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089A -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089A
KR20170090089A KR1020160010510A KR20160010510A KR20170090089A KR 20170090089 A KR20170090089 A KR 20170090089A KR 1020160010510 A KR1020160010510 A KR 1020160010510A KR 20160010510 A KR20160010510 A KR 20160010510A KR 20170090089 A KR20170090089 A KR 2017009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ember
connector
junction box
fus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용
조용남
황정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0089A/ko
Publication of KR2017009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0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84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는,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junction box)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케이블에 고정되며, 제1 클립 부재를 갖는 제1 몸체와, 제1 몸체에 결합되며, 제2 클립 부재를 갖는 제2 몸체와,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2 클립 부재에 양단이 삽입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 사이에 내장되는 퓨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CONNECTOR FOR JUNCTION BOX OF PV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모듈에 과전류 발생 시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태양광 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커넥터마다 퓨즈가 내장된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ower Generation)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으로 그 핵심은 태양전지(Solar Cell 또는 Photovoltaic Cell)이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필요에 따라 직-병렬로 연결하여 장기간 자연환경 및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그 최소단위를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 PV module)이라 한다.
태양광 모듈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태양전지와 이 태양전지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리, 봉지재, 백시트, 프레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태양광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에는 정션박스(junction box)가 결합된다. 상기 정션박스는 태양광 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핫스팟(hot spot)으로부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와, 다수의 태양광 모듈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케이블로 연결된 커넥터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상기 태양광 모듈, 접속반, 그리고 인버터를 포함한다. 태양광 모듈의 직, 병렬 구성은 설치환경, 설치용량, 그리고 태양광 모듈 및 인버터 사양에 따라 달라진다. 접속반은 각 회로별 전기를 수집하고 시스템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인버터와 연결을 차단하는 차단기, 각 회로별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 그리고 과전류 보호를 위한 퓨즈 등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기상정보 수집을 위한 디바이스와, 전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와, 그리고 서지 및 낙뢰 보호를 위해 서지 보호기 등을 포함한다.
도 1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1)에서는 다수의 태양광 모듈(10)을 직렬로 연결하여 회로군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태양광 모듈(10) 간의 연결은 정션박스(11, 도 2 참조)의 플러스 커넥터(11b, 도 2 참조)와 마이너스 커넥터(11a, 도 2 참조) 간의 연결에 의해 가능해지며, 이로써 직렬회로가 형성된다.
한편, 다수의 태양광 모듈(10)로 구성된 회로군은 접속반(20)에 연결된다. 상기 접속반(20)의 내부에는 과전류 및 역전류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퓨즈(21)와 다이오드(22)가 구비되며, 이들은 각각의 태양광 모듈(10)에 직렬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접속반(20)의 내부에는 상기 태양광 모듈(10)에서 생성된 직류전기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23)와,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계(24)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일사량과 온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일사량센서(26)과 온도센서(28)가 더 포함되는데, 이들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는 기록장치(27, 29)가 접속반(20)의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집된 직류전기는 상기 접속반(20)을 통과하여 인버터(30)에서 교류전기로 변환되며, 이어서 한전계통에 연결된다. 그리고 인버터(30)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40)이 더 포함된다.
도 2는 커넥터를 이용한 정션박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통해 다수의 태양광 모듈이 직렬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태양광 모듈(10) 간의 직렬 연결은 각각의 태양광 모듈(10)의 배면에 부착된 정션박스(11) 간의 케이블(c) 연결에 의해 가능해진다. 예컨대, 상기 정션박스(11)의 케이블(c)은 직류전기의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으로 나눠진 2개의 단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서로 다른 단자를 갖는 한 쌍의 커넥터(11a, 11b)를 갖는다. 이들 중 하나의 커넥터(11a)를 마이너스 커넥터라 하며, 나머지 하나의 커넥터(11b)를 플러스 커넥터라 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태양광 모듈(10)의 직렬 연결은 서로 인접한 태양광 모듈(10)이 서로 다른 극의 커넥터(11a, 11b)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가능해지며, 이로써, 다수의 태양광 모듈(10)은 직렬회로를 구성한다.
