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999A -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 Google Patents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999A
KR20170087999A KR1020160007592A KR20160007592A KR20170087999A KR 20170087999 A KR20170087999 A KR 20170087999A KR 1020160007592 A KR1020160007592 A KR 1020160007592A KR 20160007592 A KR20160007592 A KR 20160007592A KR 20170087999 A KR20170087999 A KR 20170087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frame
hook
eleva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츠
Priority to KR102016000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7999A/en
Publication of KR2017008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9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plants. A frame (10) forms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10)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bars (12) and a first connection bar connecting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fixing bars (12). A plurality of first hangers (16) are installed on the fixing bars (12) at regular intervals in a gravitactic direction. An insertion slot (16) is formed on the first hangers (16) to insert and install a vegetation port (50) and a connection housing (56). A floor support part (20), protruding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ame (10) and placed on the floor,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rame (10), and a water tank (30) is placed in the floor support part (20). An elevating part (32)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ame (10) and the elevating part (32) is elevated and l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a ceiling. The elevating part (32)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bar (36) connecting an elevating bar (34) installed on the fixing bars (12) to be elevatable. A ceiling support part (42),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elevating part (32), is attached to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prevent invention, the movable air purification device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indoor environments while being easily moved.

Description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0001]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0002]

본 발명은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고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plants that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in a room and can be easily moved.

도시화에 따라 사람들이 생활하는 공간이 친환경적이지 않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사람들이 오랜 시간 머무르는 사무실 공간이나 주택 내부의 공간은 주로 콘크리트 등의 비 친환경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According to urbanization, the space in which people live is made of materials that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For example, office space or the space inside a house where people stay for a long time is mainly made of non-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such as concrete.

최근에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주택이나 건물을 짓기는 하지만, 그 동안 만들어진 대부분의 주택이나 건물은 친환경적이지 않은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실내의 공기 질을 좋게 하기 위해 공기정화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Recently, eco-friendly materials have been used to build houses and buildings, but most of the houses and buildings that have been built are made of non-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In such a situation, an air purifier or the like is used to improve the indoor air quality.

하지만, 공기정화기는 주로 필터를 활용해서 먼지나 냄새 등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 역시 친환경적인 것은 아니다. 최근에 식물의 공기정화능력에 착안해서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However, air purifiers mainly use filters to remove dust and odors, which is also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Recently, many air purification apparatuses using plants have been proposed by focusing on the air purification ability of plants.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5494호에서는 벽면에 식물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물을 만들어 식물을 둘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실내에서는 내부 인테리어를 자주 바꿀 수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이 구조물을 그 때마다 분해하고 다시 만들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145494, among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has made a structure capable of installing plants on a wall surface so that plants can be placed thereon. However, in the interior, interior interiors can be changed frequently.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disassemble and reconstruct the structure every time.

또한, 실내의 공간을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식물을 천정에 인접한 위치까지 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서는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order to utilize the indoor space better,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space where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is installed. That i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lace the plant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eiling. However,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do not satisfy such a deman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75876호Korean Patent No. 10-157587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4549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14549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물을 사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설치되는 곳의 천정높이에 맞춰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실내환경에 맞춰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plant movable and at the same time to adjust the height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ceiling of the installation place so that it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various indoor environ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제1 걸이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 걸이대의 사이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포트들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이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걸이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걸이대와 제2 걸이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포트 들이 장착되고 상단이 천정에 접촉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o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mount vegetation por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between the first hooks; A bottom suppo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ame and seated on the floor; and a second hook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ok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lifting portion in which vegetation ports planted with plants are mounted on the two hangers and whose upper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ceiling.

상기 제1 걸이대는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바아에 형성된 제1 고정채널에 위치한 체결너트에 상기 제1 걸이대를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 걸이대는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바아에 형성된 제2 고정채널에 위치한 체결너트에 상기 제2 걸이대를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됨에 의해 상기 승강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Wherein the first hook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located on the first fastening channel formed on the fastening bar constituting the frame through the fastening bolt through the fastener and movably fixed on the frame, And the second fasten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located on the second fastening channel formed on the elevating bar constituting the elevating part through the fastening bolt to be movable on the elevating part.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바아에 대해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바아는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승강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데, 상기 연결브라켓을 각각 관통한 체결볼트가 고정바아의 제1 고정채널에 있는 체결너트와 체결되고 상기 승강바아의 제2 고정채널에 있는 체결너트에 체결됨에 의해 된다.The elevating bars constituting the eleva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bar constituting the frame are fixed to the frame so as to be able to be elevated and lowered by using connection bridges. The fixing bolts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ng brackets are fixed to the first fixing channel of the fixing bar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on the second fixing channel of the lifting bar.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는 천정에 밀착되는 천정지지부가 상기 승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천정지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연결연장바아와 상기 연결연장바아의 선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선단바아로 구성된다.The ceiling supporting part includes a connecting extension bar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elevating part and a front end bar connecting both ends of the connecting extension bar to the front end of the elevating part, .

