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657A -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657A
KR20170088657A KR1020160008815A KR20160008815A KR20170088657A KR 20170088657 A KR20170088657 A KR 20170088657A KR 1020160008815 A KR1020160008815 A KR 1020160008815A KR 20160008815 A KR20160008815 A KR 20160008815A KR 20170088657 A KR20170088657 A KR 20170088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mode
traffic
always
repea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희
차대현
편성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0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8657A/ko
Publication of KR2017008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2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 H04L41/083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purposes of a change of settings, e.g. optimising configuration for enhancing reliability for reduction of network energy consumption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Y02B60/34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는, 빌딩 내의 특정 구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중계기별 트래픽 존부를 판단하는 트래픽 존부 판단부; 및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always-on mode)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sleep mode)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여, 빌딩 내 무선 통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면서도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한다.

Description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building repeater}
본 발명은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빌딩 내에서 사용되는 중계기들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빌딩 중계기(in-building repeater)는 빌딩 내의 전파 음영 지역에 있는 무선 통신 서비스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 빌딩 내에 설치되는 통신 중계 장비를 말한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 무선 통신 단말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전파 음영 지역을 발생시키는 빌딩 내에서도 일정 수준의 통신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 많은 수의 인빌딩 중계기들이 빌딩 내부에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빌딩 내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면서도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청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2057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인빌딩 중계기의 운용 상태를 원격에서 감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을 뿐, 빌딩 내에 설치된 다수의 중계기를 에너지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795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존 기술들은 중계기 오작동 발생 시 원격 운영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중계기의 전원을 제어하여 해당 중계기를 단순히 리부팅하기 때문에,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없으며, 특히 빌딩 내의 현재 트래픽 상태 등을 적절히 반영할 수 없어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할 수도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빌딩 내 무선 통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면서도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는, 빌딩 내의 특정 구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중계기별 트래픽 존부를 판단하는 트래픽 존부 판단부; 및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always-on mode)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sleep mode)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구역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소정 센서로부터 출입자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잔류하는 잔류자의 존부를 판단하는 잔류자 존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와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액티브 모드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는,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서 트래픽 부존재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해당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특정 구역의 출입자가 출입 시 거치게 되는 위치를 커버하는 중계기를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와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슬립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가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IoT(Internet of Things)를 구성하는 소정 IoT 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IoT 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특정 구역의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구역의 외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기에 각각 분배하는 RHU(Remote Hub Unit)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은, 인빌딩 중계기(in-building repeater)와 연동하는 소정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인빌딩 중계기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장치가, 빌딩 내의 특정 구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중계기별 트래픽 존부를 판단하는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always-on mode)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sleep mode)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소정 센서로부터 출입자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잔류하는 잔류자의 존부를 판단하는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와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액티브 모드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는,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서 트래픽 부존재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해당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특정 구역의 출입자가 출입 시 거치게 되는 위치를 커버하는 중계기를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와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슬립 모드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가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IoT(Internet of Things)를 구성하는 소정 IoT 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IoT 기기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실시예들은, 상술한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 내 특정 구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들을 일 군으로 클러스터링하고, 상기 클러스터링된 중계기들의 트래픽 상태와 함께 해당 구역의 잔류자 존부를 고려하여 상기 클러스터링된 중계기들의 동작을 활성화 또는 휴면화 함으로써, 빌딩 내 무선 통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면서도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링된 중계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상시 동작 모드인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하여 해당 구역의 출입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상시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구역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오류를 보완하고 해당 구역 잔류자 존부 판단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인빌딩 중계기들의 휴면화에 따라 빌딩 내에 설치된 IoT 기기들을 절전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빌딩 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여러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빌딩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빌딩 시스템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빌딩(2)의 내부는 각각의 층마다 단위 구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빌딩의 내부는 빌딩의 크기, 구조 등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어 각 층의 일정 공간마다 별도의 단위 구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예컨대, 빌딩 내 단위 구역인 제K 구역(4, 6)에서는 해당 구역에 출입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해당 구역에 배치된 다수의 무선 통신 단말(8)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K 구역(4, 6)에는 해당 구역의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인빌딩 중계기(in-building repeater)(10)가 설치된다.
