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339A -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339A
KR20170096339A KR1020160017598A KR20160017598A KR20170096339A KR 20170096339 A KR20170096339 A KR 20170096339A KR 1020160017598 A KR1020160017598 A KR 1020160017598A KR 20160017598 A KR20160017598 A KR 20160017598A KR 20170096339 A KR20170096339 A KR 20170096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auxiliary battery
connector
pow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5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다혜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7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6339A/en
Publication of KR2017009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33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1M2/1022
    • H02J7/00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charging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harging system comprises: a first to an Nth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greater) battery modules, respectively including: an input connector on one side surface; an output connector on the other side surface; and a combination member near each input connector and each output connector; and a mobile terminal which, whe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battery module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uses the power of the first second battery module supplied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to charge a built-in battery. The first second battery module is combined with the second second battery module as an output connector of the second second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first second battery modules input connector. Here, the combined strength of the first and the second second battery modules is increased by each combination member of the first and the second second battery modules. Each combination member can be combined with another combination member even without using a tool to help combine them such as a screwdriv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ond battery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which is realized wit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nd a battery charging system, which is capable of charging a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s own by using a second battery modul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의 자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charging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 self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첨단 IT 기술과 통신장비의 성능이 높아짐에 따라 휴대폰, 스마트폰, PDA, 휴대용 카메라, 넷북, 노트북 및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각종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어 있다.As the performance of advanced IT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s increased,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smart phones, PDAs, portable cameras, netbooks, notebooks and MP3 players have become popular.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탈착 가능한 형태 또는 내장된 형태로 자체 배터리를 구비하고, 자체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데, 최근에는 그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서 내장형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its own battery in a detachable form or a built-in form, and is supplied with power by its own battery. In recent years, a built-in battery is used in many cases in order to improve portability.

한편, 휴대 단말기는 LCD 크기 증가 및 다양한 통신 기능이 통합되는 등과 같이 점점 진화하고 있어 소비 전력량도 증가하고 있다. 그로 인해, 휴대 단말기는 종래에 비해 배터리 용량이 현저히 증가했음에도,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은 배터리 사용 시간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gradually evolving, such as increasing the size of LCDs and integrating variou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the amount of power consumption is also increasing. As a result, although the battery capacity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many users are still not satisfied with the battery usage tim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416155호(등록일 2006년 5월 11일)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416155 (Registered on May 11, 200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배터리 모듈로 구현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 모듈 및 보조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자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tery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a self battery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n auxiliary battery module and a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For that purpos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각기 그 일 측면에 입력 커넥터, 타 측면에 출력 커넥터 및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에 근접하여 구비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N은 2이상의 자연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과 그 출력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그 출력 커넥터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의 전원을 이용하여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은, 그에 구비된 입력 커넥터에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커넥터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과 결합 되며, 이때에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의 각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의 결합 강도가 강화되며, 상기 각 결합 부재는, 드라이버와 같은 결합을 돕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른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to Nth (N (N) th to Nth) batteries each including an input connector on one side thereof, an output connector on the other side,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battery module; And a portable terminal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through an output connector thereof and charges the built-in battery using the power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supplied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1 auxiliary battery module is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as the output connector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put connector provided in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are reinforced by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and each of the coupling members is configured to be engageable with another coupling member without using a tool such as a driver.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전원에 대응하는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충전용 전원을 전달하는 출력 커넥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이 장착되는 입력 커넥터; 그 입력은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와 연결되고, 그 출력은 상기 출력 커넥터에 연결되거나 개방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출력 커넥터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연결 여부, 상기 입력 커넥터에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 또는 충전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연결 또는 개방을 제어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출력 커넥터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커넥터에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출력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더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battery module, which is installed in a portable terminal and supplies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A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power from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to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power sourc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level; An output connector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An input connector to which another secondary battery module is mounted; Switching means having its inpu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th of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and its output connected to or opened to the output connector; And sensing mean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r opening of the switching means depending on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or whether an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or a charg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and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the switch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power from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further transferr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 배터리의 휴대 편의성 및 선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ortable convenience and selectivity of the auxiliary battery.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결합 사시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구성도.
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harg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n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thereof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As used herein, the terms " comprises, " and / or "comprising" refer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결합 사시도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시스템은 휴대 단말기(10) 및 복수의 보조 배터리 모듈(20, 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A and 1B, a battery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0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휴대 단말기(10)는 스마트폰, 휴대폰, PDA, 휴대용 카메라, 넷북, 노트북 및 MP3 플레이어 등의 각종 휴대기기일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 may b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a mobile phone, a PDA, a portable camera, a netbook, a notebook, and an MP3 player.