상기 천정지지부에는 조명등이 더 구비된다.The ceiling supporting part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상기 제1걸이대와 제2걸이대에는 상기 프레임이나 승강부의 배면에서 연통하우징이 더 장착되고, 상기 연통하우징은 연결덕트를 통해 연결되어 식물에서 정화된 공기를 모아 전달한다.In the first and second hooks, a communication housing is further installed at a rear surface of the frame or the elevation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housing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duct to collect and transfer purified air from plants.

상기 바닥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내부에는 수조가 구비되어 상기 식생포트에 공급되었던 물이 낙하되어 저수된다.The bottom supporting part is formed by protruding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frame, and a water tank is provided therein to drop water that has been supplied to the vegetation port.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바아와 제1 연결바아,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바아와 제2 연결바아는 압출에 의해 제조된다.The fixed bar and the first connecting bar constituting the frame, the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constituting the elevating part are manufactured by extrusion.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in the port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하단에는 바닥지지부가 있어 실내공간의 바닥에 안정되게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는 천정까지 연장될 수 있는 승강부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가 천정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지지부를 이동시키면 전체 공기정화장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음에 의해 실내의 다양한 위치로 쉽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or support portion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and is stably mounted on the floor of the interior space, and a lift portion that can extend to the ceiling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Therefore, if the floor supporting portion is moved while the elevating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eiling, the entire air cleaning apparatus can be moved. Since the air purifier using the plant can be mov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move to various positions in the room and use the apparatus.

특히,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상단에 승강부가 있어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켜서 실내 공간의 다양한 높이에 맞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실내의 벽면 상하방향 전체를 모두 활용하여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실내공간의 활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되는 효과도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ing portion is raised and lowered 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to fit various heights of the indoor spac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air purifying apparatus by utilizing all of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of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is more effici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후방에서 보인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고정바아에 제1걸이대를 고정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승강바아에 제2걸이대를 고정하는 것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승강부를 승강시켜 서로 다른 높이의 천정을 가지는 공간에 본 발명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식물이 식재된 식생포트와 식물이 식재되지 않은 식생포트가 각각 일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a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fastener being secured to the fastening b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mportant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uring of the second hook to the lifting b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inventive device in a space having a ceiling of different height by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on por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getation port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nd a vegetation port in which plants are not planted are partially moun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understanding wh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interpre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의 골격을 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본 실시례에서는 다수개의 고정바아(12)가 중력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란히 있고, 상기 고정바아(12) 사이를 제1연결바아(14)가 연결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고정바아(12)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3개의 고정바아(12)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상기 제1연결바아(14)들이 서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바아(12)들의 횡단면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제1연결바아(14)의 횡단면은 상기 고정바아(12)와는 상이하며, 참고로 아래에 설명될 승강바아(34)의 횡단면과 같다. 물론, 상기 제1연결바아(14)와 승강바아(34)가 동일한 단면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나, 이들이 서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게 되면 전체 부품의 종류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frame 10 forms the frame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rame 10 includes a plurality of fixed bars 12 extending in a gravitational direction, and the first connecting bars 14 are connected between the fixed bars 12. More specific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ee fixing bars 12 are vertical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shown in FIG. 2,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three fixing bars 12 And the first connecting bars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fixing bars 12 are the same. The cross-section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4 is different from the fixed bar 12, and is the same as the cross-section of the lifting bar 34 to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the first connecting bar 14 and the elevating bar 34 need not have the same cross-section, but if the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the kind of the whole parts can be simplified.

상기 고정바아(12)는 횡단면이 직사각형상으로 되는데, 각각의 외면으로 개구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고정채널(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고정채널(13)은 상기 고정바아(12)의 외면으로 개구된 입구 부분보다 내측이 더 넓게 된다. 상기 제1 고정채널(13)이 형성되는 고정바아(12)는 압출작업에 의해 만들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채널(13)은 상기 고정바아(12)의 길이방향 양단부로도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채널(13)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아(12)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외면에는 2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고정채널(13)의 형성 갯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The fixed bar 12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first fixed channel 13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opened to the respective outer surfaces. The first fixed channel 13 is wider inside than the opening portion op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bar 12. [ The fixed bar 12 on which the first fixed channel 13 is formed is made by an extrusion process. Therefore, the first fixed channel 13 is also opened to both ends of the fixed bar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3, the first fixed channel 13 is formed on two outer surfaces of the fixed bar 12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The number of the first fixed channels 13 formed may vary.

상기 고정바아(12)의 제1 고정채널(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 걸이대(16)의 이동과 고정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승강부(32)의 승강바아(34)를 상기 고정바아(12)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채널(13)에는 다양한 부품들이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fixed channel 13 of the fixed bar 12 allows movement and fixing of the first hook 16 to be described below and also allows the lifting bar 34 of the elevating portion 32 to be moved (12). Various components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ixed channel 13.