인빌딩 중계기(10)는, 빌딩 내의 무선 통신 단말(8)로부터 전송된 상향 트래픽 무선 신호를 외부망으로 중계하고 외부망으로부터 전송된 하향 트래픽 신호를 무선 통신 단말(8)로 중계한다. 이러한 인빌딩 중계기(10)는 다중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여 다수의 통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트랜시버(transceiver)와 WiFi AP(access point) 등을 모듈화하여 일체로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빌딩 중계기(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은 RHU(Remote Hub Unit)(20)로 전달된다.
RHU(20)는, 중계기(10)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인 DU(Digital Unit)(30) 사이에서, 복수의 인빌딩 중계기(1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을 취합하여 DU(30)로 전달하고, DU(3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들을 각각의 인빌딩 중계기(10)로 분배한다.
상술한 인빌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트래픽은 DU(30)에서 처리된 후, 로컬 게이트웨이(local gateway)(40), 이동통신 코어망을 이루는 EPC(Evolved Packet Core)(50), 및 인터넷 망(60)을 거쳐 기업의 인빌딩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기업망 관리 서버(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코어망의 트래픽 과부하 등을 방지하고 보안성을 제공하는 로컬 브레이크아웃(local break out) 기술이 적용되는 경우, 인빌딩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은 DU(30)에서 처리된 후, 로컬 게이트웨이(40)에서 EPC(50)를 거치지 않고 바로 기업망 관리 서버(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빌딩 시스템의 구축 시, 빌딩 내에서 발생하는 최대 트래픽 부하를 고려하여 평상시 트래픽 부하에 요구되는 수보다 많은 수의 인빌딩 중계기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인빌딩 중계기들은 항상 활성화 상태로 동작한다. 그 결과, 이러한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에너지는 상당한 양에 이르게 된다. 즉, 업무 외 시간이나 심야 시간과 같이 트래픽 부하가 적은 시간대, 또는 잔류하고 있는 사용자가 없어 트래픽 부하가 없는 빌딩 내 구역에서도 인빌딩 중계기들이 항상 활성화 상태로 동작하게 되어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이러한 인빌딩 시스템에 적용되어 인빌딩 중계기들과 연동하며, 인빌딩 중계기들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빌딩 내 무선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면서도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해당 구역의 외부로 전송하고 해당 구역의 외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에 각각 분배하는 RHU(20)와 연동하거나, 이러한 RHU(2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빌딩 내에 설치되는 출입자 감지 센서부(80)와 연동할 수 있다. 출입자 감지 센서부(80)는, 해당 구역(4, 6)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한다. 이러한 출입자 감지 센서부(80)는, 출입구 측 영역(4)에 설치되어 출입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성되거나, 출입자의 ID 카드를 인식하는 바코드 인식 센서나 RFID 태그 인식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빌딩 내에 설치되어 IoT(Internet of Things)를 구성하는 여러 IoT 기기(90)와 통신하여 IoT 기기(90)의 동작이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IoT 기기(90)에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기능을 가지는 빌딩의 조명 기기, 난방 기기, 컴퓨터나 프린터 등 각종 사무용 전자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가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인빌딩 중계기들과 연동하여 해당 인빌딩 중계기들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 및 동작 모드 설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실시예에 따라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 타이머부(140), IoT 기기 제어부(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빌딩 내의 특정 구역(4, 6)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중계기별 트래픽 존부를 판단한다.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R1)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always-on mode)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 중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R1)를 제외한 중계기(R2 내지 Ri)를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sleep mode)로 설정한다.
