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259A -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259A
KR20170092259A KR1020160013374A KR20160013374A KR20170092259A KR 20170092259 A KR20170092259 A KR 20170092259A KR 1020160013374 A KR1020160013374 A KR 1020160013374A KR 20160013374 A KR20160013374 A KR 20160013374A KR 20170092259 A KR20170092259 A KR 20170092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infant
range
respi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김용광
김성광
이원규
정지훈
이선희
이석
송수현
권순범
조용진
윤용기
박지웅
이완주
박성훈
박슬기
유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16001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259A/ko
Publication of KR2017009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2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UWB 임펄스 신호를 유아의 심장(H) 및 폐(L)를 향하여 조사시켜 반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과, 상기 수신된 유아에 대한 무선신호를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모듈(120);과, 변환된 상기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와 비교하여 생체이상을 판단하는 생체이상 분석모듈(130);과,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상기 심박 신호 또는 상기 호흡 신호가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를 벗어나는 생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전달받아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모듈(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Infant Sleep Detecting System using UWB RADAR}
본 발명은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UWB 임펄스 신호를 유아의 심장(H) 및 폐(L)를 향하여 조사시켜 반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과, 상기 수신된 유아에 대한 무선신호를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모듈(120);과, 변환된 상기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와 비교하여 생체이상을 판단하는 생체이상 분석모듈(130);과,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상기 심박 신호 또는 상기 호흡 신호가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를 벗어나는 생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전달받아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모듈(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건강 관리는 모든 부모들에게 가장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유아의 건강 관리에 대하여, 유아가 활동 중인 경우는 통상적으로 부모 또는 보육자가 유아와 함께 있으며 유아의 건강 상태를 지근 거리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나, 유아가 수면을 취하고 있는 모든 시간을 부모 또는 보육자가 유아의 건강 관리 및 확인을 위하여 함께 있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산후 조리원 등과 같이 많은 유아를 소수의 인원이 관찰하여야 하는 경우 더욱 심각해 진다.
이러한 유아의 수면 상태를 확인하여 관리할 수 있는 유아수면관리에 관하여, 기존에는 하기 특허문헌 1의 "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등록특허 10-0736767)에는, 피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와, 움직임 감지 센서 등 아기의 건강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각종 센서들과, 아기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컴퓨터와의 통신 수단으로 구성되는 유아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유아 등의 의 호흡을 측정하고 경보를 발하기 위하여 하기 특허문헌 2의 "무호흡/저호흡 경보장치 및 경보시스템(등록특허 10-1003837)"에는 측정 대상자의 특정 부위에 접촉되어 측정 대상자의 호흡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의 변화를 검출하는 에어 패드와, 상기 에어 패드에 결합되어 검출된 공기압의 변화를 전달하는 에어 튜브와, 상기 에어 튜브로부터 전달된 공기압의 변화를 전기적인 호흡 감지신호로 변환하고, 특정 대역으로 필터링한 후 이를 바탕으로 무호흡 또는 저호흡 여부를 판단하며, 무호흡 또는 저호흡 시 특정의 경보 제어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호흡/저호흡 측정모듈과, 관리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무호흡/저호흡 측정모듈로부터 송신된 특정의 경보 제어신호를 무선 수신받아 해당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측정방법들은 모두 소리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유아의 호흡을 측정하는 데 불과하거나, 아직 신체 발달이 미약한 유아에게 측정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아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요소 중 가장 직접적이고도 중요한 요인인 심박 측정을 위해서 기존에 제공되는 심박측정 방법은 대부분 유아와의 '접촉'을 전제로 하는 측정방법에 불과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미약한 