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636A -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636A
KR20170094636A KR1020160015646A KR20160015646A KR20170094636A KR 20170094636 A KR20170094636 A KR 20170094636A KR 1020160015646 A KR1020160015646 A KR 1020160015646A KR 20160015646 A KR20160015646 A KR 20160015646A KR 20170094636 A KR20170094636 A KR 20170094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etwork
information
coverag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536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536B1/ko
Priority to PCT/KR2017/000869 priority patent/WO2017138708A1/en
Priority to EP17750400.8A priority patent/EP3366008B1/en
Priority to US15/414,995 priority patent/US10051481B2/en
Priority to CN201780010848.4A priority patent/CN108702306B/zh
Publication of KR20170094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04L41/0816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the condition being an adaptation, e.g. in response to network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22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센서 배치 방법이 개시된다. 센서 배치 방법은, 기 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제1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 배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home)에 설치되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 간의 네트워크 정합을 수행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의미하며, 이러한 네트워크화를 통해 가정 내 정보자원의 공유와 개별 제품들의 효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가전제품, 전자기기 뿐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사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좀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의 배치 위치를 효율적으로 가이드 해주는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은, 기 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상기 제1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센서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서 타입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며, 상기 제2 센서의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센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현재 센싱 가능한 파워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정보, 현재 센싱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배터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서에서 각각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상기 제2 센서의 현재 출력 상태 및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가 방향성을 갖는 센서인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기설정된 위치에 우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를 제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거된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나머지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센서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배치 방법.
또한,상기 서비스 공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센서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공간 배치도 상에 상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및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기 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상기 제1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센서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서 타입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며, 상기 제2 센서의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센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현재 센싱 가능한 파워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정보, 현재 센싱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배터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에서 각각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상기 제2 센서의 현재 출력 상태 및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가 방향성을 갖는 센서인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기설정된 위치에 우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센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를 제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거된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나머지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센서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공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센서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공간 배치도 상에 상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및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의 초기 설치시, 위치 변경시, 센서 추가시 등에 적절한 센서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추가시 센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추가시 센서의 커버리지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공간 내에 새로운 센서가 추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공간 내에서 기 배치된 센서가 제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및 복수의 센서(1O, 2O, 30)을 포함한다.
전자 시스템(1000)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특정 서비스 공간 내의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1O, 20, 30)와 통신 가능한 장치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PC, PMP, 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10, 20, 30)는 센싱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센서(10, 20, 30)는 통신 기능 및 센서 기능을 구비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전등, 블라인드, 조도 센서 등 조명 관련 디바이스, 에어컨, 난방기, 보일러, 온도 센서 등 난방 관련 디바이스, 공기 청정기, 가습기, 습도 센서, 광 센서, 압력 센서, 가스 센서 등 환경 관련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디바이스는 냉장고, 세탁기, 모니터, DVD 플레이어,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전자 액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가 연결된 IOT 네트워크 내에 센서가 추가/제거됨에 따라, 복수의 센서의 최적 위치를 판단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는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전자 장치(100) 또는 기타 타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은 네트워크 장치나, 서버 등에 프로그램화되어 실행되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에 따르면, 전자 시스템(1000')은 전자 장치(100), 복수의 센서(10, 20, 30) 및, 서버(또는 네트워크 장치)(2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0)는 복수의 센서(10, 20, 30)와 통신하여 상술한 센서 배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며, 센서 배치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200)는 모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종 운영 체계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간의 상호 작용을 담당하는 중앙 서버(또는 통합 서버)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인터넷 허브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0)는 센서 배치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0)는 센서가 추가되는 경우 추가되는 센서의 위치 및 기존 센서의 변경 위치를 제공하는 UI 화면, 센서가 제거되는 경우 나머지 센서들의 변경 위치를 제공하는 UI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특정 서비스 공간 내에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우선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한다.
