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953A -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953A
KR20170094953A KR1020160016309A KR20160016309A KR20170094953A KR 20170094953 A KR20170094953 A KR 20170094953A KR 1020160016309 A KR1020160016309 A KR 1020160016309A KR 20160016309 A KR20160016309 A KR 20160016309A KR 20170094953 A KR20170094953 A KR 2017009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scooter
voltage
battery modu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창열
김홍령
구봉준
박광근
Original Assignee
(주)미섬시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섬시스텍 filed Critical (주)미섬시스텍
Priority to KR102016001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4953A/ko
Publication of KR2017009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51
    • B60L11/18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60L223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이차전지(30, 40)와 전동스쿠터(50) 그리고 충전장치(6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의 제어에 따라 각각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제 1 및 제 2 충·방전 스위치(FET1-FET4)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차전지(30, 4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충·방전 스위치(FET1-FET4)를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충전과 방전시에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모듈을 사용하거나 단일 배터리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모터의 출력을 향상시키고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battery controlling appatatus for an electric motor scooter and the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병렬로 연결하여 충전과 방전시에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모듈을 사용하거나 단일 배터리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모터의 출력을 향상시키고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모듈은 리튬이온 배터리 셀과, 배터리의 온도/전류/전압 등을 측정하여 잔존용량 등을 계산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충/방전회로를 차단시키는 보호회로 IC와, 모듈 단자(또는 충방전단자) 등이 배치된 보호회로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모듈의 종류에 따라서 보호회로 IC와 컨트롤러가 일체로 형성되기도 한다.
배터리 보호회로는, 과충전방지, 과방전방지, 단락방지, 충전과전류, 방전과전류, 과온도 및 저온도 방지를 위한 다양한 스위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스쿠터/골프카트와 같이 대용량의 전압/전류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상 14개 이상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며 배터리 셀의 단자 음극(陰極)과 모듈 단자 음극를 직접 연결한다. 그리고, 배터리 셀의 단자 양극(陽極)과 모듈 단자 양극사이에 제어가 용이한 P채널 트랜지스터(FET)를 병렬로 연결하여 과충전 및 과방전시 전원공급회로를 차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이차전지 보호회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이차전지 보호회로도이다.
종래 기술의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 회로는 이차전지 보호회로(U1), 연산증폭기(U2), 충전전류제한 저항(R1), 트랜지스터(Q4) 베이스 전류제어 저항(R2),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 저항(R3), 충전차단 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저항(R4),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분압 저항(R5), 전류검출저항(R6), 충전차단스위치(Q1), 방전차단스위치(Q2),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 충전차단스위치(Q1) 게이트 전압제어용 트랜지스터(Q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차전지 보호회로(U1)는 배터리 모듈(Pack) 출력단자(P+, P-)와, 리튬이차전지(Cell) 연결단자(B+, B-) 사이에 구성되어, 이차전지를 보호하기 위한 충전차단스위치(Q1)를 제어하거나, 방전차단스위치(Q2)를 제어한다.
이때, 충전차단스위치(Q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출력단(CHG)은 충전차단스위치(Q1)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방전 차단스위치(Q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출력단(DCH)은 방전차단스위치(Q2)의 게이트에 연결된다.
한편, 방전차단스위치(Q2)의 드레인은 충전차단스위치(Q1)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방전차단스위치(Q2)의 소오스는 리튬이차전지 연결단자 중 + 단자(B+)와 연결된다.
충전차단스위치(Q1)의 소오스는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드레인과 연결된다.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소오스는 배터리 모듈(Pack) 출력단자 중 + 단자(P+)와 연결되고, 충전전류제어용 스위치(Q3)의 게이트는 연산증폭기(U2)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스쿠터 충전장치는 단일 배터리 모듈을 사용으로 출력 용량 즉, E-Scooter 운영 시간에 제약이 있고, 단일 배터리 모듈 운영 중 고장 발생 시 배터리 모듈을 진단하여 수리한 후 운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1584호(2005.12.3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86033호 (2006.07.3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5309호 (2011.09.08,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8090호 (2014.05.1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병렬로 연결하여 개개의 배터리 모듈을 충전 또는 방전 운용할 수 있는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배터리 모듈 및 제어장치 모듈을 병렬로 연결하고, 배터리 제어 장치간 통신을 통해 개별 구조상 상호 연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선택으로 배터리팩 병렬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 1 이차전지의 음극(-)과 충전장치 또는 전동스쿠터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 1 이차전지를 충·방전 상태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1 충·방전 스위치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이차전지의 음극(-)과 충전장치 또는 전동스쿠터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 2 이차전지를 충·방전 상태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2 충·방전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의 마이콤은 상호간 그리고 전동 스쿠터 및 충전장치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전동 스쿠터의 스타트 키를 온 시키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의 마이콤은 전동 스쿠터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전동 스쿠터와 연결되었으면 서로 통신을 하여 배터리 모듈이 복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배터리 모듈이 복수로 판단되면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및 제 2 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방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압이 높은 모듈의 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전동 스쿠터의 스타트 키를 온 시키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의 마이콤은 전동 스쿠터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전동 스쿠터와 연결되었으면 서로 통신을 하여 배터리 모듈이 복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배터리 모듈이 복수로 판단되면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및 제 2 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방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압이 