심박신호가 의복 착용이나 유아의 체격/ 착좌 자세 등 다양한 환경변수의 영향으로 잡음원에 쉽게 오염된다는 문제점을 가지므로, 가용한 심박신호구간이 줄어들게 되고 그 양태가 불연속적이게 되어 추출 가능한 정보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6767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837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초광대역 임펄스 신호를 이용하는 초광대역 레이더의 투과성 및 반사성을 이용하여 유아의 의복 착용 상태나 체격, 유아의 수면 장소의 온도/습도 등 외부의 상태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정확하게 유아의 심박 및 호흡을 측정하여, 수면 중인 유아의 호흡 및 심박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부모 또는 보육자에게 경고하거나 외부의 의료기관에 전송하여 이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은, UWB 임펄스 신호를 유아의 심장(H) 및 폐(L)를 향하여 조사시켜 반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과, 상기 수신된 유아에 대한 무선신호를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모듈(120);과, 변환된 상기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와 비교하여 생체이상을 판단하는 생체이상 분석모듈(130);과,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상기 심박 신호 또는 상기 호흡 신호가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 값 범위를 벗어나는 생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전달받아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모듈(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는 상기 유아에 대하여 기 측정된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더 연결되는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환 모듈(120)에 연결되며, 온도 센서(310) 또는 습도 센서(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은 상기 변환 모듈(120)로부터 전달된 상기 온도 센서(310)의 측정 온도값 또는 상기 습도 센서(320)의 측정 습도 값이 각각 소정의 온도 범위 또는 소정의 습도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 이상 또는 습도 이상의 경우, 상기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상기 경보 모듈(160)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50)은,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판단된 상기 생체 이상, 온도 이상 또는 습도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200) 또는 외부 단말(210,22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단말은 사용자 단말기(210) 또는 관련자 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 서버(200)는 의료기관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은, 상기 유아가 수면을 취하는 유아용 침대, 인형 또는 유모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초광대역 임펄스 신호를 이용하는 초광대역 레이더의 투과성 및 반사성을 이용하여 유아의 의복 착용 상태나 체격, 유아의 수면 장소의 온도/습도 등 외부의 상태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정확하게 유아의 심박 및 호흡을 측정하여, 수면 중인 유아의 호흡 및 심박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부모 또는 보육자에게 경고하거나 외부의 의료기관에 전송하여 이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의 구성 블럭 다이어그램.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의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의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의 기본적인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의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의 흉강내 펄스-에코 딜레이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의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의 흉강 조직에서 전송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까지 순회한 펄스-에코 세기의 감소 예측 UWB 레이더 모델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UWB 임펄스 신호를 유아의 심장(H) 및 폐(L)를 향하여 조사시켜 반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과, 상기 수신된 유아에 대한 무선신호를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모듈(120);과, 변환된 상기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와 비교하여 생체이상을 판단하는 생체이상 분석모듈(130);과,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상기 심박 신호 또는 상기 호흡 신호가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를 벗어나는 생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전달받아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모듈(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초광대역 임펄스 신호를 조사한 후, 상기 대상의 각 구성요소의 재질 등 특성에 따른 투과율 및 반사율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반사된 신호를 측정하는 레이더의 일종이다.