이어서,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추가 배치하려는 제1 센서의 정보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면서 필요한 공간에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가능한 미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특정 서비스 공간에서의 좌표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내의 거실을 기설정된 기준 지점(예를 들어, TV 위치)을 기초로 한 절대 좌표, 또는 상대 좌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센서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가능하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현재 센싱 가능한 파워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정보, 현재 배터리 상태를 나타내는 배터리 정보, 현재 이용되는 센싱 기능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 현재 이용되는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상태는 배터리 잔량이 될 수 있으나, 배터리 동작에 영향을 주는, 온도, 충전 중 전압, 전류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자체에서 지원하는 네트워크 정보와 센서에서 현재 이용되는 네트워크 정보가 배터리 상태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재 이용되는 네트워크 정보가 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자체에서 지원하는 센싱 기능(예를 들어, 온도 센싱 및 광 센싱)과 센서에서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센싱 기능(온도 센싱)이 상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센싱 기능에 대한 정보가 상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커버리지는 센싱 가능한 범위, 구체적으로, 센서 자체의 커버리지 및 배터리 상태에 따른 커버리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자체의 커버리지는 센싱 칩 자체의 모델, 버전 등에 따라 결정되는 커버리지가 될 수 있으며, 제조사(모델, 버전 등에 따라)가 결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관련 서버 등에 기록하면, 프로세서(120)가 해당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획득할 수 있다. 그 외 서버 등에 등록되지 않은 센서인 경우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커버리지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센서 등의 후면에 기재된 센싱 커버리지 정보를 UI를 통해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각 센서에서 지원가능한 네트워크 방식(예를 들어, BT, WIFI 등)에 의해 커버되는 네트워크 범위를 의미한다. 다만, 네트워크 커버리지는 배터리 상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상태가 약한 경우 BT나 WIFI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BT나 WIFI 방식의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영향을 주게 된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센서 각각에서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방식에 기초하여 판단된 제1 및 제2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우선적으로,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20)는 각 센서의 배터리 상태, 전력 효율 등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공간 내의 모든 센서들이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도록 하고, 두 개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센서의 경우 전력 효율 및 주변 디바이스들의 배터리 상태/통신 네트워크 종류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우선 기존의 센서 A가 BT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추가하려는 센서 B가 BT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센서 B를 우선적으로 중앙에 배치하고, 센서 A는 센서 B와 BT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주변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존의 센서 A 및 B가 모두 BT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이지만, 센서 B를 우선적으로 중앙에 배치하고, 기존의 센서 A의 배터리가 낮은 경우 기존의 센서 A는 BT 네트워크만이 동작되도록 하여 센서 B와 BT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주변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제2 센서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서, 기존의 센서 A가 중앙에 배치되어 있었던 경우, 센서 B가 추가됨에 따라 가장자리 영역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 센서 B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의 변경된 배치 위치 및 변경 전 배치 위치를 모두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하거나, 변경된 배치 위치 만을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제1 및 제2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30)는 유/무선 LAN,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1394, 와이파이(Wifi)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센서 통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30)는 서버(미도시) 및 네트워크 장치(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부(130)는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등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센서 추가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로 정보 요청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전송하고,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제1 센서로부터 식별 정보(예를 들어, 센서의 모델명, 일련 번호 , IP(Internet Protocol)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Mac Address) 등)와 함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현재 출력 상태 정보, 현재 동작 상태 정보 및 배터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존에 배치된 센서들에 대한 일부 정보(예를 들어 센서 배치 위치 등)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 입력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 만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2 센서로부터 센서 타입 정보가 추가적으로 수신되면,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센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타입 정보란 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압력 감지 센서(공간내의 사람의 위치나 인원수를 체크하기 위함) 등의 타입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가스 감지 센서, 압력 감지 서 등의 센서는 서비스 공간 내부를 100%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다만, 센서 타입 정보는 센서의 모델 명 등에 기초하여 서버 등으로부터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센서에서 각각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및 제1 및 제2 센서의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현재 출력 상태 및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방향성을 갖는 센서를 기설정된 위치에 우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센서, 음향 센서 등은 지향적인 센싱 특성상 모서리나 문 등과 같은 특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WIFI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센서의 경우 WIFI 신호는 콘크리트 벽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신호가 약해지므로 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를 제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거된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나머지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나머지 센서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새롭게 설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센서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각 센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특정 센싱 기능 ON/OFF, 특정 통신 기능 ON/OFF, 센싱 시간 조정 신호, 센싱 커버리지 조정 신호, 네트워크 커버리지 조정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 B가 