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4403A - 결합된 셀에서의 무선 링크 관리 - Google Patents

결합된 셀에서의 무선 링크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4403A
KR20170094403A KR1020177019332A KR20177019332A KR20170094403A KR 20170094403 A KR20170094403 A KR 20170094403A KR 1020177019332 A KR1020177019332 A KR 1020177019332A KR 20177019332 A KR20177019332 A KR 20177019332A KR 20170094403 A KR20170094403 A KR 20170094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ower
antenna unit
control loo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525B1 (ko
Inventor
베니 벤틀란드
안더쉬 람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17009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04B7/0608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 H04B7/061Antenna selection according to transmission parameters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using past power control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revious information or commands
    • H04W52/225Calculation of statistics, e.g. average, var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유닛들,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안테나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갖고, 중앙 유닛에 접속된다. 제어 유닛은, 전용 채널에서 제1 안테나 유닛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은, 적어도 제2 안테나 유닛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있을 때,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을 모니터링하고,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이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합된 셀에서의 무선 링크 관리{RADIO LINK MANAGEMENT IN A COMBINED CELL}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유닛들,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차례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노드 장치들(communication node arrangements)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안테나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가지며 상기 중앙 유닛에 접속되고, 커버리지 영역들은 결합된 셀을 형성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결합된 셀은 다수의 셀 부분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셀 부분은 DL(Downlink) 및 UL(Uplink) 무선 링크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 유닛들을 갖는다. 모든 셀 부분들의 DL은 셀 정보를 송신하고, 각각의 셀 부분의 개별적인 CPICH(Common Pilot Channel)는 셀 부분의 커버리지를 정의하며, 여기서 셀 부분들은 함께 셀 및 셀 커버리지를 형성한다. 셀 부분 CPICH에 대한 DL 전력은 모든 부분들에서 동일하다. 하나의 특정 사용자 단말을 향한 DL 채널들은 사용자 단말이 신호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셀 부분들에서 송신될 수 있다. UL에서, RBS(Radio Base Station)는 모든 부분들에서 사용자 단말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색하고, 상당한 전력이 검출되는 부분들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UL 신호를 수신한다.
결합된 셀들을 갖는 그러한 구성에서의 문제점은, 사용자 단말이 셀 부분에서 DL 전력으로부터 이익을 얻는지 여부를 RBS가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이 상이한 셀 부분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구별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신호들은 사용자 단말에 의해 다중 경로 신호들로서 경험되며, 사용자 단말에는 수신된 다중 경로 DL 전력을 조정하는 하나의 전력 제어 루프가 있다.
이용가능한 DL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인터/인트라 셀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되는 전력의 충분한 이점을 갖는 셀 부분들에서만 사용자 단말에 대한 DL이 송신되면 유리하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이 비교적 높은 신뢰도로 특정 셀 부분에서 특정 DL 무선 링크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이 비교적 높은 신뢰도로 특정 셀 부분에서 특정 DL 무선 링크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적어도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유닛들,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을 포함하고, 차례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노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안테나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을 갖고 상기 중앙 유닛에 접속되고, 커버리지 영역들은 결합된 셀을 형성한다. 제어 유닛은 적어도 제1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transmit power alterations)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제1 안테나 유닛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게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을 위해 구성되고, 제어 유닛은, 적어도 제2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적어도 제2 안테나 유닛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고 있을 때,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은,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의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의 송신 특성들을,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제1 안테나 유닛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게 하도록 변경하는 단계 -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에 사용됨 -.
-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의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일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제어하여, 전력 변경사항들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들의 형태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전용 채널에서 수신 전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제어하여, 변경 전보다 더 적은 전력이 사용자 단말에 송신되도록,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동안에 사용자 단말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consecutive power drop periods)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제어하여,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과 계속해서 통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중단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력이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을 향해 송신되던 전력은 변경 전에 셧오프된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을 향해 전력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을 제어하여,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게 하도록 구성된다.
위의 예들에서, 상기 특정 기준들은 예를 들어,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하다.
주로, 본 개시내용은, 셀 부분으로부터의 DL 무선 링크가 사용자 단말의 수신 신호 전력에 기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전력이 기여하지 않는 부분들에서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DL 신호 전력을 턴 오프하고, 전력이 기여하는 셀 부분들에서는 DL 신호 전력을 부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에 의해 다수의 이점들이 획득되는데, 이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레거시 사용자 단말들뿐만 아니라, 최신 기술의 사용자 단말들에서도 작동한다. 전용 파일럿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필요하지 않다.
- 사용자 단말에 대한 DL 신호가 사용자 단말이 전력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셀 부분들에서만 송신된다.
- 인터/인트라 셀 간섭을 최소화한다.
