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7769A - 휴대용 방송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방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7769A
KR20170087769A KR1020160007764A KR20160007764A KR20170087769A KR 20170087769 A KR20170087769 A KR 20170087769A KR 1020160007764 A KR1020160007764 A KR 1020160007764A KR 20160007764 A KR20160007764 A KR 20160007764A KR 20170087769 A KR20170087769 A KR 2017008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ing
video
receiving
central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
이승철
Original Assignee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7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7769A/ko
Publication of KR2017008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5/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는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영상 입력부(10); 상기 영상 입력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30); 상기 중앙처리부(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트리밍 신호로 인코딩하는 스트리밍 제어부(40); 상기 스트리밍 제어부(40)에서 전송된 스트리밍 신호를 네트워크(600)로 송신하는 IP 스트리밍 출력부(50); 상기 네트워크(600)에서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는 IP 스트리밍 입력부(60); 상기 중앙처리부(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IP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송하는 IP 영상 출력부(70) 및 상기 중앙처리부(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RF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송하는 RF 영상 출력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리밍 제어부(40)는 상기 IP 스트리밍 입력부(60)로부터 전송받은 스트리밍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만으로 촬영 영상의 송신과 수신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원격 방송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방송 장치 {PORTABLE BROADC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방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는 휴대용 방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공기관, 회사 또는 학교 등에 설치된 방송 시스템은 입력 신호를 받은 모듈레이터가 RF신호로 변환하여 디모듈레이터로 전송하는 구성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RF신호는 동축케이블로 전송이 되는데 학교를 예로 들면, 대부분의 학교의 강당, 다목적실, 특별 교실 등 일반 교실이 아닌 공간에는 동축케이블이 포설되어 있지 않아 동축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으로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동축케이블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종래 방송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인터넷 생방송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인터넷 생방송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외부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하여 각각 영상 및 음향 데이터가 입력되면, 영상은 영상 분배기(1)를 통하여 영상 제어기(2)에 전송된 후 자막 생성기(3)에서 소정의 자막 삽입 과정을 거쳐 영상/음향 압축기(5)로 전송되고, 음향은 음향 제어기(4)에서 인터넷 방송에 적합한 음향으로 처리되어 영상/음향 압축기(5)로 전송된다. 영상/음향 압축기(5)에서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장치 제어기(6)를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7)로 전송된 후 외부 인터넷으로 전송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인터넷 방송 장치는 단순히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수신측에서 컴퓨터를 이용해야 하고, 일방향 통신만이 가능해 쌍방향 통신 또는 다자간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신측 기기의 수신방식이 IP인지 RF인지 알 수 없으므로 IP 송신용 휴대용 인터넷 방송 장치와 RF 송신용 휴대용 인터넷 방송 장치를 개개로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5-0101075 A (2005. 10. 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별도의 동축케이블 설치 없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고는 휴대용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는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트리밍 신호로 인코딩하는 스트리밍 제어부; 상기 스트리밍 제어부에서 전송된 스트리밍 신호를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IP 스트리밍 출력부; 상기 네트워크에서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는 IP 스트리밍 입력부;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IP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IP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RF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RF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리밍 제어부는 상기 IP 스트리밍 입력부로부터 전송받은 스트리밍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는 기 설치된 네트워크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동축케이블 포설이 필요하지 않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LAN 케이블이 설치되어 네트워크가 형성된 모든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영상의 IP 및 RF 송신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장치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만으로 다양한 방식의 실시간 원격 생방송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휴대용 인터넷 생방송 장치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처리부의 세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부의 