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645A - 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 Google Patents

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645A
KR20170088645A KR1020160008787A KR20160008787A KR20170088645A KR 20170088645 A KR20170088645 A KR 20170088645A KR 1020160008787 A KR1020160008787 A KR 1020160008787A KR 20160008787 A KR20160008787 A KR 20160008787A KR 20170088645 A KR20170088645 A KR 2017008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derground
reservoir
rainwa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씨엠피
김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씨엠피, 김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씨엠피
Priority to KR1020160008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8645A/en
Publication of KR2017008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6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resource management device using an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comprises: a first underground storage tank formed in an underground rock of an island and storing water; and a bedrock water coll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and collecting the bedrock water to be introduced to the first underground storage tank.

Description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본 발명은 섬지역의 지하 공간에 존재하는 암반층을 이용하여 수자원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aging water resources using a rock layer existing in an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area.

최근 물기근현상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물사용에 대한 어려움을 전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실정으로, 물은 인간이 생활을 유지함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자원으로써 현재 전 세계의 물 부족현상 및 오염으로 인하여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한 수자원의 확보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Recently, water has been experiencing global difficulties due to water famine phenomenon and global warming, and water is a necessary resource to maintain human life, and it can be practically used due to water shortage and pollution all over the world at present. Securing water resources is a very difficult situation.

특히, 우리나라는 연 강수량의 70%가 여름철에 집중되고 계절별. 지역별 편중 및 대부분 하천의 높은 하상계수에 의해 유량이 일시에 바다로 소실되기 때문에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어려운 실정으로 가뭄이 장기화될 경우 극심한 물부족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In particular, in Korea, 70% of the annual precipitation is concentrated in summer and seasonally. Since the flow is temporarily lost to the sea due to regional bias and high river water coefficient of most rivers, it is difficult to use water resources effectively. Therefore, if drought is prolonged, severe water shortage may occur.

최근에는 물 부족 현상에 대비하여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대체수자원의 확보 및 활용방안이 요구되며,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하수 고도처리수, 빗물, 지하수, 강변여과수, 생태하천 및 호수용수 등과 같은 대체수자원을 효과적으로 정화하여 재이용하는 방법들이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t is necessary to manage water efficiently and to secure and utilize alternative water resources in preparation for water shortage. As an alternative, alternative water resources such as sewage treated water, rainwater, groundwater, riverbed water, ecological river and lake water Methods of purifying and reusing them are being examined in various ways.

이 중에서도, 특히 섬지역은 육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물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는, 우리나라 섬 지역은 대부분 급경사의 산으로 구성되어 있어, 물을 다량으로 저장할 댐 건설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물을 저장할 수단이 없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supply is not smooth in the islands,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land. This is because most of the islands in Korea are made up of steep mountai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build a dam to store large amounts of water, and there is no way to store water.

이에, 섬지역의 특수한 지형을 이용하여 물을 저장하고 공급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technology to store and supply water using the special topography of the island area.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암반층에 동굴형태로 제 1 지하 저수조 및 제 2 지하 저수조를 형성함으로써,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증발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forming a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and a second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in a cave- And to provide a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at utilizes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where water quality can be kept constant.

또한, 암반층 동굴에 정화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정화 장치의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화 장치의 온도에 따른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which can minimize the malfunction caused by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by keep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purification apparatus constant by forming the purification apparatus in the rock-

또한, 확보할 수 있는 물의 용량 및 필요한 공급 용량에 따라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섬지역의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device that utilizes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ecured and the required supply capacity,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Device.

또한, 빗물을 침전조를 이용하여 정화하여 제 1 지하 저수조에 저장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확보할 수 있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that utilizes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where water can be secured in various ways by storing rainwater in a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by using a settling tank.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섬 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되고, 물을 저장하는 제 1 지하 저수조 및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와 연결되며, 암반수를 집수하여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입시키는 암반수 집수장치를 포함한다.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basement rock in an island area and is connected to a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for storing water and a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for collecting water And a small-volume water collecting device for introducing the small-sized water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상기 제 1 저수조와 연결되면, 상기 섬 지역의 지상에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입시키는 저수지;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further includes a reservoir formed on the ground of the island area when connected to the first reservoir to store water and to introduce the stored water into the first underground reservoir .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빗물이 흐르는 빗물 도랑과 연결되어, 상기 빗물 도랑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침전 처리하는 침전조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further includes a sedimentation tank connected to the rainwater ditch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s, so as to precipitat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rainwater ditch.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상기 빗물 도랑과 외부 공간 사이에 연결되고, 초기 빗물을 상기 외부 공간으로 방류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빗물 도랑과 상기 침전조 사이에 연결되고, 초기 이후에 유입되는 빗물을 침전조로 유입시키는 제 2 밸브를 더 포함한다.A water management system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region includes a first valve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ditch and an external space and discharging initial rainwater to the external space; And a second valve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ditch and the settling tank, for introducing the rainwater introduced thereafter to the settling tank.