BT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이면서, 배터리 상태가 약한 경우, 전력을 상대적으로 적게 소비하는 BT 네트워크를 이용가능하도록 센서 B의 WIFI 기능을 오프(OFF)시키는 제어 신호를 센서 B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서 C가 WIFI 네트워크로 연결된 센서가 센서 B 밖에 없는 경우, 센서 C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센서 C의 WIFI 기능을 오프(OFF)시키는 제어 신호를 센서 C로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센서 D의 WIFI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시켜야 하는 경우, 센서 D의 출력 전력을 증가시키는 제어 신호를 센서 D로 전송하여 센서 D의 WIFI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의 유기적 연결 관계에 기초하여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1 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가 매크로 명령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센서들이 동시에 센싱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동시 동작에 따른 제약 사항을 고려하여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매크로(macro)"란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복수의 명령들을, 하나의 명령으로 새로 정의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센싱 타입, 네트워크 타입에 기설정된 우선 순위가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추가로 배치되는 센서를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 경우, 추가로 배치되는 센서의 위치가 최적화되도록 배치한 이후에 나머지 센서의 배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 네트워크 중 WIFI 네트워크가 최우선 순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WIFI 네트워크 연결이 최적화되도록 센서 배치 위치를 우선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비스 공간(예를 들어, 홈, 거실, 주방, 룸, 사무실, 로비 등)에 대응되며, 제1 센서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공간 배치도 상에서 제2 센서를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배치도는 서버 등을 통해 제공된 집안 평면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집안 평면도, 사진 촬영에 의해 획득된 스냅샷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 배치도 상에는 창문, 문, 모서리 등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및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및 제2 센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및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센싱 커버리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나타내는 형상, 색상 등을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자체의 형상, 색상 등을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각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또는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원 형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원의 크기는 커버리지가 크고 낮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원이 겹치는 영역은 각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가 중복되는 영역, 즉 동일한 센싱 타입인 경우 센싱이 중복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프로세서(120), 통신부(130), 스토리지(140), 입력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비디오 처리부(170), 스피커(181), 카메라(182), 마이크(183)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 125-n), 버스(126)를 포함한다.
RAM(121), ROM(122), 메인 CPU(123), 그래픽 처리부(12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235-n) 등은 버스(12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25-1 내지 12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40)에 액세스하여,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2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23)는 ROM(12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O/S를 RAM(12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23)는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121)에 복사하고, RAM(121)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2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부(124)는 센서의 배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120)의 동작은 스토리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리지(140)는 전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4는 스토리지에 저장된 다양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4에 따르면, 스토리지(140)에는 베이스 모듈(141), 센싱 모듈(142), 통신 모듈(143), 센서 배치 모듈(144)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41)이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31)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스토리지 모듈,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보안 모듈 및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42)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각종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32)은 조도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43)은 외부 장치 특히, 복수의 센서와의 통신에 이용되는 디바이스 모듈(예를 들어, 광고 데이터 요청 모듈, 광고 데이터 수신 모듈),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배치 모듈(144)은 센서 배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모듈이다. 센서 배치 모듈(144)은 센서 초기 배치시, 센서의 위치 변경시, 센서 추가시 등에 센서의 기존 센서 및 추가되는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여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 센서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 밖에 스토리지(140)는 프리젠테이션 모듈(미도시)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미도시)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50)는 필요한 경우 센서에 대한 정보, 서비스 공간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홈 내 평면도에서 창문, 문, 모서리 등의 위치) 등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50)는 전자 장치(100')의 구현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7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70)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81)는 오디오 처리부(16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카메라(182)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카메라(182)는 전면 카메라, 후면 카메라와 같이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183)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8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을 통화(call) 과정에서 이용하거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스토리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182) 및 마이크(183)가 마련된 경우, 프로세서(120)는 마이크(18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82)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채널 재핑 동작과 같은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헤드셋, 마우스, LAN 등과 같은 다양한 외부 단자와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외부 입력 포트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추가시 센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 내에 센서가 추가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S510), 전자 장치(100)는 센서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들(10, 20, 30)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520).