도 3은 종래의 커넥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커넥터(예: 마이너스 커넥터)(11a)는 케이블(c)의 말단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11a)에는 전극(예: 마이너스 전극)이 내장된다. 상기 커넥터(11a)는 인접한 다른 하나의 태양광 모듈(10)의 정션박스(11)에 연결된 다른 극성의 커넥터(예: 플러스 커넥터)(11b)에 연결되어 다수의 태양광 모듈(10)이 직렬 연결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접속반(20, 도 1 참조)의 내부에만 퓨즈(21, 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모듈(10)에 낙뢰나 서지를 통한 과전류 발생 시 접속반(22)의 퓨즈(21)에 의해 회로군 단위의 보호는 가능하지만, 개개의 태양광 모듈(10)에 대한 보호가 이뤄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해, 커넥터들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태양광 모듈은 과전류 발생 시 파손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2234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정션박스 및 그를 구비하는 태양광 모듈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모듈에 과전류 발생 시 태양광 모듈을 개별적으로 보호하여 직렬로 연결된 전체적인 태양광 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각 커넥터마다 퓨즈가 내장된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지 및 낙뢰로부터 개별 태양광 모듈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퓨즈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가 간편하며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는,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junction box)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며, 제1 클립 부재를 갖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되며, 제2 클립 부재를 갖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2 클립 부재에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내장되는 퓨즈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클립 부재는, 상기 제1 클립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립 부재는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클립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상기 케이블은 상기 퓨즈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제2 클립 부재 각각은 다수의 호형 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호형 돌기는, 상기 퓨즈의 외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되,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제2 클립 부재 각각은 퓨즈의 외경에 대응하는 삽입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간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링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는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junction box)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1 클립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클립 부재를 갖는 제1 몸체; 상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2 클립 부재의 상부 개방부위를 덮어 상기 제1 몸체에 결합되는 커버 형상의 제2 몸체; 및 상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2 클립 부재에 양단이 착탈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내장되는 퓨즈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립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클립 부재는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상기 케이블은 상기 퓨즈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몸체에는 다수의 착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다수의 착탈 홈에 결합되는 다수의 착탈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광 모듈에 과전류 발생 시 태양광 모듈을 개별적으로 보호하여 직렬로 연결된 전체적인 태양광 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지 및 낙뢰로부터 개개의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퓨즈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2는 태양광 모듈이 직렬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커넥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로부터 퓨즈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퓨즈 고정부재의 2가지 예시적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퓨즈 고정부재의 결합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퓨즈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태양광 발전(Photovoltaic Power Generation)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으로 그 핵심은 태양전지(Solar Cell 또는 Photovoltaic Cell)이다. 이러한 태양전지는 필요에 따라 직-병렬로 연결하여 장기간 자연환경 및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그 최소단위를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 PV module)이라 한다.
태양광 모듈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어주는 태양전지와 이 태양전지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리, 봉지재, 백시트, 프레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태양광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태양광 모듈의 배면에는 정션박스(junction box)가 결합된다. 상기 정션박스에는 다수의 태양광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전극을 가지며 케이블로 연결된 커넥터가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로부터 퓨즈를 제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태양광 모듈(Photovoltaic module, PV module)의 정션박스(junction box)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100)를 말한다.
상기 정션박스에는 마이너스 전극을 갖는 마이너스 커넥터와, 플러스 전극을 갖는 플러스 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하의 설명에서 커넥터(100)라 함은 마이너스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100)는 케이블(c)에 고정되는 제1 몸체(110), 상기 제1 몸체(110)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몸체(130), 그리고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30) 사이로 내장되는 퓨즈(150)를 포함한다.
제1 몸체(110)는 상기 케이블(c)의 말단 부위에 고정되며, 제1 클립 부재(113)를 갖는다.