상기 고정바아(12)에는 다수개의 제1 걸이대(16)가 장착된다. 상기 제1 걸이대(16)는 다수개가 상기 고정바아(12)의 높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 걸이대(16)는 다수개가 일정한 높이 차를 두고 설치된다.The fixed bar (12)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irst hooks (16). A plurality of the first hangers 16 are fixed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ed bar 12. A plurality of first hooks 16 are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고정바아(12)가 나란히 설치되고, 같은 높이에 하나의 제1 걸이대(16)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고정바아(12) 2개에 상기 걸이대(16)의 양단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three fixing bars 12 are provided side by side, and one first hook 16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Of course, both ends of the hanger 16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two fixing bars 12.

상기 고정바아(12)에 상기 제1 걸이대(16)가 체결볼트(1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바아(12)에 형성된 제1 고정채널(13) 내부에는 체결너트(17')가 위치된다. 상기 체결너트(17')는 상기 제1 고정채널(1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고정바아(12)의 외면으로 개구된 제1 고정채널(13)의 입구를 통해서는 바로 빠져나올 수 없다. 상기 고정바아(12)의 상단이나 하단으로 개구된 제1 고정채널(13)의 부분을 통해서 체결너트(17')가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The fixing of the first hook 16 to the fixing bar 12 by the fastening bolts 1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 fastening nut 17 'is positioned within the first fixed channel 13 formed in the fixed bar 12. [ When the fastening nut 17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channel 13, the fastening nut 17' can not immediately escape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rst fixing channel 13 op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bar 12. The fastening nut 17 'can be pulled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part of the first fixing channel 13 opened to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ar 12.

상기 제1 고정채널(13)에 상기 체결너트(17')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걸이대(16)를 체결볼트(17)가 관통하여 상기 체결너트(17')에 체결되면 상기 제 1걸이대(16)는 상기 고정바아(12)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너트(17')가 상기 체결볼트(17)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채널(13)의 입구 양 내측 가장자리에 밀착되면, 상기 체결너트(17')가 상기 제1고정채널(13)에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17)를 상기 체결너트(17')에서 약간 풀어 상기 체결너트(17')가 상기 제1 고정채널(13)의 입구 양 내측 가장자리에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체결너트(17')는 상기 제1고정채널(13)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너트(17')의 이동은 이에 결합된 체결볼트(17) 및 제1 걸이대(16)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When the fastening bolt 17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17 'through the first fastening block 16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nut 17' is installed in the first fastening channel 13, (16) may be fixed to the fixed bar (12). Particularly, when the fastening nut 17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inlet of the first fastening channel 13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astening bolt 17, the fastening nut 17' 13 without being moved. 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bolt 17 is slightly loosened from the fastening nut 17 'to release the fastening nut 17'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inlet of the first fastening channel 13, (17 ') can be moved within the first fixed channel (13). The movement of the fastening nut 17 'allows movement of the fastening bolt 17 and the first fastening 16 coupled thereto.

상기 제1 걸이대(16)에는 삽입슬릿(1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릿(16')은 상기 제1 걸이대(16)의 상면과 하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걸이대(16)는 2개의 바아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단에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바아 상면과 하면에 각각 삽입슬릿(16')을 형성할 수도 있다. An insertion slit 16 'is formed in the first hook 16. The insertion slit 16 'is formed to open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ok 16. For this, the first hook 16 may be constructed by coupling two bars at both ends with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Of course, the insertion slit 1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one bar, respectively.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바닥지지부(20)가 있다. 상기 바닥지지부(20)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상기 프레임(10) 등을 바닥에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지지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바닥 지지부(20)가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즉, 상기 고정바아(12)의 하단 외면에 직교하게 바닥바아(22)들이 체결되고 상기 바닥바아(22) 사이를 연결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사각형을 만든다. 상기 바닥바아(22)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각형의 면적이나 형상은 상기 프레임(10) 등에 가해지는 하중에 맞도록 만들어진다. A bottom support 20 is provided under the frame 10. The bottom support portion 20 is a portion for supporting the frame 10 and the like on the floor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pport part 20 is formed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pport portion 20 is formed in a hexahedron shape. That is, the bottom bars 22 are faste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ixed bar 12, and the bottom bars 2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quare seating on the ground. The area or shape of the square formed by the bottom bar 22 is made to match the load applied to the frame 10 or the like.

상기 바닥바아(22)중에서 상기 고정바아(12)의 전방에서 상기 제1연결바아(14)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에서는 세로기둥(24)들이 세워진다. 상기 세로기둥(24)들은 상기 고정바아(12)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세로기둥(24)은 본 실시례에서는 3개가 있다. 하지만, 상기 세로기둥(24)의 갯수는 상기 바닥지지부(20)의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진다.In the bottom bar 22, parallel to the first connecting bar 14 in front of the fixed bar 12, vertical columns 24 are erected. The vertical posts (24) extend parallel to the fixed bar (12). There are three vertical columns 24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number of the vertical posts 24 depends on the size of the bottom support 20 and the like.