세부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이용한 원격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이용한 원격 방송 시스템의 또 다른 구성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100)는 영상 촬영 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영상 입력부(10), 음향 입력 장치(300) 또는 오디오 믹서(400)로부터 음향신호를 전송받는 음향 입력부(20), 상기 영상 입력부(10) 및 음향 입력부(20)에서 전송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30), 상기 중앙처리부(30)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트리밍 신호로 인코딩하는 스트리밍 제어부(40), 상기 스트리밍 제어부(40)에서 전송된 스트리밍 신호를 네트워크(600)로 송신하는 IP 스트리밍 출력부(50), 네트워크(600)에서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는 IP 스트리밍 입력부(60), 중앙처리부(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IP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송하는 IP 영상 출력부(70) 및 중앙처리부(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RF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송하는 RF 영상 출력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앙처리부(30)에 연결되는 USB 제어 포트(90), 중앙처리부(30)에 연결되는 RS-232 제어 포트(9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100)는 음향 입력부(20)를 배제하고 영상 입력부(10)만 포함하여 영상 신호만 처리 및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100)는 학교에서의 영상수업, 학예회, 교내방송 등과 같이 현장에서 직접 영상을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로 신호를 전송하고,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전송받아 고화질로 복원하여 영상 시청이 가능한 장치로서, 영상 입력부(10)가 영상 촬영 장치(200)로부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하고, 음향 입력부(20)가 음향 입력 장치(300) 또는 오디오 믹서(400)로부터 아날로그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한다. 중앙처리부(30)는 전송받은 디지털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로부터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스트리밍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스트리밍 제어부(40)는 전송받은 동영상 데이터를 실시간 네트워크 전송에 적합한 스트리밍 신호로 인코딩한 다음 IP 스트리밍 출력부(50)로 전송한다. IP 스트리밍 출력부(50)는 스트리밍 신호를 네트워크(600)로 송신한다. IP 스트리밍 입력부(60)는 네트워크(600)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리밍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수신된 스트리밍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500) 또는 HD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로의 전송을 위해 스트리밍 제어부(40)에서 디지털 신호로 디코딩되어 중앙처리부(30)로 전송된다. 중앙처리부(30)는 전송받은 신호를 방송 출력에 적합한 신호로 다시 디코딩하여 IP 영상 출력부(70) 또는 RF 영상 출력부(80)로 전송한다. 이렇게 IP 영상 출력부(70) 또는 RF 영상 출력부(80)까지 도달된 영상은 TV 등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전송된다.
영상 입력부(10)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전송받아 중앙처리부(30)에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HD급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장치(200)와 연결된다. 영상 촬영 장치(200)와 연결은 예를 들어 디지털 단자인 HDMI단자, 아날로그 단자인 component 단자 등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영상 촬영 장치(200)가 SD급 카메라라면 컴포지트 단자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영상 입력부(10)는 영상 촬영 장치(200)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하고, 영상 신호가 디지털인 경우 그대로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한다.
음향 입력부(20)는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송받아 중앙처리부(30)에 디지털 음향 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음향 입력 장치(300) 또는 오디오 믹서(400)와 연결하기 위한 컴포지트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20)는 음향 입력 장치(300) 또는 오디오 믹서(400)로부터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디지털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하고, 음향 신호가 디지털인 경우 그대로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처리부(30)의 세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중앙처리부(30)는 영상 입력부(10)와 음향 입력부(20)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신호를 압축 처리하고, 휴대용 방송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중앙처리장치(32), 인코더(34) 및 디코더(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앙처리장치(3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는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상에서 음향, 화상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공하는 프로토콜로서, 실시간 방송을 위해 RTP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RTP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RTCP(RTP Control Protocol)가 있다. 중앙처리장치(32)는 실시간 방송을 위한 RTCP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방송해야 하는 곳이 한 곳이라면 유니캐스트 방식을 선택하고, 방송해야 하는 곳이 네트워크 내의 여러 곳이라면 멀티캐스트 방식을 선택하여 패킷을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피드백 데이터로부터 서비스 품질(QoS)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인터넷으로의 전송을 위한 브로드캐스트 방식 또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중앙처리장치(32)는 중앙처리부(30)로 전송된 신호가 영상 입력부(10) 또는 음향 입력부(20)에서 전송된 것이면 인코더(34)에서 소스 인코딩하도록 명령하고, 스트리밍 제어부(40)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디코더(36)에서 소스 디코딩하도록 명령한다.