침전조는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 및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빗물을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출시키는 빗물 배출구;를 포함한다.The sedimentation tank includes a sludge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lower part and discharging the sludge settled in the lower part to the outer space, and a rainwater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and discharging the upper part rainwater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빗물 도랑은 상기 침전조와 연결된 일측이 타측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어, 빗물이 침전조쪽으로 흘러내린다.One side connected to the settling tank is disposed at a lower level than the other side, and the rainwater flows down toward the settling tank.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여 유출시키는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further includes a purifier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and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flowing from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정화 장치와 연결되며,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제 2 지하 저수조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 connected to the purification apparatus and storing the purified water.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및 섬지역에 필요한 공급 용량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based on the capacity of the water currently stored in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and the supply capacity necessary for the island area .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부; 및 상기 지문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등록 지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등록 지문 위에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 fingerprint sensor unit for recognizing the fingerprint of the user, And displaying the registered fingerprint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fingerprint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matches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water resources on the display unit.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수자원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등록 지문 및 잠금 해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부 및 상기 지문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등록 지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등록 지문 위에 상기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상기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on water resources, a registered fingerprint and unlocking information of the us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 fingerprint sensor unit And displaying the registered fingerprint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fingerprint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matches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previous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water source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matching unit is input by the user.

잠금 해제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겹치게 형성된 패턴 정보이고,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 정보가 이루는 각도 및 겹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상기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되면 상기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The unlocking information is pattern information formed so as to overlap with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based on the angle and the overlapping position information between the ridges included in the displayed registration fingerprint and the patter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ted information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water source on the display unit if the information matches.

잠금 해제 정보는 상기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M개의 지점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개의 지점 정보 또는 상기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M개의 지점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개의 지점 정보에 대한 선택 순서 정보이고,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등록 지문 중 상기 설정된 N개의 지점이 선택되거나, 상기 설정된 N 개의 지점이 설정된 선택 순서대로 선택되면, 상기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The unlocking information may include N point information set by the user among information on M points wher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input pattern information or ridge lin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and input pattern information overlap If the set N points are selected from among the displayed registered fingerprints or the set N points are selected in the set order of selection , And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water resources on the display unit.

제어부는 지문 센서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지문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고, 상기 지문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정보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인 거짓 잠금 해제 패턴 정보 및, 진짜 잠금 해제 패턴 정보를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되, 상기 진짜 감금 해제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하는 색깔로 표시하고, 상기 거짓 잠금 해제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하는 색깔과 다른 색깔로 표시한다.If the user fingerprint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is matched with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inputt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does not match the unlock pattern information, The real unlocking patter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t the same time, the real unlocking patter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preferred color set by the user, The false unlock pattern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set by the user.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암반층에 동굴형태로 제 1 지하 저수조 및 제 2 지하 저수조를 형성함으로써,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증발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invention, by forming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and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 in a cavernous form in the rock layer, the temperature of the stored water can be kept constant, and evaporation and contamination of the stored water can be prevented, .

또한, 암반층 동굴에 정화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정화 장치의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화 장치의 온도에 따른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purifier in the cave of the rock layer, it is possible to keep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purifier constant and to minimize the malfun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r.

또한, 확보할 수 있는 물의 용량 및 필요한 공급 용량에 따라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섬지역의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supply to the island area can be smooth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device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ecured and the required supply capacity.

또한, 빗물을 침전조를 이용하여 정화하여 제 1 지하 저수조에 저장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can be purified using a sedimentation tank and stored in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thereby securing water in a more various way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 7 illustrates a process of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4. Referring to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물부족을 겪고 있는 섬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region can be installed in an island region experiencing water shortage shown in FIG.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100)는 제 1 지하 저수조(110), 암반수 집수장치(120), 저수지물 집수장치(130), 정화 장치(140), 제 2 지하 저수조(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100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includes a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a rock water collecting apparatus 120, a reservoir water collecting apparatus 130, a purifier 140, a second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50 And a control unit 160. [0033]

제 1 지하 저수조(110)는 섬 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하 저수조(110)는 섬 지역의 지하에 존재하는 암반층에 동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하 저수조(110)는 암반수 집수장치(120)로부터 유입되는 암반수 또는 저수지물 집수장치(130)로부터 유입되는 저수지물을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may be formed in an underground rock in an island area. For example,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may be formed in a cavernous form in a rock layer existing under the island area.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can store the mineral water flowing from the mineral water collecting apparatus 120 or the reservoir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collecting apparatus 130.

