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9272A -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 Google Patents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9272A
KR20170089272A KR1020160009482A KR20160009482A KR20170089272A KR 20170089272 A KR20170089272 A KR 20170089272A KR 1020160009482 A KR1020160009482 A KR 1020160009482A KR 20160009482 A KR20160009482 A KR 20160009482A KR 20170089272 A KR20170089272 A KR 20170089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smart device
request
server
video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5507B1 (ko
Inventor
최신대
이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원
Priority to KR1020160009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07B1/ko
Priority to US15/415,394 priority patent/US10298879B2/en
Publication of KR20170089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18Conference organisation arrangements, e.g. handling schedules, setting up parameters needed by nodes to attend a conference, booking network resources, notifying involved pa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61Push-to services, e.g. push-to-talk or push-to-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04N7/155Conference systems involving storage of or access to video conference s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Abstract

푸시 기반의 홈디바이스 기기와의 영상통화 접속을 그룹 내의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이 개시된다.
일측면에 따른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는, 시그널링 서버, 푸시 서버, 적어도 하나의 홈디바이스 및 다수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영상통화 연결 요청 및 사용자 전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는 연결관리 요청 수신부;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에 연결상태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영상통화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푸시 서버에 영상통화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푸시 서버에 사용자 전환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는 연결관리 요청 송신부; 및 상기 푸시 서버가 발송하는 푸시 알림의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ID를 그룹으로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METHOD AND SYSTEM FOR FORWARDING PUSH-BASED VIDEO CALL TO ANOTHER USER IN SAME GROUP}
본 발명은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푸시 기반의 홈디바이스 기기와의 영상통화 접속을 그룹 내의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오토메이션이 널리 보급됨과 함께, 가정 내외부에서 스마트기기의 화면을 통해 가정 내의 각종 기기를 제어하고 방문자와 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가정 주변기기 제어시스템에 관한 기술도 더불어 발전해 왔다.
예컨대, 스마트기기 기반 가정 주변기기 제어시스템에 다수의 홈오토메이션 기기(도어폰, 로비폰, 비디오폰 등)와 홈네트워크앱이 설치된 스마트기기가 연결되고, 일정한 범위 내의 모든 스마트기기에 주변기기 정보와 함께 푸시 서버가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면 그 중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슬립 상태에서 깨어나 홈네트워크앱을 구동하고, 수신된 주변기기 정보에 포함된 비디오폰의 IP 어드레스에 웨이크업 신호 수신 사실을 알려 비디오폰과 스마트기기 간에 세션이 연결되도록 하는 내용의 스마트기기 - 홈디바이스 간 영상통화 연결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홈디바이스와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는 이처럼 스마트기기 - 홈디바이스 간 1:1 연결만을 고려하여, 일단 푸시 알람을 받은 스마트기기 중 1대가 홈디바이스와 영상통화가 연결되고 나면 그 영상통화 연결을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하는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가 없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동일 영역 내에서 하나의 그룹으로 묶일 수 있는 다수 개의 스마트기기가 존재한다는 오늘날의 홈오토메이션 환경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 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0608호 (명칭: 스마트기기 기반 가정 주변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17555호 (명칭: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푸시 기반의 홈디바이스 기기와의 영상통화 접속을 그룹 내의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할 수 있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면에 따른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는, 시그널링 서버, 푸시 서버, 적어도 하나의 홈디바이스 및 다수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영상통화 연결 요청 및 사용자 전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는 연결관리 요청 수신부;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에 연결상태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영상통화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푸시 서버에 영상통화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푸시 서버에 사용자 전환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는 연결관리 요청 송신부; 및 상기 푸시 서버가 발송하는 푸시 알림의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ID를 그룹으로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새로 영상통화 연결이 형성되는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ID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ID를 수신한 경우,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마트기기ID를 수신한 경우,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은, 시그널링 서버, 푸시 서버, 적어도 하나의 홈디바이스 및 다수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되는 연결관리서버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영상통화 연결이 서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홈디바이스 및 제1 스마트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 전환 요청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푸시 서버에 사용자 전환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제2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전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전환 응답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스마트기기에 연결해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을 발송한 기기로부터 상기 제2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ID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푸시 기반의 홈디바이스 기기와의 영상통화 접속을 그룹 내의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연결형 홈디바이스 기기만이 제공할 수 있었던 사용자 전환 및 상태 알림 기능을 홈디바이스 기기와 스마트기기 간의 원격통화에서도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홈디바이스 기기에 다수의 스마트기기가 연결 가능한 1:N의 사용환경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홈디바이스와 다수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푸시 기반 영상통화 환경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연결된 영상통화 연결을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예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을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하는 방법의 일례에 따른 절차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연결관리서버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로 본 그룹 내 사용자 전환 방법 및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홈디바이스와 다수의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푸시 기반 영상통화 환경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기반 영상통화 환경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은, 시그널링 서버(2), 연결관리서버(3) 및 푸시 서버(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시그널링 서버(2), 연결관리서버(3) 및 푸시 서버(4)는 적어도 하나의 홈디바이스(1) 및 다수의 스마트기기(51,52,53)와 연결된다.