이밖에도 디코더(36)에서 소스 디코딩된 영상 또는 음향 데이터를 IP 영상 출력부(70) 또는 RF 영상 출력부(8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인코더(34)는 입력용량이 큰 원본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표준화된 방식을 이용하여 작은 용량의 데이터로 압축(인코딩)하는 구성요소로서,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가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표준화된 방식으로 압축하는 기술이 있다. 대표적 영상 압축 기술로는 MPEG-1/2/4, H.261/262/263 및 H.264 등이 있는데, 이들 중 가장 최근에 규격화된 H.264는 MPEG-2 영상 압축 기술에 비해 최대 2배 이상의 압축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고성능 압축 표준으로, 2Mbps 이하의 비트율에서 디지털 TV 수준의 고품질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어 네트워크를 통한 비디오 스트리밍, DMB 등의 포터블 멀티미디어 방송 및 네트워크 기반의 IPTV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H.264 영상 코덱은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기존의 영상 코덱에서는 지원하지 않았던 4×4 블록 기반의 연산, 1/4 픽셀 움직임 예측 연산 등의 개선된 연산 기능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H.264 영상 코덱은 기존의 영상 코덱인 MPEG-4, H.263, MPEG-2에 비해 각각 39%, 49%, 64%의 비트율 감소를 보이는 등 이전 영상 코덱에 비해 뛰어난 압축률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인코더(34)는 압축률이 가장 높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264 영상 코덱에 의한 압축을 기본으로 하지만 다른 장치들과의 호환을 위해 MPEG-1/2/4 및 H.261/262/263 등의 표준으로 소스 인코딩 및 소스 디코딩이 가능하다.
음향 신호를 압축하는 기술로는 MPEG-1, MPEG-2, MPEG Layer3(MP3), MPEG-4 AAC 등이 있는데, MPEG-1, MPEG-2 규격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에, MPEG Layer3(MP3)는 음악 파일 압축에, MPEG-4 AAC는 디지털 TV(DTV)나 DMB 등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인코더(34)는 HDTV 출력에 적합한 MPEG-4 AAC 방식으로 압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다른 장치들과의 호환을 위해 MPEG-1, 2, MPEG Layer3(MP3) 코덱으로도 압축할 수 있다.
디코더(36)는 스트리밍 제어부(4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소스 디코딩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송받은 신호를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500)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소스 디코딩하여 IP 영상 출력부(70) 또는 RF 영상 출력부(8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리밍 제어부의 세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스트리밍 제어부(40)는 중앙처리부(30)로부터 압축된 영상 코덱과 음향 코덱을 전송받아 채널 인코딩하거나 IP 스트리밍 입력부(60)로부터 스트리밍 신호를 전송받아 채널 디코딩하는 구성요소로서, 스트리밍 인코더(42), 스트리밍 디코더(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트리밍(Streaming) 기법이란 영상 또는 음향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법으로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측이 데이터를 모으고 그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운드나 그림으로 변환해 주는 응용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보내준다. 스트리밍 기법을 이용하면 수신 장치의 주기억 장치와 주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임시로 기억해 두고 사용할 수 있는 버퍼(Buffer)를 이용해 재생하게 되므로 다운로드가 완료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고, 비디오 또는 오디오 자료처럼 용량이 큰 것도 제약을 받지 않고 시청할 수 있다. 스트리밍 기법에도 여러 가지 표준화된 기법이 있는데 MPEG 계열 스트리밍 기법이 대표적이다.
MPEG 비디오 비트열과 MPEG 오디오 비트열을 하나로 묶어 전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규정이 MPEG 시스템이다. 이렇게 하나의 비트열로 다중화할 때 통신 채널이나 저장 미디어 등이 갖는 프로토콜이나 저장 포맷에 적합한 형식으로 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시스템에는 MPEG-1 시스템과 MPEG-2 시스템이 있다. MPEG-1 시스템은 단일 프로그램을 오류가 없는 채널 환경에서 다중화하므로, 비디오 CD 등 비교적 좁은 범위의 응용분야에 사용된다. 이에 비해 MPEG-2 시스템은 방송, 통신, 저장 미디어 등 광범위한 응용분야에 대응하고 있어 그 포맷도 훨씬 복잡하다.
MPEG-2 시스템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프로그램 스트림(Program Stream)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단일 프로그램을 오류가 없는 채널 환경에서 다중화한다. 다른 하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오류가 있는 채널환경에서 복수의 프로그램을 다중화한다. 복수의 프로그램을 하나의 비트열로 다중화하므로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TV 방송 등에 적합하고 제한수신을 위한 스크램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크램블 기능이란 비트열을 암호화하여 유료 가입자 이외에는 시청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스트리밍 제어부(40)는 기본적으로 디지털 TV 방송 등에 적합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이용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MPEG-1 프로그램 스트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스트리밍 인코더(42)는 중앙처리부(30)로부터 전송받은 압축된 영상신호를 채널 인코딩하는 구성요소로서, 인코딩된 데이터는 수신단에서 실시간 방송이 가능하도록 일정 단위의 패킷으로 분할되고 각 패킷에 프레임의 정보를 담은 헤더가 첨부되어 IP 스트리밍 출력부(50)를 통해 네트워크로 전송된다.
