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853A -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853A
KR20170094853A KR1020160016094A KR20160016094A KR20170094853A KR 20170094853 A KR20170094853 A KR 20170094853A KR 1020160016094 A KR1020160016094 A KR 1020160016094A KR 20160016094 A KR20160016094 A KR 20160016094A KR 20170094853 A KR20170094853 A KR 20170094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
user
telephone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852B1 (ko
Inventor
김정배
윤영태
이경국
황철주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6001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8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화부, 스마트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통신부가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활성 상태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 및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통신부는 상기 결합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이벤트 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활성 상태 및 상기 비활성 상태간의 천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INCLUDING SMART DEVICE AND TELEPHON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스마트부(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스마트부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종래의 스마트부(1)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이동단말기는 무선통신부(10), 제어부(20), 출력부(30), 입력부(40) 및 전원공급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스마트부가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 통신부(10)는 스마트부(1)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스마트부(1)와 스마트부(1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입력부(4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제어부(controller)(2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전원 공급부(50)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종래의 스마트부(1)의 제어부(20)는 무선통신부(10)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고, 활성화 상태로 천이된 무선통신부(1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20)와 무선통신부(10)가 항상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부(1)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혹은 취침을 하는 경우에도 항상 무선통신부(10)가 활성화 된 상태로 되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기 쉬운 상태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어부(20)가 무선통신부(10)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수 있는 기능이 있다 하여도, 외부로부터 유입된 악성 코드가 제어부(20)를 장악 하면 이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와 무선통신부가 항상 일정한 조건 하에서만 연결하여, 사용자가 스마트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혹은 취침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기 쉬운 상태로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스마트부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제어부가 무선통신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수 있는 기능이 있다 하여도, 외부로부터 유입된 악성 코드가 제어부를 장악 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마트부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화부, 스마트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통신부가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활성 상태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 및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통신부는 상기 결합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이벤트 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활성 상태 및 상기 비활성 상태간의 천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전화 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 하는 전화부 및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스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부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못하는 비활성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외부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활성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감지부는 상기 전화부와 상기 스마트부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경우에 상기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 감지부는 상기 스마트부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부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작 가능하며, 상기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상태 및 상기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2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전화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는 전화부 및 상기 전화부와 물리적으로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스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는, 데이터 통신을 하는 스마트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통신부가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로 천이되는 제어를 할 수 없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상기 전화부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상기 전화부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부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부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상기 전화부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부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전화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는 전화부 및 상기 전화부와 물리적으로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스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와 상기 전화부는 독립적인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부와 상기 스마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화부 또는 스마트부에 전력을 전송하라는 사용자의 설정행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행위에 따라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행위에 따라, 상기 전력은 상기 스마트부에서 상기 전화부를 향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설정행위는 상기 전화부에서 상기 스마트부를 향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스마트부에서 상기 전화부를 향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설정행위는 상기 스마트부 또는 상기 전화부에 구비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설정행위는 상기 스마트부 또는 상기 전화부에 구비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와 무선통신부가 항상 일정한 조건 하에서만 연결하여, 사용자가 스마트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혹은 취침을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기 쉬운 상태로 노출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무선통신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수 있는 기능이 있다 하여도, 외부로부터 유입된 악성 코드가 제어부를 장악 하여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부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실시 예의 스마트부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실시 예의 스마트부의 스마트 통신부가 외부 유저 이벤트로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되는 구조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 예의 스마트부가 스탠바이 상태(Standby)에서 액티브(Active)상태로 천이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의 스마트부가 