상기 제1 몸체(110)는 퓨즈(150)의 일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 수용 공간을 갖는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중공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10)는 후술될 제2 몸체(13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 몸체(110)에는 암나사 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제2 몸체(130)에는 상기 암나사 부(111)를 통해 삽입 체결 가능한 수나사 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30)는 회전 방향에 따라 결합 또는 결합의 해제가 가능해 질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상기 제1 몸체에 수나사 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에 암나사 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 몸체의 나사 결합이 가능하게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30) 간의 나사 결합 구조와 관련하여, 기존과 동일한 방진 방수 등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30)의 결합 부위에는 별도의 링 부재(1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는 상기 제1 몸체(110)의 내측 중앙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 부재로서, 퓨즈(150)의 일단부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는 다수의 호형 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립 부재(113)는 서로 대칭되는 2개의 호형 돌기(113a, 113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호형 돌기(113a, 113b)는 퓨즈(150, 도 4 참조)의 외경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퓨즈(150, 도 4 참조)의 일단부는 상기 2개의 호형 돌기(113a, 113b)로 이루어진 제1 클립 부재(113)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클립 부재(113)는 서로 대칭되는 4개의 호형 돌기(113a, 113b, 113c, 113d)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다른 개수의 호형 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30)는 수나사 부(131)를 가지며 상기 제1 몸체(110)의 암나사 부(111)를 통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몸체(130)는 상기 제1 몸체(110)와의 결합 시,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에 일단부가 고정된 퓨즈(150)의 타단부를 고정시켜주는 제2 클립 부재(133, 도 5 참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클립 부재(133, 도 5 참조)는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로부터 퓨즈(150)의 길이만큼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방향'이라 함은, 상기 퓨즈(150)의 양단을 통해 상기 제2 클립 부재(133, 도 5 참조)와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가 전후로 연결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제2 클립 부재(133, 도 5 참조)는 전술한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와 같은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상기 제2 클립 부재(133, 도 5 참조) 역시 전술한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호형 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클립 부재(133)는 서로 대칭되는 2개의 호형 돌기(133a, 133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개의 호형 돌기(133a, 133b)는 퓨즈(150, 도 4 참조)의 외경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며,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퓨즈(150, 도 4 참조)의 타단부는 상기 2개의 호형 돌기(133a, 133b)로 이루어진 제2 클립 부재(133)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클립 부재(133)는 서로 대칭되는 4개의 호형 돌기(133a, 133b, 133c, 133d)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와 다른 개수의 호형 돌기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1 클립 부재(113) 및 제2 클립 부재(133)에는 삽입 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홈은 제1 클립 부재(113) 및 제2 클립 부재(133)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퓨즈(150, 도 4 참조)의 양단이 삽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 홈은 퓨즈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퓨즈(150)는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와 상기 제2 클립 부재(133, 도 5 참조)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110)와 상기 제2 몸체(130) 사이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퓨즈(150)는 상기 제1 클립 부재(113, 도 5 참조)와 상기 제2 클립 부재(133, 도 5 참조)를 통해 삽입되어 장착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 시 교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30)의 사이에 상기 퓨즈(150)가 내장되어 있어 태양광 모듈(10, 도 2 참조)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서지 또는 낙뢰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태양광 모듈(10, 도 2 참조)에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정션박스(11, 도 2 참조)의 커넥터(100)에 내장된 퓨즈(150)가 이를 차단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태양광 모듈(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립 부재(113)는 상기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클립 부재(133)는 상기 커넥터의 전극(예: 마이너스 전극)(1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퓨즈(150)를 통해 상기 커넥터의 전극(예: 마이너스 전극)(135)과 상기 케이블(c)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과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150)가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퓨즈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200)는 상기 케이블(c)에 고정되는 제1 몸체(210), 상기 제1 몸체(210)의 상부 개방부위를 덮어 커버 형태로 착탈 결합되는 제2 몸체(230), 그리고 상기 제1 몸체(210)와 상기 제2 몸체(230) 사이로 내장되는 퓨즈(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 몸체(2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c)에 고정되되 상기 퓨즈(250)의 양단을 착탈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 1 클립 부재(211)와 제2 클립 부재(213)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퓨즈(250)의 일단부를 착탈 방식으로 고정하는 제1 클립 부재(211)를 갖는다.