상기 세로기둥(24)의 상단에는 장착대(26)가 있다. 상기 장착대(26)는 상기 세로기둥(24)이 설치된 바닥바아(22)의 상부에 해당 바닥바아(22)와 나란히 연장되게 구비된다. 상기 장착대(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조(30)의 가장자리가 장착된다. 상기 장착대(26)의 양단에는 상기 양단의 고정바아(12)에 일단부가 연결된 장착대연결바(28)가 있다. 상기 장착대연결바(28)와 장착대(26) 그리고 상기 고정바아(12)의 하부에 있는 제1 연결바아(14)들이 협력하여 하나의 사각형을 만들게 된다. 상기 제1 연결바아(14)와 상기 장착대연결바(28)에도 수조(30)의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column (24) is a mounting table (26). The mounting bar 26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bar 22 provided with the vertical column 24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corresponding bottom bar 22. The mounting table 26 is equipped with an edge of the water tank 30 to be described below. At both ends of the mounting table 26, there is a mounting bar connection bar 28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xing bars 12 at both ends. The mounting bar connecting bar 28 and the mounting bar 26 and the first connecting bars 14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ar 12 cooperatively form one square. Also, the edge of the water tub 30 may be fixedly attached to the first connecting bar 14 and the mounting bar connecting bar 28.

수조(30)는 상기 바닥지지부(20) 상에 형성된 공간, 즉 상기 바닥지지부(20) 상에 세로기둥(24), 장착대(26), 장착대연결바(28) 그리고 제1연결바아(14) 등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놓여진다. 상기 수조(30)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수조(3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는데, 그 입구 가장자리가 상기 장착대(26), 장착대연결바(28) 그리고 제1연결바아(14) 등에 고정되어 설치된다.The water tub 30 is provided with a vertical column 24, a mounting table 26, a mounting bar connecting bar 28, and a first connecting bar (not shown) on a space formed on the bottom supporting part 20, 14 or the like. The water tank 3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able to store water. The water tank 3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inlet edge of the water tank 30 is fixed to the mounting table 26, the mounting bar connecting bar 28, the first connecting bar 14, and the like.

상기 프레임(10)의 상단부에는 승강부(32)가 있다. 상기 승강부(32)는 그 상단부가 실내공간의 천정에 닿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32)는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승강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부(32)가 있음으로 해서 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가 다양한 실내공간에서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frame 10, there is an elevation part 32.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ing portion (32) touches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The elevating portion 32 can be rais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the frame 10. Since the elevating portion 32 is provided, the present apparatus can be used in an indoor space having various heights from the floor to the ceiling.

상기 승강부(32)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바아(12)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승강바아(34)들과 상기 승강바아(34)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바아(36)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바아(34)의 횡단면은 사각형인데, 상기 승강바아(34)의 4개의 외면으로는 제2 고정채널(35)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채널(35)은 상기 승강바아(34)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승강바아(34)도 압출에 의해 제작된다.The elevating part 32 includes elevating bars 34 mounted on at least two fixed bars 12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a second connecting bar 36 connecting the elevating bars 34 to each other. The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lifting bar 34 is rectangular, and the second fixed channel 35 is formed on four outer surfaces of the lifting bar 34. The second fixed channel (35)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fting bar (34). The lifting bar 34 is also manufactured by extrusion.

상기 승강바아(34)에 양단이 고정되게 제2 걸이대(37)가 설치된다. 상기 제2 걸이대(37)는 양단이 상기 승강바아(34)에 체결되는데, 역시 승강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승강바아(34)의 제2 고정채널(35) 내에 있는 체결너트(17')에 체결볼트(17)가 제2걸이대(37)를 관통하여 체결됨에 의해 제2걸이대(37)가 상기 승강바아(34)에 장착되고 상기 체결볼트(17)를 약간 풀어서 이동시킴에 의해 제2걸이대(37)를 승강바아(34)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걸이대(37)에도 삽입슬릿(37')이 상면과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And a second hook 37 is installed on the lifting bar 34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xed. Both ends of the second hanger 37 are fastened to the lifting bar 34 and are also moun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That is, the fastening bolt 17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17 'in the second fastening channel 35 of the lifting bar 34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37, The second hook 37 can be moved along the lifting bar 34 by being mounted on the lifting bar 34 and slightly moving the fastening bolt 17. The insertion slot 37 'is also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ok 37.