전화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스마트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스마트부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스마트부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실시 예의 스마트부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마트부(100)는 스마트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스마트 입력부(130), 센싱부(140), 스마트 스마트 출력부(150), 메모리(160), 스마트 스마트 인터페이스부(170), 스마트 스마트 제어부(180) 및 스마트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화부(200)는 전화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전화 입력부(230), 전화 인터페이스부(270), 메모리(260) 및 전화 전원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스마트부가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는 전화기능 혹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기능 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사실상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상 스마트부(100)를 기준으로 하여 각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스마트 통신부(110)는 스마트부(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스마트부(100)와 스마트부(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스마트부(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은 스마트부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스마트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스마트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스마트 입력부(130)는, 스마트부(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터치 센서(정압/정전)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스마트부(100)의 개폐 상태, 스마트부(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스마트부의 방위, 스마트부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스마트부(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스마트부(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스마트부(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스마트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에 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스마트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알람부, 및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스마트부(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부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스마트부(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스마트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마트부(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는 스마트부(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스마트부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나 음성 출력 모듈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음성출력모듈은 알람부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160)는 스마트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인터페이스부(170)는 스마트부(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스마트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부(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스마트부(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스마트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스마트부(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스마트부(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스마트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스마트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스마트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스마트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상술한 스마트부(100)의 내용 중 전화부(200)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은 전화부(2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부(100)의 스마트 제어부(180)의 구성 내용에 대한 설명은 전화부(200)의 전화 제어부(280)의 구성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부의 제어부는 무선통신부를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 수 있고, 활성화 상태로 천이된 무선통신부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와 무선통신부가 항상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부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지 않는 경우 혹은 취침을 하는 경우에도 항상 무선통신부가 활성화 된 상태로 되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기 쉬운 상태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고, 제어부가 무선통신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시킬수 있는 기능이 없다 하여도, 외부로부터 유입된 악성 코드가 제어부를 장악 하면 이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실시 예의 이동 단말기는 전화의 기능을 하는 전화부(200)와 무선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스마트부(100)로 물리적으로 분리를 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를 하나의 기기로 합쳐 놓은 개념인 반면, 실시 예의 무선 단말기는 각각 독립적인 전화부(200) 및 스마트부(100)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전화부(200)와 스마트부(100)를 연결하여 사용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 문제되던 악성 코드 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대 이와 관련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 예의 스마트부의 스마트 통신부가 외부 유저 이벤트로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천이되는 구조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 단말기의 경우 스마트 제어부(180)는 스마트 통신부(110)의 상태를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반면,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는 스마트 통신부(110)의 상태를 직접 제어할 수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실시 예의 스마트 통신부(110)는 외부 유저 이벤트(External User Event)에 의해서 활성 상태 혹은 비활성 상태로 천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는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물리적 결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리적 시그널(Signal)일 수도 있고, 스마트부(100) 자체에 구비되어 스마트 제어부(180)와는 별도로 스마트 통신부(110)를 활성 상태 혹은 비활성 상태로 천이시키도록 구비되는 하드 웨어(H/W)일 수 도 있다.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는 설명의 편의상 물리적 시그널 혹은 하드 웨어의 태양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스마트 통신부(110)의 상태를 스마트 제어부(180)에 의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활성 상태 혹은 비활성 상태로 천이 시킬 수 있으면 족하며, 상기 실시 태양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도 아니한다.
스마트부(100)의 스마트 통신부(110)가 비활성 상태에 있다 가정하면, 상술한 외부 유저 이벤트에 의해 스마트 통신부(110)는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스마트 제어부(180)는 외부 유저 이벤트에 의해 스마트 통신부(110)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감지(Detect)할 수 있다.
스마트 제어부(180)는 스마트 통신부(110)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감지한 이후, 스마트 통신부(110)를 초기화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제어부(180)는 데이터 망에 연결권한을 갖는 스마트 통신부(110)를 직접 제어하지 못하고 스마트 통신부(110)가 활성화 상태로 천이된 경우에만 스마트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통신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어, 악성 코드가 스마트 제어부(180)를 점유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다만, 일 예로 설명한 스마트 제어부(180)가 스마트 통신부(11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은 스마트 통신부(110) 자체의 상태 변화를 감지 할 수도 있고, 외부 유저 이벤트를 감지하여 스마트 통신부(110)의 상태 변화를 감지 할 수도 있으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현 가능하고 나아가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아니한다.