- 셀 부분에서 절약된 전력은 셀 부분의 다른 사용자 단말들에 대한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셀 부분이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그 할당된 코드들은 이 셀 부분의 다른 사용자 단말에 재사용될 수 있다.
- 사용자 단말에 의해 이용될 때, DL에 무선 링크 리소스들을 저장하는 셀 부분에서 DL 무선 링크의 확립을 먼저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은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통신 노드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통신 노드 장치의 제1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예에서 제1 안테나 유닛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예에서 제2 안테나 유닛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예에서 수신되는 다운링크 전력이 사용자 단말(9)에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 예에서 TPC(Transmit Power Control) 루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7은 통신 노드 장치의 제2 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제2 예에서 제1 안테나 유닛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9는 제2 예에서 제2 안테나 유닛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2 예에서 수신되는 다운링크 전력이 사용자 단말(9)에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2 예에서 TPC(Transmit Power Control) 루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2는 통신 노드 장치에서 적어도 2개의 안테나 유닛들 간의 상대적인 포지션들 및 상대적인 방위들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에 따른 통신 노드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유닛(4), 제1 안테나 유닛(2) 및 제2 안테나 유닛(3)을 포함하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노드 장치(1)가 존재하며, 안테나 유닛들(2, 3)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1 안테나 유닛(2)은 제1 커버리지 영역(5)을 갖고, 제2 안테나 유닛(3)은 제2 커버리지 영역(6)을 가지며, 커버리지 영역들(5, 6)은 셀 부분들에 의해 대응하여 구성되고 결합된 셀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결합된 셀이란, 동일한 셀 정보가 안테나 유닛들(2, 3)을 통해 방송되고, 그들의 커버리지 영역들(5, 6)이 함께 전체 셀 커버리지 영역을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안테나 유닛들(2, 3)은 중앙 유닛(4)에 접속되고, 중앙 유닛(4)은 무선 유닛(7) 및 제어 유닛(8)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사용자 단말(9)은 빌딩(14) 내부에 있고, 제1 커버리지 영역(5)은 비교적 크고 빌딩(14) 및 그 주위를 커버하고, 제2 커버리지 영역(6)은 비교적 작고 주로 빌딩(14)의 상부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9)은, 이 예에서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9)에 의해 생성되는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들(10)의 형태로 TPC 루프에 의해 구성되는 내부 전력 제어 루프를 사용한다. TPC는 1 또는 -1로서, 1은 전력이 상승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1은 전력이 하강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TPC UP/DOWN 커맨드들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표준 3GPP TS 25.214에서 정의되어 있다. 이 두 가지 조건들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기간에 걸친 통계 평균 값이 결정에 사용된다. 각각의 안테나 유닛들(2, 3)로부터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는 전력은 그들의 CPICH(Common Pilot Channel) 전력에 대해 동일하다. 사용자 단말(9)이 포지셔닝되는(positioned) 위치에 따라, 송신되는 신호들은 사용자 단말(9)에서 수신될 때 상이한 정도의 감쇠를 경험해왔다.
도 1의 상황에서, 제1 안테나 유닛(2)과 제2 안테나 유닛(3) 양자가 동시에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상이한 시나리오들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9)은 빌딩(14) 내로 이동하거나, 빌딩(14) 내부에 상주할 수 있으며, 아마도 빌딩(14) 내의 제2 커버리지 영역(6) 내에 있는 제2 안테나 유닛(3)을 통한 통신에 가장 적합할 것이다. 그 경우, 제1 안테나 유닛(2)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의 DL 통신은 불필요하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단말(9)은 빌딩(14)으로부터 이동하여, 제2 커버리지 영역(6)을 벗어날 수 있다. 그 경우, 제2 안테나 유닛(2)으로부터 사용자 단말로의 DL 통신은 불필요하다.
이하, 불필요한 통신을 피하도록 안테나 유닛들(2, 3)을 제어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제1 예를 도시하는 도 2를 참조하면, 제1 안테나 유닛(2)과 제2 안테나 유닛(3)은 동시에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사용자 단말(9)은 제1 커버리지 영역(5)으로부터 제2 커버리지 영역(6)으로 이동 중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여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게 하도록 구성되며, 그 후 송신 특성들의 이러한 변경사항이 사용자 단말(9)에 대한 통신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쳤는지가 결정된다. 모든 이러한 변경사항들은 예를 들어, DCH(Dedicated transport Channel), A-DCH(Associated Dedicated transport Channel), 또는 F-DPCH(Fractional Dedicated Physical Channel)와 같은 전용 채널을 통해 수행되며, 여기서 전용 채널은 TPC 커맨드들을 위해 구성된다. 주요 통신은 일반적으로 공통 채널 HS(High Speed)를 통해 수행된다.