이 경우, 상기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은, 상기 유아가 수면을 취하는 유아용 침대, 수면시 유아가 지참하는 인형 또는 유모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감지된 유아의 흉강에서의 UWB 펄스-에코 딜레이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는 상기 유아의 흉강 조직에서 전송 안테나로부터 수신 안테나까지 순회한 펄스-에코 세기의 감소 예측 UWB 레이더 모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서 각 스텝들은 각 경계에서 에코(echo)의 원인이 된다. 그래프의 감소는 조직에서의 선형적인 감쇠를 설명한다. 도 5에서 반사계수의 허수부와 복합 반사는 무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부(skin), 지방(fat), 근육(muscle), 연골(cartilage), 폐(lung), 심장(heart)으로 갈수록 UWB 임펄스의 진행 속도가 늦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피부(skin), 지방(fat), 근육(muscle), 연골(cartilage), 폐(lung), 심장(heart)으로 갈수록 UWB 임펄스의 세기가 감소된다.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에서 측정된 상기 유아로부터 반사되는 무선신호는 변환모듈(120)을 통하여 비교가능한 생체변환정보로 변환된다. 즉, 상기 유아로부터 반사되는 무선신호로부터 상기 유아의 심박수, 심박주기, 호흡수 및 호흡주기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생체 변환 정보를 획득한다. 즉, 적절한 파장(예를 들어 파장 12.5cm 내외의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적절한 주파수(예를 들어 3~10Ghz 내외의 마이크로웨이브)의 무선주파수를 1mW - 10mW 범위의 출력으로 주사하면,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상기 유아의 인체 조직의 특성상 무선주파수를 반사하게 되는 데, 이때 폐와 심장은 공기 또는 혈액이 출입하고 수축 및 팽창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므로, 도플러 효과에 의해 반사되는 반송 무선주파수에 위상의 변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변환모듈(120)은, 상기 유아로부터 반사되어 온 변조된 무선주파수를 통하여 심박수, 심박주기, 호흡수 및 호흡주기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생체 변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은 변환된 상기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와 비교하여 생체이상을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는 일반적인 유아의 경우를 상정하여 미리 설정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는 상기 유아에 대하여 기 측정된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더 연결되는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것이 각각의 유아의 특성에 따라 최적화된 판단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경보 모듈(160)은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상기 심박 신호 또는 상기 호흡 신호가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를 벗어나는 생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전달받아 경보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 상기 통신 모듈(150)은,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판단된 상기 생체 이상에 대한 정보를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200) 또는 외부 단말(210,22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순히 유아의 보호자 또는 보육자 등의 관련자에게만 경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 상황을 외부에도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단말은 보호자 단말기(210) 또는 관련자(유아의 보육자, 가족, 친지, 동료 등) 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 서버(200)는 혹시라도 상기 생체 이상에 의하여 발생하거나 할 수 있는 사고 등에 따른 신속한 후송/치료 등의 조치를 위한 의료기관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변환 모듈(120)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온도 센서(310) 또는 습도 센서(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300)가 더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은 상기 변환 모듈(120)로부터 전달된 상기 온도 센서(310)의 측정 온도값 또는 상기 습도 센서(320)의 측정 습도 값이 각각 소정의 온도 범위 또는 소정의 습도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 이상 또는 습도 이상의 경우, 상기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상기 경보 모듈(160)에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재 또는 실내 침수 등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110: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
120: 변환모듈
130: 생체이상 분석모듈
140: 저장부
150: 통신모듈
160: 경보 모듈
161: 경고등 162: 경고음 발생 수단
200: 의료기관 서버
210: 사용자 단말기
220: 관련자 단말기
300: 센서부
310: 온도 센서 320: 습도 센서

Claims (6)

  1. UWB 임펄스 신호를 유아의 심장(H) 및 폐(L)를 향하여 조사시켜 반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
    상기 수신된 유아에 대한 무선신호를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모듈(120);
    변환된 상기 심박 신호 및 호흡 신호를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와 비교하여 생체이상을 판단하는 생체이상 분석모듈(130);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상기 심박 신호 또는 상기 호흡 신호가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 값 범위를 벗어나는 생체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전달받아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 모듈(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상 심박값 범위 및 소정의 정상 호흡값 범위는 상기 유아에 대하여 기 측정된 값으로 설정되며,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더 연결되는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모듈(120)에 연결되며, 온도 센서(310) 또는 습도 센서(32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3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은 상기 변환 모듈(120)로부터 전달된 상기 온도 센서(310)의 측정 온도값 또는 상기 습도 센서(320)의 측정 습도 값이 각각 소정의 온도 범위 또는 소정의 습도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 이상 또는 습도 이상의 경우, 상기 통신 모듈(150)을 통하여 상기 경보 모듈(160)에 경보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150)은,
    상기 생체이상 분석모듈(130)에 의해 판단된 상기 생체 이상, 온도 이상 또는 습도 이상에 대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 서버(200) 또는 외부 단말(210,22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은 사용자 단말기(210) 또는 관련자 단말기(220)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부 서버(200)는 의료기관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
  6.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광대역 레이더 모듈(110)은,
    상기 유아가 수면을 취하는 유아용 침대, 인형 또는 유모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100).
