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868A -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90868A KR20170090868A KR1020160011797A KR20160011797A KR20170090868A KR 20170090868 A KR20170090868 A KR 20170090868A KR 1020160011797 A KR1020160011797 A KR 1020160011797A KR 20160011797 A KR20160011797 A KR 20160011797A KR 20170090868 A KR20170090868 A KR 201700908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cene change
- candidate
- codecs
- dete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2100037812 Medium-wave-sensitive opsi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9—Segmenting video sequences, i.e. computational techniques such as parsing or cutting the sequence, low-level clustering or determining units such as shots or sce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7—Scene change det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04N19/126—Details of normalisation or weighting functions, e.g. normalisation matrices or variable uniform quantis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2—Detection of scene cut or scene cha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scene cut or scene change detec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영상 선택부가 소정 단위의 영상 프레임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위한 개념도,
도 3은 후보 프레임 검출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4는 후보 장면 전환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최종 프레임 검출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6은 히스토그램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검출된 장면 전환 프레임을 이용하여 부가데이터를 삽입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22)
- 장면 전환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을 h개 프레임 간격으로 쉬프트(shift)하면서 n개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는 영상 선택부;
상기 선택된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을 복수 개의 코덱(codec) 및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후보 프레임을 추출하는 후보 프레임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후보 프레임을 기반으로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임계값보다 높은 카운트 값을 가진 프레임을 최종 장면전환 프레임으로 검출하는 최종 프레임 검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h와 n은 0보다 큰 실수이면서 h는 n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선택된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에 대해 코덱 또는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 추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 값을 추출하는 가중치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추출부는
복수 개의 코덱 및 상기 코덱을 통해 추출된 I 프레임 위치, 및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intra) 영역을 기반으로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제 1 모드; 및
복수 개의 장면전환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후보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선택된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에 대해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하는 복수 개의 코덱;
상기 복수 개의 코덱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 결과에 따라 상기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 중 I 프레임 위치, 및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intra)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I 프레임 및 인트라 영역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I 프레임 및 상기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intra)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선택하는 후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선택부는,
상기 검출된 I 프레임은 바로 제 1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으로 선택하고,
상기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 영역이 해당 프레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덱 각각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비트율의 코덱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코덱이 병렬로 서로 다른 비트율로 구동되어 각각 I 프레임 및 상기 인트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레임 및 인트라 영역 검출부는 상기 n개 프레임 단위에서 최초 프레임을 제외한 두 번째 프레임부터 I 프레임의 위치 또는 인트라 영역을 검출 대상으로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덱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코덱, AVC(Advanced Video Coding) 및 WebM 코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프레임 검출부는
상기 복수 개의 코덱 또는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검출된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 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후보 장면 전환 프레임 값을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카운트 값을 누적시키는 카운트 값 누적부; 및
상기 누적된 카운트 값이 (i) 임계값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또는 (ii) 상위 m개 - m은 자연수임 - 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최종 장면전환 프레임을 검출하는 프레임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최종 장면전환 프레임에 부가데이터를 삽입하는 부가 데이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 값은 가변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화 프레임 검출 장치. - 장면 전환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영상 프레임을 입력받는 단계;
입력되는 영상을 h개 프레임 간격으로 쉬프트(shift)하면서 n개 프레임 단위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을 복수 개의 코덱(codec) 및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후보 프레임을 기반으로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임계값보다 높은 카운트 값을 가진 프레임을 최종 장면전환 프레임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h와 n은 0보다 큰 실수이면서 h는 n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프레임 추출부에서 상기 선택된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에 대해 코덱 또는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 값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코덱 및 상기 코덱을 통해 추출된 I 프레임 위치, 및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intra) 영역을 기반으로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제 1 모드; 및