휴대 단말기(10)는 복수의 보조 배터리 모듈(20, 30) 중 하나의 보조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면, 연결된 보조 배터리 모듈의 전원을 각 기능 블록의 구동 전원으로 이용하고, 각 기능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는 내장 배터리를 충전한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the power of the connected auxiliary battery module is used as driving power for each functional block, and power is supplied to each functional block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휴대 단말기(10)는 그와 연결된 보조 배터리 모듈이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그와 연결된 보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내장 배터리를 일반 속도로 충전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 can charge the built-in battery at a normal speed by a power source from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connected thereto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connected thereto is not connected to an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또한, 휴대 단말기(10)는 그와 연결된 보조 배터리 모듈이 적어도 하나의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과 연결된 상태이면, 연결된 보조 배터리 모듈들로부터의 전원을 이용해 내장 배터리를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charge the built-in battery at high speed using the power from the auxiliary battery modules connected thereto.

복수의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은 휴대 단말기(10)의 각 기능 블록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휴대 단말기(10)의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수단이다. 이 같이, 복수의 보재 배터리 모듈(20, 30)의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서 복수의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이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두 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은 휴대 단말기(10)에 연결된 것이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은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을 통해서 휴대 단말기(10)에 연결된 것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각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re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each functional block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r charging the built-in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10. [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spare battery modules 20, 30 can be varied.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re composed of two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When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For example, Meanwhile, the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and FIG.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 단말기(10)에 복수의 보조 배터리 모듈(20, 30)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내장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보조 배터리 모듈의 휴대 편의성 및 선택폭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electivity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

이하, 도 2a 내지 2c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보조 배터리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보조 배터리 모듈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uxiliary batte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FIG. FIGS. 2A to 2C ar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n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출력 커넥터(220)는 휴대 단말기(10)에 구비된 입력 커넥터에 끼워져, 휴대 단말기(10)와 기구 및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입력 커넥터(210)에는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출력 커넥터(310)가 끼워져,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은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과 결합될 수 있다.The output connector 220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s inserted into the input connector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can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the mechanism. The output connector 310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is inserted into the input connector 210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and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Can be combined.

각 출력 커넥터(220, 320)는 도 2a 내지 2c와 같이, 각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일 측면에 구비되고, 각 입력 커넥터(210, 310)는 일 측면과 대응되는 타 측면(예컨대, 상호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2A to 2C, each of the output connectors 220 and 3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nd each of the input connectors 210 and 310 has one side , Facing each other).

일 예로서, 입/출력 커넥터(210, 220, 310, 320)가 각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일 측면 중심 부위에 위치하는 경우, 각 결합 부재(291~3, 391~3)는 각 입/출력 커넥터(210, 220, 310, 320)의 좌우에 상호 대칭되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put / output connectors 210, 220, 310, and 320 are positioned at the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each of the coupling members 291 to 3 and 391 to 3 And may be provided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respective input / output connectors 210, 220, 310, and 320.

다른 예로서, 입/출력 커넥터(210, 220, 310, 320)가 각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일 측면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치우쳐서 구비되는 경우, 각 결합 부재(291~3, 391~3)는 각 입/출력 커넥터(210, 220, 310, 320)와 대응되는 오른쪽 또는 왼쪽에 치우쳐서 구비되어, 입/출력 커넥터(210, 220, 310, 320)와 연결되지 않은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일 측면의 오른쪽 또는 왼쪽 부위의 결합과 지지를 강화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input / output connectors 210, 220, 310, and 320 are biased to the left or right of one side of each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the respective coupling members 291 to 3, 3 are biased to the right or to the left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input / output connectors 210, 220, 310 and 320 and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20 30 and the right and left portions of one side of the first,

이때,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은 그 하우징에 출력 커넥터(220, 320)와 입력 커넥터(210, 310)의 결합 강도를 강화하는 각기 제1 및 제2 결합 부재(291~3, 39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결합 부재(291~3, 391~3)는 드라이버와 같은 결합을 돕는 도구(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른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부재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mbers 291 and 292 for enhancing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output connectors 220 and 320 and the input connectors 210 and 310, ~ 3, 391 ~ 3). Here, each of the engaging members 291 to 3, 391 to 3 may be a member configured in a form capable of engaging with another engaging member without using a tool (a device) for assisting the engaging like a driver.