KR1020160013374A 2016-02-03 2016-02-03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KR201700922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74A KR20170092259A (ko) 2016-02-03 2016-02-03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374A KR20170092259A (ko) 2016-02-03 2016-02-03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259A true KR20170092259A (ko) 2017-08-11

Family

ID=59651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374A KR20170092259A (ko) 2016-02-03 2016-02-03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25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2935A (zh) * 2018-11-01 2019-01-18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uwb传感器判断人体睡眠质量的方法及系统
CN109872503A (zh) * 2019-02-19 2019-06-11 广东省海洋工程装备技术研究所 一种儿童防走失穿戴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90071307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허브테크 레이더를 이용한 수면 무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9984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에이치앤디에스 Uwb 기반 비접촉식 임펄스 레이더 방식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2236461B1 (ko) * 2020-08-19 2021-04-06 주식회사 피플멀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이용한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28565A (ko) 2020-04-16 2021-10-27 주식회사 딥센트 향기를 이용한 수면 케어 시스템
KR20230122279A (ko) 2022-02-14 2023-08-22 아이오티지(주) 레이더를 이용한 수면 상태 측정 방법
WO2023173386A1 (zh) * 2022-03-17 2023-09-21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新生儿/非接触式生理体征监护方法和系统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307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허브테크 레이더를 이용한 수면 무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9222935A (zh) * 2018-11-01 2019-01-18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uwb传感器判断人体睡眠质量的方法及系统
CN109872503A (zh) * 2019-02-19 2019-06-11 广东省海洋工程装备技术研究所 一种儿童防走失穿戴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00139984A (ko) * 2019-06-05 2020-12-15 주식회사 에이치앤디에스 Uwb 기반 비접촉식 임펄스 레이더 방식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20210128565A (ko) 2020-04-16 2021-10-27 주식회사 딥센트 향기를 이용한 수면 케어 시스템
KR102236461B1 (ko) * 2020-08-19 2021-04-06 주식회사 피플멀티 생체정보와 환경정보를 이용한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22279A (ko) 2022-02-14 2023-08-22 아이오티지(주) 레이더를 이용한 수면 상태 측정 방법
WO2023173386A1 (zh) * 2022-03-17 2023-09-21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新生儿/非接触式生理体征监护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2259A (ko)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유아수면관리 시스템
De Chazal et al. Sleep/wake measurement using a non‐contact biomotion sensor
EP2020919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signs
Ali et al. Contact and remote breathing rate monitoring techniques: A review
US8454528B2 (en) Non-contact physiologic motion sensors and methods for use
US112532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monitoring
CN103608854A (zh) 用于在睡眠时检测身体姿势的设备和方法
Digarse et al. Arduino UNO and GSM based wireless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patients
US201300014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Living Subject
WO2015174879A1 (en) Mm-wave radar vital signs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70055352A (ko) 임펄스 초광대역 레이더를 이용한 차량 운전자 생체 신호 측정 경보 시스템
US9649033B2 (en) Device for remote non-contact monitoring of vital signs of a living being
CN113766872A (zh) 通过物品感测生理参数
TWI503794B (zh) 嬰幼兒生理監視與安撫裝置
JP2000102515A (ja) 身体状態検出具
US20220401018A1 (en) Wake-up detection device
JP7468350B2 (ja) 状態監視装置および状態監視装置の制御方法
RU24629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параметров жизнедеятельности человека
Lee et al. Further applications of Doppler radar for non-contact respiratory assessment
CN211432928U (zh) 监护系统
Singh et al. Infant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sensors based on blood oxygen saturation: A review
TWI470582B (zh) 可攜式嬰幼兒監視裝置
KV et al. Development of Intelligent Cradle for Infant Monitoring System
JP2023094448A (ja) 見守りシステム
CA3218286A1 (en) Device for ascertaining the physiological state of babies and small child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