상기 승강바아(34)는 상기 고정바아(12)에 연결브라켓(38)으로 체결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8)은 상기 승강바아(34)와 고정바아(12)의 일면이 서로 같은 평면이 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양단에 체결볼트(17)를 관통시켜 제1 고정채널(13)이나 제2 고정채널(35)에 있는 체결너트(17')에 체결되도록 하여 고정한다. 상기 연결브라켓(38)은 서로 연결되는 승강바아(34)와 고정바아(12)의 적어도 일면이 동일한 평면상에 있도록 하여 상기 승강바아(34)와 고정바아(12)에 동시에 안착되어 체결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8)은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이나 도 2에서 상기 고정바아(12)와 장착대연결바(28)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T'자 형상의 것도 있을 수 있다. 도시의 편의상 상기 연결브라켓(38)이 도시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The lifting bar 34 is fastened to the fixing bar 12 by a connecting bracket 38. The connection bracket 38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one side of the elevating bar 34 and the fixing bar 12 are positioned so as to be flush with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bolts 17 are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brackets 38, 2 fastening nut 17 'in the fixed channel 35 and fastened. The connecting bracket 38 is simultaneously mounted on the elevating bar 34 and the fixing bar 12 so th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elevating bar 34 and the fixing bar 12 connected to each other are on the same plane. The connection bracket 38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For example, in FIGS. 1 and 2, there may be a 'T' shape used when connecting the fixing bar 12 and the mount bar connecting bar 28 to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 connecting bracket 38 is not shown.

한편, 상기 승강바아(34)는 상기 고정바아(12)에 비해 그 횡단면적이 작다. 이는 상기 고정바아(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기 제1연결바아(1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승강바아(34)를 고정바아(12)에 장착할 때, 상기 제1 연결바아(14)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승강바아(34)의 전면이 상기 고정바아(12)의 전면보다 후퇴된 위치에 있다. 이 때, 후퇴된 거리는 상기 제1 연결바아(14)의 두께 정도가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ing bar (34) has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fixed bar (12). This i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onnecting bar 14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ixed bar 12. When the lifting bar 34 is mounted on the fixed bar 12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bar 34 relatively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ed bar 12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first connecting bar 14 It is in the retreated position. At this time, the retracted distance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4.

상기 승강바아(34)의 전면이 상기 고정바아(12)의 전면보다 후퇴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바아(34)의 전면에 상기 제2 걸이대(37)를 바로 장착하게 되면 상기 고정바아(12)의 전면에 장착된 제1 걸이대(16) 보다 후퇴된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상하기 위해 상기 제2 걸이대(37)와 상기 승강바아(34)의 사이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39)를 둔다. 상기 체결볼트(17)는 상기 제2 걸이대(37)와 스페이서(39)를 관통하여 체결너트(17')에 체결된다.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bar 34 is at a retracted posit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bar 12, when the second lifting bar 37 is directly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bar 34, 12 of the first hook 16 mounted on the front of the first hook 16.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spacer 39 is placed between the second hook 37 and the lifting bar 34 as shown in FIG. The fastening bolt 17 passes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block 37 and the spacer 39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nut 17 '.

상기 승강부(32)에는 천정지지부(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32)가 직접 천정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기 승강부(32)의 상단에 천정지지부(42)를 두어서 천정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elevating part 32 may further include a ceiling support part 42. The ceiling support portion 42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portion 32 so that the ceiling can be closely attached to the ceiling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상기 천정지지부(42)에는 상기 승강바아(34)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결연장바아(44)가 양단에 있다. 상기 연결연장바아(44)의 선단 사이를 선단바(46)가 서로 연결한다. 상기 선단바(46), 연결연장바아(44) 및 제2연결바아(36)가 하나의 사각형을 형성하면서 천정에 밀착되어 본 장치의 상단부를 천정에 고정할 수 있다.The ceiling support portion 42 has connection extension bars 44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bar 34 at both ends thereof. The leading bars 46 connect the ends of the connecting extension bars 44 to each other. The top end bar 46, the connecting extension bar 44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36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while forming a square, thereby fixing the upper end of the apparatus to the ceiling.

상기 선단바(46)에는 조명등(4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등(48)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 식생포트(50)의 식물을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등(48)은 필요한 경우에 설치하면 되고,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The front end bar 46 may be provided with an illumination lamp 48. The illuminating light 48 serves to illuminate plants of the vegetation port 50 mounted on the frame 10. The illumination lamp 48 may be installed if necessary, and is not necessarily required.

상기 제1 걸이대(16)와 제2 걸이대(37)의 삽입슬릿(16',37')에는 중간판(5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52)에는 다수개의 관통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54)을 통해서는 상기 식생포트(50)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상기 식생포트(50)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배면에 연통하우징(56)이 설치된다.An intermediate plate 52 may be provided on the insertion slits 16 'and 37' of the first and second hooking members 16 and 37.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4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plate 52. The air passing through the vegetation port (5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54). The vegetation port 5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0 and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10.