이 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된다.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9)은 전용 채널에서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TPC UP/DOWN 커맨드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8)은 TPC 커맨드들(10)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TPC 커맨드들(10)의 결과가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특정 커버리지 영역에서 가능한 무선 링크 삭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프로빙이 수행되는데, 이 컨텍스트에서 프로빙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도록 전용 채널에서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제1 안테나 유닛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고, TPC 커맨드들에서 가능한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프로빙 후에, 통신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이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고, 이들 도면들 및 그것들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는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전용 채널을 통해 제1 안테나 유닛(2)으로부터 사용자 단말(9)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15)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4는 전용 채널을 통해 제2 안테나 유닛(3)으로부터 사용자 단말(9)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16)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5는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전력(17)이 사용자 단말(9)에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6은 TPC 커맨드들(10)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은 제1 시간(t1)까지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제1 전력(P1)으로 전력(15)을 송신하고, 제1 시간(t1)에서 전력(15)은 제2 시간(t2)까지 뮤트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시간(t2)에서 처음에는 좀 더 높은 레벨에서 전력(15)이 다시 시작되다가, 그 후 제1 전력(P1)으로 되돌아간다.
도 5에서, 이것은 수신 전력(17)에 반영되어, 초기에는 제1 시간(t1)에 사용자 단말(9)에서 제3 전력(P3)으로부터 강하되지만, 도 6에서 값 +1을 취하는 TPC 커맨드들(10)에 응답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 유닛(3)에서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는 전력(16)이 증가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은 제3 전력(P3)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증가된다. 이것은 제2 시간(t2) 이전에 발생하며, 그 후 도 6의 TPC 커맨드들(10)에 의해 +1과 -1 사이에서의 토글링을 재개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 유닛(3)에서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는 전력(16)이 초기 제2 전력(P2)보다 약간 높은 레벨에서 수평이 유지되게 된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에서의 전력(15)이 사용자 단말(9)을 향해 다시 재개될 때, TPC 커맨드들에 의해 개시된 전력 증가는 도 3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제1 안테나 유닛(2)에서도 유효하다. 그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은 제3 전력(P3)을 지나 갑자기 상승하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9)을 향한 제1 안테나 유닛(2) 및 제2 안테나 유닛(3)에서의 송신 전력(15, 16)이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이 다시 제3 전력(P3)에 도달할 때까지, 도 6에서 값 -1을 취하는 TPC 커맨드들(10)에 응답하여 감소된다.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이 제3 전력(P3)에 도달하면, 도 6의 TPC 커맨드들(10)은 +1과 -1 사이에서의 토글링을 재개한다.
제1 전력(P1)이 제1 시간(t1)에서 뮤트될 때, 이 경우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은 사용자 단말에서 비교적 신속하게 제3 전력(P3)으로 복원되므로, 제어 유닛(8)은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해야 하고, 이 경우 제2 안테나 유닛(3)이 충분하다고 결정할 것이다. 제1 전력(P1)이 제1 시간(t1)에서 뮤트될 때, 제2 안테나 유닛(3)이 사용자 단말에서 제3 전력(P3)을 복원하는 데 문제들을 겪고 있으면, 제어 유닛(8)은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 계속해서 통신해야 한다고 결정할 것이다. 즉, 이 예에서는, 특정 무선 링크를 통한 통신 중단의 영향이 검출된다. 물론 영향이 정의되는 방식은 많은 상이한 팩터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뮤트될 때 TPC 커맨드들에서 임의의 종류의 영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한, 사용자 단말(9)과 제1 안테나 유닛의 통신이 계속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9)이 불필요한 문제들을 겪지 않도록 너무 많은 전력을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예방 조치들이 취해져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빙을 수행하기 전에 수행해야 할 전제 조건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프로빙은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 사이에서 신호의 일부만을 제거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고, TPC 커맨드들(10)에서 아무런 영향도 검출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서 신호를 어느 정도 완전히 뮤트시킨다.
따라서,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9)과 계속해서 통신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기준들은, 예를 들어,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유닛들(2, 3)에서 측정된 UL 전력 거동과 같은 다른 표시들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제3 시간(t3) 및 제4 시간(t4)에서, 이 프로시져, 즉 프로빙이 반복되고, 다음에 오는 시간들(도시 생략)에서도 반복된다. 그 후, 이 프로빙 프로시져는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빙 프로시져는 모든 DL 무선 링크들, 즉 무선 유닛이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커버리지 영역들에 대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여기서 주기적인 반복은 계속 실행된다. 그러나 특정 전제 조건들이 충족되는 동안 트리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제 조건들의 예들은 다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1) 제1 커버리지 영역(5)과 제2 커버리지 영역(6) 사이에서 측정된 UL 전력의 비가 커버리지 영역들(5, 6) 내의 CPICH 사이에서의 비를 고려한 미리 정의된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 예에서, 이는 단말이 CPICH에 대해 제1 안테나 유닛(2)보다 제2 안테나 유닛(3)에 더 가깝다는 것을 나타낸다.