암반수 집수장치(120)는 제 1 지하 저수조(110)와 연결되며, 암반수를 집수하여 제 1 지하 저수조(12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암반수 집수장치(120)는 집수 터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수 공(hole)을 통하여 암반수를 집수하고, 집수된 암반수를 제 1 지하 저수조(110)로 유입시킬 수 있다.The small-volume water collecting device 120 is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and can collect the small-sized water to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20. The small-volume water collecting device 120 collects the small-sized water through at least one water collecting hole formed in the water collecting tunnel, and allows the collected small water to flow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저수지물 집수장치(130)는 제 1 지하 저수조(110)와 저수지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저수지물 집수장치(130)는 섬 지역의 지상에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제 1 지하 저수조(1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저수지는 섬지역의 지상에 있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The reservoir water collecting device 13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110 and the reservoir. The reservoir water collecting device 130 may be formed on the ground of the island area to allow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storing the water to flow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The reservoir can store water on the ground in the island area.

정화 장치(140)는 제 1 지하 저수조(110)와 연결되며, 섬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될 수 있다. 정화 장치(140)는 제 1 지하 저수조(11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여 유출시킬 수 있다. 정화 장치(140)는 사여과지, 활성탄 여과지 및 UV 살균 등을 통하여 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The purifier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and may be formed in the underground rock bed of the island area. The purifier 140 can purify and discharge the water flowing from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110. The purifier 140 may purify water through a filter paper, an activated carbon filter paper, and a UV sterilizer.

제 2 지하 저수조(150)는 정화 장치(140)와 연결되며, 섬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하 저수조(150)는 정화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50 is connected to the purifier 140 and may be formed in an underground rock in the island area.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50 can store purified water.

제어부(160)는 암반수 집수장치(120), 저수지물 집수장치(130) 및 정화 장치(14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control the small-volume water collecting apparatus 120, the water collecting apparatus 130, and the purifying apparatus 140.

제어부(160)는 강우량, 저수지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암반수 공급 가능 용량, 제 1 지하 저수조(110)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및 섬지역에 필요한 공급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11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ainfall amount, the presently stored water volume of the reservoir, the minerals water supply possible volume, the presently stored water volume of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and the supply volume required for the island area,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can be controlled.

본 실시예에서, 제 1 지하 저수조(110), 정화장치(140) 및 제 2 지하 저수조(120)는 각각 다른 지하 암반 동굴에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지하 저수조(110), 정화장치(140) 및 제 2 지하 저수조(120)를 1개의 지하 암반 동굴 또는 2개의 지하 암반 동굴에 나누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the purifier 140 and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20 are formed in different underground rock caver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110, The apparatus 140 and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tank 120 may be divided into one underground rock cavern or two underground rock caverns.

이와 같이, 제어부(160)는 확보할 수 있는 물의 용량 및 필요한 공급 용량에 따라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섬지역의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device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according to the water capacity and the required supply capacity that can be ensured, so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island area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암반층에 동굴형태로 제 1 지하 저수조 및 제 2 지하 저수조를 형성함으로써, 지하 동굴이 연간 온도가 16도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을 이용하여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증발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lso, by forming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and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 in the form of a cave in the rock layer, the temperature of the stored water can be kept constant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 underground cave is kept at about 16 degrees per year. Not only evaporation and pollution can be prevented, but also water quality can be kept constant.

또한, 암반층 동굴에 정화장치(140)를 형성함으로써, 지하 동굴이 연간 온도가 16도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을 이용하여 정화 장치(140)의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화 장치(140)의 온도에 따른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purifier 140 in the cave of the rock layer, the temperature of the underground cave can be kept constant around 16 degre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r 140 can be kept constant,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malfunction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물부족을 겪고 있는 섬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can be installed in an island region experiencing water shortage shown in FIG.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200)는 제 1 지하 저수조(210), 빗물 도랑(220), 제 1 밸브(230), 제 2 밸브(240), 침전조(250), 제 1 암반수 집수장치(260), 정화 장치(270), 제 2 지하 저수조(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200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includes a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a rainwater ditch 220, a first valve 230, a second valve 240, a settling tank 250, A pyrolysis water collecting device 260, a purifying device 270, a second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80, and a control unit 290.