도 1에서의 홈디바이스(1)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 수행이 가능한 기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영상통화 가능한 도어폰, 로비폰, 비디오폰 등이 홈디바이스(1)에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마트기기(51,52,53)는 영상통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이 될 수 있다.
시그널링 서버(2)는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51,52,53) 간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 교환을 위한 시그널링을 구축한다. 시그널링 서버(2)는 클라이언트들(홈디바이스(1) 및 스마트기기(51,52,53)) 간의 통신을 조정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를 교환하는 서버이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홈디바이스와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는 WebRTC 및/또는 SIP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그널링 서버(2)는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51,52,53)에 영상통화를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 기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연결 대상 기기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IP주소(IP address)와 포트 번호(Port number)를 포함한다.
WebRTC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call'을 초기화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는 다음과 같은 정보의 교환을 필요로 한다.
- 통신을 열고 닫는데 사용되는 세션 컨트롤 메세지들
- 에러 메세지들
- 코덱이나 코덱 설정, 대역폭, 미디어 타입 같은 미디어 메타데이터
- 보안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 데이터
- 호스트의 IP 주소 및 포트 번호와 같은 네트워크 데이터.
한편, SIP는 VoIP나 비디오 컨퍼런스 시스템들에서 사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WebRTC 웹앱과 비디오 컨퍼런스 시스템 같은 SIP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WebRTC는 시그널링을 중재할 프록시 서버가 필요하다. 시그널링은 반드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전달되어야 하지만 일단 통신이 설정되고 나면, SRTP 트래픽(비디오와 오디오)는 직접 피어(Peer) 대 피어(Peer)로 전달될 수 있다.
연결관리서버(3)는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51,52,53) 간의 통화 연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연결관리서버(3)는 홈디바이스(1)와 주기적으로 상태정보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연결관리서버(3)는 푸시 서버(4)로 푸시요청을 전송함으로써 푸시 서버(4)로 하여금 스마트기기(51,52,53)에 푸시(push) 알림을 발송하도록 한다. 스마트기기(51,52,53)는 푸시 서버(4)로부터 푸시 알림을 받음으로써 통화 연결에 관한 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관리서버(3)는 홈디바이스(1) 및 스마트기기(51,52,53)와 제어 채널을 구성함으로써 이들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푸시 서버(4)는 연결관리서버(3)의 요청에 대응하여 홈디바이스(1) 및/또는 스마트기기(51,52,53)에 푸시 알림을 발송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스마트기기(51,52,53)는 하나의 공통적인 디바이스 그룹(5)으로 묶여서 관리된다. 이처럼 디바이스 그룹(5)으로 묶여서 관리되는 스마트기기(51,52,53)에는 푸시 서버(4)로부터 단일한 내용의 푸시 알림이 일괄 전송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푸시 기반 영상통화 환경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특정 스마트기기(51)와 홈디바이스(1) 간에 영상통화가에서 연결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먼저 영상통화의 연결을 위한 첫 단계로서 홈디바이스(1)가 연결관리서버(3)에 영상통화 요청(100)을 전송한다.
이와 함께, 홈디바이스(1)는 시그널링 서버(2)에 접속하여 자신의 메타정보(예컨대,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제공한 후 통화 대기(102)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이 때, 홈디바이스(1)는 시그널링 서버(2)에 제공하는 메타정보에 자신의 스마트기기ID(또는 "홈디바이스ID". 같은 의미이다. 이하 같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마트기기ID는 영상통화의 연결을 허용할 것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홈디바이스(1)로부터 영상통화 요청(100)을 받은 경우, 연결관리서버(3)는 홈디바이스(1)와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에 영상통화 푸시를 발송하기 위하여, 푸시 서버(4)에 영상통화 푸시 요청을 전송한다(200).