2) 사용되는 전용 채널에서 DL 전력이 감소하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자 단말(9)이 증가하는 DL 신호를 경험하고, 커버리지 영역들(5, 6) 사이에서 측정된 UL 전력의 비가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제2 예를 도시하는 도 7을 참조하면, 제2 안테나 유닛(3)만이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사용자 단말(9)은 제2 커버리지 영역(6)으로부터 제1 커버리지 영역(5)으로 이동하고 있다. 여기서, 제어 유닛(8)은 전용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많은 전력이 송신되게 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던 전력은 변경 전에 셧오프된다. 그 후, 이러한 송신 특성들의 변경이 사용자 단말(9)에 대한 통신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가 결정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8)은 다시 도 11의 TPC 커맨드(10')들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TPC 커맨드들(10)의 결과가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해야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전력이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보다 상세한 예가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이들 도면들 및 그것들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가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전용 채널을 통해 제1 안테나 유닛(2)으로부터 사용자 단말(9)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15')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9는 전용 채널을 통해 제2 안테나 유닛(3)으로부터 사용자 단말(9)로 송신되는 다운링크 전력(16')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0은 전용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다운링크 전력(17')이 사용자 단말(9)에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11은 TPC 커맨드들(10')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8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은 전력(15')이 송신되는 제1 시간(t1)까지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어떠한 전력도 송신하지 않는다. 전력의 송신이 중단되는 제2 시간(t2)까지 초기에는 제4 전력(P4)을 사용하여 전력을 송신한다. 송신 중에, 전력(15')은 초기에는 제4 전력(P4)에서 시작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시간(t2) 전에 최종적으로 수평이 유지될 때까지 감소한다.
도 10에서, 이것은 수신 전력(17')에 반영되어, 초기에는 제1 시간(t1)에 사용자 단말(9)에서 초기 제6 전력(P6)으로부터 상승하지만, 도 11에서 값(-1)을 취하는 TPC 커맨드들(10')에 응답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 유닛(3)에서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는 전력(16')이 감소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은 제6 전력(P6)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감소된다.
이것은 제2 시간(t2) 이전에 발생하며, 그 후 도 11의 TPC 커맨드들(10')에 의해 +1과 -1 사이에서의 토글링을 재개하여, 그 결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안테나 유닛(3)에서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는 전력(16')이 초기 제5 전력(P5)보다 약간 낮은 레벨에서 수평이 유지되게 된다. 도 8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TPC 커맨드들(10')로 인해,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 사이에서 제4 전력(P4)에 대해 전력(15')이 동일하게 감소하고 수평이 유지되는 것은 분명한 일이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은 전용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전력(15')을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고, 그 결과,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은 제6 전력(P6)으로부터 갑자기 감소되지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9)을 향한 제2 안테나 유닛(3)에서의 송신 전력(16')이 증가되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이 제6 전력(P6)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도 11에서 값 1을 취하는 TPC 커맨드들(10')에 응답하여 증가된다.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이 제6 전력(P6)에 도달하면, 도 11의 TPC 커맨드들(10')은 +1과 -1 사이에서의 토글링을 재개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9)에서의 수신 전력(17')은 제1 안테나 유닛(2)으로부터 송신되는 전력(15')으로부터 이익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제어 유닛(8)은,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아야 하고, 이 경우에 제2 안테나 유닛(3)이 여전히 충분하다고 결정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 단말(9)은 제2 커버리지 영역(6)으로부터 제1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고 있고, 그러면 제2 안테나 유닛(3)은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해야 한다. 제1 예에 상응하여, 많은 상이한 팩터들에 따라 영향이 어떻게 정의되는지가 물론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셧오프 후에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전력이 송신될 때 TPC 커맨드들에서 임의의 종류의 영향을 검출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9)과 제1 안테나 유닛의 통신이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셧오프 후에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송신되는 전력 가산은 제한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9)은 예를 들어, 제2 시간(t2)에서 전력이 다시 셧오프될 때 불필요한 문제들을 겪지 않는다. 이것은 프로빙을 시작하기 위한 전제 조건들이 충분한 마진들을 갖고 정의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그렇지 않으면, 램핑(ramping) 시퀀스가 가능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추가된 전력을 갑자기 제거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준들은 제1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종류일 수 있다.