상기 연통하우징(56)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연결덕트(58) 들로 연결된다. 상기 연통하우징(56)의 내부나 상기 연결덕트(58)에는 별도의 팬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연통하우징(56) 선단의 가장자리 중 제1걸이대(16)나 제2걸이대(37)의 삽입슬릿(16')(37')에 대응되는 부분들에는 상기 삽입슬릿(16',37')에 삽입되는 삽입편(도면부호 부여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편을 상하에 서로 인접하는 제1 걸이대(16)나 제2 걸이대(37)들의 상기 삽입슬릿(16',37')에 삽입하면 상기 연통하우징(56)이 장착된다. 참고로 상기 식생포트(50)에도 상기 연통하우징(56)의 삽입편과 같은 구성의 삽입편이 있고, 상기 식생포트(50)의 삽입편이 상기 삽입슬릿(16',37')에 삽입됨에 의해 제1걸이대(16)나 제2걸이대(37)에 식생포트(50)가 장착된다.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ha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ucts 58. A separate fan may be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or the connecting duct 58. The insertion slits 16 'and 37' are formed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slits 16 'and 37' of the first hook 16 and the second hook 37 of the front end of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Not show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When the insertion piec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s 16 ', 37' of the first hook 16 and the second hook 37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is mounted. The vegetation port 50 also has an insertion piec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insertion piece of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and the insertion piece of the vegetation port 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 16 ' And the vegetation port 50 is mounted on the first hook 16 or the second hook 37.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을 사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장치는 실내공간의 바닥과 천정에의 고정을 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지지부(20)를 위치시키고, 천정에는 천정지지부(42) 또는 승강부(32)의 상단을 밀착시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천정지지부(42) 또는 승강부(32)를 천정에서 분리시키면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지지부(20)와 바닥의 사이에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캐스터가 달린 밀판 등의 장치를 두고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무게가 본 발명 장치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상기 식생포트(50) 등을 분리한 후에 이동하면 된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parts for fixing to the floor and the ceiling of the indoor space but places the floor supporting part 20 which is just seated on the floor and the ceiling supporting part 42 or the elevating part 32 And can be fixed by tightly fitting the top. Therefore,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The ceiling supporting part 42 or the elevating part 32 may be separated from the ceiling. Further, a moving device such as a flat plate having a caster for smoothly moving the floor between the floor support part 20 and the floor can be moved. For reference, when the weight interferes with the move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port 50 or the like may be moved after being separa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바닥지지부(20)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32)의 상단이 천정에 닿도록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부(32)의 승강바아(34)를 상기 고정바아(12)를 따라 상승시키면 된다. 이때에는 상기 고정바아(12)와 승강바아(34)를 서로 체결하고 있던 연결브라켓(38)을 약간 풀면 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8)를 체결하는 체결볼트(17)중에서 상기 승강바아(34)와 체결된 것을 풀면 상기 승강바아(34)가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아(34)를 상승시켜 천정에 상기 천정지지부(42)가 안착되도록 한다.Next, the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portion 32 is moved to reach the ceiling while the bottom supporting portion 20 is seated at a desired position. For this purpose, the elevating bar 34 of the elevating part 32 may be elevated along the fixing bar 12. 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12 and the lifting bar 34 may be slightly unscrewed from the connecting bracket 38 that has been fastened to each other. When the fastening bolts 17 fastened to the connecting bracket 38 are fastened to the lifting bar 34, the lifting bar 34 can be lifted and lowered. The lifting bar 34 is raised so that the ceiling supporting part 42 is seated on the ceiling.

이와 같은 동작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는 상대적으로 천정의 높이가 낮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의 (b)에는 천정의 높이가 높아서 상기 승강부(32)를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시킨 것이 도시되어 있다.This operation is shown in Fig. 6A shows a case in which the height of the ceiling is relatively low. In FIG. 6B, the height of the ceiling is high, so that the elevation portion 32 is elev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상기 승강바아(34)의 상단이나 상기 천정지지부(42)를 천정에 닿도록 한 후에는 상기 연결브라켓(38)의 체결볼트(17)중 승강바아(34)와 관련된 것을 죄어주면 된다. 상기 체결볼트(17)가 죄어지면서 상기 체결너트(17')가 승강바아(34)의 제2고정채널(35)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After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bar 34 or the ceiling supporting part 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eiling, the lifting bar 34 of the fastening bolt 17 of the connecting bracket 38 may be tightened. The fastening bolt 17 is tightened so that the fastening nut 17 'is tight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channel 35 of the lifting bar 34.

다음으로, 상기 제2걸이대(37)를 이동시켜 최 상단의 제1걸이대(16)와의 간격을 정확하게 설정한다. 상기 제2걸이대(37)는 상기 승강바아(34)가 상기 프레임(10)에 대해서 상승된 정도에 따라 사용되는 갯수가 달라진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2걸이대(37)를 하나 또는 두 개 정도를 더 상기 승강바아(34)에 장착한다.Next, the second hook 37 is moved to accurately se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hook 16 and the uppermost hook 16. The number of the second hooks 37 used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elevation of the elevating bar 34 with respect to the frame 10. If necessary, one or two of the second hooks 37 are mounted on the lifting bar 34.