스트리밍 디코더(44)는 IP 스트리밍 입력부(60)를 통해 네트워크(600)로부터 전송받은 스트림 신호를 채널 디코딩하는 구성요소로서, IP 스트리밍 입력부(60)로부터 전송받은 패킷의 헤더로부터 정보를 읽고 순서대로 정렬하여, 중앙처리부(3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채널 디코딩하여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한다.
IP 스트리밍 출력부(50)는 스트리밍 제어부(40)에 연결된 구성요소로서, LAN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여 스트리밍 제어부(40)로부터 전송받은 스트리밍 신호를 연결된 LAN 케이블을 통하여 네트워크(600)로 송신한다.
IP 스트리밍 입력부(60)는 스트리밍 제어부(40)에 연결된 구성요소로서, LAN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LAN 케이블 하나로도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IP 스트리밍 출력부(50)의 단자가 IP 스트리밍 입력부(60)의 단자를 겸할 수 있다. IP 스트리밍 입력부(60)는 네트워크상(600)의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리밍 제어부(40)로 전송한다.
이때, IP 스트리밍 출력부(50) 또는 IP 스트리밍 입력부(60)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가 다수의 LAN을 연결하는 방송 허브 역할을 할 수도 있다.
IP 영상 출력부(70)는 중앙처리부(30)에 연결된 구성요소로서 HD급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IP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HDMI단자, component단자 등이 구비된다. IP 영상 출력부(70)는 중앙처리부(30)로부터 압축된 영상신호 또는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500)에 전달하고, D/A 컨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단말기가 아날로그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500)라도 영상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RF 영상 출력부(80)는 중앙처리부(30)에 연결된 구성요소로서 HD급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RF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RCA 잭 케이블 RF 단자 등이 구비된다.
USB 제어 포트(90)는 중앙처리부(30)에 연결된 구성요소로서, USB 제어 포트(90)를 통해 휴대용 방송 장치(10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함으로써 향후 도입되는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RS-232 제어 포트(92)는 중앙처리부(30)에 연결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100)를 컴퓨터 등 외부의 제어기기와 연결하여 휴대용 방송 장치(100)의 내부 설정을 수정하거나 휴대용 방송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휴대용 방송 장치(100)를 사용하여 회사, 공공기관, 학교 등의 장소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동축케이블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에도 실시간 방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학교의 한 교실에서 특강이 있는 경우 그 교실에서 카메라, 캠코더 등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휴대용 방송 장치(100)를 통해 실시간으로 네트워크(600)로 보내고, 네트워크(600)에 연결된 모든 교실에서 휴대용 방송 장치(11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수신하여 TV 등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이용한 원격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방송 시스템은 촬영지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 장치(200),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송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00), 휴대용 방송 장치(1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네트워크(600),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수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10), 수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200)는 송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00)에 연결되고, 송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00)는 네트워크(600)에 연결되어 영상 신호를 네트워크(600)로 송신한다. 수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10)는 연결된 네트워크(6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1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전송받은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방송 시스템은 음향 입력 장치(300) 또는 오디오 믹서(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입력 장치(300)는 오디오 믹서(400)에 연결되고, 오디오 믹서(400)는 휴대용 방송 장치(100)에 연결된다. 음향 입력 장치(300)는 촬영지에서의 음향을 녹음하여 오디오 믹서(400)로 전송한다. 오디오 믹서(400)는 전송받은 음향 신호를 방송에 적합하게 처리하여 송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00)로 전송한다. 오디오 믹서(400)를 생략하여 음향 입력 장치(300)와 송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00)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이용한 또 다른 원격 방송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수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10)에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장치(200)를 연결하여 송신에 이용하면, 쌍방향 통신 또는 다자간 통신이 가능하므로 화상회의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음향 신호 전송을 위해 도 6의 구성에서 송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00) 및 수신측 휴대용 방송 장치(110)에 음향 입력 장치 또는 오디오 믹서가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회사의 한 회의실에서의 영상을 촬영하고, 실시간으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이용하여 연결된 회사 네트워크로 영상을 송신한 다음, 각 사무실에서 본 발명에 다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이용해 회사 네트워크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청할 수 있으므로 원격 생방송이 가능하다. 또한 각 사무실에서도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해 촬영한 영상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송 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다른 사무실 또는 회의실에서 수신하면 쌍방향 통신 또는 다자간 통신이 가능해 지고, 이를 활용하면 화상회의 또한 가능하다.