여기서, 센서가 추가되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 내에서 구동 중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센서 추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예를 들어, 상술한 네트워크 장치나, 서버)가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추가적으로 연결된 센서를 감지하여 어플리케이션에 통지하는 경우 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센서들(10, 20, 3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한다(S530). 여기서, 수신되는 센서 정보는, 센서 네트워크가 구비된 서비스 공간(예를 들어, 홈, 홈 내의 거실, 홈 내의 주방 등)에서 센서의 위치 정보, 각 센서의 상태 정보, 각 센서의 네트워크 정보 및 각 센서의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신되는 정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서비스 공간에 기 배치된 센서의 위치 정보, 네트워크 정보와 센서 타입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각 센서의 상태 정보 만을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센서는 자신의 식별 정보와 함께 상태 정보 만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의 상태 정보는, 센서의 배터리 상태, 현재 이용되는 기능, 현재 출력 상태(전력 소비 상태), 현재 이용되는 네트워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각 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추가되는 센서의 위치를 결정하고, 필요에 따라 기존에 배치된 센서의 변경된 위치를 결정한다(S540).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는 각 센서의 Connectivity를 우선 고려하여 모든 센서가 여러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가능하도록 센서의 1차 위치를 결정하고, 그외 센서 특성(예를 들어, 지향성 센서인지 여부), 센서 타입(예를 들어, 가스 감지 센서, 압력 감지 센서 등), 센서의 상태(센서의 전력 효율, 센서의 배터리 상태)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센서의 최종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센서 A가 BT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센서 B가 BT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 센서 B를 우선적으로 중앙에 배치하고, 센서 A는 센서 B와 BT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주변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광 센서, 음향 센서 등과 같은 지향성 센서들은 특정 위치(예를 들어, 모서리나 문)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WIFI 센서의 경우, 콘크리트 벽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신호가 약해지므로 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 B가 BT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경우이면서, 배터리 상태가 약한 경우, 전력을 상대적으로 적게 소비하는 BT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BT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센서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S540 단계에서 결정된 각 센서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550). 여기서,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는 서버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외부 전자 장치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새롭게 설정된 위치 정보를 각 센서로 전송할 수도 있다(S560). 예를 들어, 스스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센서의 경우(예를 들어, 서비스 공간 내에서의 좌표 판단이 가능하며, 지정된 좌표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센서인 경우)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스스로 위치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추가시 센서의 커버리지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센서 네트워크 내에 센서가 추가되는 이벤트가 발생되면(S610), 전자 장치(100)는 센서 네트워크 내에 연결된 복수의 센서들(10, 20, 30)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620).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센서들(10, 20, 3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한다(S630).
이어서,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각 센서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추가되는 센서의 위치 및 기존에 배치된 센서의 위치를 결정한다(S640).
이어서, S640 단계에서 결정된 각 센서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650).
상술한 S610 내지 S650 단계는 도 5의 S510 내지 S550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새롭게 설정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센서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각 센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특정 센싱 기능 ON/OFF, 특정 통신 기능 ON/OFF, 센싱 시간 조정 신호, 센싱 커버리지 조정 신호, 네트워크 커버리지 조정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의 배치에 따라 BT 네트워크 및 WIFI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는 센서의 WIFI 기능을 오프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제어 신호를 해당 센서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벽면에 배치되는 센서의 경우 배터리 출력을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해당 센서로 전송하여 낭비되는 커버리지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의 배치 위치를 제공하는 UI는 센서 타입 별로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가 기설정된 도형 예를 들어 원 형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원 형상으로 커버되는 영역은 센싱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원의 크기는 커버리지가 크고 낮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원이 겹치는 영역은 각 센서의 센싱이 중복되어 이루어지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사각 형태의 테두리 영역은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을 나타내고, 센서 타입 별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 타입 별로 상이한 형상으로 표시하거나, 상이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방식 등 식별 가능한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적용가능하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센서(711, 712)의 센싱 커버리지(721, 722)가 중복되는 영역(731) 즉, 원 형상이 겹치는 영역에 대해서도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는 등 다른 영역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타입의 센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센서들 중 해당 타입의 센서 만을 도시할 수 있다. 도 7a는 온도 센서 만이 표시된 경우이며, 도 7b는 온도 센서 만이 표시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7c는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모든 센서들이 도시된 경우로써, 각 센서는 센서 타입 별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711, 715, 718), 네트워크 센서(712, 713), 조도 센서(714, 716, 717)는 센서 타입 별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공간 내에 새로운 센서가 추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존의 센서들(811 내지 818)이 배치된 상태에서 센서(819)가 추가되는 경우, 각 센서들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센싱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추가되는 센서(819) 및 기존 센서들(811 내지 818)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19)가 추가됨에 따라 기존 센서들(811 내지 818)의 위치가 서로 커버리지가 중복되지 않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되는 센서(819)는 기존 센서들(811 내지 818)와 센서 타입이 동일한 경우에도 다른 색상으로 표시하여 기존의 센서들과 식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비스 공간 내에서 기 배치된 센서가 제거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기존에 배치된 센서들 중 하나(811)가 제거되는 경우, 나머지 센서들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센싱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나머지 센서들(812 내지 818)의 새로운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머지 센서들(812 내지 818)의 커버리지가 제거된 센서(811)의 커버리지를 대체하기에 적절한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UI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센서의 배치 위치를 제공하는 UI는 네트워크 타입 별로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각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기설정된 도형 예를 들어 원 형상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원 형상으로 커버되는 영역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원이 겹치는 영역은 각 센서의 네트워크가 중복되어 형성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테두리 영역은 기설정된 서비스 공간을 나타내고, 네트워크 타입 별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타입 별로 상이한 형상으로 표현하거나, 상이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방식 등 식별 가능한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적용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BT 통신)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센서들 중 해당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센서들 만을 도시할 수 있다. 