이와 함께, 상기 제1 몸체(210)는 상기 퓨즈(250)의 타단부를 착탈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클립 부재(211)로부터 상기 퓨즈(250)의 길이만큼의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2 클립 부재(213)를 갖는다.
여기서, '전후 방향'이라 함은, 상기 퓨즈(150)의 양단을 통해 상기 제1 클립 부재(211, 도 5 참조)와 제2 클립 부재(213, 도 5 참조)가 전후로 연결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230)는 상기 제1 클립 부재(211)와 상기 제2 클립 부재(213)의 상부 개방부위를 덮도록 상기 제1 몸체(210)에 커버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도 8에 도시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이와 다른 형상으로 제1 몸체(210)에 커버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2 몸체(230)가 상기 제1 몸체(210)와 맞닿아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는 방진 방수 기능의 확보를 위한 구조 및 재질적인 추가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몸체(210)와 상기 제2 몸체(230) 간의 착탈 결합을 위해, 상기 제1 몸체(210)에는 다수의 착탈 홈(215, 도 9 참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몸체(230)는 상기 다수의 착탈 홈(215, 도 9참조)에 결합 가능한 다수의 착탈 돌기(235, 도 9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형태와 반대의 경우로서, 상기 제1 몸체(210)에 다수의 착탈 돌기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몸체(230)에 다수의 착탈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퓨즈(250)는 상기 제1 몸체(210)에 구비된 상기 제1 클립 부재(211)와 상기 제2 클립 부재(213)에 양단이 각각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퓨즈(250)를 삽입 장착 후 상기 제2몸체(230)를 상기 제1 몸체(210)의 상부 개방부위로 덮어 커버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클립 부재(211)는 상기 커넥터의 전극(예: 마이너스 전극)(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클립 부재(213)는 상기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기 퓨즈(250)를 통해 상기 커넥터의 전극(예: 마이너스 전극)(미도시)과 상기 케이블(c)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과전류 발생 시 상기 퓨즈(250)가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처럼, 커넥터(200)의 내부에 퓨즈(250)가 내장되어 있어 태양광 모듈(10, 도 2 참조)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서지 또는 낙뢰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태양광 모듈(10, 도 2 참조)에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 정션박스(11, 도 2 참조)의 커넥터(200)에 내장된 퓨즈(250)가 이를 차단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태양광 모듈(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태양광 모듈에 과전류 발생 시 태양광 모듈을 개별적으로 보호하여 직렬로 연결된 전체적인 태양광 모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서지 및 낙뢰로부터 개개의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퓨즈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며,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태양광 발전 시스템
10: 태양광 모듈
11: 정션박스
11a, 11b: 커넥터
20: 접속반
21: 퓨즈
22: 다이오드
23: 전류계
24: 전압계
26, 28: 센서
27, 29: 기록장치
30: 인버터
40: 모니터링 시스템
100: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110: 제1 몸체
111: 암나사 부
113: 제1 클립 부재
113a, 113b: 호형 돌기
130: 제2 몸체
133: 제2 클립 부재
133a, 133b: 호형 돌기
131: 수나사 부
140: 링 부재
150: 퓨즈
200: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210: 제1 몸체
211: 제1 클립 부재
213: 제2 클립 부재
215: 착탈 홈
230: 제2 몸체
235: 착탈 돌기

Claims (10)

  1.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junction box)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며, 제1 클립 부재를 갖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나사 결합되며, 제2 클립 부재를 갖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2 클립 부재에 양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내장되는 퓨즈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립 부재는, 상기 제1 클립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부재는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클립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상기 케이블은 상기 퓨즈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제2 클립 부재 각각은 다수의 호형 돌기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형 돌기는,
    상기 퓨즈의 외경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되,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부재 및 상기 제2 클립 부재 각각은 퓨즈의 외경에 대응하는 삽입 홈을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간의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링 부재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8. 태양광 모듈의 정션박스(junction box)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케이블에 고정되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1 클립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 클립 부재를 갖는 제1 몸체;