환언하면, 실시 예의 전화부를 제1 바디(200)로 보고, 스마트부를 제2 바디(100)로 본다면, 제1 바디(200)는 제1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바디(100)는 스마트 통신부(110) 및 스마트 통신부(110)가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활성 상태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2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80)는 상술한 전화 제어부(280)와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고, 제2 제어부(180)는 상술한 스마트 제어부(180)와 동일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제2 바디(100)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활성 상태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로 천이시키는 이벤트 신호는 결합 감지부(미도시)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스마트 통신부(110)는 결합 감지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이벤트 신호에 의해서만 활성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간의 천이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200)와 제2 바디(100)가 결합하는 경우, 실시 예의 이동 단말기의 결합 감지부(미도시)는 상기 제1 바디(200) 및 제2 바디(100)의 결합 여부를 인지할 수 있고, 이벤트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신호에 의해서만 제2 바디(100)의 스마트 통신부(110)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에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활성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바디(100)의 스마트 제어부(180)가 데이터 통신을 관장하는 스마트 통신부(110)를 직접 제어할 수 없게 하여, 제2 바디(100)의 스마트 제어부(180)가 악성 코드에 의해 감염된 경우에도 스마트 제어부(180) 스스로 데이터 망에 연결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유출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 및 전화부(200)는 각각 입력부(120, 220), 출력부(150, 250) 및 전원공급부(190, 290)를 독립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결합되어 하나로 사용되는 경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부(100) 및 전화부(200)의 입력부(220, 120), 출력부(150, 250) 및 전원공급부(190, 290)의 처리가 문제된다. 다만, 전원공급부(190, 290)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의 출력부(150)는 터치를 이용하는 입력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전화부(200)의 출력부는 터치를 이용하는 입력부(220)일 수 있으나 터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판으로 이루어진 입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결합되어 일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전화부(200)의 전화 입력부(220)는 그 기능을 상실하고, 스마트 입력부(120)로 대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예를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도 4는 실시 예의 스마트부가 스탠바이 상태(Standby)에서 액티브(Active)상태로 천이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는 별도의 전력공급부를 각각 포함하도록 구비될 있으며, 스마트부(100)에 구비되는 스마트 전력공급부(190)는 스마트부(100)의 부팅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스탠바이 상태(Standby)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며, 스마트부(100)에 구비되는 스마트 전력공급부(190)는 전화부(200)의 전화 전력공급부(290)와 동일한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은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인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스마트부(100)의 스마트 전력공급부(190)는 전화부(200)의 전화 전력공급부(290)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부(100)가 전화부(200)와는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부(100)의 스마트 전력공급부(190)는 전화부(200)의 전화 전력공급부(290)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거나, 최소한의 전력을 공급할 용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부(100)가 전화부(20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지 않도록 구비된 경우에는, 스마트부(100)는 평상시에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최소한의 기능만 활성화된 상태인 스탠바이 상태(Standby)에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부(100)가 평상시에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스탠바이 상태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를 결합 하여 스마트부(100)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 만약 스마트부(100)가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전원이 OFF된 상태로 유지된다면, 스마트부(100)의 전원을 ON시키고 부팅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연결되거나 하여 데이터망을 이용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부(1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우선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의 스마트 제어부(110)는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만약,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부(100)는 계속하여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마트부(100)의 스마트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전화부(200)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혹은 사용자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0)
외부 유저 이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의 물리적 결합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지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전화부(200)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마트부(100)는 계속 스탠바이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전화부(200)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라 판단되는 경우에는 스마트부(100)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하거나 결합하여 일체로 작동할 수 있는데, 이 때,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의 전력사용 관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전화부(200) 혹은 스마트부(100) 중 하나의 전력이 부족한 경우, 일방의 전력을 충전하는 제어방법이 필요하다.
이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 예의 스마트부가 전화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연결된 경우, 우선 스마트부(100) 혹은 전화부(200)의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연결상태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0).