푸시 서버(4)는 연결관리서버(3)의 영상통화 푸시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들)에 영상통화 푸시를 발송한다(300). 도 1에서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는 디바이스 그룹(5)으로 묶여서 관리되는 스마트기기(51,52,53)이므로, 푸시 서버(4)는 스마트기기1(51), 스마트기기2(52), 스마트기기3(53)에 각각 영상통화 푸시(301), 영상통화 푸시(302), 영상통화 푸시(303)를 발송한다.
도 1에서는 스마트기기1(51)이 영상통화 푸시 발송에 대응하여 시그널링 서버(2)에 영상통화 연결을 요청한다(400).
시그널링 서버(2)에는 이미 홈디바이스(1)가 자신의 메타정보를 제공하고 영상통화 대기 상태에 있으므로, 스마트기기1(51)은 시그널링 서버(2)로부터 제공받는 홈디바이스의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홈디바이스(1)와의 사이에서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500).
일단 홈디바이스(1)와의 사이에서 영상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그 뒤에는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1(51) 간에는 피어-투-피어(peer-to-peer)로 영상통화 데이터가 상호 교환된다.
또한, 홈디바이스(1)는 연결관리서버(3)로 하여금 영상통화의 연결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연결관리서버(3)에 폴링(polling)한다. "폴링"은 한 프로그램이나 장치에서 다른 프로그램이나 장치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체크하는 전송제어기법로서, 예컨대 상대방이 아직도 접속되어 있는 지와 데이터 전송을 원하는지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한편,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의 대수가 3대(51,52,53)인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는 단지 스마트기기가 복수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연결되는 복수의 스마트기기의 대수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어떠한 숫자라도 가능하다. 이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마찬가지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의 시스템의 각 행위 주체별로 영상통화 연결의 단계를 구분하여 나타냄으로써, 각각의 행위 주체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1에서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프로세스는 도 1에서 나타낸 프로세스와 동일한 프로세스임을 뜻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홈디바이스(1)는 연결관리서버(3)측에 영상통화 요청을 전송한다(100).
이와 함께, 홈디바이스(1)는 시그널링 서버(2)에 접속하여 자신의 메타정보(예컨대,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제공한 후 통화 대기(102)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연결관리서버(3)는, 홈디바이스(1)로부터 영상통화 요청(100)을 받음에 따라, 푸시 서버(4)에 영상통화 푸시 요청을 전송한다(200). 영상통화 푸시 요청은 홈디바이스(1)와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에 영상통화 푸시를 발송하기 위하여 이루어진다.
푸시 서버(4)는 연결관리서버(3)의 영상통화 푸시 요청에 대응하여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들)에 영상통화 푸시를 발송한다(300).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는 디바이스 그룹(5)으로 묶여서 관리되는 스마트기기(51,52,53)이므로, 푸시 서버(4)는 스마트기기1(51), 스마트기기2(52), 스마트기기3(53)에 각각 영상통화 푸시(301), 영상통화 푸시(302), 영상통화 푸시(303)를 발송한다.
스마트기기1(51)이 홈디바이스(1)와 영상통화 연결이 되는 경우, 스마트기기1(51)은 영상통화 푸시 발송에 대응하여 시그널링 서버(2)에 영상통화 연결을 요청한다(400). 시그널링 서버(2)에는 이미 홈디바이스(1)가 자신의 메타정보를 제공하고 영상통화 대기 상태에 있으므로, 스마트기기1(51)은 시그널링 서버(2)로부터 제공받는 홈디바이스의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홈디바이스(1)와의 사이에서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500).
일단 홈디바이스(1)와의 사이에서 영상통화 채널이 형성되면, 그 뒤에는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1(51) 간에는 피어-투-피어(peer-to-peer)로 영상통화 데이터가 상호 교환된다.
또한, 홈디바이스(1)는 연결관리서버(3)에 상태정보를 폴링(polling)한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연결된 영상통화 연결을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하는 절차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실시예는,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을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1(51) 간에 형성된 영상통화 연결을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2(52) 간으로 전환하는 절차를 보여준다.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홈디바이스(1)와 스마트기기1(51) 사이에는 영상통화 연결이 형성되어 있다(500).
