터(600) 미사용시에는 제1 접촉단자(610)는 삽입공(130)에, 제2 접촉단자(620)는 제1 소켓(110)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제4 커넥터(700)는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된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스(100)에 형성된 삽입홈(140)과 삽입공(130) 사이에 형성되며,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배터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외부 전원과 연결된 플러그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 배터리(200)로 전달하여 충전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거치부(800)는 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소형 휴대용 단말기(20) 등의 스마트폰을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거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800)는 케이스(100)의 상부에 힌지(810)로 체결되고, 힌지(810)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케이스(1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800)에 의해 일정 각도 기울어진 휴대용 단말기(20)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고 휴대용 단말기(2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150)가 케이스(10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50)는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전방에 위치한 돌기부(150)에 휴대용 단말기(20)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지지되면, 휴대용 단말기(20)의 기울어진 각도가 케이스(1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작아지고, 후방에 위치한 돌기부(150)에 휴대용 단말기(20)의 하부 모서리 부분이 지지되면, 휴대용 단말기(20)의 기울어진 각도가 케이스(10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커질 수 있다.
또한, 거치부(800)는 케이스(100)의 상부면과 마주하는 일측면에 끼움홈(82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끼움홈(820)은 케이스(100) 상부면에 형성된 돌기부(15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거치부(800) 미사용시 케이스(100) 상부면에 덮어 고정할 수 있는데, 이때, 거치부(80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끼움홈(820)에 돌기부(150)가 끼움 고정되게 한다. 한편, 끼움홈(820)은 휴대용 단말기(20)의 상부 모서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900)는 케이스(100)의 내부 후방에 설치되고, 무선충전모듈(300) 상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20)를 감싸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900)는 권취봉(910), 밴드(920) 및 끼움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봉(910)은 케이스(100)에 형성된 제2 소켓(120)과 반대측에 형성된 제2 소켓(120) 사이에 위치하고, 케이스(100)의 길이 방향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에 축 결합되어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밴드(920)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은 권취봉(9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밴드(920)는 탄성력에 의해 권취봉(91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형성될 수 있다. 즉, 밴드(920)의 타단을 외력에 의해 케이스(100)에 형성된 입구(160)로 인출한 상태에서 무선충전모듈(300) 상에 위치한 휴대용 단말기(20)를 감싸 고정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권취봉(910)에 감기면서 두루마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930)는 쿠션을 갖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밴드(920)의 타단에 결합 되며, 권취봉(910)에 감겨있는 밴드(920)의 타단이 케이스(100)에 형성된 입구(160) 부분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밴드(920)를 입구(160)로 인출하기 위해서는 끼움부(930)를 잡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하고, 입구(160)를 통해 인출된 끼움부(930)는 휴대용 단말기(20)의 상부를 지나 입구(160)의 반대측인 케이스(100)의 전방에 형성된 결합홈(17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고정부(900)를 사용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가 무선충전모듈(300) 상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를 손으로 휴대한 상태로 들고 다니면서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배터리로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20; 휴대용 단말기
100; 케이스 110; 제1 소켓
120; 제2 소켓 130; 삽입공
140; 삽입홈 150; 돌기부
160; 입구 170; 결합홈
200; 충전 배터리 300; 무선충전모듈
400; 제1 커넥터 410; 제1 케이블
420; 제1 플러그 500; 제2 커넥터
510; 제2 케이블 520; 제2 플러그
600; 제3 커넥터 610; 제1 접촉단자
620; 제2 접촉단자 630; 제3 케이블
700; 제4 커넥터 800; 거치부
810; 힌지 820; 끼움홈
900; 고정부 910; 권취봉
920; 밴드 930; 끼움부

Claims (4)

  1.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소켓(110) 및 상기 제1 소켓(110)과 이격되게 후방에 위치하는 제2 소켓(120)이 구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제1 소켓(110) 및 제2 소켓(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이 충전된 충전 배터리(200);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배치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는 무선충전모듈(300);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에 구비된 배터리로 상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 커넥터(400);
    상기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자 담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전자 담배에 구비된 배터리로 상기 충전 배터리(20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 커넥터(500);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된 제1 소켓(110)과 다른 하나의 케이스(100)에 구비된 제2 소켓(1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소켓(110)과 다른 하나의 제2 소켓(1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제3 커넥터(600);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4 커넥터(7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 힌지(810)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8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거치하는 거치부(800); 및
    상기 케이스(100)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무선충전모듈(300)에 위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400)는,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410); 및
    상기 제1 케이블(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플러그(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블(410) 및 제1 플러그(4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500)는,
    상기 충전 배터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케이블(510); 및
    상기 제2 케이블(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자 담배 전용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0.5A 내지 1.0A의 전류 세기를 갖는 5핀 마이크로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1 플러그(420);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블(510) 및 제2 플러그(520)는 상기 케이스(100)의 타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40)에 삽입되어 보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9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에 축 결합되어 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권취봉(910);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은 상기 권취봉(910)에 고정되며, 상기 무선충전모듈(300)에 위치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20)를 감싸 고정되도록 하는 밴드(920); 및
    상기 밴드(920)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된 결합홈(170)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부(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KR1020160017850A 2016-02-16 2016-02-16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KR20170096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50A KR20170096454A (ko) 2016-02-16 2016-02-16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50A KR20170096454A (ko) 2016-02-16 2016-02-16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454A true KR20170096454A (ko) 2017-08-24

Family

ID=5975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850A KR20170096454A (ko) 2016-02-16 2016-02-16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64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285B2 (en)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inductive charger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457649B1 (en) Headset charging station
US9074761B2 (en) Composite table lighting structure for wired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US8395353B2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134142A1 (en)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US20100253282A1 (en) Chargeable inductive power outlet
US20140354219A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JP7100338B2 (ja) 携帯型端末の無線充電システム
TWM493192U (zh) 能平躺或成角度充電之無線充電座
US20200162807A1 (en) Headphone charging apparatus
CN104378465A (zh) 移动终端
KR20170043866A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US20140203767A1 (en) Electric induction charger capable of collecting electric wire
US6923688B1 (en) Charging interface
KR101767622B1 (ko) 무접점 충전회로를 구비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외부 케이스
KR101521867B1 (ko) 젠더보관홈을 구비한 휴대용 충전기
EP2472697A1 (en) Wireless charging transmitt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4156565U (zh) 一种可与手机固定的便携充电装置
JP3184539U (ja) 電気コード収納機能を有する電力センサー式充電装置
KR20170096454A (ko) 휴대용 배터리 충전장치
CN105577865B (zh) 多充电/数据接口的电子设备保护壳及与其匹配的插接件
KR200385075Y1 (ko) 휴대전화 충전용 커넥터 수납 구조체
CN208461486U (zh) 背夹电池
TWI495222B (zh) 可攜式電子裝置之無線充電傳輸裝置
KR20060107144A (ko) 와이어리스 충전용 배터리 및 이를 충전할 수 있는유니버설 무선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