    상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2 클립 부재의 상부 개방부위를 덮도록 상기 제1 몸체에 커버 형태로 결합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1 클립 부재와 상기 제2 클립 부재에 양단이 착탈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 사이에 내장되는 퓨즈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클립 부재는 상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의 전극과 상기 케이블은 상기 퓨즈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에는 다수의 착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몸체에는 상기 다수의 착탈 홈에 결합되는 다수의 착탈 돌기가 형성되는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KR1020160010510A 2016-01-28 2016-01-28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KR20170090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510A KR20170090089A (ko) 2016-01-28 2016-01-28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510A KR20170090089A (ko) 2016-01-28 2016-01-28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89A true KR20170090089A (ko) 2017-08-07

Family

ID=5965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510A KR20170090089A (ko) 2016-01-28 2016-01-28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00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993A (ko) * 2021-03-04 2022-09-14 (주) 대하전선 태양광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WO2023074969A1 (ko) * 2021-10-26 2023-05-04 샹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 전지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버부재
WO2023080549A1 (ko) * 2021-11-02 2023-05-11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20230145756A (ko) 2022-04-11 2023-10-18 한솔테크닉스(주) 정션박스 비노출형 태양전지모듈
KR102596844B1 (ko) * 2023-01-25 2023-11-01 주식회사 에스지에너지 방수성 및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 패치가 내장된 태양광 모듈의 졍선박스 커버와 태양광 모듈 스트링을 구성하기 위한 커넥터 커버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993A (ko) * 2021-03-04 2022-09-14 (주) 대하전선 태양광 모듈용 커넥터 어셈블리
WO2023074969A1 (ko) * 2021-10-26 2023-05-04 샹라오 징코 솔라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태양 전지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커버부재
WO2023080549A1 (ko) * 2021-11-02 2023-05-11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이를 가지는 기판 처리 장치
KR20230145756A (ko) 2022-04-11 2023-10-18 한솔테크닉스(주) 정션박스 비노출형 태양전지모듈
KR102596844B1 (ko) * 2023-01-25 2023-11-01 주식회사 에스지에너지 방수성 및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내화 패치가 내장된 태양광 모듈의 졍선박스 커버와 태양광 모듈 스트링을 구성하기 위한 커넥터 커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0089A (ko)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의 커넥터
TWI398997B (zh) 防水型連接器及太陽光發電裝置
US2004014717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upling photovoltaic modules
ES2399972T3 (es) Arnés de cableado con fusibles para un sistema fotovoltaico
CN105489799B (zh) 免焊接易维护可并联锂电池组
KR20100017853A (ko) 광전지 ac 인버터 장착 및 상호접속
AU2014280127A1 (en) Cable module for module inverters of a photovoltaic generator
CN102301493A (zh) 太阳能电池模块
WO2018159911A1 (ko) 인버터 장치
JP6969844B2 (ja) 光起電力モジュール
KR101505186B1 (ko) 태양 전지 모듈
KR20150146197A (ko) 태양광 모듈용 병렬 케이블의 커넥터 어셈블리
CN104659402A (zh) 电动汽车动力电池成组模块结构
KR102246803B1 (ko) 원터치 커넥터 일체형 태양광 모듈용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창호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959629B1 (ko) 인장력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커넥터 구조
KR102237578B1 (ko) 원터치 커넥터 일체형 태양광 모듈용 어셈블리 및 이의 설치 공법
KR102237579B1 (ko) 창호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의 설치공법
CN201927622U (zh) 一种新型光伏接线盒
CN102569458A (zh) 太阳能光伏电池的接线盒
CN210693855U (zh) 一种卡扣式连接器防水保护盒
CN209845391U (zh) 一种太阳能路灯控制电路
KR101439161B1 (ko) 벽체 내장형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세트
JP200434950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配線構造
KR20180126982A (ko) 태양광 모듈
CN213426101U (zh) 一种太阳能光伏组件分体式接线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