각 결합 부재(291~3, 391~3)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그 형상에 의해서 각 보조 배터리 모듈(20, 30) 및 휴대 단말기(1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부재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A and 2B, each of the engaging members 291 to 3 and 391 to 3 is a member capable of engaging with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 .

일 예로서, 각 결합 부재(291~3, 391~3)는 도 2a와 같이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각 출력 커넥터(320)와 입력 커넥터(22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부(391, 392)와 한 쌍의 결합홈(291, 292)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 출력 커넥터(320)와 일 입력 커넥터(210)가 결합 되었을 때, 한 쌍의 결합홈(291, 292) 내부에 한 쌍의 돌출부(391, 392)가 안착됨에 따라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each of the coupling members 291 to 3 and 391 to 3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connector 320 and the input connector 220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 pair of projections 391 and 392 and a pair of coupling grooves 291 and 292, Accordingly, when the one output connector 320 and the one input connector 210 are coupled, the pair of projections 391 and 392 are seated in the pair of engagement grooves 291 and 292, 2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can be strengthened.

각 결합 부재(291~3, 391~3)는 도 2b와 같이,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각 출력 커넥터(320)와 입력 커넥터(220)의 결합 강도를 전체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넓은 면적의 돌출부(393)와 결합부(293)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B, each of the coupling members 291 to 3 and 391 to 3 may strengthen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output connector 320 and the input connector 220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s a whole A protruding portion 393 having a large area and a coupling portion 293.

각 결합 부재(292)는 도 2c와 같이, 하우징 내부 또는 표면에 구비된 자성을 띄는 부재로서, 상호 대응되는 극성을 갖는 자성을 띠는 부재를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하여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C, each of the coupling members 292 is a magnetic member provided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re made of a magnetic material having mutually corresponding polarities.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can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조 배터리 모듈을 복수 개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 휴대하는 등과 같은 사용자 선택폭을 넓히고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modules are provided, it is possible to widen the range of user selection such as carrying one or two auxiliary batteries according to the user's need, and improve the portability.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에 결합된 보조 배터리 모듈의 결합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Hereinafter, a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60), 전원 변환부(280), 입력 커넥터(210), 출력 커넥터(220), 보호 회로(270), 충전 회로(250), 감지 수단(230) 및 스위칭 수단(240)을 포함한다.3,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260, a power conversion unit 280, an input connector 210, an output connector 220, a protection circuit 270, A charging circuit 250, a sensing means 230, and a switching means 240.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60)은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머로 구성된 배터리이다. 후자의 리튬폴리머는 얇고 폭발 위험이 적고 안정적이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어, 적용시에 폭발위험이 낮고 경량형이면서 다양한 형상의 보조 배터리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260 is a battery composed of lithium ion or lithium polymer. The latter lithium polymer is thin, has low explosion risk, is stable,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Thus,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secondary battery module having low explosion risk and light weight and various shapes when applied.

전원 변환부(28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60)로부터 일정범위의 전원(보호 회로에 의해 차단되기 이전의 레벨의 전원)을 입력받고 입력된 전원을 적어도 일정전압으로 승압하여 휴대 단말기(10)의 충전을 위한 충전용 전압을 출력한다. The power conversion unit 280 receives a predetermined range of power from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260 (the level of the power source before being cut off by the protection circuit), boosts the input power to at least a constant voltage, And outputs a charging voltage for charging the battery.

그에 따라, 전원 변환부(280)는 휴대 단말기(10)가 충전용 전압에 의해 충전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60)의 전압이 점점 낮아져 입력 전원이 낮아지더라도 적어도 일정전압의 충전용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voltage of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260 is gradually lowered as the portable terminal 10 is charged by the charging voltage, the power conversion unit 280 can not charge the charging voltage of at least a constant voltage Can be output.