한편,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는, 상기 특정 구역(4, 6)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소정 센서(80)로부터 출입자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구역(4, 6) 내에 잔류하는 잔류자의 존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 중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R1)를 제외한 중계기(R2 내지 Ri)를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에 의한 판단 결과 및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액티브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의 세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50)과 그 기능 및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빌딩 내의 특정 구역(4, 6)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R1)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한다(S300).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R1)는 트래픽 존부나 잔류자 존부와 무관하게 상시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해당 구역(4, 6)의 출입자가 출입 시 반드시 거치게 되는 위치를 커버하는 중계기(R1)를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해당 구역(4, 6)의 출입구 측 위치(4)나 해당 구역(4, 6)에 진입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엘리베이터(미도시) 내외부 위치 등을 커버하는 중계기를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트래픽 존부나 잔류자 존부와 무관하게 상시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올웨이즈온 모드 중계기(R1)의 트래픽을 상시 모니터링하여, 해당 구역(4, 6)에 진입하는 휴대 단말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올웨이즈온 모드의 중계기(R1)를 제외한 나머지 중계기들(R2 내지 Ri)을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302).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들(R2 내지 Ri)은 트래픽 존재 여부나, 해당 구역(4, 6)에 잔류하는 잔류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언제든지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로 재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중계기별 트래픽을 감시하고(S304), 중계기별 트래픽 존부를 판단한다(S306 내지 S314). 이 경우,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해당 중계기가 지원하는 여러 통신 채널들 중 일부 통신 채널들을 기준으로 트래픽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중계기가 지원하는 통신 채널들 중 빌딩의 지속적인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IoT 통신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채널들을 기준으로 트래픽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트래픽 존부 판단 대상이 올웨이즈온 모드의 중계기(R1)인 경우(S306), 해당 중계기(R1)의 모드 설정은 트래픽 존부와 무관하게 유지된다(S308). 반면, 트래픽 존부 판단 대상이 액티브 모드의 중계기들(R2 내지 Ri)인 경우(S306), 트래픽 존부에 따라 해당 중계기의 모드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액티브 모드 중계기에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S310), 해당 중계기의 모드 설정은 유지된다(S308). 반면, 액티브 모드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경우(S310), 해당 중계기의 모드 설정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해당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서 트래픽 부존재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에만 해당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타이머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액티브 모드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경우, 상기 타이머부(140)는 해당 중계기의 트래픽 부존재 지속 시간을 측정한다(S312). 그리고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트래픽 부존재 지속 시간이 모드 재설정을 위한 소정 대기시간을 경과하는 경우(S314), 해당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에 의해 액티브 모드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중계기의 모드를 슬립 모드로 변경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S318).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에 의한 판단 결과를 더 고려하여 해당 중계기의 모드를 재설정할 수 있다. 즉,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에 의해 해당 구역(4, 6) 내에 잔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16),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의 트래픽 부존재 판단에 불구하고 액티브 모드 중계기의 모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S318). 이는, 해당 구역(4, 6) 내의 잔류자에 의해 언제든지 트래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에 의해 올웨이즈온 모드 중계기와 액티브 모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S304 내지 S314),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에 의해 해당 구역(4, 6)에 잔류자가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16), 해당 액티브 모드 중계기를 슬립 모드로 변경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S318). 이는, 해당 구역(4, 6) 내에 잔류하는 자가 없음에도 액티브 모드 중계기의 모드 설정을 유지하게 되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한편,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의 IoT 기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 중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R1)를 제외한 중계기(R2 내지 Ri)가 슬립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해당 구역(4, 6)에 설치되어 IoT(Internet of Things)를 구성하는 IoT 기기(90)와 통신하여 해당 IoT 기기(90)를 절전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IoT 기기(90)에는 빌딩의 조명 기기, 난방 기기, 컴퓨터나 프린터 등 각종 사무용 전자기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를 소비하는 다양한 IoT 기기들이 인빌딩 중계기들과 함께 제어됨으로써, 빌딩 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더욱 절감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이 흐름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2에 도시된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의 세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50)과 그 기능 및 동작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의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빌딩 내의 특정 구역(4, 6)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R1 내지 Ri)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R1)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한다(S400). 