상기 제1 걸이대(16)와 제2 걸이대(37)에는 식생포트(50)를 장착한다. 상기 식생포트(50)에는 이미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상기 식생포트(50)의 상단 가장자리와 하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삽입슬릿(16')(37')에 삽입되는 삽입편이 있다. 상기 삽입편을 상기 삽입슬릿(16',37')에 삽입하면 상기 식생포트(50)가 상기 걸이대(16,37)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도 7에는 상기 식생포트(50)가 프레임(10)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는 식생포트(50)가 전체적으로 설치되지 않고 설치되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일부에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고, 일부의 식생포트(50)에는 식물이 식재되지 않은 상태이다. The vegetation port 50 is mounted on the first hook 16 and the second hook 37. Plants are already planted in the vegetation port (50).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vegetation port 5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s 16 'and 37'. When the insertion piec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its 16 'and 37', the vegetation port 50 is mounted on the hooks 16 and 37.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getation port 50 is installed on the frame 10. Fig. In Fig. 7, only a part of the vegetation port 50 is installed to show that the vegetation port 50 is not installed entirely, and some vegetation ports 50 are not planted.

참고로 상기 중간판(52)의 관통공(54)과 대응되는 식생포트(50)상의 외면에는 역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통하우징(56) 내부와 연통되도록 한다.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vegetation port 5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54 of the intermediate plate 52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상기 연통하우징(56)들은 연결덕트(58)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도 1과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연통하우징(56)이 전체적으로 장착되지 않고 일부에만 장착되었다.The communication ducts (56) are connected using a connecting duct (58). In FIGS. 1 and 2,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is not mounted as a whole but mounted only on a part of the housing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한편, 상기 바닥지지부(20) 상에는 수조(30)를 설치하여 상기 식생포트(50)의 식물에 물을 주었을 때, 낙하된 물이 모이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 water tank 3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pporting portion 20 so that when the plants in the vegetation port 50 are given water, the dropped water collects.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생포트(50)에 식재된 식물이 작용을 하여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팬을 통해 식물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상기 연통하우징(56) 내부로 흡입을 하고 이를 연결덕트(58)를 통해 모아서 원하는 곳으로 보내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공간 내로 보내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plants planted in the vegetation port (50) act to purify the air. Air purged by the plant through the fan is sucked into the communication housing 56 and collected through the connection duct 58 and sent to a desired place. It is generally sent into the space where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예를 들면, 건물 내부 공간의 벽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가리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10)이 벽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진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for example, so as to cover all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space inside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frame 10 is made in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of the wall.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건물 내부에 있는 기둥을 감싸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과 승강부(32)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 기둥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기둥을 완전히 둘러서 식물이 배치되도록 될 수 있다.Als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as to surround pillars inside the building. That is, a portion formed by the frame 10 and the elevating portion 32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This will allow the plant to be laid out completely around the column.

그리고, 반드시 상기 프레임(10)과 승강부(32)에 의해 형성되어 식물포트가 장착된 부분이 벽면이나 기둥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프레임(10)과 승강부(32)에 의해 형성된 부분이 예를 들면 사각기둥형상 또는 삼각기둥형상 등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Also, the portion formed by the frame 10 and the elevation portion 32 and equipped with the plant port may not necessarily be locat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surface or the column. That is, the portion formed by the frame 10 and the elevating portion 32 may be formed into, for example, a quadrangular prism or a triangular prism.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프레임 12: 고정바아
13: 제1 고정채널 14: 제1연결바아
16: 제1 걸이대 16': 삽입슬롯
17: 체결볼트 17': 체결너트
20: 바닥지지부 22: 바닥바아
24: 세로기둥 26: 장착대
28: 장착대연결바아 30: 수조
32: 승강부 34: 승강바아
35: 제2 고정채널 36: 제2 연결바아
37: 걸이대 37': 삽입슬롯
38: 연결브라켓 39: 스페이서
42: 천정지지부 44: 연결연장바아
46: 선단바아 48: 조명등
50: 식생포트
10: Frame 12: Fixed bar
13: first fixed channel 14: first connecting bar
16: first hook 16 ': insertion slot
17: fastening bolt 17 ': fastening nut
20: bottom support 22: bottom bar
24: vertical column 26: mounting base
28: mounting bar connecting bar 30: water tank
32: elevating part 34: elevating bar
35: second fixed channel 36: second connecting bar
37: Hanger 37 ': Insertion slot
38: Connection bracket 39: Spacer
42: ceiling support part 44: connecting extension bar
46: Fleet Bar 48: Lights
50: vegetation pot

Claims (8)