제 1 지하 저수조(210)는 섬 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지하 저수조(210)는 섬 지역의 지하에 존재하는 암반층에 동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지하 저수조(210)는 빗물 도랑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또는 암반수 집수장치(120)로부터 유입되는 암반수로부터 유입되는 저수지물을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may be formed in an underground rock in the island area. For example,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may be formed in a cave form in a rock layer existing in an underground area of an island area.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can stor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rainwater ditch or the reservoir water flowing from the rockwater flowing from the sea water water collecting apparatus 120.

빗물 도랑(220)은 내리는 빗물을 모아 침전조(250)로 유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빗물 도랑(220)은 침전조(250)와 연결된 일측이 타측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어, 빗물이 침전조(250)쪽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ainwater ditch 220 collects rainwater falling down and can flow out to the settling tank 250. For example, the rainwater ditch 220 can be formed so that one side connected to the settling tank 250 is disposed at a lower level than the other side, so that rainwater can flow smoothly toward the settling tank 250.

제 1 밸브(230)는 빗물 도랑(220)과 외부 공간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밸브(230)는 초기 빗물을 외부 공간으로 방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염 물질이 많이 포함된 초기 빗물이 침전조(25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valve 23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ditch 220 and the external space. The first valve 230 may discharge the initial rainwater to the outside space. Accordingly, the initial rainwate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ttling tank 250.

제 2 밸브(240)는 빗물 도랑(220)과 침전조(2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밸브(240)는 초기 이후에 유입되는 빗물을 침전조로 유입시킬 수 있다.The second valve 240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ditch 220 and the settling tank 250. The second valve (240) can introduce the rainwater introduced after the initial stage into the settling tank.

본 실시예에서 제 1 밸브(230) 및 제 2 밸브(240)는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제 1 밸브(230) 및 제 2 밸브(240)를 포함시켜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200)를 구현할 수도 있으며, 제 1 밸브(230) 및 제 2 밸브(240)를 포함시키지 않고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200)를 구현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lve 230 and the second valve 240 may be selectively implemented. The first and second valves 230 and 240 may be implemented to implement the water management system 200 us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reg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200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without including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200.

침전조(250)는 빗물이 흐르는 빗물 도랑(2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침전조(250)는 제 2 밸브(240)를 통해 빗물 도량(220)과 연결될 수도 있다. 침전조(250)는 빗물 도랑(220)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침전 처리할 수 있다.The settling tank 250 may be connected to the rainwater ditch 220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s. Alternatively, the settling tank 250 may be connected to the rainwater amount 220 through the second valve 240. The settling tank 250 can perform the precipitation treatment of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rainwater ditch 220.

예를 들면, 침전조(250)는 슬러지 배출구(251) 및 빗물 배출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 배출구(251)는 침전조(25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다. 빗물 배출구(252)는 침전조(25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빗물을 제 1 지하 저수조(210)로 유출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settling tank 250 may include a sludge outlet 251 and a rainwater outlet 252. The sludge discharge port 251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dimentation tank 250, and the sludge precipitated in the lower part can be discharged to the external space. The rainwater discharge port 252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dimentation tank 250, and the rainwater located in the upper part can be discharg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암반수 집수장치(260)는 제 1 지하 저수조(210)와 연결되며, 암반수를 집수하여 제 1 지하 저수조(2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암반수 집수장치(260)는 집수 터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집수 공(hole)을 통하여 암반수를 집수하고, 집수된 암반수를 제 1 지하 저수조(210)로 유입시킬 수 있다.The small-scale water collecting device 260 is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and can collect the small water and introduce it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The small-scale water collecting device 260 collects the small-sized water through at least one collecting hole formed in the collecting tunnel, and allows the collected small-sized water to flow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정화 장치(270)는 제 1 지하 저수조(210)와 연결되며, 섬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될 수 있다. 정화 장치(270)는 제 1 지하 저수조(21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여 유출시킬 수 있다. 정화 장치(270)는 사여과지, 활성탄 여과지 및 UV 살균 등을 통하여 물을 정화시킬 수 있다.The purifier 270 is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210 and may be formed in the underground rock of the island area. The purifier 270 can purify and discharge the water flowing from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210. The purifier 270 can purify the water through a filter paper, activated carbon filter paper, UV sterilizer, and the like.

제 2 지하 저수조(280)는 정화 장치(270)와 연결되며, 섬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하 저수조(280)는 정화된 물을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underground water tank 280 is connected to the purifier 270 and may be formed in the underground rock in the island area.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 280 can store purified water.