제3 시간(t3) 및 제4 시간(t4)에서, 이러한 프로시져, 즉 프로빙이 반복되고, 다음에 오는 시간들(도시 생략)에서, 이 프로빙 프로시져가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빙 프로시져는 모든 DL 무선 링크들, 즉 무선 유닛이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지 않고 있는 커버리지 영역들에 대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주기적인 반복이 계속 실행된다. 그러나, 특정 전제 조건들이 충족되는 동안 트리거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제 조건들의 예들은 다음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1) 셀 부분 A에서 UL이 검출되고, 제1 커버리지 영역(5)과 제2 커버리지 영역(6) 사이에서 측정된 UL 전력의 비가 커버리지 영역들(5, 6) 내의 CPICH 사이의 비를 고려한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이다.
2) 제2 커버리지 영역(6)에서 사용되는 전용 채널의 DL 전력이 증가하고 있고,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현재 프로빙 프로시져에 적합한 이웃 커버리지 영역을 찾는다. 상기 예에서는, 제1 커버리지 영역(5)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제 조건들은 제1 커버리지 영역(5)과 제2 커버리지 영역(6)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9)로부터 측정된 UL(uplink) 전력의 비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 대안적으로 전용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영역(5, 6)에서 송신되는 DL 전력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셀 부분의 상태(통신/비통신)는 일반적으로 이전에 내려진 결정들의 결과이다. 상기에 따라 결합된 셀에 사용자 단말이 접속되면, 어떤 안테나 커버리지 영역들에서 수신되는지를 검출할 수 있고, 그 후 이 정보는 초기 통신을 위해 어떤 안테나 유닛들이 셋업되어야 하는지 및 어떤 안테나 유닛들이 뮤트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 유닛(8)은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10)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이것은 많은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시간에 따라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을 관찰하고, 시간에 따라 이 제어 값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검색하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상관시키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을 필터링하여, 시계열 내의 왜곡을 억제
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PC 커맨드들(10, 10')은 +1과 -1 사이에서 고르게 토글링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전용 채널에서 사용자 단말의 수신된 DL 전력은 원하는 레벨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값들 +1 및 -1은 연속적으로 취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의 수신된 DL 전력은 각각 원하는 레벨 아래로 떨어지거나 이를 초과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물론 이상적인 모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커맨드들의 우세한 부분이 +1 또는 -1인 도시된 이상적인 모델들의 경우와 통계적 결과가 대략적으로 동일한 경우에, 더 많은 혼합 결과가 있을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중 경로, 페이딩(fading) 및 다른 간섭 효과들로 인해, 전용 채널에서 사용자 단말이 경험하는 수신된 DL 전력이 변화하긴 하지만, 시간에 따라 그 결과들은 대략적으로 이상적인 모델들에 따를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실제로, TPC 커맨드들(10, 10')은 도시된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 사이에 더 많은 기간을 적절하게 가질 것이며, 이에 의해 보다 신뢰성 있는 통계 결과가 획득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3 시간(t3)과 제4 시간(t4)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TPC 커맨드들(10, 10')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의 형태이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8 내지 도 11 전부는 본 개시내용의 용이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물론 다른 곡선 형태들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은 보다 둥글거나 또는 램프된 특징들을 갖는 것으로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덜 급격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AGC(Automatic Gain Control)가 이러한 전력 변경사항들에 더 잘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은 또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11: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게 하도록 변경하는 단계이다.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에 사용된다.
12: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모니터링하는 단계이다.
13: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의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대한 옵션들이 제시될 것이고, 도 12에 점선들로 도시된다.
18: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전력 변경사항들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19: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 시간에 따라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을 관찰하고, 시간에 따라 이 제어 값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검색하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상관시키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을 필터링하여, 시계열 내의 왜곡을 억제
함으로써,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0: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변경 전보다 더 적은 전력(15)이 사용자 단말(9)에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1: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 동안에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2: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통해 사용자 단말(9)과 계속해서 통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3: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9)에 전력(15')이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던 전력은 변경 전에 셧오프된다.
24: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전력(15')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5: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의 결과가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26: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제2 안테나 유닛(3)이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전제 조건이 충족될 때,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안테나 유닛은 하나 이상의 선형 어레이 안테나들 또는 하나 이상의 2차원 어레이 안테나들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 방향성 안테나들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안테나들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TPC 내부 루프에서, 사용자 단말(9)은 수신된 SIR(신호 대 간섭 비)을 측정하고, 이 값을 SIR-TARGET과 비교하여, TPC 제어 커맨드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노드 장치(1)는 기술된 2개의 안테나 유닛들보다 많은 안테나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 유닛은 각각 2개 이상의 커버리지 영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안테나 유닛(2, 3)이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5, 6)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유닛들(2, 3)이 있어야 한다.