연결의 전환을 위한 첫 단계로서, 스마트기기1(51)는 연결관리서버(3)로 사용자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110). 사용자 전환 요청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영상통화 연결로부터 해당 기기가 벗어나고, 해당 기기가 연결에서 벗어난 자리를 타 기기가 대신할 것을 요구하는 요청을 뜻한다.
이 때, 스마트기기1(51)는 시그널링 서버(2)에 제공하는 메타정보에 전환 후 대신할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ID(예컨대 스마트기기2(52)의 스마트기기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마트기기ID는 영상통화의 연결을 누구에게 허용할 것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연결관리서버(3)는 사용자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전환 푸시 요청(210)을 푸시 서버(4)로 전송한다.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는 디바이스 그룹(5)으로 묶여서 관리되는 스마트기기(51,52,53)이므로, 푸시 서버(4)는 스마트기기1(51), 스마트기기2(52), 스마트기기3(53)에 각각 사용자 전환 푸시(311), 사용자 전환 푸시(312), 사용자 전환 푸시(313)를 발송한다.
한편, 스마트기기1(51)은 현재 연결되어 있는 영상통화 연결이므로, 사용자 전환 푸시(313)를 받지 않도록 하는 편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관리서버(3)는 사용자 전환 푸시 요청(210)을 푸시 서버(4)로 전송할 때에 사용자 전환 요청을 전송한 스마트기기1(51)에 대해서는 사용자 전환 푸시(311)가 발송되지 않도록, 스마트기기2(52) 및 스마트기기3(53)에 관한 정보만을 사용자 전환 푸시 요청(210)에 포함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2(52)가 홈디바이스(1)과 영상통화 연결을 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기기2(52)는 사용자 전환 푸시(312)에 대응하여 연결관리서버(3)에 사용자전환 응답을 전송한다(410). 사용자전환 응답이 있어야만 연결관리서버(3)는 새로 영상통화 연결의 전환을 희망하는 기기가 나타났음을 인지하고, 기존의 연결을 해제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2(52)는 시그널링 서버(2)에 접속하여 자신의 메타정보(예컨대,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제공한 후 사용자전환 대기 상태에 진입한다(412).
연결관리서버(3)는 스마트기기2(52)로부터 사용자전환 응답을 받았으므로, 스마트기기1(51)에 연결해제 요청을 전송한다(510). 스마트기기1(51)은 타 스마트기기(즉, 스마트기기2(52))가 영상통화 연결을 넘겨받을 수 있도록 홈디바이스(1)와의 연결을 해제한다(512).
연결관리서버(3)는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1(51)와 영상통화 연결이 되는 상대방 기기인 홈디바이스(1)에도 현재연결해제요청을 전송한다(514).
이미 스마트기기1(51)의 연결해제 동작에 의하여 연결은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홈디바이스는 시그널링 서버(2)에 영상통화 연결 전환을 요청한다(516).
시그널링 서버(2)에는 이미 스마트기기2(52)가 자신의 메타정보를 제공하고 영상통화 대기 상태에 있으므로, 홈디바이스(1)는 시그널링 서버(2)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기기2(52)의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새로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610). 이와 같은 순서로 홈디바이스(1)는 스마트기기1(51)과 형성되어 있던 영상통화 채널을 스마트기기2(52)와의 영상통화로 전환하는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예에서 홈디바이스와 특정 스마트기기 간 영상통화 연결을 타 스마트기기로 전환하는 방법의 일례에 따른 절차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의 시스템의 각 행위 주체별로 영상통화 연결의 단계를 구분하여 나타냄으로써, 각각의 행위 주체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도 3에서와 동일한 식별번호를 갖는 프로세스는 도 3에서 나타낸 프로세스와 동일한 프로세스임을 뜻한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51)는 현재 연결되어 있는 영상통화 연결(500)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경우, 연결관리서버(3)로 사용자 전환 요청을 전송한다(110).
이 때, 스마트기기1(51)는 시그널링 서버(2)에 제공하는 메타정보에 전환 후 대신할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ID(예컨대 스마트기기2(52)의 스마트기기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마트기기ID는 영상통화의 연결을 누구에게 허용할 것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연결관리서버(3)는 사용자 전환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전환 푸시 요청(210)을 푸시 서버(4)로 전송한다.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대상 기기는 디바이스 그룹(5)으로 묶여서 관리되는 스마트기기(51,52,53)이므로, 푸시 서버(4)는 스마트기기1(51), 스마트기기2(52), 스마트기기3(53)에 각각 사용자 전환 푸시(311), 사용자 전환 푸시(312), 사용자 전환 푸시(313)를 발송한다.