여기서, 전원 변환부(280)는 출력 커넥터(220)에 연결된 휴대 단말기(10) 등의 다른 기기가 있을 경우에만 충전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감지 수단(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Here, the power conversion unit 280 can output power for charging only when there is another device such as the mobile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220. This can be controlled by the sensing means 230.

보호 회로(270)는 완전 방전되면 셀이 파손되는 리튬전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배터리 셀(260)이 완전 방전되기 전에 배터리가 더 방전되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회로이다.The protection circuit 270 is a circuit that prevents the battery from further discharging before the battery cell 260 is completely discharged,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lithium cell, which is damaged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충전 회로(25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60)의 전압 레벨을 모니터링하며 충전하고, 완충 시에는 완충 신호를 출력한다.The charging circuit 250 monitors and charges the voltage level of at least one battery cell 260, and outputs a buffering signal when the battery pack 260 is fully charged.

입력 커넥터(210)는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출력 커넥터 또는 충전기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nput connector 210 may be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or charger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일 예로서, 입력 커넥터(210)는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출력 커넥터(220)와 선 없이(Wireless) 바로 결합 되어,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로부터 충전용 전원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충전용 전원은 스위칭 수단(240)을 통해서 휴대 단말기(10)로 바로 전달될 수 있다.The input connector 210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output connector 220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in a wireless manner to receive the charging power from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 have. At this time, the charging power sourc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switching unit 240.

다른 예로서, 입력 커넥터(210)는 충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충전 회로(250)로 전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input connector 21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charger to deliver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er to the charging circuit 250.

출력 커넥터(220)는 휴대 단말기(10) 또는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이 연결되면, 스위칭 수단(240)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 변환부(28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 및 입력 커넥터(210)를 통해 전달된 충전용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connector 220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wer source and the input connector 210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80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unit 24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is connected, And the charg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charging power supply unit.

일 예로서, 출력 커넥터(220)는 휴대 단말기(10)의 입력 커넥터와 선 없이(Wireless) 결합 되어, 전원 변환부(28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휴대 단말기(10)에 공급할 수 있다.The output connector 220 may be wirelessly coupled to the input connector of the portable terminal 10 to supply charging power from the power conversion unit 280 to the portable terminal 10. [

다른 예로서, 출력 커넥터(220)는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입력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 되면, 입력 커넥터(210)를 통해 공급된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에 전달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output connector 220 is electrically coupled to the input connector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er supplied through the input connector 210 is supplied to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

감지 수단(230)은 입력 커넥터(210)로부터의 입력 전원, 출력 커넥터(220)로부터의 감지용 신호 및 출력 커넥터(220)로부터 완충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공급 여부에 따라 스위칭 수단(240)의 출력 경로를 제어한다. 이때, 휴대 단말기(10)는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출력 커넥터(220)에 감지용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블록(예컨대, 풀업 회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은 그에 구비된 배터리 셀의 완충시에 완충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완충 신호는 충전 회로(250)로부터 전달되는 배터리 셀의 충전 완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호로서, 각 배터리 셀의 전압 레벨일 수 있다. The sensing means 230 may sense the output of the switching means 240 depending on whether at least one of the input power from the input connector 210, the sensing signal from the output connector 220 and the buffering signal from the output connector 220 is supplied. Control the path.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lock (for example, a pull-up circuit) for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output connector 220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lock for supplying a buffer signal when the battery cell is buffered. Here, the buffering signal may be a voltage level of each battery cell as a signal for confirming completion of charging the battery cell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circuit 250.

구체적으로, 감지 수단(230)은 입력 전원 및 감지용 신호가 감지되면서, 완충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스위칭 수단(240)의 출력 경로를 출력 커넥터(220)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전원은 출력 커넥터(220)로 전달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nsing unit 230 may connect the output path of the switching unit 240 to the output connector 220 when the buffering signal is not detected while the input power and the sensing signal are sensed. In this case, the input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220.