낮은 모듈의 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배터리 제어 장치간 통신을 통해 개별 구조상 상호 연동하도록 하여 사용자 선택으로 배터리팩 병렬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충전과 방전시에 병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모듈을 사용하거나 단일 배터리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모터의 출력을 향상시키고 전기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 스쿠터의 이차전지 보호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전동스쿠터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충전장치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방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충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전동스쿠터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고,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충전장치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제어장치(100)는 제 1 및 제 2 이차전지(30, 40)와 전동스쿠터(50) 그리고 충전장치(6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의 제어에 따라 각각 연결되거나 차단되는 제 1 및 제 2 충·방전 스위치(FET1-FET4)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차전지(30, 40)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충·방전 스위치(FET1-FET4)를 제어하는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1 및 제 2 이차전지(30, 40)는 전기적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외부의 전동 스쿠터(5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방전되었을 때 외부의 충전장치(60)에 연결되어 충전장치(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충전과 방전시에 제 1 및 제 2 이차전지(30, 40)는 서로 병렬로 충전장치(60) 또는 전동스쿠터(50)에 연결된다. 즉 충전시에 제 1 이차전지(30)의 양극(+)과 제 2 이차전지(40)의 양극(+)이 공통적으로 전동스쿠터(50)와 충전장치(60)의 양극(+)에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이차전지(20, 30)의 음극(-)은 제 1 및 제 2 충·방전 스위치(FET1-FET4)를 통해서 충전장치(60)의 음극(-)에 연결된다.
제 1 충전 스위치(FET3)와 제 1 방전 스위치(FET1)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 1 이차전지(30)의 음극(-)과 충전장치(60)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배터리 모듈(10)의 마이콤(11)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 1 이차전지(30)를 충·방전 상태로 연결하게 한다.
또한, 제 2 충전 스위치(FET4)와 제 2 방전 스위치(FET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이차전지(40)의 음극(-)과 충전장치(60)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배터리 모듈(20)의 마이콤(21)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 2 이차전지(40)를 충·방전 상태로 연결하게 된다.
도 4 에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방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사용자가 전동 스쿠터(60)의 스타트 키를 온 시키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에 전원이 인가되고, 단계 S1에서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은 전동 스쿠터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전동 스쿠터(50)와 연결되었으면 단계 S2 에서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은 서로 통신을 하여 배터리 모듈이 복수인지를 판단한다.
배터리 모듈이 복수로 판단되면 단계 S3 로 진행하여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S3 의 판단에서 배터리 모듈이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의 전압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4 로 진행하여 제 1 및 제 2 방전 스위치(FET1, FET2)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6 으로 진행하여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50)로 흐르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3 의 판단에서 배터리 모듈이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의 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5로 진행하여 전압이 높은 모듈의 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6 으로 진행하여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50)로 흐르는지를 확인한다.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50)로 흐르는 경우 단계 S7로 진행하여 제 1 및 제 2 충전 스위치(FET3, FET4)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방전 운용한다.
단계 S6의 확인에서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50)로 흐르지 않는 경우 단계 S3로 복귀하여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단계 S4 로 진행하여 제 1 및 제 2 방전 스위치(FET1, FET2)를 온 상태로 하거나 단계 S5로 진행하여 전압이 높은 모듈의 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한다.
단계 S2의 판단에서 배터리 모듈이 복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8 로 진행하여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9로 진행하여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전동스쿠터(50)의 디스플레이 장치(도시생략)로 전송한다.
단계 S10에서 제 1 방전 스위치(FET1)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11로 진행하여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한다.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지 않는 경우 단계 S10으로 복귀하여 제 1 방전 스위치(FET1)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11로 진행한다.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 경우 단계 S12로 진행하여 제1 충전스위치(FET3)를 온하고 제 1 방전 스위치(FET1)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방전 운용한다.
단계 S8의 판단에서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13으로 진행하여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제 2 배터리 모듈(20)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모듈 진단프로그램으로 점프한다.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4로 진행하여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전동스쿠터(50)의 디스플레이 장치(도시생략)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15에서 제 2 방전 스위치(FET2)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제 2 전지모듈(40)에서 전동스쿠터(50)로 방전전류가 흐르는지를 확인한다.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지 않는 경우 단계 S15로 복귀하여 제 2 방전 스위치(FET2)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50)로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17로 진행하여 제2 충전스위치(FET4)를 온하고 제 2 충전 스위치(FET4)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방전 운용한다.
도 5 에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를 충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사용자가 전동 스쿠터(50)의 스타트 키를 온 시키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에 전원이 인가되고, 단계 S21에서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은 충전기(60)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전동 스쿠터(50)와 연결되었으면 단계 S22 에서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10, 20)의 마이콤(11, 21)은 서로 통신(예를 들면, CAN 통신, 485 통신 등)을 하여 배터리 모듈이 복수인지를 판단한다.