스마트기기2(52)가 홈디바이스(1)과 영상통화 연결을 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기기2(52)는 사용자 전환 푸시(312)에 대응하여 연결관리서버(3)에 사용자전환 응답을 전송한다(410). 사용자전환 응답이 있어야만 연결관리서버(3)는 새로 영상통화 연결의 전환을 희망하는 기기가 나타났음을 인지하고, 기존의 연결을 해제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2(52)는 시그널링 서버(2)에 접속하여 자신의 메타정보(예컨대, IP 주소 및 포트 번호)를 제공한 후 사용자전환 대기 상태에 진입한다(412).
연결관리서버(3)는 스마트기기2(52)로부터 사용자전환 응답을 받았으므로, 스마트기기1(51)에 연결해제 요청을 전송한다(510). 스마트기기1(51)은 타 스마트기기(즉, 스마트기기2(52))가 영상통화 연결을 넘겨받을 수 있도록 홈디바이스(1)와의 연결을 해제한다(512).
연결관리서버(3)는 이와 함께, 스마트기기1(51)와 영상통화 연결이 되는 상대방 기기인 홈디바이스(1)에도 현재연결해제요청을 전송한다(514).
이미 스마트기기1(51)의 연결해제 동작에 의하여 연결은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홈디바이스는 시그널링 서버(2)에 영상통화 연결 전환을 요청한다(516).
시그널링 서버(2)에는 이미 스마트기기2(52)가 자신의 메타정보를 제공하고 영상통화 대기 상태에 있으므로, 홈디바이스(1)는 시그널링 서버(2)로부터 제공받는 스마트기기2(52)의 메타정보에 기초하여 새로 영상통화 채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610). 이와 같은 순서로 홈디바이스(1)는 스마트기기1(51)과 형성되어 있던 영상통화 채널을 스마트기기2(52)와의 영상통화로 전환하는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도 5는 연결관리서버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례에 따른 연결관리서버(3)는 연결관리 요청 수신부(30), 연결관리 요청 송신부(32) 및 그룹 관리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관리서버(3)는 시그널링 서버, 푸시 서버, 적어도 하나의 홈디바이스 및 다수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된다.
연결관리 요청 수신부(30)는, 홈디바이스로부터 영상통화 연결 요청을 받거나, 스마트기기로부터 영상통화 연결 요청을 받거나, 홈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전환 요청을 받거나, 또는 스마트기기로부터 타 스마트기기로의 사용자 전환 요청을 받는다.
연결관리 요청 송신부(32)는, 홈디바이스와 스마트기기 간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어야 하는 경우, 홈디바이스 및 홈디바이스와 연결된 스마트기기에 연결상태 해제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홈디바이스나 스마트기기로부터 영상통화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푸시 서버에 영상통화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푸시 서버에 사용자 전환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한다.
그룹 관리부(34)는 푸시 서버가 발송하는 푸시 알림의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ID를 그룹으로 관리한다. 스마트기기ID를 그룹으로 관리함으로써, 디바이스 그룹의 단위로 다수의 스마트기기를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바이스 그룹은 다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스마트기기가 복수의 디바이스 그룹에 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시그널링 서버, 푸시 서버, 적어도 하나의 홈디바이스 및 다수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되는 연결관리서버로서,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영상통화 연결 요청 및 사용자 전환 요청 중 어느 하나의 요청을 수신하는 연결관리 요청 수신부;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에 연결상태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영상통화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푸시 서버에 영상통화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푸시 서버에 사용자 전환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는 연결관리 요청 송신부; 및
    상기 푸시 서버가 발송하는 푸시 알림의 대상이 되는 스마트기기ID를 그룹으로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를 포함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새로 영상통화 연결이 형성되는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ID를 더 수신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ID를 수신한 경우,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ID를 수신한 경우,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5. 시그널링 서버, 푸시 서버, 적어도 하나의 홈디바이스 및 다수의 스마트기기와 연결되는 연결관리서버의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영상통화 연결이 서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홈디바이스 및 제1 스마트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사용자 전환 요청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푸시 서버에 사용자 전환 푸시 알림 발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제2 스마트기기로부터 사용자 전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전환 응답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홈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스마트기기에 연결해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전환 요청을 발송한 기기로부터 상기 제2 스마트기기의 스마트기기ID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리서버가, 상기 푸시 서버로 하여금 상기 스마트기기ID를 갖는 스마트기기에 대하여 푸시 알림을 발송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방법.