또한, 감지 수단(230)은 입력 전원만 감지되거나, 입력 전원 및 완충 신호가 감지되면, 스위칭 수단(240)의 출력 경로를 충전 회로(250)에 공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충전 회로(250)는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60)을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230 can supply the output path of the switching means 240 to the charging circuit 250 when only the input power source is detected, or when the input power source and the buffering signal are sensed. Accordingly, the charging circuit 250 can charge at least one battery cell 260.

더불어, 감지 수단(230)은 입력 전원 및 완충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서, 감지용 신호가 감지되면, 스위칭 수단(240)의 입력이 출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스위칭 수단(240)을 오픈 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수단(230)은 전원 변환부(280)에 의해 충전용 전원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ing means 230 may open the switching means 240 to prevent the input of the switching means 24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put, when the sensing signal is sensed, without detecting the input power and the buffering signal.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230 may cause the power conversion unit 280 to output power for charging.

스위칭 수단(240)은 감지 수단(230)의 제어에 따라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 또는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충전 회로(250) 및 출력 커넥터(220)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하거나, 그 스위칭 수단(240)의 입력과 출력 간이 연결되지 않도록 개방할 수 있다.The switching means 240 may transfer the charging power from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or the charger to at least one of the charging circuit 250 and the output connector 220 under the control of the sensing means 230, So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the means 240 are not connected.

일 예로서, 스위칭 수단(240)은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출력 커넥터(220)에 전달함에 따라, 해당 충전용 전원이 전원 변환부(28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과 함께 휴대 단말기(1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는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함께 전달받아 고속 충전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240 transmits the charging power from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to the output connector 220 so that the corresponding charging power is supplied to the charging power source To the portable terminal 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10 receives the charging power from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together and can be charged at a high speed.

이하, 휴대 단말기(10)의 충전시와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의 충전시를 구분하여 감지 수단(230)과 스위칭 수단(24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unit 230 and the switching unit 240 will be described by distinguishing charging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charging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

휴대 단말기 충전시When charging mobile device

이때에, 휴대 단말기(10)에는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 또는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이 하나만 연결되거나,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이 둘 다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only on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or a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or both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

둘 중 하나만 연결된 경우, 감지 수단(230)은 출력 커넥터(220)만 연결됨을 감지하고, 스위칭 수단(240)의 입력 경로와 출력 경로를 개방시킨다.If only one of them is connected, the sensing means 230 senses that only the output connector 220 is connected, and opens the input path and output path of the switching means 240.

그러면, 휴대 단말기(10)에 연결된 보조 배터리 모듈(20 또는 30)의 전원 변환부는 충전용 전원을 출력하고, 충전용 전원은 출력 커넥터(220)를 통해 휴대 단말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10)는 내장 배터리를 일반 속도로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가 완충 되면, 휴대 단말기(10)는 감지용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감지용 신호가 감지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보조 배터리 모듈(20 또는 30)은 충전용 전압을 더이상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The power conversion unit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20 or 30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outputs the charging power and the charging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220.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charge the built-in battery at a normal speed. Her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fully charged, the portable terminal 10 adjusts the level of the detection signal so that the detection signal is not sensed, and accordingly,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20 or 30 can no longer charge the charging voltage It may not output.

둘 다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기(10)에는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 순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감지 수단(230)은 입력 커넥터(210)와 출력 커넥터(220)가 둘 다 연결되면서, 완충 신호가 공급되지 않음(충전 동작이 필요한 상태)을 감지하여 스위칭 수단(240)의 입력이 출력 커넥터(220)에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and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may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in this order. Then, the sensing means 230 senses that the buffering signal is not supplied (the state requiring the charging operation) while both the input connector 210 and the output connector 220 are connected, so that the input of the switching means 240 is output The connector 220 can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이에,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은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출력 커넥터(220)를 통해서 휴대 단말기(10)에 직접 전달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10)는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20, 30)로부터 한꺼번에 전원을 공급받음에 따라 내장 배터리를 고속 충전할 수 있다.Therefore, the charging power from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220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Then,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quickly charge the built-in battery upon receiving power from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20 and 30 at the same time.