복수 개의 장면전환 검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상기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제 2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코덱에서 상기 선택된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에 대해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코덱의 부호화 또는 복호화 결과에 따라 상기 n개 프레임 단위의 영상 중 I 프레임 위치, 및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intra)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I 프레임 및 상기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intra)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I 프레임은 바로 제 1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으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 영역이 해당 프레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기반으로 제 1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을 선택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덱 각각은 복수 개의 서로 다른 비트율의 코덱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코덱이 병렬로 서로 다른 비트율로 구동되어 각각 I 프레임 및 상기 인트라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I 프레임 위치, 및 B 또는 P 프레임의 인트라(intra)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n개 프레임 단위에서 최초 프레임을 제외한 두 번째 프레임부터 I 프레임의 위치 또는 인트라 영역을 검출 대상으로 채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코덱은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코덱, AVC(Advanced Video Coding) 및 WebM 코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장면전환 프레임으로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코덱 또는 장면 전환 검출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추출된 후보 장면전환 프레임 값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후보 장면 전환 프레임 값을 히스토그램 분석하여 카운트 값을 누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누적된 카운트 값이 (i) 임계값보다 높은지 판단하여 또는 (ii) 상위 m개 - m은 자연수임 - 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최종 장면전환 프레임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최종 장면전환 프레임에 부가데이터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h 값은 가변되는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면 전화 프레임 검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1797A KR20170090868A (ko) | 2016-01-29 | 2016-01-29 |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및 방법 |
US15/246,547 US9986244B2 (en) | 2016-01-29 | 2016-08-25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cene cut fr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1797A KR20170090868A (ko) | 2016-01-29 | 2016-01-29 |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0868A true KR20170090868A (ko) | 2017-08-08 |
Family
ID=5938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1797A KR20170090868A (ko) | 2016-01-29 | 2016-01-29 |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986244B2 (ko) |
KR (1) | KR2017009086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83481A (zh) * | 2019-11-15 | 2020-04-28 | 西安万像电子科技有限公司 | 图像编码方法及装置 |
CN112218155A (zh) * | 2020-09-24 | 2021-01-12 |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 一种切换耗时的自动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
CN113542856B (zh) * | 2021-06-28 | 2023-06-13 | 宜宾中星技术智能系统有限公司 | 在线录像的倒放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35253B1 (en) * | 1997-05-16 | 2004-05-11 |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 Methods and architecture for indexing and editing compressed video over the world wide web |
US6449392B1 (en) * | 1999-01-14 | 2002-09-10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 Methods of scene change detection and fade detection for indexing of video sequences |
US20050228849A1 (en) * | 2004-03-24 | 2005-10-13 | Tong Zhang | Intelligent key-frame extraction from a video |
US9959599B2 (en) * | 2015-06-18 | 2018-05-01 |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 System for enhanced images |
-
2016
- 2016-01-29 KR KR1020160011797A patent/KR201700908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8-25 US US15/246,547 patent/US9986244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986244B2 (en) | 2018-05-29 |
US20170223359A1 (en) | 2017-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27509B2 (en) | Hierarchical hybrid shot change detection method for MPEG-compressed video | |
US8243203B2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video highlights and method thereof | |
EP1021042B1 (en) | Methods of scene change detection and fade detection for indexing of video sequences | |
Kobla et al. | Detection of slow-motion replay sequences for identifying sports videos | |
WO2001015459A1 (en) | Time-varying image processor, its method, and recorded medium | |
US6940910B2 (en) | Method of detecting dissolve/fade in MPEG-compressed video environment | |
JP4559935B2 (ja) | 画像記憶装置及び方法 | |
US20120308205A1 (en) |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eviewing and retrieving video | |
KR20030026529A (ko) | 키프레임 기반 비디오 요약 시스템 | |
JP2010148154A (ja) | 動画像検索装置 | |
JP2000217121A (ja) | ディジタル画像表示のビデオデ―タを圧縮した形で処理してシ―ン変化を検出する方法 | |
JPH10257436A (ja) | 動画像の自動階層構造化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ウジング方法 | |
KR20170090868A (ko) | 장면 전환 프레임 검출 장치 및 방법 | |
CN101479729A (zh) | 提取关键帧的系统和方法 | |
EP1921862A2 (en) | Image playback apparatus providing smart search for mo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JP4520994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KR100713501B1 (ko) | 이동통신단말기상에서 디지털 동영상을 인덱싱하는 방법 | |
US7643554B2 (en) | Image retrieving apparatus performing retrieval based on coding information utilized for feature frame extraction or feature values of frames | |
JP2869398B2 (ja) | カット点検出方法及び装置 | |
EP1265154A2 (en) | Summarization of football video content | |
KR20180093441A (ko) | 영상 구조 변경을 통한 워터마크 삽입 장치 및 방법 | |
JPH10112863A (ja) | 動き被写体情報抽出方法及び装置 | |
AU751231C (en) | Digital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
JP3339544B2 (ja) | ディゾルブ検出方法および装置 | |
KR20060127022A (ko) | 코딩 방법 및 대응하는 코딩된 신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2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