또한,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도 3의 경우와 달리 올웨이즈온 모드의 중계기(R1)를 제외한 나머지 중계기들(R2 내지 Ri)을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S402). 슬립 모드의 중계기는, 해당 중계기가 지원하는 여러 통신 채널들 중 일부 통신 채널을 제외한 대부분의 통신 채널들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립 모드의 중계기는, 해당 중계기에 포함되어 특정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트랜시버들과 WiFi AP 중에서, 빌딩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IoT 통신 채널 제공용 트랜시버만 제외하고 나머지 트랜시버들과 WiFi AP가 OFF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립 모드의 중계기들(R2 내지 Ri)은, 트래픽 존재 여부나 해당 구역(4, 6) 내의 잔류자 존재 여부에 따라 언제든지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로 재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올웨이즈온 모드 중계기(R1)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트래픽을 감시하고(S404), 올웨이즈온 모드 중계기(R1)의 트래픽 존부를 판단한다(S406). 이 경우,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는, 빌딩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한 IoT 통신 채널 이외의 통신 채널들을 기준으로 트래픽 존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에 의해 올웨이즈온 모드 중계기(R1)의 소정 통신 채널, 즉 IoT 통신 채널 이외의 통신 채널들에 트래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406), 또는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에 의해 해당 구역(4, 6)에 잔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408), 슬립 모드의 중계기들(R2 내지 Ri)을 일괄적으로 액티브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S412). 반면, 동작 모드 설정부(130)는, 트래픽 존부 판단부(110)에 의해 올웨이즈온 모드 중계기(R1)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S406), 잔류자 존부 판단부(120)에 의해 해당 구역(4, 6)에 잔류자가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408), 슬립 모드 중계기들(R2 내지 Ri)의 모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S410).
한편, 슬립 모드의 중계기들(R2 내지 Ri)이 모두 액티브 모드로 재설정되면,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100)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 액티브 모드의 중계기들을 다시 슬립 모드로 재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가 읽어들일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내지 코드 세그먼트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거나 반송파와 결합하여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신호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컴퓨터 시스템이 읽어들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모든 종류의 매체가 포함된다. 예컨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를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프로그램 코드들이 분산 방식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빌딩 내 특정 구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들을 일 군으로 클러스터링하고, 상기 클러스터링된 중계기들의 트래픽 상태와 함께 해당 구역의 잔류자 존부를 고려하여 상기 클러스터링된 중계기들의 동작을 활성화 또는 휴면화 함으로써, 빌딩 내 무선 통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면서도 인빌딩 중계기들에 의해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링된 중계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상시 동작 모드인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하여 해당 구역의 출입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상시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구역의 출입자를 감지하는 센서의 센싱 오류를 보완하고 해당 구역 잔류자 존부 판단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인빌딩 중계기들의 휴면화에 따라 빌딩 내에 설치된 IoT 기기들을 절전 모드로 제어함으로써, 빌딩 내에서 소비되는 에너지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110 : 트래픽 존부 판단부
120 : 잔류자 존부 판단부
130 : 동작 모드 설정부
140 : 타이머부
150 : IoT 기기 제어부

Claims (16)

  1. 빌딩 내의 특정 구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중계기별 트래픽 존부를 판단하는 트래픽 존부 판단부; 및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always-on mode)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sleep mode)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부를 포함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특정 구역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소정 센서로부터 출입자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잔류하는 잔류자의 존부를 판단하는 잔류자 존부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와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부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액티브 모드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는,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서 트래픽 부존재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해당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특정 구역의 출입자가 출입 시 거치게 되는 위치를 커버하는 중계기를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와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슬립 모드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부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부에 의해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가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IoT(Internet of Things)를 구성하는 소정 IoT 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IoT 기기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특정 구역의 외부로 전송하고 상기 특정 구역의 외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중계기에 각각 분배하는 RHU(Remote Hub Unit)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9. 