도 10a는 BT 통신을 지원하는 센서 만이 표시된 경우로서, 빈 영역에도 센서가 존재 할 수도 있지만, BT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10b는 해당 서비스 공간 내에 배치된 모든 센서들이 도시된 경우로써, 각 센서는 네트워크 타입 별로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ZWAVW 통통신을 이용하는 센서(1011 내지 1017), BT 통신을 이용하는 센서(1018)는 네트워크 타입 별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출력 상태를 조정하여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조정되는 경우, 다른 색상(예를 들어, Coverage 색상)을 이용하여 조정된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에 따르면, 우선 기 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려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1110),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한다(S1120). 여기서, 센서의 상태 정보는, 현재 센싱 가능한 파워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정보, 현재 센싱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배터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제1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S1130)
또한,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S1120 단계에서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2 센서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제2 센서로부터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S1120 단계에서는, 제2 센서로부터 센서 타입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며,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네트워크 정보 및 센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S1120 단계에서는, 제2 센서에서 각각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및 제2 센서의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제2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제2 센서의 현재 출력 상태 및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S1130 단계에서는, 결정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S1130 단계에서는, 제1 센서가 방향성을 갖는 센서인 경우, 제1 센서를 기설정된 위치에 우선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은,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2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은,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를 제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나머지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나머지 센서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은, 서비스 공간에 대응되며 제2 센서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공간 배치도 상에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및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및 제2 센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배치 방법은,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를 제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거된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나머지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나머지 센서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센서 배치 방법은 OS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의 화면 상에서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의 초기 설치시, 위치 변경시, 센서 추가시 등에 최적의 센서 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 서버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전자 장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130: 통신부

Claims (20)

  1. 기 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상기 제1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배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센서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배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서 타입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며, 상기 제2 센서의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센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센서 배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현재 센싱 가능한 파워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정보, 현재 센싱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배터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서 배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센서에서 각각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상기 제2 센서의 현재 출력 상태 및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배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하는, 센서 배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센서가 방향성을 갖는 센서인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기설정된 위치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센서 배치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배치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를 제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거된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나머지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센서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배치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센서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공간 배치도 상에 상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및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는, 센서 배치 방법.
  11. 디스플레이; 및
    기 설정된 서비스 공간 내에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센서의 위치 정보, 상태 정보 및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 및, 상기 제1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2 센서로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정보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센서 타입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며, 상기 제2 센서의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상태 정보, 상기 네트워크 정보 및 상기 센서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현재 센싱 가능한 파워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상태 정보, 현재 센싱되는 기능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 정보 및 배터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센서에서 각각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터리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상기 제2 센서의 현재 출력 상태 및 배터리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를 판단하는,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제1 센서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하는, 전자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가 방향성을 갖는 센서인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기설정된 위치에 우선적으로 배치하는, 전자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의 배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 및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센서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를 제거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거된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나머지 센서의 센싱 커버리지 및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기초하여 상기 나머지 센서의 재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비스 공간에 대응되며, 상기 제2 센서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 공간 배치도 상에 상기 결정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센서를 추가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센서의 센서 타입 및 네트워크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015646A 2016-02-11 2016-02-11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KR102436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46A KR102436536B1 (ko) 2016-02-11 2016-02-11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PCT/KR2017/000869 WO2017138708A1 (en) 2016-02-11 2017-01-25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EP17750400.8A EP3366008B1 (en) 2016-02-11 2017-01-25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US15/414,995 US10051481B2 (en) 2016-02-11 2017-01-25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CN201780010848.4A CN108702306B (zh) 2016-02-11 2017-01-25 电子设备及其传感器布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646A KR102436536B1 (ko) 2016-02-11 2016-02-11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636A true KR20170094636A (ko) 2017-08-21