제어부(290)는 제 1 밸브(230), 제 2 밸브(240), 슬러지 배출구(251), 및 빗물 배출구(252), 암반수 집수장치(260) 및 정화 장치(27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90 may control the first valve 230, the second valve 240, the sludge discharge port 251, the rainwater discharge port 252, the water collection device 260 and the purifier 270.

또한, 제어부(290)는 강우량, 침전조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암반수 공급 가능 용량, 제 1 지하 저수조(210)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및 섬지역에 필요한 공급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지하 저수조(21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290 ma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210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ainfall amount, the presently stored water capacity of the settling tank, the small water supply possible capacity,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210 can be controlled.

본 실시예에서, 제 1 지하 저수조(210), 정화장치(270) 및 제 2 지하 저수조(280)는 각각 다른 지하 암반 동굴에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지하 저수조(210), 정화장치(270) 및 제 2 지하 저수조(280)를 1개의 지하 암반 동굴 또는 2개의 지하 암반 동굴에 나누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210, the purifier 270 and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tank 280 are formed in different underground rock caver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210, The device 270 and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 280 may be divided into one underground rock cave or two underground rock cave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은 도 2에서 설명한 구동들과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수지 집수 장치, 빗물 도랑 및 암반수 집수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tegrated with the drives described in Fig. For example,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including both a reservoir water collecting apparatus, a rainwater ditch, and a mineral water collecting apparatus may be constructed.

이와 같이, 제어부는 확보할 수 있는 물의 용량 및 필요한 공급 용량에 따라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섬지역의 물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of the island area according to the water capacity and the required supply capacity that can be ensured, so that the water supply to the island area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암반층에 동굴형태로 제 1 지하 저수조 및 제 2 지하 저수조를 형성함으로써, 지하 동굴이 연간 온도가 16도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을 이용하여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저장된 물의 증발과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질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lso, by forming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and the seco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 in the form of a cave in the rock layer, the temperature of the stored water can be kept constant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 underground cave is kept at about 16 degrees per year. Not only evaporation and pollution can be prevented, but also water quality can be kept constant.

또한, 암반층 동굴에 정화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지하 동굴이 연간 온도가 16도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을 이용하여 정화 장치의 주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화 장치의 온도에 따른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purging device in the rocky cave, it is possible to keep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purging device constant by minimizing the malfunction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purging device by using the fact that the underground cave keeps the annual temperature constant around 16 degrees have.

또한, 빗물을 침전조를 이용하여 정화하여 제 1 지하 저수조에 저장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물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can be purified using a sedimentation tank and stored in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thereby securing water in a more various ways.

도 4는 본 발명의 또 일 실시예에 따른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utiliz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400)는 저장부(410), 디스플레이부(420), 지문 센서부(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a water resource management apparatus 400 using an underground space in an island region includes a storage unit 410, a display unit 420, a fingerprint sensor unit 430, and a control unit 440.

저장부(410)는 현재 저장량, 공급량 등을 포함하는 수자원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등록 지문 및 잠금 해제 정보, 잠금 해제 패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인 거짓 잠금 해제 패턴 정보 및, 진짜 잠금 해제 패턴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41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water source including the current storage amount and the supply amount, the registered fingerprint and unlock information of the user, the false unlock pattern information which is guide information for inputting the unlock pattern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and the like.

디스플레이부(420)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4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42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42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지문 센서부(43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 센서부(43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프리즘이나 홀로그램과 같은 광학렌즈를 이용하는 광학방식의 스캐너와, CMOS 소자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비광학방식의 지문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광학방식의 스캐너 또는 비광학방식의 지문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소정형태(고정 이미지, 동영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지문 센서부(430)가 획득한 지문의 영상은 지문의 접촉 상태에 따라 지문영역 이외에 여백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문 센서부(430)는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문 센서부(43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 단편 지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지문 센서부(430)는 특정 방식의 센서부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센서부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can recognize the fingerprint of the user.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may be formed of an optical type scanner using an optical lens such as a prism or a hologram and a non-optical type fingerprint sensor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CMOS device in order to recognize a user's fingerprint. An optical type scanner or a non-optical type fingerprint sensor can scan a fingerprint of a user to acquire an image of a predetermined type (fixed image, moving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of the fingerprint acquired by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may include a blank area in addition to the fingerprint area according to the contact state of the fingerprint.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can be implemented as a slide type.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senses fingerprints of a finger moving in a sliding manner, reads fragmentary fingerprint images, and performs fingerprint recognition in such a manner that the short fingerprint image is matched with one image to implement a complete fingerprint image . As described above,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is not limited to the sensor unit of a specific type, and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ensor units.