통신 노드 장치(1)는 중앙 유닛(4)을 포함하고, 차례로 무선 유닛(7)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일반적으로, 통신 노드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7) 및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4)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유닛(4)은 제어 유닛(8)을 포함한다. 이는 중앙 유닛에 2개 이상의 무선 유닛이 있을 수도 있고, 어떤 무선 유닛도 포지셔닝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들이 하나 이상의 중앙 유닛들에 배치될 수 있고/있거나,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들이 대응하는 안테나 유닛에 포함되는 분산형 무선 유닛의 형태일 수 있다.
강제는 아니지만, 제어 유닛(8)은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미리 결정된 패턴의 전력 변경사항들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이 변경되는 각각의 경우 동안에, 통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력 변경사항들의 시퀀스(a sequence of power alterations)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퀀스는 각각의 변경이 제1 시간(t1)과 제2 시간(t2), 및 제3 시간(t3)과 제4 시간(t4) 사이에서와 같이 2회의 시간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변경들의 버스트(burst of alterations)를 포함할 수 있고,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통신의 시작 또는 중단 여부에 관한 결정을 형성하기 위한 충분한 통계적 베이스를 획득하기 위해 다수의 이러한 버스트들이 여러 번 반복된다. 이러한 변경들의 버스트에 대한 기본적인 예는 이전에 제1 예에 대해 주어졌으며, 여기서는 예를 들어, 3dB의 제한된 전력 감소에 의해 변경들이 시작되고, TPC 커맨드들에서 충분한 영향이 검출되지 않으면, 다음 전력 변경시에는 완전한 뮤트가 시도된다.
프로빙 프로시져는 모니터링되는 전력 변경사항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분한 통계적 베이스를 획득하기 위해 충분한 수의 변경들이 수행된 후, 통신이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제시된 예들은 W-CDMA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어떤 종류의 CDMA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적어도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유닛들(2, 3),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7) 및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4)을 포함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노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안테나 유닛(2, 3)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5, 6)을 갖고 상기 중앙 유닛(4)에 접속되고, 커버리지 영역들(5, 6)은 결합된 셀을 형성한다. 중앙 유닛(4)은 제어 유닛(8)을 포함하고, 제어 유닛(8)은, 적어도 제1 커버리지 영역(5)을 갖는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2)의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도록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위해 구성된다. 제어 유닛(8)은, 적어도 제2 커버리지 영역(6)을 갖는 적어도 제2 안테나 유닛(3)이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의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례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전력 변경사항들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 시간에 따라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을 관찰하고, 시간에 따라 이 제어 값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검색하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상관시키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을 필터링하여, 시계열 내의 왜곡을 억제
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들의 형태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9)은 전용 채널에서 수신 전력(17, 17')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변경 전보다 더 적은 전력(15)이 사용자 단말(9)에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 동안에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9)과 계속해서 통신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기준들은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9)에 전력(15')이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던 전력은 변경 전에 셧오프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전력(15')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기준들은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유닛(3)이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전제 조건이 충족될 때, 사용자 단말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전제 조건은 제1 커버리지 영역(5)과 제2 커버리지 영역(6)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9)로부터 측정된 UL(uplink) 전력의 비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전제 조건은 전용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영역들(5, 6)에서 송신되는 DL 전력(15, 16; 15', 16')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은 또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 11: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게 하도록 변경하는 단계 -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에 사용됨 -,
- 12: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 13: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의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례에 따르면, 본 방법은 전력 변경사항들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 시간에 따라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을 관찰하고, 시간에 따라 이 제어 값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검색하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상관시키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을 필터링하여, 시계열 내의 왜곡을 억제
함으로써,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들의 형태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전용 채널은 사용자 단말(9)에서 수신 전력(17, 17')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변경 전보다 더 적은 전력(15)이 사용자 단말(9)에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 동안에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가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통해 사용자 단말(9)과 계속해서 통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기준들은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9)에 전력(15')이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던 전력은 변경 전에 셧오프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전력(15')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특정 기준들은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방법은, 상기 제2 안테나 유닛(3)이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전제 조건이 충족될 때,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전제 조건은 제1 커버리지 영역(5)과 제2 커버리지 영역(6) 사이에서 사용자 단말(9)로부터 측정된 UL(uplink) 전력의 비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이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전제 조건은 전용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영역(5, 6)에서 송신되는 DL 전력(15, 16; 15', 16')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이다.