다수개의 제1 걸이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제1 걸이대의 사이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포트들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고 바닥에 안착되는 바닥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이대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걸이대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걸이대와 제2 걸이대에 식물이 식재된 식생포트 들이 장착되고 상단이 천정에 접촉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A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hook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vegetation por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re mounted between the first hooks,
A floor support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ame and seated on the floor,
And a second hook that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hook so that vegetation ports in which plants are planted are mounted on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And a lifting portion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lif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대는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바아에 형성된 제1 고정채널에 위치한 체결너트에 상기 제1 걸이대를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 걸이대는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바아에 형성된 제2 고정채널에 위치한 체결너트에 상기 제2 걸이대를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됨에 의해 상기 승강부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hook is fixed on the frame by being fastened to the first nut by a fastening bolt through a fastening nut located on a first fixing channel formed on a fixed bar constituting the frame, Wherein the second hook is fixed to the clamping nut located on the second fixed channel formed on the lifting bar of the lifting and lowering bar so as to be movable on the lifting part by fastening the second hook through the fastening bolt, Purification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바아에 대해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바아는 연결브라켓을 사용하여 승강가능하게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데, 상기 연결브라켓을 각각 관통한 체결볼트가 고정바아의 제1 고정채널에 있는 체결너트와 체결되고 상기 승강바아의 제2 고정채널에 있는 체결너트에 체결됨에 의해 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2. The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vating bar constituting the elevating part with respect to the fixed bar constituting the frame is fixed to the frame so as to be elevated and lowered using a connecting bracket, wherein a fastening bolt penetrating through the connecting bracket, Wherein the movable nut is fastened to a fastening nut in a first fixing channel and fastened to a fastening nut in a second fixing channel of the elevating b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는 천정에 밀착되는 천정지지부가 상기 승강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천정지지부는 상기 승강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연결연장바아와 상기 연결연장바아의 선단에 양단이 연결되는 선단바아로 구성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ceiling suppor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protrudes forward from the ceiling support portion, wherein the ceiling support portion includes a connection extension bar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lift portion, A portable air purifier using plants consisting of a tip bar to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지지부에는 조명등이 더 구비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The portable ai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eiling support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ing lam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대와 제2걸이대에는 상기 프레임이나 승강부의 배면에서 연통하우징이 더 장착되고, 상기 연통하우징은 연결덕트를 통해 연결되어 식물에서 정화된 공기를 모아 전달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oks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housing at the back of the frame or the elevation portion, and the communication housing is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duct to collect and transfer purified air from plants. Removable air purification device using.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내부에는 수조가 구비되어 상기 식생포트에 공급되었던 물이 낙하되어 저수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6] The pla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bottom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by projecting fo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frame, wherein a water tank is provided therein, Portable air purifi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바아와 제1 연결바아, 상기 승강부를 구성하는 승강바아와 제2 연결바아는 압출에 의해 제조되는 식물을 이용한 이동식 공기정화장치.
The portabl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xed bar and the first connecting bar constituting the frame, the elevating bar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constituting the elevating part are manufactured by extrusion.
KR1020160007592A 2016-01-21 2016-01-21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KR201700879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92A KR20170087999A (en) 2016-01-21 2016-01-21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592A KR20170087999A (en) 2016-01-21 2016-01-21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999A true KR20170087999A (en) 2017-08-01

Family

ID=5965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592A KR20170087999A (en) 2016-01-21 2016-01-21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799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591B1 (en)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102214719B1 (en) * 2020-06-11 2021-02-10 (주)동보금속 Moss wall system
KR20210023486A (en) * 2019-08-23 2021-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mart cultivation system for utility supplying apparatus
CN115413504A (en) * 2022-10-14 2022-12-02 赣州长飞农业有限公司 Planting device capable of cultivating various fruit tre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486A (en) * 2019-08-23 2021-03-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mart cultivation system for utility supplying apparatus
KR102114591B1 (en) * 2019-11-13 2020-05-22 함승원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moss
KR102214719B1 (en) * 2020-06-11 2021-02-10 (주)동보금속 Moss wall system
CN115413504A (en) * 2022-10-14 2022-12-02 赣州长飞农业有限公司 Planting device capable of cultivating various fruit tre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7999A (en) Movable air cleaning apparatus using plants
US8146514B2 (en) Table construction
KR100773846B1 (en) Modular service unit
US4161019A (en) Lighting fixture
US5865674A (en) Flush lighting system for cleanroom
JP5065277B2 (en) In particular a laboratory media ceiling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 media ceiling
CA2692343A1 (en) Knock-down panel partition system
EP0863714A1 (en) Tile panel system
US5094053A (en) Dividing wall, particularly for exposition halls
US10718111B2 (en) Subarchitectural office system
KR102156232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US7513086B2 (en) Fan filter mounting frame
US4332005A (en) Lighting panel for drop ceilings
US8336271B2 (en) Fan filter mounting frame
CN210921597U (en) Purification device for air return inlet of air conditioner
US20060213501A1 (en) Ventilator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EP1952731A1 (en) Structure for showing elements of display ambiences
PL1726729T3 (en) Partition wall for integrating with concrete floor
CA2744751C (en) Accessible control panel for overhead electrical apparatus in a suspended ceiling system
CN208415661U (en) A kind of adjustable flexible module applied to assembled finishing furred ceiling
CN210577550U (en) Cable bridge with isolation groove
CN209371287U (en) A kind of steel stack with cleaning function
KR101281623B1 (en) Wall-Mounted Aquarium
RU120983U1 (en) INTERNAL PARTITION
CN117796252A (en) Lifting type green plant frame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