제어부(440)는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다양항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40 can control the various term configuration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440)는 강우량, 침전조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암반수 공급 가능 용량, 제 1 지하 저수조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및 섬지역에 필요한 공급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Furth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0 may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first underground water tank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rainfall amount, the capacity of the water currently being stored in the settling tank, So that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can be controlled.

제어부(440)는 지문 센서부(43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저장부(41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등록 지문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 제어부(440)는 표시된 등록 지문 위에 상기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When the fingerprint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is matched with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registered fingerprint on the display unit 420 of the user terminal Display.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a portion match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on the displayed registration fingerprint.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정보는 상기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겹치게 형성된 패턴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상기 표시된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 정보가 이루는 각도 및 겹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상기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For example, the unlocking information may be pattern information formed so as to overlap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The control unit 440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ngle and overlapping position information between the ridges included in the displayed registration fingerprint and the patter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또 다른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 중 N개의 겹치는 지점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을 추출하고, 사용자가 겹치는 지점(M개) 중 선택한 겹치는 지점이, 잠금 해제 정보인 N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As another example, the unlocking information may be N overlapping points out of the points (M) where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the inputted patter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40 extracts points (M points) at which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overlapping points selected among the points (M points) at which the user overlaps with N Can be determined.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또 다른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개의 겹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을 추출하고, 사용자가 겹치는 지점(M개) 중 선택한 겹치는 지점의 선택 순서가, 잠금 해제 정보인 N개의 겹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순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As another example, the unlocking information may be selection order information for N overlapping points set by the user among the points (M) at which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overlaps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The control unit 440 extracts the points (M points) at which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and selects the overlapping points among the points (M points) where the users overlap,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y match the selection order of the overlapping points.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440)는 지문 센서부(4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지문이 저장부(410)에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고, 지문 센서부(4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정보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잠금 해제 패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40)는 거짓 잠금 해제 패턴 정보 및, 진짜 잠금 해제 패턴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진짜 감금 해제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하는 색깔로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하고, 거짓 잠금 해제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하는 색깔과 다른 색깔로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선호하는 색깔을 기준으로 패턴을 입력하여, 진짜 감금 해제 패턴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4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fingerprint input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matches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The controller 420 may display the guide information for inputting the unlock patter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the information inputted by the user does not match the unlock patter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0 can display the false unlocking pattern information and the real unlocking patter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420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real lockout patter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420 in a preferred color set by the user and the false lockout patter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20 in a color different from the color set by the user, Can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a pattern on the basis of his / her preferred color, thereby easily inputting a real restrain pattern.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는 수자원을 확인하고자 할 때,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인증된 사람에게만 제공함으로써, 수자원에 대한 정보의 보안을 철저히 할 수 있다.The water management system utilizing the underground space in the island area can secure th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resources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resources only to the authorized person when checking the water resources.