인빌딩 중계기(in-building repeater)와 연동하는 소정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인빌딩 중계기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리 장치가, 빌딩 내의 특정 구역을 커버하는 복수의 중계기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중계기별 트래픽 존부를 판단하는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상시 동작 상태인 올웨이즈온 모드(always-on mode)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임시 동작 상태인 액티브 모드(active mode) 또는 임시 유휴 상태인 슬립 모드(sleep mode)로 설정하는 동작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에 출입하는 출입자를 감지하는 소정 센서로부터 출입자 감지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특정 구역 내에 잔류하는 잔류자의 존부를 판단하는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를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와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액티브 모드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는,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서 트래픽 부존재 상태가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해당 중계기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특정 구역의 출입자가 출입 시 거치게 되는 위치를 커버하는 중계기를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와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부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액티브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슬립 모드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트래픽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의 소정 통신 채널에 트래픽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상기 잔류자 존부 판단 단계에서 상기 특정 구역에 잔류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상기 액티브 모드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올웨이즈온 모드로 설정된 중계기를 제외한 중계기가 상기 슬립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특정 구역에 설치되어 IoT(Internet of Things)를 구성하는 소정 IoT 기기와 통신하여 상기 IoT 기기를 절전 모드로 제어하는 IoT 기기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빌딩 중계기 관리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08815A 2016-01-25 2016-01-25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88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15A KR20170088657A (ko) 2016-01-25 2016-01-25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815A KR20170088657A (ko) 2016-01-25 2016-01-25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57A true KR20170088657A (ko) 2017-08-02

Family

ID=59651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815A KR20170088657A (ko) 2016-01-25 2016-01-25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86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481B1 (ko) * 2018-07-10 2019-12-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무선중계기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CN111095990A (zh) * 2017-09-08 2020-05-01 交互数字Ce专利控股公司 选择性改变无线接入点的激活状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5990A (zh) * 2017-09-08 2020-05-01 交互数字Ce专利控股公司 选择性改变无线接入点的激活状态
CN111095990B (zh) * 2017-09-08 2024-01-12 交互数字Ce专利控股公司 选择性改变无线接入点的激活状态
KR102052481B1 (ko) * 2018-07-10 2019-12-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무선중계기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324B2 (en) Power management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157060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the network devices
JP5321588B2 (ja) 基地局装置、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1642998B1 (ko) 이동국에서의 배터리 수명 보존 장치 및 그에 따른 시스템
EP1057318B1 (en) Multi t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22405B2 (en) Wireless LAN with carrier sense threshold adaption
CN102860114A (zh) 网络控制
JP2009517901A (ja) 低電力伝送モードを有する方法、基地局、及びモバイル端末
US1068532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ly monitoring inventory
EP2453706B1 (en) A small cell base station for wireless telecommuncations, and a method of switching between states
US7848270B2 (en) Minimizing energy usage in a wireless portable unit based on motion of the device
JP2004282756A (ja) 無線lanシステムでの無線接続ノードの電力制御方法
KR20170088657A (ko) 인빌딩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0278763A (ja) 基地局装置
JP2010093524A (ja) 無線基地局および無線端末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700196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mobile 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6376012A (zh) 无线接入点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US6744752B1 (en) Radio local area network
KR101125433B1 (ko) 무선 랜 중계 장치 및 방법
CN102986264A (zh) 用于无线区域网的有效自共存的方法和系统
JP2009094718A (ja) 無線システム
JP2009206549A (ja) 複数の無線通信エリアを構成する基地局およびその無線部
EP1304895B1 (en) Transceivers and method for use in radio communications
KR101345502B1 (ko) 팬 통신을 이용한 펨토셀 서비스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8271374A (ja) 無線認証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ン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