배터리 모듈이 복수로 판단되면 단계 S23 으로 진행하여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단계 S23 의 판단에서 배터리 모듈이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의 전압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4 로 진행하여 제 1 및 제 2 충전 스위치(FET3, FET4)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26 으로 진행하여 충전전류가 제 1 및 제 2 전지모듈(30, 40)로 흐르는지를 확인한다.
단계 S23 의 판단에서 배터리 모듈이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의 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5 로 진행하여 전압이 낮은 모듈의 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충전을 실행한다.
단계 S22의 판단에서 배터리 모듈이 복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27 로 진행하여 제 1 배터리 모듈(10)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27-S32)을 실행한다.
단계 S27에서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8로 진행하여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전동스쿠터(50)의 디스플레이 장치(도시생략)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29에서 제 1 충전 스위치(FET3)를 온 상태로 하고 제 1 충전 스위치(FET3)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충전 운용한다.
단계 S27의 판단에서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정상인지를 판단한다.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배터리 모듈 진단프로그램으로 점프한다.
제 2 배터리 모듈(20)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31로 진행하여 제 1 배터리 모듈(10)이 에러상태임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전동스쿠터(50)의 디스플레이 장치(도시생략)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32에서 제 2 충전 스위치(FET4)를 온 상태로 하고 제 2 방전 스위치(FET4)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충전 운용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제 1 배터리 모듈 11: 마이콤
20: 제 1 배터리 모듈 21: 마이콤
30: 제 1 이차전지 40: 제 2 이차전지
50: 전동 스쿠터 60: 충전장치
100: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Claims (6)

  1.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 1 이차전지의 음극(-)과 충전장치 또는 전동스쿠터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 1 이차전지를 충·방전 상태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1 충·방전 스위치와;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제 2 이차전지의 음극(-)과 충전장치 또는 전동스쿠터의 음극(-) 사이에 연결되어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제 2 이차전지를 충·방전 상태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2 충·방전 스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충·방전 스위치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의 마이콤은 상호간 그리고 전동 스쿠터 및 충전장치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장치.
  3. 사용자가 전동 스쿠터의 스타트 키를 온 시키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의 마이콤은 전동 스쿠터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전동 스쿠터와 연결되었으면 서로 통신을 하여 배터리 모듈이 복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배터리 모듈이 복수로 판단되면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및 제 2 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방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압이 높은 모듈의 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5. 사용자가 전동 스쿠터의 스타트 키를 온 시키면 제 1 및 제 2 배터리 모듈의 마이콤은 전동 스쿠터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전동 스쿠터와 연결되었으면 서로 통신을 하여 배터리 모듈이 복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배터리 모듈이 복수로 판단되면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및 제 2 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충전 스위치를 온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방전 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배터리 모듈의 전압과 제 2 배터리 모듈의 전압이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압이 낮은 모듈의 충전스위치를 온 상태로 하고 충전전류가 전동스쿠터로 흐르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KR1020160016309A 2016-02-12 2016-02-12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KR20170094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309A KR20170094953A (ko) 2016-02-12 2016-02-12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309A KR20170094953A (ko) 2016-02-12 2016-02-12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53A true KR20170094953A (ko) 2017-08-22

Family

ID=5975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309A KR20170094953A (ko) 2016-02-12 2016-02-12 전동 스쿠터 배터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49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395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US8593111B2 (en) Assembled battery system
EP1892812B1 (en) Battery pack and method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same
KR101288122B1 (ko) 배터리 충전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팩
KR101213480B1 (ko) 배터리 보호회로 및 이의 제어방법
EP2317597B1 (en) Battery pack
EP2367259A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charging battery pack
US20080106234A1 (en) Hybrid battery and charging method thereof
US20100159309A1 (en) Lithium battery pack
KR101093982B1 (ko) 배터리 팩 및 그의 구동 방법
US10536009B2 (en) Dual cell protection IC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20120059851A (ko) 배터리 팩 충전 제어 시스템
KR20170071949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KR20130028651A (ko) 배터리 팩, 배터리 팩 장치 및 전기장치
KR101137376B1 (ko) 배터리 팩
KR20150107032A (ko) 배터리 팩
JP3981893B2 (ja) バッテリパック、充電器、および充電システム、並びに充電方法
KR20060078967A (ko) 직렬 연결된 2차 조합전지의 밸런스 충전 제어 방법
KR101808742B1 (ko) 이차전지의 개선된 충전전류 제한회로
JP2017225345A (ja) 電源装置
JPH10271691A (ja) 二次電池の過充電及び過放電防止装置
KR20180035080A (ko) 배터리 셀 밸런싱 회로
KR101017327B1 (ko) 이차전지 보호회로의 충전전류 제어회로
JPH07105986A (ja) パック電池
KR20060011484A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