KR1020160009482A 2016-01-26 2016-01-26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KR10197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82A KR101975507B1 (ko) 2016-01-26 2016-01-26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US15/415,394 US10298879B2 (en) 2016-01-26 2017-01-25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a push-based video call between devices in a gro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482A KR101975507B1 (ko) 2016-01-26 2016-01-26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272A true KR20170089272A (ko) 2017-08-03
KR101975507B1 KR101975507B1 (ko) 2019-05-07

Family

ID=59359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482A KR101975507B1 (ko) 2016-01-26 2016-01-26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98879B2 (ko)
KR (1) KR101975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1024B (zh) * 2020-12-14 2021-08-31 中标慧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智能监控视频的管理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608B1 (ko) 1994-07-29 1998-04-17 배순훈 광디스크플레이어
KR20080053001A (ko) * 2006-12-08 2008-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에서 통화 서비스의 연속성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20017555A (ko) 2010-08-19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KR101380608B1 (ko) * 2013-07-26 2014-04-10 (주) 코콤 스마트기기 기반 가정 주변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0272B2 (en) * 2008-05-14 2012-12-25 Polycom, Inc.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conference based on the proximity of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NO332222B1 (no) * 2010-07-26 2012-07-30 Cisco Tech Inc Fremgangsmate og samhandlingsserver for a overfore en samhandlingssesjon, samt et multimedieendepunkt
WO2013133836A1 (en) * 2012-03-08 2013-09-12 Intel Corporation Transfer of communication from one device to another
US8830295B2 (en) * 2012-05-23 2014-09-09 Google Inc. Multimedia conference endpoint transf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608B1 (ko) 1994-07-29 1998-04-17 배순훈 광디스크플레이어
KR20080053001A (ko) * 2006-12-08 2008-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에서 통화 서비스의 연속성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20017555A (ko) 2010-08-19 2012-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KR101380608B1 (ko) * 2013-07-26 2014-04-10 (주) 코콤 스마트기기 기반 가정 주변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명칭: 스마트기기 기반 가정 주변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명칭: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507B1 (ko) 2019-05-07
US20170214886A1 (en) 2017-07-27
US10298879B2 (en)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2632B2 (en) Method for receiving data, method for sending data, mobile terminal, and server
JP4649977B2 (ja) プレゼンス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プレゼンスサーバ
KR100561633B1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지능형 홈 방문자 확인 및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US8364153B2 (en) Mobile interoperability workstation controller having video capabilities within an incident communications network
KR101571925B1 (ko) 다자간 통화 단말 및 상기 단말에서의 다자간 통화에서 일대일 통화로의 전환 방법
JP7257526B2 (ja) I/oデバイスのセットを使用した通信サービスの提供
CN104349118A (zh) 实现视频会议系统调度视频监控系统的网关及其处理方法
US118890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e-touch split-mode conference access
CN103188250A (zh) 基于sip协议的终端设备状态通知及控制方法
EP2178247B1 (en) Sharing status information across a pluar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KR101975507B1 (ko) 푸시 기반의 영상통화에서의 그룹 내 사용자 전환을 수행하는 연결관리서버 및 연결관리방법
US20200186636A1 (en) Enabling call transfer using headset
TWI674806B (zh) 訊息推送系統、客戶設備及其訊息推送方法
JP6186066B1 (ja) イベントの発生を通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70078426A (ko) 스마트폰 착신 전환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054661A1 (en) Procedure for managing data synchronization under multiple devices environment
KR20070061271A (ko) 홈네트워크에서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영상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RU2797530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dect
KR102538167B1 (ko) 데스크탑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간의 통화 호를 전환하는 교환 시스템 및 방법
RU2014111332A (ru) Телефонная станция частного 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ой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ми
JP2018026811A (ja) イベントの発生を通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1345258A (zh) 視訊通話系統及其視訊通話切換方法
KR101039555B1 (ko) 프레즌스 서비스 제공 단말기, 이를 포함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US20150319112A1 (en) Subscription management
KR10049310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터넷기반 음성서비스 제공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