KR102436536B1 KR102436536B1 (ko) 2022-08-26

Family

ID=5956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646A KR102436536B1 (ko) 2016-02-11 2016-02-11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51481B2 (ko)
EP (1) EP3366008B1 (ko)
KR (1) KR102436536B1 (ko)
CN (1) CN108702306B (ko)
WO (1) WO2017138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5976B2 (en) * 2017-05-01 2020-08-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 design, monitoring and visualization
US10536871B2 (en) * 2017-06-30 2020-01-14 Cisco Technology, Inc. Radio sensor coverage estimation for wireless network assurance
US10600312B2 (en) * 2017-12-21 2020-03-24 Ademc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sensor configuration
CN110138879B (zh) * 2019-06-04 2020-06-02 黑龙江省七星农场 一种用于农业物联网的处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4126A1 (en) * 2005-11-29 2007-05-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of sensor network
US20070255522A1 (en) * 2004-10-29 2007-11-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verifying sensors installation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sensors after installation in a structural health management system
KR20090132319A (ko) * 2008-06-20 2009-12-30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센서 배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26353A1 (en) * 2012-02-23 2013-08-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ensor to configur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47A (ko) 2007-08-30 2009-03-04 (주)피코스넷 센서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정의하는 방법과 시스템
EP2283691A4 (en) 2008-06-06 2014-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ATA MANAGEMENT IN A NAHFELD COMMUNICATION NETWORK
CN101383736B (zh) * 2008-10-15 2011-06-01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一种面向区域监测的无线传感器网络节点布设的优化方法
KR101108621B1 (ko) 2009-11-30 2012-02-0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객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및 센서의 위치 지정 방법
KR101200767B1 (ko) 2010-04-02 2012-11-14 라병열 고구마묘순심기장치
KR101274771B1 (ko) 2010-06-29 2013-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도시 시설물 관리를 위한 최적 센서노드 배치방법과 최적 센서노드 시스템 및 최적 센서노드 배치 프로그램이 저장된 매체
CN103206967B (zh) * 2012-01-16 2016-09-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确定传感器设置位置的方法及装置
US9933297B2 (en) * 2013-03-26 2018-04-03 Sensity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 monitoring a light sensory network
CN105556938A (zh) * 2013-09-17 2016-05-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传感器设置位置确定辅助系统、及传感器设置位置确定辅助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55522A1 (en) * 2004-10-29 2007-11-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verifying sensors installation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sensors after installation in a structural health management system
US20070124126A1 (en) * 2005-11-29 2007-05-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 of sensor network
KR20090132319A (ko) * 2008-06-20 2009-12-30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센서 배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30226353A1 (en) * 2012-02-23 2013-08-2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ensor to configure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iyun Lin et al. An incremental deployment algorithm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one or multiple autonomous agents. Ad Hoc Networks 11 (2013) 355-367면. 2013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6008B1 (en) 2021-03-24
EP3366008A1 (en) 2018-08-29
CN108702306B (zh) 2022-02-25
US20170238192A1 (en) 2017-08-17
US10051481B2 (en) 2018-08-14
EP3366008A4 (en) 2018-09-19
CN108702306A (zh) 2018-10-23
WO2017138708A1 (en) 2017-08-17
KR102436536B1 (ko)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9938B2 (e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10168797B2 (en) Terminal apparatus,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volume of external speaker thereof
US10349171B2 (en) Electronic device,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358850B1 (en) Content playing apparatus, method for providing ui of content playing apparatus, network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y network server
CN108684019B (zh) 用于控制蓝牙低能耗装置的移动终端和方法
US9325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via a modular smart illumination device
US20170185373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ode conversion method and sound system for controlling volume of speaker thereof
KR2014007748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09815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35716A (ko) 전자기기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자기기 관리 시스템
KR2017001562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3653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센서 배치 방법
KR20140074152A (ko) Ble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KR201600034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3273151A (zh) 一种智能设备管理方法、移动终端及系统
JP6284402B2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EP3314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web service
US20230119043A1 (en) Operating-system-level permission management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CN107710147A (zh) 能够控制其亮度的便携式终端及其亮度控制方法
CN111314756B (zh) 电子装置和用于控制电子装置的方法
US1103900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3069622A1 (en) Operating-system-level permission management for multi-ecosystem smart home devices
KR20160080972A (ko) 홈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62475A (ko) 가구에 포함되는 장치의 사용 및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3058395A (ja) 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表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