이때, 휴대 단말기(10)가 완충 되면, 휴대 단말기(10)는 감지용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감지용 신호가 감지되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보조 배터리 모듈(20, 30)은 충전용 전압을 더이상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fully charged, the portable terminal 10 adjusts the level of the sensing signal so that the sensing signal is not sensed, and accordingly,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t may not output.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 충전시When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are charged

이 경우, 충전기->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 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충전기는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입력 커넥터(210)에 연결되고,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출력 커넥터(220)에는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입력 커넥터(210)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harger,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and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may be connected in this order.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210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and the output connector 220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210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20, (Not shown).

그러면, 감지 수단(230)은 입력 커넥터(210) 및 출력 커넥터(220)가 모두 연결되면서 완충 신호가 공급되지 않음을 감지하고,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이 출력 커넥터(220)로 전달되도록 스위칭 수단(240)을 제어한다. 그러면,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은 모두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에 공급되어,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충전 회로에 공급될 수 있다.The sensing means 230 senses that the buffering signal is not supplied while both the input connector 210 and the output connector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e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220. [ (240). Then, all of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er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and su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이후,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이 완충 되면,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로부터 완충 신호가 공급되고,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은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충전 회로(250)에 공급되어, 충전 회로(25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260)이 충전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is fully charged, a buffering signal is supplied from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and the charging power from the charger is su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250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And at least one battery cell 260 can be charged by the charging circuit 250. [

이어서,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이 완충 되면,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로부터 완충 신호가 충전기에 공급되고 충전기는 충전을 완료할 수 있다.Then, when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s fully charged, a buffering signal is supplied from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to the charger, and the charger can complete the charging.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Hereinafter, a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360), 전원 변환부(380), 입력 커넥터(310), 출력 커넥터(320), 보호 회로(370), 충전 회로(350), 감지 수단(330) 및 스위칭 수단(3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은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구성요소는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360, a power conversion unit 380, an input connector 310, an output connector 320, a protection circuit 370, a charging circuit 350, Means (330) and switching means (340). Components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which are not described below,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각 구성요소는 그 연결 위치에 따른 기능만 상이할 뿐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각 구성요소는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각 구성요소와 기능이 동일하여 어느 것이라도 휴대 단말기(10) 또는 충전기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그 연결 순서에도 제약이 없을 수 있다.Each component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only i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thereof. In other words, each component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has the same function as each component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so that any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charger,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connection order.

다만,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은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을 통해 휴대 단말기(10) 또는 충전기와 간접 연결되는 위치에서,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은 하기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can be operated as follows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or the charger through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have.

구체적으로, 감지 수단(330)은 입력 커넥터(3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충전기가 연결되면, 충전기로부터 입력되어 -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을 통해 충전기에 간접 연결된 경우에는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을 더 거친 - 충전용 전원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360)을 충전하는 충전 회로(350)에 공급되도록 스위칭 수단(34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수단(330)은 출력 커넥터(320)에 제3 보조 배터리 모듈(미도시)이 연결되면, 입력 커넥터(31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제3 보조 배터리 모듈(미도시)이 선-충전되도록 스위칭 수단(340)을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harger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310, the sensing means 330 receives the input from the charger and indirectly connects to the charger through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The switching means 34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coarse-charging power supply 20 is supplied to the charging circuit 350 for charg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360. [ When the third auxiliary battery modul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320, the sensing unit 330 outputs the charging power from the input connector 310 to the third auxiliary battery module (not show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witching means 340 so as to be charged.

또한, 감지 수단(330)은 출력 커넥터(32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휴대 단말기(10)가 연결되면, 전원 변환부(38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용 전원을 출력 커넥터(220)를 통해 -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을 통해 휴대 단말기(10)에 간접 연결되는 경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을 거쳐 - 휴대 단말기(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감지 수단(330)은 입력 커넥터(310)에 제3 보조 배터리 모듈(미도시)이 직접 연결되면, 제3 보조 배터리 모듈(미도시)로부터의 충전용 전원을 전원 변환부(380)로부터의 충전용 전원과 함께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세 개 이상의 보조 배터리 모듈을 상호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320, the sensing means 330 outputs the charging power output from the power converting unit 380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220,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 via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When the third auxiliary battery module (not show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310, the sensing means 330 receives the charging power from the third auxiliary battery module (not shown) from the power converting unit 380 To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together with the charging power source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or more auxiliary battery modules may be combined and used.