도 13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노드 장치를 도시한다. 본 통신 노드 장치는,
-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도록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변경 모듈(X11) -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에 사용됨 -;
-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모듈(X12); 및
-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의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이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X13)
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전력 변경사항들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삽입 모듈(X18)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 시간에 따라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을 관찰하고, 시간에 따라 이 제어 값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검색하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상관시키고, 및/또는
-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을 필터링하여, 시계열 내의 왜곡을 억제
함으로써,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모니터링 모듈(X19)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변경 전보다 더 적은 전력(15)이 사용자 단말(9)에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제1 변경 모듈(X20)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 동안에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력 강하 모듈(X21)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통해 사용자 단말(9)과 계속해서 통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제1 통신 모듈(X22)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사용자 단말(9)에 전력(15')이 송신되도록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제2 변경 모듈(X23)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송신되던 전력은 변경 전에 셧오프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전력(15')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력 송신 모듈(X24)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의 결과가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제2 통신 모듈(X25)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 따르면, 통신 노드 장치는, 상기 제2 안테나 유닛(3)이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전제 조건이 충족될 때,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전제 조건 모듈(X26)을 추가로 포함한다.

Claims (32)

  1. 적어도 2개의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 유닛들(2, 3), 적어도 하나의 무선 유닛(7) 및 적어도 하나의 중앙 유닛(4)을 포함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노드 장치(communication node arrangement)(1)로서, 각각의 안테나 유닛(2, 3)은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5, 6)을 갖고 상기 중앙 유닛(4)에 접속되고, 상기 커버리지 영역들(5, 6)은 결합된 셀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 유닛(4)은 제어 유닛(8)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8)은, 적어도 제1 커버리지 영역(5)을 갖는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2)의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송신 특성들(transmitting properties)을 변경하여,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transmit power alterations)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위해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8)은, 적어도 제2 커버리지 영역(6)을 갖는 적어도 제2 안테나 유닛(3)이 상기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의 상기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이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전력 변경사항들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 시간 경과에 따라(over time)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을 관찰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이 제어 값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검색하고, 및/또는
    -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time series of control values)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상관시키고, 및/또는
    -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을 필터링하여, 상기 시계열 내의 왜곡을 억제
    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들의 형태인 CDMA 통신 노드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9)은 상기 전용 채널에서 수신 전력(17, 17')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변경 전보다 더 적은 전력(15)이 상기 사용자 단말(9)에 송신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9)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consecutive power drop periods)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계속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들은 상기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이 특정 기간 동안(during a certain time period)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9)에 전력(15')이 송신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9)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9)을 향한 송신 전력은 상기 변경 전에 셧오프(shut-off)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전력(15')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상기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들이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게 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들은 상기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8)은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제어하여, 상기 제2 안테나 유닛(3)이 상기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전제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그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CDMA 통신 노드 장치(1).
  15. 제14항에 있어서, 전제 조건은 상기 제1 커버리지 영역(5)과 상기 제2 커버리지 영역(6)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9)로부터 측정된 UL(uplink) 전력의 비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인 CDMA 통신 노드 장치(1).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전제 조건은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영역(5, 6)에서 송신되는 DL 전력(15, 16; 15', 16')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인 CDMA 통신 노드 장치(1).
  17.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11)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적어도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여,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전용 채널에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에 의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전력이 송신되도록 하는 단계 - 상기 전용 채널은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에 사용됨 -,
    - (12)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 (13) 상기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의 상기 결과가 상기 송신 특성들의 변경사항들에 어떻게 응답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이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 또는 중단해야 하는지, 또는 전과 같이 계속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력 변경사항들의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른 송신 전력 변경사항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시간 경과에 따라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을 관찰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이 제어 값에서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검색하고, 및/또는
    -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에 대해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패턴들을 상관시키고, 및/또는
    -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의 제어 값들의 시계열을 필터링하여, 상기 시계열 내의 왜곡을 억제