이 때,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는 스마트부(100)에 구비된 제어부가 판단할 수도 있고, 전화부(200)에 구비된 제어부가 판단 할 수도 있으며,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에 구비된 각각의 제어부가 별도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실시 예의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연결상태인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에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서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가 연결되었다고 판단하면, 사용자의 설정행위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사용자의 설정행위라 함은, 다양한 태양을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하드웨어 적인 관점에서 보면, 스마트부(100)에 구비된 소정의 스위치를 구비하여 만일 상기 스위치가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스마트부(100)에서 전화부(200)로 전력을 이동시키는 설정행위가 되고, 만일 상기 스위치가 제2위치에 위치하도록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전술한 경우와 반대로 전화부(200)에서 스마트부(100)로 전력을 이동시키는 설정행위가 되며, 상기 스위치가 제3위치에 위치하도록 사용자가 조작을 하면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 사이에 전력 이동이 없도록 하는 설정행위가 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에서 보면 예컨대, 스마트부(100)에 소정의 설정 프로그램이 있어, 상기 프로그램을 제1모드로 조작을 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부(100)에서 전화부(200)로 전력을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을 제2모드로 조작을 한 경우에는 상기 전화부(200)에서 스마트부(100)로 전력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을 제3모드로 조작을 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부(100)와 전화부(200)사이에 전력 이동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설정행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를 설명한 것이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태양으로 변경 사용 가능하며, 나아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도 않는다.
상기 사용자 설정행위 판단단계(S130)에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행위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스마트부(100) 또는 전화부(200) 중 사용자의 설정행위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할 수 있다(S150).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스마트부: 100 전화부: 200
스마트 제어부: 180 전화 제어부: 280
스마트 통신부: 110 전화 통신부: 210
스마트 입력부: 130 전화 입력부: 230

Claims (13)

  1. 전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화부;
    스마트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통신부가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활성 상태 또는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마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부; 및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결합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통신부는,
    상기 결합 감지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이벤트 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활성 상태 및 상기 비활성 상태간의 천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전화 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 하는 전화부; 및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스마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부는 사용자에 의한 외부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못하는 비활성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에 의한 상기 외부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만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활성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감지부는 상기 전화부와 상기 스마트부가 물리적으로 결합된 경우에 상기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감지부는 상기 스마트부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상기 이벤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부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작 가능하며,
    상기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상태; 및
    상기 이벤트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제2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전화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는 전화부 및 상기 전화부와 물리적으로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스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는, 데이터 통신을 하는 스마트 통신부 및 상기 스마트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통신부가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로 천이되는 제어를 할 수 없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상기 전화부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상기 전화부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부는 스탠바이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부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저 이벤트가 사용자의 상기 전화부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외부 유저 이벤트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스마트부는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9. 전화 망을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는 전화부 및 상기 전화부와 물리적으로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데이터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스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부와 상기 전화부는 독립적인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전화부와 상기 스마트부가 전기적으로 연결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전화부 또는 스마트부에 전력을 전송하라는 사용자의 설정행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행위에 따라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행위에 따라, 상기 전력은 상기 스마트부에서 상기 전화부를 향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행위는,
    상기 전화부에서 상기 스마트부를 향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스마트부에서 상기 전화부를 향하여 전력을 전송하는 제2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행위는 상기 스마트부 또는 상기 전화부에 구비되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설정행위는 상기 스마트부 또는 상기 전화부에 구비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60016094A 2016-02-12 2016-02-12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94A KR101873852B1 (ko) 2016-02-12 2016-02-12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094A KR101873852B1 (ko) 2016-02-12 2016-02-12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853A true KR20170094853A (ko) 2017-08-22
KR101873852B1 KR101873852B1 (ko) 2018-07-03

Family

ID=5975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094A KR101873852B1 (ko) 2016-02-12 2016-02-12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8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852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626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508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9218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37975B1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무접점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KR10166074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74421B1 (ko) 충전메뉴 설정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상호 충전방법
KR101505683B1 (ko) 이동 단말기와 그 식별모듈 전환방법
US11200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laying audio data
US11646856B2 (en) Timin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40137848A (ko)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KR20150009013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301297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3849049B1 (en) Wireless charging method, wireless charging conducting device and foldable-screen electronic device
KR20150032011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038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KR101873852B1 (ko) 스마트부 및 전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658674B (zh) 移动终端及输出传导功率的方法
KR20150038921A (ko) 이동 단말기
KR20180006013A (ko) Ptt 기능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 간의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KR1015872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wlan 애드혹 연결 방법
KR10160468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368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전달방법
KR20150044643A (ko) 터치 지속 시간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방법
CN112134992B (zh) 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50029459A (ko) 프리뷰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