반면,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은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과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은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을 통해서만 충전기 또는 휴대 단말기(10)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전술한 제2 보조 배터리 모듈(30)의 연결 위치에 따른 기능을 가지되, 제1 보조 배터리 모듈(20)의 위치에 따른 다른 기능은 가지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may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from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In this case,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may be connected to the charger or the portable terminal 10 only through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Accordingly,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ha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30, and may not have other func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20.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보조 배터리 모듈의 내부 회로를 조작함에 따라 고속 충전, 일반 충전 및 보조 배터리 모듈 충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trol the fast charging, the normal charging, and the charging of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by operating the internal circuits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battery modul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킨 복수의 모듈로 구성되는 보조 배터리 모듈에 의해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portable convenience of the user by the auxiliary battery modu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es that improve the portable convenience.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course, this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claims.

10: 휴대 단말기
20: 제1 보조 배터리 모듈
30: 제2 보조 배터리 모듈
10:
20: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30: Secondary battery module

Claims (12)

각기 그 일 측면에 입력 커넥터, 타 측면에 출력 커넥터 및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에 근접하여 구비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1 내지 제N(N은 2이상의 자연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과 그 출력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그 출력 커넥터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의 전원을 이용하여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휴대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은, 그 입력 커넥터에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커넥터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과 결합 되며, 이때에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의 각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의 결합 강도가 강화되며,
상기 각 결합 부재는, 드라이버와 같은 결합을 돕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른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시스템.
First to Nth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battery modules each having an input connector on its one side, an output connector on the other side, and a coupling member provided close to each of the input connector and each output connector; And
And a portabl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through an output connector thereof to charge the built-in battery using power of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supplied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is coupled to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as the output connector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put connector there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are reinforced by the members,
Wherein each of the engaging members is configured to be engageable with another engaging member without using a tool such as a driver.
제1항에서, 상기 제1 보조 배터리 모듈은,
그 입력 커넥터에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커넥터가 끼워져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며,
이때에 상기 내장 배터리는,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에 의해 고속으로 충전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battery pack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uxiliary battery module comprises:
And an output connector of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put conne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the power from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built-in battery is charged at a high speed by a power source from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s.
제2항에서,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은,
그 입력 커넥터에 제3 보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커넥터가 끼워져 상기 제3 보조 배터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3 보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제2 보조 배터리 모듈로 전달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시스템.
3. The battery pack of claim 2,
The output connector of the third auxiliary battery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put connect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auxiliary battery module to transfer power from the third auxiliary battery module to the second auxiliary battery module, .
제1항에서,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제N 보조 배터리 모듈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의 상호 대응되는 중간 부위에 구비되며,
상기 각 결합 부재는,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의 좌우에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input connectors and each output connector comprises:
The first to N-th auxiliary battery modules are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and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irst to Nth auxiliary battery modules,
Wherein each of the engagement members is symmetrically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respective input connectors and the respective output connectors.
제1항에서,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는, 상기 제1 내지 제N 보조 배터리 모듈의 일 측면과 타 측면의 상호 대응되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치우친 일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각 결합 부재는,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에 대응되는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치워친 타 영역에 구비되되, 상호 결합된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의 결합 강도에 대응되는 결합 강도로 상기 각 입력 커넥터와 각 출력 커넥터의 결합을 지지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input connectors and each of the output connectors is provided in one of the first to Nth auxiliary battery modul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one of the input connectors and the output connectors, Wherein each of the output connectors supports a respective one of the input connectors and each output connector.
제1항에서, 상기 각 결합 부재는,
자력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N 보조 배터리 모듈의 결합 강도를 강화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o Nth secondary battery modules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magnetic force so as to enhance the coupling strength of the first to Nth secondary battery modules by the magnetic force.
제1항에서, 상기 각 결합 부재는,
제1 내지 제N 보조 배터리 모듈의 상호 결합되는 부위에 구비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안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결합홈의 형상에 의해서 상기 제1 내지 제N 보조 배터리 모듈의 결합 강도를 강화하는 것인 배터리 충전 시스템.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to N-th auxiliary battery modules have a protruding portion and an engaging groove o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is seated, The battery charging system.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 모듈로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충전용 전원에 대응하는 레벨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커넥터에 끼워져, 상기 휴대 단말기로 상기 충전용 전원을 전달하는 출력 커넥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이 장착되는 입력 커넥터;
그 입력은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로와 연결되고, 그 출력은 상기 출력 커넥터에 연결되거나 개방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출력 커넥터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연결 여부, 상기 입력 커넥터에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 또는 충전기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연결 또는 개방을 제어하는 감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출력 커넥터에 상기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고, 상기 입력 커넥터에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출력 커넥터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더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보조 배터리 모듈.
An auxiliary battery module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for supplying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At least one battery cell;
A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power from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to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charging power source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power level;
An output connector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the charg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An input connector to which another secondary battery module is mounted;
Switching means having its input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path of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and its output connected to or opened to the output connector; And
And sensing mean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r opening of the switching means depending on whether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or whether an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or a charg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and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the sensing mean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power from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further transferr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output connector And controls said switching means.
제8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충전하는 충전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입력 커넥터에 상기 충전기가 연결되면,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충전 회로에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며, 그에 따라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을 충전하는 것인 보조 배터리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harging circuit charging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The sensing means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so that when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power from the charger is transferred to the charging circuit, whereby the charging circuit charges the at least one battery cell A secondary battery module.
제9항에서,
상기 감지 수단은, 상기 입력 커넥터에 상기 충전기가 연결되고, 상기 출력 커넥터에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이 연결되면,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의 완충 전까지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출력 커넥터에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의 완충시에는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충전 회로에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보조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ns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such that when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and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power from the charge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connector until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fully charged, And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so that power from the charger is transmitted to the charging circuit when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fully charged.
제8항에서, 상기 보조 배터리 모듈은,
상기 입력 커넥터가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의 출력 커넥터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과 결합될 때 그 결합 강도를 강화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보조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pack of claim 8,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input connector to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when the input connector is coupled to the output connector of the 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제8항에서, 상기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은,
또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또 다른 보조 배터리 모듈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입력 커넥터로 전달하는 것인 보조 배터리 모듈.
The battery pack of claim 8,
And when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the power from the another auxiliary battery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input connector.
KR1020160017598A 2016-02-16 2016-02-16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201700963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98A KR20170096339A (en) 2016-02-16 2016-02-16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98A KR20170096339A (en) 2016-02-16 2016-02-16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39A true KR20170096339A (en) 2017-08-24