    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은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들의 형태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채널은 상기 사용자 단말(9)에서 수신 전력(17, 17')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변경 전보다 더 적은 전력(15)이 상기 사용자 단말(9)에 송신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 동안에 상기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연속적인 전력 강하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가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변경 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계속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들은 상기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6.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9)에 전력(15')이 송신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9)을 향한 송신 전력은 상기 변경 전에 셧오프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9)을 향해 전력(15')이 송신되는 연속적인 기간들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모니터링된 내부 전력 제어 루프 커맨드들(10')의 결과가 특정 기준들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9)과의 통신을 시작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준들은 상기 내부 제어 루프 커맨드들(10, 10')이 특정 기간 동안 적어도 미리 결정된 횟수만큼 특정 값을 취하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0.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안테나 유닛(3)이 상기 사용자 단말(9)과 통신하고 있을 때, 및 적어도 하나의 특정 전제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사용자 단말(9)에 대한 상기 제1 안테나 유닛(2)의 송신 특성들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전제 조건은 상기 제1 커버리지 영역(5)과 상기 제2 커버리지 영역(6) 사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9)로부터 측정된 UL(uplink) 전력의 비가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전제 조건은 상기 전용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커버리지 영역(5, 6)에서 송신되는 DL 전력(15, 16; 15', 16')이 미리 정의된 임계치를 넘어서 벗어나는 것인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20177019332A 2014-12-12 2014-12-12 결합된 셀에서의 무선 링크 관리 KR101979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4/077487 WO2016091317A1 (en) 2014-12-12 2014-12-12 Radio link management in a combined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403A true KR20170094403A (ko) 2017-08-17
KR101979525B1 KR101979525B1 (ko) 2019-05-16

Family

ID=5223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9332A KR101979525B1 (ko) 2014-12-12 2014-12-12 결합된 셀에서의 무선 링크 관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54462B2 (ko)
EP (1) EP3231226B1 (ko)
KR (1) KR101979525B1 (ko)
CN (1) CN107005954B (ko)
BR (1) BR112017008647B1 (ko)
RU (1) RU2660923C1 (ko)
WO (1) WO201609131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950A1 (en) * 2007-06-20 2008-1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wer control
US20130230008A1 (en) * 2010-10-28 2013-09-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t Power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0088B1 (en) * 1998-09-23 2002-03-19 Ericsson Inc. Antenna diversity switching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 antenna through a programmed evaluation
FR2817094B1 (fr) * 2000-11-17 2003-02-07 Cit Alcatel Procede pour le controle de puissance d'emission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DE10123611A1 (de) * 2001-05-15 2002-11-21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zellularen Funk-Kommunikationsystems und Stationen dafür
US20040047309A1 (en) * 2002-09-09 2004-03-11 Kai Barnes Method and base station for power control in TDMA radio system
US7580672B2 (en) * 2003-06-27 2009-08-25 Qualcomm Incorporated Synthetic path diversity repeater
AU2003298477B2 (en) * 2003-12-30 2008-10-02 Nokia Technologies Oy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lay base stations with asymmetric data links
US7747271B2 (en) * 2005-03-02 2010-06-29 Qualcomm Incorporated Radiated power control for a multi-antenna transmission
US7813756B2 (en) * 2006-12-11 2010-10-12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r equi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program thereof,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G157971A1 (en) * 2008-06-13 2010-01-29 Panasonic Corp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system
EP2307894A4 (en) * 2008-06-24 2017-05-3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user antenna beamforming in a cellular network
US10028165B2 (en) * 2009-09-01 2018-07-17 Zte Corporation Reverse link reliability through re-assembling multiple partially decoded connectionless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12002851A1 (en) * 2010-06-29 2012-0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switched antenna transmit d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US9094920B2 (en) * 2010-08-16 2015-07-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es for power control using variable step size
KR101750369B1 (ko) * 2010-11-18 2017-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분산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2643947B1 (en) * 2010-11-24 2018-09-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Power distribution module(s) capable of hot connection and/or disconnection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and related power units, components, and methods
JP5906529B2 (ja) * 2011-08-02 2016-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950A1 (en) * 2007-06-20 2008-12-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wer control
US20130230008A1 (en) * 2010-10-28 2013-09-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t Power Adjust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154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91317A1 (en) 2016-06-16
CN107005954A (zh) 2017-08-01
KR101979525B1 (ko) 2019-05-16
EP3231226A1 (en) 2017-10-18
BR112017008647A2 (pt) 2018-01-30
RU2660923C1 (ru) 2018-07-11
CN107005954B (zh) 2020-06-05
US10154462B2 (en) 2018-12-11
US20170257829A1 (en) 2017-09-07
BR112017008647B1 (pt) 2023-01-17
EP3231226B1 (en)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0786B1 (en) D2d power control method,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JP3871514B2 (ja) 移動電気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779545B1 (en) Combined open loop/closed loop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245755B1 (en) A method of transmitting tpc commands
WO2012002851A1 (en) Uplink switched antenna transmit d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EP2189013B1 (en) A method of determining the active set in a cellular radio system
TWI519195B (zh) 中繼器之增益控制方法及裝置
JP2016534678A5 (ko)
US9961644B2 (en) Fast fading power restriction
CN101442796B (zh) 发射功率的调整方法、装置和系统
EP2749092A1 (en) Filtering a stream of power control commands
EP2915379A1 (en) Network node, user equipment, methods therein,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979525B1 (ko) 결합된 셀에서의 무선 링크 관리
EP2779737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serving grant of a user terminal in neighboring cell
WO2018141189A1 (zh) 自适应调整上行功率参数的方法及装置
EP31162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EP3127380B1 (en) Uplink access with compressed mode in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KR101763897B1 (ko) 역방향 전력을 제어하는 기지국 및 방법
Bautista et al. UE-based adaptive uplink power control to enhance cell capacity of LTE systems
CN102547949A (zh)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方法和装置
JP2008067182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