도 5는 도 4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지문 센서부(43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저장부(41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등록 지문(1000)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 제어부(440)는 표시된 등록 지문(1000) 위에 상기 잠금 해제 정보(1100)와 매칭되는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920)에 표시한다.4 and 5, when the fingerprint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is matched with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registered fingerprint 1000 On the display unit 420 of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920 when a portion match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1100 is input by the user on the displayed registration fingerprint 1000 .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정보(1100)는 상기 등록 지문(1000)에 포함된 융선들과 겹치게 형성된 패턴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표시된 등록 지문(1000)에 포함된 융선들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패턴 정보(1100)가 이루는 각도 및 겹침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상기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40)는 융선과 입력된 패턴 정보(1100)가 겹치는 위치('별 모양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1100)가 이루는 각도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For example, the unlocking information 1100 may be pattern information formed so as to overlap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ered fingerprint 1000. The control unit 4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based on the angle and overlapping position information formed by the ridges included in the displayed registration fingerprint 1000 and the pattern information 1100 input by the user Or not.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ridge and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1100 based on the angl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between the ridges and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1100 at a position where the ridge line overlaps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1100 So that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o match.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지문 센서부(43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저장부(41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등록 지문(1000)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 제어부(440)는 표시된 등록 지문(1000) 위에 상기 잠금 해제 정보(1100)와 매칭되는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4 and 6, when the fingerprint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is matched with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registered fingerprint 1000 On the display unit 420 of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a portion match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1100 is input by the user on the displayed registration fingerprint 1000 .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별 모양으로 표시된 부분') 중 N개의 겹치는 지점('① ② ③ ④ - 4개')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을 추출하고, 사용자가 겹치는 지점(M개) 중 선택한 겹치는 지점이, 잠금 해제 정보인 N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N개의 겹치는 지점의 선택 순서는 상관 없이, N개의 겹치는 지점이 선택되면, 제어부(440)는 매칭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4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For example, the unlock information may include N overlapping points ('① ② ③ ④ - 4 points) among the points (M points) (' star point portion ') where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 The control unit 440 extracts points (M points) at which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and determines whether overlapping points among the points (M points) where the users overlap are matched with N Can be determined. In this case, irrespective of the order of selection of the N overlapping points, when the N overlapping points are selected, the control unit 440 determines that matching is performed.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또 다른 예를 들면, 잠금 해제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별 모양으로 표시된 부분') 중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개의 겹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순서 정보('① ② ③ ④ - 4개의 선택 순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440)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과 입력된 패턴 정보가 겹치는 지점(M개)을 추출하고, 사용자가 겹치는 지점(M개) 중 선택한 겹치는 지점의 선택 순서가, 잠금 해제 정보인 N개의 겹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순서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N개의 겹치는 지점의 선택 순서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N개의 겹치는 지점에 대한 선택 순서 정보('① ② ③ ④ - 4개의 선택 순서 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제어부(440)는 매칭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부(4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As another example, the unlocking information may be a selection of N overlapping points set by the user among the points (M) (the 'star portion') where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the inputted pattern information Order information ('① ② ③ ④ - 4 selection order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440 extracts the points (M points) at which the ridge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fingerprint overlap with the input pattern information, and selects the overlapping points among the points (M points) where the users overlap,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or not they match the selection order of the overlapping points. In this case, when the selection order of the N overlapping points matches the selection order information ('① ② ③ ④ - 4 selection order information') for N overlapping points set by the user, the control unit 440 is matched .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matches the unlocking information.

도 7은 도 4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llustrates a process of authenticating a user using a fingerpr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FIG. 4. Referring to FIG.

도 4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어부(440)는 지문 센서부(43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저장부(41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상기 등록 지문(1000)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 제어부(440)는 표시된 등록 지문(1000) 위에 상기 잠금 해제 정보(1100)와 매칭되는 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 저장부(410)에 저장된 수자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한다.4 and 7, when the fingerprint of the user recogniz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is matched with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registered fingerprint 1000 On the display unit 420 of the user terminal.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resourc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on the display unit 420 when a portion matching the unlocking information 1100 is input by the user on the displayed registration fingerprint 1000 .

예를 들면, 제어부(440)는 지문 센서부(4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지문이 저장부(410)에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고, 지문 센서부(4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가 상기 잠금 해제 패턴 정보와 일치되지 않는 경우, 잠금 해제 패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40)는 거짓 잠금 해제 패턴 정보 및, 진짜 잠금 해제 패턴 정보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진짜 감금 해제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하는 색깔(예를 들면, 빨간색)로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하고, 거짓 잠금 해제 패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하는 색깔과 다른 색깔(예를 들면, 녹색, 파랑색)로 디스플레이부(42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설정한 선호하는 색깔(예를 들면, 빨간색)을 기준으로 패턴을 입력하여, 진짜 감금 해제 패턴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0 matches the user fingerprint inputted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unit 430 with the registered fingerprint of the us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410, If one piece of inform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unlock pattern information, guide information for inputting the unlock patter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2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40 can display the false unlocking pattern information and the real unlocking patter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420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unit 440 displays the real unlock pattern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420 in a preferred color (for example, red) set by the user, and the false unlock pattern in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ferred color set by the user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20 in colors (for example, green, blue). Accordingly, the user can input a pattern on the basis of his / her preferred color (for example, red) to easily input a real unlocking pattern.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a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are for explanation purposes only,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In addi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110 : 제 1 지하 저수조
120 : 암반수 집수장치
130 : 저수지물 집수장치
140 : 정화 장치
150 : 제 2 지하 저수조
160 : 제어부
100: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utilizing underground space in island area
110: First Underground Reservoir
120: Particle collecting device
130: Reservoir water collecting device
140: purifier
150: Second underground water tank
160:

Claims (9)