Family

ID=5975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598A KR20170096339A (en) 2016-02-16 2016-02-16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633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074A1 (en) * 2017-12-29 2019-07-04 (주) 유노믹 Dc power conversion module for sensor node using neodymium magn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074A1 (en) * 2017-12-29 2019-07-04 (주) 유노믹 Dc power conversion module for sensor node using neodymium mag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5609B2 (en) Battery system power path configuration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same
KR100748311B1 (en) Battery pack and power receiving device
US7545118B2 (en) Charge system and charger for an electric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49675A1 (en) Output connector equipped battery pack, battery-pack-and-battery-driven-device system, and charging method by using battery pack
EP2367259A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charging battery pack
US20150357836A1 (en) Fast charging terminal
JP7041808B2 (en) battery pack
EP3588660B1 (en) Battery pack and power system comprising same
KR20120059851A (en) System for controlling charging of battery pack
KR20150001549A (en) Portable solarcell battery for wirelessly charging digital terminal
US2011024142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720078B1 (en) The apparatus of charge cable with module of charge control and module of multi channel charge battery
US7026790B2 (en) Built-in battery controller for personal telecommunication device
KR20170096339A (en) Supplementa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Charg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KR101613058B1 (en) Battery pack pouch apparatus with charger and discharger for moible phone
KR101084217B1 (en)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attery pack
KR102331840B1 (en) Battery pack with communication stage isolation
KR20060022722A (en) External battery pack for portable terminal
KR101628606B1 (en) A charge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over-discharge battery
KR20150017881A (en) External batte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973049B1 (en) External battery
KR200436280Y1 (en) A charging system for a battery mobile phone and bluetooth
KR101599492B1 (en) Battery pack, Method for charging/discharging the same
KR100521025B1 (en)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user data of mobile phone
KR20100135434A (en) Laptop-computer-battery pack characterized by charging with cellular-phone data c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