10: 영상 입력부 20: 음향 입력부
30: 중앙처리부 40: 스트리밍 제어부
50: IP 스트리밍 출력부 60: IP 스트리밍 입력부
70: IP 영상 출력부 80: RF 영상 출력부
90: USB 제어 포트 92: RS-232 제어 포트
100: 휴대용 방송 장치
110: 제2 휴대용 방송 장치 200: 영상 촬영 장치
300: 음향 입력 장치 400: 오디오 믹서
500: 디스플레이 장치 600: 네트워크

Claims (1)

  1.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전송받는 영상 입력부(10);
    상기 영상 입력부(10)로부터 전송된 영상신호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중앙처리부(30);
    상기 중앙처리부(3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스트리밍 신호로 인코딩하는 스트리밍 제어부(40);
    상기 스트리밍 제어부(40)에서 전송된 스트리밍 신호를 네트워크(600)로 송신하는 IP 스트리밍 출력부(50);
    상기 네트워크(600)에서 스트리밍 신호를 수신하는 IP 스트리밍 입력부(60);
    상기 중앙처리부(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IP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송하는 IP 영상 출력부(70) 및
    상기 중앙처리부(3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RF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500)로 전송하는 RF 영상 출력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트리밍 제어부(40)는 상기 IP 스트리밍 입력부(60)로부터 전송받은 스트리밍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중앙처리부(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송 장치.
KR1020160007764A 2016-01-21 2016-01-21 휴대용 방송 장치 KR20170087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64A KR20170087769A (ko) 2016-01-21 2016-01-21 휴대용 방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64A KR20170087769A (ko) 2016-01-21 2016-01-21 휴대용 방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769A true KR20170087769A (ko) 2017-07-31

Family

ID=5941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64A KR20170087769A (ko) 2016-01-21 2016-01-21 휴대용 방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77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2157A (zh) * 2021-12-22 2022-03-22 厦门视诚科技有限公司 一种多输入信号便携式导播推流预监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22157A (zh) * 2021-12-22 2022-03-22 厦门视诚科技有限公司 一种多输入信号便携式导播推流预监系统
CN114222157B (zh) * 2021-12-22 2024-05-10 厦门视诚科技有限公司 一种多输入信号便携式导播推流预监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3749B2 (en) Source frame adaptation and matching optimally to suit a recipient video device
US8619953B2 (en) Home videoconferencing system
US20120066711A1 (en) Virtualized home theater service
KR102464061B1 (ko)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8416852B2 (en) Video signal coding system and method of coding video signal for network transmission, video output apparatus, and signal conversion apparatus
US20110285863A1 (en) Live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for the internet
KR101571271B1 (ko) 멀티 포맷 초고선명 고효율 코덱을 적용한 인코딩 및 트랜스코딩 장치
JP2006508574A (ja) 要求に応じたi画像の挿入
US200802357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and system for sharing digital contents by using the method
US20120239999A1 (en) Video transmitting apparatus, video receiving apparatus, and video transmission system
EP2556440A1 (en) Video content distribution
CN102845056A (zh) 移动电视的画中画
US20230319371A1 (en) Distribution of Multiple Signals of Video Content Independently over a Network
JP2018117259A (ja) オーディオビデオ同期取込によって一対多オーディオビデオストリーミングを行う方法
KR20160134623A (ko) Cctv 영상신호 ip 전송기 및 전송시스템
CN104735410A (zh) 一种低于4k/s的窄带宽视频传输方法及系统
CN105430510A (zh) 一种视频点播方法、网关、智能终端及视频点播系统
US20140165125A1 (en) Broadcasting system and broadcasting method of providing multi-picture
KR20110040687A (ko) 네트워크 기기, 정보 처리 장치, 스트림 전환 방법, 정보 처리 방법, 프로그램 및 콘텐츠 배신 시스템
KR100968266B1 (ko) 실시간 데이터 전송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6166692B2 (ja) Ipベースの映像伝送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JP5389528B2 (ja) ネットワークデコーダ装置
KR20170087769A (ko) 휴대용 방송 장치
KR101337222B1 (ko) 휴대용 방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방송 시스템
KR101164365B1 (ko) 차량용 영상 모니터링 장치의 4채널 화면 분할 방법