섬 지역의 지하 암반에 형성되고, 물을 저장하는 제 1 지하 저수조; 및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와 연결되며, 암반수를 집수하여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입시키는 암반수 집수장치를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A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formed in the underground rock of the island area and storing water; And
And a rock water collecting device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and collecting the rock water and introducing the rock water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와 저수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섬 지역의 지상에 형성되어 물을 저장하는 저수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입시키는 저수지물 집수장치;를 더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ervoir water collecting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and the reservoir, the reservoir water collecting device being formed on the ground of the island area to introduc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storing the water in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Water resource management system using underground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빗물이 흐르는 빗물 도랑과 연결되어, 상기 빗물 도랑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침전 처리하는 침전조를 더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dimentation tank connected to the rainwater ditch through which the rainwater flows so as to precipitate the rainwater flowing from the rainwater ditc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도랑과 외부 공간 사이에 연결되고, 초기 빗물을 상기 외부 공간으로 방류하는 제 1 밸브; 및
상기 빗물 도랑과 상기 침전조 사이에 연결되고, 초기 이후에 유입되는 빗물을 침전조로 유입시키는 제 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first valve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ditch and the external space and discharging initial rainwater to the external spac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valve connected between the rainwater ditch and the settling tank for introducing rainwater introduced thereafter to the settling tan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 및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위치하는 빗물을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출시키는 빗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ttling tank,
A sludge outle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and discharging the sludge settled in the lower portion to the outer space; And
And a rainwater discharge port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water storage tank and discharging the rainwater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도랑은,
상기 침전조와 연결된 일측이 타측보다 낮은 곳에 배치되어, 빗물이 침전조쪽으로 흘러내리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ainwater trench
Wherein the one side connected to the settling tank is disposed at a lower level than the other side and the rainwater flows down to the settling tan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여 유출시키는 정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urifier connected to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장치와 연결되며,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제 2 지하 저수조를 더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econd underground water reservoir connected to the purifier and storing purified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강우량, 상기 저수지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암반수 공급 가능 용량,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의 현재 저장하고 있는 물의 용량 및 섬지역에 필요한 공급 용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지하 저수조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섬지역의 지하 공간을 활용한 수자원 관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ased on at least one of a rainfall amount, a presently stored water volume of the reservoir, a small reservoir supply possible volume, a presently stored water volume of the first underground water reservoir, and a supply volume required for the island area,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to be supplied to the water source.
KR1020160008787A 2016-01-25 2016-01-25 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KR201700886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87A KR20170088645A (en) 2016-01-25 2016-01-25 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787A KR20170088645A (en) 2016-01-25 2016-01-25 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645A true KR20170088645A (en) 2017-08-02

Family

ID=5965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787A KR20170088645A (en) 2016-01-25 2016-01-25 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864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4692A (en) * 2023-10-11 2024-01-05 中国海洋大学 Silt bag layout method taking underground fresh water storage into consideration by artificial isla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4692A (en) * 2023-10-11 2024-01-05 中国海洋大学 Silt bag layout method taking underground fresh water storage into consideration by artificial island
CN117344692B (en) * 2023-10-11 2024-05-17 中国海洋大学 Silt bag layout method taking underground fresh water storage into consideration by artificial isl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30055B (en) Rainwater-collecting purified treatment reclaiming system
Cook The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s
TW313611B (en)
KR20170088645A (en) Water management device using underground space of an island
DuMars New Mexico water law: An overview and discussion of current issues
Burchi Legal principles and legal frameworks related to groundwater
Tal The evolution of Israeli water management: the elusive search for environmental security
Gheleta Sustaining the Giant Dragon: Rational Use and Protection of China's Water Resources in the Twenty-First Century
Shuval Towards resolving conflicts over water between Israel and its neighbours: The Israeli‐Palestinian shared use of the mountain aquifer as a case study
CN102574701B (en) Water treatment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N207436184U (en) A kind of road rain water processing system
Westermann Aelius Gallus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Irrigation System of Egypt under Augustus
Waterhouse et al. Managed aquifer recharge and mine water management
Tarlock How California Local Governments Became Both Water Suppliers and Planners
Buono et al. Current challenges in the Rio Grande/Río Bravo Basin: old disputes in a new century
Hurlbut The good, the bad, and the arid
Nichols Water reuse closes water-wastewater loop.
Burnet History of the Water Supply to Glasgow, from the Commencement of the Present Century... and an Appendix, Containing Tables of Capital... and Chemical and Medical Reports on the Quality of Water Supplied in Various Localities
Osborn Hydraulic continuity in Washington water law
Murugesan et al. Drinking water supply and demand management in Chennai city-a literature survey
Wedick et al. Toward sustainable water systems: Potable reuse of wastewater
Sharp Storage of Water in California by Riparians and Appropriators
Gerath et al. Recent Trends in the Regulation of Water Supply.
Anggrahita Water paradox in Jakarta (Indonesia)
Sheikh et al. South Florida Ecosystem Restoration and the Comprehensive Everglades Restoration P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